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326A - 와이핑 팁 - Google Patents
와이핑 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0326A KR20180090326A KR1020187018857A KR20187018857A KR20180090326A KR 20180090326 A KR20180090326 A KR 20180090326A KR 1020187018857 A KR1020187018857 A KR 1020187018857A KR 20187018857 A KR20187018857 A KR 20187018857A KR 20180090326 A KR20180090326 A KR 201800903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ular portion
- tip
- male connector
- male
- g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19—Cleaning catheters or the like, e.g. for reuse of the device, for avoiding replac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2039/0009—Assemblies therefor design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e.g. contrast or saline injection, suction or irrigation
- A61M2039/0018—Assemblies therefor design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e.g. contrast or saline injection, suction or irrigation designed for flushing a line, e.g. by a by-pa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10—Equipment for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팁(110)은,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에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111)를 구비한다. 간극(916)에 통형상부(111)를 삽입했을 때, 통형상부(111)의 내강(內腔)(112) 내에 수 부재(911)가 삽입된다. 통형상부(111)는 흡수성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장 영양법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수 커넥터를 청소하기 위한 와이핑 팁에 관한 것이다.
식사를 입으로 섭취할 수 없게 된 환자에게 영양제나 약제 등을 포함한 액상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 영양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 영양법에서는, 카테터를 체외로부터 소화관(예를 들어 위) 내에 삽입한 상태로 환자에게 유치(留置)한다. 카테터로서는, 환자의 코로부터 삽입하는 경비(經鼻) 카테터나,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에 삽입하는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카테터 등이 알려져 있다. 카테터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일반적으로 「경장 영양제」라고 불린다),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환자에게 액상물을 투여할 시에는, 액상물을 저류한 용기와,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가, 유연성을 갖는 튜브를 통해 연통된다. 튜브와 튜브, 및 튜브와 카테터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접속구를 통해 접속된다. 종래, 액상물의 흐름에 관하여 상류측(용기측)의 커넥터(이하 「용기측 커넥터」라고 한다)로서 수 커넥터가, 또한, 하류측(환자측)의 커넥터(이하 「환자측 커넥터」라고 한다)로서 암 커넥터가, 각각 이용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최근, 경장 영양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와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측 커넥터로서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수 커넥터(910)가, 또한, 용기측 커넥터로서 도 19의 A 및 도 19의 B에 나타낸 암 커넥터(920)가, 영양계의 의료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으로서 국제 표준화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수 커넥터(환자측 커넥터)(910)는, 통형상의 수 부재(911)와, 수 부재(911)를 둘러싸는 외통(913)을 갖는다. 수 부재(911)와 외통(913)은, 수 부재(911)의 기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플랜지형상으로 돌출한 바닥판(9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수 부재(911)의 외주면(9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 테이퍼면)이다. 수 부재(91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 부재(911)를 관통하는 유로(917)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913)의 수 부재(911)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의 A 및 도 19의 B에 나타낸 암 커넥터(용기측 커넥터)(920)는, 중공 원통 형상의 관형상부(암 부재)(921)를 갖는다.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 테이퍼면)이다. 관형상부(921)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수나사)(925)가 형성되어 있다.
수 커넥터(910)와 암 커넥터(920)는, 수 부재(911)를 관형상부(921)에 삽입하고, 또한, 암나사(915)와 나선형 돌기(925)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수 부재(911)의 외주면(912)과 관형상부(921)의 내주면(922)은, 직경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하는 테이퍼면이므로, 양자는 액밀한 면접촉을 한다. 서로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915) 및 나선형 돌기(925)는, 수 커넥터(910)와 암 커넥터(920)의 접속 상태를 록하기 위한 록 기구를 구성한다. 수 커넥터(910)와 암 커넥터(920)는, 액밀성(액상물에 압력을 가해도 수 커넥터(910)와 암 커넥터(920)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상물이 새어 나오지 않는 성질)과 접속 강도(접속된 수 커넥터(910)와 암 커넥터(920)가 인장력을 가해도 분리되지 않는 성질)가 뛰어난 접속을 제공한다.
수 커넥터(910)에서는, 외통(913)이 수 부재(911)를 둘러싸고, 외통(9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경장 영양법을 행한 후,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 내(예를 들어 암나사(915)의 골 내)에 액상물(경장 영양제)이 잔류하기 쉽다.
수 커넥터(910)가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 커넥터(910)는 당해 카테터와 함께 환자에게 계속 유치된다. 카테터의 교환은, PEG 카테터의 경우, 통상 1~3개월마다 행해진다. 액상물이 잔류한 수 커넥터(910)가 이와 같이 장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계속 유치되면, 수 커넥터(910)는 비위생 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결국에는, 수 커넥터(910) 내에서 균이 번식하여, 당해 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해, 중증의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수 커넥터(910)를 청정하게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 부재(911)의 외주면(912)과 외통(913)의 암나사(915)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다. 따라서,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에 예를 들어 면봉을 삽입하여, 암나사(915)의 골이나 바닥판(914) 등에 부착된 액상물을 닦아내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수 부재를 둘러싸도록 암나사가 설치된 수 커넥터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와이핑 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핑 팁은, 통형상의 수 부재와, 상기 수 부재를 둘러싸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기 수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구비한 수 커넥터를 와이핑 청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팁은, 상기 수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의 간극에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구비한다. 상기 팁은, 상기 간극에 상기 통형상부를 삽입했을 때, 상기 통형상부의 내강(內腔) 내에 상기 수 부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는 흡수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팁의 통형상부는, 수 커넥터의 수 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에 삽입 가능하며, 당해 간극에 통형상부를 삽입했을 때 통형상부의 내강 내에 수 부재가 삽입된다. 통형상부는 흡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를 수 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면, 당해 간극 내에 잔류한 액상물은 통형상부에 흡수된다. 통형상부를 수 커넥터에 대하여 삽발(揷拔)함으로써, 당해 간극 내의 액상물을 통형상부로 닦아낼 수 있다. 그 결과, 수 커넥터의 간극 내를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의 C는 그 측면도, 도 1의 D는 도 1의 C의 1D-1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의 C는 그 측면도, 도 4의 D는 도 4의 C의 4D-4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의 C는 그 측면도, 도 5의 D는 도 5의 C의 5D-5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의 C는 그 측면도, 도 6의 D는 도 6의 C의 6D-6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의 C는 그 측면도, 도 7의 D는 도 7의 C의 7D-7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C는 그 단면도, 도 10의 D는 그 하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3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C는 그 측면도, 도 12의 D는 도 12의 C의 12D-12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C는 그 측면도, 도 13의 D는 도 13의 C의 13D-13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의 C는 그 측면도, 도 16의 D는 도 16의 C의 16D-16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 도 16의 E는 그 하면도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3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의 C는 그 측면도, 도 17의 D는 도 17의 C의 17D-17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 도 17의 E는 그 하면도이다.
도 18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의 B는, 당해 수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9의 B는, 당해 암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의 C는 그 측면도, 도 4의 D는 도 4의 C의 4D-4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의 C는 그 측면도, 도 5의 D는 도 5의 C의 5D-5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의 C는 그 측면도, 도 6의 D는 도 6의 C의 6D-6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의 C는 그 측면도, 도 7의 D는 도 7의 C의 7D-7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C는 그 단면도, 도 10의 D는 그 하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3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C는 그 측면도, 도 12의 D는 도 12의 C의 12D-12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C는 그 측면도, 도 13의 D는 도 13의 C의 13D-13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1에 따른 와이핑 팁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2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의 C는 그 측면도, 도 16의 D는 도 16의 C의 16D-16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 도 16의 E는 그 하면도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3에 따른 와이핑 팁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의 C는 그 측면도, 도 17의 D는 도 17의 C의 17D-17D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 도 17의 E는 그 하면도이다.
도 18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의 B는, 당해 수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의 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9의 B는, 당해 암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팁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통형상부의 형상을 간단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며, 저비용의 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형상부의 선단에, 외향으로 돌출한 돌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수 커넥터의 청소성이 향상하고, 또한, 수 커넥터의 간극에 대한 통형상부의 삽입 작업성이 향상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통형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상(環狀)의 돌기여도 된다. 이에 의해, 통형상부의 강도가 향상하므로, 수 커넥터의 간극에 대한 통형상부의 삽입 작업성이 더욱 향상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팁은, 상기 통형상부가 설치된 파지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통형상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팁의 파지부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으므로, 수 커넥터의 청소 작업성이 향상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팁은, 상기 통형상부가 설치된 파지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파지부에 평탄한 파지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팁의 파지면을 잡고 수 커넥터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수 커넥터의 청소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팁을 잡아야 할 위치가 특정되므로, 작업자의 손가락이 통형상부에 닿을 가능성이 저하하여, 통형상부의 청결성을 유지하기 쉽다.
상기의 본 발명의 팁은, 상기 통형상부를 둘러싸는 커버통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통은, 상기 통형상부와 상기 커버통의 사이에, 수 커넥터의 상기 외통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 커넥터의 청소시에, 액상물이 외계로 누출되어 환자의 의복을 더럽히는 등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또한, 커버통의 내주면으로 수 커넥터의 외통의 외주면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통형상부를 상기 수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의 간극에 삽입했을 때에 액상물이 흐르는 유로가 상기 통형상부와 상기 수 커넥터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통형상부에 유로 형성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통형상부가 더 많은 액상물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수 커넥터의 청소시에, 액상물이 수 커넥터의 외통으로부터 흘러 넘쳐, 외통의 외주면이 액상물로 더러워지거나, 환자의 의복을 더럽히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유로 형성 구조는, 통형상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어느 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유로 형성 구조를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설치한 경우에는, 수 커넥터의 간극 내에 잔류하고 있는, 세균을 포함할지도 모르는 액상물이, 수 부재를 통해서 환자의 체내로 유입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도 있다.
상기 유로 형성 구조는,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설치된 홈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로 형성 구조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으므로, 유로 형성 구조를 구비한 팁의 제조가 용이해져, 팁을 저비용화할 수 있다.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수 커넥터의 암나사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또한, 수 커넥터의 청소시에, 외통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액상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나사 결합 구조는, 상기 통형상부를 1회 이상 주회하는 나선형상의 수나사여도 된다. 이에 의해, 나사 결합 구조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나사 결합 구조에 더 많은 액상물을 흡수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나사 결합 구조는, 상기 통형상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80도 미만의 각도 범위 내에 설치된 돌기여도 된다. 이러한 돌기는, 수 커넥터의 암나사에 대한 슬라이딩 저항이 작으므로, 수 커넥터의 청소를 행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돌기는, 나선을 따라 연장된 나선형 돌기와, 돔형상으로 돌출한 단순한 돌기 모두를 포함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난 각 부재를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다른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를 조합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와이핑 팁(이하, 간단히 「팁」이라고 함)은, ISO80369-3에 준거한 수 커넥터의 수 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에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구비한다. 이하에 실시 형태 1의 팁의 적합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 1-1)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팁(1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의 B는 팁(11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의 C는 팁(110)의 측면도, 도 1의 D는 팁(110)의 단면도이다. 팁(110)은, 관통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팁(110)의 내경 및 외경은, 팁(1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팁(110)은, 그 전체가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A는, 팁(110)의 사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B는 그 단면도이다.
팁(110)은, 수 커넥터(950)를 청소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 커넥터(950)는,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수 커넥터(910)와 마찬가지로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있어서, 도 18의 A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수 커넥터(91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수 커넥터(950)는, 수 부재(911)와는 반대측단에 접속부(951)를 구비한다. 접속부(951)는, 수 부재(911)에 형성된 유로(917)와 연통하며, 그 내주면은 수 부재(911)와 동축의 원통면이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접속부(951) 내에, 유연성을 갖는 튜브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튜브는,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일 수 있다. 혹은, 튜브는, 당해 카테터에 접속된 튜브여도 된다. 작업자가 수 커넥터(950)를 유지하기 쉽도록, 한 쌍의 파지 돌기(953)가 접속부(951)를 사이에 끼고 있다. 수 커넥터(950)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ISO80369-3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돌기(953)의 형상을 변경해도 되고, 혹은, 파지 돌기(953)를 생략해도 된다. 튜브가 수 커넥터(950)의 접속부(951) 내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접속부(951)가, 튜브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경장 영양법을 행하는 경우, 환자측 커넥터인 수 커넥터(950)에, 도 19의 A 및 도 19의 B에 나타낸 암 커넥터(용기측 커넥터)(920)를 접속하여, 이들을 통해 환자에게 액상물(경장 영양제)을 투여한다. 그 후, 암 커넥터(920)를 수 커넥터(950)로부터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후의 수 커넥터(950)의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 내에는 액상물이 잔류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팁(110)은, 이 액상물을 닦아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팁(110)의 일단의 원통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대향시키고,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에 삽입한다. 수 부재(911)는, 통형상부(111)의 내강(112)에 삽입된다.
도 3의 A는, 팁(110)의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통형상부(111)의 선단이 수 커넥터(950)의 바닥판(914)에 맞닿을 때까지,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입한다. 팁(110)의 통형상부(111)는 흡수성을 가지므로,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 내에 잔류한 액상물은, 통형상부(111)에 닿으면 통형상부(111)에 흡입된다. 그 후, 팁(110)을 수 커넥터(950)로부터 뽑아낸다. 액상물은, 통형상부(111) 내에 유지된 상태로, 통형상부(111)와 함께 수 커넥터(950)로부터 제거된다.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발함으로써, 통형상부(111)가, 수 커넥터(950)의 수 부재(911)의 외주면, 외통(913)의 내주면, 및 바닥판(914) 상을 슬라이딩하여, 이들에 부착된 액상물을 닦아낼 수 있다. 액상물에 포함되는 고형물도, 액상물과 함께 통형상부(111)에 의해 닦아내어져 제거된다.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입한 상태로 팁(110)을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회전(예를 들어, 회전 방향을 교대로 반전시켜 회전)시키면, 액상물의 와이핑 효과가 향상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팁(110)은, 그 일단에,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111)를 구비한다. 통형상부(111)는, 수 커넥터(950)의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에 삽입 가능하며, 수 부재(911)는 통형상부(111)의 내강(112) 내에 삽입 가능하다. 통형상부(111)는 흡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면, 당해 간극(916) 내에 잔류한 액상물은 통형상부(111)에 흡수된다.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삽발함으로써, 액상물은 이것에 포함되는 고형물과 함께 닦아내어진다. 따라서, 경장 영양법을 행한 후에 팁(110)을 이용하여 수 커넥터(950)를 청소함으로써,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 내를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통형상부(111)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통형상부(111)는, 형상이 간단하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이 때문에, 수 커넥터(950)의 청소에 특화된 청소 능력이 높은 통형상부(111)를 구비한 팁(110)을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통형상부(111)의 외경은,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외통(913)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통형상부(111)의 내경은, 통형상부(111) 내에 수 커넥터(950)의 수 부재(911)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 한편으로,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이 외통(913)에 설치된 암나사(915)의 나사산으로부터 이간(離間)하거나, 통형상부(111)의 내주면이 수 부재(911)의 외주면(912)으로부터 이간하거나 하면, 암나사(915)나 수 부재(911)에 부착된 액상물의 와이핑 효과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통형상부(111)의 외경은, 암나사(91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부(111)의 내경은, 수 부재(911)의 외주면(912)의 최대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대한 통형상부(111)의 삽입 작업성을 확보하면서, 외통(913)의 내주면 및 수 부재(911)의 외주면에 부착된 액상물의 양호한 와이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형상부(111)가 간극(916) 내의 액상물을 흡수하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통형상부(111)를 빠르게 삽입하면, 간극(916) 내의 액상물이, 통형상부(111)에 흡수되기 전에, 당해 간극(916)으로부터 흘려 넘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외통(9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9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극(916) 내의 액상물의 대부분은, 암나사(915)의 나사홈을 지나 통형상부(111)와 외통(913)의 사이를 상승하여 외통(913)으로부터 외계로 흘러 넘친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111)와 수 부재(911)의 사이를 지나 상승하는 액상물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액상물이 수 부재(911)의 유로(917) 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낮다. 수 커넥터(950)의 위생 상태가 나쁘고, 간극(916) 내에 세균이 번식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형상부(111)를 간극(916) 내에 삽입했을 때에 간극(916)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액상물이 세균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통형상부(111)를 삽입함으로써 간극(916) 내의 액상물이 흘러 넘치는 일이 있었다고 해도, 흘러 넘친 액상물이 수 부재(911)의 유로(917) 내에 유입될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세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하는 리스크는 낮다. 또한, 만일 통형상부(111)와 수 부재(911)의 사이를 지나 액상물이 흘러 넘쳤다고 해도, 그러한 액상물의 대부분은, 통형상부(111)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통형상부(111)에 흡수된다.
팁(110)은, 대칭인 양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통형상부(111)와는 반대측의 통형상부(111')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 커넥터(950)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에 한쪽의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입하여 액상물의 대부분을 닦아내고, 그 후, 다른쪽의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입하여 잔류하는 약간의 액상물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통형상부(111)는, 흡수성을 갖는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발포체나 부직포 등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흡수할 수 있는 흡수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재는, 액상물 내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그 조직 내의 간극에 취입(取入)할 수 있으므로, 액상물의 와이핑 능이 높다. 흡수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 PVA(폴리비닐알코올), 실리콘, 폴리스티렌,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형상부(111)는, 공지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통형상부(111)는,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 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닥판(914)에 도달할 때까지 깊게,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통형상부(111)는, 암나사(915)의 나사산이나, 수 부재(911)의 수 테이퍼면(912)의 외경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고무 탄성) 또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상부(111)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면,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삽발할 때에 수 커넥터(950)의 표면에 미세한 상처를 입힐 가능성이 있다. 상처는 균이 번식할 가능성을 증대시킨다. 통형상부(111)의 경도(硬度)는, 수 커넥터(950)의 경도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부(111)를 포함한 팁(110) 전체가, 동일한 재료로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팁(110)의 제조 방법은,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 트랜스퍼 성형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2)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따른 팁(12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의 C는 그 측면도, 도 4의 D는 그 단면도이다. 팁(120)은,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부(125)와, 외통부(125) 내의 중실(中實) 원통 형상의 봉지(封止)부(126)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부(125)는,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봉지부(126)는 외통부(125)보다 짧다. 봉지부(126)는, 그 일단이, 외통부(125)의 일단과 일치하도록 외통부(125) 내에 삽입되어 있다. 팁(120) 중, 봉지부(126)가 삽입되어 있는 부분은, 파지부(123)이다. 외통부(125) 중 봉지부(126)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통형상부(111)이다.
본 실시 형태의 팁(12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1의 팁(110)과 동일하다. 즉,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와이핑 청소한다.
작업자는,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발할 때, 파지부(123)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123)는 중실이므로, 고강도이다. 이 때문에, 파지부(123)를 작업자가 강하게 파지해도, 파지부(123)가 축경(縮徑)하도록 변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1-2의 팁(120)은, 수 커넥터(950)의 청소 작업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봉지부(126)의 재료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파지부(123)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외통부(125)보다 고강도 또한 경질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봉지부(126)가, 외통부(125)와 동일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팁(120)의 제조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외통부(125) 및 봉지부(126)를 각각 별개로 제조하고, 그 후, 외통부(125) 내에 봉지부(126)를 삽입하여 양자를 일체화시켜도 된다. 혹은, 외통부(125) 및 봉지부(126) 중 한쪽을 제조한 후, 이것에 2색 성형법에 의해 다른쪽을 일체화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부(125)와 봉지부(126)가 별개의 부재이지만, 후술하는 실시 형태 1-3과 동일하게, 외통부(125)와 봉지부(126)를, 흡수성을 갖는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 1-2에 있어서, 외통부(125)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에만 봉지부(126)를 배치하여, 외통부(125)의 양단에, 수 커넥터(950)에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111)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1-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1-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 1-2의 파지부(123)를,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3)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따른 팁(13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의 C는 그 측면도, 도 5의 D는 그 단면도이다.
팁(130)은, 일단에 통형상부(111)를 구비하고, 타단에 파지부(133)를 구비한다. 파지부(133)는, 중실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실시 형태 1-2의 파지부(123)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팁(13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111)의 선단의 단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돌기)(132)가 반경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해 있다. 리브(132)는, 통형상부(1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상(環狀)의 돌기이다.
본 실시 형태의 팁(13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1의 팁(110)과 동일하다. 즉,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와이핑 청소한다.
통형상부(111)의 선단에 설치된 리브(132)는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통형상부(111)가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발될 때, 리브(132)는 암나사(915)의 골 내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리브(132)는, 암나사(915)의 골의 바닥에 부착된 액상물에 닿아 이를 흡수한다.
둘째, 수 커넥터(950)의 바닥판(914)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리브(132)가 통형상부(11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형상부(111)의 선단에서의 두께(반경 방향을 따른 통형상부(111)의 치수)가 리브(132)의 분만큼 증대한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111)의 선단을 바닥판(914)에 맞닿게 했을 때, 통형상부(111)와 바닥판(914)의 접촉 면적이 확대된다. 따라서, 통형상부(111)는, 바닥판(914)을, 더 넓은 면적에 걸쳐서 직접 닦아낼 수 있다.
셋째, 수 커넥터(950)에 대한 통형상부(111)의 삽입 작업성이 향상한다. 통형상부(111)의 선단에 리브(1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형상부(111)의 강도가 향상한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할 때에, 통형상부(111)가 굴곡 등의 변형을 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통형상부(111)의 선단을,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수 커넥터(950)의 바닥판(914)에 도달할 때까지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리브(132)에서의 통형상부(111)의 외경은,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대한 삽입 작업성과, 수 커넥터(950)에 부착된 액상물의 와이핑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리브(132)는, 통형상부(111)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둘레 방향으로 분단된 돌기여도 된다. 둘레 방향으로 분단된 복수의 돌기는,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의 골에 용이하게 들어가기 쉬우므로, 암나사(915) 내의 액상물의 와이핑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의 예와 같이 리브(132)가 환상의 돌기인 것은, 통형상부(111)의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실시 형태 1-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1-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3에서 설명한 돌기(리브)를,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의 팁의 통형상부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4)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따른 팁(14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의 C는 그 측면도, 도 6의 D는 그 단면도이다.
팁(140)은, 일단에 통형상부(111)를 구비하고, 타단에 파지부(143)를 구비한다. 파지부(143)는, 실시 형태 1-3의 파지부(133)와 동일하게, 중실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통형상부(111)와 동축이다. 단, 실시 형태 1-3과 달리, 파지부(143)는, 통형상부(111)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팁(14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14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1의 팁(110)과 동일하다. 즉,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와이핑 청소한다.
작업자는, 파지부(143)를 파지하여,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발할 수 있다. 파지부(143)는, 통형상부(111)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파지부(143)를 단단히 파지할 수 있고, 또한, 팁(140)에 힘을 가하기 쉽다. 이는, 수 커넥터(950)의 청소 작업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파지부(143)는, 중실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1-4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1-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4에서 설명한 확경(擴徑)한 파지부를,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의 팁의 파지부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팁은, 통형상부를 둘러싸는 커버통을 더 구비한다. 이하에 실시 형태 2의 팁의 적합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 2-1)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1에 따른 팁(2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의 C는 그 측면도, 도 7의 D는 그 단면도이다.
팁(210)은, 일단에 통형상부(111)와 커버통(211)을 구비하고, 타단에 파지부(213)를 구비한다. 커버통(211)은, 통형상부(111)와 동축에 배치된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커버통(211)은, 통형상부(1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간하고, 통형상부(111)를 둘러싸고 있다. 파지부(213)는, 통형상부(111) 및 커버통(211)과 동축의 중실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파지부(213)는, 커버통(211)보다 큰 외경을 갖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파지부(213)의 외경은, 커버통(211)의 외경과 동일해도 되고, 이보다 작아도 된다. 팁(21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21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1의 팁(110)과 동일하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팁(210)을 수 커넥터(950)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팁(210)의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에 삽입한다.
도 9의 A는, 팁(210)의 사용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의 B는 그 단면도이다. 팁(210)의 통형상부(111)가,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 내에 삽입되어 있다. 수 커넥터(950)의 외통(913)은, 팁(210)의 통형상부(111)와 커버통(211)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실시 형태 1-1의 경우와 동일하게, 통형상부(111)로,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 내에 잔류하는 액상물을 닦아낼 수 있다.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통형상부(111)를 빠르게 삽입했을 때, 간극(916) 내의 액상물이, 암나사(915)의 나사홈을 지나 간극(916)으로부터 흘러 넘칠 수 있다. 도 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111)를 간극(916)에 삽입했을 때, 외통(913)은 커버통(211) 내에 수납된다. 따라서, 간극(916)으로부터 흘러 넘친 액상물의 대부분은, 커버통(211) 내에 머무른다. 커버통(211) 내에 남겨진 액상물은, 통형상부(111)의 외주면 또는 커버통(211)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이들에 흡수된다. 간극(916)으로부터 흘러 넘친 액상물의 일부는, 커버통(211)과 외통(913)의 사이를 지나 외계를 향해 흐를지도 모르다. 이 액상물은, 커버통(211)의 내주면에 흡수된다. 이러한 결과, 수 커넥터(950)의 청소시에, 액상물이 외계로 누출되어 환자의 의복을 더럽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커버통(211)의 내주면으로 수 커넥터(950)의 외통(913)의 외주면을 청소할 수 있다.
커버통(211)의 내경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통(211) 내에 수 커넥터(950)의 외통(913)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커버통(211)의 내경은 외통(913)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크게 설정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간극(916)으로부터 흘러 넘친 액상물을 커버통(211)의 내주면에서 확실히 흡수할 수 있도록, 커버통(211)의 내경은 외통(913)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커버통(211)을 변형 가능한 연질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커버통(211) 내에 외통(913)을 삽입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통(211)의 내경은 외통(913)의 외경과 동일하게 설정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통(211)의 내주면은 매끄러운 원통면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통(211)의 내주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버통(211)의 내주면의 유효 면적이 확대되므로, 커버통(211)의 액상물에 대한 흡수능이 향상한다.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하 방향(통형상부(111)가 삽발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리브형상의 돌기 및/또는 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통(211)은,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흡수성을 갖지 않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커버통(211)이 흡수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간극(916)으로부터 흘러 넘친 액상물은 커버통(211) 내에 남겨져,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흡수된다.
파지부(213)는, 통형상부(111)보다 큰 외경을 가지므로, 실시 형태 1-4의 파지부(143)와 동일하게, 팁(210)의 파지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실시 형태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지부(213)도, 중실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2-1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2-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1에서 설명한 커버통을,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의 팁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2)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2에 따른 팁(22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의 C는 그 단면도, 도 10의 D는 그 하면도이다.
팁(220)은, 실시 형태 2-1의 팁(210)과 대략 동일하다. 단, 팁(220)은,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통형상부(111)가 삽발되는 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홈(221)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팁(210)과 다르다. 팁(22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22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2-1의 팁(210)과 동일하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와이핑 청소한다.
홈(221)의 작용을 설명한다.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통형상부(111)를 삽입했을 때, 간극(916) 내의 액상물이, 암나사(915)의 나사홈을 지나 간극(916)으로부터 흘러 넘칠 수 있다. 그러나, 간극(916) 내에 통형상부(111)를 순식간에 삽입한 경우나, 간극(916)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모든 액상물이 암나사(915)의 나사홈을 통과하지 못하고, 통형상부(111)와 수 부재(911)의 사이를 지나 상승하는 액상물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그 결과, 세균을 포함할지도 모르는 액상물이 수 부재(911)의 유로(917) 내에 유입되는 리스크가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 2-2에서는,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홈(2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1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통형상부(111)를 간극(916)에 삽입했을 때, 통형상부(111)와 외통(913)의 사이에, 액상물이 흐르는 유로로서, 암나사(915)의 나사홈에 추가해 홈(221)이 확보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라도, 많은 액상물은, 통형상부(111)와 외통(913)의 사이를 상승하여 외통(913)으로부터 외계로 흘러 넘친다. 그 결과, 통형상부(111)와 수 부재(911)의 사이를 지나 상승하는 액상물은 더 적어지며, 액상물이 수 부재(911)의 유로(917) 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홈(221)은, 액상물과 함께 세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한다고 하는 리스크를 더욱 저감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홈(221)은,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의 유효 면적을 확대시킨다. 이 때문에, 액상물이 통형상부(111)와 외통(913)의 사이를 상승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액상물이 통형상부(111)에 흡수된다. 따라서, 외통(913)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액상물의 양이 적어진다. 이는, 수 커넥터(950)의 외통(913)의 외주면이 액상물로 더러워지거나, 액상물이 외계로 누출되어 환자의 의복을 더럽히거나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팁(220)은 커버통(211)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2-1과 동일하게, 수 커넥터(950)의 청소시에, 액상물이 외계로 누출되어 환자의 의복을 더럽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커버통(211)의 내주면으로 수 커넥터(950)의 외통(913)의 외주면을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통형상부(111)를 삽입했을 때에 간극(916) 내의 액상물이 흐르는 유로가 통형상부(111)와 수 커넥터(9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유로 형성 구조)가, 통형상부(111)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유로 형성 구조는, 제한은 없으며, 임의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형성 구조는, 상하 방향(통형상부(111)가 삽발되는 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리브(돌기)여도 된다. 혹은, 교대로 설치된 홈과 리브여도 된다. 홈 및 리브는, 상하 방향과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상술한 유로 형성 구조가,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추가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통형상부(11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통형상부(111)를 삽입했을 때, 간극(916) 내의 액상물은, 통형상부(111)와 수 부재(911)의 사이의 유로 형성 구조를 지나 상승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111)와 외통(913)의 사이를 지나 상승하는 액상물의 양이 감소한다. 또한, 유로 형성 구조는, 통형상부(111)의 내주면의 유효 면적을 확대시키므로, 더 많은 액상물이 통형상부(111)에 흡수된다. 이러한 결과, 통형상부(111)와 외통(913)의 사이를 상승하여 외통(913)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액상물의 양이 적어진다. 통형상부(1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유로 형성 구조를 구성하는 유로의 단면적이나 길이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당해 유로 형성 구조를 지나 수 부재(911)의 유로(917) 내로 유입되는 액상물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 2-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2-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2-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2에서 설명한 유로 형성 구조를,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의 팁에 적용할 수 있다. 유로 형성 구조는, 커버통을 구비하지 않는 팁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3)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3에 따른 팁(23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의 C는 그 측면도, 도 12의 D는 그 단면도이다.
도 12의 D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팁(230)은, 실시 형태 2-1의 팁(210)(도 7의 A~도 7의 D 참조)이 가지고 있었던 파지부(213)에 상당하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팁(230)은, 돔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천판(233)을 구비하고, 그 하면에 통형상부(111) 및 커버통(211)이 설치되어 있다. 팁(23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23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2-1의 팁(210)과 동일하다. 즉,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와이핑 청소한다.
팁(230)은 파지부(213)(도 7의 A~도 7의 D 참조)를 구비하지 않는다. 작업자는,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발할 때, 커버통(211)의 외주면을 파지할 수 있다. 커버통(211)을 직경 방향으로 파지함으로써, 커버통(211)이 직경 방향으로 약간 축경하도록 변형된다.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통(211)을 파지하면, 커버통(211)의 내주면은 수 커넥터(950)의 외통(913)의 외주면에 꽉 눌린다. 이는, 외통(913)의 외주면의 청소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실시 형태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커버통(211)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파지부(213)(도 7의 A~도 7의 D 참조)를 생략, 또는 그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해도, 수 커넥터(950)의 청소 작업에 실질적인 지장은 생기지 않는다. 오히려, 팁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 2-3의 팁(230)에, 실시 형태 2-2에서 설명한, 통형상부(111)와 수 커넥터(950)의 사이에 액상물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통형상부(1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유로 형성 구조(예를 들어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2-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2-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2-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2-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팁은,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실시 형태 3의 팁의 적합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 3-1)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1에 따른 팁(3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3의 C는 그 측면도, 도 13의 D는 그 단면도이다.
팁(310)은, 일단에 통형상부(111)를 구비하고, 타단에 파지부(313)를 구비한다.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나사 결합 구조)(312)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312)는,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을 1회 이상 주회하는 나선형상의 돌기이다. 수나사(312)는,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와 나사 결합 가능하다.
파지부(313)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그 외경은 수나사(312)의 나사산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단, 파지부(31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지부(313)의 외경은, 수나사(312)의 나사산 직경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파지부(313)가, 수나사(312)의 나사산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은, 팁(310)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금형 빠짐성의 향상에 유리해질 수 있다. 실시 형태 1-2의 파지부(123)와 동일하게, 파지부(313) 내에 봉지부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실시 형태 1-3의 파지부(133)나 실시 형태 1-4의 파지부(143)와 같이, 파지부(313)가 중실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팁(31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31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1의 팁(110)과 동일하다. 즉,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와이핑 청소한다.
단, 실시 형태 1-1과 달리, 본 실시 형태 3-1에서는, 통형상부(111)를 간극(916)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수나사(312)를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에 나사 결합시켜야 한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팁(310)을 수 커넥터(950)에 대향시키고,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팁(310)을 회전시키면서,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 내에 나입(螺入)한다.
도 15의 A는, 통형상부(111)가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가장 깊게 나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단면도이다. 팁(310)의 통형상부(111)가, 수 커넥터(950)의 수 부재(911)와 외통(913) 사이의 간극(916) 내에 삽입되어 있다. 통형상부(111)의 수나사(312)와 외통(913)의 암나사(915)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팁(310)을 수 커넥터(95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팁(310)을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회전시켜, 수나사(312)와 암나사(915)의 나사 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통형상부(111) 및 수나사(312)는 흡수성을 가지므로,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발함으로써 간극(916) 내에 잔류한 액상물을 통형상부(111) 및 수나사(312)로 닦아낼 수 있다.
수나사(312)의 효과를 설명한다.
첫째,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의 청소성이 향상한다.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발할 시에는, 수나사(312)의 나사산이 암나사(915)의 나사홈에 끼워맞춰지면서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암나사(915)의 나사홈 내에 잔류하는 액상물은 수나사(312)의 나사산에 접촉하기 쉽다. 따라서, 암나사(915)의 골의 바닥에 부착된 액상물도 확실히 닦아낼 수 있다.
둘째, 수 커넥터(950)의 청소시에 외통(913)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액상물을 감소시킨다. 통형상부(111)에 수나사(31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했을 때, 간극(916) 내의 액상물이 암나사(915)의 나사홈을 지나 통형상부(111)와 외통(913)의 사이를 상승하여 외통(913)으로부터 외계로 흘러 넘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 3-1에서는, 액상물이 흐르는 유로가 되는 암나사(915)의 나사홈을, 수나사(312)의 나사산이 끼워맞춰짐으로써 막는다. 이 때문에, 액상물은 갈 곳을 잃고, 통형상부(111)에 흡수되는 액상물의 양이 증대한다. 이 결과, 외통(913)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액상물이 감소한다. 또한,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팁(310)을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수나사(31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통형상부(111)를 간극(916)에 삽입하는 실시 형태 1, 2에 비해,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기 위해서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통형상부(111)에 흡수되는 액상물의 양이 증대한다. 이 결과, 외통(913)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액상물이 감소한다.
본 실시 형태 3-1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3-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3-1에서 설명한 수나사(나사 결합 구조)를,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의 팁의 통형상부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2)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2에 따른 팁(32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의 C는 그 측면도, 도 16의 D는 그 단면도, 도 16의 E는 그 하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 3-2는, 이하의 점에서 실시 형태 3-1과 다르다. 첫째,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사 결합 구조가, 실시 형태 3-1에서는 통형상부(111)를 둘레 방향으로 1회 이상 주회하는 나선형상의 수나사(312)였는데 반해, 본 실시 형태 3-2에서는, 중심축(320a)에 대하여 180도 미만의 각도 범위 내에서 연장된 2개의 나선형 돌기(나사 결합 구조)(322)이다. 둘째, 파지부(323)는, 실시 형태 1-3의 파지부(133)와 동일하게, 중실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단, 파지부(323)의 외주면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파지부(323) 상에 중심축(320a)과 대략 평행한 2개의 평면(파지면)(324)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파지면(324)은 서로 평행하다. 파지면(324)과, 이로부터 통형상부(111)측의 원통면과의 사이에, 양자의 외(外)치수 차이에 기인하여, 팁(3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단차면(3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차면(325)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형상부(111)에 가까워짐에 따라 중심축(320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단차면(325)은, 정확한 평면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원통면 형상의 오목 곡면 또는 볼록 곡면이어도 된다.
팁(32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32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3-1의 팁(310)과 동일하다. 즉,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하여, 수 커넥터(950)를 와이핑 청소한다.
실시 형태 3-1의 수나사(312)와 동일하게, 나선형 돌기(322)는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와 나사 결합한다. 이 때문에, 나선형 돌기(322)는, 실시 형태 3-1의 수나사(31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단, 본 실시 형태의 나선형 돌기(322)는 통형상부(111)를 주회하고 있지 않고, 그 길이는, 실시 형태 3-1의 수나사(312)보다 짧다. 이 때문에, 암나사(915)에 대한 슬라이딩 저항은, 실시 형태 3-1의 수나사(312)보다, 본 실시 형태 3-2의 나선형 돌기(322)가 작다. 따라서, 실시 형태 3-1에 비해, 더 작은 회전력을 팁(320)에 가하는 것 만으로,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삽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나선형 돌기(322)는, 수 커넥터(950)의 청소를 행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파지부(323) 상에 평탄한 파지면(32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이 파지면(324)을 잡고 팁(320)에 회전력을 가하기 쉽다. 또한, 작업자는,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삽입할 때에, 파지면(324)에 인접하는 단차면(325)에 수 커넥터(950)를 향하는 힘을 가하기 쉽다. 이 때문에, 파지면(324) 및 단차면(325)도, 수 커넥터(950)의 청소를 행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작업자는 자연히 파지면(324)으로 팁(320)을 파지하고, 또한, 파지면(324)을 파지한 손가락이 통형상부(111)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단차면(325)이 저지하므로, 파지면(324) 및 단차면(325)은, 작업자의 손가락이 닿는 것에 의해 통형상부(111)의 청결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파지부(323) 상에 설치되는 파지면(324)의 수는 2개일 필요는 없으며,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파지면(324)을 3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파지면(324)이 정다각기둥면을 형성하도록 팁의 중심축에 대하여 등 각도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면(324)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파지부(323)의 원통면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평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지면이, 파지부(323)의 원통면에 접하는 평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파지면에 인접하는 단차면(325)은 형성되지 않는다.
파지부(323)의 외경은, 통형상부(111)의 외경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이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 3-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3-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3-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3-2에서 설명한 나선형 돌기(나사 결합 구조), 파지면, 및 단차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의 팁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3)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3에 따른 팁(33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의 B는 그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7의 C는 그 측면도, 도 17의 D는 그 단면도, 도 17의 E는 그 하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 3-3은,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사 결합 구조가, 중심축(330a)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 범위 내에서 연장된 4개의 나선형 돌기(나사 결합 구조)(332)인 점에서, 중심축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각도 범위 내에서 연장된 2개의 나선형 돌기(322)인 실시 형태 3-2와 다르다. 팁(330)은, 실시 형태 1-1에서 설명한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330)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3-2의 팁(320)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의 나선형 돌기(332)는 통형상부(111)를 주회하고 있지 않고, 그 길이는, 실시 형태 3-1의 수나사(312)보다 짧다. 이 때문에, 암나사(915)에 대한 슬라이딩 저항은, 실시 형태 3-1의 수나사(312)보다, 본 실시 형태 3-3의 나선형 돌기(332)가 작다. 따라서, 실시 형태 3-2와 동일하게, 수 커넥터(950)의 청소를 행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통형상부(111)에, 실시 형태 3-2에서는 2개의 나선형 돌기(322)가 설치되고, 본 실시 형태 3-3에서는 4개의 나선형 돌기(332)가 설치되어 있지만, 나선형 돌기의 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나선형 돌기가, 팁의 중심축에 대하여 등 각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1개의 나선형 돌기가 팁의 중심축에 대하여 연장되는 각도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나선형 돌기의 상기 각도의 상한은, 제한은 없지만, 180도 미만, 또한 120도 미만, 특히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형 돌기의 상기 각도의 하한은, 제한은 없지만, 10도 이상, 또한 30도 이상, 특히 45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나선형 돌기의 상기 각도가 작아지면, 나선형 돌기가 흡수하는 액상물의 양은 저하한다.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나사 결합 구조는, 수 커넥터(950)의 암나사(915)와 나사 결합할 수 있으면, 실시 형태 3-1의 수나사(312)나, 실시 형태 3-2, 3-3의 나선을 따라 연장된 나선형 돌기(322, 33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형상부(1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돔형상으로 돌출한 단순한 돌기여도 된다. 이 경우, 돌기의 수는 임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돌기가, 팁의 중심축에 대하여 등 각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 3-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3-2와 동일하다. 실시 형태 3-2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3-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3-3에서 설명한 나선형 돌기 또는 돌기(나사 결합 구조)를, 다른 임의의 실시 형태의 팁의 통형상부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 1~3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부 이외의 팁의 부분도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950)의 간극(916)에 삽입되는 통형상부만이 흡수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팁의 부분은 임의의 재료(예를 들어, 흡수성을 갖지 않는 재료, 고강도의 재료 등)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형상부(111)의 외경 및 내경은, 수 커넥터(960)의 간극(916)에 삽입할 수 있는 한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형상부(111)의 외경이 암나사(915)의 내경보다 작아도 되고, 또한, 통형상부(111)의 내경이 수 부재(911)의 외주면(912)의 최대 외경보다 커도 된다. 통형상부(111)를 간극(916)에 삽입했을 때, 통형상부(111)와 암나사(915)의 사이, 및/또는 통형상부(111)와 수 부재(911)의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간극이 있어도, 통형상부(111)를 수 커넥터(950)에 대하여 편심시키는 등 하면, 외통(913)의 내주면 및 수 부재(911)의 외주면에 부착된 액상물을 통형상부(111)로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부의 내주면은 원통면이었지만, 통형상부 내에 삽입되는 수 부재(911)의 외주면(수 테이퍼면)(912)에 끼워맞추는 암 테이퍼면(예를 들어, 암 커넥터(920)의 암 테이퍼면(922)과 동일한 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있었지만, 당해 원통 형상에, 슬릿(협폭의 절입(切入))이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슬릿이나 구멍은, 통형상부의 유효 면적이 확대됨에 따른 흡수성의 향상, 간극(916) 내의 액상물이 외통(913) 밖으로 흐르는 유로의 확보, 또는, 액상물 및 이것에 포함되는 고형물의 와이핑 효과의 향상 등에 유리해질 수 있다. 슬릿은, 예를 들어, 통형상부의 선단(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구멍은, 통형상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 및 통형상부를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 구멍(즉, 단순한 오목부)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구멍은, 반경 방향을 따라, 또는, 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또는, 팁의 중심축에 대하여 나선형상으로, 통형상부 내에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팁의 길이 방향을 따른 구멍이, 통형상부의 선단으로부터 파지부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팁을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구멍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슬롯형상 등 임의이다.
통형상부(111)가 설치된 파지부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다. 파지부의 외주면의 형상은, 원통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임의의 다각기둥면(삼각기둥면, 사각기둥면, 육각기둥면, 팔각기둥면 등)이어도 된다. 파지부의 외주면에, 평면 또는 오목면(오목부를 포함함)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돔형상(반구형상) 또는 리브형상 등의 돌기나, 볼록부와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파지부의 재료, 경도, 외치수, 팁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 등도, 임의이다. 파지부가, 통형상부(111)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통형상부(111)의 청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통형상부(111)에 불필요하게 접촉하는 일이 없는 구성이 팁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으로서는,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파지부와 통형상부(111)의 경계를 따라 선을 긋거나, 파지부를 통형상부(111)와는 다른 색으로 착색하거나 하는 등의, 시각을 통해서 작업자에게 파지부를 인식시키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파지부와 통형상부(111)의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예를 들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환상의 돌기) 또는 오목부(예를 들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환상의 홈)를 설치하거나, 파지부와 통형상부(111)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파지부의 외치수를 통형상부(111)보다 작게 하거나, 파지부에 파지면(324)(도 16의 A 참조)이나 요철 형상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자의 손가락이 통형상부(111)에 접촉하기 어렵게 하는 구조 혹은 촉각을 통해서 작업자에게 파지부를 인식시키는 구조여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의 대상인 수 커넥터가,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설치되어 있었다. 단, 수 커넥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당해 카테터와 용기에 접속된 튜브를 연결하는 튜브(연장 튜브)의 상류측단에 설치된 수 커넥터여도 된다.
본 발명의 팁은, 수 커넥터를 청소할 때마다 버려지는 일회용 타입이어도 되고, 수 커넥터를 청소한 후, 물 등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수 커넥터의 청소에 반복 사용되는 반복 사용 타입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이용 분야는, 제한은 없지만, ISO80369-3에 준거한 수 커넥터의 청소도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경장 영양법을 행하기 위해서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부착된 수 커넥터의 청소도구로서 적합하다.
110, 120, 130, 140, 210, 220, 230, 310, 320, 330: 와이핑 팁
111: 통형상부 112: 통형상부의 내강
132: 돌기 123, 133, 143, 213, 313, 323: 파지부
211: 커버통 221: 홈(유로 형성 구조)
312: 수나사(나사 결합 구조)
322, 332: 나선형 돌기(나사 결합 구조)
324: 파지면 950: 수 커넥터
911: 수 부재 913: 외통
915: 암나사 916: 수 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
111: 통형상부 112: 통형상부의 내강
132: 돌기 123, 133, 143, 213, 313, 323: 파지부
211: 커버통 221: 홈(유로 형성 구조)
312: 수나사(나사 결합 구조)
322, 332: 나선형 돌기(나사 결합 구조)
324: 파지면 950: 수 커넥터
911: 수 부재 913: 외통
915: 암나사 916: 수 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
Claims (12)
- 통형상의 수 부재와, 상기 수 부재를 둘러싸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상기 수 부재에 대향하는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구비한 수 커넥터를 와이핑 청소하기 위한 와이핑 팁으로서,
상기 수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의 간극에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극에 상기 통형상부를 삽입했을 때, 상기 통형상부의 내강(內腔) 내에 상기 수 부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형상부는 흡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핑 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와이핑 팁.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선단에, 외향으로 돌출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와이핑 팁.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통형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상(環狀)의 돌기인, 와이핑 팁.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가 설치된 파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통형상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와이핑 팁.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가 설치된 파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에 평탄한 파지면이 설치되어 있는, 와이핑 팁.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를 둘러싸는 커버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통은, 상기 통형상부와 상기 커버통의 사이에, 수 커넥터의 상기 외통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와이핑 팁.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를 상기 수 부재와 상기 외통 사이의 간극에 삽입했을 때에 액상물이 흐르는 유로가 상기 통형상부와 상기 수 커넥터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통형상부에 유로 형성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와이핑 팁.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 구조는,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설치된 홈인, 와이핑 팁.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와이핑 팁.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나사 결합 구조는, 상기 통형상부를 1회 이상 주회하는 나선형상의 수나사인, 와이핑 팁.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나사 결합 구조는, 상기 통형상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180도 미만의 각도 범위 내에 설치된 돌기인, 와이핑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36342A JP6743379B2 (ja) | 2015-12-03 | 2015-12-03 | 拭き取りチップ |
JPJP-P-2015-236342 | 2015-12-03 | ||
PCT/JP2016/085863 WO2017094873A1 (ja) | 2015-12-03 | 2016-12-02 | 拭き取りチップ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326A true KR20180090326A (ko) | 2018-08-10 |
Family
ID=5879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8857A KR20180090326A (ko) | 2015-12-03 | 2016-12-02 | 와이핑 팁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743379B2 (ko) |
KR (1) | KR20180090326A (ko) |
CN (1) | CN108472479B (ko) |
WO (1) | WO20170948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2020008448A (es) * | 2018-03-01 | 2020-09-28 | Neomed Inc | Acoplador para limpiar una terminal de tubo de alimentacion. |
SG11202110179XA (en) | 2019-03-22 | 2021-10-28 | Jms Co Ltd | Wiping tip |
JP7388146B2 (ja) * | 2019-11-22 | 2023-11-29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洗浄用アダプタ |
JP2021159129A (ja) * | 2020-03-30 | 2021-10-11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拭き取りチップ |
JP7549773B2 (ja) * | 2020-03-31 | 2024-09-12 |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 ロッド、拭き取り綿、及び清掃具キット |
JP7359071B2 (ja) * | 2020-04-10 | 2023-10-11 | ニプロ株式会社 | 医療用コネクタの防汚シート |
JP2023546374A (ja) | 2020-10-09 | 2023-11-02 |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流体移送デバイスおよびそれのための使用の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52871A1 (ja) | 2007-06-08 | 2008-12-18 | Jms Co., Ltd. |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09973A (ja) * | 2000-05-01 | 2001-11-06 | Jms Co Ltd | コネクターキャップ |
CA2642540C (en) * | 2006-02-17 | 2015-11-24 | Alan L. Buchman | Catheter cleaning devices |
US8162899B2 (en) * | 2006-05-18 | 2012-04-24 | Hyprotek, Inc. | Intravascular line and port cleaning methods, methods of administering an agent intravascularly, methods of obtaining/testing blood, and devices for performing such methods |
US8336152B2 (en) * | 2007-04-02 | 2012-12-25 | C. R. Bard, Inc. | Insert for a microbial scrubbing device |
US8696820B2 (en) * | 2008-03-31 | 2014-04-15 | Bard Access Systems, Inc. | Method of removing a biofilm from a surface |
US8252247B2 (en) * | 2008-05-06 | 2012-08-28 | Ferlic Michael J | Universal sterilizing tool |
JPWO2010010870A1 (ja) * | 2008-07-25 | 2012-01-05 | 株式会社根本杏林堂 | 医用コネクタ器具 |
WO2010115005A1 (en) * | 2009-04-01 | 2010-10-07 | C. R. Bard, Inc. | Microbial scrubbing device |
ES2925179T3 (es) * | 2009-07-15 | 2022-10-14 | Becton Dickinson Co | Dispositivo de inyección con acople luer sellado |
JP5718349B2 (ja) * | 2009-10-30 | 2015-05-13 | カテーテル コネク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消毒キャップ、システムおよび関連方法 |
US9867975B2 (en) * | 2011-05-23 | 2018-01-16 | Excelsior Medical Corporation | Antiseptic line cap |
US8832894B2 (en) * | 2011-07-19 | 2014-09-16 | Ivera Medical Corporation | Cleaning device for male end of intraveneous set |
WO2013158756A1 (en) * | 2012-04-17 | 2013-10-24 | Dr. Py Institute, Llc | Self closing connector |
CA2875153A1 (en) * | 2012-06-04 | 2013-12-12 | Ivera Medical Corporation | Male medical implement cleaning device |
EP2968868A4 (en) * | 2013-03-14 | 2016-08-03 | Excelsior Medical Corp | BLIND CAP ANTISEPTIC |
CA2935234A1 (en) * | 2014-02-06 | 2015-08-13 | Excelsior Medical Corporation | Swab devices |
-
2015
- 2015-12-03 JP JP2015236342A patent/JP6743379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2-02 WO PCT/JP2016/085863 patent/WO20170948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2-02 KR KR1020187018857A patent/KR201800903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12-02 CN CN201680070731.0A patent/CN10847247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52871A1 (ja) | 2007-06-08 | 2008-12-18 | Jms Co., Ltd. |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743379B2 (ja) | 2020-08-19 |
CN108472479B (zh) | 2021-04-20 |
WO2017094873A1 (ja) | 2017-06-08 |
CN108472479A (zh) | 2018-08-31 |
JP2017099738A (ja) | 2017-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90326A (ko) | 와이핑 팁 | |
JP7030411B2 (ja) | 医療用採液注入器 | |
KR101800984B1 (ko) | 더블 수 커넥터 | |
WO2015146831A1 (ja) | 洗浄用アダプタ | |
JP2012528689A (ja) | 摩擦に基づく嵌合を伴う医療機器の清掃用具 | |
KR102349983B1 (ko) |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 |
KR102507582B1 (ko) |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 |
WO2016035788A1 (ja) | 半固形化栄養剤用アダプター | |
WO2017141858A1 (ja) | アダプタ | |
JP6237402B2 (ja) | 洗浄用アダプタ | |
JP7070601B2 (ja) | 拭き取りチップ | |
JP2017148444A (ja) | 医療用コネクタ | |
JP7549773B2 (ja) | ロッド、拭き取り綿、及び清掃具キット | |
JP6237403B2 (ja) | 洗浄用アダプタ | |
WO2021199686A1 (ja) | 拭き取りチップ | |
JP7459790B2 (ja) | 拭き取りチップ | |
JP6427919B2 (ja) | シリンジ | |
JP2024152937A (ja) | 拭き取りチ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