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256Y1 -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256Y1
KR900007256Y1 KR2019870019533U KR870019533U KR900007256Y1 KR 900007256 Y1 KR900007256 Y1 KR 900007256Y1 KR 2019870019533 U KR2019870019533 U KR 2019870019533U KR 870019533 U KR870019533 U KR 870019533U KR 900007256 Y1 KR900007256 Y1 KR 900007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lip
belt clip
fixing pa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575U (ko
Inventor
오춘식
Original Assignee
오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춘식 filed Critical 오춘식
Priority to KR2019870019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256Y1/ko
Publication of KR890010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안전벨트 클립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안전밸트 클립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A-A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B-B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 클립의 사용을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안전밸트 클립 고정부 2 : 안전밸트 클립 몸체
3 : 밸트 파지부 4 : 안내홈
6 : 개구 7 : 돌기부
8 : 공간 9 : 구멍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벨트 클립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였을때 안전벨트를 당겨주는 회전드럼의 인장력이 착용자에게 느껴지지 않도록 안전벨트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안전벨트 클립은 상부에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가 안전벨트 클립몸체(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2 및 4도에 도시되듯이 고정부(1)가 안전벨트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된 위치에 있을때에는 고정부(1)의 벨트 파지부(3)가 안전벨트 클립 몸체(2)의 안전벨트 안내홈(4)을 가로질러 위치된다. 안전벨트 클립 몸체(2)의 하부면(5)은 안전벨트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개구(6)를 지니며, 또한 안전벨트 클립 몸체의 하부면(5)의 내부에는 고정부(1)의 벨트 파지부(3)와 함께 안전벨트를 확실히 파지하도록 2개의 돌기부(7)를 지닌다.
제2 및 3도를 참조하면, 안전벨트 클립 몸체(2)의 양쪽 모서리에는 방향제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8)이 형성되고 이 공간(8)과 외부를 연결하는 구멍(9)이 안전벨트 클립 몸체(2)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1)가 안전벨트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으면 공간(8)속에 내장된 방향제가 구멍(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고정부(1)가 안전벨트를 풀어주는 위치에 있으면, 다시 말해서 고정부(1)가 안전벨트 클립몸체(2)의 상부면을 덮으면 구멍(9)을 막아서 방향제가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한편, 고정부(1)의 끝부분(10)은 굽혀져 있어서 작동시에 하기에서 설명되듯이 안전벨트 클립이 안전벨트를 자동으로 풀어주게 해준다.
제5도에는 자동차내에 설치된 안전벨트에 본 고안의 안전벨트 클립이 사용된 것을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가 도시된다.
먼저 승차자가 자동차 시이트에 앉은 후에 안전벨트 고정부(11)에 안전벨트 고리(12)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안전벨트 클립은 안전벨트를 내장한 회전 드럼(13)위에 안전벨트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승차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후에 안전벨트에 여유를 주어 안락한 상태에서 안전벨트 클립의 고정부(1)를 작동하여 안전벨트 클립을 안전벨트위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회전드럼(13)이 안전벨트 클립에 의해서 안전벨트를 더이상 회전드럼(13) 내부로 당기지 못하므로 안전벨트를 착용한 승차자는 안전벨트가 회전드럼(13)에 의해 당겨지는 인장력을 느낄 수 없게 되어 편안한 상태가 유지된다.
반면에, 승차자가 안전벨트를 벗을때는 안전벨트 고정부(11)로부터 안전벨트 고리(12)를 빼낸 다음 안전벨트를 당기면 안전벨트 클립은 자동차의 상부벽에 고정된 안내고리(14)에 부딪히며 이때 안전벨트 클립의 고정부(1)의 끝부분(10)이 부딪히는 힘에 의해서 안전벨트를 풀어주게 되어 자동적으로 안전벨트 클립은 안전벨트를 다라 안전벨트를 내장하는 회전드럼(13)위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전벨트 클립은 안전벨트 착용시 착용자에게 회전드럼의 인장력을 느끼지 않게 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형상이 사과형상속에 하트모양을 이루게 하여 미려하며 안전벨트 클립의 고정부에 광고 안내문을 게재하면 판촉효과도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안전벨트 클립에 있어서, 안전벨트를 파지하는 고정부(1)가 안전벨트 클립몸체(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전벨트 클립의 하부면(5)은 개구(6)를 지니고 또한 그 내부에는 고정부(1)의 벨트 파지부(3)와 함께 안전벨트를 확실히 파지하는 돌기부(7)를 지니며 안전벨트 클립 몸체(2) 내부에 방향제를 담을 수 있는 공간(8)과 이 공간(8)으로부터 안전벨트 클립 상부면으로 연장하는 구멍(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클립.
KR2019870019533U 1987-11-12 1987-11-12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KR900007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533U KR900007256Y1 (ko) 1987-11-12 1987-11-12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533U KR900007256Y1 (ko) 1987-11-12 1987-11-12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75U KR890010575U (ko) 1989-07-11
KR900007256Y1 true KR900007256Y1 (ko) 1990-08-11

Family

ID=1926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533U KR900007256Y1 (ko) 1987-11-12 1987-11-12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2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42A1 (ko) * 2022-01-19 2023-07-27 주식회사 박앤웍스 안전벨트 버클 설치용 차량 방향제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42A1 (ko) * 2022-01-19 2023-07-27 주식회사 박앤웍스 안전벨트 버클 설치용 차량 방향제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575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6895A (en) Removable clip for portable equipment
ATE295130T1 (de) Betätigungseinrichtung
KR900007256Y1 (ko) 자동차용 안전밸트 클립
KR960013799A (ko) 발판 부착 보조 좌석
KR20220019314A (ko)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KR200165836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구조물
KR970004697Y1 (ko) 걸고리가 제쳐지는 버클
JPH0245005U (ko)
KR970005148A (ko) 끈고정구
KR19980041857U (ko) 자동차용 키
KR970020748A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KR0153330B1 (ko) 헤드분리형 자동차 키
KR970005448Y1 (ko) 혁대용 버클
KR200248634Y1 (ko) 브이클립 넥타이 매듭구
KR970074333A (ko) 케이블 소켓의 고정구조
KR890005397Y1 (ko) 신발 주머니
KR200141693Y1 (ko) 버스용 실내 우산보관 홀더 장치
KR940000526Y1 (ko) 차량의 안전벨트의 조절용 클립
KR20030041322A (ko) 자동차 선바이저의 티켓 홀더
JPH08119168A (ja) 自転車用ペット篭並びにその内袋
KR0136961Y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KR96000562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보관장치
KR200318066Y1 (ko) 자동차용루프어시스트핸들의인출코트훅
JPH085838Y2 (ja) 彫刻刀
KR970039813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