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851B1 -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851B1
KR102223851B1 KR1020180163067A KR20180163067A KR102223851B1 KR 102223851 B1 KR102223851 B1 KR 102223851B1 KR 1020180163067 A KR1020180163067 A KR 1020180163067A KR 20180163067 A KR20180163067 A KR 20180163067A KR 102223851 B1 KR102223851 B1 KR 102223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nturi tube
fragrance
support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4548A (ko
Inventor
윤종희
김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피
Priority to KR102018016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이 충진되는 충진부; 및 상기 충진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에 충진된 향기탈취볼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충진부는 상기 하우징 내주연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 사이를 연결하는 벤츄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PERFUME SYSTEM USING VENTURI}
본 발명은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충진부에 충진된 다수의 향기탈취볼로부터 하우징 외부로 은은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되, 흡입측과 배기측 각각에 송풍팬이 구비되고, 흡입측과 배기측 사이에 벤츄리관이 형성됨으로써, 송풍팬 동작시 공기가 이동하는 속력을 증가시켜 강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 장치는 방향제를 분산하여 실외에서는 악취를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실내에서는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사용되며, 최근에는 심리적 치료분야에서 아로마, 허브 등의 향기를 환자에게 흡입시켜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와주는 향기요법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장치는 가스주입 분사방식, 고체형 상온 휘발방식, 액체형 가열 휘발방식, 액체형 분사방식이 있다.
가스주입 분사방식은 가스를 이용하여 분사액이 보다 강하고 멀리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기 또는 별도의 가스 충전 등 동력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체형 상온 휘발방식은 고체화된 향료 또는 겔 상태의 향료를 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공기와 접촉하여 휘발하는 것으로, 은은한 방향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낮으며, 공기와 접촉하여 휘발함으로써, 고온에서는 급속히 향료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체형 가열 휘발방식은 액체화된 향료를 용기에 담고 심지를 꽂아 놓은 형태로, 용기 외부로 돌출된 심지에 열을 가하여 향기를 발상하는 것이어서 열을 차단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향기를 발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체형 분사방식은 분사기의 액체 방향제를 분사노즐로 분사하여 방향제를 분사하게 되는데, 이때 분사되는 방향제는 분사기의 주변만 향취가 존재하고 골고루 퍼지지 않아 그 주변에 너무 강한 향취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팬을 이용하여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는 방향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 팬을 이용한 방향 장치는 단순히 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이동되는 송풍을 이용하여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방향효과가 강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구성은 결여되어 있어 방향효과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20266호(2017.03.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진부에 충진된 다수의 향기탈취볼로부터 하우징 외부로 은은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되, 흡입측과 배기측 각각에 송풍팬이 구비되고, 흡입측과 배기측 사이에 벤츄리관이 형성됨으로써, 송풍팬 동작시 공기가 이동하는 속력을 증가시켜 강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은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이 충진되는 충진부; 및 충진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에 충진된 향기탈취볼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충진부는 하우징 내주연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막; 및 차단막 사이를 연결하는 벤츄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흡입측과 배기측 각각에 송풍팬이 구비되고, 흡입측과 배기측 사이에 벤츄리관이 형성되어, 충진부에 충진된 다수의 향기탈취볼로부터 하우징 외부로 은은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송풍팬을 동작시켜 벤츄리관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는 속력을 증가시켜 강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향기가 배출되는 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향기가 배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송풍팬 동작시 향기가 배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커버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커버를 나타낸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커버가 동작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의 단면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을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는 흡입측 또는 배기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송풍팬(300)을 구성하여 향기가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능동형 방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향기탈취볼(201)은 방향제 또는 탈취제 또는 방향탈취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황토로 이루어지거나 방향효과 뿐만 아니라 탈취와 제습 효과 또는 가습의 효과가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향기탈취볼(201)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향기탈취볼(201)의 형태적 특성상 다수의 향기탈취볼(201)이 구비되어 방향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보다 강한 힘으로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배출될 수 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향기가 배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송풍팬 동작시 향기가 배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은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보다 강하고 멀리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100), 충진부(200) 및 송풍팬(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는 특징적인 파이의 형태를 벤츄리관(Venturi tube)이라고 하는데, 유체역학에서 파이프 안을 흐르는 유체는 직경이 더 좁은 부분을 만나면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을 위해 압력이 낮아지고 속도가 빨라지는 원리를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벤츄리관(2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통해 속도가 빨라져 보다 강하고 멀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후술되는 충진부(200)가 구비되어 안정되게 보호하는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흡입구(110) 및 배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1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통과한 후,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120)를 통해 외부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흡입구(110)와 배기구(12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을 직립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10)와 배기구(120)는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가 차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충진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는 것으로, 차단막(210) 및 벤츄리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막(210)은 하우징(100) 내주연을 차단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하우징(100)은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 개의 분사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공(13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상기 분사공(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분사공(1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과 충진부(20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분사공(130)을 통해 은은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벤츄리관(220)은 한 쌍의 차단막(2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송풍팬(300) 동작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벤츄리관(22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간 부분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면에 다수 개의 통공(221)이 형성된다.
이에, 송풍팬(300) 동작시, 공기는 벤츄리관(220)의 좁은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때, 벤츄리관(22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통공(221)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벤츄리관(22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흡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이동된 공기가 송풍팬(300)의 동작에 의해 벤츄리관(2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 개의 통공(221)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의 이동속도가 빨라져 충진부(220)의 향기가 보다 빠르게 하우징(100)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통공(221)은 충진부(200)의 내부 공간과 벤츄리관(22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상기 통공(221)을 통해 벤츄리관(220) 내부 공간으로 빠르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후술되는 송풍팬(300)이 동작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벤츄리관(220)을 통과하면서, 빠른 속도로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하우징(100)에 형성된 분사공(130)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는 충진부(200)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고, 향기탈취볼(201)의 향기와 함께 벤츄리관(220)에 형성된 통공(221)을 통과하여 벤츄리관(220) 내부 공간으로 이동됨으로써, 벤츄리관(220)을 통과하는 공기와 함께 하우징(100) 상부로 이동되어 배기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속도가 빨라진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보다 강하고 멀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팬(300)은 충진부(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충진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송풍팬(300)은 하우징(100)의 상부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것으로, 흡입구(110)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충진부(200)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충진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송풍팬(300)은 충진부(200)를 통과하는 공기가 배기구(120)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기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송풍팬(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버튼(도면에 미표시)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은 1단, 2단, 3단 등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버튼을 각각 누름에 따라, 송풍팬(300)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버튼을 반복하여 조작함으로써, 송풍팬(300)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버튼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버튼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버튼의 또 다른 예로, 하우징(100) 상부에 위치하는 송풍팬(300)과 하부에 위치하는 송풍팬(300)의 동작과 세기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이 동작되는 예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300)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충진부(200)에 충전된 향기탈취볼(201)의 향기는 하우징(100)의 분사공(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벤츄리관(220)에 형성된 통공(221)을 통과하여 흡입구(110) 또는 배기구(120)를 통해서도 배출된다.
이때, 송풍팬(300)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이므로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제어하지 않음에 따라,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은은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기탈취볼(201)의 향기를 보다 강하고 멀리 보내게 하기 위해 송풍팬(300)을 동작시키면,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벤츄리관(220)을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에 형성된 분사공(130)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는 충진부(200)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고, 향기탈취볼(201)의 향기와 함께 벤츄리관(220)에 형성된 통공(221)을 통과하여 벤츄리관(220) 내부 공간으로 이동됨으로써, 벤츄리관(220)을 통과하는 공기와 함께 하우징(100) 상부로 이동되어 배기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속도가 빨라진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보다 강하고 멀리 배출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커버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커버를 나타낸 평면측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커버가 동작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우징(100)과 차단막(210)에 의해 형성되는 동간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커버(14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14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10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충진부(200)가 개방되도록 개폐되어 상기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측면에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 슬릿(141)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상,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커버(14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회전됨에 따라 슬릿(141)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4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드 이동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된 홈(142) 및 상기 홈(142)에 끼워지는 돌기(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0)가 회전되어 슬릿(141)을 차단하는 경우, 돌기(143)는 홈(142)에 끼워져 슬릿(141)이 닫혀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향기탈취볼(210)의 이탈을 방지하고,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0)가 회전되어 슬릿(141)을 개방하는 경우, 돌기(143)는 다른 홈(142)에 끼워져 슬릿(141)이 열려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슬릿(141)을 통해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홈(142)은 커버(140)에 형성되고, 돌기(143)는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보다 강하고 멀리 배출되도록 하되, 향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방향조절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방향조절수단(400)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의 단면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을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에서 방향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방향조절수단(400)은 하우징(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배기구(12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여 향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재(410), 틸팅구조체(420) 및 조임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재(410)는 하우징(100)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틸팅구조체(420)를 감싸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측과 하측 일부분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공간을 잇도록 상측에서 배면측으로 절단된 절단면(411)이 형성된다.
이때, 절단면(411)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410)는 전체적인 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으로 후술되는 틸팅구조체(420)가 끼워져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내경은 틸팅구조체(420)의 외경과 같거나 또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틸팅구조체(420)가 끼워져 자유회전이 가능하되, 절단면(411)이 서로 인접하도록 압박하는 과정을 통해 끼워진 틸팅구조체(42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틸팅구조체(420)가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자유회전은 지지부재(410)의 내부 공간은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되도록 후술되는 틸팅구조체(420) 또한 구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부재(410)에 끼워진 틸팅구조체(420)는 지지부재(41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틸팅구조체(420)는 지지부재(410)에 끼워져 자유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관통홀(421)이 형성되며, 측면에 배기구(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틸팅구조체(420)는 송풍팬(300) 동작시, 충진부(200)의 벤츄리관(220)을 통과한 공기가 지지부재(410)의 하측에 개구된 공간과 관통홀(421)을 지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120)와 지지부재(410)의 정면측에 개구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틸팅구조체(420)는 지지부재(410)에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상기 틸팅구조체(420)에 형성된 배기구(12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가.
이때, 지지부재(410)는 하측 일부분이 개구되어 끝단에 단턱(412)이 형성되고, 틸팅구조체(420)는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턱(412)에 걸림되는 걸림턱(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422)은 단턱(412)에 걸림되어 틸팅구조체(420)가 자유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틸팅구조체(420)가 큰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틸팅구조체(420)에 형성된 배기구(120)가 지지부재(410)의 개구된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4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공기의 이동 통로를 차단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틸팅구조체(420)의 정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손잡이(4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423)는 사용자가 틸팅구조체(420)를 자유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파지한 후 상기 틸팅구조체(420)를 자유회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로 기둥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재(430)는 지지부재(410)의 절단면(411)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절단면(411)이 인접하도록 하여 지지부재(410)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410)에 끼워진 틸팅구조체(42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조임부재(430)를 인접시키면 지지부재(410)의 내경이 작아지면서 틸팅구조체(42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자유회전이 완료된 틸팅구조체(420)를 고정시켜 고정된 위치에서 배기구(120)를 통해 향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조임부재(430)는 측면으로 관통된 체결홀(431)이 형성되고, 한 쌍의 체결홀(431)에 끼워지는 볼트(432) 및 상기 볼트(432)에 체결되는 너트(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볼트(432)에 체결된 너트(433)를 조이게되면, 한 쌍의 조임부재(430)는 서로 인접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부재(410)의 절단면(411)이 인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410)의 내경이 작아지면서 틸팅구조체(42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은 흡입측과 배기측 각각에 송풍팬(300)이 구비되고, 흡입측과 배기측 사이에 벤츄리관(220)이 형성되어, 충진부(200)에 충진된 다수의 향기탈취볼(201)로부터 하우징(100) 외부로 은은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송풍팬(300)을 동작시켜 벤츄리관(220)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는 속력을 증가시켜 강한 향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향기가 배출되는 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410)에 끼워진 틸팅구조체(420)가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틸팅구조체(420)에 형성된 배기구(120)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함에 따라, 향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흡입구
120 : 배기구 130 : 분사공
140 : 커버 141 : 슬릿
142 : 홈 143 : 돌기
200 : 충진부 201 : 향기탈취볼
210 : 차단막 220 : 벤츄리관
221 : 통공 300 : 송풍팬
400 : 방향조절수단 410 : 지지부재
411 : 절단면 412 : 단턱
420 : 틸팅구조체 421 : 관통홀
422 : 걸림턱 423 : 손잡이
430 : 조임부재 431 : 체결홀
432 : 볼트 433 : 너트

Claims (9)

  1.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는 충진부(200); 및
    상기 충진부(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구비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팬(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충진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주연을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막(210); 및
    상기 차단막(210) 사이를 연결하는 벤츄리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11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구(110) 및 배기구(120)는 하우징(100)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기구(120)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하우징(100) 상단에 형성된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부재(410)에 끼워져 자유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관통홀(421)이 형성되며, 측면에 배기구(120)가 형성된 틸팅구조체(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 개의 분사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사공(130)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과 충진부(20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10)는
    상기 틸팅구조체(420)를 감싸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구 형태로 이루어지되, 정면측과 하측 일부분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공간을 잇도록 상측에서 배면측으로 절단된 절단면(411)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면(411)은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수단(400)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절단면(411)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조임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임부재(430)는
    측면으로 관통된 체결홀(431);
    한 쌍의 체결홀(431)에 끼워지는 볼트(432); 및
    상기 볼트(432)에 체결되는 너트(4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10)는
    하측 일부분이 개구되어 끝단에 단턱(412)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구조체(420)는
    하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턱(412)에 걸림되는 걸림턱(422)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422)은 단턱(412)에 걸림되어 틸팅구조체(420)가 자유회전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구조체(420)는
    정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손잡이(4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220)은
    중간 부분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면에 형성되어 충진부(200)의 내부 공간과 벤츄리관(220)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통공(2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KR1020180163067A 2018-12-17 2018-12-17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KR10222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67A KR102223851B1 (ko) 2018-12-17 2018-12-17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67A KR102223851B1 (ko) 2018-12-17 2018-12-17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48A KR20200074548A (ko) 2020-06-25
KR102223851B1 true KR102223851B1 (ko) 2021-03-05

Family

ID=7140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67A KR102223851B1 (ko) 2018-12-17 2018-12-17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2187B2 (ja) 1998-12-28 2010-01-20 花王株式会社 芳香器
US20110027124A1 (en) 2009-07-29 2011-02-03 Albee Eric M Electric fragrance diffuser
JP2012120720A (ja) 2010-12-09 2012-06-28 Iwao Hishida 空気清浄方法及び装置
CN107035709A (zh) 2017-06-15 2017-08-11 孟世飞 香薰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7491B2 (ja) * 2013-11-26 2016-02-24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嗅覚ディスプレイ
KR101736279B1 (ko) * 2015-08-07 2017-05-16 최승훈 복합 테라피 장치
KR101689761B1 (ko) 2016-03-04 2016-12-26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방향물질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2187B2 (ja) 1998-12-28 2010-01-20 花王株式会社 芳香器
US20110027124A1 (en) 2009-07-29 2011-02-03 Albee Eric M Electric fragrance diffuser
JP2012120720A (ja) 2010-12-09 2012-06-28 Iwao Hishida 空気清浄方法及び装置
CN107035709A (zh) 2017-06-15 2017-08-11 孟世飞 香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48A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26251B2 (en) Electrical evaporator including fan and louver structure
JP2006505332A (ja) 蒸発性物質を送達するための電動分配デバイス
KR101691786B1 (ko) 방향제 분산 장치
US20070280653A1 (en) Device For The Evaporation Of Volatile Substances, In Particular Of Aromatics And/Or Insecticides
US11340045B2 (en) Cold fogger
TW201118321A (en) Combination warm and cool mist humidifier
JP5868474B1 (ja) 噴霧装置および噴霧システム
US201001873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cent Delivery
KR102223851B1 (ko)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US20190275188A1 (en) Electrical plug-incorporated aerosol perfume dispenser
US6568604B1 (en) Dispensing means
JP2000135111A (ja) ドライヤー
KR20120108835A (ko) 액상 전자모기향 휘산장치
KR102223845B1 (ko) 능동형 방향 장치
JP4994790B2 (ja) 植物の害虫防除装置
KR20120111258A (ko) 휘산기
JPH11514247A (ja) 流体物を使う燻蒸装置
KR20000058687A (ko) 진공청소분무기
KR101926400B1 (ko) 젤상 제재 휘산 분사기
KR20210117777A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JP3512220B2 (ja) 徐放性を有するエアゾール装置
JPH10305090A (ja) 消臭装置
KR20140077447A (ko) 향기 및 살균제 동시 발산장치
JP2008079527A (ja) 植物の害虫防除方法
CN213208090U (zh) 一种暖湿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