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524A - 착좌형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착좌형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524A
KR20170092524A KR1020177007283A KR20177007283A KR20170092524A KR 20170092524 A KR20170092524 A KR 20170092524A KR 1020177007283 A KR1020177007283 A KR 1020177007283A KR 20177007283 A KR20177007283 A KR 20177007283A KR 20170092524 A KR20170092524 A KR 2017009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eat portion
right direction
seat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누마타
신사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다이또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또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또 덴끼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Abstract

사용자에 대해 효과적인 비틀기 운동을 부여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는, 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시트부(3)와, 시트부(3)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4)와, 요동 기구(4)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5)와, 요동 기구(4)와 구동 기구(5)가 설치된 적재대(9)를 구비한 착좌형 운동 장치(1)이며, 요동 기구(4)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됨과 함께 구동 기구(5)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13)과, 이 회전축(13)의 회전을 좌우 방향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단일의 변환부(15)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변환부(15)는, 회전축(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착좌형 운동 장치 {SEATED-TYPE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시트부에 앉은 사용자에 대해, 허리 비틀기 등의 운동을 부여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이어트나 요통 예방 등을 위해, 사용자가 시트부에 착좌한 상태에서 좌석을 요동시키고, 요동하는 시트부에 대해 사용자가 밸런스를 유지하려고 해서 허리를 비트는 등의 운동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허리 비틀기 등의 운동을 부여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밸런스 훈련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착좌형 운동 장치는, 사용자가 착좌하는 시트부의 하방에, 이 시트부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요동 기구는, 구동 기구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회전을 좌우 방향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여 시트부에 전달하는 지지 아암 부재를 갖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2344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착좌형 운동 장치에서는, 상술한 회전축은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장치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에 대해, 상술한 지지 아암 부재가 좌우 한 쌍, 즉, 좌측과 우측에 1개씩, 합쳐서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시트부의 지지 구조는, 시트부를 복수의 지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오지만, 시트부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는 결과로도 되기 쉽다. 즉, 복수의 지지 아암 부재끼리가 서로 간섭하거나, 지지 아암 부재가 적재대에 간섭하거나 하여,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을 따른 시트부의 요동 범위가 크게 한정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을 따른 시트부의 요동 범위를 크게 취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해 효과적인 요동 운동을 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착좌형 운동 장치는, 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와, 상기 요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요동 기구와 구동 기구가 설치된 적재대를 구비한 착좌형 운동 장치이며, 상기 요동 기구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됨과 함께 구동 기구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좌우 방향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단일의 변환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는,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는, 상기 회전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됨과 함께, 외주면에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회전 보스부와, 상기 회전 보스부의 경사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됨과 함께 상기 시트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환상 끼워 맞춤부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환상 끼워 맞춤부가 일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가지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대에는, 상기 회전 규제부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회전 규제부를 좌우 방향을 따라 안내 가능한 긴 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부의 적어도 주연부가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착좌형 운동 장치는,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을 따른 시트부의 요동 범위를 크게 취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해 효과적인 비틀기 운동을 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착좌형 운동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착좌형 운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착좌형 운동 장치의 요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착좌형 운동 장치의 요동 기구를 좌우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착좌형 운동 장치의 요동 기구를 저면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는, 예를 들어 의자의 시트면과 같은 대략 평평하고 안정된 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부나 복부에 대해 비틀기 동작을 부여하는 것이다. 착좌형 운동 장치(1)에 의해 가해진 비틀기 동작에 의해 자세가 무너진 사용자가, 자신의 자세를 유지하려고 하거나 복원하려고 함으로써, 허리 주위의 근육이나 이너 머슬이 단련되어, 다이어트 효과나 요통 예방의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도 5에 도시되는 좌우 방향을, 장치(1)를 설명할 때의 좌우 방향이라고 칭하고, 도 1∼도 5에 도시되는 전후 방향을, 장치(1)를 설명할 때의 전후 방향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1∼도 5에 도시되는 상하 방향을, 장치(1)를 설명할 때의 상하 방향이라고 칭한다. 장치(1)의 설명에 사용하는 이들 방향은, 모두 착좌형 운동 장치(1)에 착좌한 사용자로부터 본 전후·좌우·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는, 케이싱부(2)와, 이 케이싱부(2)의 상방에 배치되는 시트부(3)를 갖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케이싱부(2)의 내부에는, 시트부(3)를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4)와, 요동 기구(4)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5)가 수납되어 있다. 착좌형 운동 장치(1)는, 구동 기구(5)와 요동 기구(4)의 동작에 의해 시트부(3)가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을 따라 요동함으로써 시트부(3)에 착좌한 사용자에 대해 비틀기 운동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부(2)는, 상방을 향해 개구된 높이가 낮은 상자 형상의 부재이며, 평면에서 보아 코너부가 둥근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싱부(2)는, 평판상의 하부 케이싱부(6)와, 이 하부 케이싱부(6)의 외연을 따르도록 설치되는 둑 형상의 상부 케이싱부(7)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하부 케이싱부(6)에 상부 케이싱부(7)를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으로써 케이싱부(2)의 내부에 요동 기구(4)(상세는 후술)를 수용 가능한 공간(상방을 향해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 케이싱부(6)의 내부 중앙에는, 오목부(8)(수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8)에 요동 기구(4)를 적재한 적재대(9)가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싱부(6)의 하면측에는, 원판상의 다리부(10)가 하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장치되어 있다.
시트부(3)는, 평면에서 보아 코너부가 둥근 직사각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 판 부재이며, 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3)는 좌단부측이나 우단부측에 비해 중앙측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측에 사용자가 자신의 허리를 넣음으로써 사용자의 둔부에 시트부(3)가 딱 맞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3)의 하면에는, 시트부(3)의 에지를 따라 시트부(3)보다 작은 환상으로 형성된 헴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헴부(11)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하방을 향해 수직 하강하는 스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부(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 부분(구동 기구(5))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보호하도록) 되어 있어, 시트부(3)가 요동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실수로 손끝이나 발끝 등을 구동 부분에 삽입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3)는 복합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직사각 형상으로 된 시트부(3)(시트부 하부체)의 상측에는, 시트부(3)에 착좌하는 사용자의 둔부에 직접 접촉하는 시트부 상부체(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부 상부체(3A)는, 시트부(3)보다 넓은 면적을 구비하고 있고, 시트부(3)의 상면에 겹쳐 있다. 즉, 이 시트부 상부체(3A)는, 시트부(3)의 외연으로부터 더욱 외주측(직경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부 상부체(3A)는, 착좌하는 사용자에게 소프트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술한 헴부(11)와 마찬가지로,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부 상부체(3A)를 설치해 두면, 시트부(3)가 요동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실수로 손끝이나 발끝 등을 시트부(3)의 하측에 삽입해도, 시트부 상부체(3A)가 휘어 변형되므로, 시트부(3)와 바닥면의 사이, 또는 시트부(3)와 적재대(9)의 사이에 끼어 들어간 손끝이나 발끝 등을 다치게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시트부(3)는 복합체 구조일 필요는 없고, 시트부(3)가 일체물이어도 된다. 그 경우라도, 시트부(3)의 적어도 주연부가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3)의 우측의 상면에는, 시트부(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2)은, 시트부(3)의 하면에 있어서, 후술하는 회전축(13)에 장치된 기어(14)에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시트부(3)가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 시트부(3)의 우단부측이 하강하였을 때, 기어(14)와 시트부(3)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시트부(3)의 하방에는, 당해 시트부(3)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함과 함께, 시트부(3)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기구(4)는, 케이싱부(2)의 내부에 수납된 적재대(9) 상에 적재되어 있고, 상술한 헴부(11)로 덮인 하부 케이싱부(6)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기구(4)는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가설되고, 또한 구동 기구(5)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3)과, 이 회전축(13)의 회전을 좌우 방향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15)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를 구성하는 적재대(9), 회전축(13), 변환부(15) 및 구동 기구(5)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적재대(9)는, 평면에서 보아 코너부가 둥근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판체)이며, 하부 케이싱부(6)의 수납 오목부(8)에 상방으로부터 끼움 삽입되어 장치되어 있다. 이 적재대(9)의 상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에는, 상술한 회전축(13)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지지대(16L, 16R)가 각각 상방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지지대(16L, 16R)의 상면에는, 회전축(13)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17)을 수용하는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적재대(9)에 있어서의 좌측의 지지대(16L)와 우측의 지지대(16R) 사이에는, 후술하는 환상 끼워 맞춤부(18)의 회전 규제부(19)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긴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홈(20)은, 적재대(9)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구멍)이며,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긴 홈(20) 내에 회전 규제부(19)의 일부를 삽입하면, 전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회전 규제부(19)를 좌우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긴 홈(20)에 대해서는, 나중에 회전 규제부(19)를 설명할 때, 회전 규제부(19)의 설명과 함께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축(13)은, 상술한 시트부(3)의 하방에, 좌우 방향을 향해 가설된 긴 환봉상의 부재이며, 상술한 지지대(16)의 오목부(8)에 수용된 베어링(17)을 사용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17)은, 회전축(13)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베어링(17)을 사용함으로써 회전축(13)은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3)에 있어서의 중앙(회전 보스부(23))의 우측에는, 구동 기구(5)(구동 모터(21))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기어(14)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구동 기구(5)에 의해 회전축(13)을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구(5)는, 좌우 방향으로 구동축을 향하게 하도록 하여 배치된 구동 모터(21)와, 구동 모터(21)의 축심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과 함께 구동 모터(21)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축(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동력 전달축(22)은, 좌우 방향으로 축심을 향하게 한 회전축(13)에 대해서도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구동축, 동력 전달축(22), 회전축(13) 각각에 설치된 기어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축으로부터 동력 전달축(22)을 통해 회전축(13)에 구동 모터(21)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변환부(15)는, 회전 보스부(23), 환상 끼워 맞춤부(18), 및 회전 규제부(19)를 조합함으로써, 회전축(13)의 회전 구동력을, 좌우 방향을 따라 요동하는 힘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는, 상술한 변환부(15)가 회전축(13)에 단일(단수) 설치되어 있는 점, 및 회전축(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의 특징인 변환부(1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변환부(15)는, 회전축(13)의 회전 구동력을 좌우 방향을 따른 힘으로 변환함으로써, 시트부(3)를 좌우 방향을 따라 요동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변환부(15)는, 회전축(1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됨과 함께 외주면에 회전축(13)의 축심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24)을 갖는 회전 보스부(23)와, 회전 보스부(23)의 경사면(2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됨과 함께 시트부(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환상 끼워 맞춤부(18)와, 회전축(13)의 회전에 수반하여 환상 끼워 맞춤부(18)가 일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19)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보스부(23)는, 상술한 회전축(13)에 대해 장치된 원반 형상의 부재이며, 나사 등을 사용하여 회전축(13)에 나사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13)과 일체로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전 보스부(23)의 외주면에는, 회전축(13)의 축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축 주위로 주회하는 경사면(24)(경사 캠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4)의 외측에는 베어링(26)을 개재하여 환상 끼워 맞춤부(18)가 외부 끼움되어 있다.
환상 끼워 맞춤부(18)는, 시트부(3)의 하측에 설치되어, 시트부(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환상 끼워 맞춤부(18)는, 좌측(우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대략 U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며, 시트부(3)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환상 끼워 맞춤부(18)의 선단부(시트부(3)로부터 먼 측)이며 그 중앙에는 회전 보스부(23)를 삽입 가능한 원형의 개구부(25)가, 좌우 방향을 따라 환상 끼워 맞춤부(18)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5)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베어링(26)이 끼움 삽입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 규제부(19)는, 환상 끼워 맞춤부(18)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이 회전 규제부(19)의 선단부측은 상술한 긴 홈(20)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긴 홈(20)으로 안내되어, 좌우 방향을 따른 요동을 허용하면서 전후 방향을 따른 이동을 규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긴 홈(20)은, 전후 방향의 개구 폭에 비해, 좌우 방향의 개구 폭의 쪽이 2배 정도 길어지는 긴 원 형상으로 개구되는 홈이다. 또한, 긴 홈(20)의 좌우 양단부측의 개구 에지는, 이 긴 홈(20)에 삽입되는 회전 규제부(19)의 외경보다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구비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규제부(19)의 외주면과 긴 홈(20)의 개구 에지가 반주라고 하는 넓은 범위에 걸쳐 면 접촉함으로써, 회전 규제부(19)나 긴 홈(20)에 가해지는 면압을 경감시켜, 미끄럼 이동에 의한 회전 규제부(19)나 긴 홈(20)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는, 상술한 변환부(15)가 회전축(13)에 단일(단수) 설치되어 있는 점, 및 상술한 변환부(15)가 회전축(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는, 회전축(13)이 1개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이 1개의 회전축(13) 상에 변환부(15)(회전 보스부(23) 및 이 회전 보스부(23)에 외부 끼움되는 환상 끼워 맞춤부(18))가 1개밖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 시트부(3)의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을 따른 요동을 1개소의 변환부(15)로 모두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에 대해, 종래의 운동 장치는, 환상 끼워 맞춤부(변환부)를 복수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 상에 환상 끼워 맞춤부를 복수 설치하면, 시트부를 요동시킬 때에 환상 끼워 맞춤부끼리가 서로 간섭하거나, 환상 끼워 맞춤부가 다른 부재와 서로 간섭하거나 할 가능성도 높아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시트부의 요동 범위를 작게 한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에서는, 변환부(15)를 구성하는 회전 보스부(23)나 이 회전 보스부(23)에 외부 끼움되는 환상 끼워 맞춤부(18)를 회전축(13)의 중앙측에 단수만 배치하고, 이 중앙측에 설치된 단수의 변환부(15)로 시트부(3)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중앙측에 설치된 단수의 변환부(15)를 중심으로 시트부(3)를 크게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켜도, 환상 끼워 맞춤부(18)가 다른 부재와 서로 간섭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시트부(3)를 크게 요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운동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환부(15)를 단수로 하거나 중앙측에 설치하거나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간섭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는, 상술한 시트부(3)에 형성된 관통 구멍(12)과 같이, 기어(14) 등과 같은 간섭하기 쉬운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구멍을 형성하거나 하여, 간섭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트부(3)를 요동 기구(4)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근접 배치할 수 있어, 착좌형 운동 장치(1)를 얇고 콤팩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환부(15)를 단수로 하면, 시트부(3)에 가해지는 하중이 하나의 변환부(15)에 집중되므로, 변환부(15)에 보강 리브(27)(도 4 참조)와 같은 보강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요동 기구(4)를 사용하여 시트부(3)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방법,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를 사용한 운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술한 구동 기구(5)를 사용하여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축(13)을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3)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된 회전 보스부(23)도 회전한다. 이때, 회전 보스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4)은, 회전축(13)의 축심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는 축 주위로 주회하는 궤도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경사면(2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환상 끼워 맞춤부(18)도 회전축(13)의 축심 주위로 사행하는 것과 같은 궤도를 그리면서 회전축(13)의 주위를 주회하려고 한다.
그런데, 환상 끼워 맞춤부(18)의 하부에는 상술한 회전 규제부(19)가 하방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 규제부(19)의 하단부가 적재대(9)의 긴 홈(2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환상 끼워 맞춤부(18)는 회전 보스부(23)와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한편, 회전 규제부(19)는 긴 홈(2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환상 끼워 맞춤부(18)의 좌우 방향을 따른 요동은 회전 규제부(19)에 의해 규제되는 일은 없다. 그러므로, 회전축(13)이 회전하면, 전후 방향을 따른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환상 끼워 맞춤부(18)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고, 환상 끼워 맞춤부(18)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부(3)가 좌우 방향을 따라 요동한다.
이와 같이 변환부(15)(환상 끼워 맞춤부(18))를 회전축(13)의 중앙측에 단수 구비한 구조에서는, 변환부(15)를 중심으로 시트부(3)를 크게 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켜도, 환상 끼워 맞춤부(18)가 다른 부재와 서로 간섭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시트부(3)를 크게 요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비틀기 운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좌형 운동 장치(1)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 예를 들어 작동 조건이나 조작 조건, 구성물의 치수, 중량 등은, 당업자가 통상 실시하는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 사항을 채용하고 있다.
1 : 착좌형 운동 장치
2 : 케이싱부
3 : 시트부
3A : 시트부 상부체
4 : 요동 기구
5 : 구동 기구
6 : 하부 케이싱부
7 : 상부 케이싱부
8 : 오목부(수납 오목부)
9 : 적재대
10 : 다리부
11 : 헴부
12 : 관통 구멍
13 : 회전축
14 : 기어
15 : 변환부
16L : 좌측의 지지대
16R : 우측의 지지대
17 : 베어링
18 : 환상 끼워 맞춤부
19 : 회전 규제부
20 : 긴 홈
21 : 구동 모터
22 : 동력 전달축
23 : 회전 보스부
24 : 경사면
25 : 개구부
26 : 베어링
27 : 보강 리브

Claims (5)

  1. 사용자가 착좌 가능한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와, 상기 요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요동 기구와 구동 기구가 설치된 적재대를 구비한 착좌형 운동 장치이며,
    상기 요동 기구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됨과 함께 구동 기구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좌우 방향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단일의 변환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회전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됨과 함께, 외주면에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회전 보스부와,
    상기 회전 보스부의 경사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됨과 함께 상기 시트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환상 끼워 맞춤부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환상 끼워 맞춤부가 일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에는, 상기 회전 규제부의 일부를 삽입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회전 규제부를 좌우 방향을 따라 안내 가능한 긴 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적어도 주연부가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형 운동 장치.
KR1020177007283A 2014-12-10 2015-10-02 착좌형 운동 장치 KR201700925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0036 2014-12-10
JP2014250036A JP6389427B2 (ja) 2014-12-10 2014-12-10 着座型運動装置
PCT/JP2015/078034 WO2016092942A1 (ja) 2014-12-10 2015-10-02 着座型運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524A true KR20170092524A (ko) 2017-08-11

Family

ID=5610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283A KR20170092524A (ko) 2014-12-10 2015-10-02 착좌형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89427B2 (ko)
KR (1) KR20170092524A (ko)
CN (1) CN106413823A (ko)
SG (1) SG11201701409RA (ko)
WO (1) WO2016092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3807B2 (ja) * 2017-04-24 2021-11-10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搭乗型運動機
JP2019092638A (ja) * 2017-11-20 2019-06-20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立ち乗り型運動装置
JP7072861B2 (ja) * 2018-09-13 2022-05-23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揺動機構
JP7395190B2 (ja) 2021-02-03 2023-12-11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着座型運動装置
CN112957692B (zh) * 2021-02-07 2022-03-08 湖南工商大学 一种健美操辅助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62945Y (zh) * 2003-08-26 2004-12-15 张煌东 一种运动器的连动装置
JP2008099816A (ja) * 2006-10-18 2008-05-01 Daito Denki Kogyo Kk バランス運動装置
CN101167678A (zh) * 2006-10-25 2008-04-30 名跃国际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震动机
US7438675B2 (en) * 2007-02-26 2008-10-21 Xiamen Kang Sou Fitness Co. Rotatory abdominal crunch machine
JP5801700B2 (ja) * 2011-12-13 2015-10-28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着座型運動装置
JP2015039483A (ja) * 2013-08-21 2015-03-02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バランス運動装置
CN203724735U (zh) * 2014-02-22 2014-07-23 林敬忠 一种骑乘运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2942A1 (ja) 2016-06-16
JP2016106998A (ja) 2016-06-20
JP6389427B2 (ja) 2018-09-12
CN106413823A (zh) 2017-02-15
SG11201701409RA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2524A (ko) 착좌형 운동 장치
JP6238619B2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このマッサージ装置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20070021694A1 (en) Massager for lower limb
JP2018064807A (ja) マッサージ機
KR20170131544A (ko) 마사지 기구, 및 이 마사지 기구를 구비한 좌식형 마사지기
JP2020031830A (ja) 下肢用マッサージ機
JP2016123851A (ja) マッサージ装置
US10888486B2 (en) Toe tapping exercise equipment
JP2007275138A (ja) 着座型運動装置
CN109758735B (zh) 平衡运动装置
JP6165031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8149029A (ja) 椅子型運動器具
KR101384509B1 (ko)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JP2015039483A (ja) バランス運動装置
JP2018094299A (ja) マッサージ装置
JP6750884B2 (ja) マッサージ装置
JP7121998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7001278B2 (ja) 揺動機構
JP5801700B2 (ja) 着座型運動装置
JP2015134126A (ja) マッサージ機
JP5813901B1 (ja) 下肢運動補助装置
KR102555146B1 (ko) 탑승형 운동기
JP7001269B2 (ja) マッサージ装置
JP6936477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90009362A (ko) 로데오 운동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