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80Y1 -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 Google Patents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80Y1
KR200487680Y1 KR2020160002550U KR20160002550U KR200487680Y1 KR 200487680 Y1 KR200487680 Y1 KR 200487680Y1 KR 2020160002550 U KR2020160002550 U KR 2020160002550U KR 20160002550 U KR20160002550 U KR 20160002550U KR 200487680 Y1 KR200487680 Y1 KR 200487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d
clip
coupl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927U (ko
Inventor
나승협
Original Assignee
(주)요술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요술램프 filed Critical (주)요술램프
Priority to KR2020160002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8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제에 차량의 환풍구가 장착하는 클립형과 룸미러 등에 걸 수 있는 걸이형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환풍구 그릴의 구조에 따라서 클립의 결합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Air freshener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제를 클립용과 걸이용으로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차량의 환풍구 그릴의 구조에 따라서 클립의 결합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차량 내부에는 악취를 제거하거나 실내공기를 정화하면서 좋은 향기를 발산하여 운전자나 동승자의 기분이 상쾌해 지도록 하기 위한 방향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제는 데쉬보드의 상면에 부착하는 부착형과 냉풍이나 온풍을 발산하는 환풍구에 장착하는 클립형이나 룸미러에 걸이끈을 이용하여 거는 걸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취향에 맞게 방향제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착형 방향제의 경우에는 한번 붙이게 되면 위치변경이 어려운 문제와 접착자국이 남게 되면서 차량의 실내가 더럽혀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 대부분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단하게 장착하면서도 리필이 가능한 클립형 방향제나 걸이형 방향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클립형 방향제는 향발산제가 수납되는 케이스의 후단에 환풍구 그릴에 결합을 위한 클립이 구비되어 있고, 걸이형 방향제는 용기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와 결합되는 뚜껑에 걸이끈이 구비되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방향제를 구매할 때 클립형이나 걸이형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를 결정하거나 이를 결정하지 못할 경우에는 두 가지 유형의 방향제를 모두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었다.
또한 클립형 방향제의 경우 차량에 설치된 환풍구의 그릴 모양(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 따라 클립이 결합되는 방향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클립형 방향제를 구매시 이를 확인하고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향제의 외형디자인은 대부분 용기형태이거나 단순한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어 향발산제의 리필을 위한 조작이 불편하였고, 방향제의 외형디자인도 매우 단순하여 구매자의 구매의욕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337351 (2003.12.18)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방향제를 클립형과 걸이형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클립형으로 사용할 경우 차량의 환풍구 그릴의 모양에 따라 클립의 위치를 변경하여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방향제의 향이 감소되어 향발산제를 교환할 경우에 원터치 조작에 의해 케이스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교환을 용이토록 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향발산제가 내측에 수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입구가 형성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입구에 마감을 위한 덮개가 결합요소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덮개에는 환풍구의 그릴 모양에 따라서 클립의 결합방향을 변화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와 덮개의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걸이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끈이 묶음되는 걸이부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방향제로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서 클립형과 걸이형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 발산제를 리필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리필을 위한 조작이 용이하여 구매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와 간단한 사용조작의 용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환풍구 그릴구조에 따라서 클립의 결합방향을 간단하게 변화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다양한 장착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의 용이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차량용 방향제의 구조를 나타나내 결합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차량용 방향제의 결합된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의 덮개가 케이스에 결합요소로 결합되는 상태의 단계도.
도4는 본 고안의 덮개가 케이스에서 가압요소로 분리되는 상태도.
도5 내지 도7은 덮개의 결합을 용이토록 하는 결합단계를 나타낸 실시예.
도8은 본 고안의 클립의 결합방향이 변경되는 결합되는 상태도.
도9는 본 고안의 클립이 고정요소에 결합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클립이 고정요소에서 분리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11과 도12는 본 고안의 환풍구의 그릴 방향에 따라 방향제가 장착된 상태도.
도13은 본 고안의 걸이구에 걸이끈이 묶음되는 상태도.
도14는 본 고안의 방향제를 걸이형으로 장착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방향제의 구성은 향을 발산하는 향 발산제(30)와, 향 발산제(30)를 수납하도록 입구(12)가 형성된 수납공간(11)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입구(12)에 결합되는 덮개(20)와, 차량의 환풍구(100) 그릴에 장착을 위한 클립(40)과,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 걸이끈(51)이 고정되는 걸이구(5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 케이스(10)의 입구(12) 상하 양측에 형성된 결합요소(13)를 형성하여 상기 덮개(20)가 상기 결합요소(13)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결합요소(13)는 케이스(10)의 입구(12) 내측으로 덮개(2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단턱(14)과 상하 양측으로 걸림홈(15)을 형상하고 덮개(20)의 테두리면 상하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15)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4)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에 걸림홈(15)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0)의 살두께를 감안하여 걸림홈(15)이 형성되는 부분의 살두께를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두껍게 형성하고, 덮개(20)에는 걸림홈(15)의 살두께가 두꺼움에 따라서 돌출된 만큼 내측으로 내입되게 형성하면서 그 중앙에 걸림돌기(24)를 형성하여 정확한 맞물림으로 덮개(20)가 케이스(10)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20)는 향 발산제(30)의 향 기능이 저하될 경우 교환을 위하여 케이스(10)에서 분리되는 구조이고, 이러한 분리구조를 위하여 덮개(20)에 가압요소(22)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가압요소(22)는 도 4와 같이 덮개(20)의 테두리면 좌우 양측으로 내입홈(22a)을 형성하여 덮개(20)가 케이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입홈(22a)이 형성된 케이스(10)의 좌우 양측을 가압하게 되면 덮개(20)의 내입홈(22a)에 의해 케이스(20)의 좌우 양측이 눌려지게 되고, 이러한 눌림에 의해 케이스(10)의 좌우 측면은 탄성에 의해 축소하게 되고 상하는 벌어지게되면서 케이스(10)의 걸림홈(15)에 결합된 덮개(20)의 걸림돌기(24)의 걸림이 해제가 되면서 간단하게 분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외측 표면에는 가압요소의 가압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가압되는 위치를 표시토록 하면서도 가압을 용이토록 하는 덮개(20)의 내입홈(22a)이 형성된 부분의 케이스(10)의 좌,우측에 두 개로 등분된 가압돌기나 좌측에서 우측까지 하나로 연결된 가압돌기테(10a)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10)에서 덮개(20)의 결합은 물론 분리를 간단하게 조작하여 향 발산제(30)의 수납과 리필을 위한 교환을 쉽게 하여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때 덮개(20)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도록 케이스의 가압구조를 향상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20)는 케이스(10)의 수납공간(11)으로 향 발산제(3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10)의 개구된 테두리벽 내벽면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형성하면서 상기 덮개(20)의 테두리면 대각선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는 덮개(20)의 살두께보다 작은 지지테(25)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지지테(25)가 케이스(10)의 테두리벽에 밀착토록 하면서 덮개(20)와 케이스(10)의 결합된 사이에 지지테(25)에 의한 탄성공간(A)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공간(A)에 의하여 케이스의 가압시 탄성이 더욱 용이하게 작용되어 덮개(20)를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20)의 테두리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테(25)와 타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테(25)의 돌출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돌출높이가 서로 다른 지지테(25)에 의하여 탄성공간(A)의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도4와 같이 탄성공간(A)이 깊게 형성된 부분의 한쪽 가압만으로 케이스(10)의 상하가 벌어지면서 덮개(20)의 분리 가능하게 되고, 도5 및 도6과 같이 상기 덮개(20)의 테두리면 일측의 지지테(25) 사이에는 내입되어진 위치확인홈(26)을 더 형성하고 케이스(10)에는 상기 위치확인홈(26)에 위치되는 돌기(16)를 형성하여 케이스(10)에 덮개(20)를 결합할 경우에 덮개(20)가 케이스(10)에 적은 힘으로도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즉,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상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4)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케이스(10)의 걸림홈(15)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위치확인홈(26)을 돌기(16)에 끼임토록 하게 되면 돌출이 작게 형성된 지지테가 케이스의 테두리벽에 완전히 밀착되면서 덮개(20)의 일측 부분이 케이스(10)의 입구(12)에 내입된 상태가 되고, 이때 반대측에 형성된 덮개의 지지테와 케이스의 테두리벽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면서 덮개(20)의 나머지 걸림돌기(24)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면 덮개(20)가 케이스(10)의 입구(12)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홈(15)은 걸림돌기(24)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하여 덮개(20)가 케이스의 입구에서 어느정도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40)은 차량의 환풍구 그릴에 끼임결합으로 고정되는 클립부(41)와 상기 클립부(41)에는 덮개에 상면에 형성된 고정요소에 결합되는 연결봉(42a)과 결합판(42b)로 이루어진 가이드결합부(42)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클립(40)은 환풍구(100) 그릴의 구조 (차종에 따라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에 따라서 그릴에 결합을 위한 클립부(41)의 결합방향을 도8과 같이 변경할 수 있게 클립(40)에 형성된 가이드결합부(42)가 고정요소(23)에서 슬라이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요소(23)는 덮개(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전면과 상면은 개방되고 양 측벽으로 가이드레일(23b)이 형성된 결합돌부(23a)가 형성되고, 바닥면은 "H" 형상의 절개부(23c)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23c)에 의해 클립의 가이드결합부가 받침되는 받침돌부(23d)와 가이드결합부의 결합을 단속하는 탄성걸림편(23e)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0)의 가이드결합부(42)의 연결봉(42a)과 결합판(42b)이 고정요소(23)의 결합돌부(23a)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3b)에 가이드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받침돌부(23d)에 받침되면 탄성걸림편(23e)이 하강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상승되어 가이드결합부(42)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걸림편(23e)의 상면에는 일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된 고정돌부(23e-1)가 형성되어 가이드결합부(42)가 진입시 경사면에 의해 진입과 동시에 가압되어 탄성에 의해 하강되어지고, 가이드결합부(42)의 연결봉(42a)과 결합판(42b)이 고정요소(23)에 완전히 삽입되면 타측면에 형성된 수직면이 가이드결합부(42)에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4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10과 같이 탄성걸림편(23e)를 누름으로 하강시키면 클립(40)이 간단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클립(40)의 결합은 물론 클립(40)의 결합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수납공간(11)에는 향 발산제(30)가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돌출벽(17)을 형성하여 향 발산제(30)가 케이스(10)의 수납공간 내측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향제를 걸이형으로 사용할 경우에 케이스(10) 또는 덮개(2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50)에 도13과 같이 걸이끈(51)을 묶음 고정하여 차량의 룸미러 등에 걸이끈(51)을 걸어 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외관형상을 반구 형상으로 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인쇄토록 하여 방향제를 캐릭터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남녀노소가 모두 좋아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어 상품성을 향상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 케이스 11: 수납공간
12: 입구 13: 결합요소
14: 단턱 15: 걸림홈
16: 돌기 17: 돌출벽
20: 덮개 21: 발산공
22: 가압요소 23: 고정요소
24: 걸림돌기 25: 지지테
26: 위치확인홈
30: 향 발산제
40: 클립 41: 클립부
42: 가이드결합부
50: 걸이구

Claims (8)

  1. 향을 발산하는 향 발산제(30)와,
    상기 향 발산제(30)를 수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입구(12)가 형성된 수납공간(11)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입구(12)에는 상하 양측으로 결합요소(1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소(13)에 의해 결합되면서 향 발산제(40)의 향을 발산하는 발산공(21)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양측에는 가압요소(22)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요소(22)에 의해 케이스(10)의 양측면을 가압시에 탄성에 의해 상하가 벌어지면서 결합요소(13)가 해제되어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20)의 전면에는 환풍구(100)의 그릴 모양에 따라서 클립(40)의 결합방향을 변경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요소(2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요소(23)에는 환풍구(100)의 그릴에 결합을 위한 클립(40)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0)와 덮개(20)의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걸이형 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끈(51)이 묶임되는 걸이구(50)가 형성되어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덮개(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요소(13)는,
    케이스(10)의 입구(12) 내측 테두리벽에 덮개(20)가 안착되는 단턱(14)과 상하 양측으로 걸림홈(15)을 형성하고 덮개(20)의 테두리면 상하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15)에 걸림되는 걸림돌기(24)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를 케이스(10)에서 분리토록 하기 위한 가압요소(22)는,
    덮개(20)의 테두리면 좌우 양측에는 내입홈(22a)을 형성하여 덮개(20)가 케이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10)의 좌우 양측을 가압하면 덮개(20)의 내입홈(22a)에 의해 케이스(20)의 좌우 양측이 눌려지면서 눌림에 의한 탄성으로 상하가 벌어지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4. 제3항에 있어서,
    가압을 위하여 상기 덮개(20)는 케이스(10)의 수납공간(11)으로 향 발산제(3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10)의 개구된 테두리벽 내벽면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의 테두리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케이스(10)의 테두리벽에 밀착되는 지지테(25)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덮개(20)와 케이스(10)의 결합된 사이에 탄성공간(A)을 형성함으로써 덮개(20)를 탈착하기 위한 케이스(10)의 가압을 더욱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테두리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테(25)는 타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테(25)보다 돌출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공간(A)의 깊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탄성공간(A)이 깊게 형성된 부분의 한쪽 가압만으로 케이스(10)의 상하가 벌어지면서 덮개(20)의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공간(A)의 깊이가 낮게 형성된 덮개(20)의 타측에는 위치확인홈(26)을 형성하고 케이스(10)에는 상기 위치확인홈(26)에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돌기(16)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40)이 결합되는 고정요소(23)는 상면으로 돌출되어 전면과 상면은 개방되고 양측 벽으로 가이드레일(23b)이 형성된 결합돌부(23a)와 바닥면은 "H" 형상의 절개부(23c)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23c)에 의해 받침돌부(23d)와 탄성걸림편(23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40)에는 환풍구(100)의 그릴에 결합되는 클립부(41)와 상기 클립부(41)에는 상기 결합돌부(23a)에 결합되어 받침돌부(23d)에 받침되면서 상기 결합돌부(23a)에 완전히 삽입시에 탄성걸림편(23e)에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는 연결봉(42a)과 결합판(42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결합부(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수납공간(11)에는 향 발산제(30)가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돌출벽(1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KR2020160002550U 2016-05-11 2016-05-11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KR200487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50U KR200487680Y1 (ko) 2016-05-11 2016-05-11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50U KR200487680Y1 (ko) 2016-05-11 2016-05-11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27U KR20170003927U (ko) 2017-11-21
KR200487680Y1 true KR200487680Y1 (ko) 2018-10-19

Family

ID=6048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550U KR200487680Y1 (ko) 2016-05-11 2016-05-11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8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435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KR102165341B1 (ko) 2020-02-10 2020-10-14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턴테이블형 차량용 방향제
KR20210000460U (ko) 2019-08-19 2021-03-02 변동수 방향제 용기 교체수납이 용이하고 균일한 방향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차량용 방향봉제인형
KR20210025794A (ko) 2019-08-28 2021-03-10 임봉호 연꽃차걸이
KR102438857B1 (ko) * 2021-12-13 2022-08-31 유문식 방향제 케이스
KR200496847Y1 (ko) 2022-09-19 2023-05-11 박우진 차량용 방향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967Y1 (ko) * 2018-08-09 2021-07-09 이상호 방향제 케이스
KR102000713B1 (ko) * 2019-01-02 2019-07-15 김성윤 차량용 방향제
KR20220019314A (ko) 2020-08-10 2022-02-17 박상욱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KR102508864B1 (ko) 2020-09-28 2023-03-10 박상욱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KR102600844B1 (ko) * 2021-06-25 2023-11-10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KR102570363B1 (ko) 2022-01-19 2023-08-25 주식회사 박앤웍스 안전벨트 버클 설치용 차량 방향제 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653Y1 (ko) 2002-06-25 2002-09-16 이제후 차량용 방향제 휘산기
JP2003116979A (ja) 2001-10-16 2003-04-22 Plan Factory:Kk 車両用芳香剤・消臭剤容器
KR200351840Y1 (ko) 2004-01-12 2004-05-31 이상철 회전고리가 구비된 방향제 용기
EP1479400A1 (en) 2003-05-22 2004-11-24 Deoflor S.p.A. Device for dispensing deodorizing or fragrancing or sanitizing substances or the like for enclosed spaces, particularly for the cabin of motor vehicles
KR200469969Y1 (ko) 2012-10-24 2013-11-15 신재인 자동차용 방향제 클립
JP2016150625A (ja) 2015-02-16 2016-08-22 株式会社ナポレックス 自動車用芳香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351Y1 (ko) 2003-08-27 2004-0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제 휘산기와 차량의 실내 환풍구 그릴 고정용클립과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979A (ja) 2001-10-16 2003-04-22 Plan Factory:Kk 車両用芳香剤・消臭剤容器
KR200289653Y1 (ko) 2002-06-25 2002-09-16 이제후 차량용 방향제 휘산기
EP1479400A1 (en) 2003-05-22 2004-11-24 Deoflor S.p.A. Device for dispensing deodorizing or fragrancing or sanitizing substances or the like for enclosed spaces, particularly for the cabin of motor vehicles
KR200351840Y1 (ko) 2004-01-12 2004-05-31 이상철 회전고리가 구비된 방향제 용기
KR200469969Y1 (ko) 2012-10-24 2013-11-15 신재인 자동차용 방향제 클립
JP2016150625A (ja) 2015-02-16 2016-08-22 株式会社ナポレックス 自動車用芳香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435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누에보컴퍼니 모바일단말 연동형 방향 시스템
KR20210000460U (ko) 2019-08-19 2021-03-02 변동수 방향제 용기 교체수납이 용이하고 균일한 방향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차량용 방향봉제인형
KR20210025794A (ko) 2019-08-28 2021-03-10 임봉호 연꽃차걸이
KR102165341B1 (ko) 2020-02-10 2020-10-14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턴테이블형 차량용 방향제
KR102438857B1 (ko) * 2021-12-13 2022-08-31 유문식 방향제 케이스
KR200496847Y1 (ko) 2022-09-19 2023-05-11 박우진 차량용 방향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27U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680Y1 (ko)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US20110108632A1 (en) Air freshener vent clip and accessory
KR200493967Y1 (ko) 방향제 케이스
CN100426961C (zh) 用于将凝胶中的挥发性化合物分配到周围空气的装置
KR200469969Y1 (ko) 자동차용 방향제 클립
JPH0994113A (ja) 物品収納装置
KR101432470B1 (ko) 가구용 옷걸이 걸이대의 지지 브래킷
KR101623307B1 (ko) 가구용 옷걸이 걸이대의 지지 브래킷
KR20190076186A (ko) 향기 방출용 디퓨저
JP2007320606A (ja) 芳香剤容器
JP2013094395A (ja) 吊下げ式揮散剤容器
CN217118988U (zh) 一种盛放盒
CN210821753U (zh) 香薰装置
CN216744644U (zh) 空调室内机
CN212708855U (zh) 一种车载香薰装置
JP6336348B2 (ja) 揮発性成分を含有する物質を収容したケースを保持する容器
JP5921149B2 (ja) 芳香剤容器
CN210186101U (zh) 一种净味凝胶扩散座
JP2014009001A (ja) 揮散用容器
CN115721759A (zh) 用于车辆的气味散发装置
CN215284294U (zh) 一种香薰车载挂钩
KR101376893B1 (ko) 휴대용 신발 케이스
KR200209932Y1 (ko) 차량용 방향구
KR200284066Y1 (ko) 안경클립
CN115721760A (zh) 用于车辆的气味散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