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047A -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047A
KR20170082047A KR1020160001191A KR20160001191A KR20170082047A KR 20170082047 A KR20170082047 A KR 20170082047A KR 1020160001191 A KR1020160001191 A KR 1020160001191A KR 20160001191 A KR20160001191 A KR 20160001191A KR 20170082047 A KR20170082047 A KR 20170082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efrigerant
suction port
discharge por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101B1 (ko
Inventor
구세진
김영주
안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0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0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6385262A priority patent/AU2016385262B2/en
Priority to PCT/KR2016/012804 priority patent/WO2017119588A1/ko
Priority to RU2018128277A priority patent/RU2700601C1/ru
Priority to JP2018534693A priority patent/JP2019502086A/ja
Priority to EP16204928.2A priority patent/EP3190360A1/en
Priority to CN201611186929.3A priority patent/CN107059319B/zh
Priority to US15/397,161 priority patent/US10280545B2/en
Publication of KR2017008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47A/ko
Priority to JP2022026436A priority patent/JP729649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7Siz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매 혼합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 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매 혼합유체로부터 분리되는 기상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GAS-LIQUID SEPARATO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GAS-LIQUID SEPARATOR}
본 발명은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를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로 순환시킴으로 증발기에서 열원을 흡수하여 응축기에서 방출한다. 이때, 냉매는 열원을 흡수하여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 변화하고, 열원을 방출하여 기상에서 액상으로 상 변화한다. 기상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후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사이클로 해서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만약, 액상 냉매가 기상 냉매와 함께 압축기로 유입되면, 압축기가 작동하는 동안에 액상 냉매의 압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압축기가 손상되는 위험을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기액분리기(어큐물레이터라고도 함)가 압축기의 흡입구 측에 연결되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한다.
도 6은 종래의 기액분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기액분리기(1)는 케이싱(2)의 상부에 냉매유입관(2a)을 구비하여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케이싱(2)의 내부에 유입시키고, 케이싱(2)의 하부에 냉매토출관(2b)을 구비하여 냉매의 비중차이로 분리된 기상 냉매를 압축기로 토출시키며, 기상냉매로부터 분리된 액상 냉매를 케이싱에 저장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액분리기(1)는 수직형 압축기의 흡입구측과 연결되도록 제조되었기 때문에, 압축기의 설치공간의 높이가 좁을 때 사용하기에 유리한 횡형 압축기에 적용될 수 없다. 만약, 도 6에 도시된 기액분리기(1)가 횡형 압축기의 흡입구측에 연결될 경우에 상기 기액분리기(1)는 횡형 압축기의 상부로 돌출되어, 본래 횡형 압축기에서 의도했던 바와 다르게 압축기 및 기액분리기(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선행특허문헌 D1은 횡형 압축기와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횡형 어큐뮬레이터를 개시한다.
한편, 히트펌프 시스템이 세탁기 등과 같은 의류처리장치에 적용할 경우 의류 등을 수용하는 드럼 및 터브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공간에서 드럼 및 터브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팽창밸브 및 기액분리기 등을 한꺼번에 장착하기에는 배치공간이 협소하다.
그런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특허문헌 D1의 횡형 어큐뮬레이터는 흡입구(37)와 토출구(39)가 서로 반대되는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에 별 문제가 없지만, D1의 횡형 어큐뮬레이터가 협소한 공간에 배치될 경우에 다른 구성요소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흡입구(37)와 토출구(39)를 동일한 측면에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흡입구(37)와 토출구(37)를 동일 측면에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D1의 횡형 어큐뮬레이터 구조에서 흡입구(37)와 토출구(37)가 왼쪽 측면에 함께 위치할 경우에 제1연통홀(first communication opening;51)을 통해 유입된 액상 및 기상 냉매, 오일의 혼합물이 액상 냉매 저장공간의 상부 공간을 지나면서 액상 냉매와 오일이 분리된 후, 기상 냉매가 토출구를 향해 리턴되어야 하는데, 리턴될 수 있는 홀이 제2격벽(second partition plate;47)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 토출구로 되돌아오지 못한다.
만약, 기상 냉매의 리턴을 위한 홀이 제2격벽(47)에 형성된다 하더라도 리턴되는 기상 냉매가 흡입되는 액상 냉매 등이 포함된 혼합물과 만나게 되므로, 기액분리기의 본래 기능인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D1: US 4,776,183(Oct. 11, 1988)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설치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캐비닛의 내부에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고, 주변 구성품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케이싱의 동일한 면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더라도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할 수 있는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기액분리기를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이 캐비닛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지나도록 횡형으로 배치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기액분리기의 케이싱의 동일측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함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에 따른 기액분리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매 혼합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 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매 혼합유체로부터 분리되는 기상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 동일한 면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동일한 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동일한 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와 마주보며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은, 상기 제1격벽에 의해 상기 기상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유로와 상기 냉매 혼합유체로부터 분리되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액체저장부로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격벽의 상부에 상기 토출유로와 액체저장부를 연통가능하게 연결하는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격벽에 오일리턴홀이 형성되어, 상기 오일리턴홀을 통해 토출되는 오일은 압축기로 회수되고, 상기 오일리턴홀을 통해 토출되는 액상 냉매는 증발되어 압축기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에 대하여 반대되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과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격벽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리턴유로를 형성하는 리턴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격벽은 상기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일측이 상기 제2격벽에서 리턴홀을 둘러싸고 타측이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에 따른 기액분리기는, 동일 측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토출구를 향해 상기 냉매 혼합유체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턴유로; 및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리턴유로로 연장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턴유로는 상기 냉매 혼합유체의 흡입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턴유로는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과 마주보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격벽은 상기 토출구방향으로 리턴시키는 리턴홀을 가지고, 상기 리턴홀은 상기 제2격벽의 길이에 비해 1/3 내지 3/4 범위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격벽은 상기 리턴홀을 통해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를 통과시키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측면에 따른 기액분리기는, 동일 측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토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에서 분리되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저장공간과 기상 냉매의 토출유로를 구획하는 제1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격벽은 복수의 오일리턴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번째 측면에 따른 기액분리기는,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일 측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냉매 혼합유체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에 리턴유로를 형성하는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측면에 따른 기액분리기는,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일 측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냉매 혼합유체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리턴유로; 및 상기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가 상기 토출구를 향해 토출되도록, 상기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케이싱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리턴유로 및 토출유로는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와 마주보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을 투입하는 드럼; 및 냉매를 증발기, 기액분리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로 순환시키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증발기 및 응축기로 경유하여 상기 드럼으로 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동일 측에 상기 증발기의 측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흡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되,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흡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리턴유로까지 연장 형성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측면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전방면이 후방면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액분리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액분리기의 횡형으로 배치되어, 횡형 압축기의 입구측에 연결하여도 압축기 및 기액분리기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지 않는다.
둘째, 기액분리기의 케이싱의 일 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함께 위치하여도 냉매의 기액분리가 가능함으로, 주변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기액분리기를 의류처리장치에 적용할 경우에 캐비닛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컴팩트하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넷째, 기액분리기의 케이싱의 일 면에서 흡입파이프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케이싱 내부로 흡입되는 냉매흡입유로와 케이싱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토출유로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흡입되는 액상/기상 냉매 혼합물이 토출되는 기상 냉매와 혼합되지 않고 흡입될 수 있고, 액상 냉매가 분리된 기상 냉매만이 연통홀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섯째, 액상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에 오일리턴홀을 구비하여, 오일이 압축기로 리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이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PCB 케이스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압축기를 오른쪽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b의 기액분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기액분리기의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b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기액분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선행특허문헌 D1에 개시되는 횡형 어큐뮬레이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부 골격 및 외형을 형성한다. 캐비닛(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닛(10)은 육면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0a), 육면체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커버(10b), 육면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커버(10c), 육면체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런트커버(10d) 및 육면체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백커버(10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런트커버(10d)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가 구비된다. 도어(11)는 투입구의 왼쪽 측면에 도어(11)힌지로 프런트커버(10d)에 결합되어 도어(11)의 오른쪽 측면이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어(11)는 도어(11)의 오른쪽 측단부를 밀어 닫으면 락킹 상태로 되고, 닫힘 상태에서 한 번 누르면 개방될 수 있도록 도어(11)의 오른쪽 측면과 투입구 오른쪽 측면에 버튼식 도어자동해제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10d)의 오른쪽 상단에 전원버튼(1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도어(11)의 상단부에 디스플레이부(13) 및 터치식 조작패널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세탁, 탈수 또는 건조 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보여주고, 터치식 조작패널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이 선택 및 선택해제 될 수 있다.
터브(17)의 하부와 베이스커버(10c) 사이에 세제공급부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삽입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커버(10d)의 하부에 세제공급부의 전방면을 덮도록 하부커버(14)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모듈이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캐비닛(10)의 내부에 원통형의 터브(17)가 구비된다. 터브(17)의 전방면에 세탁물 및 건조대상물의 투입을 및 인출을 위해 프런트커버(10d)의 투입구와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터브(17)의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다. 터브(17)의 투입구에서 프런트커버(10d)의 투입구로 연장되도록 가스켓(17a)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터브(17)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17)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18)의 회전 시 터브(17)에 발생되는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17a)은 고무와 같은 진동절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터브(17)의 상부 뒤쪽에 공기출구가 형성되어, 터브(17)에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터브(17)의 가스켓(17a)의 상부에 공기입구가 형성되어 터브(17)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터브(17)의 내부에 원통형의 드럼(18)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18)은 내부에 세탁물 및 건조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드럼(18)의 전방면에 터브(17)의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다. 드럼(18)의 외주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관통공을 통해 드럼(18)과 터브(17) 사이에 세탁수 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다. 드럼(18)의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리프터가 설치되어, 드럼(18)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텀블링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 시 터브(17)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관통공을 통해 드럼(18)의 내부로 유입되고, 드럼(18)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8)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수에 적셔짐으로 세탁된다. 또한, 건조 시 터브(17)의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은 관통공을 통해 드럼(18)의 내부로 유입되고, 드럼(18)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8)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의 수분은 열풍에 의해 증발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증발기(111), 압축기(113), 응축기(112), 및 팽창밸브를 일체형 하우징(120)에 의해 일체형으로 모듈화한다. 공기에 동력을 제공하는 순환팬(130) 및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115)도 일체형 하우징(120)에 의해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모듈화된 히트펌프 모듈(100)은 터브(17)의 상부와 탑커버(10a) 사이에 배치된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내부에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수용하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113)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터브(17)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열교환기(110)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터브(17)와 연결되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덕트 역할을 한다. 열교환기(110)는 증발기(111)와 응축기(112)를 포함하고, 증발기(111)와 응축기(112)는 드럼의 회전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압축기(113)를 터브(17)의 상부 및 캐비닛(10)의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일체형 하우징(120)은 캐비닛(10)의 전방면, 예를 들면 전방프레임(15)과 캐비닛(10)의 후방면인 백커버(10e)의 상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은 전방프레임(15)의 후면에 접촉되며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후방면은 백커버(10e)의 앞쪽면에 접촉되어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터브(17)의 상부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드럼(18)의 회전 시 드럼(18)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17)를 통해 히트펌프 모듈(1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하우징(120)에 의해 히트펌프 사이클을 형성하는 증발기(111), 압축기(113), 응축기(112) 및 팽창밸브 등이 일체화 됨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의 배치공간을 컴팩트하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111)와 열교환시킴으로 증발기(111)를 통해 상기 공기의 열을 흡수하며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한다(히트펌프 모듈(100)의 제습기능). 또한, 히트펌프 모듈(100)은 증발기(1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기(112)와 열교환시킴으로 응축기(112)를 통해 응축기(112)를 지나는 냉매의 열을 터브(17)의 내부로 재공급될 공기로 방출한다(히트펌프 모듈(100)의 공기가열 기능).
히트펌프 모듈(100)은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팬(130)을 포함한다. 순환팬(130)은 팬 덕트부(124)에 수용되어 지지되며, 팬 덕트부(124)에 의해 열교환 덕트부(121)의 오른쪽 측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115)는 기액분리기 장착부(123)에 장착되어, 터브(17)의 상부에서 열교환 덕트부(121)의 뒤쪽에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 장착부(123)는 열교환 덕트부(121)의 후방면과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왼쪽 측면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기액분리기(115)는 증발기(111)와 압축기(113)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배관에 의해 증발기(111) 및 압축기(11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115)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액분리기(115)는 횡형 기액분리기(115)로서, 터브(17)의 상부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컴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흡입구(1151a1)와 토출구(1151a2)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액분리기(115)의 흡입구(1151a1)와 토출구(1151a2)가 열교환 덕트부(121)의 증발기(111)를 향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횡형 기액분리기(115)는 압축기(113)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제어부는 히트펌프 모듈(100)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높이가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비해 낮은 납작한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PCB 케이스(19)와, PCB 케이스(19)의 내부에 내장되는 PCB와, PCB에 장착되는 전기/전자 제어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c는 도 1b의 PCB 케이스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다.
PCB 케이스(19)는 터브(17)의 상부와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에 대각선 방향(프런트커버(10d)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PCB 케이스(19)의 경우 터브(17)의 상부 중앙에서 왼쪽 사이드커버(10b) 사이의 공간에 비해 PCB 케이스(19)의 가로길이가 길어서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회피하고 PCB 케이스(19)를 히트펌프 모듈(100)과 함께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해서 프런트커버(10d)에서 봤을 때 캐비닛(10)의 중앙 상부에서 왼쪽 측면 아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은 캐비닛(10)의 중앙 상부와 터브(17)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에서 하방향으로 공간이캐비닛(10)의 중앙 상부와 터브(17)의 상부 사이의 공간보다 더 넓기 때문에 PCB 케이스(19)의 오른쪽 측면은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PCB 케이스(19)의 왼쪽 측면은 캐비닛(10)의 왼쪽 사이드커버(10b)를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PCB 케이스(19)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PCB 케이스(19)이 상부면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191)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돌기(191)의 상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PCB 케이스(19)의 지지를 위해 프런트커버(10d)의 상단부 일측에서 백커버(10e)의 상단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부재(1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91)의 상단부가 고정부재(192)의 측면에 걸리도록 지지됨으로 PCB 케이스(19)가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 및 히트펌프 모듈(100)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컴팩트하게 배치된다.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완제품 조립 전에 모듈 단위로 히트펌프 모듈(100)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이처럼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의 성능 검사 등을 위해 히트펌프 모듈(100)과 연결되므로, PCB 케이스(19)가 히트펌프 모듈(100)과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의 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가깝게 배치 및 연결됨에 따라 히트펌프 모듈(100)과 함께 캐비닛(10)의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3)는 터브(17) 상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컴팩트하게 활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b의 압축기를 오른쪽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압축기(113)는 횡형 압축기(113)로 마련될 수 있다. 횡형 압축기(113)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내부에 전동기구부(113a)와 압축기구부(113b)를 함께 구비하여 지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압축기(113)는 캐비닛(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눕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13)의 외주면이 캐비닛(10)의 상하좌우방향으로 향하고 압축기(113)의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캐비닛(10)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횡형 압축기(113)는 지지면인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저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횡형 압축기(113)는 수평면에 대하여 압축기케이싱(113c)의 뒤쪽 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지게 설치됨으로써, 오일이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로 모이게 된다. 이에 의해, 오일을 흡입하기 위한 오일흡입구(1151a1)멍이 오일에 항상 잠김에 따라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로 오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압축기(113)의 경사 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3°~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113)의 내부에 전동기구부(113a)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동기구부(113a)는 압축기케이싱(113c)에 고정되는 고정자(113a1)와, 고정자(113a1)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자(113a2)와, 회전자(113a2)의 내부에 압입되는 회전축(113d)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13d)은 압축기케이싱(113c)의 수평중심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13d)은 메인베어링(113b3)과 서브베어링(113b4)에 의해 지지된다.
압축기(113)는 로터리 압축기(113)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113)의 내부에 압축기구부(113b)를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구부(113b)는 실린더(113b1) 및 롤링피스톤(113b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롤링피스톤(113b2)은 회전축(113d)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실린더(113b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냉매를 압축한다. 메인베어링(113b3) 및 서브베어링(113b4)은 실린더(113b1)와 회전축(113d) 또는 실린더(113b1)와 롤링피스톤(113b2)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한다.
또한, 오일공급부는 회전축(113d)의 오일유로 단부와 연통되도록 서브베어링(113b4)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에 오일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오일캡(113b5), 오일캡(113b5)과 연통되며 케이싱(1151)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케이싱(1151)의 저면의 오일을 오일캡(113b5)으로 흡입하는 오일안내관(113b6) 및 오일캡(113b5)의 저면에 연통되어 오일을 케이싱(1151)의 저면으로 회수하는 오일회수관(113b7)을 포함한다.
압축기(113)의 오일공급경로를 살펴보면, 전동기구부(113a)의 고정자(113a1)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113a2)가 고정자(113a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자(113a2)와 결합된 회전축(113d)이 회전하여 압축기구부(113b)의 롤링피스톤(113b2)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롤링피스톤(113b2)은 실린더(113b1)의 내부공간을 편심회전함에 따라 냉매가 실린더(113b1)의 흡입실로 흡입되어 일정 압력까지 지속적으로 압축된 후 압축기케이싱(113c)의 고압부로 이동하여 케이싱(1151)의 전방면에 형성된 토출구(1151a2)를 통해 히트펌프 사이클로 이동한다. 이때, 저압부의 오일이 오일안내관(113b6)을 통해 오일캡(113b5)으로 흡입되고, 이 오일은 회전축(113d)의 오일유로로 이동하여 오일 구멍을 통해 압축기(113)의 습동부위인 롤링피스톤(113b2)과 실린더(113b1) 사이로 공급됨에 따라 윤활작용을 한다.
압축기구부(113b)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전방에 위치하고, 전동기구부(113a)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후방에 위치하고, 횡방향 압축기(113)의 후방면이 전방면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오일이 압축기구부(113b)의 습동부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압축기(113)의 냉매 토출구(1134)는 캐비닛(10)의 전방프레임(15) 또는 순환팬(130)을 향하도록 압축기케이싱(113c)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고, 압축기(113)의 냉매 흡입구(1151a1)는 압축기케이싱(113c)의 외주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113)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상부에 방진마운트(1132)를 구비하여 압축기(113)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3)의 상부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며 압축기(113)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고정브라켓(1131)이 적어도 3개소 용접된다. 고정브라켓(1131)은 압축기(113)의 진동을 방진마운트(1132)로 전달한다.
고정브라켓(1131) 및 방진마운트(1132)는 체결볼트에 의해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된다.
도 3a는 도 1b의 기액분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기액분리기의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b의 A-A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횡형 기액분리기(115)의 외관을 보여준다. 횡형 기액분리기(115)는 압축기(113)와 함께 캐비닛(10)의 내부 공간, 특히 터브의 상부와 캐비닛의 상부면 사이에 컴팩트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횡형 기액분리기(115)는 전방면이 캐비닛의 전방면과 마주보며 눕혀지게 배치된다. 기액분리기의 전방면이란 캐비닛의 앞쪽에서 기액분리기를 보았을 때 보이는 면을 말한다. 히트펌프 모듈이 터브의 상부에 장착되는 경우에 기액분리기의 전방면은 열교환 덕트부의 후방 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캐비닛(10)의 사이드커버(10b)에서 압축기(113) 및 기액분리기(115)를 봤을 때, 기액분리기(115)의 높이가 압축기(113)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기액분리기(115)와 압축기(113)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압축기(113) 및 기액분리기(115)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기액분리기(115)를 압축기(113)와 함께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횡형 기액분리기(115)는 원통형의 케이싱(11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1151)의 외주면(원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면)은 캐비닛(10)의 상하좌우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의 전방면과 후방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케이싱의 전방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다. 흡입구와 토출구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151)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체적공간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원통형의 케이싱(115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케이싱(1151a)과 제2케이싱(115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케이싱(1151a)은 왼쪽에, 제2케이싱(1151b)은 오른쪽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케이싱(1151a)과 제2케이싱(1151b)의 단부가 서로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조립되어, 케이싱(1151)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케이싱(1151a)의 왼쪽 측면(도 3b에서는 케이싱(1151)의 전방면임)에 흡입구(1151a1)와 토출구(1151a2)가 형성된다. 흡입구(1151a1)는 냉매를 케이싱(1151)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해 제1케이싱(1151a)의 왼쪽 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토출구(1151a2)는 냉매를 케이싱(1151)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제1케이싱(1151a)의 왼쪽 측면의 하부에 형성된다.
흡입구(1151a1)는 케이싱(1151)의 전방면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토출구(1151a2)는 케이싱(1151)의 전방면 하단부에 형성된다. 기액분리기(115)의 흡입구(1151a1)는 흡입파이프(1152)에 의해 증발기(111)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기액분리기(115)의 토출구(1151a2)는 토출파이프(1153)에 의해 압축기(113)의 흡입구와 연결된다.
케이싱(1151) 내부에 제1격벽(1155)과 제2격벽(1156)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케이싱(1151)의 내부 공간을 3개로 구획한다. 제1격벽(1155)은 제1케이싱(1151a)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격벽(1156)은 제2케이싱(1151b)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격벽(1155) 및 제2격벽(1156)의 양쪽 단부는 일정 길이만큼 절곡되어 제1케이싱(1151a) 및 제2케이싱(1151b)의 내부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케이싱(115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제1격벽(1155)은 제1케이싱(1151a)의 왼쪽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격벽(1156)은 제2케이싱(1151b)의 오른쪽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격벽(1155) 및 제2격벽(1156)은 제1 및 제2케이싱(1151b)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격벽(1155)은 제1케이싱(1151a)의 왼쪽 측면과 가깝게 배치되고, 제2격벽(1156)은 제2케이싱(1151b)의 오른쪽 측면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세개의 내부공간 중 제1격벽(1155)과 제2격벽(1156) 사이에 구획되는 내부공간은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저장부(1151c1)이다. 예를 들면, 액상 냉매 또는 오일이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세개의 내부공간 중 제1케이싱(1151a)의 왼쪽 측면과 제1격벽(1155) 사이에 구획되는 제1내부공간은 기상 냉매의 토출을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2케이싱(1151b)의 오른쪽 측면과 제2격벽(1156) 사이에 구획되는 제2내부공간은 기상 및 액상 냉매, 오일이 혼합된 혼합물의 리턴을 위한 리턴유로(1151c3)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파이프(1152)는 흡입구(1151a1)를 통해 케이싱(1151)의 전방면(도 4에서 제1케이싱(1151a)의 왼쪽 측면)에서 케이싱(1151)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제1격벽(1155)과 제2격벽(1156)을 관통한다. 이에 의해, 흡입파이프(1152)를 통해 유입되는 기상냉매, 액상냉매 및 오일 등의 혼합물은 다른 유체와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제2격벽(1156)과 케이싱(1151)의 오른쪽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리턴유로(1151c3)까지 유입된다. 흡입파이프(1152)는 케이싱(1151)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리턴홀(1156a)은 제2격벽(1156)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격벽(1156)과 케이싱(1151)의 오른쪽 측면 사이의 리턴유로(1151c3)와 액체저장부(1151c1)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흡입파이프(1152)를 따라 유입된 냉매 혼합물이 리턴홀(1156a)을 통해 액체저장부(1151c1)로 리턴된다. 리턴홀(1156a)의 직경은 제2격벽의 높이의 1/3 내지 3/4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턴홀(1156a)을 크게 형성한 이유는 흡입파이프(1152)를 통과한 냉매혼합유체의 흡입 및 리턴량을 많이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리턴홀(1156a)을 통해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저장공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액체저장부(1151c1)에 저장되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이 리턴홀(1156a)을 통해 리턴유로(1151c3)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부(1154)는 그물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금속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물에 뚫려있는 구멍의 크기는 미세한 크기, 예를 들면 수 ㎛ 내지 수백 ㎛ 의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및 증발기 등에서 발생하는 0.01mm~1mm 범위의 크기를 갖는 철 입자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만약 그물이 실이나 폴리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54)는 리턴홀(1156a)의 주변 둘레를 감싸도록 이루어짐으로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모두 걸러내어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1154)는 평면 형태가 아니라 제2격벽(1156)에서 제1격벽(1155)을 향해 돌출되는 굴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부(1154)는 제2격벽(1156)에 장착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부(1154a), 장착부(1154a)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154b), 경사부(1154b)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1154)의 장착부(1154a)는 용접 등에 의해 제2격벽(1156)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54)의 장착부(1154a)는 끼움식으로 제2격벽(1156)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2격벽(1156)은 필터부(1154)와의 연결을 위해 링 형상의 필터고정부(1156b)를 포함한다.
액체저장부(1151c1)에서 필터부(1154)를 통과하면서 기상 냉매에 비해 비중이 높은 액상 냉매 및 오일은 액체저장부(1151c1)의 저면으로 가라앉고 비중이 낮은 기상 냉매는 액체저장부(1151c1)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격벽(1155)의 상부에 연통홀(1155a)이 횡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흡입파이프(1152)가 연통홀(1155a)을 통해 제1격벽(1155)을 관통할 수 있다. 연통홀(1155a)은 액체저장공간에서 분리된 기상냉매가 토출유로(1151c2)인 제1내부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홀이다. 연통홀(1155a)의 세로길이는 흡입파이프(1152)의 직경과 거의 같고 연통홀(1155a)의 가로길이는 흡입파이프(1152)의 직경보다 더 길어서 연통홀(1155a)을 통해 기상냉매가 기상/액상 냉매 혼합물과 혼합되지 않고 연통홀(1155a)을 통해 토출유로(1151c2)로 이동하여 토출구(1151a2)와 토출구(1151a2)와 연결되는 토출파이프(1153)를 통해 압축기(113)로 이동될 수 있다.
히트펌프 모듈(100)의 냉매는 압축기(113)에 의해 압축되는 과정에서 압축기(113)에 저장된 오일의 일부를 포함하며 압축기(113), 응축기(112), 팽창밸브 및 증발기(111)로 순환할 수 있다. 이때, 냉매가 증발기(111)에서 압축기(113)로 유입되기 전에 기액분리기(115)에서 액상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시킨 후 오일을 압축기(113)로 리턴시킬 수 있다.
기액분리기(115)에서 액상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시키기 위해 제1격벽(1155)에 복수의 오일리턴홀(1155b)이 형성된다. 오일리턴홀(1155b)은 제1격벽(1155)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액체저장부(1151c1)에 저장되는 오일은 액상 냉매보다 비중이 커서, 오일이 액상 냉매보다 더 낮게 가라앉고, 복수의 오일리턴홀(1155b)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오일리턴홀(1155b)을 통해 오일이 리턴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오일리턴홀(1155b)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예를 들면 1mm~3mm범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체저장부(1151c1)에 저장되는 액상 냉매의 일부가 오일리턴홀(1155b)을 통해 흘러나오더라도 극소량이어서 증발된다. 이때, 기상냉매와 오일은 서로 혼합될 염려가 없다.
케이싱(1151)은 전방면(도 4에서는 왼쪽 측면)이 후방면(도 4에서는 오른쪽 측면)보다 더 낮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51)은 캐비닛(10)의 탑커버(10a)에 대하여 토출파이프(115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일이 중력에 의해 액체저장부(1151c1)에서 케이싱(1151)의 토출구(1151a2)쪽으로 더 잘 모이도록 하여, 오일리턴홀(1155b)을 통해 오일의 리턴량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기액분리기(115)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캐비닛
10a : 탑커버
10b: 사이드커버
10c : 베이스커버
10d : 프런트커버
10e : 백커버
11 : 도어
12 : 전원버튼
13 : 디스플레이부
14 : 하부커버
15 : 전방프레임
17 : 터브
17a : 가스켓
18 : 드럼
19 : PCB 케이스
191 : 고정돌기
192 : 고정부재
100 : 히트펌프 모듈
110 : 열교환기
111 : 증발기
112 : 응축기
113 : 압축기
113a : 전동기구부
113a1 : 고정자
113a2 : 회전자
113b : 압축기구부
113b1 : 실린더
113b2 : 롤링피스톤
113b3 : 메인베어링
113b4 : 서브베어링
113b5 : 오일캡
113b6 : 오일안내관
113b7 : 오일회수관
113c : 압축기케이싱
113d : 회전축
1131 : 고정브라켓
1132 : 방진마운트
1133 : 체결볼트
1134 : 토출구
115 : 기액분리기
1151 : 케이싱
1151a : 제1케이싱
1151a1 : 흡입구
1151a2 : 토출구
1151b : 제2케이싱
1151c1 : 액체저장부
1151c2 : 토출유로
1151c3 : 리턴유로
1152 : 흡입파이프
1153 : 토출파이프
1154 : 필터부
1155 : 제1격벽
1155a : 연통홀
1155b : 오일리턴홀
1156 : 제2격벽
1156a : 리턴홀
1156b : 필터고정부
120 : 일체형 하우징
121 : 열교환 덕트부
122 : 압축기 베이스부
123 : 기액분리기 장착부
124 : 팬 덕트부
130 : 순환팬

Claims (25)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매 혼합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 측에 형성되고, 상기 냉매 혼합유체로부터 분리되는 기상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구;
    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 동일한 면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동일한 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동일한 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와 마주보며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은,
    상기 제1격벽에 의해 상기 기상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유로와 상기 냉매 혼합유체로부터 분리되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액체저장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의 상부에 상기 토출유로와 액체저장부를 연통가능하게 연결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에 오일리턴홀이 형성되어, 상기 오일리턴홀을 통해 토출되는 오일은 압축기로 회수되고, 상기 오일리턴홀을 통해 토출되는 액상 냉매는 증발되어 압축기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에 대하여 반대되는 상기 케이싱의 측면과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리턴유로를 형성하는 리턴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은 상기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측이 상기 제2격벽에서 리턴홀을 둘러싸고 타측이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2. 동일 측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토출구를 향해 상기 냉매 혼합유체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턴유로; 및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리턴유로로 연장되는 흡입파이프;
    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유로는 상기 냉매 혼합유체의 흡입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유로는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과 마주보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은 상기 토출구방향으로 리턴시키는 리턴홀을 가지고, 상기 리턴홀은 상기 제2격벽의 길이에 비해 1/3 내지 3/4 범위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은 상기 리턴홀을 통해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를 통과시키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7. 동일 측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토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에서 분리되는 액상 냉매 및 오일의 저장공간과 기상 냉매의 토출유로를 구획하는 제1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은 복수의 오일리턴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20.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일 측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냉매 혼합유체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에 리턴유로를 형성하는 제2격벽;
    을 포함하는 기액분리기.
  21. 외주면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일 측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냉매 혼합유체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리턴유로; 및
    상기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가 상기 토출구를 향해 토출되도록, 상기 중심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케이싱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유로를 포함하는 기액분리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유로 및 토출유로는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와 마주보며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기.
  23.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을 투입하는 드럼; 및
    냉매를 증발기, 기액분리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로 순환시키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증발기 및 응축기로 경유하여 상기 드럼으로 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기액분리기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동일 측에 상기 증발기의 측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흡입구 및 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연장되되,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흡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리턴되는 냉매 혼합유체의 리턴유로까지 연장 형성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전방면이 후방면보다 더 낮게 위치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01191A 2016-01-05 2016-01-05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62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91A KR102627101B1 (ko) 2016-01-05 2016-01-05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12804 WO2017119588A1 (ko) 2016-01-05 2016-11-08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RU2018128277A RU2700601C1 (ru) 2016-01-05 2016-11-08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меющее такой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JP2018534693A JP2019502086A (ja) 2016-01-05 2016-11-08 気液分離器及びそれを備える衣類処理装置
AU2016385262A AU2016385262B2 (en) 2016-01-05 2016-11-08 Gas-liquid separator and clothes treatment device having same
EP16204928.2A EP3190360A1 (en) 2016-01-05 2016-12-19 Vapor-liquid separator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611186929.3A CN107059319B (zh) 2016-01-05 2016-12-20 气液分离器及具有气液分离器的衣物处理装置
US15/397,161 US10280545B2 (en) 2016-01-05 2017-01-03 Vapor-liquid separator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22026436A JP7296497B2 (ja) 2016-01-05 2022-02-24 気液分離器及びそれを備える衣類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91A KR102627101B1 (ko) 2016-01-05 2016-01-05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47A true KR20170082047A (ko) 2017-07-13
KR102627101B1 KR102627101B1 (ko) 2024-01-22

Family

ID=5775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91A KR102627101B1 (ko) 2016-01-05 2016-01-05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80545B2 (ko)
EP (1) EP3190360A1 (ko)
JP (2) JP2019502086A (ko)
KR (1) KR102627101B1 (ko)
CN (1) CN107059319B (ko)
AU (1) AU2016385262B2 (ko)
RU (1) RU2700601C1 (ko)
WO (1) WO2017119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4113S1 (en) * 2016-04-12 2017-11-28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USD867691S1 (en) * 2017-06-02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871689S1 (en) * 2017-06-02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09722866A (zh) * 2017-10-30 2019-05-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筒体结构及干衣机
JPWO2023073889A1 (ko) * 2021-10-28 2023-05-04
CN115014012B (zh) * 2022-06-09 2023-05-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氟泵压缩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183A (en) 1987-02-06 1988-10-11 Kabushiki Kaisha Toshiba Lateral type accumulator
JP2003202168A (ja) * 2002-01-10 2003-07-18 Denso Corp エジェクタサイクル用の気液分離器
JP2013245917A (ja) * 2012-05-29 2013-12-09 Panasonic Corp 気液分離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5084996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1575A (en) * 1971-08-30 1974-02-12 Garrett Corp Centrifugal separator discharge control system
JPS5384165U (ko) * 1976-12-13 1978-07-12
US4139352A (en) * 1978-03-14 1979-02-13 Shell Oil Company Gas liquid separator
SU1143945A1 (ru) * 1983-02-09 1985-03-07 Ленинград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Холоди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спаритель затопленного типа
US4607503A (en) * 1985-09-27 1986-08-26 Tecumseh Products Company Compressor mounted suction accumulator
US4683726A (en) * 1986-07-16 1987-08-04 Rejs Co., Inc. Refrigeration apparatus
JPH0620056Y2 (ja) * 1987-12-29 1994-05-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タ
JPH02140571A (ja) * 1988-11-21 1990-05-30 Toshiba Corp アキュームレータ
RU2016368C1 (ru) * 1989-04-11 1994-07-15 Товарас Николай Вячеславович Испаритель затопленного типа
CA2050981A1 (en) * 1991-09-09 1993-03-10 Earl Gingras Three phase centrifugal separator
WO1999033570A1 (fr) 1997-12-25 1999-07-08 Sharp Kabushiki Kaisha Separateur gaz-liquide de type oscillant et systeme de separation gaz-liquide
JP3690567B2 (ja) * 1998-09-04 2005-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旋回式気液分離器
JP2002081802A (ja) * 2000-09-08 2002-03-22 Hitachi Ltd 空気調和機
US7395678B2 (en) * 2004-04-02 2008-07-08 Parker-Hannifin Corp. Refrigerant receiving apparatus
KR100685756B1 (ko) * 2005-06-02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오일 회수관을 갖는 어큐뮬레이터
JP2007255831A (ja) * 2006-03-24 2007-10-04 Daikin Ind Ltd アキュムレータ及び冷凍装置
CN201377946Y (zh) * 2009-04-03 2010-01-06 麦克维尔空调制冷(苏州)有限公司 迷宫形离心式油气分离器
EP2660381B2 (en) * 2009-06-29 2019-12-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CN103261815B (zh) * 2011-01-31 2015-06-17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CN103547728B (zh) * 2011-03-29 2016-03-23 Lg电子株式会社 具有热交换器清洗装置的衣物处理装置
DE102012005197B3 (de) * 2012-03-16 2013-06-13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Verfahren zur Optimi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13226249A (ja) * 2012-04-25 2013-11-07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CN202675764U (zh) * 2012-06-11 2013-0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卧式气液分离器及空调压缩机组
JP2015114060A (ja) * 2013-12-12 2015-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EP2886708B1 (en) * 2013-12-20 2021-02-17 BSH Hausgeräte GmbH Washer-dry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183A (en) 1987-02-06 1988-10-11 Kabushiki Kaisha Toshiba Lateral type accumulator
JP2003202168A (ja) * 2002-01-10 2003-07-18 Denso Corp エジェクタサイクル用の気液分離器
JP2013245917A (ja) * 2012-05-29 2013-12-09 Panasonic Corp 気液分離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5084996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2086A (ja) 2019-01-24
WO2017119588A1 (ko) 2017-07-13
CN107059319A (zh) 2017-08-18
RU2700601C1 (ru) 2019-09-18
JP2022078142A (ja) 2022-05-24
US20170191201A1 (en) 2017-07-06
EP3190360A1 (en) 2017-07-12
US10280545B2 (en) 2019-05-07
CN107059319B (zh) 2019-09-03
AU2016385262A1 (en) 2018-07-12
AU2016385262B2 (en) 2019-11-07
KR102627101B1 (ko) 2024-01-22
JP7296497B2 (ja)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101B1 (ko) 기액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AU2019200548B2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7026658B2 (ja) ヒートポンプモジュールを備える衣類処理装置
JP6979953B2 (ja) 衣類処理装置
CN107675453B (zh) 衣物处理装置
CN103911801B (zh) 衣物处理装置
CN114059263A (zh) 一种具有热泵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KR102197862B1 (ko)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114753087A (zh) 一种具有热泵烘干功能的衣物处理装置
RU27749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ее модуль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CN114635268A (zh) 滚筒式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