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618A -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618A
KR20170103618A KR1020160172723A KR20160172723A KR20170103618A KR 20170103618 A KR20170103618 A KR 20170103618A KR 1020160172723 A KR1020160172723 A KR 1020160172723A KR 20160172723 A KR20160172723 A KR 20160172723A KR 20170103618 A KR20170103618 A KR 2017010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user
information
unit
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황성재
김재연
Original Assignee
피움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움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움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0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1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5Apparatu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U30/24Coaxial r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9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involving pointing a payload, e.g. camera, weapon, sensor, towards a fixed or moving targe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2Piezo or ultrasonic elements f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the rotating deflecting element being a ventilator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4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releasing liquids or powders in-flight, e.g. crop-du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oy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방향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DISCHARGING FRAGR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기는 꽃, 향, 향수 등에서 나는 좋은 냄새로서, 특정한 향기가 사람의 심리, 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효과이다. 이에 사람들은 기분 전환, 심리 안정, 환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향수를 사용하고 있다.
향수는 일반적으로 액체 형태로 제공되고,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는 소정의 용기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향수가 담긴 용기를 소정의 장소에 비치해 두고, 필요 시 손목이나 목 등 신체의 일부에 향수를 분사하거나, 옷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향수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향수 용기가 비치된 장소까지 이동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향수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외부에 있을 때에는 향수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향수를 뿌리기 위해서는 집까지 이동해야 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 공개특허 US 2011/0139813 A1와 같은 휴대용 향수 디스펜싱 장치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여 임의의 장소에서 향수를 뿌릴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미국 공개특허 US 2013/0164178 A1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펜서로서, 액체가 아닌 다른 형태 및 형상을 가지며 향기를 낼 수 있는 방향물질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장치들은 사용자가 별도로 장치를 휴대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장치를 양 손에 휴대하기 어려운 상황, 예를 들어 간편한 복장으로 운동을 하는 상황이거나 양 손으로 다른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 등에서는 장치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장치들은 사용자가 향수의 분사를 위해 직접 장치를 조작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향수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치를 휴대하고, 이를 원하는 시기에 사용하는 것을 늘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 만약,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잊는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향기에 따른 효과는 얻어질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조작해야 하므로, 주변 상황 상 장치의 사용이 어려운 경우, 예를 들어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 중인 경우에는 장치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공개특허 US 2011/0139813 A1 (2011.06.16. 공개) 특허문헌 2: 미국 공개특허 US 2013/0164178 A1 (2013.06.2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장치를 양 손에 휴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방향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공간 정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기 설정된 공간 범위, 및 상기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고려하여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시간 범위, 및 상기 공간 범위 중 하나 이상은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향물질의 저장량 및 상기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은 하나의 연속된 동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누적된 복수 개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및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웨어러블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것인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서로 다른 향을 낼 수 있는 복수 개의 방향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방향물질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방향물질을 기화시키는 기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기화된 상태의 상기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방향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한 결과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조건을 변경하고,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 조건에 따라 상기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배출하고자 하는 상기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본체에 제공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방향물질을 상기 본체에 제공된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공간 정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기 설정된 공간 범위, 및 상기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활용하여 상기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시간 범위, 및 상기 공간 범위 중 하나 이상을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제공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로부터 감지 결과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향물질의 저장량 및 상기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갱신된 정보를 전달받는 피드백 수신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치를 양 손에 휴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장착된 외부기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외부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사용자 인테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상황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가 장착된 외부기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외부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10)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물질 배출장치(10)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본체(11), 본체(11)에 제공되고 방향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60), 저장부(160)로부터 제공되는 방향물질을 본체(1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70),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배출부(170)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물질은 사람이 후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향기를 낼 수 있는 물질로서,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상태나 배출부(170)를 통해 배출되는 상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방향물질은 배출장치(10)에 액체, 기체, 및 고체 중 하나 이상의 상태로 저장될 수 있고, 액체, 기체, 및 고체 중 하나 이상의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은 저장부(160)에 액체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기화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방향물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향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이 여러 향기를 갖는 경우, 방향물질은 향기를 낼 수 있는 복수 개의 물질이 서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방향물질은 단순하게 향을 내는 것뿐만 아니라 소정의 기능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은 세균 제거, 통증 완화, 중화 등의 기능을 가진 물질일 수 있다.
본체(11)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저장부(160), 배출부(170), 제어부(11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도시된 것과 같이 대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전체적인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된다는 것은 본체(11)가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손목, 목, 얼굴 등에 바로 착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간접적으로 착용된다는 것은 본체(11)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물체,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류, 가방, 웨어러블 기기 등에 장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착용한다는 것의 의미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하는 것과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물체에 착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착용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체(11)는 상기와 같은 직접 착용 또는 간접 착용을 위한 장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2)는 본체(11)가 고정되는 대상물, 즉 신체 부위 또는 신체에 착용된 물체의 종류, 형상, 구조, 위치 등에 따라 적합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장착부(12)는 본체(11)의 착용 형태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12)는 스트랩, 고리, 체인, 밴드, 벨트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12)가 외부기기(20)인 스마트워치의 스트랩이 끼워질 수 있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본체(11)와 장착부(12)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본체(11)와 장착부(12)의 경계는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장착부(12)는 사용자의 신체 및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2)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 장착부(12)는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장착부(12)를 이용하여 방향물질 배출장치(10)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장착부(12)가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에 착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멘 가방에 착용되는 경우, 장착부(12)는 벨트와 버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버클을 조작하여 방향물질 배출장치(10)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장착부(12)는 사용자의 신체에도 탈착 가능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에도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장착부(12)는 사용자의 신체에 탈착 가능한 구성(예를 들어 밴드)과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에 탈착 가능한 구성(예를 들어 벨트와 버클)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와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에 모두 탈착 가능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12)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인 경우, 사용자는 방향물질 배출장치(10)를 손목에 끼워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스트랩을 풀어서 방향물질 배출장치(10)를 벗은 후,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여 방향물질 배출장치(10)를 가방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장착부(12)는 일 예에 불과하며, 장착부(12)의 구체적인 구조, 구성, 장착 방법으로는 본체(11)를 사용자의 신체 및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착 시킬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물질 배출장치(10)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물체인 외부기기(20)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외부기기(20)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기기(20)로서 스마트 워치(smart watch)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외부기기(20)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20)는 스마트 안경, 스마트 밴드, 전자 팔찌, 머리 착용형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 전자 의복,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등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외부기기(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저장부(160)는 방향물질을 소정의 상태로 저장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물질은 액체 상태(F)로 저장되고, 저장부(160)는 방향물질을 저장하는 용기 형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방향물질은 다양한 상태로 저장될 수도 있고, 저장부(160)는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은 고체 입자인 분말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저장부(160)는 분말들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멤브레인 등의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방향물질은 향을 낼 수 있는 고형화된 물질 또는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저장부(160)는 방향물질을 본체(11)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방향물질의 안정적인 저장을 위해 온도 조건 등 환경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저장부(160)는 저장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의 발향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 저장 온도가 있는 경우, 저장부(160)는 열전소자 등 온도 조절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액체 상태의 방향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본체(11)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160)의 저장 공간이 본체(11) 측에만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일부가 장착부(12)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의 일측에는 방향물질이 소진되는 경우, 저장부(160)에 방향물질을 다시 채우기 위한 공급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1)의 공급홀(16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커버(13)가 제공되어 공급홀(162)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커버(13)는 후크, 볼트 등 다양한 체결 수단을 이용해 본체(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배출장치(10)가 사용자에 의해 격렬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공급홀(162)을 통해 방향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공급홀(162)을 견고하게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3)에는 가스켓 등 소정의 실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배출장치(10)에 처음으로 방향물질을 채우거나, 배출장치(10)가 사용됨에 따라 방향물질의 양이 줄어들거나, 방향물질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13)를 열어 공급홀(162)을 통해 저장부(160)에 원하는 방향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방향물질의 주입을 위한 도구는 스포이드 등 별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방향물질은 배출장치(10)의 충전 또는 외부기기(20)의 충전 시 전력 공급과 함께 저장부(160)에 채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의 충전을 위한 크래들(cradle) 등의 충전기(미도시)에는 방향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장치(10)의 저장부(160)에 연결될 수 있는 노즐 등의 접속 수단 및 방향물질을 공급하는 액츄에이터 등의 공급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가 충전기에 거치되면, 충전기에 제공된 접속 수단이 배출장치(10)에 연결될 수 있고, 충전과 함께 방향물질이 배출장치(10)로 공급될 수 있다. 충전기의 접속 수단 및 공급 수단으로는 상술한 예 외에도,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는 충전기 측으로 충전을 위한 별도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충전기는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충전이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60)는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62)의 일측에 형성된 공급홀(162)은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된 저장부(160)가 인입, 인출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고, 커버(13)는 저장부(160)를 본체(11) 내에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되는 저장부(160)는 통째로 본체(11)로부터 분리되거나, 본체(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저장부(160)를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 별로 서로 다른 향을 내는 방향물질이 저장되면, 사용 편의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복수의 방향물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서로 독립된 복수 개의 저장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체(11)에는 격벽 등의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저장 공간에는 서로 다른 향을 내는 방향물질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출장치(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60)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방향물질이 서로 혼합될 수 있는 혼합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저장 공간에는 방향물질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급 조절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60)는 복수 개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각각의 저장 공간의 방향물질 출구 측에는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70)는 저장부(160)로부터 제공되는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본체(11)의 일측에 제공되어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물질의 배출은 방향물질에 직접적으로 물리적인 외력을 가해 소정의 압력으로 방향물질이 배출장치(10)의 외부로 분사(dispensing)되는 것뿐만 아니라, 방향물질에 직접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물질이 자연스럽게 방사(emitting)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즉, 방향물질의 배출 방법은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이 소정의 장치에 의해 스프레이되는 것뿐만 아니라, 방향물질이 자연 기화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힘(예를 들어 관성 등)에 의해 방향물질이 배출되는 것도 모두 배출부(170)에 의한 배출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배출구(172)가 본체(11)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배출구(172)의 개수, 설치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출구(172)는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11)의 타측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본체(11)의 일측의 다른 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배출구(172)는 저장부(160)로부터 연장되는 배출통로(174)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배출통로(174)는 방향물질이 배출구(172)까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즉, 배출통로(174)의 일측 단부는 저장부(160)에 연결되고, 타측 통로는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72)가 배출통로(174)를 통해 직접 저장부(160)에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배출구(172)와 저장부(160)의 사이에는 소정의 방법으로 방향물질을 처리하는 처리부가 더 제공되고, 배출통로(174)는 처리부를 경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출통로(174) 상에는 상술한 혼합챔버가 배치될 수도 있고, 방향물질의 분사 압력을 높이기 위한 가압 수단이나 후술할 구동부(180)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배출통로(174) 상에는 방향물질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 조절 수단(176)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조절 수단(176)으로 배출통로(174)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여기서, 밸브는 제어부(110)에 연결되고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출통로(174)가 복수 개 형성된 경우, 배출 조절 수단(176)은 각각의 배출통로(174) 마다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조절 수단(176)은 능동적으로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 배출량, 배출 방향, 배출 패턴,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종류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 패턴은 배출 간격 및 한번의 배출 시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양, 종류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종류는 복수 개의 방향물질이 배출되는 경우, 혼합되는 방향물질의 종류, 혼합 비율 등을 포함한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 배출량, 배출 방향, 배출 패턴,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종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출 조건"이라고 하겠다.
우선, 배출 조절 수단(176)은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조절 수단(176)은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어 배출통로(174)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조절 수단(176)은 방향물질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개구된 복수 개의 배출구(172)가 제공되고, 배출 조절 수단(176)은 각각의 배출구(172)에 대응되게 제공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배출구(172)를 통한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를 조절함으로써 방향물질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나의 배출통로(174)가 분지되어 복수 개의 배출구(172)에 연결되고, 배출 조절 수단(176)은 분지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방향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172)를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방향물질의 배출 방향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물체를 향하는 방향,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을 향하는 방향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본체(11)에는 상기 방향들 중 여러 방향을 향하도록 배출통로(174) 및 배출구(172)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110)는 배출 조절 수단(176)을 제어하여 여러 방향을 향하는 배출구(172)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방향물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조절 수단(176)은 방향물질의 배출 패턴을 조절할 수도 있다. 배출 패턴은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양, 배출 방향, 방향물질의 종류, 배출 시간, 배출 간격, 배출 횟수 등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소정 시간 간격, 구체적으로 1초 배출, 2초 정지, 및 1초 배출 등의 패턴으로 방향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조절 수단(176)을 제어할 수 있고, 배출 조절 수단(176)은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배출통로(174)를 선택적으로 차폐함으로써 방향물질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조절 수단(176)은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종류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에는 복수 개의 방향물질이 서로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각각의 저장 공간에 배출통로(174)가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배출 조절 수단(176)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소정의 방향물질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통로(174)를 차폐할 수 있다. 특히, 혼합챔버가 저장부(160)와 배출구(172)의 사이에 제공되는 경우, 배출 조절 수단(176)은 혼합챔버로 제공되는 방향물질의 종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배출장치(10)는 다양한 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배출 조절 수단(176)은 상기와 같은 능동적인 조절 수단 외에도, 방향물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배출 조건이 조절될 수 있는 수단일 수도 있다. 일 예로, 배출 조절 수단(176)은 선택적으로 기체만 통과시킬 수 있는 고어텍스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이 경우, 배출 조절 수단(176)은 배출통로(174)를 실질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고, 고어텍스는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만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저장부(160)에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방향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출 조절 수단(176)은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만 통과할 수 있는 작은 직경을 갖는 구멍일 수도 있다. 즉, 배출통로(174)가 그 자체로 배출 조절 수단(176)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배출 조건의 예들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배출 조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250)를 이용하여 배출 조건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배출 조건은 상술한 배출 조절 수단(176)뿐만 아니라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을 기화시킴으로서 배출시키는 경우, 제어부(110)는 기화량을 조절함으로써 배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구동부(180)를 제어함으로써 배출 조건을 조절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는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구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80)는 방향물질을 본체(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고,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에너지로서 열, 진동, 힘, 압력 등을 방향물질에 직접 가하거나, 방향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60)에 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구동부(180)는 소정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80)는 피스톤 장치, 스퀴징 장치, 히터, 스프레이, 팬 등 방향물질에 직접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거나, 고압으로 압축된 방향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10)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방향물질을 배출시키는 실린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저장부(160)에 소정의 상태로 저장된 방향물질은 구동부(180)를 통해 제공되는 에너지에 의해 그 상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다른 상태로 변화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액체 상태로 방향물질이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경우, 방향물질은 액체 상태로 분사될 수도 있고, 기화된 후 기체 상태로 분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180)는 배출부(170)의 일 구성요소로서 제공될 수도 있고, 배출부(170)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부(170)와는 별도로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80)로서 액체 상태로 제공된 방향물질을 기화시키는 기화부가 배출부(170)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독립적으로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부(180)의 한 예인 기화부를 도면부호 180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겠다.
기화부(180)는 저장부(16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물질을 진동에 의해 기화시키는 진동 수단(181)과 진동 수단(181)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수단(181)은 방향물질에 잠겨 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배출장치(10)가 착용되는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원활한 기화 작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저장부(160)의 중력 방향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수단(181)은 소정의 지지체에 고정된 진동자일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182)는 배터리(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자를 진동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저장부(160) 내에 저장된 방향물질을 기화시킬 수 있고, 기화부(180)에 의해 기화된 방향물질은 배출부(170)를 통해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화부(180)가 저장부(160)에 저장된 방향물질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기화부(180)는 배출통로(174) 상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본체(11)에 혼합챔버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혼합챔버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본체(11) 내에 방향물질의 기화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제공되고, 배출부(170)는 상기 별도의 공간과 연결되며, 기화부(180)는 상기 별도의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1)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90)가 제공되고, 센서부(19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제스쳐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움직일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출장치(10)에 전달되고, 센서부(10)는 배출장치(10)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90)는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UV 센서, 냄새 센서,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PPG 센서(photoplethysmography sensor), 산소포화도(SpO2) 센서, IR 센서, 홍채 센서, 지문 센서, 지자계 센서, 거리 센서, 초음파 센서, 압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90)는 카메라 등 영상 수집 수단 및 마이크 등 음향 수집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190)는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190)는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물질의 잔량 및 배출부(170)를 통해 배출된 방향물질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90)는 저장부(16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는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방향물질의 잔량은 무게 센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측정되며, 배출량은 초기 무게와 잔량의 차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90)는 배출부(170)에 제공된 유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방향물질의 배출량은 유량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누적하여 얻어지며, 잔량은 초기 저장량과 배출량의 차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물론, 센서부(190)는 무게 센서와 유량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방향물질의 잔량 및 배출량을 포함하는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는 상술한 구동부 및 기화부(180)의 작동 상태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화부(180)의 작동 시 기화량이 기 설정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경우, 배출량은 기화부(180)의 작동 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서부(19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등을 수집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부(190)는 본체(11)에 연결된 장착부(12)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센서부(190)에 포함되는 센서는 그 목적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1)에 제공되거나, 일부는 본체(11)에 제공되고 다른 일부는 장착부(12)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배출장치(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0)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30)와, 외부기기(20)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14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센서부(190)에서 감지된 각종 정보,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기기(20)와 송수신한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와 사용자에게 제공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이라고 하겠다.
여기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배출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하나의 연속된 움직임 및 이러한 움직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누적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이 발생된 시간, 움직임의 궤적, 움직임의 강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연속된 움직임은 센서부(190)에서 측정되는 값이 사용자의 일련의 동작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연속된 움직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기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와 관련된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하나의 연속된 움직임은 배출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가 특정의 동작을 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제스쳐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배출장치(10)를 착용한 팔을 들어 올린다거나, 연속적으로 왕복운동을 수회 한다거나, 연속적으로 수회 박수를 치는 등의 행동이 그 예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누적된 사용자의 움직임은 일정 시간 동안 서로 구분될 수 있는 연속된 움직임의 누적 데이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사용자가 배출장치(10)를 착용한 팔을 사용하는 정도, 일정한 시간 동안 팔이 왕복운동을 한 횟수 등이 그 예일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시간 동안 팔의 왕복 운동이 반복된다면 이를 사용자가 달리기를 하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센서부(190)를 통해 직접 측정 가능하거나, 센서부(190)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감정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는 센서부(19)를 통하여 측정된 맥박, 혈압, 칼로리 소비량, 땀 분비량, 체온, 호흡 상태, 구강 상태, 근전도, 심전도, 뇌파, 지문, 홍채, 스트레스 지수, 흥분도, 피로도, 냄새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감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는 센서부(190)를 통해 직접 측정 가능하거나, 센서부(190)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사용자가 속해있는 주변 공간 자체의 정보 및 주변 공간 내에서 사용자 또는 배출장치(10)와 상호 작용이 가능한 객체에 대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정보, 사람 또는 물건 등 주변에 위치한 객체들의 종류 및 위치, 사람 또는 물건 등 주변에 위치한 객체들과의 거리, 밀집도, 조도, 온도, 습도, 냄새, 공기에 포함된 특정 가스의 함량, 기압,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공간 자체의 정보 및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갖는 시간 범위로서, 사용자가 배출장치(10) 및 외부기기(20) 또는 PC 등 다른 장치 등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무선/유선 통신망을 거쳐 통신부(14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범위는 일정 정보, 사용자가 기 설정된 행동을 하면서 경과된 시간 정보, 사용자가 설정해 둔 특정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시간 범위는 배출장치(10) 및 외부기기(20)의 이용을 기초로 한 시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범위에는 배출장치(10)를 이용한 이후에 경과한 시간 정보,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를 착용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간 범위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서로 다른 경우뿐만 아니라,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같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시간 범위는 특정 시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외부기기(20)를 착용한 후 특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배출장치(10)로부터 방향물질이 배출되도록 배출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현될 수 있는 공간적인 범위로서, 사용자가 배출장치(10) 및 외부기기(20) 또는 PC 등 다른 장치 등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 범위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무선/유선 통신망을 거쳐 통신부(14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공간 범위는,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서 표현될 수 있는 특정 지역(area), 센서부(190)에서 인식할 수 있는 공간 영역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는 배출장치(10)의 착용 후 경과시간, 배터리 잔량, 방향물질 잔량, 외부기기(20)와의 통신 연결 상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상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아울러,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는 저장부(160)에 남아 있는 방향물질의 잔량, 방향물질의 배출량, 방향물질의 배출 횟수, 방향물질의 배출 방향, 방향물질의 배출 시간, 배출된 방향물질의 종류, 방향물질 배출 패턴, 방향물질 배출 이력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배출장치(10)의 센싱부(190)에서 측정되거나, 배출장치(10)의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기기(20)에 제공된 센서부(260)에서 측정되거나 메모리(220)에 저장된 정보가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20)에는 배출 조건이 저장될 수 있다. 배출 조건은 기 설정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등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특정 패턴으로 방향물질을 분사하도록 설정되고, 다른 하나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특정 패턴으로 방향물질을 분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 저장된 배출 조건은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배터리(130)는 교체식 배터리와 충전식 배터리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교체식 배터리가 사용되는 경우, 본체(11) 또는 장착부(12)에는 배터리(130)를 교체하기 위한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되는 경우, 본체(11) 또는 장착부(12)에는 충전을 위한 접속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0)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은 외부로 노출된 단자 없이 배터리(130)를 충전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무선 충전 기술이 배출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30)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전력 송신부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부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30)는 철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류가 흐르는 무선충전장치 주변에 있으면 계속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서 충전이 이뤄질 수 있다. 또는, 배터리(130)는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을 통해서 무선충전될 수 있다. 전자기파 방식은, 송신부에서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면 수신부에서는 안테나와 정류기를 조합한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해 전자기파를 수신한 후 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또한, 자기공명방식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해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된 수신부 코일에만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한 기술이다. 상술한 전자기 유도방식, 전자기파방식, 자기공명방식은 공통적으로 앙페르 법칙과 페러데이 법칙이 적용 된다.
이때, 배터리(130)의 무선 충전은 별도로 제공된 충전기에 의해 이뤄질 수도 있고, 외부기기(20)를 통해 이뤄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기기(20)에는 배출장치(10)가 장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술한 무선 충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충전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0)는 태양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 또는 장착부(12)의 외측면에는 태양광을 수집할 수 있는 광수집부, 일 예로 PN접합 반도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외부기기(20)에 광수집부가 제공되고, 배터리(130)는 장착부(12)를 통해 외부기기의 광수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메모리(112)와 배터리(130)는 장착부(12)에 마련된 설치 공간(12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 공간(122)이 장착부(12)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설치 공간(122)은 본체(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설치 공간(122)에는 제어부(110)로서 기능할 수 있는 IC 등이 설치되는 기판(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장착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기판으로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기기(20)와 유선/무선 통신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체(11)에 제공된다. 통신부(140)는 필요에 따라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의 내부에 내장되고, 외부기기(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일 예로, 통신부(140)는 Bluetooth, Beacon, NFC, RFID, Zigbee, UWB, IrDa 등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체(11)의 내부에는 이들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기기(20)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외부기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를 통해 통신 가능한 기기는 외부기기(20) 외의 다른 기기로서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카드 등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한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본체(11)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가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과 사용자에게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수단과 출력 수단은 터치스크린과 같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감압 버튼, 터치 버튼, 조그 셔틀 버튼, 다이얼, 휠 스크롤, 키패드, 디스플레이, LED, 터치패널, 터치스크린, 마이크, 스피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공지된 다양한 입출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의 외측면에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방향물질의 배출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조작하여 배출될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방향, 횟수,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10)가 상술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에 대한 판단 기준값들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소정 강도 이상의 운동을 일정 시간 이상 지속할 경우 방향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메모리(120), 배터리(130), 통신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배출부(170), 구동부, 기화부(180), 센서부(19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상술한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보, 센서부(190)에서 수집된 정보, 통신부(140)를 통해 전달 받은 정보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거나, 이를 처리하여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방향물질의 배출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술된 각종 데이터의 처리, 가공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부기기(20)는 본체(21)와, 본체(21)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된 착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외부기기(20)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기기(20)가 스마트 워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외부기기(20)의 본체(21)에는 외부기기(20)의 사용 목적에 따른 적절한 구성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어부(210)로서 기능하는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기판, 메모리(220), 배터리(230), 통신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 센서부(260)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40)는 배출장치(10)의 통신부(140)와 유선/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배출장치(10) 외의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다른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있다. 외부기기(2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센서부(260)에서 측정된 정보 또는 이를 처리하여 얻어진 정보를 배출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출장치(10)로부터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정보 등을 전달받아 메모리(220)에 저장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하거나,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기(20)의 센서부(260)는 배출장치(10)의 센서부(190)가 측정하는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센서부(260)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센서의 종류 및 센서부(260)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배출장치(10)의 센서부(19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외부기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는 배출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와 마찬가지로 입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배출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외부기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방향물질의 배출 조건 및 배출을 위한 각종 정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기기(20)의 제어부(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전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로 제공될 수 있는 구체적인 장치의 종류 및 기능은 배출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외부기기(20)의 메모리(220)에는 배출장치(10)의 메모리(2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20)의 메모리(220)에는 외부기기(20)에 장착된 배출장치(10)와의 통신을 위한 배출장치(10)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출장치(10)가 외부기기(20)에 장착되거나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경우, 각각의 배출장치(10)의 식별 정보는 고유하게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외부기기(20)의 배터리는 배출장치(10)의 배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출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배출장치(10)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외부기기(20)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방향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기기(20)가 손목에 찰 수 있는 스마트 와치인 경우, 배출장치(10)는 스마트 와치의 시계줄에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장치(10)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이때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배출장치(10)에 제공된 센서부(190)를 통해 수집되거나, 배출장치(10)가 장착된 외부기기(20)의 센서부(260)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외부기기(20)에서 수집된 정보는 통신부(14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전달된다.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또는 이를 처리하여 얻어진 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시간에 따라 누적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등일 수 있다.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하나의 연속된 동작이거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누적된 동작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정보는 제스쳐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얻어진 정보이거나, 이를 처리하여 얻어진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움직임이거나, 방향물질이 배출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움직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판단을 위한 기준이 되는 데이터는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정한 강도 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시간 범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누적된 복수 개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의 기준 데이터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집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S130). 여기서, 배출 조건은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배출 조건은 수집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변경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일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가 판단하는 배출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량, 배출 방향, 배출 패턴, 배출되는 방향물질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배출 조건의 결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배출부(170), 구동부,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S140). 일 예로, 제어부(110)는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방향물질을 기화시킬 수 있고, 배출 조절 수단(176)을 제어하여 배출통로(174)를 개방함으로써 기화된 방향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외부기기(20)로 배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외부기기(20)는 제공받은 배출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10)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배출장치(10)를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고 다니면서 자신이 원할 때 방향물질을 자신의 신체나, 주변 공간에 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출장치(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착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자유롭게 양 손을 사용하여 용무를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배출장치(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방향물질의 배출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본인이 방향물질의 배출을 원하는 상황에서 직접 배출장치(10)를 조절하지 않고 특정 움직임을 하는 것만으로도 방향물질이 뿌려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가 누적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초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방향물질이 뿌려지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만족도도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의 배출이 완료된 이후,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를 외부기기(20)로 송신할 수 있다(S150). 이때, 외부기기(20)로 송신되는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는 상술한 것처럼 저장부(160)에 남아 있는 방향물질의 잔량, 방향물질의 배출량, 방향물질의 배출 횟수, 방향물질의 배출 방향, 방향물질의 배출 시간, 배출된 방향물질의 종류, 방향물질 배출 패턴, 방향물질 배출 이력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외부기기(20)는 배출장치(10)로부터 배출 정보를 수신한 후, 이에 대한 사용자 또는 주변 공간에서의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배출장치(10)에서 방향물질이 배출된 이후에 새롭게 수집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일 수 있다. 즉, 피드백 정보는 방향물질의 배출 이후에 갱신된 정보이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센서부(260)를 통해 수집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향물질이 배출된 후 자신의 느낌, 또는 주변 사람들의 반응 등을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외부기기(20)는 수집된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배출장치(10)로 피드백 정보를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통신부(24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피드백 정보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피드백 정보를 처리한 결과 또는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한 변경된 배출 조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드백 정보 그 자체, 피드백 정보를 처리한 결과, 및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한 변경된 배출 조건을 아울러 피드백 정보라고 하겠다.
제어부(110)는 외부기기(20)로부터 피드백 정보가 통신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S160),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배출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S170).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전달된 피드백 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하거나, 소정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로서 배출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심박수가 안정되어 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양을 줄이거나, 배출 간격을 늘리는 등 배출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조절된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S180).
본 실시예에서는 피드백 정보를 외부기기(20)가 수집하고, 외부기기(20)가 이를 배출장치(10)에 전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피드백 정보는 배출장치(10)에서 수집되어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장치(10)의 센서부(190)는 방향물질의 배출 이후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출 조건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배출 조건을 변경하여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S150 단계 내지 S180 단계는 방향물질의 배출 이후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장치(10)는 수집된 피드백 정보에 따라 방향물질의 배출을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피드백 정보를 처리, 판단하기 위한 조건, 기준은 배출장치(10) 및 외부기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250)를 통해 조절되어 메모리(120, 2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배출 조건을 변경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10)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로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를 조작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하게 방향물질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20)의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등을 수집하거나, 시간적 이벤트, 공간적 이벤트 등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거나,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등사용자 주변의 상황 정보로서 사용자 콘텍스트(context)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콘텍스트는 배출장치(10)에서 측정된 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전달받거나, 센서부(260)를 통해 수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시간적 이벤트는,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시간적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이벤트는,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공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공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공간적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및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는 배출장치(10)로부터 통신부(24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콘텍스트와 시간적 이벤트 및 공간적 이벤트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시간적 이벤트 및 공간적 이벤트도 사용자 주변 상황 정보로서 사용자 콘텍스트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S210 단계에서 수집 또는 판단 결과를 바탕으로 배출장치(10)로 방향물질 배출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센서부(26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땀 분비량이 증가하고 있거나, 기 설정된 값보다 더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방향물질의 배출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배출장치(10)로의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방향물질 배출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한다(S230). 여기서, 배출장치(10)로 전달되는 정보는 상술된 배출 조건일 수 있다.
배출장치(10)는 외부기기(20)로부터 전달받은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한 후, 외부기기(20)로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또는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기(20)는 배출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S240),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외부기기(20)는 방향물질의 잔량 및 배출량을 배출장치(1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다시 사용자의 움직임, 사용자 생체 정보,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등을 수집하거나, 시간적 이벤트, 공간적 이벤트 등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거나,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60). 즉, 제어부(210)는 방향물질의 배출 이후 새로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새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배출장치(10)로 방향물질의 배출을 위한 피드백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270),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통신부(24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8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20)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외부기기(20) 측에서 사용자 움직임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배출장치(10)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장치(10)가 외부기기(20)로부터 사용자 움직임 등의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배출장치(10)에는 센서부(19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출장치(10)의 제조 단가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물질의 저장 용량을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출장치(10)와 외부기기(20)의 연동에 의해, 배출장치(10)의 착용 위치를 보다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외부기기(20)를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 일 예로 손목 등에 착용하고, 배출장치(10)는 방향물질의 배출을 원하는 위치, 일 예로 가방 등에 착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조건 결정을 위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는 손목의 움직임이 사용되나, 방향물질의 배출은 다른 위치에서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배출장치(10)와 외부기기(20)를 연동시킴으로써,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시나리오를 더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사용자 인테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d)에 도시된 도면은, 외부기기(20)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일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제공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의 디스플레이 화면(251)에는 메뉴 영역(252)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 영역(252)에 표시된 각각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영역(252)에는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단일의 방향물질에 대한 배출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 복수의 방향물질의 배합방법 및 배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 배출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 각종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51)에는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물질의 정보(253)가 잔량(254)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160)에 서로 다른 향을 내는 3개의 방향물질이 저장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향물질의 배출 조건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메뉴(255)도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방향물질에 대한 배합비율을 시각적으로 표시된 혼합비율 선택 영역(256)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합비율(257)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혼합비율 선택 영역(256)에는 2개 이상의 방향물질의 혼합비율을 나타내는 모양/색깔/기호 등이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혼합비율 선택 영역(256)에서 원하는 혼합비율을 나타내는 모양/색깔/기호를 터치할 수 있고, 터치됨으로써 선택된 혼합비율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하이라이트(257)될 수 있다. 선택된 혼합비율은 배출장치(1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는 그에 따른 배출 조건을 설정하여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또 다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복수의 방향물질의 배합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선(258a)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의 면적은 제1 방향물질의 상대양을 나타내고, 하부 영역의 면적은 제2 방향물질의 상대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구획선(258a)을 터치하여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물질의 배합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향물질 선택버튼(258)을 클릭하여 배합을 하려는 방향물질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하루 일과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배출장치(10) 및 외부기기(20)의 센서부(190, 260)에서 측정된 정보이거나 이를 처리하여 얻어진 값일 수 있다. 도면에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안정 상태 및 집중도(259)가 예시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도 하루 일과 중 휴식을 취한 시간과 휴식의 상태, 하루 일과 중 업무에 집중한 시간과 강도, 및 하루 일과 중 수면을 취한 시간과 숙면 상태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배출 조건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유익하게 배출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 도시된 화면이 외부기기(20)의 화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화면에 표현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은 배출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고, 외부기기(20) 또는 배출장치(10)와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 일 예로 스마트폰, TV 등 다른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10')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장치(10')는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 목적에 따른 구성요소들 구비하는 본체(11')와, 본체(11')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형성된 착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장치(10')가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여기서, 저장부(160'), 배출부(170'), 및 구동부(미도시)는 본체(11') 또는 장착부(12')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워치의 시계줄 내부에 저장부(160') 및 배출부(170') 등이 내장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설치 위치, 구조 등은 웨어러블 기기의 종류 및 방향물질 배출 조건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방향물질 배출장치(10')가 웨어러블 기기인 경우, 배출장치(110')는 방향물질의 배출을 위한 센서부,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배터리 등으로 웨어러블 기기로서 동작하기 위한 센서부, 통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배터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웨어러블 기기에 방향물질 배출을 위한 저장부, 배출부, 구동부 등이 추가되고, 웨어러블 기기의 제어부, 센서부, 통신부, 메모리, 배터리 등이 방향물질의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상황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20)는 배출장치(10)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들과도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장치는 스마트폰(30), PC 또는 노트북(40), TV(50), 에어컨 등 스마트홈 장치(60), 및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장치(70) 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등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 및 수집된 정보를 외부기기(20) 등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50)에는 카메라 등 영상 수집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TV(50)는 영상 수집 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외부기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기기(20)의 제어부(210)는 통신부(240)를 통해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과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연결을 맺을 수 있다(S310).
이후 제어부(210)는 다른 장치들로 방향물질 배출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20).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기기(20)가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 측에서 먼저 외부기기(20)에 방향물질 배출을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외부기기(20)는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배출장치(10)를 통해 방향물질 배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방향물질의 배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배출장치(10)와 연동하여 배출 조건에 따른 방향물질의 배출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S330).
이때, 외부기기(20)는 배출장치(10)로부터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는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에 전달될 수 있다(S340).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은 탑재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등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외부기기(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기기(20)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사용자 움직임 정보 등을 더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30)으로 특정인으로부터 전화가 왔을 때, 노트북(40)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TV(50)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방영될 때, 에어컨(60)이 구동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났을 때, 가상현실 장치(70)에서 특정한 장면이 연출될 때 등 각각의 장치에서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각각의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방향물질의 배출을 외부기기(20)를 통해 배출장치(10)로 요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기기(20)가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과 통신하고 배출장치(10)는 외부기기(20)와 통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은 배출장치(10)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은 수집된 정보, 피드백 정보 등을 배출장치(10)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은 상술된 외부기기(20)의 특징들 중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다는 특징을 제외한 다른 특징들을 실질적으로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장치들(30, 40, 50, 60, 70)도 제어부, 통신부, 센서부, 메모리, 배터리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방향물질의 배출과 관련하여 외부기기(20)와 마찬가지로 배출장치(10)와 연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센서부(190)를 이용하거나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기기(20)의 센서부(260)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전달받음으로써,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a). 일 예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칼로리 소모량일 수 있다. 칼로리 소모량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 또는 사용자가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120a). 일 예로, 메모리(120)에는 칼로리 소비량에 대한 기준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어부(120)는 S110a 단계에서 수집된 칼로리 소비량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조건을 판단한 후(S130a) 배출부(170), 구동부,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S140a). 이때, 배출 조건은 수집된 정보의 종류(칼로리 소비량)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산출된 다른 사용자의 생체정보, 다른 수집 정보, 수집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시간에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오후 시간에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의 방향물질의 배출량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그래프는 사용자가 출근하면서 칼로리 소비량이 증가될 때 기준 값을 초과하여 방향물질이 분사되고, 퇴근하면서 칼로리 소비량이 증가될 때 기준 값을 초과하여 방향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서 칼로리 소모량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호르몬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냄새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여성의 생리, 임신 등 호르몬 변화에 따라 신체에서 나는 냄새는 미세하게 변화될 수 있고, 센서부(190, 260)는 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여성이 생리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방향물질의 배출량을 늘리거나 배출횟수를 늘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출 조건을 변화하여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센서부(190)를 통해 심박수, 뇌파, 체온, 맥박, 혈압 등의 정보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기쁨도, 흥분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향물질을 선택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가 기 설정된 값보다 높아진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스트레스를 낮춰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방향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센서부(190, 26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예를 들어 과거 병력사항, 알러지, 고열, 피부병, 심장병 등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처리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메모리(120, 22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센서부(190)를 이용하거나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기기(20)의 센서부(260)에서 수집된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를 전달받음으로써,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b). 일 예로,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는 빛의 밝기인 조도일 수 있다. 조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 또는 사용자가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수집된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120b). 일 예로, 메모리(120)에는 조도에 대한 기준 값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어부(120)는 S110b 단계에서 수집된 조도가 기준 값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시간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기준 값보다 조도가 낮게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수집된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조건을 판단한 후(S130b) 배출부(170), 구동부,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S140b). 이때, 배출 조건은 수집된 정보의 종류(조도)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산출된 다른 사용자 주변의 공간 정보, 다른 수집 정보, 수집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조도 조건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배출 조건은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그림은 사용자가 취침하려고 누워있을 때, 일정 시간 이상 기준 값보다 낮은 조도가 유지되는 경우 방향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때, 배출되는 방향물질은 수면 유도 기능을 갖는 방향물질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주변 공간의 정보로서 조도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주변 공간의 정보는 주변 사람들과의 밀집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센서부(190, 260)는 초음파 센서, 거리 센서, 레이다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을 이용하여 주변의 객체(사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들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이거나, 객체의 수가 일정 숫자 이상인 경우에는 밀집도가 큰 것으로 판단하여, 방향물질 배출량을 줄이거나, 배출 방향을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주변 공간의 정보는 주변 공간의 종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공간의 소음, 공기의 질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 주변 공간이 도심인지 숲 속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주변 공간이 숲 속인 경우라면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의 배출이 이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한 방향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조건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시간 범위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 설정 시간 범위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기기(20)로부터 전달받은 기 설정 시간 범위와 현재 시간을 로딩할 수 있다(S110c). 이때 기 설정 시간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시간일 수도 있다. 또한, 기 설정 시간 범위에는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를 포함하는 배출 조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기 설정된 시간 범위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정보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운동 종료 시, 데이트 시작 시 방향물질을 배출하라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범위 내인지를 판단한다(S120c). 일 예로, 제어부(110)는 현재 시간이 방향물질의 배출 조건인 운동이 끝나는 9시에 대응되는 범위인지, 또는 현재 시간이 데이트가 시작되는 19시에 대응되는 범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조건을 판단한 후(S130c) 배출부(170), 구동부,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S140c). 이때, 배출 조건은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다른 수집 정보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 9시 이전이고, 사용자의 칼로리 소비량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에만 방향물질이 배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그림은, 사용자의 하루 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250)를 이용하여, 일정 정보를 편집하고, 특정 시간 범위인 경우, 구체적으로 운동이 종료되는 9시와 데이트가 시작하는 19시에 방향물질이 분사되도록 설정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9시와 19시에 분사되는 방향물질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 범위로서 일정 정보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범위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기 설정된 시간 범위는 여성의 생리 주기와 같이 일정한 패턴 또는 주기로 변화되는 사용자의 생리학적 정보일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 설정된 시간 범위는 메모리(120, 22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공간 범위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 설정 공간 범위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기기(20)로부터 전달받은 기 설정 공간 범위와 현재 위치를 로딩할 수 있다(S110c). 이때 기 설정 공간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일 수도 있다. 또한, 기 설정 공간 범위에는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를 포함하는 배출 조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기 설정된 공간 범위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2차원 지도 정보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특정 영역 내로 진입할 경우 방향물질을 배출하라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공간 범위 내인지를 판단한다(S120c). 일 예로, 제어부(110)는 현재 위치가 방향물질의 배출 조건인 특정 영역 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조건을 판단한 후(S130c) 배출부(170), 구동부,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S140c). 이때, 배출 조건은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공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다른 수집 정보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특정 영역 내이고, 일정 정보에서 19시 데이트를 앞두고 있는 경우에만 방향물질이 배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그림은, 2차원 지도 내에 표시된 기 설정된 공간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 250)를 이용하여, 공간 범위를 편집하고, 배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공간 범위로서 2차원 지도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공간 범위로서 3차원 공간 내에서의 위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 설정된 공간 범위는 메모리(120, 22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0은 도 11의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배출장치(10)의 제어부(110)는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또는 외부기기(20)의 상태 정보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배출장치(10)의 착용 후 경과시간, 배터리(130) 잔량,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물질 잔량, 외부기기(20)와의 통신 연결 상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상태 등 배출장치(10)의 상태 정보 및 외부기기(20)의 착용 후 경과시간, 배터리(230)의 잔량, 통신 연결 상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상태 등 외부기기(20)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할 수 있다(S110d). 일 예로, 제어부(110)는 외부기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전달받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S110d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판단한다(S120d). 일 예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의 조작 정보가 방향물질의 배출을 지시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조건을 판단한 후(S130d) 배출부(170), 구동부, 기화부(180)를 제어하여 배출 조건에 따라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S140d). 이때, 배출 조건은 외부기기(20)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배출장치(10) 의 상태 정보, 다른 수집 정보 등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20)로부터 방향물질 배출을 지시하는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하더라도, 배출장치(10)의 방향물질 잔량이 기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방향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그림은, 사용자가 스마트 와치의 다이얼을 사용하여 방향물질의 배출 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기기(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를 이용한 조작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출장치(10) 또는 외부기기(20)가 착용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방향물질이 배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10a)는 머리 착용형 장치(HMD, 80)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머리 착용형 장치(80)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머리 착용형 장치(80)는 실질적으로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외부기기(20)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배출장치(10a)와 연동하여 방향물질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리 착용형 장치(80)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머리 착용형 장치(80)의 제어부는 배출장치(10a)측으로 특정의 방향물질의 배출을 요청할 수 있다. 배출장치(10a)에는 상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방향물질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배출장치(10a)는 머리 착용형 장치(80)의 요청에 대응되는 특정의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배출장치(10a)가 복수 개 제공되거나, 배출장치(10a)에서 방향물질의 배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방향물질이 제공되는 방향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10b, 10c)는 입을 가릴 수 있는 형태의 마스크(92) 또는 코에 삽입되는 형태의 마스크(94)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배출장치(10b, 10c)의 본체 및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구조는 그 설치 목적에 맞게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92, 94)는 단순히 호흡기를 커버하는 것일 수도 있고, 호흡을 위한 흡기필터, 배기필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외부기기(20)에 대응되는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배출장치(10b, 10c)가 호흡기를 보호하는 마스크(92, 94)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 방향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와 인접한 위치에서 직접 호흡기를 향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방향물질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단순히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사용자 또는 배출장치(10) 및 외부기기(2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상황에 맞게 방향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 및 제품에 대한 활용도,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주변의 공간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공간 범위 등 사용자와 관련된 콘텍스트(context)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시나리오를 더욱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10', 10a, 10b, 10c, 10d: 방향물질 배출장치
11: 본체 12: 장착부
110: 제어부 120: 메모리
130: 배터리 140: 통신부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저장부
170: 배출부 180: 구동부, 기화부
190: 센서부 20: 외부기기
21: 본체 22: 장착부
210: 제어부 220: 메모리
230: 배터리 240: 통신부
2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60: 센서부
30, 40, 50, 60, 70: 다른 장치 80: 머리 착용형 장치
92, 94: 마스크

Claims (20)

  1.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방향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공간 정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기 설정된 공간 범위, 및 상기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고려하여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시간 범위, 및 상기 공간 범위 중 하나 이상은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향물질의 저장량 및 상기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은 하나의 연속된 동작이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누적된 복수 개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방향물질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및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물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웨어러블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것인 방향물질 배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서로 다른 향을 낼 수 있는 복수 개의 방향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방향물질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방향물질을 기화시키는 기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기화된 상태의 상기 방향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한 결과에 따라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조건을 변경하고,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 조건에 따라 상기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것인 방향물질 배출장치.
  14.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방향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배출하고자 하는 상기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본체에 제공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방향물질을 상기 본체에 제공된 배출부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주변의 공간 정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기 설정된 공간 범위, 및 상기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활용하여 상기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상기 공간 정보, 상기 시간 범위, 및 상기 공간 범위 중 하나 이상을 외부기기로부터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제공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 외부기기로부터 감지 결과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향물질의 저장량 및 상기 방향물질의 배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갱신된 정보를 전달받는 피드백 수신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방향물질의 종류, 양, 배출 방향, 배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물질 배출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172723A 2016-03-04 2016-12-16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3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674 2016-03-04
KR20160026674 2016-03-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30A Division KR101689761B1 (ko) 2016-03-04 2016-06-13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18A true KR20170103618A (ko) 2017-09-13

Family

ID=57733706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30A KR101689761B1 (ko) 2016-03-04 2016-06-13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60073072A KR101720266B1 (ko) 2016-03-04 2016-06-13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20160075075A KR101689763B1 (ko) 2016-03-04 2016-06-16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20160172725A KR20170103619A (ko) 2016-03-04 2016-12-16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20160172723A KR20170103618A (ko) 2016-03-04 2016-12-16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70035180A KR20170103706A (ko) 2016-03-04 2017-03-21 방향물질 배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30A KR101689761B1 (ko) 2016-03-04 2016-06-13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60073072A KR101720266B1 (ko) 2016-03-04 2016-06-13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20160075075A KR101689763B1 (ko) 2016-03-04 2016-06-16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20160172725A KR20170103619A (ko) 2016-03-04 2016-12-16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180A KR20170103706A (ko) 2016-03-04 2017-03-21 방향물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20180373272A1 (ko)
KR (6) KR101689761B1 (ko)
WO (3) WO20171509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79A1 (ko) * 2018-05-10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발수 구조를 가진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수분 침투 감지 방법
KR102217146B1 (ko) * 2020-07-27 2021-02-18 김남호 팔찌형 손세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61B1 (ko) * 2016-03-04 2016-12-26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06550B1 (ko) 2016-10-18 2018-10-12 유퍼스트(주)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KR101943616B1 (ko) * 2017-02-10 2019-01-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전소자를 이용한 발향장치
KR101896308B1 (ko) * 2017-02-24 2018-09-07 장인수 웨어러블 미스트 분사장치
KR102150282B1 (ko) * 2017-07-13 2020-09-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되는 후각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BR112020020996A2 (pt) * 2018-05-04 2021-01-19 Givaudan Sa Sistema interativo de dispensar aroma
WO2020003532A1 (ja) * 2018-06-29 2020-01-02 日本電気株式会社 学習モデル作成支援装置、学習モデル作成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1058788B2 (en) 2018-07-04 2021-07-13 Pium Labs, Inc. Fragrance discharge apparatus
KR102133055B1 (ko) * 2018-07-04 2020-07-10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카트리지
KR102148208B1 (ko) * 2018-07-04 2020-08-28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2162487B1 (ko) * 2018-07-04 2020-10-07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2608981B1 (ko) * 2018-10-24 2023-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향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JP7234359B2 (ja) * 2018-11-09 2023-03-07 ▲広▼▲東▼美的白色家▲電▼技▲術▼▲創▼新中心有限公司 ムーバブル電動装置
KR102199634B1 (ko) * 2018-11-30 2021-01-07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KR102223851B1 (ko) 2018-12-17 2021-03-05 주식회사 케이이피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KR102223845B1 (ko) 2018-12-17 2021-03-05 주식회사 케이이피 능동형 방향 장치
KR101988844B1 (ko) 2019-01-08 2019-06-12 주식회사 딥센트 향기 분사 시스템
KR102358046B1 (ko) * 2019-01-08 2022-02-03 주식회사 딥센트 향기 분사 시스템
KR102219225B1 (ko) * 2019-03-07 2021-02-24 이지유 밴드형 미스트
WO2020210641A1 (en) * 2019-04-11 2020-10-15 Sensory Cloud, Llc Scent dispensers and methods to activate scent media at determined times and/or for determined periods
FR3095764A1 (fr) * 2019-05-10 2020-11-13 Innobiz Diffuseur de liquide concentré, système de diffusion de liquide concentré et procédé de diffusion d’un liquide concentré, avec identification du liquide concentré
US11786694B2 (en) 2019-05-24 2023-10-17 NeuroLight, Inc. Device, method, and app for facilitating sleep
KR20190086631A (ko) * 2019-07-02 2019-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동작을 고려하여 청소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US20210069371A1 (en) * 2019-09-06 2021-03-11 Savv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a liquid fragrance into the air
KR102293158B1 (ko) * 2019-10-22 2021-08-25 주식회사 딥센트 후각 환경 관리 시스템
FR3102367A1 (fr) * 2019-10-28 2021-04-30 Valeo Systemes Thermiques Système de gestion de diffusion d’odeurs pour habitacle de véhicule automobile et procédé de commande associé
ES2825175B2 (es) * 2019-11-14 2022-03-31 Univ Rey Juan Carlos Dron humidificador
US20210146388A1 (en) * 2019-11-18 2021-05-20 Agco Corporation Aerial boom with through-fan spray and related methods and vehicles
KR102366726B1 (ko) * 2019-11-27 2022-02-23 백다혜 Iot 조향 장치
CN112972746A (zh) * 2019-12-18 2021-06-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穿戴装置及其香味释放控制方法
KR102134206B1 (ko) * 2019-12-24 2020-07-15 주식회사 메쥬 심전도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1148659A1 (en) 2020-01-24 2021-07-29 Firmenich Sa User gesture data collection system, multisensory experience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1851178B2 (en) * 2020-02-14 2023-12-26 The Aerospace Corporation Long range endurance aero platform system
KR20220143925A (ko) 2020-02-28 2022-10-25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관리 시스템, 정보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10121964A (ko) 2020-03-31 2021-10-08 유태수 스마트 다기능 방향제 확산시스템
TWI739378B (zh) * 2020-04-08 2021-09-11 崑山科技大學 紫外線殺菌裝置
KR102348185B1 (ko) * 2020-04-16 2022-01-06 주식회사 딥센트 향기를 이용한 수면 케어 시스템
US11771185B2 (en) * 2020-05-15 2023-10-03 Ready Squirt Wrist dispenser
KR102306509B1 (ko) * 2020-06-26 2021-09-30 주식회사 이엠텍 수면 관리 기능을 구비한 음향 변환 장치
KR20220011239A (ko) 2020-07-20 2022-01-28 주식회사 딥센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KR20220011240A (ko) 2020-07-20 2022-01-28 주식회사 딥센트 악취 제거 발향 기능을 갖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WO2022032107A1 (en) * 2020-08-06 2022-02-10 Strassburger Daniel J Wearable fragrance dispensing devices
RU202896U1 (ru) * 2020-08-14 2021-03-12 Андрей Борисович Кутузов Наручное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кучих сред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624646B1 (ko) 2021-06-04 2024-01-12 서승현 멀티 스프레이 디퓨저
USD1016622S1 (en) 2021-06-17 2024-03-05 Sensory Cloud, Inc. Aerosol dispenser
KR102600587B1 (ko) * 2021-09-30 2023-11-08 주식회사 센트프로 라이프 패턴 적응형 조향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931486B2 (en) 2022-01-19 2024-03-19 Dempsey Holdings, LLC Diffuser
KR20230123023A (ko) * 2022-02-14 2023-08-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웨어러블 장치
KR102569270B1 (ko) * 2022-09-16 2023-08-24 (주)맥원 인체 감지에 따른 발열매트 온도조절이 가능한 인공지능 조절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7563A (en) * 1975-12-02 1977-06-04 Denki Kagaku Kogyo Kk Method of fabricating thermally
JPH0730932B2 (ja) * 1990-02-14 1995-04-10 鹿島建設株式会社 芳香発生装置の香料噴霧制御方法
KR100284158B1 (ko) * 1999-05-11 2001-02-15 김종주 방향제 자동 분무장치
US20040007787A1 (en) * 2000-12-05 2004-0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AU2003228064A1 (en) 2002-06-12 2003-12-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ragrance dispenser,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such a fragrance dispenser, and cartridge for such a fragrance dispenser
JP3874715B2 (ja) * 2002-11-13 2007-01-31 明 伴野 香り発生器および香り発生装置
WO2005032998A1 (en) 2003-10-02 2005-04-14 The X Group, Inc Portable dispensing systems
KR20050081129A (ko) * 2004-02-12 2005-08-18 강성탁 움직이는 공기청정기
EP1841349A2 (en) * 2004-11-23 2007-10-10 S.C. Johnson & Son, Inc. Device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cleaning of surfaces
JP2009217641A (ja) * 2008-03-11 2009-09-24 Ntt Communications Kk 香り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香りサービス管理装置、香り発生装置、香り発生制御装置、香り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83296B2 (en) * 2009-01-08 2016-03-15 Scentcom, Ltd. Scent producing apparatus
US8109643B2 (en) 2009-02-13 2012-02-07 Tsai-Ying Wu Perfume-dispensing, auto light-regulating and music-playing lamp system
US20110110824A1 (en) 2009-11-09 2011-05-12 Ming Jen Hsiao Aromatic device
KR100944801B1 (ko) * 2009-12-03 2010-02-26 이창현 출입 게이트용 인체살균장치
US8784747B2 (en) 2011-12-22 2014-07-22 Marcy Carmichael Fragrance dispenser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50238B2 (en) * 2012-08-31 2015-02-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Odor removing device
KR101517399B1 (ko) * 2012-09-26 2015-05-06 최용순 소리/향 발생장치,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소리/향 발생장치 제어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및 소리/향 발생장치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US8862285B2 (en) 2013-02-15 2014-10-14 Disney Enterprises, Inc. Aerial display system with floating pixels
JPWO2015025511A1 (ja) * 2013-08-23 2017-03-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匂い再生装置
WO2015089010A1 (en) * 2013-12-10 2015-06-18 Nanomedical 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sustained release of fragrant compound
US20150258560A1 (en) * 2014-03-12 2015-09-17 Icon Health & Fitness, Inc. Scent Based Workout Mechanism
US9913465B2 (en) * 2014-11-24 2018-03-13 Adeco Int'l, LLC Wearable and re-sealable aromatic device
KR101689761B1 (ko) * 2016-03-04 2016-12-26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79A1 (ko) * 2018-05-10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발수 구조를 가진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수분 침투 감지 방법
US11290800B2 (en) 2018-05-10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water repellent structure using speaker module and method for sensing moisture penetration thereof
KR102217146B1 (ko) * 2020-07-27 2021-02-18 김남호 팔찌형 손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706A (ko) 2017-09-13
KR101689763B1 (ko) 2016-12-27
WO2017150917A1 (ko) 2017-09-08
WO2017150920A1 (ko) 2017-09-08
KR101689761B1 (ko) 2016-12-26
WO2017150919A1 (ko) 2017-09-08
US20180373272A1 (en) 2018-12-27
KR20170103619A (ko) 2017-09-13
KR101720266B1 (ko) 2017-03-28
US20190008992A1 (en) 2019-01-10
US20180369847A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761B1 (ko)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905803B (zh) 可穿戴电子设备及其情绪监控方法
US9861137B2 (en) Electronic cigarette
CN105388997B (zh) 向电子设备的用户提供预激提示
KR101609715B1 (ko) 전자담배 관리 시스템
US20090221890A1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CN106174705B (zh) 吸入式设备控制系统及方法
WO2016112534A1 (zh) 一种手环式电子烟及其数据采集和显示方法
KR20140099539A (ko) 행동 추적 및 수정 시스템
KR102384034B1 (ko) 뷰티 펜슬 및 이를 포함하는 뷰티 시스템
UA127312C2 (uk) Система управління з розпізнаванням жестів тіла для безкнопкового вейпінгу
CN105709402B (zh) 一种运动现场教练辅助系统
KR102545382B1 (ko)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210077456A (ko) 수액 주입장치
KR101569704B1 (ko) 물 섭취량을 알려주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11588096A (zh) 便携式电子烟雾器
US11856994B1 (en) E-cigarettes, e-cigars, vape-device public safety and protection mechanisms
CN106406120A (zh) 一种腕戴式电子装置及基于该装置控制智能家电的方法
KR102391177B1 (ko) 가상의 오감 감각 전달을 활용한 심리 변화 유도 방법
KR101896380B1 (ko) 지능형 방향 시스템
CN212382098U (zh) 便携式电子烟雾器
KR102536916B1 (ko) 외부 디바이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N211217192U (zh) 一种智能电子雾化器
EP4094603A1 (en) Inhal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CN209003989U (zh) 多重生理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