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774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774A
KR20170104774A KR1020160027595A KR20160027595A KR20170104774A KR 20170104774 A KR20170104774 A KR 20170104774A KR 1020160027595 A KR1020160027595 A KR 1020160027595A KR 20160027595 A KR20160027595 A KR 20160027595A KR 20170104774 A KR20170104774 A KR 2017010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759B1 (ko
Inventor
김현석
양세우
유현지
손현희
문정옥
박형숙
최반석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2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759B1/ko
Priority to CN201780002743.4A priority patent/CN107925012B/zh
Priority to PCT/KR2017/002424 priority patent/WO2017155266A1/ko
Priority to US15/747,073 priority patent/US10497904B2/en
Priority to TW106107401A priority patent/TWI650859B/zh
Priority to JP2018506283A priority patent/JP6595697B2/ja
Publication of KR2017010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71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H01L27/3262
    • H01L27/3272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외광 반사를 감소하여 명암비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OLED 뿐만 아니라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 등을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적용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OLED)는 자발광 표시장치로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OLED 패널은 메탈 배선 또는 전극에 의해서 외광에 의한 반사가 일어나 명암비가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외광 반사에 의한 명암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원편광판을 OLED 패널에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입사된 외부광은 원편광판을 통해 입사되고 입사된 외부광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 2 전극에 의해 반사되어 그의 편광 방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입사된 외부광은 원편광판을 투과하지 못하게 되어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소멸 간섭을 일으킨다. 이로 인하여 외부광이 반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명암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원편광판을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50%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점차 구부릴 수 있거나(Bendable) 또는 접을 수 있는(Foldable)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진화됨에 따라, 구부림과 접힘에 의한 원편광판의 곡률이 큰 부위에서 나타나는 성능 저하의 이유로 원 편광판을 OLED 패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4-186351호 공보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광 반사를 감소하여 명암비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패널(101), 점착제 층(102) 및 표면처리 층(10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하나의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기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01
)이 10%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광 반사를 감소하여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2
수식 1에서
Figure pat00003
는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04
는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05
는 550 nm 파장의 광에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06
)이 10% 이하, 9% 이하, 8% 이하 또는 7%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pat00007
수식 2에서
Figure pat00008
은 상기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을 구비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하여 측정된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09
은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10
이다.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11
는 반사율 측정값
Figure pat00012
에 대하여 약 3% 이내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13
를 낮게 설계하는 경우 실제 측정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14
을 낮출 수 있다.
즉, 본 출원은 실측 반사율을 낮추기 위한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사율 및,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의 관계를 수식 1과 같이 제공할 수 있으며,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15
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예를 들어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은 OLED 패널 등이 예시될 수 있고,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예를 들어 백라이트가 필요한 LCD 패널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OLED 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저 반사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사율
Figure pat00016
는 5%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사방지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층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면층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 층은 박막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배선부를 포함한 비화소 영역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방지 층은 비화소 영역에 구비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배선부의 배선 전극 표면의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층에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경우, 상기 반사방지 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1차 반사광이 존재하고, 반사방지 층을 통과하여 하부의 배선부에서 반사되는 2차 반사광이 존재한다. 상기 반사방지 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100 nm로 조절될 수 있다. 반사방지 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인 경우 상기 1차 반사광과 상기 2차 반사광의 소멸 간섭을 통하여 광반사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반사율
Figure pat00017
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반사방지 층은 예를 들어 Cu, Al, Mo, Ti, Ag, Ni, Mn, Au, Cr 및 C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금속으로부터 유래된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인 측에 순차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인 측으로 외광이 반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을 순차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 T는 3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총 투과율 T는 보다 구체적으로 40% 내지 70% 또는 5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총 투과율 T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외광에 의한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총 투과율은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을 함께 구비한 상태에서 측정된 약 550 nm 파장에 대한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층은 점착성 수지와 흡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광 물질은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탄화수소의 혼합물,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에폭시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불소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점착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염료 또는 안료는 최대흡수파장대가 서로 상이한 3종 이상의 염료 또는 안료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염료 또는 안료는 최대흡수파장대가 각각 R(Red) 영역, G(Green) 영역 및 B(Blue) 영역에 해당하는 3종 이상의 염료 또는 안료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염료 또는 안료의 종류가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시광 영역에서 평평한 투과도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료 또는 안료는 최대흡수파장대가 각각 R(Red) 영역, G(Green) 영역, Y(Yellow) 영역 및 Violet(V) 영역인 염료 또는 안료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염료 또는 안료의 혼합물은 전체적으로 안정적이고 평평한 투과도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염료 또는 안료의 혼합물은 400 nm 내지 700 nm 파장에서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의 표준편차가 5 이하인 투과도 스펙트럼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총 투과율은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을 함께 구비한 상태에서 측정된 400 nm 내지 700 nm 파장에 대한 평균 투과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준편차는 상기 평균 투과율에 대한 400 nm 내지 700 nm 파장대의 편차를 의미할 수 있다.
점착제 층은 점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또는 안료를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 층은 상기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 T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층은 대전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이온성 화합물 또는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대전 방지제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유기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으로는, 예를 들어, 대전 방지제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점착제 층은 대전 방지 성능을 가져 정전기 발생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
Figure pat00018
는 0.5%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
Figure pat00019
는 보다 구체적으로 0.7% 내지 1.8% 또는 0.9% 내지 1.6%일 수 있다.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
Figure pat00020
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외광에 의한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층은,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 또는 눈부심 방지층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층은 550 nm 파장에 대하여 약 1.4 이하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저굴절률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 층의 굴절률의 하한은 예를 들어 약 1.2 이상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굴절률 범위는 1.31 내지 1.35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 층은 중공 실라카를 함유한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 층은 상기 반사율
Figure pat00021
를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표면처리 층은 저굴절률 층 일면에 하드코팅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광 반사를 감소하여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OLED 뿐만 아니라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 등을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적용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외광 반사를 감소하여 명암비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OLED 뿐만 아니라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 등을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적용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모식도이다.
도 2는 패널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3은 표면처리 층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4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5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10은 반사율 측정값
Figure pat00022
과 계산값
Figure pat00023
의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 등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이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투과율 및 반사율 측정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은 UV-VIS-NIR Spectrophotometer (solidspec-3700, Shimadzu)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2. 반사율
Figure pat00024
계산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반사율(
Figure pat00025
)는 하기 수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식 1]
Figure pat00026
수식 1에서
Figure pat00027
는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28
는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29
는 550 nm 파장의 광에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되는 패널,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은 하기에 따라 준비하였다.
패널 A 내지 B
반응성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두께 80nm(±20nm) 의 AlO0 .3N0 .8을 반사방지 층으로 비화소 영역 상면에 형성하여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이 15.95%인 저 반사 패널(패널 A)를 준비하였다.
패널 내 비화소 영역 상면에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이 42.68%인 고 반사 패널(패널 B)를 준비하였다.
도 2는 패널 A 내지 B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 그래프이다.
점착제 층 A
점착 고분자 용액 (A)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를 99:1의 중량 비율(BA:HBA)로 투입하고 용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질소 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pursing)하여 산소를 제거하고, 반응 개시제(AIBN; azobisisobutyronitrile)를 투입하여 약 8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에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점착 고분자 (A)를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 고분자(A)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180만 정도였다.
점착제 층 A의 제조
상기 제조된 점착 고분자 용액(A)에 이온성 화합물(FC-4400, 3M사)을 점착 고분자 용액(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였고, 가교제로서 상기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08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T-39M, Soken사) 및 촉매(dibutyltin dilaurate, DBTDL)8ppm 을 용제 (EAc, ethyl acetate)에서 혼합하였다. 그리고, 염료로서 상기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22, 0.1, 0.19, 0.23, 0.08 중량부의 비율로 Red S-A2G, Yellow S-BY, Violet V-IRS, Red S-3G, Green S-6G (예담 케미칼사)를 혼합하여 가교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가교성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PET(poly(ethyleneterephthalate)(MRF-38, 미쯔비스 (제))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코팅하고 온도 100도 이상, 시간 2분 이상으로 건조시켜서 점착제 층 A를 제조하였다.
점착제 층 B
염료로서 점착 고분자 용액(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1, 0.05, 0.09, 0.11, 0.04 중량부의 비율로 Red S-A2G, Yellow S-BY, Violet V-IRS, Red S-3G, Green S-6G (예담 케미칼사)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점착제 층 A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층 B를 준비하였다.
점착제 층 C
염료로서 점착 고분자 용액(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17, 0.07, 0.14, 0.17, 0.06 중량부의 비율로 Red S-A2G, Yellow S-BY, Violet V-IRS, Red S-3G, Green S-6G (예담 케미칼사)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점착제 층 A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층 C를 준비하였다.
점착제 층 D
염료로서 점착 고분자 용액(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28, 0.12, 0.24, 0.29, 0.11 중량부의 비율로 Red S-A2G, Yellow S-BY, Violet V-IRS, Red S-3G, Green S-6G (예담 케미칼사)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점착제 층 A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층 D를 준비하였다.
점착제 층 E
염료로서 점착 고분자 용액(A)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17, 0.07, 0.14, 0.17, 0.06 중량부의 비율로 Red S-A2G, Yellow S-BY, Violet V-IRS, Red S-3G, Green S-6G (예담 케미칼사)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점착제 층 A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층 E를 준비하였다.
점착제 층 F
염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점착제 층 A의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제 층 F를 준비하였다.
표면처리 층 A 내지 B
TAC 필름의 상면에 KYOEISHA사 염타입의 대전 방지 하드 코팅액(고형분 50중량%, 제품명: LJD-1000)을 #10 mayer bar로 코팅하고 90℃에서 1분 건조한 이후, 15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약 5 내지 6㎛의 두께를 갖는 하드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상면에 중공실리카를 각각 60 중량%와 40 중량% 함유한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와 불소계 아크렐레이트로 제조된 550 nm 에서의 굴절률이 약 1.33 정도인 저굴절률층을 코팅한 반사 방지층을 통하여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이 0.89%인 표면처리 층 A와 1.14%인 표면처리 층 B를 준비하였다.
TAC 필름 상면에 표면처리 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은 4.05%이다.
도 3은 표면처리 층 A 내지 B 및 표면처리 층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 그래프이다.
실시예 1
저 반사 패널(패널 A)의 상면에 점착제 층 A와 표면처리 층 A가 합지된 필름의 점착제면을 패널과 라미네이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패널,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패널 점착제 층 표면처리 층
실시예 1 A A A
실시예 2 A B A
실시예 3 A C A
실시예 4 A D A
실시예 5 A E B
비교예 1 B F -
비교예 2 A F -
비교예 3 A F A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물성(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 T,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을 표 2에 기재하였다. 도 4 내지 도 8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5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10은 반사율 측정값
Figure pat00034
과 계산값
Figure pat00035
의 비교 그래프이다.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T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비교예 1 4.05 42.68 94.0 38.66 36.84
비교예 2 4.05 15.95 94.0 14.77 14.18
비교예 3 4.05 15.95 94.0 11.60 11.35
실시예 1 0.89 15.95 48.8 3.78 3.70
실시예 2 0.89 15.95 68.3 6,55 6.40
실시예 3 0.89 15.95 57.4 4.89 4.79
실시예 4 0.89 15.95 40.9 2,92 2.87
실시예 5 1.14 15.95 57.4 5.16 5.04
Figure pat00040
: 표면처리 층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
Figure pat00041
: 디스플레이 패널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
Figure pat00042
: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총 투과율(%)
Figure pat00043
: 디스플레이 장치의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반사율(%)
Figure pat00044
: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101: 디스플레이 패널
102: 점착제 층
103: 표면처리 층

Claims (19)

  1. 디스플레이 패널,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을 포함하고, 하기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45
    )이 10%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수식 1]
    Figure pat00046

    수식 1에서
    Figure pat00047
    는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48
    는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49
    는 550 nm 파장의 광에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층의 총 투과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수식 2]
    Figure pat00050

    수식 2에서
    Figure pat00051
    은 상기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을 구비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550 nm 파장의 광에 대하여 측정된 반사율이고,
    Figure pat00052
    은 수식 1로 계산되는 반사율
    Figure pat00053
    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사율
    Figure pat00054
    는 5% 내지 20%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배선부를 포함한 비화소 영역 상에 반사방지 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반사 방지층은 Cu, Al, Mo, Ti, Ag, Ni, Mn, Au, Cr 및 C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금속으로부터 유래된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산질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반사방지 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100 nm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 층 및 표면처리 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인 측에 순차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 T는 30% 내지 80%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 층은 점착성 수지와,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점착성 수지는 스티렌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탄화수소의 혼합물,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에폭시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불소계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염료 또는 안료는 최대흡수파장대가 서로 상이한 3종 이상의 염료 또는 안료의 혼합물이고, 400 nm 내지 700 nm 파장에서 점착제 층과 표면처리 층의 총 투과율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점착제 층은 점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료 또는 안료를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점착제 층은 대전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 층의 반사율
    Figure pat00055
    는 0.5% 내지 2%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 층은 반사 방지층 또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 층은 550 nm 파장에 대한 굴절률이 1.2 내지 1.4 인 저굴절률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저굴절률 층은 중공 실리카를 함유한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 층은 저굴절률 층의 일면에 제공되는 하드코팅 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27595A 2016-03-08 2016-03-0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95A KR102010759B1 (ko) 2016-03-08 2016-03-08 디스플레이 장치
CN201780002743.4A CN107925012B (zh) 2016-03-08 2017-03-07 显示装置
PCT/KR2017/002424 WO2017155266A1 (ko) 2016-03-08 2017-03-07 디스플레이 장치
US15/747,073 US10497904B2 (en) 2016-03-08 2017-03-07 Display device
TW106107401A TWI650859B (zh) 2016-03-08 2017-03-07 顯示裝置
JP2018506283A JP6595697B2 (ja) 2016-03-08 2017-03-07 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95A KR102010759B1 (ko) 2016-03-08 2016-03-0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774A true KR20170104774A (ko) 2017-09-18
KR102010759B1 KR102010759B1 (ko) 2019-08-14

Family

ID=5978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595A KR102010759B1 (ko) 2016-03-08 2016-03-0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7904B2 (ko)
JP (1) JP6595697B2 (ko)
KR (1) KR102010759B1 (ko)
CN (1) CN107925012B (ko)
TW (1) TWI650859B (ko)
WO (1) WO20171552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432A (ko) * 2018-09-11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85689A1 (ko) * 2022-10-19 2024-04-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8574B2 (ja) 2020-03-31 2024-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7387522B2 (ja) 2020-03-31 2023-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21161263A (ja) 2020-03-31 2021-10-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7469109B2 (ja) 2020-03-31 2024-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積層体
JP2021173831A (ja) * 2020-04-23 2021-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防止層付円偏光板および該反射防止層付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16096828A (zh) 2020-08-28 2023-05-09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固化性粘合片
WO2022045131A1 (ja) 2020-08-28 2022-03-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光硬化性粘着剤層、及び光硬化性粘着シート
CN112180601B (zh) * 2020-09-30 2022-05-3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汽车
JPWO2022176468A1 (ko) * 2021-02-16 2022-08-25
TW202349763A (zh) * 2022-02-28 2023-12-16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Oled顯示裝置用光學積層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712A (ja) * 1999-09-20 2001-06-12 Sony Corp 光学フィルター、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前面板
JP2004063303A (ja) * 2002-07-30 2004-02-26 Nippon Sheet Glass Co Ltd El素子用封止板、及び該封止板多面取り用マザーガラス基板
KR20050076464A (ko)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5612A (ko) * 2002-08-15 2008-01-1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86351A (ja) 2010-12-06 2014-10-02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表示パネ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134A (ja) * 1994-06-08 1995-12-22 Noritake Co Ltd 誘電体組成物
US6501218B1 (en) * 2000-06-12 2002-12-31 General Electric Company Outdoor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DE10101825B4 (de) * 2001-01-17 2006-12-14 United Monolithic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Bauelements mit einer T-förmigen Kontaktelektrode
JP4027164B2 (ja) * 2002-06-21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EP1557891A3 (en) * 2004-01-20 2006-10-04 LG Electronic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I240593B (en) 2004-10-15 2005-09-21 Ind Tech Res Inst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JP4346087B2 (ja) * 2004-10-21 2009-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性光学フィルム、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DE102005007646A1 (de) * 2005-02-19 2006-08-31 Dr.Ing.H.C. F. Porsche Ag Luftansaugsystem für eine aufgeladene Brennkraftmaschine
TWI333389B (en) 2006-08-16 2010-11-11 Au Optronics Corp Low-reflection self-illumination unit display
JP2008310286A (ja) * 2007-05-14 2008-12-25 Fujifilm Corp ポリロタキサン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8305868B2 (en) * 2007-06-15 2012-11-06 Sanyo Electric Co., Ltd. Optical pickup apparatus
US8208097B2 (en) * 2007-08-08 2012-06-26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Color compensation multi-layered member for display apparatus, optical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190411B2 (en) * 2007-12-18 2012-05-29 Allegianc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ar optimization
JP2009156938A (ja) 2007-12-25 2009-07-16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697990B2 (ja) 2008-01-08 2015-04-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多機能粘着フィルム、これを含む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含む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453015Y1 (ko) * 2008-03-28 2011-03-31 유동준 입체형 발광 장치
JP2009259504A (ja) * 2008-04-15 2009-11-05 Hitachi Ltd 平面表示部材、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平面表示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06294B1 (ko) * 2008-05-22 2012-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JP5160329B2 (ja) * 2008-07-24 2013-03-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5544269B2 (ja) * 2010-10-13 2014-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N106873065B (zh) * 2011-12-19 2019-09-10 Lg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5950667B2 (ja) * 2012-04-16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用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用部材の光学膜
KR20140032819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다이오드용 반사 방지 필름과 이를 포함한 편광판
KR102062754B1 (ko) * 2012-11-14 2020-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980060B (zh) * 2014-04-09 2017-05-10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采集液体机械能的摩擦电纳米发电机以及发电方法
EP3531176B1 (en) * 2016-10-24 2024-06-05 LG Chem, Ltd. Antireflection optical filter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E102018000561B4 (de) * 2018-01-24 2019-11-07 Zellwerk Gmbh Mäander-Bioreaktor und Verfahren für die Isolierung und Vermehrung von Zellen aus Gewebeteilen von Tumoren, Metastasen und anderen Geweb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712A (ja) * 1999-09-20 2001-06-12 Sony Corp 光学フィルター、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前面板
JP2004063303A (ja) * 2002-07-30 2004-02-26 Nippon Sheet Glass Co Ltd El素子用封止板、及び該封止板多面取り用マザーガラス基板
KR20080005612A (ko) * 2002-08-15 2008-01-1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76464A (ko) * 2004-01-20 2005-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이엘 디스플레이 패널
JP2014186351A (ja) 2010-12-06 2014-10-02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表示パネ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432A (ko) * 2018-09-11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85689A1 (ko) * 2022-10-19 2024-04-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6684A1 (en) 2018-12-20
TW201803105A (zh) 2018-01-16
CN107925012A (zh) 2018-04-17
WO2017155266A1 (ko) 2017-09-14
TWI650859B (zh) 2019-02-11
CN107925012B (zh) 2020-04-07
US10497904B2 (en) 2019-12-03
JP6595697B2 (ja) 2019-10-23
KR102010759B1 (ko) 2019-08-14
JP2018523854A (ja)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47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495795B2 (en) Light emission reducing compound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699191B1 (ko) 컬러 필터 형성 기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20190109988A (ko) 광학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광학 부재
KR102315469B1 (ko) 하드 코트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7511049A (ja) 張力緩和層、反射防止層およびバリア層を備えたoled構造
US11827814B2 (en)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180125593A (ko) 광반사 필름과 이를 이용한 광제어 필름 및 미러 디스플레이
EP3715431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373629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50057972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작방법
JP2018194620A (ja) 光学フィルター
US20080259478A1 (en) Optical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JP2004226842A (ja) 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7122904A (ja) 画像表示装置
US20240019605A1 (en) Optical laminate and article
JP2015099313A (ja) 黒色感光性樹脂組成物、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21003205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5102792A (ja) 黒色感光性樹脂組成物、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219437504U (zh) 显示装置
KR20190006820A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U2019100682B4 (en) Light emission reducing compounds for electronic devices
KR20230147528A (ko) 유기 el 표시 장치
KR20230063653A (ko) 감압성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CN117479737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