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148A -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148A
KR20170093148A KR1020177015826A KR20177015826A KR20170093148A KR 20170093148 A KR20170093148 A KR 20170093148A KR 1020177015826 A KR1020177015826 A KR 1020177015826A KR 20177015826 A KR20177015826 A KR 20177015826A KR 20170093148 A KR20170093148 A KR 20170093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inder composition
weight percent
mixture
natur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929B1 (ko
Inventor
이관병
Original Assignee
이관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병 filed Critical 이관병
Publication of KR2017009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hydrocarb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06M13/148Polyalcohols, e.g. glycerol or gluc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32Urea, thiourea or derivatives thereof, e.g. biurets; Urea-inclusion compounds; Dicyanamides; Carbodiimides; Guanidines, e.g. dicyandi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P1/525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P1/525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 D06P1/5257(Meth)acryl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D06P1/5285Polyurethanes; Polyurea; Polyguan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4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P1/6424Compounds containing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4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P1/649Compounds containing carbonamide, thiocarbonamide or guanyl groups
    • D06P1/6491(Thio)urea or (cyclic) deriva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organic compounds without sulfate or sulfonate groups
    • D06P1/651Compounds without nitrogen
    • D06P1/65106Oxygen-containing compounds
    • D06P1/65118Compounds containing hydroxyl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58Material containing hydroxyl groups
    • D06P3/60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3Transfer printing
    • D06P5/004Transfer printing using subliming dyes
    • D06P5/005Transfer printing using subliming dyes on resin-treat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바인더 조성물은 (A) 수계 용매; (B)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retardant); (C) (메타)아크릴 폴리머; (D) 폴리우레탄; (E)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blocked polyisocyanate);(F) 파라핀 왁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
본 발명은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상, 터치감, 염색 견뢰도 및 세탁 견뢰도가 우수한 승화 전사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을 제공할 수 있는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색이란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 물질인 색소를 섬유와 같은 피염물(실, 원단, 가죽)에 색상을 착색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착색 상태에 따라 피염물을 염료액에 담가 균일하게 하나의 색으로 염색하는 침염과 피염물의 일부 또는 대부분을 여러 종류의 색으로 무늬를 넣는 날염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날염은 침염에 비해 아주 복잡하고 다양한 무늬를 용이하게 섬유포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판과 잉크를 조합함으로써 여러가지 색채, 도안이 얻어지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최근 종래 주류이었던 스크린 날염이나 롤러 날염 대신에 잉크젯 날염이 보급되어 오고 있고, 이 방법에서는 판을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고,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 시판되는 날염용 잉크는 염료 잉크와 안료 잉크로 나뉘어지고 염료 잉크는 다시 산성 잉크, 반응성 잉크, 분산성 잉크 등으로 나누어진다. 안료 잉크는 일부 시제품이 나와 있으나, 색포화도나 발색성이 낮기 때문에 염료잉크가 주로 사용된다. 산성 잉크와 반응성 잉크는 수용성으로 주로 면, 실크 등 천연섬유의 날염에 사용된다. 반면 분산성 잉크는 분산 염료를 색소로 하여 물에 색소와 분산제를 투입하여 분산시킨 다음 첨가제를 넣고 잉크화하여 제조되며, 주로 폴리에스터 등 합성섬유의 날염에 사용된다.
한편, 면직물(cotton fabrics)등과 같은 천연섬유 직물은 화학섬유 직물(chemical fabrics)에 비하여 터치감이 좋고(better texture), 흡습성(hygroscopicity), 통풍성(ventilative ability)이 우수하여 의류시장에서 합성섬유 직물보다 선호되고 있다.
천연 섬유 직물의 잉크젯 날염 방법은 디자인 원본을 컴퓨터로 그래픽 작업하여, 주로 반응성 염료로 이루어지는 잉크젯 잉크에 적응할 수 있도록 호제(호료) 및 알칼리성 화학처리제에 침지하여 전처리된 원단에 잉크젯 플로터로 출력(프린트)하고, 증열 및 수세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그러나 천연 섬유 직물은 섬유 조직의 수축 팽창도(expansion and shrinkage ability of fiber texture)가 작고 염료의 흡수력이 낮아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섬유 직물은 선명한 색상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염색 견뢰도, 세탁 견뢰도 및 터치감을 얻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호제나 알칼리성 화학처리제로 전처리하는 경우 환경오염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상, 터치감, 염색 견뢰도 및 세탁 견뢰도가 우수한 승화 전사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을 제공할 수 있는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천연 섬유 직물에 염료가 잘 침투되어 전사될 수 있도록 처리하기 위한,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색상, 터치감, 염색 견뢰도 및 세탁 견뢰도가 우수한 날염 천연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수계 용매; (B)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retardant); (C) (메타)아크릴 폴리머; (D) 폴리우레탄; 및 (E)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blocked polyisocyanate) 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바인더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97.5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1 내지 약 3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F) 파라핀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F)는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G)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linear polyester having a hydroxyl group),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hexane diol-1,6 E-caprolactone)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linear aliphatic polycarbonate polyester)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은 상기 (G)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H)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cross-link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는 상기 (H)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I)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는 상기 (I)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J) 분지 2차 알코올(branched secondary alcohol), 분지 2차 알코올 알콕실레이트(branched secondary alcohol alkoxylate),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이써(polyalkylene glycol alkyl ether)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J)는 상기 (J)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K)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s); (L) 수분산된 블록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water-dispersed blocked aliphatic polyisocyanateresins); (M) 실리콘 연화제(silicone softener); (N) 알킬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및 이들의 혼합물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K); 수분산된 블록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L); 실리콘 연화제; 알킬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M); 및 이들의 혼합물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각각 이들 첨가제 성분을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약 50 내지 약 97.5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1 내지 약 1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파라핀 왁스(F),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hexane diol-1,6 E-caprolactone)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linear aliphatic polycarbonate polyester)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90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파라핀 왁스(F);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바인더 조성물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전처리 공정; 및 상기 전처리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날염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날염 천연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로 전처리한 후 날염하여 얻은 면직물은 전처리하지 않은 면직물로 제조된 직물에 비하여 색상, 터치감 및 염색 견뢰도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본 발명의 염색 견뢰도 테스트 시 사용된 기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실시예 3의 바인더 조성물로 전처리된 면직물로 제조된 날염 직물과 원단 직물에 바로 날염한 면직물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구현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구현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구현예들에서,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천연 섬유 직물은 화학섬유에 비하여 섬유 조직의 팽창도가 작도 염료의 흡수력이 낮아서 일반적인 날염 방법으로 염색하는 경우 선명한 색상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염색견뢰도, 세탁 견뢰도 및터치감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천염 섬유 직물을 날염하기 전에 섬유포를전처리하기 위한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여 후속 공정인 날염시 색상, 터치감, 염색 견뢰도 및 세탁 견뢰도가 우수한 날염 천연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A) 수계 용매; (B)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retardant); (C) (메타)아크릴 폴리머; (D) 폴리우레탄; 및 (E)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blocked polyisocyanate)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97.5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1 내지 약 3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천염 섬유 직물을 날염하기 전에 섬유포에 도포되어 염료의 흡착과 내부로의 확산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천연 섬유 직물을 날염하기 전에 상기 바인더 조성물로 전처리하면 컬러, 터치감, 염색 견뢰도 및 세탁 견뢰도가 우수한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은인체에 유해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무독성성분들을 포함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며, 날염 공정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바인더 조성물에 사용되는 수계 용매(A)는 불순물을 제거한 증류수 또는 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순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광 견뢰도 등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의 특성이 저하되므로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계 용매는 물에 알코올 또는 글라이콜이써(glycol ether)를 첨가한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또는 글라이콜이써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50의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1차, 2차 또는 3차 알코올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수계 용매(A)는 약 30 내지 약 97.5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와 건조속도 등 공정성을 고려하여 함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수분 증발 지연제(B)는 바인더 조성물 내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지연제(retardant) 역할을 한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날염될 원단 직물에 스크린 프린트 등의 방법으로 도포되는데 바인더 조성물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도록 도와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수분 증발 지연제(B)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바인더 조성물 코팅 작업성과 건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 폴리머(C)는 바인더 역할을 하며 바인더 조성물의 안정성(stability)과 내후성(weathering)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 폴리머로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아크릴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 폴리머(C)는 약 0.1 내지 약 3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바인더 조성물의 안정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D)은 약 0.1 내지 약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세탁 견뢰도(wash fastness)와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는 예를 들어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2,4-diisocyanate, T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 IPDI),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메틸에틸케톡심(methyl ethyl ketoxime, MEKO), 에틸 셀로솔브(ethyl cellosolve, EC) 및 -카프로락탐(-caprolactam, CL)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2011 Wiley Periodicals, Inc. J ApplPolymSci, 2011). 상기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는 약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료의 고착성(color fastness), 컬러 안정성(color stability), 염료 결합성(dye holding)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F) 파라핀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F)는 터치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라핀 왁스(F)는 수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F)는 상기 (F)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날염될 원단 직물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G)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linear polyester having a hydroxyl group),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hexane diol-1,6 E-caprolactone)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linear aliphatic polycarbonate polyester)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G)은 상기 (G)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컬러, 터치감 및 유연성(flex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에서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와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은 각각 약 90 내지 약 99.9 중량부와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H)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cross-link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는 날염될 원단 직물에 염료가 잘 고착되도록 하고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교차결합제(H)는 상기 (H)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염료 고착성과 세탁 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에서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각각 약 90 내지 약 97 중량부와 약 3 내지 약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는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알킬렌은 탄소수 4 내지 8을 가지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알킬렌일 수 있다. 치환된 알킬렌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렌일 수 있다. 상기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는 전이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아연(Zn)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가 추가되면 염색된 짙은 색의 직물(dyed dark fabrics)의 탈색(discharge)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는 상기 (I)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염색된 직물에서 염료를 용이하게 탈색할 수 있다. 이로써 날염될 원단 직물이 염색되어 있어도 무방하며, 짙은 색 원단 직물에도 다양한 색상을 선명하게 날염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J) 분지 2차 알코올(branched secondary alcohol), 분지 2차 알코올 알콕실레이트(branched secondary alcohol alkoxylate),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이써(polyalkylene glycol alkyl ether)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 2차 알코올 알콕실레이트의 예로는 분지 2차 알코올 에톡실레이트(secondary alcohol ethoxylate)를 들 수 있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이써의 예로는폴리에틸렌 글리콜 노닐 이써(polyethylene glycol trimethylnonyl ether)가 있다. 상기계면활성제(J)는 상기 (J)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K)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s); (L) 수분산된 블록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water-dispersed blocked aliphatic polyisocyanateresins); (M) 실리콘 연화제(silicone softener); (N) 알킬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예를 들어 메틸레이티드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수분산 폴리우레탄(K)은 예를 들어 폴리(β-메틸-δ-발러로락톤)(poly(β-methyl-δ-valerolactone) glycol, PMVL)과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약 30 내지 약 97.5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1 내지 약 3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약 0.1 내지 10 중량%의 파라핀 왁스(F),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약 50 내지 97.5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1 내지 1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1 내지 2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약 0.1 내지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약 0.1 내지 10 중량%의 파라핀 왁스(F), 약 0.1 내지 10 중량%의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 및 약 0.1 내지 10 중량%의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를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약 30 내지 약 90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파라핀 왁스(F);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K)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s); (L) 수분산된 블록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water-dispersed blocked aliphatic polyisocyanate resins); (M) 실리콘 연화제(silicone softener); (N) (N) 알킬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예를 들어 메틸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로는 Melamine F(Prizm International), Astro Mel 400(Momentive), Astro Mel NW-3A(Momentiv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이들 첨가제 성분을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염료 고착성과 세탁 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증점제(O)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O)로는Prizm ConcBuu(Prizm International)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바인더 조성물의 보존성과 작업성을 고려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점도가 10,000 내지 50,000 cps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바인더 조성물의 도포성과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실온(24℃ 내지 25℃)에서 수계 용매(A)를 혼합 챔버에 투입한 후상기 (B) 내지 (F) 및 선택적으로 (G) 내지 (O) 성분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고속 교반하여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천연 섬유 원단 직물 위에 도포되는 것으로 도포방법으로는 스크린 프린트, 롤러 프린트, 침지(dipping)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도포된 원단 직물을 자연건조를 할 수 도 있고, 약 200℃ 이하의 온도, 구체적으로 약 10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전처리된 원단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처리 공정은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한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원단 직물의 사이즈 또한 제한되지 않으므로 큰 사이즈의 원단 날염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전처리된 천연 섬유 원단 직물 위에 승화성 염료로 인쇄된 전사지를 올려놓고 열프레스 등으로 전사시켜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을 사용하여 승화 전사 공정으로 날염하면선명한 문자나 그림(Photo Real Image)이 전사될 뿐 아니라, 승화성 염료의 전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시시 온도와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75 ℃ 내지 215 ℃의 온도에서 40 Psi 내지 120 Psi의 압력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천염 섬유 직물은 면, 마 가죽, 또는 이들과 합성 섬유의 혼방 직물일 수 있다.
상기 승화성 염료는 안료형 염료(pigment dye), 반응성 염료(reactive dye), 황염료(sulfur dy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승화성 염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승화성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디아릴메탄계, 트리아릴메탄계, 티아졸계, 메로시아닌, 피라조론메틴 등의 메틴계, 인도아닐린, 아세트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으로 대표되는 아조메틴계, 키산텐계, 옥사진계,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으로 대표되는 시아노메틸렌계, 티아진계, 아진계, 아크리딘계, 벤젠아조계,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랄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등의 아조계, 스피로피란계,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플루오란계, 로다민락탐계, 나프토퀴논계, 안트라퀴논계, 키노후타론계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바인더 조성물 제조에 사용된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성분 제조사
(A) Water  
(B1) Urea Brenntag AG Distribution Comp.
(B2) Glycerin
(C) Prizm Binder BNN-3 Prizm International
(D) Ecronova Ecrothan 2012 Michelman, Inc. 
(E1) Fixer N 9D Matsui Shikiso Chemical Co., Ltd.
(E2) Fix N 9DN Matsui Shikiso Chemical Co. Ltd.
(F) Michelman ML723 Michelman, Inc.
(G) OXYESTER T 1136 Evonik Industries
(H) Bayhydrol XP 2547 Bayer AG
(I) Zinc formaldehyde sulfoxide
(J) TMN6 Dow chemical company
(L) Bayhydrol BL 5335 Bayer AG 
(M) Prizm Silicone Softener C-60 Prizm International
(N) Melamine F Prizm International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실시예 1 내지 17 내지 비교예 1 내지 2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및 비교예 테스트 번호 (A) (B1) (B2) (C) (D) (E1) (E2) (F) (G) (H) (I) (J) (M) (N)
1 6R 71 1 0 4 4 7 0 3 0 8 0 1 1 0
2 6O 65.5 1 0 5 5 10 0 5 0 0 0 1 0 7.5
3 9D 74 1 0 4 4 0 5.5 3 0 6.5 0 1 1 0
4 8Y 82.5 1 0 4 1 0 1.5 0 1.5 6.5 0 1 1 0
5 6AA 81 2 0 4 1 0 2 0 1.5 3.5 0 1 1 3
6 2Y 80.5 3 0 4 1 0 1.5 0 2.5 5.5 0 1 1 0
7 3Y 81.5 3 0 4 1 0 1.5 0 2.5 4.5 0 1 1 0
8 4Y 82.5 3 0 4 1 0 1.5 0 2.5 3.5 0 1 1 0
9 2W 83 1 0 4 1 0 1.5 0 1 6.5 0 1 1 0
10 7W 81 1 0 4 1 0 1.5 0 3 6.5 0 1 1 0
11 4AA 65 17 0 5 1 0 2 3 1.5 4.5 0 1 0 0
12 5AA 66 17 0 5 1 0 2 3 1.5 3.5 0 1 0 0
13 5BB 71 12 0 5 1 0 2 3 1.5 3.5 0 1 0 0
14 7BB 69 14 0 5 1 0 2 3 1.5 3.5 0 1 0 0
15 8BB 68 15 0 5 1 0 2 3 1.5 3.5 0 1 0 0
16 4AA-1 60 17 0 5 1 0 2 3 1.5 4.5 5 1 0 0
17 5AA-1 61 17 0 5 1 0 2 3 1.5 3.5 5 1 0 0
1 U 82 1 0 0 0 0 5.5 0 3 6.5 0 1 1 0
2 6Z 83 3 0 4 1 0 1.5 0 1 4.5 0 1 0 0
실시예 1 내지 17 내지 비교예 1 과 2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을 각각 100% 면 원단 직물에 180 메쉬 알루미늄 실크 스크린 프린터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바인더 조성물이 도포된 원단 직물을 160 내지 172 ℃에서 건조한 다음 승화전사기(Sublimation digital machine)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프린트하였다. 그런 다음 204 ℃에서80 Psi의 압력으로 20초간 열 압착하여 날염된 면직물을 제조하였다.
날염된 면직물에 대하여 색상, 터치감 및 염색 견뢰도를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색상평가
색상 평가항목은 다음과 같다. 색상 평가를 위하여 폴리에스터 직물에 상기 승화성 염료를 동일한 디자인으로 날염하여 비교하였다.
1점: 만약 색상이 코튼에 더 가깝다면;
2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10% 더 우수;
3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20% 더 우수;
4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30% 더 우수;
5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40% 더 우수;
6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50% 더 우수;
7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60% 더 우수;
8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70% 더 우수;
9점: 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80% 더 우수;
10점:색상이 프린트된 코튼보다 90% 더 우수.
터치감평가
터치감 평가항목은 다음과 같다.
1점: 플라스틱과 같이 뻣뻣함; 2점: 카드 보드지와 같은 뻣뻣함;
3점: 80LB 페이퍼 같은 뻣뻣함; 4점: 60LB 페이퍼 같은 뻣뻣함;
5점: 40LB 페이퍼 같은 뻣뻣함; 6점: 300Mil Plastic Bag 같은 뻣뻣함;
7점: 180에서 200 Mil Plastic Bag 같은 뻣뻣함; 8점: 90에서 100 Mil Plastic Bag같은 뻣뻣함; 9점: heavy cotton Jersey 직물 같은 뻣뻣함; 10점: 직물과 같은 터치감; 10 점 초과: 터치감이 직물 자체보다 우수.
염색 견뢰도(crocking)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7 및 비교예 1과 2에 따라 전처리 후 날염된 면직물을 젖은 흰색의 테스트 직물(wet white crock test cloth) 위에 크로크미터(Crockmeter)를 이용하여 10회 문질렀다. 그런 다음 테스트 직물에 전이된 염료를 도 1에 도시된 기준에 따라 염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색상 터치감 염색 견뢰도(crocking)
1 10 10 10
2 9.5 7 8
3 10.5 9 9.3
4 9 9 9
5 11 10 9.8
6 10 10 9
7 11 10 9.5
8 11 10 9.5
9 10.5 9.5 9.5
10 10.5 9.5 9
11 9 9 9
12 9 9 8.5
13 8.8 9 9
14 9 9 9
15 9 9 9
16 9 9 9
17 9 9 8.5
1 8.5 8.7 8.5
2 10 7 9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17 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로 전처리된 면직물로 제조된 날염 직물은 비교예 1과 2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로 전처리된 면직물로 제조된 날염 직물에 비하여 색상, 터치감 및 염색 견뢰도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바인더 조성물로 전처리한 후 날염하여 얻은 면직물과 전처리하지 않은 면직물의 사진(대조예)을 도 2와 도 3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바인더 조성물로 전처리한 후 날염한 면직물의 사진(도 2)이 전처리하지 않고 날염한 면직물의 사진(도 3)보다 선명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2)

  1. (A) 수계 용매;
    (B)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retardant);
    (C) (메타)아크릴 폴리머;
    (D) 폴리우레탄; 및
    (E)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blocked polyisocyanate)
    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바인더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97.5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1 내지 약 3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F) 파라핀 왁스를 더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4. 제3항에서,
    상기 파라핀 왁스(F)는 상기 (F)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5. 제1항에서,
    (G)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linear polyester having a hydroxyl group),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6. 제5항에서,
    상기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은 상기 (G)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7. 제1항에서,
    (H)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cross-linker)
    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바인더 조성물.
  8. 제7항에서,
    상기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는 상기 (H)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9. 제1항에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를 더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10. 제9항에서,
    상기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는 상기 (I)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11. 제1항에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J) 분지 2차 알코올(branched secondary alcohol), 분지 2차 알코올 알콕실레이트(branched secondary alcohol alkoxylate),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이써(polyalkylene glycol alkyl ether)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12. 제11항에서,
    상기 계면활성제(J)는 상기 (J) 성분을 함유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13. 제1항에서,
    상기 바인더 조성물은 (K)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s); (L) 수분산된 블록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water-dispersed blocked aliphatic polyisocyanateresins); (M) 실리콘 연화제(silicone softener); (N) 알킬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및 이들의 혼합물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14. 제13항에서,
    상기 수분산 폴리우레탄(K); (L) 수분산된 블록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M) 실리콘 연화제; 알킬레이티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및 이들의 혼합물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는 각각 이들 첨가제 성분을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되는 바인더 조성물.
  15. 약 50 내지 약 97.5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1 내지 약 1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파라핀 왁스(F);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hexane diol-1,6 E-caprolactone)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linear aliphatic polycarbonate polyester)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헥사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
    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바인더 조성물.
  16. 약 30 내지 약 90 중량%의 수계 용매(A),
    약 5 내지 약 30 중량%의 우레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수분 증발 지연제(B),
    약 0.1 내지 약 30 중량%의 (메타)아크릴 폴리머(C),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폴리우레탄(D),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블록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E),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파라핀 왁스(F);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수산기-함유 선형 폴리에스터, 헥산 디올-1,6 E-카프로락탐(hexane diol-1,6 E-caprolactone)과 선형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linear aliphatic polycarbonate polyester)의 혼합물,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화합물(G),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머와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멜라민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교차결합제(H); 및
    약 0.1 내지 약 10 중량%의 메탈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I)
    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의 승화 전사 날염을 위한 바인더 조성물.
  17. 제1항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전처리 공정; 및
    상기 전처리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날염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날염 천연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전처리 공정; 및
    상기 전처리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날염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날염 천연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전처리 공정; 및
    상기 전처리된 천연 섬유 원단 직물에 날염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날염 천연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20. 제17항에 따라 제조된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
  21. 제18항에 따라 제조된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
  22. 제19항에 따라 제조된 날염된 천연 섬유 직물.
KR1020177015826A 2014-12-12 2015-12-11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 KR101939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68,322 US20160168379A1 (en) 2014-12-12 2014-12-12 Binder Composition for Sublimation Printing Natural Fibers
US14/568,322 2014-12-12
PCT/KR2015/013629 WO2016093670A1 (ko) 2014-12-12 2015-12-11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148A true KR20170093148A (ko) 2017-08-14
KR101939929B1 KR101939929B1 (ko) 2019-01-17

Family

ID=5610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826A KR101939929B1 (ko) 2014-12-12 2015-12-11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60168379A1 (ko)
JP (1) JP2018505970A (ko)
KR (1) KR101939929B1 (ko)
CN (1) CN107109779A (ko)
CA (1) CA2970165A1 (ko)
WO (1) WO20160936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253A1 (ko) * 2019-11-29 2021-06-03 (주)라쉬반코리아 승화전사용 천연섬유 전처리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8876A1 (es) * 2016-04-12 2017-10-19 Sumiprint Quimica Y Color S.A.S. Composición de tinta a base de agua para sublimación en telas de origen natural, tal como algodón
JP7224346B2 (ja) * 2017-06-22 2023-02-17 エイチビーアイ ブランデッド アパレル エンタープライゼズ,エルエルシー 布地処理組成物及び方法
CN111454430A (zh) * 2019-01-18 2020-07-28 福盈科技化学股份有限公司 聚氨酯压克力复合型无氟拨水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TWI766161B (zh) 2019-05-06 2022-06-01 臺灣永光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水性顏料紡織印花用前處理液及於織物上形成圖案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644A (en) * 1974-12-04 1977-11-15 Devries Roy F Sublimation transfer and method
US4576610A (en) * 1980-03-25 1986-03-18 Doncroft Colors & Chemicals, Inc. Sublimation dye transfer printing of fabrics
US5561098A (en) * 1993-10-29 1996-10-01 Fujicopian Co., Ltd. Transfer printing method and heat-melt transfer medium usable in the method
US6341856B1 (en) * 1999-04-23 2002-01-29 Sawgrass Systems, Inc. Ink jet printing process using reactive inks
KR20050000085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주위잡음에 대응하여 볼륨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텔레비전
KR101222827B1 (ko) * 2012-08-22 2013-01-15 주식회사 화수목 천연인디고 날염용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페이스트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9215A (en) * 1934-08-18 1937-02-02 Du Pont Printing process and composition therefor
DE2554923A1 (de) * 1975-12-06 1977-06-16 Bayer Ag Verfahren zum faerben von flaechengebilden
JPS52118077A (en) * 1976-03-26 1977-10-04 Toppan Printing Co Ltd Dry transfer printing method of cellulose fiber and structure containing same
JPS53106880A (en) * 1977-02-25 1978-09-18 Toppan Printing Co Ltd Dyeing of cellulose fiber by disperse dye
JPS53126373A (en) * 1977-04-05 1978-11-04 Tsuneo Iwasaki Simultaneous shrink proofing and printing of wool and cotton
JPS5536381A (en) * 1978-07-13 1980-03-13 Iws Nominee Co Ltd Transfer printing method
EP0038965A1 (fr) * 1980-04-26 1981-11-04 Subligraphics S.A. Produit et procédé de prétraitement des fibres cellulosiques à imprimer par transfert
NZ220683A (en) * 1986-06-16 1990-09-26 Basf Australia Pre-treatment of cellulosic fibres, or cellulosic fibres in blends with synthetic fibres, for subsequent transfer printing
JPH073668A (ja) * 1993-06-14 1995-01-06 Toppan Printing Co Ltd 昇華転写捺染布帛及び昇華転写捺染方法
DE4336206A1 (de) * 1993-10-23 1995-04-27 Hoechst Ag Wäßrige selbstvernetzende Polyurethan-Vinyl-Hybrid-Dispersionen
US6402313B1 (en) * 1998-05-06 2002-06-11 Sawgrass Systems, Inc. Substrate reactive printing process
US5746816A (en) * 1996-08-01 1998-05-05 Sawgrass Systems, Inc. Liquid ink process and printing method
WO2002095123A1 (en) * 2001-05-23 2002-11-28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g Inc. Process for printing textile fabrics
US20040063809A1 (en) * 2002-09-30 2004-04-01 Zhenwen Fu Polymeric binders for inkjet inks
JP2012086508A (ja) * 2010-10-22 2012-05-10 Hokuriku Seisen Kk 印刷用布帛
KR101303909B1 (ko) * 2010-12-29 2013-09-05 권희수 환경 친화적인 날염용 바인더 및 그를 사용한 의복의 날염방법
JP5837765B2 (ja) * 2011-06-02 2015-12-24 株式会社松井色素化学工業所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
JP5947712B2 (ja) * 2012-12-28 2016-07-06 株式会社松井色素化学工業所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及び布状繊維製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644A (en) * 1974-12-04 1977-11-15 Devries Roy F Sublimation transfer and method
US4576610A (en) * 1980-03-25 1986-03-18 Doncroft Colors & Chemicals, Inc. Sublimation dye transfer printing of fabrics
US5561098A (en) * 1993-10-29 1996-10-01 Fujicopian Co., Ltd. Transfer printing method and heat-melt transfer medium usable in the method
US6341856B1 (en) * 1999-04-23 2002-01-29 Sawgrass Systems, Inc. Ink jet printing process using reactive inks
KR20050000085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주위잡음에 대응하여 볼륨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텔레비전
KR101222827B1 (ko) * 2012-08-22 2013-01-15 주식회사 화수목 천연인디고 날염용 페이스트 제조방법 및 페이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253A1 (ko) * 2019-11-29 2021-06-03 (주)라쉬반코리아 승화전사용 천연섬유 전처리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70165A1 (en) 2016-06-16
JP2018505970A (ja) 2018-03-01
US20190300704A1 (en) 2019-10-03
US20160168379A1 (en) 2016-06-16
WO2016093670A1 (ko) 2016-06-16
KR101939929B1 (ko) 2019-01-17
CN107109779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929B1 (ko) 천연 섬유 승화 전사 프린팅용 바인더 조성물
EP3184692B1 (en) Textile printing method
US20100043152A1 (en) Method of dry transfer printing of synthetic fibrous material with disperse dye and transfer paper
JP2018505970A5 (ko)
CN102341543B (zh) 喷墨印染记录方法
JP2017171907A (ja) 捺染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JP666528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の繊維専用水性転写インク及びそれを適用するための繊維転写紙
CN101112808B (zh) 一种水洗标识带及其制备方法
DE102013209170A1 (de) Wasserabweisende Effekte auf textilen Oberflächen
WO2010110214A1 (ja) 天然皮革用乾式転写捺染用転写紙及び天然皮革用乾式転写捺染方法
CN109440489A (zh) 一种反应型彩色水性聚氨酯皮革涂饰剂树脂及其制法
CN111704834A (zh) 用于pet膜的涂层组合物、pet转印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90061401A1 (en) Transfer paper for transfer printing
JP2022100506A (ja) 捺染用前処理装置、捺染布帛の製造方法及び捺染布帛の製造システム
KR101795636B1 (ko) 수성그라비아 인쇄를 위한 섬유 전사용 수성잉크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섬유전사지
CN115895339A (zh) 一种高防水水性染料墨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633807B (zh) 一种带保护基团的反应型颜料墨水及水性ε-己内酯保护的HDI预聚体的制备方法
US6040014A (en)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KR100708756B1 (ko) 열승화형 디지털 프린팅 섬유원단 제조용 코팅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JP2022061261A (ja) 前処理液、前処理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インクセット、ならびに画像形成方法
KR102418421B1 (ko) 셀룰로오스 소재의 인쇄성 향상 위한 표면 처리 조제 조성물
KR101374117B1 (ko) 면 원단의 승화 전사를 위한 전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 원단의 승화 전사 날염 방법
KR20110086379A (ko)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용 잉크 조성물
US11674263B2 (en) Dye sublimation inks for printing on natural fabrics
KR101416982B1 (ko) 대형 플로터 출력 원단용 코팅제와 이를 이용한 대형 플로터 출력용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