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806A -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 - Google Patents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806A
KR20170078806A KR1020177014939A KR20177014939A KR20170078806A KR 20170078806 A KR20170078806 A KR 20170078806A KR 1020177014939 A KR1020177014939 A KR 1020177014939A KR 20177014939 A KR20177014939 A KR 20177014939A KR 20170078806 A KR20170078806 A KR 20170078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
sheet member
runner
split mold
mold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797B1 (ko
Inventor
분페이 요시다
타케시 마사카
시게루 와타나베
? 무라사키
šœ 무라사키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9Removing sprues from sprue-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29C2045/0036Submerged or recessed bur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B29C2045/1477Removable inserts, e.g. the insert being peeled off afte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6Thermosetting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버(burr) 제거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를 시트 부재와 함께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버가 시트 부재로부터 분리되기 어렵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프루, 러너, 게이트 및 캐비티를 일련으로 구비하는 성형 다이에 의해 성형품을 성형하고 몰드 개방한 후, 러너에서 형성된 버를 성형 다이로부터 제거한다. 제거시에는, 성형 다이에 미리 끼워 넣은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에 대해 버를 부착시켜, 시트 부재를 성형 다이로부터 벗겨냄으로써, 버를 시트 부재와 함께 제거한다. 벗겨냄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로부터 버가 분리되기 어렵도록, 시트 부재에 대한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성형 다이에 의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MOLDING METHOD AND MOLDING DIE FOR MOLDED ARTICLE}
[0001] 본 발명은, 시일 기술에 관련된 개스킷 등의 성형품을 성형하는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는, 예컨대, 다점 주입(多點注入) 게이트를 필요로 하는 고무 성형의 분야에서 이용되거나, 또는 기타 복수의 러너 버(runner burr)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성형 방식 등에서 이용된다.
[0002] 본원의 출원인은,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형상,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기재(基材; 111)에 고무상(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개스킷(도시 생략)을 일체로 성형한 시일 부품의 제조에 있어서, 기재(111)를 성형 다이(101)의 분할 몰드(102, 103) 사이에 세트하여 몰드 클램핑하고, 기재(111)의 표면과 이에 대향(對向)하는 분할 몰드(103)의 내면과의 사이에 구획되는 캐비티(106) 내에 게이트(105)를 통해 성형용 고무 재료(도시 생략)를 충전(充塡)하는 동시에, 캐비티(106)에 있어서의 성형용 고무 재료의 합류(合流) 위치에 기재(111)와의 분할 몰드(103)의 충합면(衝合面)으로부터 이격하여 개구(開口)된 에어벤트 구멍(air vent hole; 107)을 통해 캐비티(106)로부터의 배기(排氣)를 행하는 시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을 제안하고 있으며(특허 문헌 1 참조), 이 선행 기술에서는, 성형 후 러너(104)에서 형성되는 러너 버(도시 생략) 및 에어벤트 구멍(107)에서 형성되는 벤트 버(vent burr; 도시 생략)를 1개씩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버를 1개씩 제거하는 공정에 장시간을 요하며, 특히, 버의 수가 많은 성형의 경우에는, 그 제거 공수(工數)에 의해 사이클 타임 단축에 있어서 커다란 장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0003] 따라서, 트랜스퍼 성형의 노즐 터치부 등에서 실적이 있는 이른바 '페이퍼 이형(離型)'을 응용하여, 러너 버 및 벤트 버를 페이퍼로 한꺼번에 제거하는 공정이, 사이클 단축을 향한 해결책으로서 검토되고 있다.
[0004] 여기서, 페이퍼 이형이란, 본 발명에 대한 참고 비교예로서 도 7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루(sprue, 湯口)(11), 러너(14), 게이트(21), 캐비티(22) 및 에어벤트 구멍(23)을 일련으로 구비하는 성형 다이(1)에 의해 성형품(51)을 성형하고 몰드 개방한 후,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러너(14)에서 형성된 러너 버(55) 및 에어벤트 구멍(23)에서 형성된 벤트 버(59)를 1개씩 제거하는 것은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몰드(3, 4) 사이에 미리 페이퍼(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31)를 끼워넣고, 이 상태로 성형 재료의 주입 및 성형을 행하여, 시트 부재(31)에 대해 버(55, 59)를 부착시키고, 몰드 개방 후, 시트 부재(31)를 분할 몰드(3)로부터 벗겨냄으로써 버(55, 59)를 시트 부재(31)와 함께 제거하는 이형 방법을 말하며, 이것에 의하면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버(55, 59)를 1장의 시트 부재(31)로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버 제거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05] 그러나, 시트 부재(31)와 버(55, 59)의 밀착성은, 버(55, 59)가 되는 성형용 고무 재료가 시트 부재(31)에 함침(含浸)됨으로써 얻어지는 힘이어서, 시트 부재(31)로서는 기공률이 낮은 편이 밀착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기공률이 낮은 경우에는 시트 부재(31)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어, 시트 부재(31)가 깨지는 등 이형성이 안정적이지 않아 문제가 된다. 또한, 종이의 질(紙質) 등 시트 부재(31)의 재질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시트 부재(31) 선정의 자유도가 제한되며, 이에 따라 시트 부재(31)의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0006] 한편, 상기의 페이퍼 이형에서는, 시트 부재(31)의 두께 방향의 양면에 성형용 고무 재료를 충전시킴으로써 시트 부재(31)와 버(55, 59) 간의 일체력(一體力)을 향상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도 접합 강도가 부족하여, 도 9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형시에 시트 부재(31)와 버(55, 59)가 경계면에서 분리되어 버려, 결과적으로 일체 이형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시트 부재(31)의 양면에 성형용 고무 재료를 배치하기 때문에, 성형 개시(開始)에 있어서 고무 재료를 주입할 때 고무 재료가 시트 부재(31)를 찢는 횟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시트 부재(31)의 섬유가 오염(contamination)으로서 성형품 속으로 들어가 버릴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도 염려된다.
[0007] 일본 특허공보 제4993077호 일본 특허공보 제3047304호
[0008]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버 제거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를 시트 부재와 함께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버가 시트 부재로부터 분리되기 어렵도록 고안한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성형품의 성형 방법은, 스프루, 러너, 게이트 및 캐비티를 일련으로 구비하는 성형 다이에 의해 성형품을 성형하고 몰드 개방한 후, 상기 러너에서 형성된 버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제거하며, 상기 제거시에는, 상기 성형 다이에 미리 끼워 넣은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버를 부착시키고 상기 시트 부재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상기 버를 상기 시트 부재와 함께 제거하며, 상기 벗겨냄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상기 버가 분리되기 어렵도록 상기 시트 부재에 대한 상기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상기 성형 다이에 의해 단면(斷面)이 원호형(圓弧形)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賦形)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성형품의 성형 방법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다이는, 상기 캐비티에 이어지는 에어벤트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러너에서 형성된 버와 함께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된 버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성형품의 성형 방법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상기 성형 다이에 의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는 동시에, 상기 라운드 형상의 더욱 외측에 상기 성형 다이에 의해 상기 버와 일체인 박막(薄膜) 형상 피착부(被着部)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성형 다이는, 제1 분할 몰드와, 상기 제1 분할 몰드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2 분할 몰드와,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3 분할 몰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분할 몰드 및 상기 제2 분할 몰드 사이의 파팅부(parting portion)에 게이트 및 캐비티를 설치하고, 상기 제3 분할 몰드에 스프루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3 분할 몰드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 또는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상기 스프루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상기 스프루측 러너로부터 상기 게이트로 통하는 게이트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분할 몰드 및 상기 제3 분할 몰드 사이에 끼우는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스프루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 및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가 부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기 위한 라운드 형상 부형부를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측의 개구 주연부(周緣部)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성형 다이는,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성형 다이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상기 캐비티로부터 통하는 에어벤트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되는 버가 부착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되는 버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기 위한 라운드 형상 부형부를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성형 다이는, 상기한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성형 다이에 있어서, 상기 버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를 성형하기 위한 박막 성형부를 상기 라운드 형상 부형부의 더욱 외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참고로, 상기 청구항 2에 의한 성형품의 성형 방법은, 그 발명 내용을 청구항 1에 대한 종속 형식으로 기재하였으나, 이것을 독립 형식으로 고치면, 스프루, 러너, 게이트, 캐비티 및 에어벤트 구멍을 일련으로 구비하는 성형 다이에 의해 성형품을 성형하고 몰드 개방한 후, 상기 러너에서 형성된 버 및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된 버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제거하며, 상기 제거시에는, 상기 성형 다이에 미리 끼워 넣은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버를 부착시키고 상기 시트 부재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상기 버를 상기 시트 부재와 함께 제거하며, 상기 벗겨냄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상기 버가 분리되기 어렵도록 상기 시트 부재에 대한 상기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상기 성형 다이에 의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어, 청구항 1에 의한 성형품의 성형 방법이, 러너에서 형성된 버를 제거의 대상으로 하는 데 반해, 청구항 2에 의한 성형품의 성형 방법은, 러너에서 형성된 버 외에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된 버를 제거의 대상으로 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0016] 또한, 상기 청구항 5에 의한 성형 다이는, 그 발명 내용을 청구항 4에 대한 종속 형식으로 기재하였으나, 이것을 독립 형식으로 고치면, 제1 분할 몰드와, 상기 제1 분할 몰드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2 분할 몰드와,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3 분할 몰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분할 몰드 및 상기 제2 분할 몰드 사이의 파팅부에 게이트 및 캐비티를 설치하고, 상기 제3 분할 몰드에 스프루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3 분할 몰드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 또는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상기 스프루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상기 스프루측 러너로부터 상기 게이트에 통하는 게이트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상기 캐비티로부터 통하는 에어벤트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제2 분할 몰드 및 상기 제3 분할 몰드 사이에 끼우는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스프루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 및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되는 버가 부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기 위한 라운드 형상 부형부를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하고,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되는 버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기 위한 라운드 형상 부형부를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어, 청구항 4에 의한 성형 다이가, 스프루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 및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를 제거의 대상으로 하는 데 반해, 청구항 5에 의한 성형 다이는, 스프루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 및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 외에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되는 버를 제거의 대상으로 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0017] 상기 도 8의 참고 비교예에 있어서 버(55, 59)가 시트 부재(31)로부터 분리되기 쉬웠던 것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31)를 분할 몰드(3)로부터 벗겨냄에 있어서, 시트 부재(31)를 그 끝단(端)부터 순서대로 벗겨낼 때, 시트 부재(31)에 대한 버(55, 59)의 부착부(55a, 59a)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반해, 본 발명과 같이 시트 부재에 대한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설치하면, 상기 라운드 형상이 존재함으로써 응력 집중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시트 부재에 대한 버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시트 부재로부터 버가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라운드 형상의 더욱 외측에 버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도 시트 부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에 대한 버의 부착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0018]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다이에 있어서는, 상기한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버에 부형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 부형부를 게이트측 러너에 있어서의 페이퍼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하고, 또한 에어벤트 구멍에 있어서의 페이퍼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한다. 박막 형상 피착부를 버에 성형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박막 성형부를 라운드 형상 부형부의 더욱 외측에 설치한다. 버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버(복수의 러너 버, 또는 복수의 러너 버 및 벤트 버)가 한꺼번에 시트 부재에 의해 성형 다이로부터 제거된다.
[0019] 본 발명은,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0020]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른바 페이퍼 이형을 실시하기 때문에, 버 제거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페이퍼 등의 시트 부재에 대한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라운드 형상에 의해 응력 집중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시트 부재에 대한 버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시트 부재로부터 버가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라운드 형상의 더욱 외측에 버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도 시트 부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에 대한 버의 부착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0021]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다이의 단면도이고, (B) 및 (C)는 각각 (A)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2의 (A), (B) 및 (C)는 모두 상기 성형 다이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성형 다이의 단면도이고, (B) 및 (C)는 각각 (A)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성형 다이의 단면도이고, (B) 및 (C)는 각각 (A)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성형 다이의 단면도이고, (B) 및 (C)는 각각 (A)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종래예에 따른 성형 다이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 (B) 및 (C)는 모두 비교예에 따른 성형 다이의 단면도 및 작동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비교예에 따른 성형 다이의 단면도이고, (B)는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꺼내지는 페이퍼 및 버의 일체품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모두 상기 일체품에 있어서의 문제 발생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성형 다이에 있어서의 버 제거 공정의 설명도이다.
[0022] 본 발명에는, 이하의 실시형태가 포함된다.
(1) 페이퍼와 고무(버)의 경계부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면에 고무의 이형 저항력이 작용하는 것을 저감시키도록 근원부에 라운드를 형성한다.
(2) 페이퍼의 상하를 고무로 끼우는 구조인 채로 근원부에 라운드를 형성하여, 페이퍼와 고무의 경계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3) 페이퍼의 상하를 고무로 끼우는 구조를 폐지하면서, 근원부에 라운드를 형성한다.
(4) 페이퍼와 고무의 경계부에 이형 저항이 집중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라운드를 형성함으로써, 페이퍼와 고무의 일체성이 향상된다. 특히 페이퍼 이형은 전체면(全面)을 동시에 벗겨내는 일은 없고 한 변(一邊)부터 이형해 나가므로, 페이퍼와 고무에 모멘트가 작용하면서 벗겨내게 된다. 그 때문에, 페이퍼와 고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더라도 일체이형성(一體離型性)에 대해서는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최초로 잡아 올려지는 부위의, 페이퍼와 고무의 경계에 작용하는 힘을 저감시키는 것이 중요해진다. 라운드를 형성함으로써 경계부에 작용하는 힘이 분산되어, 결과적으로 페이퍼 이형시에 고무가 분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참고로, 이형하는 방향은 제품에 따라 다양하므로, 전체 둘레에 라운드를 형성한 형상이 보다 안정적이다.
(5) 상하를 고무로 끼우는 구조인 채로, 근원의 전체 둘레에 라운드를 형성한다. 참고로, 근원에 라운드를 추가함으로써 이형시의 일체력이 향상되므로, 상하를 고무로 끼우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일체적으로 이형시킬 수 있다. 또한, 라운드진 근원의 끝(tip)에 고무 박막을 추가함으로써, 페이퍼와의 일체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게 됨을 확인하였다.
(6) 상하를 고무로 끼우는 구조를 취하지 않을 경우, 복잡한 재료 유로 구조(페이퍼의 상하를 흐르는 유로 구조)를 채용할 필요가 없어, 심플한 유로에 의한 페이퍼 이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페이퍼를 찢어 고무가 흐르는 횟수를 3회에서 1회로 줄임으로써, 페이퍼를 찢었을 때 발생할 우려가 있는 페이퍼의 섬유가 재료 중에 혼입될 위험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가 성형하는 것은, 예컨대, 연료 전지 셀 시일 등의 연료 전지용 개스킷이어도 된다. 연료 전지용 개스킷으로서는, 세퍼레이터 등의 기재 플레이트에 대해 고무상 탄성체로 제조된 개스킷을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는, 성형시에 인서트 부품을 성형 다이 내에 삽입(인서트)하는 인서트 성형용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여도 된다.
(8) 페이퍼는, 이를 대신하여 부직포 등을 이용해도 되며, 본 발명에서는,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로 한다.
(9) 본 발명은, 복수의 러너 버를 한꺼번에 제거할 때 이용되며, 또한 복수의 러너 버 및 벤트 버를 한꺼번에 제거할 때 이용된다.
실시예
[002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0024] 제1 실시예 …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형 다이(1)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성형 다이(1)는 그 성형품으로서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진 개스킷 등의 시일 부품(51)을 성형(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성형 다이(1)는, 제1 분할 몰드(2)와, 상기 제1 분할 몰드(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2 분할 몰드(3)와, 상기 제2 분할 몰드(3)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3 분할 몰드(4)를 구비하며,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로부터 위로 제1 분할 몰드(하부 몰드; 2), 제2 분할 몰드(중간 몰드; 3) 및 제3 분할 몰드(상부 몰드; 4)가 배치되어 있다.
[0025] 제1 분할 몰드(2) 및 제2 분할 몰드(3) 사이의 파팅부(5)에 게이트(21) 및 캐비티(22)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22)는 개스킷 등의 시일 부품이 일반적으로 이음매가 없는(endless) 형상인 것에 맞추어 이음매가 없는 형상으로 설정되며, 그 둘레 상의 복수 개소(個所)(도면에서는, 2개소)에 게이트(21)가 설치되어 있다.
[0026] 제3 분할 몰드(4)에, 이것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스프루(11)가 설치되며, 제3 분할 몰드(4)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의 선단부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가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분할 몰드(3)에, 각 스프루측 러너(13)의 선단부로부터 각 게이트(21)에 통하는 게이트측 러너(14)가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멍 형상(孔狀)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분할 몰드(3)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와 평면 상의 위치를 맞추어 스프루 저류부(sprue reservoir; 12)가 설치되어 있다.
[0027] 제2 분할 몰드(3) 및 제3 분할 몰드(4) 사이에,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이하, 페이퍼라고도 함)(31)가 끼워져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끼워져 들어간 시트 부재(31)는, 제2 분할 몰드(3)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 및 제3 분할 몰드(4)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 사이에서 끼워져 가압되는 동시에 스프루(11), 스프루 저류부(12), 스프루측 러너(13) 및 게이트측 러너(14)에 면(面)하므로, 이들 각부(各部)에 충전되는 고무상 성형 재료가 시트 부재(31)에 접촉하여 일부는 함침되고, 경화된 후, 각 버(스프루(11)에서 형성되는 스프루 버(52), 스프루 저류부(12)에서 형성되는 스프루 버(53), 스프루측 러너(13)에서 형성되는 러너 버(54) 및 게이트측 러너(14)에서 형성되는 러너 버(55))로서 시트 부재(31)에 부착된다.
[0028] 참고로, 고무상 성형 재료의 주입시, 고무상 성형 재료는 시트 부재(31)를 두께 방향으로 침투하거나 또는 시트 부재(31)를 일부에서 찢음으로써 스프루(11)로부터 스프루 저류부(12)에, 스프루측 러너(13)로부터 게이트측 러너(14)에 각각 유입된다.
[0029] 구멍 형상의 게이트측 러너(14)에 대해서는, 시트 부재(31)측으로부터 게이트(21)측으로 개구 단면적이 서서히 축소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 시트 부재(31)측의 단부(端部)는, 여기서 형성되는 러너 버(55)의 일부(근원부)가 시트 부재(31)에 대한 부착부(55a)가 되므로 이 부착부(55a)에 의한 부착 면적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직경이 큰 원반(圓盤) 형상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원반 형상 공간의 내주면이 시트 부재(31)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채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버 제거 공정에 있어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워, 시트 부재(31)로부터 버(55)가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B) 및 (C)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31)에 대한 러너 버(55)의 부착부(55a) 주위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을 부형하도록 설정되며, 이 때문에 게이트측 러너(14)에서 형성되는 러너 버(55)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을 부형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 부형부(15)가 게이트측 러너(14)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1)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되어 있다. 라운드 형상(56)은 오목한 상태의 라운드, 라운드 형상 부형부(15)는 볼록한 형상의 라운드이며, 이들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0030] 상기 성형 다이(1)에 의한 성형은, 성형 방법으로서, 스프루(11), 스프루 저류부(12), 스프루측 러너(13), 게이트측 러너(14), 게이트(21) 및 캐비티(22)를 구비하는 성형 다이(1)에 의해 성형품(51)을 성형하고 몰드 개방한 후, 복수의 게이트측 러너(14)에서 형성된 복수의 러너 버(55)를 포함하는 각 버(52, 53, 54, 55)를 성형 다이(1)로부터 제거하는 버 제거 공정을 실시하며, 상기 버 제거 공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성형 다이(1)에 미리 끼워 넣은 시트 부재(31)에 대해 각 버(52, 53, 54, 55)를 부착시켜서 시트 부재(31)를 성형 다이(1)의 분할 몰드(3)로부터 벗겨냄으로써 각 버(52, 53, 54, 55)를 시트 부재(31)와 함께 제거하는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벗겨냄에 있어서 시트 부재(31)로부터 각 러너 버(55)가 분리되기 어렵도록 시트 부재(31)에 대한 각 러너 버(55)의 부착부(55a) 주위의 부위에 성형 다이(1)에 의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을 부형하도록 한 것이다.
[0031]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른바 페이퍼 이형을 실시하기 때문에, 버 제거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시트 부재(31)에 대한 각 러너 버(55)의 부착부(55a) 주위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을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라운드 형상(56)에 의해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시트 부재(31)로부터 러너 버(55)가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0032]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에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버(55)의 근원의 부착부(55a) 주위에 단면이 원호형을 나타내는 환형(環狀)의 라운드 형상(56)을 대략 9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설치하는 바, 도 2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56)의 더욱 외측(외주측)에 버(55)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57)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57)는 버(55)의 일부로서 시트 부재(31)에 부착되는 것이며, 또한, 성형 다이(1)에 있어서의 라운드 형상 부형부(15)의 더욱 외측에 설치한 박막 성형부(16)에 의해 버(55)의 일부로서 환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라운드 형상(56)의 더욱 외측에 버(55)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57)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57)도 시트 부재(31)에 부착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31)에 대한 버(55)의 부착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의 (C)의 예에서는 박막 형상 피착부(57)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56)과 박막 형상 피착부(57) 사이에 단차부(58)가 설치되고, 라운드 형상 부형부(15)와 박막 성형부(16) 사이에 단차 성형부(17)가 설치되어 있다.
[0033] 제2 실시예 …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제3 분할 몰드(4)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에 위치하여, 스프루(11)의 선단부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를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하였는데, 이 구성을 대신하여, 제2 분할 몰드(3)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의 선단부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를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하도록 해도 되며, 이 경우의 예로서 제2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도 3의 (A)에서는, 제2 분할 몰드(3)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로부터 스프루 저류부(12)를 경유하여 게이트측 러너(14)에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가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0034] 이 경우, 도 3의 (B), (C)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루측 러너(13)는 게이트측 러너(14)의 근원부에 직접 연통하여, 스프루측 러너(13)에서 형성되는 버(54)는 게이트측 러너(14)에서 성형되는 버(55)의 근원부(부착부(55a))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시트 부재(31)에 대한 러너 버(55)의 부착부(55a) 주위의 부위에 있어서는, 그 전체 둘레 중 스프루측 러너(13)에서 형성되는 버(54)가 연결된 부위 이외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이 부형되게 된다.
[0035] 제3 실시예 …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성형 다이(1)를 나타내며, 이 성형 다이(1)는 그 성형품으로서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진 개스킷 등의 시일 부품(51)을 성형(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성형 다이(1)는, 제1 분할 몰드(2)와, 상기 제1 분할 몰드(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2 분할 몰드(3)와, 상기 제2 분할 몰드(3)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3 분할 몰드(4)를 구비하며,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로부터 위로 제1 분할 몰드(하부 몰드; 2), 제2 분할 몰드(중간 몰드; 3) 및 제3 분할 몰드(상부 몰드; 4)가 배치되어 있다.
[0036] 제1 분할 몰드(2) 및 제2 분할 몰드(3) 간의 파팅부(5)에 게이트(21) 및 캐비티(22)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22)는 개스킷 등의 시일 부품이 일반적으로 이음매가 없는(endless) 형상인 것에 맞추어 이음매가 없는 형상으로 설정되며, 그 둘레 상의 1 개소 또는 복수 개소(도면에서는, 1개소)에 게이트(21)가 설치되어 있다.
[0037] 제3 분할 몰드(4)에, 이것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스프루(11)가 설치되며, 제3 분할 몰드(4)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의 선단부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가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분할 몰드(3)에, 스프루측 러너(13)의 선단부로부터 게이트(21)로 통하는 게이트측 러너(14)가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멍 형상으로 설치되며, 또한 캐비티(22)로부터 통하는 에어벤트 구멍(23)이 마찬가지로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멍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분할 몰드(3)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와 평면 상의 위치를 맞추어 스프루 저류부(12)가 설치되며, 제3 분할 몰드(4)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에, 에어벤트 구멍(23)과 평면 상의 위치를 맞추어 벤트 저류부(vent reservoir; 24)가 설치되어 있다.
[0038] 제2 분할 몰드(3) 및 제3 분할 몰드(4) 사이에,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이하, 페이퍼라고도 칭함)(31)가 끼워져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끼워져 들어간 시트 부재(31)는, 제2 분할 몰드(3)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 및 제3 분할 몰드(4)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 사이에서 끼워져 가압되는 동시에 스프루(11), 스프루 저류부(12), 스프루측 러너(13) 및 게이트측 러너(14), 에어벤트 구멍(23) 및 벤트 저류부(24)에 면하므로, 이들 각부(各部)에 충전되는 고무상 성형 재료가 시트 부재(31)에 접촉하여 일부는 함침되고, 경화된 후, 각 버(스프루(11)에서 형성되는 스프루 버(52), 스프루 저류부(12)에서 형성되는 스프루 버(53), 스프루측 러너(13)에서 형성되는 러너 버(54) 및 게이트측 러너(14)에서 형성되는 러너 버(55), 에어벤트 구멍(23)에서 형성되는 벤트 버(59) 및 벤트 저류부(24)에서 형성되는 벤트 버(60))로서 시트 부재(31)에 부착된다.
[0039] 참고로, 고무상 성형 재료의 주입시, 고무상 성형 재료는 시트 부재(31)를 두께 방향으로 침투하거나 또는 시트 부재(31)를 일부에서 찢음으로써 스프루(11)로부터 스프루 저류부(12)로, 스프루측 러너(13)로부터 게이트측 러너(14)로, 에어벤트 구멍(23)으로부터 벤트 저류부(24)로, 각각 유입된다.
[0040] 구멍 형상의 게이트측 러너(14)에 대해서는 시트 부재(31)측으로부터 게이트(21)측으로 개구 단면적이 서서히 축소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그 시트 부재(31)측의 단부는, 여기서 형성되는 러너 버(55)의 일부(근원부)가 시트 부재(31)에 대한 부착부(55a)가 되므로 이 부착부(55a)에 의한 부착 면적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직경이 큰 원반 형상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원반 형상 공간의 내주면이 시트 부재(31)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채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버 제거 공정에 있어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워, 시트 부재(31)로부터 버(55)가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B)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31)에 대한 러너 버(55)의 부착부(55a) 주위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을 부형하도록 설정되며, 이 때문에 게이트측 러너(14)에서 형성되는 러너 버(66)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을 부형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 부형부(15)가 게이트측 러너(14)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1)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되어 있다. 라운드 형상(56)은 오목한 형상의 라운드, 라운드 형상 부형부(15)는 볼록한 형상의 라운드이며, 이들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0041] 또한, 구멍 형상의 에어벤트 구멍(23)에 대해서는, 캐비티(22)측으로부터 시트 부재(31)측에 걸쳐 개구 단면적이 서서히 확대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시트 부재(31)측의 단부는, 여기서 형성되는 벤트 버(59)의 일부(근원부)가 시트 부재(31)에 대한 부착부(59a)가 되므로 상기 부착부(59a)에 의한 부착 면적을 넓게 확보하기 위해, 비교적 직경이 큰 원반 형상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원반 형상 공간의 내주면이 시트 부재(31)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채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버 제거 공정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워, 시트 부재(31)로부터 버(59)가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C)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31)에 대한 벤트 버(59)의 부착부(59a) 주위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61)을 부형하도록 설정되며, 이 때문에 에어벤트 구멍(23)에서 형성되는 벤트 버(59)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61)을 부형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 부형부(25)가 에어벤트 구멍(23)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1)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되어 있다. 라운드 형상(61)은 오목한 형상의 라운드, 라운드 형상 부형부(25)는 볼록한 형상의 라운드이며, 이들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0042] 상기 성형 다이(1)에 의한 성형은, 성형 방법으로서, 스프루(11), 스프루 저류부(12), 스프루측 러너(13), 게이트측 러너(14), 게이트(21), 캐비티(22), 에어벤트 구멍(23) 및 벤트 저류부(24)를 구비하는 성형 다이(1)에서 성형품(51)을 성형하여 몰드 개방한 후, 게이트측 러너(14)에서 형성된 러너 버(52) 및 에어벤트 구멍(23)에서 형성된 벤트 버(59)를 포함하는 각 버(52, 53, 54, 55, 59, 60)를 성형 다이(1)로부터 제거하는 버 제거 공정을 실시하고, 상기 버 제거 공정을 실시할 때에는, 성형 다이(1)에 미리 끼워 넣은 시트 부재(31)에 대해 각 버(52, 53, 54, 55, 59, 60)를 부착시키고 시트 부재(31)를 성형 다이(1)의 분할 몰드(3)로부터 벗겨냄으로써 각 버(52, 53, 54, 55, 59, 60)를 시트 부재(31)와 함께 제거하는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벗겨냄에 있어서 시트 부재(31)로부터 러너 버(52) 및 벤트 버(59)가 분리되기 어렵도록 시트 부재(31)에 대한 러너 버(52) 및 벤트 버(59)의 부착부(52a, 59a) 주위의 부위에 성형 다이(1)에 의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3, 61)을 부형하도록 한 것이다.
[0043]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른바 페이퍼 이형을 실시하기 때문에, 버 제거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부재(31)에 대한 러너 버(52) 및 벤트 버(59)의 부착부(52a, 59a) 주위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 61)을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라운드 형상(56, 61)에 의해 응력 집중이 발생되기 어려워져서, 시트 부재(31)로부터 러너 버(55) 및 벤트 버(59)가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0044]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52, 62)의 근원의 부착부(52a, 62a) 주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3, 63)을 설치하는 바, 도 2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53, 63)의 더욱 외측(외주측)에 버(52, 62)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54, 64)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54, 64)는 버(52, 62)의 일부로서 페이퍼(31)에 부착되는 것이며, 또한, 성형 다이(1)에 있어서의 라운드 형상 부형부(15, 25)의 더욱 외측에 설치한 박막 성형부(16, 26)에 의해 버(52, 62)의 일부로서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라운드 형상(53, 63)의 더욱 외측에 버(52, 62)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54, 64)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54, 64)도 페이퍼(31)에 부착되기 때문에, 페이퍼(31)에 대한 버(52, 62)의 부착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의 (C)의 예에서는 박막 형상 피착부(54, 64)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53, 63)과 박막 형상 피착부(54, 64) 사이에 단차부(55, 65)가 설치되고, 라운드 형상 부형부(15, 25)와 박막 성형부(16, 26) 사이에 단차 성형부(17, 27)가 설치되어 있다.
[0045]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에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버(55)(또는 59)의 근원의 부착부(55a)(또는 59a) 주위에 단면이 원호형을 나타내는 환형의 라운드 형상(56)(또는 61)을 대략 90도의 각도 범위에 걸쳐 설치하는 바, 도 2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56)(또는 61)의 더욱 외측(외주측)에 버(55)(또는 59)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57)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57)는 버(55)(또는 59)의 일부로서 시트 부재(31)에 부착되는 것이며, 또한, 성형 다이(1)에 있어서의 라운드 형상 부형부(15)(또는 25)의 더욱 외측에 설치한 박막 성형부(16)에 의해 버(55)(또는 59)의 일부로서 환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라운드 형상(56)(또는 61)의 더욱 외측에 버(55)(또는 59)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57)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박막 형상 피착부(57)도 시트 부재(31)에 부착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31)에 대한 버(55)(또는 59)의 부착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의 (C)의 예에서는 박막 형상 피착부(57)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56)(또는 61)과 박막 형상 피착부(57) 사이에 단차부(58)가 설치되고, 라운드 형상 부형부(15)(또는 25)와 박막 성형부(16) 사이에 단차 성형부(17)가 설치되어 있다.
[0046] 제4 실시예 …
또한, 상기 제 3 실시예에서는, 제3 분할 몰드(4)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에 위치하여, 스프루(11)의 선단부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를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하였는데, 이 구성을 대신하여, 제2 분할 몰드(3)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의 선단부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를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하도록 해도 되며, 이 경우의 예로서 제4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도 5의 (A)에서는, 제2 분할 몰드(3)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스프루(11)로부터 스프루 저류부(12)를 경유하여 게이트측 러너(14)에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13)가 홈 형상이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0047] 이 경우, 도 5의 (B)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루측 러너(13)는 게이트측 러너(14)의 근원부에 직접 연통하여, 스프루측 러너(13)에서 형성되는 버(54)는 게이트측 러너(14)에서 성형되는 버(55)의 근원부(부착부(55a))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시트 부재(31)에 대한 러너 버(55)의 부착부(55a) 주위의 부위에 있어서는, 그 전체 둘레 중 스프루측 러너(13)에서 형성되는 버(54)가 연결된 부위 이외의 부위에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56)이 부형되게 된다.
[0048] 또한,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제4 실시예에는, 제3 실시예와 대비하였을 때,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0049] 즉,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상 성형 재료의 주입시, 고무상 성형 재료가 스프루(11)로부터 스프루 저류부(12)에 걸친 1개소째, 스프루측 러너(13)로부터 게이트측 러너(14)에 걸친 2개소째 및 에어벤트 구멍(23)으로부터 벤트 저류부(24)에 걸친 3개소째에서 각각 시트 부재(31)를 통과하는 데 반해, 제4 실시예에서는, 고무상 성형 재료가 스프루(11)로부터 스프루 저류부(12)에 걸친 1개소째 및 에어벤트 구멍(23)으로부터 벤트 저류부(24)에 걸친 2개소째에서만(도시하는 바와 같이 벤트 저류부(24)가 생략되는 경우는, 스프루(11)로부터 스프루 저류부(12)에 걸친 1개소에서만) 고무상 성형 재료가 시트 부재(31)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와 대비하였을 때, 시트 부재(31)의 섬유가 오염으로서 성형품(51) 속으로 비집고 들어갈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0050] 본 발명에 의한 성형품은 특별히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연료 전지용 개스킷 등이어도 된다. 성형품은, 기재에 고무 시일을 일체로 성형한, 예컨대, 연료 전지 셀 시일 등이어도 된다.
[0051] 1 : 성형 다이
2, 3, 4 : 분할 몰드
5 : 파팅부
11 : 스프루
12 : 스프루 저류부
13 : 스프루측 러너
14 : 게이트측 러너
15, 25 : 라운드 형상 부형부
16 : 박막 성형부
17 : 단차 성형부
21 : 게이트
22 : 캐비티
23 : 에어벤트 구멍
24 : 벤트 저류부
31 : 시트 부재
51 : 성형품
52, 53 : 스프루 버
54, 55 : 러너 버
55a, 59a : 부착부
56, 61 : 라운드 형상
57 : 박막 형상 피착부
58 : 단차부
59, 60 : 벤트 버

Claims (6)

  1. 스프루, 러너, 게이트 및 캐비티를 일련으로 구비하는 성형 다이에 의해 성형품을 성형하고 몰드 개방한 후, 상기 러너에서 형성된 버(burr)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제거하며,
    상기 제거시에는, 상기 성형 다이에 미리 끼워 넣은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버를 부착시키고 상기 시트 부재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벗겨냄으로써 상기 버를 상기 시트 부재와 함께 제거하며,
    상기 벗겨냄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상기 버가 분리되기 어렵도록 상기 시트 부재에 대한 상기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상기 성형 다이에 의해 단면(斷面)이 원호형(圓弧形)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賦形)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의 성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다이는, 상기 캐비티에 이어지는 에어벤트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성형 방법은, 상기 러너에서 형성된 버와 함께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된 버를 상기 성형 다이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의 성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의 부착부 주위의 부위에 상기 성형 다이에 의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는 동시에, 상기 라운드 형상의 더욱 외측에 상기 성형 다이에 의해 상기 버와 일체인 박막(薄膜) 형상 피착부(被着部)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의 성형 방법.
  4. 제1 분할 몰드와, 상기 제1 분할 몰드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2 분할 몰드와,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조합되는 제3 분할 몰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분할 몰드 및 상기 제2 분할 몰드 사이의 파팅부(parting portion)에 게이트 및 캐비티를 설치하고, 상기 제3 분할 몰드에 스프루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3 분할 몰드에 있어서의 제2 분할 몰드측의 면 또는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있어서의 제3 분할 몰드측의 면에 상기 스프루로부터 통하는 스프루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상기 스프루측 러너로부터 상기 게이트로 통하는 게이트측 러너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분할 몰드 및 상기 제3 분할 몰드 사이에 끼우는 종이 또는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있는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스프루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 및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가 부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서 형성되는 버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기 위한 라운드 형상 부형부를 상기 게이트측 러너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측의 개구 주연부(周緣部)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다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 몰드에 상기 캐비티로부터 통하는 에어벤트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 부재에 대해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되는 버가 부착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서 형성되는 버에 대해 단면이 원호형인 라운드 형상을 부형하기 위한 라운드 형상 부형부를 상기 에어벤트 구멍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측의 개구 주연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다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와 일체인 박막 형상 피착부를 성형하기 위한 박막 성형부를 상기 라운드 형상 부형부의 더욱 외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다이.
KR1020177014939A 2014-10-31 2015-09-17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 KR102342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2765A JP6494975B2 (ja) 2014-10-31 2014-10-31 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型
JPJP-P-2014-222765 2014-10-31
PCT/JP2015/076395 WO2016067784A1 (ja) 2014-10-31 2015-09-17 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806A true KR20170078806A (ko) 2017-07-07
KR102342797B1 KR102342797B1 (ko) 2021-12-22

Family

ID=5585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939A KR102342797B1 (ko) 2014-10-31 2015-09-17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17219B2 (ko)
EP (1) EP3213900B1 (ko)
JP (1) JP6494975B2 (ko)
KR (1) KR102342797B1 (ko)
CN (1) CN107107417B (ko)
WO (1) WO2016067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0023A1 (de) * 2019-07-24 2021-01-28 Hengst Se Separatorteller für einen Ölnebelabscheider und Ölnebelabscheider
JP7384392B2 (ja) * 2019-12-03 2023-11-21 オカ株式会社 立体型便座クッ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45047A1 (ja) * 2020-01-16 2021-07-22 Nok株式会社 成形金型およびシール部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077A (en) 1990-03-08 1991-02-19 Robison Maurice L All weather garment
JPH0347304A (ja) 1989-07-12 1991-02-28 Harumoto Tekkosho:Kk 橋梁用伸縮継手装置
JPH11254486A (ja) * 1998-03-11 1999-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金型構造
JP3047304B2 (ja) * 1991-06-25 2000-05-29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成形方法
JP2002283401A (ja) * 2001-03-26 2002-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金型装置及びシート材の除去方法
JP2008168448A (ja) * 2007-01-09 2008-07-24 Nok Corp シール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5176B2 (ja) * 1994-02-04 1999-10-04 吉田工業株式会社 電器部品用パネルボタンの製造方法
TW544879B (en) * 2000-08-04 2003-08-01 Hitachi Ltd Mold cleaning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same
JP2002292684A (ja) * 2001-04-02 2002-10-09 Sumitomo Wiring Syst Ltd 介装紙
JP2009154532A (ja) * 2007-12-05 2009-07-16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099352B2 (ja) * 2008-05-23 2012-12-19 Nok株式会社 シール部品の製造方法
JP5585754B2 (ja) * 2009-03-31 2014-09-10 Nok株式会社 シール部品の製造方法及び金型
JP2012213941A (ja) * 2011-04-01 2012-11-08 Nissha Printing Co Ltd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用金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304A (ja) 1989-07-12 1991-02-28 Harumoto Tekkosho:Kk 橋梁用伸縮継手装置
US4993077A (en) 1990-03-08 1991-02-19 Robison Maurice L All weather garment
JP3047304B2 (ja) * 1991-06-25 2000-05-29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成形方法
JPH11254486A (ja) * 1998-03-11 1999-09-21 Sumitomo Wiring Syst Ltd 金型構造
JP2002283401A (ja) * 2001-03-26 2002-10-03 Sumitomo Wiring Syst Ltd 金型装置及びシート材の除去方法
JP2008168448A (ja) * 2007-01-09 2008-07-24 Nok Corp シール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3900A1 (en) 2017-09-06
CN107107417A (zh) 2017-08-29
JP6494975B2 (ja) 2019-04-03
JP2016087882A (ja) 2016-05-23
US10717219B2 (en) 2020-07-21
EP3213900A4 (en) 2017-11-08
KR102342797B1 (ko) 2021-12-22
CN107107417B (zh) 2020-05-05
WO2016067784A1 (ja) 2016-05-06
EP3213900B1 (en) 2020-04-22
US20170312963A1 (en)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806A (ko) 성형품의 성형 방법 및 성형 다이
US20190337203A1 (en) Passive horn integrally formed by using thermoplastic vulcanized rub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W200714447A (en) Optical elements
EP298760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integrated gasket
EP3174143B1 (en) Plate-integrated gasket manufacturing method
EP3396215B1 (en) Gasket,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handling same
US10865881B2 (en) Gasket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KR101913067B1 (ko) 차량의 윈드 쉴드 안착용 스토퍼의 제조방법
US20120324850A1 (en) Air Filter Element with Covered Terminal Disks
JP2004055427A (ja) 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のプレート一体方法
JPWO2015152131A1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20200006254A (ko) 싱크대
KR20200012865A (ko) 캐리어 필름이 구비된 개스킷의 취급방법
JP2015017656A (ja) プレート一体型ガスケット
JP2003266494A (ja) 射出成形用金型と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8068583A (ja) 防振装置の成形型及び製造方法
EP3467355B1 (en) Gasket handling method
JP3637624B2 (ja) 取付け用部材付き窓用板状体の製造方法
JP2006035590A (ja) 成形型の分割面のシール構造及び分割面の形成方法
CN216267300U (zh) 橡胶辊开放式灌注模具
JP2014508386A (ja) 燃料セルプレートの接合方法およびその配置
JPH10323845A (ja) シリコーンゴムoリングの製造方法及びシリコーンゴムoリング
TWI652159B (zh) 射出成型方法
JPH09117919A (ja) 複合ゴム成形品のバリ取り形成方法及びその成形金型
JPH11156890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射出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