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239A -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239A
KR20220011239A KR1020200089388A KR20200089388A KR20220011239A KR 20220011239 A KR20220011239 A KR 20220011239A KR 1020200089388 A KR1020200089388 A KR 1020200089388A KR 20200089388 A KR20200089388 A KR 20200089388A KR 20220011239 A KR20220011239 A KR 2022001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emitting device
sleep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일봉
정기백
최하얀
송태민
이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센트
Priority to KR102020008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239A/ko
Publication of KR2022001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2Detecting sleep stages or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ur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사람)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발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센싱부; 상기 감지된 사용자에게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심도를 판단하는 수면 판단부; 상기 수면심도에 근거하여 발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발향 제어에 근거하여 발향하는 발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Moveable fragrance e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향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여 발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향기는 꽃, 향수 등에서 나는 좋은 냄새로서, 특정한 향기가 사람의 심리, 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효과이다. 이에 사람들은 기분 전환, 심리 안정, 환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향수를 사용하고 있다.
향수는 일반적으로 액체상태의 방향물질을 일컫는 것으로서, 방향물질을 분사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는 소정의 용기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향수가 담긴 용기를 소정의 장소에 비치해 두고 사용하거나, 필요시 손목이나 목 등 신체의 일부에 향수를 분사하거나, 옷에 분사하는 방법으로 향수를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향수가 담긴 용기는 특정 공간 내에 비치되어 자연확산 방식을 통하여 공간 내에 스스로 향기가 퍼지게 하거나,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방향물질이 배출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향수 용기는, 특정 공간 내의 공간 특성 예컨대, 침실, 사무실, 개인방, 부엌, 화장실 등의 공간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능동적으로 작동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공간 특성 외에 사용자의 상태를 반영하여 능동적으로 작동을 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특정 공간 내에 사용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하게 향수가 배출되거나, 향수 배출이 필요한 적정한 시점에 향수가 배출되지 않거나, 다수의 사람들이 모여 있어 특정 향의 배출이 적절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주기적으로 향수 배출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향수 용기는 사용자의 잠재적인 의도와 니즈에 적절하게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향수 용기(또는 향기 발산 장치)는 특정 공간 내에서 정해진 위치에서 작동을 하기 때문에, 향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에게는 향기를 제공할 수 없었고, 특정 위치에 향기 제공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능동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9763호(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5989호(자연형 향기 발산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사람)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발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센싱부; 상기 감지된 사용자에게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심도를 판단하는 수면 판단부; 상기 수면심도에 근거하여 발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발향 제어에 근거하여 발향하는 발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면심도가 얕은 잠 단계이면 상기 발향부에서의 발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의 생체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감정 판단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면 판단부가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비수면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감정 판단부의 감정 상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향부에서의 발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생체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상기 발향부의 발향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냄새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생체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상기 냄새 센서 및 이동부를 동작시켜서 특정 냄새 탐색 지점으로 이동시켜 악취를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새 센서가 악취를 감지하면 상기 특정 냄새 탐색 지점에 대한 상기 발향부의 발향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위치, 각도,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센싱부 및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센싱하게 되는데, 상기 센싱되는 생체정보로부터 사용자와 반려동물을 각각 라벨링할 수 있다.
취침모드 선택이 가능한 모드 선택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침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사용자가 취침시 있어야 할 장소로 미리 설정된 곳의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사람)를 인지하여 사용자 근처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발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및 이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향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센싱부의 생체 센서를 침대의 매트에 설치시킨 경우의 구성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및 이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는 판 형상의 베이스(10)의 양측 하부에 이동바퀴(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가능하다.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소정의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상부에는 발향부(150)와는 이격되게 센싱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110)는 좌우로 소정 각도 범위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또는 센싱부(110)는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가능할 수 있다.
센싱부(110)는 사용자(사람)를 센싱할 수 있으므로,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는 사용자가 센싱되면 사용자 근처로 스스로 이동하여 발향이 가능하다.
물론, 센싱부(110)는 사용자 이외로 반려동물도 센싱할 수 있는데, 사용자와 반려동물은 외관상 형태학적으로도 상이하고 수면 패턴(취침 패턴)이 상이하므로 사용자(사람)에게로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10)의 상부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조명 모듈(도시 생략)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센싱부(110), 이동부(120), 수면 판단부(130), 감정 판단부(140), 발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0)는 비접촉 방식의 센싱부이다.
센싱부(110)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 영역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0)는 냄새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10)는 사용자 감지 센서(110a), 생체 센서(110b), 카메라 센서(110c), 및 냄새 센서(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센서(110a)는 사용자(사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감지 센서(110a)는 라이다(Lidar) 센서, 레이더(radar) 센서, 카메라, 초음파 센서, GPS, 적외선 센서 등에서 하나로 구성되거나 다수개를 복합시킨 퓨전센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라이다 센서는 사용자까지의 거리, 방향, 사용자의 위치 뿐만 아니라 사용자(사람)와 반려동물간의 외관상의 형태를 충분히 식별할 수 있다.
생체 센서(110b)는 사용자의 호흡, 맥박, 체동, 체온 등의 생체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110b)는 도플러 센서, UWB(Ultra-wide Band: 초광대역)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생체 센서(110b)는 사용자의 소리(예컨대, 코골이 등)를 감지할 수 있는 소리 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110c)는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 또는 침대 이외의 장소에 있는 모습을 촬영하되, 머리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카메라 센서(110c)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촬영하므로 생체 센서(110b)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110c)는 가시광 카메라 센서, 적외선 카메라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냄새 센서(110d)는 이상한 냄새(악취)를 센싱할 수 있는데, 화장실, 현관, 부엌 등과 같은 특정 냄새 탐색 지점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싱부(110)는 사용자(사람)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센싱(획득)되는 생체정보로부터 사용자(사람)와 반려동물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센싱부(110)는 사용자와 반려동물을 각각 라벨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사용자에게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부(120)는 도 1에 예시한 이동바퀴(12)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카니즘으로 구현되고,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근처로 이동할 수 있다.
수면 판단부(130)는 센싱부(110)로부터의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수면중인지를 판단하고, 센싱 정보(특히,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수면심도(수면 단계라고 할 수 있음)를 판단(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판단부(130)는 센싱부(110)의 카메라 센서(110c)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눈을 감고 있는지 아니면 뜨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면 판단부(130)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눈을 감고 있으면 잠이 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수면 판단부(130)는 센싱부(110)의 생체 센서(110b)로부터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수면중(잠이 든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수면심도를 판단(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생체정보에는 수면상태(잠이 든 상태)임을 의미하는 신호가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신호를 근거로 사용자가 수면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판단부(130)는 사용자의 수면심도(수면 단계)를 대략 3단계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3단계는 잠이 깬 단계(즉, 렘수면(REM: Rapid Eye Movement sleep) 단계), 얕은 잠 단계, 깊은 잠 단계(서파수면 단계)로 분리할 수 있다.
결국, 수면 판단부(130)는 얼굴 이미지 정보를 통해 취침중(수면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수면심도를 통해서도 취침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정 판단부(140)는 센싱부(110)로부터의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정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의 생체 센서(110b)로부터의 생체정보 및 카메라 센서(110c)로부터의 얼굴 이미지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얼굴도 몸의 일부이므로, 얼굴 이미지 정보는 생체정보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발향부(150)는 소정의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다. 발향부(150)의 세부 구성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수면 판단부(130)로부터의 수면심도에 기반하여 발향 여부를 결정하여 발향부(150)의 발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감정 판단부(140)로부터의 감정 상태에 기반하여 발향부(150)에서의 발향 종류(즉, 방향 물질의 종류)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발향부(150)의 발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위치, 각도,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적절한 각도로 센싱할 수 있도록 센싱부(110) 및 이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수면 판단부(130)에의 사용자의 수면심도가 얕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다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발향부(150)가 발향하도록 발향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센싱부(110)에서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생체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면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의 발향부(150)의 발향 동작을 오프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생체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60)는 센싱부(110)의 냄새 센서(110d) 및 이동부(120)를 동작시켜서 특정 냄새 탐색 지점(예컨대, 화장실, 현관, 부엌 등)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장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상한 냄새(악취)를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냄새 센서(110d)에 의해 어느 한 곳에서의 악취를 센싱하였다면 악취 제거를 위해 제어부(160)는 해당 특정 냄새 탐색 지점에 대한 발향부(150)의 발향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는 취침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예컨대, 취침 모드 온/오프 버튼을 포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취침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이동부(120)가 구동되어 기설정된 위치 즉, 사용자가 주로 취침하는 장소로서 사용자가 취침시 있어야 할 장소로 미리 설정된 곳의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향부(150)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향부(150)는 본체(151) 및 하우징(housing)(1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향부(150)는 하우징(152)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은 서로 다른 향기의 방향 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기 캡슐(154a)은 라임 향의 방향 물질을 배출할 수 있고, 향기 갭슐(154b)는 자몽 향의 방향 물질을 배출할 수 있고, 향기 캡슐(154c)은 라벤더 향의 방향 물질을 배출할 수 있고, 향기 캡슐(154d)은 체리 향의 방향 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향기의 방향 물질을 배출하는 복수의 향기 캡슐들 중에서 N(양의 정수)개의 향기 캡슐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N개의 향기 캡슐들은 상술한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로서 하우징(152)의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하우징(152)의 내부 공간에 장착된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 각각은 복수의 향기 캡슐들 중에서 다른 향기의 방향 물질을 배출하는 향기 캡슐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발향부(150)는 하우징(152)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팬(fan)(155a, 155b, 155c, 155d)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팬(155a, 155b, 155c, 155d)은 각각의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팬(155a, 155b, 155c, 155d)은 그에 대응되는 각각의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팬(155a, 155b, 155c, 155d)의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그에 대응되는 각각의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의 방향 물질 배출 세기는 증가한다. 반대로, 각각의 팬(155a, 155b, 155c, 155d)의 회전 속도가 감소할수록 그에 대응되는 각각의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의 방향 물질 배출 세기는 감소하게 된다.
도 3에서는 4개의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 및 4개의 팬(155a, 155b, 155c, 155d)이 하우징(512)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52)은 복수의 개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부(153)는 하우징(152)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향기 캡슐(154a, 154b, 154c, 154d)로부터 배출되는 방향 물질들은 하우징(152)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153)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한편, 본체(151)의 내부에는 발향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160)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60)에는 각각의 팬(155a, 155b, 155c, 155d)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실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일단,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의 센싱부(110)가 사용자 감지 센서(110a)를 통해 사용자를 센싱한다(S10).
사용자가 센싱되면 제어부(160)는 이동부(120)를 구동시켜 해당 사용자의 근처로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를 이동시킨다(S12).
만약,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가 취침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한 것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취침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60)가 이동부(120)를 구동시켜 기설정된 위치 즉, 사용자가 주로 취침하는 장소(예컨대, 침실 또는 침대가 있는 곳)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가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근처로 이동한 후에는 센싱부(110)는 생체 센서(110b) 및 카메라 센서(110c)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얼굴 이미지 정보를 센싱(획득)한다(S14).
센싱된 생체정보 및 얼굴 이미지 정보는 수면 판단부(130)에게로 전송되고, 수면 판단부(130)는 얼굴 이미지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수면중(잠이 든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6). 예를 들어, 수면 판단부(130)는 센싱부(110)의 카메라 센서(110c)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분석하여 눈을 감고 있는지 아니면 뜨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면 판단부(130)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눈을 감고 있으면 잠이 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획득한 생체정보에는 수면중(잠이 든 상태)임을 의미하는 신호가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신호가 있으면 수면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수면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수면 판단부(130)는 센싱부(110)의 생체 센서(110b)로부터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수면심도를 판단(연산)한다(S18). 이 경우, 수면 판단부(130)는 얕은 잠 단계 또는 깊은 잠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수면중의 수면심도가 판단(연산)됨에 따라 제어부(160)는 수면심도에 따라 발향 여부를 결정한다(S20). 예를 들어, 얕은 잠 단계일 때 보다 빨리 깊은 잠 단계로 천이할 수 있도록 발향부(150)에게로 발향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숙면을 위해 체리 향의 방향 물질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그에 상응하는 발향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에, 발향부(150)는 그에 상응하는 방향 물질을 배출시킨다(S22).
한편, 상술한 단계 S16에서 비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감정 판단부(140)는 센싱부(110)의 생체 센서(110b)로부터의 생체정보 및 카메라 센서(110c)로부터의 이미지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한다(S24).
이와 같이 감정 상태가 판단됨에 따라 제어부(160)는 감정 상태에 따라 발향 종류를 선택한다(S26).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분을 향상시키기 위해 라임 향 또는 자몽 향의 발향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게 하기 위해 라벤더 향(또는 레몬 향)의 발향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향부(150)는 그에 상응하는 방향 물질을 배출시킨다.
한편, 상술한 S10에서 사용자가 센싱되지 않으면 예컨대 외출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댁내에 없게 되면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의 발향부(150)의 발향 동작은 오프될 것이다. 또한, 취침모드가 설정되어 기설정 위치로 이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센싱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의 발향부(150)의 발향 동작은 오프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센싱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가 동작 오프 상태로 있기 보다는, 제어부(160)은 센싱부(110)의 냄새 센서(110d)를 동작시키고 이동부(120)를 구동시켜서 화장실, 현관, 부엌 등의 특정 냄새 탐색 지점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지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센싱하도록 한다. 만약, 냄새 센서(110d)에 의해 어느 한 곳에서의 악취를 센싱하였다면 제어부(160)는 해당 장소에 대한 발향부(150)의 발향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술한 취침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16를 없애도 무방하다. 즉, 상기의 단계 S14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얼굴 이미지 정보를 센싱하게 되면 곧바로 수면심도를 연산하는 단계(S18)를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잠이 깬 단계, 얕은 잠 단계에서의 발향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이번에는, 상술한 센싱부(100)의 생체 센서(110b)를 대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부연설명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생체 센서(110b)를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구성을 다르게 구현한 센싱장치를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침대의 매트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센싱장치는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301)와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303), 압전센서(305), 및 통신부(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센서(301, 305)는 침대의 패드의 머리부분과 몸통부분으로 나누어 분포될 수 있다.
몸통부분에 넓게 분포된 압전센서(301)는 사용자의 맥박, 호흡, 및 체동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전센서(301)의 수가 많을수록 사용자가 수면 상태 중 체동의 변화를 세분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대한 영향없이 호흡, 맥박, 및 체동 신호와 같은 다양한 생체정보를 센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머리부분에 분포된 압전센서(305)는 수면 중 사용자의 코골이 또는 이갈이 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침대의 패드에 설치된 압력센서(303)는 압전센서(301)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정량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싱장치는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301)가 사용자의 호흡, 맥박, 체동 정도를 센싱하고,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303)가 압전센서(301)에서 센싱된 각종의 생체정보를 정량화고, 압전센서(305)가 사용자의 코골이 또는 이갈이 소리를 센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이나 구속이 없는 편안한 상태에서 세부적인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장치는 센싱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신부(도시 생략)를 통해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장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할 때 위치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장치는 생체정보의 전송을 위해 침대의 패드 대신에 프레임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센싱장치의 통신부와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에는 센싱장치로부터의 생체정보(위치 정보 포함)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를 포함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무선의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센싱장치의 통신부와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100)간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110 : 센싱부
120 : 이동부 130 : 수면 판단부
140 : 감정 판단부 150 : 발향부
160 : 제어부

Claims (12)

  1. 사용자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센싱부;
    상기 감지된 사용자에게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심도를 판단하는 수면 판단부;
    상기 수면심도에 근거하여 발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발향 제어에 근거하여 발향하는 발향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면심도가 얕은 잠 단계이면 상기 발향부에서의 발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생체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감정 판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면 판단부가 상기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비수면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감정 판단부의 감정 상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향부에서의 발향을 제어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생체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상기 발향부의 발향 동작을 오프시키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냄새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생체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상기 냄새 센서 및 이동부를 동작시켜서 특정 냄새 탐색 지점으로 이동시켜 악취를 감지하게 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새 센서가 악취를 감지하면 상기 특정 냄새 탐색 지점에 대한 상기 발향부의 발향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위치, 각도, 및 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센싱부 및 이동부를 제어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사용자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센싱하게 되는데, 상기 센싱되는 생체정보로부터 사용자와 반려동물을 각각 라벨링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취침모드 선택이 가능한 모드 선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침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기설정된 위치는 사용자가 취침시 있어야 할 장소로 미리 설정된 곳의 위치인,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KR1020200089388A 2020-07-20 2020-07-20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KR20220011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88A KR20220011239A (ko) 2020-07-20 2020-07-20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88A KR20220011239A (ko) 2020-07-20 2020-07-20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239A true KR20220011239A (ko) 2022-01-28

Family

ID=8005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388A KR20220011239A (ko) 2020-07-20 2020-07-20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2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89Y1 (ko)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자연형 향기 발산장치
KR101689763B1 (ko) 2016-03-04 2016-12-2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89Y1 (ko) 2002-02-08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자연형 향기 발산장치
KR101689763B1 (ko) 2016-03-04 2016-12-27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이동식 방향물질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8201B2 (en) Wearable environmental interaction unit
US104927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nd monitoring sleep
EP3257541B1 (en) Fragrance material ejection device control system
US20150105608A1 (en) Infant Sleeping Aid and Infant-Bed Accessory
ES2705539T3 (es) Aparato de control de iluminación
KR20140006458A (ko) 발광다이오드 감성 조명장치
US20220008602A1 (en) Ultraviolet pathogen disinfection system
KR101617697B1 (ko) 알람 기능을 갖는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US11666728B2 (en) Circadian-friendly and distance-responsive lighting system
US20060238359A1 (en) System for delivering pain without causing physiological damage
JP2019006363A (ja) 眠くなりやすさ推定装置及び覚醒誘導システム
US10588814B1 (en) Enhanced visual and audio cueing system for rollators
US20120137432A1 (en) Devices and implements for deterring monsters, specters, demons, and the like
KR20220011239A (ko)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KR20220011240A (ko) 악취 제거 발향 기능을 갖는 이동형 향기 발산 장치
JP729662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89772A1 (en) Stay-alert device
US10518183B2 (en) Light-up toy with motion sensing capabilities
KR102451323B1 (ko) 반려동물 건강 진단 장치(네오 펫 스테이션)
US20230184415A1 (en) Lighting module
AU2019101779A4 (en) A method of detecting a fall for use at a mobility-assistive device, and a mobility-assistive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220167820A (ko) IoT 기반 훈증 베드
KR100567773B1 (ko)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향기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CN115515651A (zh) 安全辐照病原体的系统和方法
JP2023500439A (ja) 臭覚環境管理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