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34B1 -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34B1
KR102199634B1 KR1020180151913A KR20180151913A KR102199634B1 KR 102199634 B1 KR102199634 B1 KR 102199634B1 KR 1020180151913 A KR1020180151913 A KR 1020180151913A KR 20180151913 A KR20180151913 A KR 20180151913A KR 102199634 B1 KR102199634 B1 KR 10219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upling portion
blower
coupl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435A (ko
Inventor
황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15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연직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바일단말 및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트레이수용부,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이전달홈 및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레이부; 및 복수의 발산홈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단말 또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트레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거쳐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제가 첨가된 송풍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MOBILE TERMINAL INTERLOCKING TYPE AIR FRESHENER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단말 또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트레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거쳐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제가 첨가된 송풍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밀폐된 공간에서 용기에 수용된 방향제를 외부로 휘산하여 주위에 쾌적한 환경을 도모한다. 상술한 방향제의 사용은, 차량의 실내 가옥의 실내 및 화장실 등에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각종 기능이 부가되어 범용성을 가진 각종 방향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제들 중 피톤치드(phytoncide)는 식물이 박테리아, 곤충 및 곰팡이, 공격 유기체로부에 저항하기 위하여 방출하는 살균성을 가진 모든 물질들을 통틀어 지칭하는 용어로, 피톤치드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성분이 다르고 결과적으로 그 효과도 차이가 있으며, 스트레스의 완화작용, 강력한 항균작용, 탈취작용, 피로의 진정작용,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작용 및 면역기능 증대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다양한 기능을 지닌 피톤치드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밝히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침엽수에 속하는 편백나무는 타 수목에 비해 단위당 피톤치드의 방출량이 월등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상품이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향을 좋아하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향 제조 기술이 떨어져 소비되는 향은 거의 대부분 외국 회사 제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에서도 일본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데 일본 향이 선호되는 이유는 품질의 고급화로 중상류층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산 천연 향은, 한 통에 1 만원선의 고가에 거래되고 있어 서민들에겐 다소 부담스러운 반면 품질과 외제를 좋아하는 중상류층에게는 오히려 매력적인 상품이 되고 있어 일본 여행 시 개인적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인조 향의 경우는 천연향보다 값이 저렴해 한 통에 5백원에서 1천원선에 구입할 수 있다. 화학물질로 제조돼 있어 향을 사르는 본래 취지와는 거리가 있으나 싼 가격 때문에 대부분 이러한 인조향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천연이 아닌 인조향을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이 요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관련 자료를 보면 방향제가 건강에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영국왕립의학회(Royal College of Physicians)와 국왕립보건소아과학회(the Royal College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는 공동 연구 보고서에서 살충제뿐만 아니라 방향제 등의 탈취제가 공기를 오염시켜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전역에서 실내 공기오염으로 숨진 이는 연 9만9000명에 이르며 영국에서 실내외 공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최소 연 4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향기를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 여러 제조사들은 프칼레이트를 첨가하여 생산하지만 이 성분은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으로 지정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향 재료 뿐 아니라 향을 담는 용기에서도 문제는 발생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제품은 환경 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이 여러 보도자료에서 보고되고 있다.
매체에 따르면 연구진들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클린코튼향, 딸기향, 키위향 등의 6종류의 캔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독 성분이 검출됐고, 장기간 노출될 경우 기관지에 영향을 미치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의 암 돌연변이 생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향기로움 뒤에 숨겨진 독성으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성분은 방향제에 들어있는 포름알데히드(폼알데하이드) 성분인데 이 성분은 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값싼 원료를 이용하여 우수한 상품성을 만들려고 사용하게 되는 성분으로 암 발생 확률이 매우 높다.
한편, 자동차 실내는 상당 시간 밀폐되어 있고, 습한 지하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실내 공기 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자동차 내부에 항균성 방향제를 설치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함께 방출되어 오히려 인체를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에 비치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천연재료만으로 만든 항균성 방향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 제 10-1661882 호에는 차량용 방향제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해당 종래기술은 차량의 에어벤트에 설치되어 에어벤트에서 발생되는 송풍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방향제를 설치하는 위치가 한정적인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661882 호(2016.09.2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87680 호(2018.10.15.) 등록특허공보 제 10-1492156 호(2015.02.0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단말 또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트레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거쳐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제가 첨가된 송풍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연직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바일단말 및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트레이수용부,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이전달홈 및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레이부; 및 복수의 발산홈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 및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1본체수용부, 상기 제1본체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하본체결합부 및 상기 제1본체수용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하본체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본체;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홈, 상기 관통홈의 주변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브라켓결합부 및 상기 관통홈의 주변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브라켓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부; 및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송풍수용부, 상기 송풍수용부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송풍결합부 및 상기 송풍수용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송풍결합부를 포함하는 송풍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브라켓부 및 송풍부를 수용하는 제2본체수용부 및 상기 제2본체수용부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본체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본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에는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송풍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트레이결합부 및 상기 트레이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트레이결합부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트레이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결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본체결합부, 제1송풍결합부, 제1트레이결합부 및 제3커버결합부는 각각 상기 하부본체, 브라켓, 송풍부, 트레이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 제1브라켓결합부, 제2송풍결합부 및 제2트레이결합부는 각각 상기 절곡돌기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서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돌기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서 일 측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된 절곡돌기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하부본체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입구; 및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필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하부에 상기 제1송풍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하부관;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송풍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 제2송풍결합부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하부관보다 좁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에는 외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LED램프가 포함되되, 상기 LED램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LED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의 밝기, 상기 LED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깔 및 상기 LED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의 발산 속도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에 의하면, 모바일단말 또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트레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거쳐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제가 첨가된 송풍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과 모바일단말이 연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유입구 및 필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하부본체, 브라켓부, 송풍부 및 상부본체, 트레이부 및 커버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송풍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단말 또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트레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거쳐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제가 첨가된 송풍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과 모바일단말이 연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a 내지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은, 구동모터(110) 및 상기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되어 연직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20)을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바일단말(600) 및 스위치(13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200),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트레이수용부(310),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이전달홈(320) 및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3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레이부(300) 및 복수의 발산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은 상기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120)이 송풍을 발생시켜, 상기 송풍이 상기 트레이부(300)에 수용되는 방향제(330)를 거쳐 상기 커버부(400)의 발산홈(410)을 통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제(330)가 첨가된 송풍이 주변으로 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0)를 구동시키는 배터리(210)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210)에 의해 상기 제어부(200)로 자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 및 케이블 등을 연결하여 실내나 차량에서만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콘센트 및 케이블을 연결할 수 없는 실외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은 자체 전원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단말(600) 및 스위치(136)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과 이격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단말(60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1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과 인접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136)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1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모바일단말(60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 및 스위치(136)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10)의 ON/OFF 상태 및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 속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10)와 송풍팬(120)을 연결하는 회전축(115)의 도시가 생략된 도면이 있으나, 1c 및 도 1d를 참고하거나, 일반적인 구동모터와 송풍팬은 별도의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구동모터(110)와 송풍팬(120)은 회전축(115)에 의해 연결됨이 자명하다.
상기 트레이부(300)는 트레이수용부(310)에 방향제(330)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송풍팬(120)으로부터 발생되는 송풍의 진행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에 방향제(330)가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트레이부(300)에 구비되는 방향제(330)는, 편백, 측백 및 화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측백나무 추출물; 라벤더, 타임, 클로브,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및 티 트리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에센셜 오일; 베르가못(Bergamot), 그린 노트(green note), 레몬(Lemon), 로즈 마리(Rose marry), 로즈(Rose), 뮤젯(Muguet), 게라늄(Geranium), 히아신스(Hyacinth), 머스크(Musk), 아이리스(Iris), Vetiver(베티버), 및 모스(Moss)로 이루어진 그린 계열의 향료; 및 알데하이드 C11 운데실레닉(Aldehyde C11 Undecylenic), 베르가못 오일 FFC(Bergamot Oil FFC), 감마-운데칼락톤(gamma-Undecalactone),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헬리오날(Helional), 알파-다마스콘(alpha-Damascon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메틸 디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 Jasmonate), 시스-자스몬(cis-Jasmone), 하이드록시 시트르산(HCA), 자스민 앱솔루트(Jasmin Absolute), 하이드록시 시트로넬랄(Hydroxycitronellal), 오란티올(Aurantiol), 일랑 일랑 오일(Ylang ylang oil), 벤존 레시노이드 라이트(Benzon Resinoid Light), 로즈 옥사이드(Rose Oxide), 게라늄 오일(Geranium oil),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로살브(Rosalve),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 유게놀 알코올(Eugenol alcohol), 인돌렌(Indolene), 시벳 캣 오일(Civet Cat Oil), 샌달우드(Sandalwood),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및 엑살톨리드(Exaltol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럴부케계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백(Chamaecyparis obtusa), 측백(Platycladus orientalis) 및 화백(Chamaecyparis pisifera)은 모두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Cupressaceae)에 속하는 수종으로서, 측백나무과에는 상기 편백속(Chamaecyparis) 이외에도 삼나무속(Cryptomeria), 노간주나무속(Juniperus), 낙우송속(Taxodium), 나한백속(Thujopsi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수종은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바, 상기 피톤치드는 희랍어로 '식물의'라는 뜻의 'Phyton'과 '죽이다'라는 뜻의 'Cide'가 합해서 생긴 용어이다. 상기 피톤치드(Phytoncide)는 식물에서 내뿜는 천연의 자연치유성분으로 식물이 내뿜는 살균성 물질을 총칭하는데 휘발성이 강한 테르펜류가 주성분으로 기타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악취의 근원물질을 포집하여 분해하는 탈취, 방충, 항균, 소염, 면역기능 증대 등의 복합 효과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톤치드는 테르펜을 함유하고 있는 바, 상기 '테르펜'은 악취를 분해하여 제거하고 공기를 정화시키며, 특히, 악취를 유발하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감신경계에 의한 흥분을 해소해주고 부교감신경계에는 정신적인 안정감을 주어 뇌의 전두엽에 나타나는 전위수반성 음성변동을 통해 쾌적성을 일으키고 간세포 내 효소활성을 높여 생리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피톤치드계인 α-피넨(α-pinene)은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며,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cortisol)을 감소시킨다.
여기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레지오넬라균, 항생제 내성 포도상구균, 전염성병균인 리스테리아균, 캔디다균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욕실의 곰팡이, 각종 해충 및 인체의 피부에 기생하는 병원균을 살균하며 습도가 높은 지역에 둘 경우, 제습의 효과도 있다.
상기 측백나무 추출물은 상기 편백(Chamaecyparis obtusa), 측백(Platycladus orientalis) 및 화백(Chamaecyparis pisifera)의 어린 가지와 잎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정제수를 포함한 물 또는 유기용매를 통해 유효 성분을 용매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백나무 등의 어린 가지와 잎을 저급 알코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저급 알코올로는 탄소수 1-4인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며, 50 내지 80% 에탄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백나무 추출물은 용매 1ℓ 당 측백나무 등의 어린 가지와 잎을 50 내지 100g의 비율로 넣고 1 내지 6시간 동안 달여서 준비한다. 또한 0.5 내지 24 시간 동안 50 내지 120℃의 온도로 초음파추출법, 환류추출법, 열수 추출법, 냉각추출법 또는 초임계추출법,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이를 감압 농축시킨 후 열풍, 분무, 피막, 동결 건조법 등의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으로는 유효성분을 가장 잘 보존할 수 있는 동결건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측백엽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측백엽을 50 내지 100% 에탄올에 3 내지 24 시간 동안 상온에서 초음파추출법, 환류추출법, 열수 추출법, 냉각추출법 또는 초임계추출법,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를 감압 농축시킨 후 열풍, 분무, 피막, 동결 건조법 등의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으로는 유효성분을 가장 잘 보존할 수 있는 동결건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모바일단말(600)은 네트워크(700)를 통해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상기 제어부(2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별도의 웹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상기 제어부(2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모바일단말(6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전자기기라면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유입구 및 필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a 내지 도 4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수용하는 제1본체수용부(131), 상기 제1본체수용부(13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하본체결합부(132) 및 상기 제1본체수용부(131)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하본체결합부(133)를 포함하는 하부본체(130),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홈(141), 상기 관통홈(141)의 주변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브라켓결합부(142) 및 상기 관통홈(141)의 주변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1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브라켓결합부(143)를 포함하는 브라켓부(140) 및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송풍팬(120)을 수용하는 송풍수용부(151), 상기 송풍수용부(151)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1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송풍결합부(152) 및 상기 송풍수용부(151)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송풍결합부(153)를 포함하는 송풍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브라켓부(140) 및 송풍부(150)를 수용하는 제2본체수용부(161) 및 상기 제2본체수용부(161)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본체결합부(162)를 포함하는 상부본체(16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본체부(100)는 각각 상기 하부본체(130), 브라켓부(140), 송풍부(150) 및 상부본체(160)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수리 및 세척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하부본체(130), 브라켓부(140), 송풍부(150) 및 상부본체(160)로 분리하여 수리 및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본체(130)는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수용하는 것이므로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132)는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와 인접한 위치에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132)가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중심으로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와 인접한 위치에 서로 대치되도록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132)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결합부(143)가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기준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132)는 상기 하부본체(130)에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결합부(143)는 상기 브라켓부(140)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하본체결합부(132)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132) 및 제2브라켓결합부(143)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되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130)에는 상기 하부본체(130)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입구(134) 및 상기 하부본체(130)의 내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34)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필터부재(135)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입구(134)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135)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135)에 의해 정화되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120)에 의해 상기 트레이수용부(310)를 거쳐 방향제(330)가 첨가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400)의 발산홈(410)을 통해 발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화된 공기에 방향제를 첨가하도록 구성되어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산뜻한 방향제 송풍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34)는 상기 하부본체(130)의 외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13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유입구(13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부(140)는 상기 제2브라켓결합부(143)가 상기 하부본체(130)의 제1본체수용부(131)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보호하면서 상기 하부본체(130)와 송풍부(150)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부(140)에는 상기 송풍부(150)의 제1송풍결합부(152)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결합부(142)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상승되도록 구성되는 유입방지턱(1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상기 유입방지턱(144)은, 상기 트레이부(300)의 트레이수용부(310)에 구비되는 방향제(330)가 날씨 등의 원인으로 인해 녹아서 상기 트레이전달홈(320)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어 상기 제1본체수용부(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1본체수용부(131)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에서 이상 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150)는 내부의 송풍수용부(151)에 수용되는 송풍팬(120)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송풍팬(120)에서 발생되는 송풍이 상기 트레이전달홈(320)을 통해 상기 트레이수용부(310)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트레이부(300)에는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송풍결합부(15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트레이결합부(340) 및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트레이결합부(350)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400)에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트레이결합부(3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결합부(42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부(300)의 제1트레이결합부(340)는 상기 송풍부(150)의 제2송풍결합부(15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트레이부(300)의 제2트레이결합부(350)는 상기 커버부(400)의 커버결합부(420)에 결합되는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본체(160)는 상기 하부본체(130)와 함께 구동모터(110), 제어부(200) 및 송풍팬(12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서,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제2본체수용부(161)에 상기 트레이부(30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상부본체(160)의 형상은, 상기 트레이부(300)의 트레이수용부(310)에 수용된 방향제(330)가 날씨 등의 원인으로 인해 녹아서 트레이전달홈(320)으로 유출되어 외부로 흘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160)에는 외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LED램프(1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LED램프(163)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LED램프(163)에서 발산되는 빛의 밝기, 상기 LED램프(163)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깔 및 상기 LED램프(163)에서 발산되는 빛의 발산 속도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LED램프(163)는 일반적인 LED램프(163)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하부본체, 브라켓부, 송풍부 및 상부본체, 트레이부 및 커버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본체결합부(162), 제1송풍결합부(152), 제1트레이결합부(340) 및 제3커버결합부(420)는, 각각 상기 하부본체(130), 브라켓부(140), 송풍부(150), 트레이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510)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2하본체결합부(133), 제1브라켓결합부(142), 제2송풍결합부(153) 및 제2트레이결합부(350)는, 각각 상기 절곡돌기(51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520), 상기 삽입홈(520)의 하부에서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돌기(51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홈(530) 및 상기 삽입홈(520)의 상부에서 일 측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된 절곡돌기(510)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5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본체결합부(162), 제1송풍결합부(152), 제1트레이결합부(340) 및 제3커버결합부(420)의 절곡돌기(510)가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133), 제1브라켓결합부(142), 제2송풍결합부(153) 및 제2트레이결합부(350)의 삽입홈(52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홈(530)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540)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530)을 따라 다시 슬라이드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본체결합부(162), 제1송풍결합부(152), 제1트레이결합부(340) 및 제3커버결합부(420)에 절곡돌기(5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133), 제1브라켓결합부(142), 제2송풍결합부(153) 및 제2트레이결합부(350)에 삽입홈(520), 슬라이드홈(530) 및 단턱(540)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상본체결합부(162), 제1송풍결합부(152), 제1트레이결합부(340) 및 제3커버결합부(420)에 삽입홈(520), 슬라이드홈(530) 및 단턱(5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133), 제1브라켓결합부(142), 제2송풍결합부(153) 및 제2트레이결합부(350)에 절곡돌기(510)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상기 하부본체(130)에서 상기 상부본체(160)가 슬라이드 이동으로 회전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부(140)에서 송풍부(150)가 슬라이드 이동으로 회전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송풍부(150)에서 트레이부(300)가 슬라이드 이동으로 회전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부(300)에서 커버부(400)가 슬라이드 이동으로 회전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만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전체를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내부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한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송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송풍부(150)는, 하부에 상기 제1송풍결합부(152)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송풍팬(120)이 배치되는 하부관(154), 상기 하부관(154)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120)으로부터 발생되는 송풍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55) 및 상기 가이드관(155)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 제2송풍결합부(153)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하부관(154)보다 좁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부관(15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155)은 내부 형상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되 상기 송풍팬(120)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이 상기 가이드관(155)의 내부 형상에 부딪혀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관(155)의 내부 형상은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팬(120)에 의해 발생되는 송풍은 상기 하부관(154)을 통해 유입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관(155)의 형상에 의해 속도가 점차 빨라질 수 있다.
이 같은 상기 가이드관(155)의 형상은,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송풍팬(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0)의 출력이 약한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단말 또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이 트레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를 거쳐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제가 첨가된 송풍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특허는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지원을 받아 출원되었습니다.
100 : 본체부
110 : 구동모터 115 : 회전축
120 : 송풍팬
130 : 하부본체 131 : 제1본체수용부
132 : 제1하본체결합부 133 : 제2하본체결합부
134 : 유입구 135 : 필터부재
136 : 스위치
140 : 브라켓부 141 : 관통홈
142 : 제1브라켓결합부 143 : 제2브라켓결합부
144 : 유입방지턱
150 : 송풍부 151 : 송풍수용부
152 : 제1송풍결합부 153 : 제2송풍결합부
154 : 하부관 155 : 가이드관
156 : 상부관
160 : 상부본체 161 : 제2본체수용부
162 : 상본체결합부 163 : LED램프
200 : 제어부 210 : 배터리
300 : 트레이부 310 : 트레이수용부
320 : 트레이전달홈 330 : 방향제
340 : 제1트레이결합부 350 : 제2트레이결합부
400 : 커버부 410 : 발산홈
420 : 커버결합부
510 : 절곡돌기 520 : 삽입홈
530 : 슬라이드홈 540 : 단턱
600 : 모바일단말
700 : 네트워크

Claims (8)

  1. 구동모터(110) 및 상기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되어 연직 상방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20)을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바일단말(600) 및 스위치(13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1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200);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트레이수용부(310),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이전달홈(320) 및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방향제(3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레이부(300); 및
    복수의 발산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400);
    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110) 및 제어부(200)를 수용하는 제1본체수용부(131), 상기 제1본체수용부(13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하본체결합부(132) 및 상기 제1본체수용부(131)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하본체결합부(133)를 포함하는 하부본체(130);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홈(141), 상기 관통홈(141)의 주변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브라켓결합부(142) 및 상기 관통홈(141)의 주변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하본체결합부(1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브라켓결합부(143)를 포함하는 브라켓부(140); 및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송풍팬(120)을 수용하는 송풍수용부(151), 상기 송풍수용부(151)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1브라켓결합부(1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송풍결합부(152) 및 상기 송풍수용부(151)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송풍결합부(153)를 포함하는 송풍부(150);
    가 포함되며,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브라켓부(140) 및 송풍부(150)를 수용하는 제2본체수용부(161) 및 상기 제2본체수용부(161)의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본체결합부(162)를 포함하는 상부본체(160)가 포함되고,
    상기 송풍부(150)에는,
    하부에 상기 제1송풍결합부(152)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송풍팬(120)이 배치되는 하부관(154), 상기 하부관(154)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120)으로부터 발생되는 송풍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55) 및 상기 가이드관(155)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 제2송풍결합부(153)가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하부관(154)보다 좁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부관(156)가 포함되며,
    상기 상부본체(160)에는,
    외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LED램프(163)가 포함되되,
    상기 LED램프(163)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송풍팬(12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LED램프(163)에서 발산되는 빛의 밝기, 상기 LED램프(163)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깔 및 상기 LED램프(163)에서 발산되는 빛의 발산 속도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부(140)에는,
    상기 송풍부(150)의 제1송풍결합부(152)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결합부(142)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상승되도록 구성되는 유입방지턱(1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300)에는,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송풍결합부(15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트레이결합부(340) 및 상기 트레이수용부(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트레이결합부(350)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부(400)에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2트레이결합부(3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결합부(4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본체결합부(162), 제1송풍결합부(152), 제1트레이결합부(340) 및 제3커버결합부(420)는, 각각 상기 하부본체(130), 브라켓부(140), 송풍부(150), 트레이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5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본체결합부(133), 제1브라켓결합부(142), 제2송풍결합부(153) 및 제2트레이결합부(350)는, 각각 상기 절곡돌기(51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520), 상기 삽입홈(520)의 하부에서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돌기(51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홈(530) 및 상기 삽입홈(520)의 상부에서 일 측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된 절곡돌기(510)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단턱(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30)에는,
    상기 하부본체(130)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입구(134); 및
    상기 하부본체(130)의 내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34)를 통해 흡입되는 유체를 정화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필터부재(135);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51913A 2018-11-30 2018-11-30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KR10219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13A KR102199634B1 (ko) 2018-11-30 2018-11-30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913A KR102199634B1 (ko) 2018-11-30 2018-11-30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435A KR20200065435A (ko) 2020-06-09
KR102199634B1 true KR102199634B1 (ko) 2021-01-07

Family

ID=7108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913A KR102199634B1 (ko) 2018-11-30 2018-11-30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6643B2 (en) 2014-02-18 2020-04-21 Penn Elcom Limited Case latch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34948B2 (es) * 2018-06-07 2020-05-08 Zobele Espana Sa Dispositivo de purificación de aire
KR102300734B1 (ko) * 2021-03-15 2021-09-09 문성필 휘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22B1 (ko) 2013-05-24 2014-07-09 이지훈 방향제 확산장치
JP2016073464A (ja) * 2014-10-07 2016-05-12 アロマスター株式会社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KR101689763B1 (ko) 2016-03-04 2016-12-2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95B1 (ko) * 2010-08-09 2013-02-21 주식회사 파세코 휘산장치
KR101492156B1 (ko) 2012-06-27 2015-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KR101695936B1 (ko) * 2015-06-22 2017-01-13 구지훈 아로마 테라피 기능이 있는 편백나무 방향장치
KR101826519B1 (ko) * 2016-02-16 2018-02-08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섞어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KR101849548B1 (ko) * 2016-02-16 2018-04-18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KR101848142B1 (ko) * 2016-04-06 2018-04-11 김진용 방향제용 발산장치
KR200487680Y1 (ko) 2016-05-11 2018-10-19 (주)요술램프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KR101661882B1 (ko) 2016-05-24 2016-10-04 정종문 차량용 방향제
KR101860212B1 (ko) * 2016-10-04 2018-05-23 (주)지앤지 방향제 카트리지 및 방향제 발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22B1 (ko) 2013-05-24 2014-07-09 이지훈 방향제 확산장치
JP2016073464A (ja) * 2014-10-07 2016-05-12 アロマスター株式会社 オイル容器および芳香拡散器
KR101689763B1 (ko) 2016-03-04 2016-12-2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6643B2 (en) 2014-02-18 2020-04-21 Penn Elcom Limited Case la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435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634B1 (ko)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US8833366B2 (en) Liquid-evaporate delivery device
US10245345B2 (en) Atomization separating and silenc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253754A1 (en) Sterilising Filter Arrangement Apparatus & Method
US20050019269A1 (en) Mold eradication with Thyme solution and other essential oils
ES2244763T3 (es) Procedimiento para la neutralizacion de olores de manera no toxica.
CN108079354A (zh) 一种空气净化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WO2007062471A1 (en) 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devices therefor
CN101389395B (zh) 改进型杀菌过滤器结构、设备和方法
ES2258563T3 (es) Composiciones orale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del cuero cabelludo.
CN104686588A (zh) 一种杀菌消毒的中药熏香及其制备方法
CN105727337A (zh) 一种中药抑菌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CN101920028A (zh) 具有杀菌功效的空气清新剂
WO2018122034A1 (en) Insect repellent product
KR20130137365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축산 악취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176499B1 (ko) 항균성 방향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방향제
JP3154192U (ja) 次亜塩素酸水を使用した除菌消臭超音波加湿器
KR200403266Y1 (ko) 허브를 이용한 아로마 테라피 필터
CN1215882C (zh) 全天然空气清新剂
WO2008105645A1 (es) Composiciones de acaricidas de extractos de semillas para el control de acaros en textiles. botánica y/o agricultura enfocados al sector salud
Sahu et al. A brief review on Dhoop and its properties
CN106804584A (zh) 长效空气清新剂
US9744501B1 (en) Artificial plant humidifier
CN105797188A (zh) 一种用于厕所的中药除臭剂
JP6778594B2 (ja) ゴキブリの臭気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