KR20170106368A - 의료용 채액 주입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채액 주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6368A KR20170106368A KR1020177022057A KR20177022057A KR20170106368A KR 20170106368 A KR20170106368 A KR 20170106368A KR 1020177022057 A KR1020177022057 A KR 1020177022057A KR 20177022057 A KR20177022057 A KR 20177022057A KR 20170106368 A KR20170106368 A KR 201701063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tip
- immersion
- barrel
- inj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61M1/815—Piston pumps, e.g. syringes the barrel serving as aspiration container, e.g. in a breast pum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주입기(1)의 배럴(12)의 통끝(14)은, 나선형 돌기(925)가 형성된 관형상부(921)를 구비하고, 관형상부의 내주면은 암형 테이퍼면(922)이다. 플런저(18)가 삽입되는 저액부(貯液部)(15)와 관형상부(921) 사이에 소경부(小徑部)(16)가 형성되어 있다. 채액침(20)의 기단(21)은 소경부(16)에 액밀하게 접속되고, 채액침(20)의 선단은 통끝(1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이 현탁법을 행할 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에까지 삽입된 경비 카테터 또는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에 삽입된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카테터가 이용된다. 경비 카테터 또는 PEG 카테터(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카테터」라고 한다)를 통하여 영양제, 유동식(일반적으로 「경장영양제」라고 불린다),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환자에게 액상물을 투여할 때에는,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단 또는 상기 카테터에 접속된 유연성을 가지는 튜브(일반적으로 「연장 튜브」라고 불린다)의 상류단에 설치된 커넥터(이하 「환자측 커넥터」라고 한다)와, 액상물을 저류한 용기 또는 상기 용기에 접속된 튜브에 설치된 커넥터(이하 「용기측 커넥터」라고 한다)를 접속한다. 종래, 환자측 커넥터로서 암형 커넥터가, 또, 용기측 커넥터로서 수형 커넥터가, 각각 이용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는, 대부분의 경우, 정제 등의 의약품을 입으로 직접 삼킬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의약품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간이 현탁법」이 알려져 있다. 간이 현탁법은 이하의 순서로 행해진다. 먼저, 용기 내에 정제를 미온수 등으로 붕괴시킨 약액을 작성한다. 다음에, 이 약액을 주입기(시린지) 내에 흡인한다. 다음에, 주입기의 통끝을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하여, 카테터를 통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간이 현탁법에서는, 주입기의 통끝을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도 19의 A는 간이 현탁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채액팁(940)이 달린 주입기(950)의 사시도, 도 19의 B는 채액팁(940)이 달린 주입기(950)의 단면도이다. 주입기(950)는, 범용되고 있는 시린지와 마찬가지로, 배럴(외통)(952)과, 배럴(952)에 삽입 발거되는 플런저(958)를 구비한다. 배럴(952)의 통끝(노즐)(954)의 외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이다. 이 통끝(954)에, 채액팁(이하, 간단히 「팁」이라고 한다)(94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팁(940)은, 일단에, 통끝(954)과 액밀하게 접속되는 기단부(941)를 구비하고, 타단에, 채액침(946)을 구비한다. 팁(940)을 관통하는 유로(948)가, 기단부(941)와 채액침(946)을 연통시키고 있다. 간이 현탁법에서는, 도 19의 A 및 도 19의 B와 같이 팁(940)을 주입기(950)에 장착한 상태로, 채액침(946)의 선단을 약액에 침지하면서, 배럴(952) 내에 약액을 흡인한다. 그 후, 팁(940)을 주입기(950)로부터 떼어내어, 통끝(954)을 환자측 커넥터(암형 커넥터)에 삽입하여, 배럴(952)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런데, 최근, 경장영양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와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측 커넥터로서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910)가, 또, 용기측 커넥터로서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920)가, 영양계의 의료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으로서 국제 표준화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910)는, 통형상의 수형 부재(911)와, 수형 부재(911)를 둘러싸는 외통(913)을 가진다. 수형 부재(911)와 외통(913)은, 수형 부재(911)의 기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된 바닥판(91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형 테이퍼면)이다. 수형 부재(91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수형 부재(911)를 관통하는 유로(917)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913)의 수형 부재(911)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920)는, 수형 부재(911)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관형상부(암형 루어)(921)를 가진다.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형 테이퍼면)이다.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수나사)(925)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수형 부재(911)를 관형상부(921)에 삽입하고, 또한, 암나사(915)와 나선형 돌기(92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과,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은, 직경 및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테이퍼면이기 때문에, 양자는 액밀한 면접촉을 한다. 서로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915) 및 나선형 돌기(925)는,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 상태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액밀성(액상물에 압력을 가해도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상물이 새어나오지 않는 성질)과 접속 강도(접속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인장력을 가해도 분리되지 않는 성질)가 우수한 접속을 제공한다.
환자측 커넥터가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 나타내는 수형 커넥터(910)인 경우, 이 수형 커넥터(910)에 도 19의 A 및 도 19의 B에 나타낸 주입기(950)의 통끝(954)을 접속할 수는 없다. 간이 현탁법에서 이용하는 주입기의 통끝은,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내는 암형 커넥터(920)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통끝이 암형 커넥터(920)를 가지는 주입기를 검토할 때에 있어서, 이하의 2점을 고려하는 것이 요망된다.
첫째로, 주입기를 통하여,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약액이 부착되지 않는 것이 요망된다.
도 21의 A 및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915)의 골 내에 약액이 부착되면, 상기 약액을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수형 커넥터(910)가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형 커넥터(910)는 카테터와 함께 장기간에 걸쳐 환자에게 계속 유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PEG 카테터의 교환은, 일반적으로 1~3개월 마다 행해진다. 수형 커넥터(910)에 약액이 이와 같이 장기에 걸쳐 계속 부착되면, 수형 커넥터(910)는 비위생 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결국은, 수형 커넥터(910) 내에서 균이 번식하여, 상기 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하여, 중증의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주입기의 통끝이 암형 커넥터(920)를 가지는 경우, 관형상부(921)의 외주면(특히 나선형 돌기(925))에 약액이 부착된 상태로 암형 커넥터(920)를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하면,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버린다. 수형 커넥터(910)가 상기와 같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주입기를 통하여 약액이 부착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액량이 정확하게 관리되는 것이 요망된다. 도 19의 A 및 도 19의 B에 나타낸 종래의 팁(940)이 달린 주입기(950)는, 작업자의 조작 방법에 따라서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팁(940)이 달린 주입기(950)를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 도 19의 A 및 도 19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입기(950)에 팁(940)을 장착한 상태로, 약액을 배럴(952) 내에 흡인한다. 약액의 흡인량은, 배럴(952)의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계량된다. 도 20은, 팁(940)이 장착된 주입기(950)의 통끝(954)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배럴(952)에 표시된 눈금이 나타내는 용적은, 통끝(954) 내의 공간(954a)(도 20에 있어서 다수의 점을 찍은 부분)의 용적을 포함하지 않는다. 플런저(958)의 선단에 설치된 개스킷(959)은 공간(954a) 내에 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스킷(959)을 배럴(952)의 최심부에 닿을 때까지 플런저(958)를 배럴(952) 내에 밀어넣고, 또한, 공간(954a) 내에 약액을 잔류시킨 상태로 간이 현탁법을 종료시켜야 한다. 통끝(954) 내의 공간(954a)에 잔류시켜야 할 약액도 환자에게 투여해 버리면, 그만큼 계량한 양보다 과잉으로 약액을 투여해 버리게 된다. 예를 들면, 적정량의 약액을 흡인한 주입기(950)를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하고, 배럴(952)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 후, 미온수 등을 주입기(950) 내에 흡인하여, 공간(954a)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약액을 미온수와 함께 환자에게 투여해 버리면, 계량한 양 이상의 약액이 환자에게 투여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것은, 의료 종사자에게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가족 등의 개호자인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와 같이 부적절한 약액량 관리가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간이 현탁법에 있어서, 주입기를 수형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에, 수형 커넥터의 수형 부재를 둘러싸는 암나사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간이 현탁법에 있어서 부적절한 양의 약액이 환자에게 투여되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채액 주입기는, 일단에 개구를 구비하고 타단에 통끝을 구비한 통형상의 배럴과, 상기 배럴의 상기 개구에 삽입된 플런저와, 통형상의 채액침을 구비한다. 상기 통끝은, 원통형상의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관형상부의 내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다. 상기 배럴은,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는 저액부(貯液部)와 상기 관형상부 사이에,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小徑部)를 구비한다. 상기 채액침의 기단은 상기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되며, 상기 채액침의 선단은 상기 통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채액 주입기에서는, 채액침의 기단과 배럴의 소경부가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 채액침을 통하여 약액을 주입기 내에 흡인하면, 통끝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일은 없다. 그 후, 통끝으로부터 채액침을 떼어내어, 통끝을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수형 커넥터의 수형 부재를 둘러싸는 암나사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저액부 내의 약액이 채액침의 기단과 배럴의 소경부 사이를 통과하여 통끝측으로 새어나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항상 적절한 양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도 1]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구성하는 채액침의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상기 채액침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에 있어서, 채액침과 통끝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에 있어서, 채액침과 소경부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도 7의 A는, 채액침이 제거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채액침이 제거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구성하는 채액침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상기 채액침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채액침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채액침의 평면도이다.
[도 13]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구성하는 노즐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의 B는, 상기 노즐팁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노즐팁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채액침에 노즐팁이 장착된 채액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B는, 채액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6]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주입기 본체에 채액침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단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용기의 개구에 찔러넣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다른 채액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도 19의 A는, 간이 현탁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채액팁이 달린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19의 B는, 상기 채액팁이 달린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20] 도 20은, 종래의 팁이 장착된 주입기의 통끝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 도 21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B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 도 22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2의 B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구성하는 채액침의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상기 채액침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에 있어서, 채액침과 통끝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에 있어서, 채액침과 소경부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도 7의 A는, 채액침이 제거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채액침이 제거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구성하는 채액침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상기 채액침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채액침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채액침의 평면도이다.
[도 13]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구성하는 노즐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의 B는, 상기 노즐팁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노즐팁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채액침에 노즐팁이 장착된 채액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B는, 채액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6]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주입기 본체에 채액침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단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를 용기의 개구에 찔러넣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다른 채액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도 19의 A는, 간이 현탁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채액팁이 달린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19의 B는, 상기 채액팁이 달린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20] 도 20은, 종래의 팁이 장착된 주입기의 통끝 및 그 근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 도 21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B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 도 22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2의 B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료용 채액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배럴과 상기 채액침은 별도 부품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채액침은, 상기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 내의 약액량이 많은 경우, 채액침을 통끝에 대해 장착 및 떼어냄을 복수회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동일한 주입기를 이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채액침에,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내주면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채액침을 통끝에 단단히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배럴과 상기 채액침은 일체적으로 성형된 일부품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채액침과 상기 배럴은, 상기 기단과 상기 소경부의 경계에서 불가역적으로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채액침을 배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 통끝을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채액침이 제거된 주입기는 재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주입기의 재이용에 의한 환자의 감염의 가능성이 저감한다. 또, 주입기를 구성하는 부재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주입기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료용 채액 주입기는, 상기 채액침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상기 채액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팁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노즐팁은, 상기 노즐팁이 상기 채액침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채액침의 유로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간이 현탁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입기를, 채액침에 노즐팁을 장착하면, 모유 채취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노즐팁이 상기 채액침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채액침과 상기 노즐팁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모유를 효율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상기 노즐팁이 상기 채액침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노즐팁이 채액침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탈락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노즐팁의 외주면에,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의 개구의 끝가장자리에 수형 테이퍼면이 끼워맞춰진 상태로, 용기에 주입기를 찔러넣을 수 있다. 이것은, 노즐팁의 선단의 오염 방지와, 용기 내의 액체의 오염 방지 및 증발 방지에 유리하다.
상기 관형상부와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암형 테이퍼면은, ISO80369-3에 준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주입기의 통끝을,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에,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부재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실제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이 반드시 충실히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구성>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의료용 채액 주입기(이하, 간단히 「주입기」라고 한다)(1)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주입기(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주입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주입기(1)는, 배럴(외통)(12) 및 플런저(18)를 가지는 주입기 본체(10)와, 채액침(20)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런저(18)측을 주입기(1)의 「상」측이라고 하고, 채액침(20)측을 주입기(1)의 「하」측이라고 한다. 또, 플런저(18)와 채액침(20)을 잇는 방향을 주입기(1)의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배럴(12)은,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상단)은 개구하고, 타단(하단)에 통끝(노즐)(14)을 구비한다. 배럴(12)의 상단의 개구에 플런저(18)가 삽입 발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플런저(18)의 선단에는 개스킷(19)이 부착되어 있다. 개스킷(19)은 배럴(1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면서, 배럴(12)의 내주면 상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배럴(12)의 상단으로부터 한 쌍의 손가락받침 플랜지(17)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럴(12)의 외주면에는, 배럴(12) 내의 액량을 나타내는 눈금(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되어 있다.
배럴(12)의 통끝(14)에는, 수형 커넥터(환자측 커넥터)(910)(도 21의 A 및 도 21의 B 참조)에 접속 가능하도록,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낸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920)와 동일한,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A, 도 1의 B, 및 도 2에 있어서, 도 22의 A 및 도 22의 B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저액부(15)와 관형상부(921) 사이에, 이들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소경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저액부(15)는, 배럴(12) 중, 플런저(18)가 삽입 발거되는 부분이며, 또, 약액을 저류 가능한 부분이다. 소경부(16)는, 저액부(15)에 삽입된 플런저(18)가, 통끝(14)의 관형상부(921)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의 A는 채액침(20)의 사시도, 도 3의 B는 채액침(20)의 단면도이다. 채액침(20)은,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봉형상을 가지고 있다. 유로(28)가, 채액침(20)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채액침(20)의 기단(배럴(12)의 통끝(14)에 삽입되는 측의 끝) 및 선단에서 각각 개구하고 있다.
채액침(20)의 기단에는, 접속통(21)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통(21)의 외주면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접속통(21)에 인접하여, 채액침(20)의 외주면으로부터 복수(본 예에서는 4개)의 리브(22)가 반경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리브(22)는 채액침(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리브(22)에서의 채액침(20)의 외경은, 접속통(21)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브(22)의 꼭대기면(리브(22)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한 면)(22t)은, 상술한 수형 커넥터(910)의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참조)에 형성된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테이퍼면을 따르고 있다. 바꿔 말하면, 리브(22)의 꼭대기면(22t)은, 통끝(14)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형성된 암형 테이퍼면과 테이퍼 각도 및 직경이 동일한 테이퍼면(원뿔면)을 따르고 있다.
채액침(20)의 접속통(21)이 배럴(12)의 통끝(14) 내에 삽입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액침(20)의 접속통(21)은, 배럴(12)의 소경부(16)에 끼워 넣어진다. 접속통(21)의 외경은, 소경부(16)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통(21)의 외주면과 소경부(16)의 내주단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채액침(20)의 유로(28)는 저액부(15)와 연통한다.
접속통(21)의 리브(22)의 꼭대기면(22t)은, 배럴(12)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맞닿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꼭대기면(22t)은, 수형 커넥터(910)의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참조)과 동일한 수형 테이퍼면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꼭대기면(22t)은,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과 면접촉한다. 이 때문에, 리브(22)와 관형상부(921)가 끼워맞춰지고, 채액침(20)은, 통끝(14)에 단단히 접속된다. 채액침(20)의 선단은, 통끝(14)으로부터 크게 돌출한다(도 1의 A 참조).
채액침(20)은 통끝(14)에 끼워맞춰져 있을 뿐이므로, 채액침(20)은 통끝(14)에 대해 반복해서 착탈 가능하다.
배럴(12), 플런저(18)(개스킷(19)을 제외한다), 및, 채액침(20)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형상 유지성을 가지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기계적 강도(강성)를 가지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가 바람직하다. 배럴(12), 플런저(18), 및, 채액침(20)의 각각은, 상기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개스킷(19)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부틸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주입기(1)는, 상술한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주입기(1)를 이용한 간이 현탁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먼저,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기 본체(10)의 통끝(14)에 채액침(20)을 장착한 주입기(1)를 준비한다.
다음에, 채액침(20)의 선단을, 정제를 붕괴시킨 약액 중에 침지하고, 플런저(18)를 조작하여, 약액을 배럴(12) 내에 흡인한다. 약액의 흡인량은, 배럴(12)을 통하여 투시되는 개스킷(19)의 위치와, 배럴(12)에 표시된 눈금(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계량한다.
다음에, 채액침(20)을 통끝(14)으로부터 제거한다(도 2 참조).
다음에,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참조)에 접속한다. 수형 커넥터(910)는,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 또는 상기 카테터에 접속된 연장 튜브의 상류측단에 설치된 환자측 커넥터이다. 통끝(14)은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이므로, 통끝(14)과 수형 커넥터(910)는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된다. 이 상태로, 개스킷(19)이 소경부(16)에 닿을 때까지 플런저(18)를 배럴(12) 내에 밀어넣어, 저액부(15)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 후,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로부터 분리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용기 내의 약액을 주입기 본체(10) 내에 흡인하는 작업(흡인 작업)은, 통끝(14)에 채액침(20)을 장착하여 행하고, 한편, 주입기 본체(10)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작업(투여 작업)은, 채액침(20)을 이용하지 않고,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하여 행한다. 흡인 작업에서는, 채액침(20)의 선단이 약액 중에 침지된다. 또, 채액침(20)의 접속통(21)은 배럴(12)의 소경부(16)에 액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그 후,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했을 때에,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부착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910)가 장기간에 걸쳐 환자에게 유치되었다고 해도, 수형 커넥터(91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약액을 주입기 본체(10) 내에 흡인하는 흡인 작업을, 통끝(14)에 채액침(20)을 장착하지 않고, 통끝(14)을 약액 중에 직접 침지하여 행하면, 관형상부(921)의 내주면 뿐만 아니라,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도, 약액이 부착된다. 그 후,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도 21의 A 및 도 21의 B 참조)에 접속하면,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부착된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915)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액침(20)을 통끝(14)에 장착하고 흡인 작업을 행하면,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액침(20)을 통끝(14)에 장착했을 때, 채액침(20)의 기단에 설치된 접속통(21)이 배럴(12)의 소경부(16)에 끼워 넣어진다. 접속통(21)과 소경부(16)는 액밀하게 접속되므로, 저액부(15) 내의 약액이, 접속통(21)과 소경부(16) 사이를 통과하여 통끝(14)측으로 새어나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종래의 팁(940)을 이용한 경우와 달리, 주입기(1)를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을 행한 경우에는 통끝(14) 내에 약액이 잔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작업자에 상관없이, 계량한 양 이상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해 버릴 가능성이 저감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의 주입기(1)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채액침(20)은 통끝(14)에 반복해서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주입기 본체(10)의 용량에 비해 환자에게 투여해야 할 약액량이 많은 경우, 채액침(20)을 통끝(14)에 대해 장착 및 떼어냄을 복수회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동일한 주입기(1)를 이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채액침(20)의 접속통(21)의 근방에 형성된 리브(22)의 수는 임의이다. 관형상부(921)의 내주면(암형 테이퍼면)(922)에 끼워맞춰지는, 리브(22) 이외의 임의의 끼워맞춤 형상이 채액침(20)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수형 커넥터(910)의 수형 부재(911)의 외주면(912)(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참조)에 형성된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테이퍼면이 채액침(20)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맞닿는 임의의 돌기(예를 들면,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는 환상 돌기)가 채액침(20)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끼워맞춰지는 리브(22) 또는 이것과 유사한 끼워맞춤 형상이 채액침(20)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채액침(20)은, 접속통(21)에 있어서, 배럴(12)에 유지된다.
수형 커넥터(910)에 설치된 외통(913) 및 암나사(915)(도 21의 A 및 도 21의 B 참조)와 같은, ISO80369-3에 준거한 외통 및 암나사가, 채액침(2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실시형태 3의 채액침(3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암나사를 관형상부(921)의 나사 결합 돌기(925)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구성>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주입기(2)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주입기(2)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2의 주입기(2)는, 채액침(220)이 배럴(212)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일부품을 구성하는 점에서, 채액침(20)이 배럴(12)과 별도 부품이였던 실시형태 1의 주입기(1)와 상이하다. 실시형태 2의 주입기(2)를 구성하는 부재 중, 실시형태 1의 주입기(1)를 구성하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 2의 채액침(220)은, 실시형태 1의 채액침(20)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봉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5의 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유로(28)가, 채액침(220)을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채액침(220)의 선단에서 개구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채액침(220)의 기단(221)이 배럴(212)의 소경부(216)에 접속되어 있다. 채액침(220)의 유로(28)는 저액부(15)와 연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 2의 주입기(2)에서는, 배럴(212)과 채액침(220)을, 기단(221)과 소경부(216)의 경계에서 불가역적으로 파단하여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있어서, 배럴(212)과 채액침(220)을 각각 다른 손으로 파지하고, 이들에 굽힘력 또는 인장력을 가하면, 기단(221)과 소경부(216)의 경계 부분이 파단된다. 실시형태 1의 채액침(20)에 형성되어 있던 리브(22)는,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굽힘력을 가하면, 기단(221)과 소경부(216)의 경계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경계 부분에서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도 7의 A는, 이와 같이 하여 채액침(220)을 분리하여 제거한 주입기(2)(주입기 본체(210))의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7의 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소경부(216)의 내주단에, 채액침(220)이 제거된 것에 의해 형성된 파단흔(216a)이 형성된다. 채액침(220)이 제거된 주입기 본체(210)는, 파단흔(216a)을 가지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의 주입기 본체(10)(도 1의 A 및 도 1의 B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주입기(2)를 구성하는 각 부의 재료는, 실시형태 1의 주입기(1)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배럴(212)과 채액침(220)은,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된다.
<사용 방법>
주입기(2)는, 상술한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주입기(2)를 이용한 간이 현탁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먼저,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액침(220)이 배럴(212)에 일체화되어 있는 주입기(2)를 준비한다.
다음에, 채액침(220)의 선단을, 정제를 붕괴시킨 약액 중에 침지하고, 플런저(218)를 조작하여, 약액을 배럴(212) 내에 흡인한다. 약액의 흡인량은, 배럴(212)을 통하여 투시되는 개스킷(19)의 위치와, 배럴(212)에 표시된 눈금(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계량한다.
다음에, 채액침(220)을 배럴(212)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다(도 7의 A 및 도 7의 B 참조).
그 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환자측 커넥터, 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참조)에 접속하여, 저액부(15)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용기 내의 약액을 주입기 본체(210) 내에 흡인하는 작업(흡인 작업)은, 배럴(212)에 채액침(220)이 접속된 상태에서 행하고, 그 후의, 주입기 본체(210)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작업(투여 작업)은, 채액침(220)을 분리 제거하고,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하여 행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흡인 작업에서는,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그 후,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했을 때에,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부착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910)가 장기간에 걸쳐 환자에게 유치되었다고 해도, 수형 커넥터(91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채액침(220)을 배럴(212)로부터 분리하기 전에는, 채액침(220)의 기단(221)과 배럴(212)의 소경부(216)는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도 6 참조). 이 때문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저액부(15) 내의 약액이, 기단(221)과 소경부(216) 사이를 통과하여 통끝(14)측으로 새어나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주입기(2)를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을 행한 경우에는 통끝(14) 내에 약액이 잔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작업자에 상관없이, 계량한 양 이상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해 버릴 가능성이 저감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2의 주입기(2)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 2의 주입기(2)에서는, 배럴(212)과 채액침(220)이 일부품이므로, 주입기(2)를 구성하는 부재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주입기(2)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 일단 채액침(220)을 배럴(212)로부터 분리해 버리면, 채액침(220)을 배럴(212)에 재접속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2의 주입기(2)는 재이용할 수 없는, 이른바 일회용 타입이다. 항상 새롭고 청결한 주입기(2)를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이 행해지게 되므로, 환자의 감염의 가능성이 더 저감한다.
(실시형태 3)
<구성>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주입기(3)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주입기(3)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주입기(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주입기(3)는, 배럴(외통)(12) 및 플런저(18)를 가지는 주입기 본체(10)와, 채액침(320)과, 노즐팁(350)을 구비한다. 채액침(320)과, 노즐팁(350)은, 채액 노즐(360)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 3의 주입기 본체(10)는, 실시형태 1의 주입기 본체(10)와 동일하다. 실시형태 3의 주입기(3)를 구성하는 부재 중, 실시형태 1의 주입기(1)를 구성하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의 A는 채액침(32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B는 채액침(32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채액침(320)의 단면 사시도, 도 12는 채액침(32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의 채액침(320)은, 접속통(21)의 근방에, 채액침(320)을 둘러싸는 외통(313)이 설치되어 있다. 채액침(320)과 외통(313)은, 채액침(320)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된 바닥판(31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외통(313)의 채액침(320)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315)가 설치되어 있다. 암나사(315)는, 상술한 수형 커넥터(910)에 설치된 암나사(915)(도 21의 A 및 도 21의 B 참조)와 호환성을 가지며,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다. 따라서, 암나사(315)는, ISO80369-3에 준거한 배럴(12)의 통끝(14)에 설치된 나선형 돌기(수나사)(925)와 나사 결합 가능하다. 외통(313)의 외주면에는, 외통(313)을 파지하여 채액침(320)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쉽도록, 대략 팔각기둥면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313)의 외주면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바닥판(314)에는, 대략 「L」자의 평면에서 본 형상을 가지는 2개의 관통 구멍(322)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관통 구멍(322)은, 채액침(320)의 중심축에 대해 180도 회전 대칭이다. 바닥판(314)의 상면의 관통 구멍(322)의 끝가장자리 근방에, 경사면(324)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324)은, 채액침(32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채액침(320)의 선단 근방의 외주면에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32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3의 A는 노즐팁(35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B는 노즐팁(35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는 노즐팁(35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노즐팁(350)은,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가진다. 노즐팁(350)의 내강(351)을 규정하는 내주면의 내경은, 채액침(320)(도 8의 A 및 도 8의 B 참조)의 바닥판(314)보다 하측의 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채액침(320)의 상기 부분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게 설정된다. 노즐팁(350)의 내경은, 그 선단(하단)에 설치된 개구(352)에 있어서 최소이다. 개구(352)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채액침(320)의 유로(28)의 선단에서의 개구(도 10의 B 참조)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개구(352)에 인접하며 그 상측에, 개구(352)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암형 테이퍼면)(358)이 설치되어 있다. 암형 테이퍼면(358)은, 채액침(320)의 선단 근방에 설치된 수형 테이퍼면(328)(도 10의 A 참조)과 테이퍼 각도 및 직경이 동일하다.
도 13의 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노즐팁(350)의 상단에 2개의 돌기(354)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354)는, 노즐팁(35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수직부(354a)와, 수직부(354a)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걸어맞춤부(354b)를 구비한다. 2개의 돌기(354)는, 노즐팁(350)의 중심축에 대해 180도 회전 대칭이다. 또한, 노즐팁(350)에는 2개의 파지부(356)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356)는, 노즐팁(350)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후,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파지부(356)는, 노즐팁(35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356)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즐팁(350)의 외주면에 정다각기둥면(정육각기둥면, 정팔각기둥면 등)을 설치하고, 이것을 파지부로 해도 된다. 파지부를 생략해도 된다.
도 13의 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노즐팁(350)의 외주면에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355)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팁(350)의 선단에는, 노즐팁(35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원형의 평면(353)이 설치되어 있다. 선단면(353)의 외경은, 채액침(320)의 선단(도 10의 B 참조)의 외경보다 크다. 선단면(353)의 중앙에 개구(352)가 설치되어 있다. 선단면(353)의 외주 끝가장자리는, 매끄럽게 모따기가 되어 있다.
노즐팁(350)은, 채액침(320)에 반복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5의 A는 채액침(320)에 노즐팁(350)이 장착된 채액 노즐(360)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B는, 채액 노즐(360)의 단면도이다.
채액침(320)에 대한 노즐팁(350)의 장착은, 개략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채액침(320)을 노즐팁(350)의 내강(351)에 삽입하고, 노즐팁(350)의 돌기(354)를, 채액침(320)의 바닥판(314)에 설치된 관통 구멍(322)에 삽입한다. 이 상태로, 채액침(320)과 노즐팁(350)을 서로 역방향으로(즉,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노즐팁(350)에 대해 채액침(3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노즐팁(350)의 걸어맞춤부(354b)(도 13의 A 및 도 13의 B 참조)가, 채액침(320)의 경사면(324)(도 12 참조) 상을 슬라이딩한다. 경사면(3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채액침(320)에 대해 노즐팁(350)이 회전함에 따라서, 채액침(320)이 노즐팁(350)의 내강(351) 내에 더 깊게 삽입되도록, 채액침(320)은 노즐팁(350)에 대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노즐팁(350)의 돌기(354)의 수직부(354a)가, 채액침(320)의 관통 구멍(322)을 규정하는 끝가장자리의 회전 방향의 종단에 맞닿을 때까지 채액침(320)에 대해 노즐팁(350)을 회전시킨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채액침(320)의 수형 테이퍼면(328)과, 노즐팁(350)의 암형 테이퍼면(358)이 액밀 및 기밀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채액침(320)의 선단은, 노즐팁(350) 내에 수납되어, 노즐팁(350)으로 덮여 있다. 노즐팁(350)의 선단의 개구(352)와 채액침(320)의 유로(28)가 연통하고 있다.
채액침(320)과 노즐팁(350)의 분리는, 상기와는 반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능하다.
채액침(320)에 대한 노즐팁(350)의 상대적인 회전은, 채액침(320)의 외통(313)의 외주면과, 노즐팁(350)의 파지부(356)를, 각각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채액침(320)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채액침(20)의 재료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노즐팁(350)은, 사람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비교적 저경도의 재료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채액침(320) 및 노즐팁(350)은, 각각 상기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의 주입기(3)는, 실시형태 1, 2의 주입기(1, 2)와 마찬가지로 간이 현탁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모유 채취에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주입기(3)를 이용한 간이 현탁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낸 주입기(3)로부터 노즐팁(350)을 떼어낸다. 즉, 도 16의 A 및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기 본체(10)에 채액침(320) 만을 장착한다. 도 16의 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채액침(320)의 접속통(21)이 배럴(12)의 소경부(16)에 끼워 넣어져, 접속통(21)과 소경부(16)가 액밀하게 접속된다. 채액침(320)의 유로(28)는 배럴(12)의 저액부(15)와 연통하고 있다. 채액침(320)의 암나사(315)는, 배럴(12)의 나선형 돌기(925)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채액침(320)의 선단을, 정제를 붕괴시킨 약액 중에 침지하고, 플런저(18)를 조작하여, 약액을 배럴(12) 내에 흡인한다. 다음에, 채액침(320)을 통끝(14)으로부터 제거한다(도 9 참조). 그 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도 21의 A 및 도 21의 B를 참조)에 접속하여, 저액부(15)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 후,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주입기(3)를 이용한 모유 채취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유 채취는,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기 본체(10)에 채액침(320) 및 노즐팁(350)을 장착한 상태에서 행한다. 노즐팁(350)의 선단면(353)을 유두에 대고, 플런저(18)를 조작하여 유두에 부착된 모유를 개구(352)를 통하여 배럴(12) 내에 흡인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3에 의하면,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 용기 내의 약액을 주입기 본체(10) 내에 흡인하는 작업(흡인 작업)은, 통끝(14)에 채액침(320)을 장착하여 행하고, 한편, 주입기 본체(10) 내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작업(투여 작업)은, 채액침(320)을 이용하지 않고,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하여 행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흡인 작업에서는, 나선형 돌기(925)를 포함하는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 약액이 부착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그 후, 통끝(14)을 수형 커넥터(910)에 접속했을 때에, 약액이 수형 커넥터(910)의 외통(913)의 내주면(특히 암나사(915))에 부착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910)가 장기간에 걸쳐 환자에게 유치되었다고 해도, 수형 커넥터(91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채액침(320)을 통끝(14)에 장착했을 때(도 16의 A 및 도 16의 B 참조), 채액침(20)의 접속통(21)과 배럴(12)의 소경부(16)는 액밀하게 접속된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저액부(15) 내의 약액이, 접속통(21)과 소경부(16) 사이를 통과하여 통끝(14)측으로 새어나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3의 주입기(3)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노즐팁(350)을 장착한 본 실시형태 3의 주입기(3)는, 모유 채취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유 채취에서는, 주입기(시린지)의 통끝을 유두에 직접 댄 상태로 모유를 배럴 내에 흡인한다. 예를 들면, 채액팁(940)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주입기(950)(도 19의 A 및 도 19의 B 참조)를 이용하여 모유 채취를 행할 수 있다. 통끝(954)의 선단에는, 비교적 대면적의 원형 평면이 설치되고, 그 중앙에 유로가 개구하고 있다. 이 원형 평면을 유두에 대고 모유를 흡인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 3의 노즐팁(350)은, 통끝(954)의 선단면과 동등하거나 이것보다 큰 선단면(353)을 구비하므로, 선단면(353)을 유두에 대고 모유 채취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시형태 1~3의 채액침(20, 220, 320)의 선단은, 용기 내의 미량의 액체도 남김없이 채취할 수 있도록 비교적 소직경이다. 이 채액침(20, 220, 320)의 선단을 유두에 직접 대면, 엄마가 아픔을 느끼는 일이 있다. 한편, 채액침(20, 220, 320)을 제거한 주입기 본체(10, 210)(도 2, 도 7의 A 참조)는, 통끝(14)의 관형상부(921) 내에 큰 내경의 공동이 존재하므로, 미량의 모유를 흡인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형태 3의 주입기(3)의 노즐팁(350)은, 비교적 대직경 또한 대면적의 선단면(353)을 가지므로, 노즐팁(350)의 선단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도 아픔을 느끼는 일은 없다. 노즐팁(350)의 이 선단면(353)을 유두에 밀착시킴으로써, 미량의 모유를 잔액 적게 흡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에 의하면, 공통되는 주입기 본체(10)를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 및 모유 채취 모두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노즐팁(350)은, 채액침(320)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 3과는 달리, 노즐팁(350)과 동등한 외형을 가지는 모유 채취 노즐을 작성하여, 모유 채취를 하는 경우에는, 채액침(320) 대신에 상기 모유 채취 노즐을 통끝(14)에 장착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모유 채취 노즐의 반경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두꺼운 모유 채취 노즐은, 일반적으로 수지 성형성이 나쁘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노즐팁(350)은 박육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지 성형성이 우수하다.
노즐팁(350)을 채액침(320)에 장착했을 때, 노즐팁(350)의 개구(352)의 근방에서, 노즐팁(350)의 암형 테이퍼면(358)과 채액침(320)의 수형 테이퍼면(328)이 끼워맞춰져, 양면 간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도 15의 B 참조). 이 시일은, 선단면(353)을 유두에 댄 상태로 플런저(18)를 뺐을 때, 외계의 공기가, 노즐팁(350)의 상단(외통(313)측)의 개구로부터 노즐팁(350)과 채액침(320)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채액침(320)의 유로(28) 내에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모유를, 노즐팁(350)의 개구(352)로부터 채액침(320)의 유로(28)를 통과하여 배럴(12) 내에 흡인할 수 있다. 또, 노즐팁(350)의 개구(352) 내에 유입된 모유 중, 노즐팁(350)과 채액침(320) 사이의 간극으로 흘러, 유로(28)에 유입되지 않는 모유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채액침(320)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은, 모유를 효율적으로 채취하는데 유리하다. 채액침(320)의 경사면(324)(도 12 참조)은, 채액침(320)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노즐팁(350)의 외주면에는, 수형 테이퍼면(355)이 설치되어 있다(도 13의 A 참조).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예를 들면 증류수용 용기)(390)의 뚜껑을 연 개구(391)에 주입기(3)를 찔러넣을 수 있다. 노즐팁(350)의 수형 테이퍼면(355)이 용기(390)의 개구(391)의 끝가장자리에 끼워맞춰져, 개구(391)가 노즐팁(350)으로 막아진다. 주입기(3) 및 용기(390)를 이 상태로 일시적으로 방치해 두는 것은, 노즐팁(350)의 선단의 오염 방지와, 용기(390) 내의 액체(예를 들면 증류수)의 오염 방지 및 증발 방지에 유리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수형 테이퍼면(355)은 필수는 아니다.
채액침(320)은, 외통(313)을 구비한다(도 10의 A 참조). 채액침(320)을 배럴(12)에 장착한 상태(도 8의 A, 도 8의 B, 도 16의 A, 도 16의 B 참조)에서는, 외통(313)은, 배럴(12)의 통끝(14)(특히 나선형 돌기(925) 및 그 근방)을 덮는다. 외통(313)은, 통끝(14)이, 작업자의 손가락이 닿는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외통(313)은, 통끝(14)의 위생 상태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것에 의해, 통끝(14)이 접속되는 수형 커넥터(910)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 환자의 감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작업자는, 외통(313)의 외주면을 유지함으로써, 채액침(320)의 선단에 접촉되지 않고, 배럴(12)의 통끝(14)에 채액침(320)을 착탈할 수 있다. 채액침(320)에 노즐팁(350)이 장착된 채액 노즐(360)(도 15의 A 참조)을 배럴(12)의 통끝(14)에 장착하는 작업도, 동일하게 외통(313)의 외주면을 유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외통(313)에는, 배럴(12)의 나선형 돌기(925)에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3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채액침(320)은, 실시형태 1의 채액침(20)에 설치된, 배럴(12)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22)(도 3의 A 참조)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배럴(12)에 단단히 장착할 수 있다.
채액침(320)에 설치된 암나사(315) 및 배럴(12)에 설치된 나선형 돌기(925)는, 이른바 오른나사이다. 이에 반해, 노즐팁(350)의 돌기(354)와 채액침(320)의 바닥판(314)의 걸어맞춤 구조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노즐팁(350)에 대해 채액침(3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걸어맞춰지고, 노즐팁(350)에 대해 채액침(3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걸어맞춤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 걸어맞춤 및 그 해제와 회전 방향의 관계는 이른바 왼나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12)에 채액침(320) 및 노즐팁(350)을 장착한 상태로, 배럴(12)과 노즐팁(350)을 각각 다른 손으로 파지하여, 배럴(12)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노즐팁(350)에 대해 배럴(1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배럴(12)의 나선형 돌기(925)와 채액침(320)의 암나사(315)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고, 노즐팁(350)을 채액침(3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액침(320)과 노즐팁(350) 사이에 왼나사에 준거한 걸어맞춤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도 8의 A 및 도 8의 B의 상태에서 한쪽 손으로 배럴(12) 및 채액침(320)의 외통(313) 중 어느 한쪽을 파지한 경우여도, 다른쪽 손으로 노즐팁(350)을 파지하여 상기와 같이 회전시키면, 노즐팁(350)을 채액침(320)으로부터 확실히 떼어낼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 3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 3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 3은, 노즐팁(350)이 채액침(320)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로서, 노즐팁(350)의 걸어맞춤부(354b)가 채액침(320)의 바닥판(314)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조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로크 기구는, 이러한 걸어맞춤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크 기구가, 나사 결합 구조여도 된다. 일례에서는, 채액침(320)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예를 들면 수나사)를 설치하고, 노즐팁(350)의 상단 근방의 내주면에, 상기 나선형 돌기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설치해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채액침(320)의 외통(313)을 바닥판(314)보다 하방으로 연장하고, 연장된 외통(313)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설치하고, 노즐팁(350)의 상단 근방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돌기(예를 들면 수나사)를 설치해도 된다. 나사 결합 구조는, 채액침(320)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로크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왼나사에 준거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은, 실시형태 3의 상술한 걸어맞춤 구조와 마찬가지로,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럴(12)에 채액침(320) 및 노즐팁(350)을 장착한 상태로, 나선형 돌기(925)와 암나사(315)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고, 노즐팁(350)을 채액침(320)으로부터 확실히 떼어내는데 유리하다.
혹은, 상기의 로크 기구를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액침(320)의 외주면에,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329)을 설치하고, 노즐팁(350)의 내주면에, 수형 테이퍼면(329)과 직경 및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암형 테이퍼면(359)을 설치한다. 수형 테이퍼면(329)과 암형 테이퍼면(359)이 끼워맞춰졌을 때의 양자 간의 마찰력에 의해, 노즐팁(350)을 채액침(320)에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수형 테이퍼면(329)과 암형 테이퍼면(359)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이 경우, 노즐팁(350)을, 변형이 비교적 용이한 유연 재료,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 탄성을 가지는 재료(엘라스토머라고도 불린다)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 3에서는, 채액침(320)의 수형 테이퍼면(328, 329)과 노즐팁(350)의 암형 테이퍼면(358, 359)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었지만, 채액침(320)과 노즐팁(350) 사이의 시일은, 끼워맞춰지는 2개의 테이퍼면 이외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채액침(320)의 선단면(유로(28)의 선단측의 개구를 둘러싸는 면)과 노즐팁(350)의 선단의 내면(평면(353)과는 반대측의 면)을 채액침(320)의 길이 방향으로 맞닿게 함으로써, 양면 간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채액침(320)은, 외통(313)의 내주면에, 배럴(12)의 나선형 돌기(925)와 나사 결합 가능한 암나사(315)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암나사(315)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315) 및 외통(313)을 생략할 수도 있다. 채액침(320)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배럴(12)의 관형상부(921)의 내주면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노즐팁(350)의 선단면(353)은, 정확한 평면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돔형상으로 돌출 또는 패어 있어도 된다. 단, 예리한 에지를 가지지 않도록, 모서리는 둥글게 모따기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채액침의 선단을 덮는 노즐팁을, 실시형태 1, 2의 채액침(20, 220)에 적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1, 3에 있어서, 접속통(21)의 외주면의 형상은, 원통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경부(16)에 액밀하게 접속할 수 있으면, 접속통(21)의 형상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접속통(21)의 외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원뿔면)이어도 된다. 접속통(21)이 소경부(16)에 끼워 넣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소경부(16)에 맞닿음으로써, 접속통(21)이 소경부(16)와 액밀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혹은, 소경부(16)에, 하측(관형상부(921) 내)을 향해 돌출된 통형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통형상의 돌기가 접속통(21) 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접속통(21)이 소경부(16)와 액밀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 1~3에서는, 채액침(20, 220, 320)을 이용하여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채액침은, 간이 현탁법 이외에 있어서, 임의의 액체(물, 약액, 혈액 등)를 주입기 본체에 흡인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제한은 없지만, 의료의 분야에 있어서, 임의의 액체(물, 약액, 모유, 혈액 등)를 채액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입기로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간이 현탁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주입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3:의료용 채액 주입기
12, 212:배럴
14:통끝
15:저액부
16, 216:소경부
18:플런저
20, 220, 320:채액침
21:채액침의 기단(접속통)
22:리브(끼워맞춤 형상)
28:채액침의 유로
221:채액침의 기단
350:노즐팁
352:노즐팁의 개구
354:돌기(로크 기구)
355:노즐팁의 수형 테이퍼면
360:채액 노즐
921:관형상부
922:관형상부의 내주면(암형 테이퍼면)
925:나선형 돌기(수나사)
12, 212:배럴
14:통끝
15:저액부
16, 216:소경부
18:플런저
20, 220, 320:채액침
21:채액침의 기단(접속통)
22:리브(끼워맞춤 형상)
28:채액침의 유로
221:채액침의 기단
350:노즐팁
352:노즐팁의 개구
354:돌기(로크 기구)
355:노즐팁의 수형 테이퍼면
360:채액 노즐
921:관형상부
922:관형상부의 내주면(암형 테이퍼면)
925:나선형 돌기(수나사)
Claims (9)
- 일단에 개구를 구비하고 타단에 통끝을 구비한 통형상의 배럴과, 상기 배럴의 상기 개구에 삽입된 플런저와, 통형상의 채액침을 구비한 의료용 채액 주입기로서,
상기 통끝은, 원통형상의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상부의 내주면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며,
상기 배럴은,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는 저액부(貯液部)와 상기 관형상부 사이에,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小徑部)를 구비하고,
상기 채액침의 기단은 상기 소경부에 액밀하게 접속되며, 상기 채액침의 선단은 상기 통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럴과 상기 채액침은 별도 부품이며,
상기 채액침은, 상기 통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액침에, 상기 관형상부의 상기 내주면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럴과 상기 채액침은 일체적으로 성형된 일부품을 구성하고,
상기 채액침과 상기 배럴은, 상기 기단과 상기 소경부의 경계에서 불가역적으로 분리 가능한,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액침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상기 채액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즐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팁은, 상기 노즐팁이 상기 채액침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채액침의 유로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개구를 구비하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이 상기 채액침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채액침과 상기 노즐팁 사이에 기밀 및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이 상기 채액침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의 외주면에,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와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암형 테이퍼면은, ISO80369-3에 준거하는, 의료용 채액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008090 | 2015-01-19 | ||
JP2015008090 | 2015-01-19 | ||
PCT/JP2016/051412 WO2016117545A1 (ja) | 2015-01-19 | 2016-01-19 | 医療用採液注入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368A true KR20170106368A (ko) | 2017-09-20 |
KR102507581B1 KR102507581B1 (ko) | 2023-03-08 |
Family
ID=5641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2057A KR102507581B1 (ko) | 2015-01-19 | 2016-01-19 | 의료용 채액 주입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014998A1 (ko) |
EP (1) | EP3248640B1 (ko) |
JP (3) | JP7030411B2 (ko) |
KR (1) | KR102507581B1 (ko) |
CN (1) | CN107206189B (ko) |
WO (1) | WO201611754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74686B (en) * | 2015-07-14 | 2020-04-01 | Neomed Inc | Dosing control coupling for enteral fluid transfer |
US20180000694A1 (en) * | 2015-07-14 | 2018-01-04 | Neomed, Inc. | Enteral syringe having angled connector or body having a minimum dimension |
US10682287B2 (en) * | 2015-07-14 | 2020-06-16 | Neomed, Inc. | Dosing control coupling for enteral fluid transfer and enteral couplings and syringes |
US11541180B1 (en) | 2017-12-21 | 2023-01-03 | Patrick Vitello | Closure assembly having a snap-fit construction |
US11278681B1 (en) | 2018-02-20 | 2022-03-22 | Robert Banik | Tamper evident adaptor closure |
US11413406B1 (en) | 2018-03-05 | 2022-08-16 | Jonathan J. Vitello | Tamper evident assembly |
US11857751B1 (en) | 2018-07-02 | 2024-01-02 | International Medical Industries Inc. | Assembly for a medical connector |
US11793987B1 (en) | 2018-07-02 | 2023-10-24 | Patrick Vitello | Flex tec closure assembly for a medical dispenser |
US11779520B1 (en) | 2018-07-02 | 2023-10-10 | Patrick Vitello | Closure for a medical dispenser including a one-piece tip cap |
US11690994B1 (en) | 2018-07-13 | 2023-07-04 | Robert Banik | Modular medical connector |
US11426328B1 (en) | 2018-08-31 | 2022-08-30 | Alexander Ollmann | Closure for a medical container |
USD948713S1 (en) | 2019-09-03 | 2022-04-12 | International Medical Industries, Inc. | Asymmetrical self righting tip cap |
US11471610B1 (en) | 2018-10-18 | 2022-10-18 | Robert Banik | Asymmetrical closure for a medical device |
US11744928B2 (en) * | 2019-03-06 | 2023-09-05 | Maryam Berri | Colostrum collection device |
WO2020203143A1 (ja) * | 2019-04-01 | 2020-10-08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採液チップ |
US11911339B1 (en) | 2019-08-15 | 2024-02-27 | Peter Lehel | Universal additive port cap |
US11697527B1 (en) | 2019-09-11 | 2023-07-11 | Logan Hendren |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
US11357588B1 (en) | 2019-11-25 | 2022-06-14 | Patrick Vitello | Needle packaging and disposal assembly |
US11904149B1 (en) | 2020-02-18 | 2024-02-20 | Jonathan Vitello | Oral tamper evident closure with retained indicator |
CN114929311B (zh) * | 2020-03-24 | 2023-07-28 | 泰尔茂株式会社 | 注射器筒体用握把以及筒体组装体和注射器 |
US11523970B1 (en) | 2020-08-28 | 2022-12-13 | Jonathan Vitello | Tamper evident shield |
US11674614B2 (en) | 2020-10-09 | 2023-06-13 | Icu Medical, Inc. |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
US12070591B1 (en) | 2020-12-14 | 2024-08-27 | Patrick Vitello | Snap actio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
US11872187B1 (en) | 2020-12-28 | 2024-01-16 | Jonathan Vitello | Tamper evident seal for a vial cover |
KR102604179B1 (ko) * | 2021-06-01 | 2023-11-23 | 김경수 | 재사용방지용 최소잔량 주사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39365A1 (en) * | 2002-07-02 | 2004-02-26 | Masafumi Aramata | Drug solution container with a connector for communicating |
JP2007167576A (ja) * | 2005-12-26 | 2007-07-05 | Jms Co Ltd |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及びこのシリンジとアダプタとの組合せ |
US20080287914A1 (en) * | 2003-12-22 | 2008-11-20 | Philip Wyatt | Medicament administration apparatus |
WO2008152871A1 (ja) | 2007-06-08 | 2008-12-18 | Jms Co., Ltd. |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
US20100094260A1 (en) * | 2008-10-10 | 2010-04-15 | Coeur, Inc. | Luer lock adapter |
WO2013183986A1 (en) * | 2012-06-08 | 2013-12-12 | N.V. Nutricia | Flexible container with outlet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94865B1 (en) * | 1999-10-14 | 2002-12-17 |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 Intraderma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needle assembly |
JP4191371B2 (ja) * | 2000-07-06 | 2008-12-03 | テルモ株式会社 | 導液具 |
US20030040720A1 (en) * | 2001-08-22 | 2003-02-27 | Steube Gregory Alan | Needle hub assembly |
JP4168237B2 (ja) * | 2002-07-15 | 2008-10-22 | ニプロ株式会社 | 2成分混合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
JP2004215783A (ja) * | 2003-01-10 | 2004-08-05 | Mitsubishi Pharma Corp |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
WO2004096326A1 (en) * | 2003-05-01 | 2004-11-11 | Nmt Group Plc | Syringe system |
DE10340613A1 (de) * | 2003-08-29 | 2005-03-24 | Primojex Gmbh | Vorrichtung zur Injektion eines injizierbaren Produktes |
US8852167B2 (en) * | 2005-12-01 | 2014-10-07 | Bayer Medical Care Inc. | Medical connector |
JP2008005974A (ja) * | 2006-06-28 | 2008-01-17 |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 ルアー固定フィッティング接続構造 |
US20080140055A1 (en) * | 2006-12-08 | 2008-06-12 | Utah Medical Products, Inc. | Lockable enteral feeding adapter |
JP2012010930A (ja) * | 2010-06-30 | 2012-01-19 | Terumo Corp | 薬剤投与具 |
GB2495492A (en) * | 2011-10-10 | 2013-04-17 | Iden Shams | Syringe tip with non-luer fitting |
JP5936859B2 (ja) * | 2011-12-26 | 2016-06-22 | 株式会社大協精工 | 二薬混合用シリンジキット |
ES2944564T3 (es) | 2013-03-07 | 2023-06-22 | Brothers David B | Jeringa y conjunto de aguja de residuos reducidos |
-
2016
- 2016-01-19 EP EP16740152.0A patent/EP3248640B1/en active Active
- 2016-01-19 CN CN201680006298.4A patent/CN107206189B/zh active Active
- 2016-01-19 JP JP2016570648A patent/JP7030411B2/ja active Active
- 2016-01-19 KR KR1020177022057A patent/KR10250758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1-19 WO PCT/JP2016/051412 patent/WO201611754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1-19 US US15/544,475 patent/US201800149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
- 2020-11-30 JP JP2020198871A patent/JP2021041219A/ja active Pending
-
2021
- 2021-12-03 JP JP2021196934A patent/JP2022028926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39365A1 (en) * | 2002-07-02 | 2004-02-26 | Masafumi Aramata | Drug solution container with a connector for communicating |
US20080287914A1 (en) * | 2003-12-22 | 2008-11-20 | Philip Wyatt | Medicament administration apparatus |
JP2007167576A (ja) * | 2005-12-26 | 2007-07-05 | Jms Co Ltd |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及びこのシリンジとアダプタとの組合せ |
WO2008152871A1 (ja) | 2007-06-08 | 2008-12-18 | Jms Co., Ltd. |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
US20100094260A1 (en) * | 2008-10-10 | 2010-04-15 | Coeur, Inc. | Luer lock adapter |
WO2013183986A1 (en) * | 2012-06-08 | 2013-12-12 | N.V. Nutricia | Flexible container with outl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030411B2 (ja) | 2022-03-07 |
WO2016117545A1 (ja) | 2016-07-28 |
US20180014998A1 (en) | 2018-01-18 |
EP3248640B1 (en) | 2020-03-11 |
JPWO2016117545A1 (ja) | 2017-10-26 |
JP2022028926A (ja) | 2022-02-16 |
CN107206189A (zh) | 2017-09-26 |
EP3248640A1 (en) | 2017-11-29 |
KR102507581B1 (ko) | 2023-03-08 |
CN107206189B (zh) | 2021-02-12 |
EP3248640A4 (en) | 2018-08-08 |
JP2021041219A (ja) | 2021-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7581B1 (ko) | 의료용 채액 주입기 | |
JP7053148B2 (ja) | 医療用採液チップ、採液ノズル、及び注入器セット | |
JP5161259B2 (ja) | 液体薬剤の医療装置 | |
KR101800984B1 (ko) | 더블 수 커넥터 | |
JP3852672B2 (ja) | 容器用キャップ及び液体連通用アダプタ | |
ES2974449T3 (es) | Conector para conectar un dispositivo médico de inyección a un recipiente | |
JP6976330B2 (ja) | 接続デバイスによって操作されるコンテナークロージャ | |
KR102698256B1 (ko) | 어댑터 | |
KR20180090326A (ko) | 와이핑 팁 | |
AU2014259848B2 (en) | Attachment device for medical fluid container | |
KR101479258B1 (ko) | 일회용 주사기 | |
WO2020203143A1 (ja) | 採液チップ | |
JP3143802U (ja) | 鼻腔洗浄用器具 | |
JP3241524U (ja) | 高粘度経腸栄養剤の吸引アダプター | |
US20240139424A1 (en) | Single-Hand Removable Tip Cap for Prefilled Syringe | |
JP5169218B2 (ja) | シリン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