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713B1 - 차량용 방향제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713B1
KR102000713B1 KR1020190000464A KR20190000464A KR102000713B1 KR 102000713 B1 KR102000713 B1 KR 102000713B1 KR 1020190000464 A KR1020190000464 A KR 1020190000464A KR 20190000464 A KR20190000464 A KR 20190000464A KR 102000713 B1 KR102000713 B1 KR 10200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ap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김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윤 filed Critical 김성윤
Priority to KR102019000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H04B5/00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 상기 캡 내측에 배치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캡 내측에 배치되어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 및 상기 캡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방향제를 상기 캡 내측에 고정하되, 상기 방향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풍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에 설치되되, 상기 바디부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가 태깅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서버 주소를 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방향제{PERFUME FOR VEHICL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된 차량용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IT기술의 발달이 두드러진 가운데 스마트폰의 기능 발달 및 그 활용은 이제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다. 전화통화가 주 목적이었던 휴대폰은 스마트폰의 발달로 취미활동에 이용하고, 개인적 취향의 선택에 있어서 도움을 받고, 원격으로 자동차를 제어하는 등 그 활용범위가 급속도로 넓어지고 있다.
최근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이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고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리더기가 필요하지 않고,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NFC기술은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모바일 결제라는 커다란 모멘텀을 일으키게 되었고, 이동통신사업자들에게는 비용 창출 마켓을 제공하고 이용자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와 편리함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NFC 칩(Chip)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사용이 확산되면서 모바일 결제, 모바일 쿠폰 등 NFC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사업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NFC 기술의 활용 유형이 아직까지 다양하지 못하며, 홍보나 안내를 위한 용도로는 사용자의 편의성이나 실현성이 높은 방식이 아직 제시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하여 NFC 기술을 활용한 제품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5346호(2015.11.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NFC 기술을 적용한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량용 방향제에 NFC 기술을 접목하여, 차량용 방향제에 무선태그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태깅되면 사용자에게 저장된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캡; 상기 캡 내측에 배치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캡 내측에 배치되어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 및 상기 캡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방향제를 상기 캡 내측에 고정하되, 상기 방향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풍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에 설치되되, 상기 바디부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가 태깅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서버 주소를 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되 상기 그립부와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캡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각도 조절부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볼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전면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사이에는 상기 개방부를 차폐하는 보호 필름 또는 커버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방향제 사이에, 상기 방향제의 습기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홀의 일 영역을 차폐하여 상기 방향제의 향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서로 다른 향의 상기 방향제가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향의 상기 방향제만 개방되도록, 어느 하나의 향 이외의 다른 향의 상기 방향제를 차폐하는 방향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하도록 NFC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방향제에 NFC 기술을 접목하여, 차량용 방향제에 무선태그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태깅되면 사용자에게 저장된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의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의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체결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에 방향제 개폐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와 방향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방향제(1)는 캡(10), 보호 필름(20), 커버지(30), 근거리 무선 통신부(40), 방향제(50) 및 체결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방향제(1)는 향을 발산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40)에 의해 사용자에게 미리 저장된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용 방향제(1)는 차량의 송풍구(난방구)에 체결될 수 있다.
캡(10)은 차량용 방향제(1)의 외형을 이루며 하우징 역할을 할 수 있다.
캡(10) 내측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0) 및 방향제(5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캡(10) 내측에는 보호 필름(20) 또는 커버지(30)가 더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캡(10) 내측에는 보호 필름(20), 커버지(30), 근거리 무선 통신부(40), 방향제(50)가 순차적으로 삽입 배치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부(60)가 캡(1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캡(10)에는 개방부(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부(12)를 통해 캡(10) 내측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20) 또는 커버지(30)의 일 영역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보호 필름(20)은 투명한 필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필름(20)은 캡(10) 내부에 배치된 커버지(30), 근거리 무선 통신부(40)를 개방부(12)을 통해 습기나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20)이 투명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보호 필름(20)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지(30)가 노출될 수 있다.
커버지(30)는 사진 또는 그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캡(10)의 개방부(1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지(30)는 가족 사진, 애완동물 사진, 그림 등과 같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이나 그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40)는 커버지(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0)는 NFC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40)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40)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와 태깅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40)는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서버 주소를 로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에는 메인 서버가 제공되면서, 메인 서버에 저장된 특정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서버에는 일정표, 보험회사 전화번호 또는 청첩장과 같은 특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보험회사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접촉 사고 등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보험회사 전화번호를 검색하거나 명함을 찾을 필요 없이,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에 사용자 단말기를 무선 태그함으로써 보험회사 전화번호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긴급한 상황에서 번거로운 전화번호 검색 없이 바로 보험회사 전화번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메인 서버에 모바일 청첩장이 로드되도록 저장되어 있는 경우,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방향제(1)에 사용자 단말기가 무선 태그되면, 사용자 단말기에 모바일 청첩장 주소가 로드되어, 사용자에게 모바일 청첩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용 방향제(1)는 차량 내부에 향을 발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중요 일정을 체크, 일정의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스케줄 확인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방향제(5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제(50)는 캡(10)의 최후방에 배치되어, 캡(10)의 개방된 후방에서 공기 중에 노출될 수 있다. 방향제(50)가 공기와 마찰되면서 방향제(50)의 향이 공기중으로 발산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용 방향제(1)가 차량의 송풍구에 설치될 때, 방향제(50)가 송풍구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송풍구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에 의해 방향제(50)의 향이 공기 중으로 확산될 수 있다.
체결부(60)는 보호 필름(20), 커버지(30), 근거리 무선 통신부(40), 방향제(50)를 캡(10) 내측에 고정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에 체결되어 차량용 방향제(1)가 외부 장치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60)는 바디부(61)와 그립부(62)를 포함한다.
바디부(61)는 캡(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부(40)와 방향제(50)를 포함하는 캡(10) 내측에 배치된 구성들을 캡(10)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립부(62)는 차량의 송풍구와 같은 외부 장치에 설치되어 차량용 방향제(1)가 외부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62)는 바디부(61)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의 캡(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캡(10)은 전면부(11), 제1 플랜지(13) 및 제2 플랜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1)에는 개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부(12)를 통해 커버지(30)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3)는 전면부(11)에서 개방부(12)가 형성된 내측 둘레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4)는 전면부(11)의 외측 둘레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플랜지(14)는 제1 플랜지(13)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며, 제2 플랜지(14)는 제1 플랜지(13)보다 길이가 길게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4)는 고정턱(14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턱(141)은 제2 플랜지(14)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고정턱(141)은 캡(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60)의 바디부(61)를 캡(10)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플랜지(14) 내측으로 보호 필름(20), 커버지(30), 근거리 무선 통신부(40), 방향제(50) 및 체결부(60)의 바디부(6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최전방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20)은 제1 플랜지(13)의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의 체결부(6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체결부(60)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60)는 바디부(61) 및 그립부(62)를 포함한다.
바디부(61)는 캡(10) 내측에 삽입되어, 제2 플랜지(14)의 고정턱(141)에 의해 캡(10)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61)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0) 및 방향제(50)를 포함하여 캡(10) 내측에 배치된 구성들을 고정하되, 바디부(61)는 방향제(5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캡(10) 내측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부(61)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캡(10) 내측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61)에는 방향제(5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풍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통풍홀(611)은 방향제(50)가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61)는 각도 조절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612)는 바디부(61)의 후면에서 캡(1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612)는 바디부(61)에 그립부(62)가 연결되도록 하되, 그립부(62)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 조절부(612)는 복수의 리브(6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6121)는 내측에 중공(6122)을 형성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공(6122)에는 그립부(62)의 볼(621)이 삽입될 수 있다.
리브(6121)에는 안착홈(612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6123)은 리브(6121)의 내측면에서 볼(621)의 둘레면에 대응되도록 파여진 홈일 수 있다. 따라서, 리브(6121) 내측으로 볼(621)이 삽입되면, 볼(621)은 리브(6121)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홈(6123)에 안착될 수 있다. 볼(621)은 안착홈(612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그립부(62)는 외부 장치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써, 외부 장치를 그립할 수 있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와 접촉되는 그립부(62)의 내측면은 함몰부가 돌기부가 교번하여 반복 형성됨으로써, 외부 장치와의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립부(62)는 볼(621) 및 연장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볼(621)은 각도 조절부(612)의 중공(6122)에 삽입되어, 중공(6122)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볼(621)이 중공(6122)에서 회전됨에 따라 그립부(62)와 바디부(61)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볼(621)은 그립부(62)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622)에 의해 그립부(6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볼(621)은 그립부(62)에서 돌출 형성된 연장부(62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622)는 인접한 리브(6121) 사이에 삽입되어, 볼(621)의 회전을 중단되도록 하며, 각도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6122)에 볼(6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인접한 리브(6121)의 사이에는 그립부(62)의 연장부(622)가 삽입되어, 그립부(62)와 바디부(61)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40)와 방향제(50) 사이에 보호 필름(2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향제(50)의 습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4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40)는 칩 형태로써 습기나 액체에 취약하다. 따라서, 보호 필름(20)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40)와 방향제(50) 사이에 배치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부(40)와 방향제(50)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부(40)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622)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연장부(622)는 그립부(62)와 볼(621)을 연결하되,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그립부(62)와 볼(621)을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송풍구에 차량용 방향제(1)가 설치될 때, 차량의 송풍구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에 따라 차량용 방향제(1)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연장부(622)가 소정 각도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6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부(612)의 리브(6121)는 홈부(61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볼(621)은 고정돌기(6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6124)는 각 리브(6121)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홈(6123)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6211)는 볼(621)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홈부(6124)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가 홈부(6124)에 삽입되면 볼(621)의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돌기(6211)가 인접한 리브(6121) 사이에 위치되면 볼(621)이 회전 가능하여 그립부(62)와 바디부(6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에 방향제 개폐부(7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는 방향제 개폐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 개폐부(70)는 체결부(60)에 체결되어 방향제(50)가 발산하는 향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방향제 개폐부(70)는 바디부(61)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향제 개폐부(70)는 제1 차단부(71), 제2 차단부(72), 연결부(73), 제1 커버(74) 및 제2 커버(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부(71), 제2 차단부(72) 및 연결부(73)는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차단부(71) 및 제2 차단부(72)는 바디부(61)에 형성된 복수의 통풍홀(611) 중 적어도 하나의 통풍홀(611)을 차폐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부(71) 및 제2 차단부(72)는 각 통풍홀(611)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부(71) 및 제2 차단부(72)는 통풍홀(611)을 차폐하는 면과, 차폐하는 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차폐하는 면과 외측 둘레의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제1 커버(74) 및 제2 커버(75)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73)는 제1 차단부(71) 및 제2 차단부(72)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단부(71)와 제2 차단부(72)는 서로 마주보도록 연결부(7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73)에는 고정홈(73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731)에 각도 조절부(612)가 삽입됨으로써, 방향제 개폐부(70)가 각도 조절부(612)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커버(74)는 제1 차단부(71)의 차폐하는 면과 단턱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향제 개폐부(70)가 각도 조절부(612)에 설치된 상태일 때, 제1 커버(74)는 제1 차단부(71)와 바디부(61)에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때, 제1 커버(74)를 회전시켜서 통풍홀(611)을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제1 커버(7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커버(74)에는 제1 파지부(7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75)는 제2 차단부(72)의 차폐하는 면과 단턱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향제 개폐부(70)가 각도 조절부(612)에 설치된 상태일 때, 제2 커버(75)는 제2 차단부(72)와 바디부(6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때, 제2 커버(75)를 회전시켜서 통풍홀(611)을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제2 커버(7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 커버(75)에는 제2 파지부(7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61)에 4개의 통풍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부(612)에 방향제 개폐부(70)가 설치되면, 제1 차단부(71) 및 제2 차단부(72)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통풍홀(611)을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부(71) 및 제2 차단부(72)에 의해 2개의 통풍홀(611)이 차폐되어 방향제(50)의 향의 발산을 줄일 수 있다.
제1 커버(74) 및 제2 커버(75) 각각은 제1 차단부(71) 및 제2 차단부(72) 각각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나머지 2개의 통풍홀(611)을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제1 커버(74) 및 제2 커버(75)를 모두 차폐하는 경우 방향제(50)의 향은 공기중으로 확산할 수 없다. 또는, 제1 커버(74) 및 제2 커버(75) 중 어느 하나만 개방하거나, 제1 커버(74) 및 제2 커버(75)를 모두 개방하는 방법을 통해 방향제(50) 향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조절부(612)에 방향제 개폐부(70)가 설치되기 위해서, 각도 조절부(612)는 리브(612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6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리브(6121)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브(6121)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6125)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125)가 돌출되는 두께는 방향제 개폐부(70)가 돌출부(6125)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져서 각도 조절부(612)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일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제(50)와 체결부(6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제(1)는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50’)가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60’)는 바디부(61’)및 그립부(62’)를 포함하며, 차폐부(63’)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62’)는 상술한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바디부(61’)에는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50’)가 배치되는 개수만큼의 통풍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향이 다른 2개의 방향제(50)가 배치되며, 2개의 통풍홀(611’)이 형성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바디부(61’)는 제1 안착면(6111’), 제2 안착면(6112’), 차단막(6113’) 및 단턱부(61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61’)는 통풍홀(611’)이 형성되어 하나의 방향제(50)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안착면(6111’)과, 통풍홀(611’)이 형성되어 또 다른 하나의 방향제(50)가 안착될 수 있는 제2 안착면(6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면(6111’)과 제2 안착면(6112’) 사이에는 서로 다른 향의 방향제(50)를 분리하기 위한 차단막(611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면(6111’) 및 제2 안착면(6112’)에 안착된 방향제(5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바디부(6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차단막(6113’)보다 높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부(6114’)가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63’)는 단턱부(6114’) 내측으로 삽입되어, 차단막(6113’)과 접촉되고 제1 안착면(6111’) 및 제2 안착면(6112’)을 차폐하여, 제1 안착면(6111’) 및 제2 안착면(6112’)에 배치된 방향제(50’)를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향제 개폐부(70’)는 제1 차단부(71’) 및 연결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부(71’)는 하나의 통풍홀(611’)을 차폐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1 차단부(71’)가 각도 조절부(61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어느 통풍홀(611’)을 차폐하는지에 따라 방향제(50’)의 발산하는 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복수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하여 실시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차량용 방향제 10: 캡
11: 전면부 12: 개방부
13: 제1 플랜지 14: 제2 플랜지
141: 고정턱 20: 보호 필름
30: 커버지 40: 근거리 무선 통신부
50: 방향제 60: 체결부
61: 바디부 611, 611’: 통풍홀
612: 각도 조절부 6121: 리브
6122: 중공 6123: 안착홈
6124: 홈부 6125: 돌출부
62: 그립부 621: 볼
6211: 고정돌기 70: 방향제 개폐부
71: 제1 차단부 72: 제2 차단부
73: 연결부 74: 제1 커버
75: 제2 커버

Claims (7)

  1. 전면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캡;
    상기 캡 내측에 배치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캡 내측에 배치되어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
    상기 캡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방향제를 상기 캡 내측에 고정하되, 상기 방향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풍홀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외부 장치에 설치되되, 상기 바디부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체결부; 및
    상기 개방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 사이에는 상기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가 태깅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서버 주소를 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되 상기 그립부와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캡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각도 조절부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볼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방향제 사이에,
    상기 방향제의 습기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홀의 일 영역을 차폐하여 상기 방향제의 향의 발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서로 다른 향의 상기 방향제가 분리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향의 상기 방향제만 개방되도록, 어느 하나의 향 이외의 다른 향의 상기 방향제를 차폐하는 방향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제.
KR1020190000464A 2019-01-02 2019-01-02 차량용 방향제 KR10200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64A KR102000713B1 (ko) 2019-01-02 2019-01-02 차량용 방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64A KR102000713B1 (ko) 2019-01-02 2019-01-02 차량용 방향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713B1 true KR102000713B1 (ko) 2019-07-15

Family

ID=6725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464A KR102000713B1 (ko) 2019-01-02 2019-01-02 차량용 방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138A (zh) * 2020-04-13 2020-07-1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及空调器
KR102165341B1 (ko) 2020-02-10 2020-10-14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턴테이블형 차량용 방향제
KR20210083514A (ko) * 2019-12-27 2021-07-07 박유진 방향제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1477A1 (en) * 2004-02-02 2005-08-10 MISAL AREXONS S.p.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air freshener dispenser
JP3197074U (ja) * 2014-02-06 2015-04-16 ミッレフィオーリ・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Millefiori S.r.l. 車両に使用する香料拡散器
KR20150125346A (ko)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nfc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70003927U (ko) * 2016-05-11 2017-11-21 나승협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KR20180058916A (ko) * 2016-11-25 2018-06-04 김우림 캔들 아로마테라피 효과 증강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1477A1 (en) * 2004-02-02 2005-08-10 MISAL AREXONS S.p.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air freshener dispenser
JP3197074U (ja) * 2014-02-06 2015-04-16 ミッレフィオーリ・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Millefiori S.r.l. 車両に使用する香料拡散器
KR20150125346A (ko)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nfc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70003927U (ko) * 2016-05-11 2017-11-21 나승협 걸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클립형 차량용 방향제
KR20180058916A (ko) * 2016-11-25 2018-06-04 김우림 캔들 아로마테라피 효과 증강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14A (ko) * 2019-12-27 2021-07-07 박유진 방향제 거치대
KR102368431B1 (ko) 2019-12-27 2022-02-25 박유진 방향제 거치대
KR102165341B1 (ko) 2020-02-10 2020-10-14 주식회사 빅케이스테크놀러지코리아 턴테이블형 차량용 방향제
CN111397138A (zh) * 2020-04-13 2020-07-1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713B1 (ko) 차량용 방향제
ES2266731T3 (es) Metodo, sistema y producto de programa de ordenador para personalizar funciones de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 personal.
US9014758B2 (en)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2200785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beacon systems
ES2559181T3 (es) Un terminal móvil y el método de controlar una conmutación de modo en el mismo
KR1018922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57968B2 (en) Wearable article with display
US84901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multi-role communication using a memory tag
ES2290667T3 (es) Metodo, dispositivo y sistema para informacion de contexto automatizada a partir de datos selectivos proporcionados por medios de identificacion.
ES2555468T3 (es) Instalación de a bordo para un vehículo
EP1537517B1 (en) Device for directing the operation of a user's personal communication apparatus
CA2437706A1 (en) Mobi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MXPA05003341A (es) Metodo y sistema para seleccionar elementos de datos para solicitudes de servicio.
US20070090918A1 (en) Wireless mobile phone with authenticated mode of operation including finger print based authentication
ES2254707T3 (es) Dispositivo de baliza de alcance restringido para el registro consensuado de servicios y suministro en un area delimitada.
KR101764267B1 (ko) 차량용 전화 번호 표시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664842B2 (e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battery charging status
BRPI0610638A2 (pt)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local seletiva com base contextual
CN102984341B (zh) 控制移动终端设备中应用启动的方法、设备和系统
ES2944312T3 (es) Sistema de proyección de barra de barrera de puerta de estacionamiento
KR20140062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325196B1 (ko)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가능한 모바일단말기용 악세사리 앱 운용 시스템 및 그의 악세사리 앱 운용 방법
CN101180911A (zh) 基于上下文的本地选择性通信设备
KR2015002525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90072766A (ko) 분실방지기능을 가지는 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