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314A -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314A
KR20220019314A KR1020200099590A KR20200099590A KR20220019314A KR 20220019314 A KR20220019314 A KR 20220019314A KR 1020200099590 A KR1020200099590 A KR 1020200099590A KR 20200099590 A KR20200099590 A KR 20200099590A KR 20220019314 A KR20220019314 A KR 2022001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pad
buckle
seat belt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상욱
Priority to KR102020009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314A/ko
Publication of KR2022001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s a carrier or dil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전벨트 버클이 있는 위치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버클의 위치나 크기와 상관없이 조임 조절을 통해 탈착이 가능한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이다.
본 발명인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는, 향을 확산시키는 확산체패드; 안전벨트 버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되어 미끄럼 방지 결합면을 형성하는 논슬립패드; 내부에 상기 확산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체패드에서 확산되는 향을 방출하도록 측면이 개방되는 확산체수납부; 상기 논슬립패드와 확산체수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논슬립패드의 전면 및 상기 확산체수납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확산체수납부가 좌우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곡부가 마련된 수납구결합부; 상기 논슬립패드의 상단면과 하단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체수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확산체수납부의 측면은 노출되도록 하는 종밴드; 및 상기 수납구결합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클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노출되도록 하는 횡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FRAGRANCE KIT FOR VEHICLE OF SEAT BELT BUCKLE}
본 발명은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전벨트 버클이 있는 위치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버클의 위치나 크기와 상관없이 조임 조절을 통해 탈착이 가능한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란 차량 또는 건물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불쾌한 냄새를 없애주며 좋은 향기를 제공하도록 하고, 특히 차량의 탑승자에게 신선하면서도 향긋한 향기를 제공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집중력을 높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많은 운전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제는 대체로 케이스 내부에 내장하고, 그 케이스를 차량의 송풍구에 부착시켜 송풍 시 공기의 움직임으로 인해 향기를 외부로 발산시켜 방향제의 향기가 차량내부로 퍼지도록 구비되거나, 차량 내부의 미러에 고리형으로 걸어 발산시킨다.
그러나 최근 판매되는 차량의 송풍구는 좁거나 가느다란 형태로 제조되고 있어 송풍구의 사이즈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방향제를 제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가 송풍구의 결합면을 확인해서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미러에 고리형으로 걸리는 방향제의 경우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고리형의 방향제가 흔들리면서 운전자의 시선을 빼앗아 안전운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7-0003927(공개일자 2017.11.2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여 버클의 위치나 크기와 상관없이 조임 조절을 통해 탈착이 가능한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는,
향을 확산시키는 확산체패드;
안전벨트 버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되어 미끄럼 방지 결합면을 형성하는 논슬립패드;
내부에 상기 확산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체패드에서 확산되는 향을 방출하도록 측면이 개방되는 확산체수납부;
상기 논슬립패드와 확산체수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논슬립패드의 전면 및 상기 확산체수납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확산체수납부가 좌우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곡부가 마련된 수납구결합부;
상기 논슬립패드의 상단면과 하단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체수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확산체수납부의 측면은 노출되도록 하는 종밴드; 및
상기 수납구결합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클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노출되도록 하는 횡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여 버클의 위치나 크기와 상관없이 조임 조절을 통해 탈착이 가능한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여 사용자 가까이서 확산되므로 확산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의 상세도이다.
도 2는 차량용방향제(100)를 안전벨트 버클(2)에 장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종밴드(140a) 및 제2종밴드(140b)가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종밴드(140a) 및 제2종밴드(140b)가 접힌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확산체수납부(160)를 자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확산체수납부(160)를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는 확산체패드(150), 논슬립패드(120), 확산체수납부(160), 수납구결합부(170), 종밴드(140) 및 횡밴드(1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확산체패드(150)는 향을 확산시키는 두께가 있는 패드형으로 마련된다. 상기 확산체패드(150)는 향을 머금었다가 방출되도록 다공성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논슬립패드(120)는 안전벨트 버클(2)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되어 미끄럼 방지 결합면을 형성한다.
상기 논슬립패드(120)는 상기 버클(2)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맞닿도록 마련되므로 제1논슬립패드(120a) 및 제2논슬립패드(120b)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논슬립패드(120a)가 상기 버클(2)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논슬립패드(120b)는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논슬립패드(120)는 상기 버클(2)과의 미끌림 없이 보다 긴밀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되어 있거나 표면에 거칠기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는 내부에 상기 확산체패드(150)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체패드(150)에서 확산되는 향이 방출되도록 측면이 개방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는 내부에 상기 확산체패드(150)가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내부 하단에 상기 확산체패드(150)가 결합된 경우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내부 상단은 양측이 결합되여 상기 확산체패드(150)에 조임을 형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는 스펀지부(16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펀지부(161)는 확산체수납부(160)와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확산체수납부(160) 내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확산체패드(150)에 향 주입 후 확산되는 향이 외부에 한 번에 퍼지지 않도록 하며, 향이 오랜 시간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펀지부(161)는 상기 확산체패드(150)로부터 확산되는 향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주위에 장시간 머물도록 다공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는 확산체결합홈(162)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체결합홈(162)은 상기 확산체패드(1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확산체패드(150)가 상기 확산체결합홈(16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마련된다. 상기 확산체결합홈(162)은 상기 확산체패드(150)가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는 연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마련되어 상기 확산체패드(150)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구결합부(170)는 상기 논슬립패드(120)와 확산체수납부(16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논슬립패드(120)와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다른 재질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구결합부(170)는 상기 논슬립패드(120)의 전면 및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배면에 결합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구결합부(170)는 수납구결합면(171) 및 좌우이탈방지구(172)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구결합면(171)은 상기 논슬립패드(120) 및 확산체수납부(160)와 결합되도록 평면부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납구결합면(171)의 전면은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배면과 결합되고, 상기 수납구결합면(171)의 배면은 상기 제1논슬립패드(120a)의 전면과 결합된다.
상기 좌우이탈방지구(172)는 상기 수납구결합면(171)에서 수직으로 절곡부가 마련되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좌우 이탈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종밴드(140)는 상기 논슬립패드(120)의 상단면과 하단면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확산체수납부(160)의 측면은 노출되도록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종밴드(140)는 상기 제1논슬립패드(120a)의 상단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를 위에서 아래로 감싸는 제1종밴드(140a)및 하단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체수납부(160)를 아래에서 위로 감싸는 제2종밴드(14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종밴드(140a)와 제2종밴드(140b)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접착부가 마련되며 일실시예로 까슬이 및 보슬이가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횡밴드(130)는 상기 수납구결합부(170)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클(2)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클(2)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노출되도록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횡밴드(130)는 상기 좌우이탈방지구(172)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클(2)을 우측에서 감싸는 제1횡밴드(130a) 및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클(2)을 좌측에서 감싸는 제2횡밴드(13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횡밴드(130a) 및 제2횡밴드(130b)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접착부가 마련되며 일실시예로 까슬이 및 보슬이가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는 외피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부(110)는 상기 종밴드와 횡밴드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종밴드와 횡밴드를 감싸 고정시킨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외피부(110)는 상기 버클(2)의 길이방향에서 탈착되고, 상기 종밴드(140)와 횡밴드(130)의 결합면이 분리되는 것을 막고, 상기 버클(2)과의 결합이 고정되도록 감싼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안전벨트 버클(2)에 장착하여 버클(2)의 위치나 크기와 상관없이 조임 조절을 통해 탈착이 가능한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 버클(2)에 장착하여 사용자 가까이서 확산되어 확산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잠금편
2. 버클
100. 차량용방향제
110. 외피부
120. 논슬립패드
130. 횡밴드
140. 종밴드
150. 확산체패드
160. 확산체수납부
161. 스펀지부
162. 확산체결합홈
170. 수납구결합부
171. 수납구결합면
172. 좌우이탈방지구

Claims (5)

  1. 향을 확산시키는 확산체패드;
    안전벨트 버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되어 미끄럼 방지 결합면을 형성하는 논슬립패드;
    내부에 상기 확산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체패드에서 확산되는 향을 방출하도록 측면이 개방되는 확산체수납부;
    상기 논슬립패드와 확산체수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논슬립패드의 전면 및 상기 확산체수납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확산체수납부가 좌우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곡부가 마련된 수납구결합부;
    상기 논슬립패드의 상단면과 하단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체수납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확산체수납부의 측면은 노출되도록 하는 종밴드; 및
    상기 수납구결합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버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클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노출되도록 하는 횡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결합부는,
    상기 확산체수납부가 결합되는 수납구결합면; 및
    상기 수납구결합면에서 수직으로 절곡부가 마련된 좌우이탈방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체수납부는,
    내주면에 상기 확산체패드에서 확산되는 향이 내부에 머물도록 다공성의 스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체수납부는,
    상기 확산체패드가 상기 확산체수납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확산체수납부에 상기 확산체패드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확산체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밴드와 횡밴드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종밴드와 횡밴드를 감싸 고정되는 외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KR1020200099590A 2020-08-10 2020-08-10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KR20220019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590A KR20220019314A (ko) 2020-08-10 2020-08-10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590A KR20220019314A (ko) 2020-08-10 2020-08-10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314A true KR20220019314A (ko) 2022-02-17

Family

ID=8049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590A KR20220019314A (ko) 2020-08-10 2020-08-10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966A (ko) * 2020-09-28 2022-04-05 박상욱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27U (ko) 2016-05-11 2017-11-21 나승협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27U (ko) 2016-05-11 2017-11-21 나승협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966A (ko) * 2020-09-28 2022-04-05 박상욱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527B1 (ko) 귓바퀴용 지지부재 및 귓바퀴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이어폰
KR20220019314A (ko)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ES2322743A1 (es) Hebilla de liberacion rapida con medios difusores de sustancias volatiles.
JP4634031B2 (ja) 送風式薬剤拡散装置
KR200494152Y1 (ko) 차량 에어벤트 그릴 탈부착형 방향장치
KR20220042966A (ko)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KR101438360B1 (ko) 향기나는 넥밴드형 이어폰
JPH10340603A (ja) 車輌用灯具
KR102570363B1 (ko) 안전벨트 버클 설치용 차량 방향제 키트
JP2706052B2 (ja) 芳香治療鼻マスク
ITMO20100350A1 (it) Museruola per cani
CN219940472U (zh) 马桶垫
JP7319176B2 (ja) 薬剤揮発具
KR900007256Y1 (ko)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CN216493812U (zh) 一种一体式金属饰扣
JP2015035341A (ja) イオン発生装置
KR200308233Y1 (ko) 아로마 방향제 용기
CN214775120U (zh) 具有麽乜的汽车饰品
CN209204174U (zh) 香薰器
JP3157338U (ja) ストーマ袋用カバー
JPH074814Y2 (ja) 自動車用芳香剤収納容器
JP2946419B1 (ja) 円皮針の収納容器
JPS6348274Y2 (ko)
JP4790353B2 (ja) 縦面取付型送風式薬剤放散装置
JPH09421U (ja) 芳香剤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