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103A -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103A
KR20170091103A KR1020177014994A KR20177014994A KR20170091103A KR 20170091103 A KR20170091103 A KR 20170091103A KR 1020177014994 A KR1020177014994 A KR 1020177014994A KR 20177014994 A KR20177014994 A KR 20177014994A KR 20170091103 A KR20170091103 A KR 20170091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earing
gripping means
support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057B1 (ko
Inventor
오이겐 린트
올리버 엔츠만
울리히 메츠
티노 보스
로베르트-얀 판 데 로바르트
스벤 ?
스벤 ??
브라니슬라브 밀렌코빅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9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8Means for mounting wiper arms onto the vehicle
    • B60S1/3493Means for mounting the wiper shaft in the wiper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6Attachement of separate wiper shaft holders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7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non-screw fixation, (e.g. snap-in, bayonnet-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8Means for mounting wiper arms onto the vehicle
    • B60S1/349Means for mounting the wiper bearing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11)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1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와이퍼 베어링(11)은, 편평한 제 1 측면(28)을 가진 지지 부재(13), 지지 부재(13)의 제 1 측면(28)으로부터 돌출하며 와이퍼 샤프트(12)를 안내하기 위한 베어링 섹션 및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핑 수단들은 베어링 섹션(13a)에 배치되고 각각 그립핑 면을 가지며, 상기 그립핑 면은 지지 부재(13)의 제 1 측면(28)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FASTENING ARRANGEMENT FOR A WIPER BEARING OF A WINDSCREEN WIPER SYSTEM OF A VEHICLE}
본 발명은 와이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체의 지지 플레이트에 조립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한편으로는 와이퍼 모터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와이퍼 베어링이 서로 연결된다. 차체에 고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다수의 스크루 연결부가 사용되고, 이로써 예를 들어 차체에서 와이퍼 시스템의 반응력의 확실한 흡수 및 위치 안정적인 연결이 보장될 수 있다. 종래 방식의 와이퍼 시스템의 조립을 위해 각각의 와이퍼 베어링마다 대개 3개의 스크루가 사용된다. 즉 2개의 와이퍼 베어링의 경우에 조립을 위해 6개의 스크루가 필요하다. 스크루는 정밀 부품이며 따라서 다른 고정 방식에 비해 비교적 고가인 것 외에도, 상기 스크루는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설치되어 조여져야 하고, 이로 인해 추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게 구성되고, 신뢰성 있게 그리고 가급적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낮은 조립 복잡성으로 고정될 수 있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정 장치는, 내구성의 기계적 연결을 간단하게 설계하는 것이 보장되도록 그리고 모든 재료 비용 및 조립 비용을 고려해서 종래 방식의 고정 장치에 비해 비용상의 장점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제 1 양상에 따라,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용 와이퍼 베어링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와이퍼 베어링은,
- 편평한 제 1 측면을 가진 지지 부재;
- 지지 부재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며 와이퍼 샤프트를 안내하기 위한 베어링 섹션;
- 베어링 섹션에 배치되고, 지지 부재의 제 1 측면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각각 하나의 그립핑 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은 지지 부재의 제 1 측면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그립핑 수단들은 지지 부재의 제 1 측면에 대해 이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차량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이 상기 리세스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윤곽을 가진 관통 리세스를 포함하고, 그립핑 수단의 회전에 의해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과 지지 부재 사이에서 차량 플레이트가 지지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은 지지 부재의 제 1 측면에 대해 간격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간격은 차량 플레이트의 재료 두께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록킹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록킹 수단은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이 관통 리세스를 통과하는 경우에 가이드 리세스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리세스는 록킹 수단용 스토퍼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특히 90°만큼 베어링 섹션의 회전 후에 추가 회전은 차단된다.
또한, 가이드 리세스는 록킹 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미리 정해진 각도 만큼 베어링 섹션의 회전 후에 록킹 수단은 록킹 홈에 록킹되고, 이로 인해 베어링 섹션의 역회전을 차단한다.
가이드 리세스는 아치형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의 반경은 록킹 수단과 와이퍼 샤프트 사이의 간격에 상응할 수 있다.
와이퍼 베어링은 고정 레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레버에 의해 와이퍼 베어링은 조립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에 또는 고정 레버에 홀딩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홀딩 부재에 의해 와이퍼 베어링은 특히 구동 유닛에 연결된, 와이퍼 샤프트의 구동을 위한 조인트 로드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라 차량,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은 와이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와이어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베어링은 상기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 와이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차량을 위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는 와이퍼 베어링에 할당된 그립핑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핑 수단들은 이를 위해 제공된 관통 리세스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차량 측에 제공된 고정 영역에, 특히 차량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퍼 베어링은 제 1 측면에 편평하게 형성되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 및 이것에 연결된 베어링 섹션을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와이퍼 샤프트를 중심으로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베어링 섹션에 그립핑 수단들이 할당되고, 지지면에 적어도 하나의 록킹 수단이 할당된다. 베어링 섹션과 그립핑 수단은 관통 리세스를 통해 슬라이딩할 수 있고, 록킹 수단과 그립핑 수단은 와이퍼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와이퍼 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의해 차량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간단하게 구성되며, 신뢰성 있게 그리고 가급적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낮은 조립 복잡성으로 차량에 고정될 수 있는 전술한 방식의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통 리세스를 둘러싸는 고정 영역의 제 1 측면은 와이퍼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와이퍼 베어링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립핑 수단에 작용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그립핑 수단, 록킹 수단 및 지지면은 함께 와이퍼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그립핑 수단과 록킹 수단은 관통 리세스를 둘러싸는 차량 플레이트의 재료를 언더커팅한다. 차량 플레이트 대신, 와이퍼 베어링의 고정 영역을 위한 재료로서, 다수의 적층 및 비적층 플라스틱 및/또는 최근 차량 제조의 복합 재료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 측에 배치된 관통 리세스는 그립핑 수단의 윤곽 및 베어링 섹션에 맞게 형태 조정된다. 이로 인해 차량측 재료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베어링의 가급적 유격 없는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퍼 베어링이 조립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회전되면, 이로 인해 그립핑 수단과 록킹 수단의 최종 위치도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기계적 연결의 개선을 위해서 지지 부재와 차량 플레이트 사이의 마찰을 의도대로 높이는 수단이 차량 플레이트의 최종 위치 영역(고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로써 마찰 파트너의 마찰이 추가로 증가할 수 있다.
록킹 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지지면에 예를 들어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록킹 수단은 또한 지지면의 가장자리를 지나 돌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록킹 수단은 거의 납작한 사각형 바디로서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지지면의 에지에서 상기 지지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또한, 록킹 수단 및 그립핑 수단은 지지면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록킹 수단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시 홈에 안내되고, 최종 위치에 도달 시 홈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록킹 홈에 록킹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록킹 수단과 그립핑 수단은 이 경우 조립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함께 회전되고, 상기 최종 위치에서 이들은 와이퍼 베어링을 측방향으로는 물론 수직 방향으로도 차량에 고정 연결한다.
조립 위치는, 그립핑 수단이 관통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관통 리세스를 둘러싸는 차량 플레이트의 재료의 상부면에 와이퍼 베어링의 지지 부재의 제 1 측면이 놓일 때 취해지는 위치로서 규정된다. 최종 위치는 록킹 수단이 록킹 홈에 록킹되는 위치로서 규정된다. 그립핑 수단들은 관통 리세스를 둘러싸는 차량 플레이트의 재료의 하부면에 함께 접촉한다.
예를 들어 조립 위치는 제로 위치일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90°회전 시 최종 위치에 도달한다. 이는 원 면적에서 1/4회전에 해당한다.
실시예들은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면들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할당된 그립핑 수단을 갖는 와이퍼 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는 차량 측에 제공된 관통 리세스와 함께, 조립 위치에서 와이퍼 베어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조립 위치에서 도 1에 상응하는 와이퍼 베어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차량 측에 제공된 관통 리세스 내로 그립핑 수단이 삽입된 조립 위치에서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 상의 피팅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와이퍼 베어링이 조립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회전되어 도시된, 도 3과 유사한 평면도.
도 5는 조립 위치에 대해 90°회전된 최종 위치에서 와이퍼 베어링이 도시된, 도 3과 유사한 평면도.
도 6은 와이퍼 베어링과 함께 조립 위치에 대해 90°회전되어 도시되며 와이퍼 베어링을 차량에 연결하는, 와이퍼 베어링에 배치된 그립핑 수단 및 록킹 수단과 함께, 최종 위치에서 하부로부터 볼 때 피팅 위치를 도 3과 유사하게 도시한 도면.
도 1 및 도 2는 조립 직전의 위치에서 와이퍼 베어링(12)용 고정 장치(10)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와이퍼 베어링(11)은 와이퍼 샤프트(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와이퍼 샤프트(12)는 예를 들어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와이퍼 암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퍼 베어링(11)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지지면을 가진 제 1 측면(28)과 베어링 섹션(13a)을 가진 납작한 지지 부재(13)를 포함한다. 베어링 섹션(13a)은 지지 부재(1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제 1 측면(28)으로부터 돌출하고, 슬리브 형태로 형성된다. 슬리브 형태의 지지 부재(13) 내에 와이퍼 샤프트(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부재(13)와 베어링 섹션(13a)은 예를 들어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될 수 있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3)는 고정 레버(1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레버는 가로 방향으로, 특히 베어링 섹션(13a)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 부재(13)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고정 레버(15)는 제 1 측면(28)에 대향되는 지지 부재(13)의 제 2 측면(14)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 부재(13)의 에지(31)를 지나 돌출할 수 있다.
와이퍼 샤프트(12)에 연결된 와이퍼 암의 구동을 위해 조인트 로드(17)가 제공된다. 조인트 로드(17)는 커플링 레버(18)에 의해 와이퍼 샤프트(12)에 작용 연결되므로, 조인트 로드(17)의 병진 운동은 와이퍼 샤프트(12)의 회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베어링 섹션(13a)은 와이퍼 베어링(11)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베어링과 함께 길이방향 축(19)을 중심으로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 섹션(13a)은 와이퍼 샤프트(12)를 위한 지지부로서 사용되므로, 와이퍼 베어링(11)은 와이퍼 샤프트(12)를 중심으로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 섹션(13a)은 또한 와이퍼 베어링(12)이 설치되어야 하는 차량 플레이트(40)의 관통 리세스(21) 내로 와이퍼 베어링(11)의 삽입을 위한 안내에 사용된다. 이로 인해 조립 시 틸팅 또는 끼임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섹션(13a)에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들(19a, 19b)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거기에 고정되고, 이 경우 그립핑 수단들(19a, 19b)은 함께 와이퍼 베어링(11)에 의해 와이퍼 샤프트(12)를 중심으로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들(19a, 19b)은 베어링 섹션(13a)에 선형으로 마주 놓이도록 배치된다. 그립핑 수단들(19a, 19b)은 지지 부재(13)의 지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립핑 수단들(19a, 19b)의 배치는 각각의 보강 리브(32a, 32b)에 의해 보강된다. 보강 리브들(32a, 32b)은, 베어링 섹션(13a)과 그립핑 수단(19a, 19b)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되고, 그립핑 수단(19a, 19b)과 지지 부재(13)에 마주 놓인 베어링 섹션(13a)의 부분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지지 부재(13)에 록킹 수단(20)이 제공될 수 있거나 거기에 연결될 수 있다. 록킹 수단(20)은 예를 들어 지지 부재의 제 1 측면(2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예를 들어 록킹 노즈로서 돌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 수단(20)은 지지 부재(13)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영역은 고정 레버(15)의 돌출 방향에 대해서 대향 배치된다. 또한, 록킹 수단(20)은 베어링 섹션(13a)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간격은 베어링 섹션(13a)의 축으로부터 날개 형상 그립핑 수단(19a, 19b)의 방사방향 연장부보다 크다. 록킹 수단(20)은 지지 부재(13)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차량 측에서 차량 플레이트(40)는 가이드 리세스(2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리세스는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차량 플레이트(40)를 통해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홈(25)을 갖는다. 차량 플레이트의 관통 리세스(21) 내로 와이퍼 베어링(11)의 삽입 시 록킹 수단(20)은 홈(25)과 결합하므로, 록킹 수단(20)은 와이퍼 베어링(11)이 회전하는 동안 홈(25)에 안내될 수 있다. 아치형 홈(25)의 곡률은 와이퍼 샤프트(12)와 록킹 수단(20)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가이드 리세스(24)는 또한 록킹 홈(26)을 갖고, 상기 록킹 홈은 홈(25)의 단부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수단들(19, 19a)은 지지 부재(13)의 하부면(28)에 대해 간격(27)을 갖는다. 간격(27)은, 차량 플레이트(40)의 재료 두께에 상응하게 선택된다.
차량 플레이트(40)는 관통 리세스(21)를 포함한다. 관통 리세스(21)는 중앙 개구(22)를 갖고, 상기 개구에 서로 대향되는 날개 형상의 2개의 개구 섹션(23a, 23b)이 연결된다. 중앙 개구(22)는 베어링 섹션(13a)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개구의 윤곽은 상기 베어링 섹션에 맞게 조정된다. 중앙 개구(22)에 연결되는 날개 형상의 개구 섹션들(23a, 23b)은 그 단부 영역들을 향해 약간 확장된다. 날개 형상의 개구 섹션(23a, 23b)은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섹션의 윤곽은 상기 그립핑 수단에 맞게 조정되므로, 상기 그립핑 수단들은 개구 섹션들(23a, 23b)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그립핑 수단(19a, 19b)과 록킹 수단(20)이 차체 측에서 차량 플레이트(40) 내에 제공된 관통 리세스(21) 또는 가이드 리세스(24)에 삽입된 조립 위치에서 와이퍼 베어링(11)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 상의 피팅 위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구동 유닛(33), 예를 들어 전기 모터가 도시되고, 상기 전기 모터는 캐리어 수단(34)에 배치된다. 캐리어 수단(34)은 고정점들(3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점에서 캐리어 수단(34)은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차체부에, 예를 들어 다른 차량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 유닛(33)은 편향 수단(36)에 의해 상기 편향 수단의 제 1 돌출 단부(37)에서 조인트 로드(17)에 연결된다. 편향 수단(36)은 구동 유닛(11)의 회전 운동을 조인트 로드(17)에 전달되는 전진 및 후진 선형 운동으로 변환한다. 제 1 단부(39)에 대향 배치된 조인트 로드(17)의 제 2 단부(38)는 커플링 레버(18)에 연결된다. 커플링 레버(18)는 와이퍼 샤프트(12)에 작용 연결되므로, 조인트 로드(17)의 선형 운동은 와이퍼 샤프트(12)의 주기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운반을 위해 및/또는 조립 위치에 설치 전에 와이퍼 베어링(11)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와이퍼 샤프트(12)를 중심으로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지 부재(13) 또는 고정 레버(15)에 홀딩 부재(16)가 제공된다. 홀딩 부재(16)는 또한 와이퍼 베어링(11) 전체가 홀딩 부재(16)를 이용해서 조립 위치에서 조인트 로드(17)에 고정되도록, 지지 부재(13)의 지지면에 또는 고정 레버(15)에 배치된다. 홀딩 부재(16)는 예를 들어 탄성 록킹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딩 부재는 탄성에 의해 아치형으로 고정 레버(15)로부터 조인트 로드(17)의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고, 록킹된 상태에서 아치형 홀딩 부재(16)는 조인트 로드(17) 위에서 파지할 수 있고, 고정 레버 및 지지 부재(13)를 조인트 로드(17)에 대해 고정된 위치로 지지할 수 있다.
조립 위치에서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은 와이퍼 샤프트(12)의 축방향과 관련해서 날개 형상의 개구 섹션(23a, 23b)에 대향 배치되므로, 축방향 변위 시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19, 19a)은 날개 형상의 개구 섹션(23a, 23b)을 통과할 수 있다.
도 3과 후속하는 도 4 및 도 5는 베이어닛 조인트와 같은 조합된 회전 및 록킹 연결을 이용해서 차량에 와이퍼 베어링(11)의 고정을 위한 이동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관통 개구(21) 내로 와이퍼 베어링의 삽입 후의 상태를 도시하므로,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은 날개 형상의 개구 섹션(23a, 23b)을 통과하고, 지지 부재(13)의 제 1 측면(28)은 차량 플레이트(40)의 표면에 접촉한다.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레버(15)의 작동 시 홀딩 부재(16)는 조인트 로드(17)로부터 분리되고, 와이퍼 베어링(11)은 조립 위치로부터 도 4에 따른 중간 위치로 와이퍼 샤프트(12)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또한,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은 지지 섹션(13)의 지지면에 대향 배치된 차량 플레이트(40)의 하부면(41)을 따라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한다.
도 5는 와이퍼 베어링(11)이 차량 플레이트(40)의 관통 리세스(21)에 그리고 가이드 리세스(24)에 삽입되어 차량 플레이트(40)에 고정 연결된 최종 위치에서 고정 장치(10)를 도시한다. 록킹 수단(20)은 최종 위치에서 조립 위치에 대해 특히 90°회전되고, 차량 플레이트(40)의 록킹 홈(26)에 록킹된다. 록킹 홈(26)은, 최종 위치에서 상기 록킹 홈이 와이퍼 베어링(11)의 지지면(13)의 길이방향(14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날개 형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이 관통 개구(21) 내로 삽입 후에, 고정 레버(15)의 작동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특히 90°회전되면, 록킹 수단(20)이 거기에 록킹되도록 배치된다.
도 6은 최종 위치에서 그립핑 수단(19a, 19b)을 포함한 차량 플레이트(40)의 방향에서 피팅 위치에 있는 와이퍼 베어링(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그립핑 수단(19a, 19b)을 가진 베어링 섹션(13a)과 록킹 수단(20)은 관통 리세스(21) 또는 가이드 리세스(24)에 삽입된다.
그립핑 수단(19a, 19b)은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면은 특히 와이퍼 베어링(11)의 90°회전에 의해 차량 플레이트(40)의 하부면(41)에 작용 연결된다. 그립핑 수단(19a, 19b)은 이 경우 차량 플레이트(40)를 언더커팅하고, 이로 인해 압력 끼워 맞춤 연결을 형성한다. 록킹 홈(26)에 록킹 수단(20)의 록킹에 의해 최종 위치로부터 다시 조립 위치로 와이퍼 베어링(11)의 의도치 않은 이동이 방지된다.
이로써, 조립 시 와이퍼 샤프트(1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그립핑 수단(19a, 19b)이 고정 영역(42)에 압력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게 하는, 와이퍼 베어링(11)용 고정 장치(10)가 제공된다. 최종 위치에 도달 시 록킹 홈(26)에 록킹 수단(20)의 동시 또는 후속 록킹에 의해, 와이퍼 베어링(11)은 측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차량 플레이트(40)에 고정 연결된다.
10 고정 장치
11 와이퍼 베어링
12 와이퍼 샤프트
13 지지 부재
19a 그립핑 수단
19b 그립핑 수단
28 제 1 측면
40 차량 플레이트

Claims (12)

  1.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11)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10)로서, 상기 와이퍼 베어링(11)은,
    - 편평한 제 1 측면(28)을 가진 지지 부재(13);
    - 상기 지지 부재(13)의 제 1 측면(28)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며 와이퍼 샤프트(12)를 안내하기 위한 베어링 섹션;
    -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으로서, 상기 그립핑 수단은 베어링 섹션(13a)에 배치되며, 각각 그립핑 면을 가지고, 상기 그립핑 면은 상기 지지 부재(13)의 상기 제 1 측면(28)의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수단들(19a, 19b)은 상기 지지 부재(13)의 상기 제 1 측면(28)에 대해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수단들(19a, 19b)은 상기 지지 부재(13)의 상기 제 1 측면(28)에 대해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플레이트(40)가 제공되고, 상기 차량 플레이트(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이 상기 리세스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윤곽을 가진 관통 리세스(21)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핑 수단(19a, 19b)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과 상기 지지 부재(13) 사이에서 상기 차량 플레이트(40)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은 상기 지지 부재(13)의 상기 제 1 측면(28)에 대해 간격을 갖고, 상기 간격은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 플레이트(40)의 재료 두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록킹 수단(20)이 제공되고,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그립핑 수단(19a, 19b)이 상기 관통 리세스(21)를 통과하는 경우에 가이드 리세스(24)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세스(24)는 스토퍼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미리 정해진 각도 만큼, 특히 90˚만큼 상기 베어링 섹션의 회전 후에 추가 회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세스(24)는 록킹 홈(26)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미리 정해진 각도 만큼 상기 베어링 섹션의 회전 후에 록킹 수단(20)은 상기 록킹 홈(26)에 록킹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베어링 섹션(13a)의 역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세스(24)는 아치형 홈(25)을 포함하고, 상기 홈의 반경은 상기 록킹 수단(20)과 상기 와이퍼 샤프트(12)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베어링(11)은 고정 레버(1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레버에 의해 상기 와이퍼 베어링(11)은 처음의 조립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3)에 또는 상기 고정 레버(15)에 홀딩 부재(16)가 배치되고, 상기 홀딩 부재에 의해 상기 와이퍼 베어링(11)은 특히 구동 유닛(33)에 연결된, 상기 와이퍼 샤프트(12)의 구동을 위한 조인트 로드(17)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2. 와이퍼 샤프트(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와이퍼 베어링(11)을 포함하는, 차량, 바람직하게 자동차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베어링(11)은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
KR1020177014994A 2014-12-04 2015-11-18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 KR102416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24886.8A DE102014224886A1 (de) 2014-12-04 2014-12-04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Wischerlager einer Scheibenwischeranlage eines Fahrzeugs
DE102014224886.8 2014-12-04
PCT/EP2015/076969 WO2016087205A1 (de) 2014-12-04 2015-11-18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wischerlager einer scheibenwischeranlage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103A true KR20170091103A (ko) 2017-08-08
KR102416057B1 KR102416057B1 (ko) 2022-07-05

Family

ID=5455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994A KR102416057B1 (ko) 2014-12-04 2015-11-18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79325B2 (ko)
JP (1) JP6403888B2 (ko)
KR (1) KR102416057B1 (ko)
CN (1) CN107000692B (ko)
DE (1) DE102014224886A1 (ko)
FR (1) FR3029476B1 (ko)
WO (1) WO2016087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9519B1 (fr) 2017-07-28 2019-08-16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fixation pour un systeme de tringlerie d’actionnement d’essuie-glaces
BR102018015435A2 (pt) 2018-07-27 2020-02-04 Valeo Sist Automotivos Ltda mecanismo de ligação de limpador de para-brisa e método para a montagem sem parafusos do mesm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525U (ja) * 1984-07-20 1986-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すべり軸受の固定部
JPS6215609U (ko) * 1985-07-12 1987-01-30
JPH0618706U (ja) * 1992-08-19 1994-03-11 加藤発条株式会社 部品の締結構造
DE102012200800A1 (de) * 2012-01-20 2013-07-25 Robert Bosch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n Wischerar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6193A (en) * 1971-01-15 1974-12-24 J Bott Automobile wind deflector assembly
US4509878A (en) * 1983-06-17 1985-04-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transmission
FR2718799B1 (fr) * 1994-06-08 1996-07-26 Joel Marro Dispositif d'assemblage de deux pièces sans intermédiaires.
DE19735818C2 (de) * 1997-08-18 1999-10-21 Daimler Chrysler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eines Kraftfahrzeuges
FR2775456B1 (fr) * 1998-02-27 2000-05-1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platine de fixation susceptible de s'effacer en cas de choc, et platine appartenant a un tel dispositif
DE19817289B4 (de) * 1998-04-18 2010-08-19 Valeo Wischersystem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Wischanlag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JP3220940B2 (ja) * 1998-09-11 2001-10-22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フランジ付軸受の取付構造
AU2002358446A1 (en) * 2001-12-19 2003-06-30 Robert Bosch Gmbh Windscreen wiping device with a fixing part
DE102004005067A1 (de) * 2004-02-02 2005-08-18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17382A1 (de) * 2004-04-08 2005-10-27 Robert Bosch Gmbh Wischanlage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6059079B4 (de) * 2006-12-14 2017-01-12 Robert Bosch Gmbh Wischerlager
DE102008041092B4 (de) 2008-08-07 2018-01-18 Robert Bosch Gmbh Platine mit Formrohr zur Führung und Lagerung einer Antriebswelle
DE102010007896A1 (de) * 2010-02-13 2011-08-18 Volkswagen AG, 38440 Befestigung für einen Wischermotor
FR2964617B1 (fr) * 2010-09-14 2013-04-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canisme d'essuie-vitre comprenant un systeme de blocage en position sur la structure du vehic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525U (ja) * 1984-07-20 1986-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すべり軸受の固定部
JPS6215609U (ko) * 1985-07-12 1987-01-30
JPH0618706U (ja) * 1992-08-19 1994-03-11 加藤発条株式会社 部品の締結構造
DE102012200800A1 (de) * 2012-01-20 2013-07-25 Robert Bosch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n Wischer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0692B (zh) 2019-12-20
JP2018503550A (ja) 2018-02-08
US20170334398A1 (en) 2017-11-23
WO2016087205A1 (de) 2016-06-09
CN107000692A (zh) 2017-08-01
DE102014224886A1 (de) 2016-06-09
FR3029476A1 (fr) 2016-06-10
US10479325B2 (en) 2019-11-19
JP6403888B2 (ja) 2018-10-10
FR3029476B1 (fr) 2019-08-16
KR102416057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494B1 (ko)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의 종 방향 조절 장치
US7503615B2 (en) Window wip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CN1914071B (zh) 用于汽车的刮水装置
US9358958B2 (en) Wiper blade adapter device
CN109154317B (zh) 用于将第一构件固定在第二构件上的固定装置
US9499131B2 (en) Wiper blade adapter device
US20130255026A1 (en) Wiper device
US20130333144A1 (en) Wiper device
KR20160105522A (ko) 구동 장치를 가지는 차량 시트 및 유격 없는 방식으로 구동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
KR20170091103A (ko) 차량의 윈드스크린 와이퍼 시스템의 와이퍼 베어링용 고정 장치
CN114450463B (zh) 用于窗升降器的紧固设备及窗升降器
CN109661498B (zh) 用于窗升降器的驱动设备,具有用于绳鼓轮的止挡环
US20140000056A1 (en) Wiper device, in particular motor vehicle windshield wiper device
KR20050062585A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US20100293857A1 (en) Dual channel cable drive window lift system
CN112154272B (zh) 固定系统、用于固定的方法、用于装配的方法和机动车
CN111152247A (zh) 机械手
US20090025173A1 (en) Rotation control mechanism especially for a window wiping device pertaining to a motor vehicle
US20100293858A1 (en) Single channel cable drive window lift system
JP6527752B2 (ja) 支持装置及びワイパ装置
US20100293864A1 (en) Attachment method for window lift system
EP2773539B1 (en) Pantograph for windshield wipers, especially automotive ones, and an adapter for the pantograph
US20230032508A1 (en) Adapter for a wiper blade of a vehicle
CN101746356A (zh) 汽车中的雨刷装置
CN108135359B (zh) 驱动器及驱动器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