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312A -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312A
KR20170074312A KR1020150183216A KR20150183216A KR20170074312A KR 20170074312 A KR20170074312 A KR 20170074312A KR 1020150183216 A KR1020150183216 A KR 1020150183216A KR 20150183216 A KR20150183216 A KR 20150183216A KR 20170074312 A KR20170074312 A KR 20170074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osed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470B1 (ko
Inventor
김의태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470B1/ko
Priority to EP16184623.3A priority patent/EP3185326B1/en
Priority to US15/331,092 priority patent/US10566576B2/en
Priority to CN201610930766.9A priority patent/CN107026240B/zh
Priority to JP2016239064A priority patent/JP6501748B2/ja
Publication of KR2017007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01L51/5275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7/322
    • H01L27/3253
    • H01L27/326
    • H01L27/3276
    • H01L51/5271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은 화소영역과 발광영역이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된 제1기판과 발광영역에 대응하여 격벽이 배치된 제2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DISPLAY PANEL WITH LUMINANCE EFFICIENCY IMPROVEM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이다.
표시장치(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장치, (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및 음극선관 표시장치(Cathode Ray, Display) 등이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두 전극 사이의 발광층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전극에서 발생한 전자와 다른 하나의 전극에서 발생한 정공이 발광층 내부로 주입되면,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이 결합하여 액시톤(exciton)이 생성되고, 생성된 액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한편, 표시장치는 미러 기능 또는 투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미러 기능은 반사물질이 표시패널 내에 배치되어 외부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의미한다. 투명 기능은 외부 광이 표시패널을 투과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미러 기능 또는 투명 기능은 표시패널의 각 화소들이 출력하는 빛의 광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의 출력 광의 효율을 높이는 구조 및 이러한 표시패널과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미러 표시패널 또는 투명 표시패널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발광영역에서 생성된 빛을 미러에 반사되지 않고 표시패널 외부로 출광시키는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발광영역에서 생성된 빛을 상판에서 전반사되지 않도록 하여, 표시패널 외부로 출광시키는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발광영역에서 출광되는 빛의 시야각을 특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은 화소영역과 발광영역이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된 제1기판과 격벽이 배치된 제2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은 제2기판의 격벽이 역테이퍼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은 제2기판의 격벽이 다단의 역테이퍼를 가지거나, 또는 격벽의 측면이 오목한 홈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격벽에 의해 발광영역에서 출광된 빛이 표시패널 외부로 출광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반사물질이 배치된 기판에 격벽이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역테이퍼 구조의 격벽이 배치된 기판과 투명한 기판이 합착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기판에 발광영역을 정의하도록 뱅크를 배치하는 단계와, 뱅크에 대응되는 재2기판의 영역에 격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2기판에 배치된 격벽이 역테이퍼 구조를 가지도록 격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2기판에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이를 노광하여 역테이퍼 구조의 격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미러 표시패널 또는 투명 표시패널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표시패널과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발광영역에서 생성된 빛을 미러에 반사되지 않고 표시패널 외부로 출광시키는 표시패널과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뱅크를 생성하는데 사용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격벽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포토마스크의 제작 없이 표시패널과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미러 기능이 포함될 경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투명 기능이 포함될 경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이 배치되는 기판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벽이 배치되는 기판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벽이 배치되는 기판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러 표시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의 역테이퍼각과 시야각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테이퍼의 저굴절 유기막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한 경우의 광효율의 향상 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단의 역테이퍼로 구성된 저굴절 유기막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한 경우의 광효율의 향상 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을 배치하는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영상 데이터는 R(적색), G(녹색), B(청색)으로 나뉘어져 표시장치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W(백색) 또는 Black(흑색)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외에도 표시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표시장치에 광을 센싱하는 기능이 추가된 경우, 외부광의 크기에 따라 출력하는 영상의 밝기 혹은 색상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을 표시패널(11)로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면 발광 방식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면 발광 방식의 유기발광표시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제1방향(예: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제1라인(VL1~VLm)이 형성되고, 제2방향(예: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제2라인(HL1~HLn)이 형성되는 표시패널(11)과, 다수의 제1라인(VL1~VLm)으로 제1신호를 공급하는 제1구동부(12)와, 다수의 제2라인(HL1~HLn)으로 제2신호를 공급하는 제2구동부(13)와, 제1구동부(12) 및 제2구동부(13)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1)에는, 제1방향(예: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라인(VL1~VLm)과 제2방향(예: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라인(HL1~HLn)의 교차에 따라 다수의 화소(P: Pixel)가 정의된다.
전술한 제1구동부(12) 및 제2구동부(13) 각각은, 영상 표시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에 제1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라인(VL1~VLm)은, 일 예로, 수직방향(제1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의 화소 열로 데이터 전압(제1신호)을 전달하는 데이터라인일 수 있으며, 제1구동부(12)는 데이터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일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에 제2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라인(HL1~HLn)은 수평방향(제2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의 화소 열로 스캔 신호(제1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라인일 수 있으며, 제2구동부(13)는 게이트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일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12)와 제2구동부(13)와 접속하기 위해 표시패널(11)에는 패드부가 구성된다. 패드부는 제1구동부(12)에서 다수의 제1라인(VL1~VLm)으로 제1신호를 공급하면 이를 표시패널(11)로 전달하며, 마찬가지로 제2구동부(13)에서 다수의 제2라인(HL1~HLn)으로 제2신호를 공급하면 이를 표시패널(11)로 전달한다.
각 화소(pixel)는 하나 이상의 부화소(subpixel)를 포함한다. 부화소는 특정한 한 종류의 컬러필터가 형성되거나, 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유기발광소자가 특별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부화소에서 정의하는 색상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과 선택적으로 백색(W)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부화소는 별도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이에 연결된 전극이 포함되므로 이하, 화소를 구성하는 부화소 역시 하나의 화소영역으로 통일하여 지칭한다. 즉, 부화소들의 묶음이 화소가 될 수도 있으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부화소들을 화소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2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미러 기능이 포함될 경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미러 표시패널의 화소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제1기판(100) 상에 버퍼층(101), 액티브층(102a)과 양측에 도체화된 부분(102s, 102d), 게이트(107), 그리고 게이트(107)와 액티브층(102a)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103), 소스/드레인(105s, 105d), 그리고 각 화소별로 발광을 제어하는 제1전극(120), 다수의 화소에 걸쳐 배치되는 제2전극(150), 그리고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13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전극(120)과 제2전극(150) 사이에 유기발광층(140)이 배치되어 있으며, 뱅크(130) 상에도 유기발광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위한 두 층(107c, 102c)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화소 구조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화소 구조 또는 이를 위한 TFT 구조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서 제2기판(200)에는 외부광을 반사시키는 미러들(210a, 210b)이 배치되어 있다. 미러들(210a, 210b)과 제1기판(100)의 유기발광층(140)과의 거리로 인하여 유기발광층(140)에서 발광한 빛의 일부(290a)는 상측으로 출광하지만, 일부(290b, 290c)는 에지 방향으로 전반사하여 광효율이 떨어진다.
도 3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투명 기능이 포함될 경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투명 표시패널의 화소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제2기판(200)에는 컬러필터(350)가 배치된다. 제2기판(200)과 제1기판(100)의 유기발광층(140)과의 거리로 인하여 유기발광층(140)에서 발광한 빛의 일부(390a)는 상측으로 출광하지만, 일부(390b, 390c)는 에지 방향으로 전반사하여 광효율이 떨어진다.
도 2 및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러 기능 또는 투명 기능을 제공하는 표시패널은 상판 합착 구조로 인해 에지 방향으로 빛이 전반사되어 광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투명 또는 미러 기능을 제공하는 표시패널에서 외부로 빛을 출광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저굴절의 역테이퍼(Taper) 구조물을 이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표시패널은 화소영역과 발광영역이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된 제1기판과 격벽이 배치된 제2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패널은 제2기판의 격벽이 역테이퍼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미러 표시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사물질이 배치된 기판에 격벽이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는 두 개의 기판이 대향하여 합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며, 액정표시패널 또는 액정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 또는 미러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시패널의 공통된 구조는 화소를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고, 박막 트랜스터에 연결되는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배치되는 제1기판 또는 하판과, 이에 대향하여 격벽이 배치되는 제2기판 또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특히 본 발명은 미러 표시장치 또는 투명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표시장치에서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제2기판 또는 상판에 저굴절의 역테이퍼(Taper) 형상의 구조물을 격벽이라고 지시한다. 격벽은 제1기판(하판)의 발광영역 또는 화소영역에 대응되어 배치되는데, 격벽을 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Negative Photo Resist)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은 증착(코팅)한 후 현상하면 역테이퍼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테이퍼의 각도에 따라 휘도 시야각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네가티브 포토 레지스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기판상에 역테이퍼 구조의 격벽을 배치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표시장치 또는 표시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반드시 역테이퍼의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굴절의 물질로 격벽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화소영역에 배치된 TFT의 제어로 인하여 발광영역에서 생성된 빛이 격벽에 의해 상판(제2기판) 방향으로 굴절하도록 유도하는 모든 격벽의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에서 살펴본 표시패널(11)을 구성하는 제2기판에 대해 살펴본다. 보다 상세히, 제2기판은 제1기판과 합착하여 표시패널(11)을 구성한다. 제1기판은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들 및 화소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가 배치되어 있다. 제2기판은 뱅크영역에 대응하여 격벽이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이 배치되는 기판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기판, 즉 상판에 배치된 격벽은 역테이퍼의 구성을 가진다. 도 4에서 상판, 즉 제2기판(200) 상에 격벽(410a, 410b)이 배치되어 있다. 격벽(410a, 410b)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인 EA(Emitting Area)는, 화소영역 중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화소의 제어에 유기층 등이 발광할 경우 빛이 방출되는 영역이다. 격벽(410a, 410b)을 구성하는 물질은 빛이 발광하여 투과하는 영역(490)에 배치되는 물질보다 굴절률을 낮게 한다. 그 결과, 격벽(410a, 410b)은 유기층의 발광으로 인해 발생한 빛이 에지방향으로 전반사되지 않고 제2기판, 즉 상판(200)으로 출광하도록 한다.
빛이 발광하여 투과하는 영역(490)에 배치된 물질이 상판과 하판을 합착시키는 접착 물질인 경우, 접착물질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여 격벽(410a, 410b)을 증착 및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접착물질이 없는 경우, 빛이 투과하는 영역(490)의 물질(공기, 진공 또는 특정한 물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410a, 410b)의 굴절률이 발광영역의 물질(공기, 진공 또는 특정한 물질)보다 굴절률이 낮음으로 인하여 격벽(410a, 410b)에서 빛이 제2기판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굴절시켜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발광영역에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합착시키는 접착물질을 선택함에 있어서, 격벽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접착물질을 선택하여 출광 효율을 제어할 수 있다. 719a, 719b의 빛의 진행 방향에서 굴절률의 차이로 인해 빛이 출광하는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격벽(410a, 410b)과 제2기판(200)이 접촉하는 단면(기판측 단면)과 격벽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Arc_A)는 90도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낮은 각도로 진행하는 빛도 정면으로 출광시킬 수 있다. 제2기판을 기준으로 역테이퍼 형상의 격벽은 뱅크 사이의 빛이 측면으로 전반사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기층에서 생성된 빛의 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격벽(410a, 410b)에서 후술할 제1기판, 즉 하판의 뱅크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단면을 뱅크측 단면이라 한다. 도 4에서 격벽(410a)의 뱅크측 단면은 415a이며, 격벽(410b)의 뱅크측 단면은 415b이다. 뱅크측 단면(415a, 415b)은 하판의 뱅크와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뱅크측 단면(415a, 415b)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상판과 하판의 접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벽이 배치되는 기판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의 측면이 오목한 다각면을 가지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에서 제2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격벽(510a, 510b)의 측면은 평면이 아니다. 격벽(510a)를 참조하면, 511a 및 512a와 같이 두 개의 면이 결합한 오목한 다각면을 가진다.
511a와 격벽의 기판측 단면과의 각도(Arc_B)는 512a와 격벽의 기판측 단면에 평행한 면과의 각도(Arc_C) 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격벽(510b)도 마찬가지로 511b 및 512b와 같이 두 개의 면이 결합한 오목한 다각면을 가진다.
도 5와 같은 구성을 가지기 위해 격벽을 구성하기 위한 물질, 예를 들어 네가티프 포토레지스트를 제2기판인 상판(200)에 증착한 후,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 또는 식각할 경우, 격벽이 2단의 역테이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노광 시간을 조절하거나, 노광량을 조절할 경우 격벽이 두 단의 역테이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2단 구성의 역테이퍼 구조를 가지는 격벽이 배치된 제2기판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단 또는 그 이상인 다단 구성의 역테이퍼 구조를 가지는 격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5에서 뱅크측 단면(515a, 515b)은 하판의 뱅크와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뱅크측 단면(515a, 515b)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상판과 하판의 접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빛이 발광하여 투과하는 영역(590)에 배치된 물질이 상판과 하판을 합착시키는 접착 물질인 경우, 접착물질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여 격벽(510a, 510b)을 증착 및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접착물질이 없는 경우, 빛이 투과하는 영역(590)의 물질(공기, 진공 또는 특정한 물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벽이 배치되는 기판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의 측면이 오목한 호의 형태를 가지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에서 제2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격벽(610a, 610b)의 측면은 평면이 아니다. 격벽(610a)를 참조하면, 611a는 오목한 호의 형태이다. 다른 격벽(610b)도 마찬가지로 611b는 오목한 호의 형태를 가진다.
도 6과 같은 구성을 가지기 위해 격벽을 구성하기 위한 물질, 예를 들어 네가티프 포토레지스트를 제2기판인 상판(200)에 증착한 후,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 또는 식각하거나, 혹은 노광시간과 노광량을 점진적으로 증감시킬 경우, 격벽이 역테이퍼의 형상으로 측면이 오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서는 오목한 측면을 가지는 격벽이 배치된 제2기판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도 6을 결합하여 일정 부분은 직선으로, 또 다른 부분은 호의 형상의 측면이 배치된 역테이퍼 구조를 가지는 격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6에서 뱅크측 단면(615a, 615b)은 하판의 뱅크와 접촉할 수도 있고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뱅크측 단면(615a, 615b)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상판과 하판의 접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빛이 발광하여 투과하는 영역(690)에 배치된 물질이 상판과 하판을 합착시키는 접착 물질인 경우, 접착물질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여 격벽(610a, 610b)을 증착 및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접착물질이 없는 경우, 빛이 투과하는 영역(690)의 물질(공기, 진공 또는 특정한 물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격벽을 배치할 경우, 발광영역에서 발생한 빛을 상판(200)의 방향으로 출광시켜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살펴본 격벽의 굴절률은 빛이 발광하여 투과하는 영역(490, 590, 690)에 배치된 물질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저굴절의 유기막을 이용하여 격벽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막은 1.53보다 작은 굴절률(n < 1.53)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도 4내지 도 6의 격벽의 측면 부분에 별도의 반사물질을 배치하여 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미러 표시패널의 경우, 미러의 연장면에 격벽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인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유기층에서 발광한 빛의 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기판(100) 및 그 위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등의 구성 등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뱅크(130)에 대응되는 영역에 격벽(710a, 710b)이 배치되어 있다. 790 영역은 접착 물질(Adhesive)가 배치될 수 있다. 레진 같은 종류의 물질이 배치될 수 있으며, 격벽(710a, 710b)의 굴절률은 790 영역의 접착 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물질일 수 있다.
도 7의 구성에서 유기발광층(140)에서 발광한 빛의 일부는 791c와 같이 제2기판(200)으로 출광한다. 한편, 격벽(710a, 710b)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은 격벽(710a, 710b)의 낮은 굴절률로 인하여 791a 및 791b와 같이 제2기판(200)으로 굴절하여 출광한다.
도 7의 표시패널은 하판에 배치된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와 제1전극, 제2전극 등을 투명한 물질로 구성할 경우 투명 표시패널이 된다. 이 경우, 컬러필터(350)를 사용하여 배선의 반사와 흐린 잔상(Haze)을 낮추고, 발광 영역 주변에 역테이퍼의 격벽(710a, 710b)을 이용하여 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컬러필터(350)는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격벽(710a, 710b) 사이에 배치되며, 격벽(710a, 710b)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정리하면, 도 7의 일 실시예에서 투명 표시패널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배치되며 뱅크영역에 대응하는 격벽의 광투과도는 제1기판의 발광영역의 광투과도와 비교하여 같거나 높을 수 있도록 격벽의 물질을 선택하여 표시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에서 외부광이 투과할 수 있으므로, 투명한 표시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격벽의 굴절률로 인하여 발광영역의 빛을 제2기판 방향으로 출광시켜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러 표시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기판(100) 및 그 위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등의 구성 등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뱅크(130)에 대응되는 영역에 격벽(810a, 810b)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서 격벽(810a, 810b)은 미러(210a, 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890 영역은 접착 물질(Adhesive)가 배치될 수 있다. 레진 같은 종류의 물질이 배치될 수 있으며, 격벽(810a, 810b)의 굴절률은 890 영역의 접착 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물질일 수 있다.
도 8의 구성에서 유기발광층(140)에서 발광한 빛의 일부는 891c와 같이 제2기판(200)으로 출광한다. 한편, 격벽(810a, 810b)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은 격벽(810a, 810b)의 낮은 굴절률로 인하여 891a 및 891b와 같이 제2기판(200)으로 굴절하여 출광한다.
도 8과 같이 미러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발광 영역(890)에 맞추어 고반사율을 가지는 메탈을 스퍼터링한 후 노광 및 식각하여 210a 및 210b와 같이 미러를 패터닝한 후, 고굴절 유기막을 코팅하여 노광방식으로 역테이퍼의 격벽(810a, 810b)을 만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도 8의 격벽(810a, 810b)의 측면 부분에 별도의 반사물질을 배치하여 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미러 표시패널의 경우, 미러의 연장면에 격벽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인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유기층에서 발광한 빛의 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살펴본 격벽은 도 4에서 살펴본 격벽을 일 실시예로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및 도 6에서 살펴보았던 오목한 다각면을 가지거나 또는 오목한 호가 측면의 형상인 격벽들도 도 7 및 도 8의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 역시 도 7과 같이 컬러필터(도 7의 3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컬러필터(도 7의 350)는 발광 영역에 대응하여 격벽(810a, 810b) 사이에 배치되며, 격벽(810a, 810b)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의 역테이퍼각과 시야각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미러 표시 표시패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901과 902는 각각 미러를 구성하는 고반사의 메탈물질의 전체 개구율과 격벽의 역테이퍼 각을 비교할 수 있다.
901에서 메탈로 형성된 미러(210c, 210d)가 있으며, 901의 격벽(910a, 910b)이 제2기판(200) 또는 미러(210c, 210d)와 이루는 각은 Arc_D이다. 902에서 메탈로 형성된 미러(210e, 210f)가 있으며, 901의 격벽(910b, 910c)이 제2기판(200) 또는 미러(210c, 210d)와 이루는 각은 Arc_E이다.
901과 902의 표시패널을 비교하면, 901의 미러(210c, 210d)를 구성하는 메탈의 개구율은 902의 미러(210e, 210f)를 구성하는 메탈의 개구율보다 낮다. 또한, 901의 역테이퍼 각인 Arc_D는 902의 역테이퍼 각인 Arc_E보다 작다. 그 결과 901에서는 협시야각의 광효율을 가지며, 902에서는 광시야각의 광효율을 가진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협시야각이 필요할 경우, 격벽의 테이퍼 각을 줄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광시간 및 노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광시야각이 필요할 경우, 격벽의 테이퍼 각을 늘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노광시간 및 노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테이퍼의 저굴절 유기막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한 경우의 광효율의 향상 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로 미러 표시장치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본다.
1001은 앞서 도 2와 같은 표시패널의 구조에서 수직시야각(1001v) 및 수평시야각(1001h)의 변화를 보여준다. 1002는 도 8과 같은 표시패널의 구조에서 수직시야각(1002v) 및 수평시야각(1002h)의 변화를 보여준다. 편측 시야각 40도 부근(37도~43도) 부근에서 4.8% 정도의 휘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1010 및 1020 참조).
앞서, 도 5와 같이 다양한 각도의 역테이퍼각을 포함할 경우, 광효율이 증가한다. 이 경우의 광효율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단의 역테이퍼로 구성된 저굴절 유기막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한 경우의 광효율의 향상 정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도 4와 같은 격벽이 배치된 미러 표시장치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본다. 도 10의 1001 및 1002와 비교할 때, 수직시야각(1101v) 및 수평시야각(1101h)이 모두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1120 참조).
도 10 및 도 1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격벽을 배치하거나, 혹은 격벽을 다단(혹은 측면을 오목한 호의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광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격벽의 역테이퍼 각도를 조절하여 휘도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격벽은 뱅크 영역에 대응되는 제2기판에 배치되지만, 반드시 뱅크 영역 전부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도 12에서 두 개의 발광 영역(1291, 1292) 사이에 뱅크(1230)가 배치되어 각각의 화소의 영역 또는 발광 영역(1291, 1292)을 정의한다. 한편, 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격벽들은 제2기판(200)에 1210a 및 1210b와 같이 뱅크의 경계선에 맞추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들(1210a 및 1210b) 사이의 공간(1201)에는 별도의 물질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합착을 위한 접착 물질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발광영역에서 발생한 빛의 광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표시패널의 기판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살펴볼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1기판에 발광영역을 정의하도록 뱅크를 배치하는 단계와, 뱅크에 대응되는 재2기판의 영역에 격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과정에서 제2기판에 배치된 격벽이 역테이퍼 구조를 가지도록 격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패널의 제2기판에 역테이퍼 구조의 격벽을 배치하기 위해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이를 노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제1기판에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를 배치한다(S1310). 그리고 제1기판과 합착하게 될 제2기판에 역테이퍼 구조의 격벽을 배치한다(S1320). 이때 뱅크영역에 대응하는 격벽은 도 3 내지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뱅크 전체에 대응하도록 격벽을 배치할 수도 있으며, 도 1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뱅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격벽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기판(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합착한다(S1330).
제2기판에 격벽을 배치함에 있어서, 미러 표시장치를 구성할 경우, 제2기판에 미러를 위한 고반사의 메탈을 형성한 후, 저굴절의 역테이퍼 구조물을 형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저굴절의 역테이퍼 구조물은 격벽의 일 실시예이다.
한편, 제2기판에 컬러필터를 배치할 경우, R/G/B 및 블랙 매트릭스에 해당하는 컬러필터를 배치한 후 저굴절의 역테이퍼 구조물을 형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저굴절의 역테이퍼 구조물은 격벽의 일 실시예이다.
도 13의 공정에서 격벽의 굴절률은 발광영역과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으며, 이를 위해 저굴절의 유기막을 이용할 수 있다.
S1330의 합착하는 단계에서, 제2기판 중에서 격벽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접착 물질을 배치하여 두 기판의 합착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 내지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발광영역에 접착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의 굴절률은 상기 접착물질의 굴절률보다 낮게 제조한다. 예를 들어, 접착물질의 굴절률을 격벽 보다 높은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2와 같이 격벽이 뱅크의 가장자리 영영에 배치되고, 중앙의 비어 있는 부분에 접착물질이 배치될 경우에는 격벽과 접착물질의 굴절률이 무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격벽을 배치하는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 도면이다.
S1320 단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격벽을 배치하기 위해, 제2기판에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고(S1321), 제1기판의 뱅크영역에 대응되는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하여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S1322).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는 빛을 받을 경우 경화되므로, 노광 과정에서 도 4, 5, 6에서 살펴본 역테이퍼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역테이퍼의 격벽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노광된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경화시키기 위한 베이크 공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S1323).
특히, 노광하는 과정에서, 하프톤 포토마스크 또는 멀티톤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의 측면을 오목한 다각면 또는 오목한 호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오목한 다각면 또는 오목한 호의 형상을 통해 광효율이 증가함은 도 11에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형상을 격벽의 측면을 오목한 다각면 또는 오목한 호의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노광시간 혹은 노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하프톤 포토마스크 또는 멀티톤 포토 마스크 없이, 뱅크 형성 과정에서 이용한 포토 마스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공정의 제조원가 및 비용상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3의 제조 과정을 요약하면, 하판인 제1기판의 발광영역에 맞추어 상판인 제2기판에 저굴절 역테이퍼 구조물을 형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저굴절의 역테이퍼 구조물은 격벽의 일 실시예이며, 격벽을 이용하여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 유기막재료를 코팅하고 현상하면 역테이퍼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테이퍼 각도에 따라 원하는 휘도 시야각 범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투명 표시패널, 미러 표시패널 등의 다양한 시야각을 제어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유기막 두께를 하판의 뱅크와 최대한 맞닿게 할 수 있고, 뱅크는 빛을 흡수하는 재질을 사용하여 각 광원의 빛이 저굴절 막에서 전반사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뱅크와 격벽 사이에 공간이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격벽의 측면에 반사 물질을 코팅시켜 광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기판에 있어서,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격벽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컬러필터를 배치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컬러필터를 사용하는 표시장치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격벽과 컬러필터의 공정 순서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미러 표시패널 또는 투명 표시패널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표시패널과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발광영역에서 생성된 빛을 미러에 반사되지 않고 표시패널 외부로 출광시키는 표시패널과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뱅크를 생성하는데 사용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격벽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포토마스크의 제작 없이 표시패널과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뱅크를 생성하는데 있어 적용한 포토마스크를 그대로 이용하여 격벽을 노광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포토마스크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1기판은 동일하게 제조한 뒤, 제2기판의 격벽을 다양하게 제조하여 표시패널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의 제품을 시야각에 따라 3종류로 나눈 경우를 가정한다. 협시야각, 중시야각, 광시야각인 표시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1기판은 공통으로 제조하되, 협시야각 표시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협시야각용 제2기판과 중시야각용 제2기판, 광시야각용 제2기판을 별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격벽의 역테이퍼각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노광 시간 혹은 노광량을 조절하여 격벽을 형성하거나, 하프톤/멀티톤 등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표시장치 11: 표시패널
12: 제1구동부 13: 제2구동부
14: 타이밍 컨트롤러 100: 제1기판
130: 뱅크 140: 유기발광층
200: 제2기판 350: 컬러필터
410a, 410b, 510a, 510b, 610a, 610b, 710a, 710b,
810a, 810b, 910a~910d, 1210a, 1210b: 격벽

Claims (17)

  1.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화소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가 배치된 제1기판; 및
    상기 뱅크가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격벽이 배치된 제2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굴절률은 상기 발광영역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된 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표시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영역에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합착시키는 접착물질이 배치되며,
    상기 격벽의 굴절률은 상기 접착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표시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과 상기 격벽이 만나는 단면과, 상기 격벽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상인, 표시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측면은 오목한 다각면 또는 오목한 호의 형태인, 표시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서 상기 제1기판의 뱅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반사물질이 배치된, 표시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상기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배치되며,
    상기 제2기판에서 상기 뱅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광투과도는 제1기판의 상기 발광영역의 광투과도와 비교하여 같거나 높은 표시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사이에 상기 격벽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컬러필터가 배치된, 표시패널.
  8.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화소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가 배치된 제1기판과, 상기 뱅크영역에 대응하여 격벽이 배치된 제2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굴절률은 상기 발광영역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된 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라인에 상기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제1구동부;
    상기 게이트라인에 상기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영역에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합착시키는 접착물질이 배치되며,
    상기 격벽의 굴절률은 상기 접착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과 상기 격벽이 만나는 격벽의 하단면과, 상기 격벽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상인,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뱅크 영역에 대응하는 제2기판에 반사물질이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제1기판의 발광영역과 뱅크영역 모두 투명한, 표시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사이에 상기 격벽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컬러필터가 배치된, 표시장치.
  13. 제1기판에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다수의 데이터라인과 복수의 화소들 및 상기 화소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를 배치하는 단계;
    제2기판에 상기 뱅크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격벽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굴절률은 상기 발광영역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된 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발광영역 또는 상기 제2기판에서 격벽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접착 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굴절률은 상기 접착물질의 굴절률보다 낮은,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2기판에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판의 상기 뱅크영역에 대응되는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네가티브 포토레지스트를 노광하여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하는 단계는
    하프톤 포토마스크 또는 멀티톤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거나,
    또는 노광시간 또는 노광량을 조절하여 노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 상기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격벽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컬러필터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183216A 2015-12-21 2015-12-21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41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16A KR102416470B1 (ko) 2015-12-21 2015-12-21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EP16184623.3A EP3185326B1 (en) 2015-12-21 2016-08-17 Display panel with luminance efficiency improvem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display panel
US15/331,092 US10566576B2 (en) 2015-12-21 2016-10-21 Display panel with luminance efficiency improvem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display panel
CN201610930766.9A CN107026240B (zh) 2015-12-21 2016-10-31 发光效率提高的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以及显示设备
JP2016239064A JP6501748B2 (ja) 2015-12-21 2016-12-09 ディスプレイ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を製造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216A KR102416470B1 (ko) 2015-12-21 2015-12-21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12A true KR20170074312A (ko) 2017-06-30
KR102416470B1 KR102416470B1 (ko) 2022-07-04

Family

ID=5673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216A KR102416470B1 (ko) 2015-12-21 2015-12-21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6576B2 (ko)
EP (1) EP3185326B1 (ko)
JP (1) JP6501748B2 (ko)
KR (1) KR102416470B1 (ko)
CN (1) CN1070262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58A (ko) * 2017-10-12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748975B2 (en) 2018-07-27 2020-08-1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1831A (ja) * 2016-03-31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1367763B2 (en) * 2017-07-14 2022-06-21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light emitting units separated by partition walls including multilayer stacks
CN107689426B (zh) * 2017-09-30 2024-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器件、电子装置及发光器件制作方法
KR102568713B1 (ko) * 2018-10-12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2020101752A (ja) *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021647A (zh) * 2019-03-27 2019-07-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TW202101757A (zh) * 2019-05-31 2021-01-01 日商索尼半導體解決方案公司 顯示裝置及電子機器
KR20210004006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216774A (zh) * 2019-07-11 2021-01-12 成都辰显光电有限公司 色彩转换组件、显示面板及制作方法
CN113113552A (zh) 2021-03-24 2021-07-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270463B (zh) * 2021-05-24 2023-03-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设备
CN113314573B (zh) * 2021-05-24 2023-05-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444A (ja) * 2002-11-18 2003-09-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014982A (ja) * 2002-06-11 2004-01-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半導体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191466A (ja) * 2010-05-07 2010-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基板
KR20150004974A (ko) * 2013-07-03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069861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1148B2 (ja) 2002-03-25 2004-03-02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
JP3861758B2 (ja) * 2002-07-05 2006-12-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US20070145892A1 (en) * 2005-12-27 2007-06-28 Kuang-Jung Ch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278493A1 (en) * 2006-06-02 2007-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TWI339444B (en) * 2007-05-30 2011-03-21 Au Optronics Corp Conductor structure, pixel structur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2009110873A (ja) 2007-10-31 2009-05-21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
KR101318442B1 (ko) * 2008-04-25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5341701B2 (ja) * 2009-10-02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WO2012049718A1 (ja) * 2010-10-15 2012-04-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発光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表示装置
CN102640318B (zh) * 2010-11-29 2015-12-16 株式会社日本有机雷特显示器 有机发光元件的制造方法、有机发光元件、发光装置、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6082907B2 (ja) * 2012-02-17 2017-02-22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51103B1 (ko) 2012-11-07 2019-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991490B2 (ja) * 2013-03-22 2016-09-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191287B2 (ja) * 2013-07-05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5072751A (ja) * 2013-10-01 2015-04-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CN103500764B (zh) * 2013-10-21 2016-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阵列基板、显示器
US9698204B2 (en) * 2013-12-06 2017-07-04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substrate, photovoltaic cell, display device, ligh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emitting substrate
JP6389044B2 (ja) * 2013-12-26 2018-09-12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の設計方法
US9431463B2 (en) * 2014-04-30 2016-08-30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GB201420452D0 (en) * 2014-11-18 2014-12-31 Mled Ltd Integrated colour led micro-display
CN104882468B (zh) * 2015-06-09 2017-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2017026973A (ja) * 2015-07-28 2017-02-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5118928B (zh) * 2015-07-29 2018-0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其制作方法、oled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70028464A (ko) * 2015-09-03 2017-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210798B2 (en) * 2016-07-04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982A (ja) * 2002-06-11 2004-01-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半導体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248444A (ja) * 2002-11-18 2003-09-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91466A (ja) * 2010-05-07 2010-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基板
KR20150004974A (ko) * 2013-07-03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069861A (ja) * 2013-09-30 2015-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58A (ko) * 2017-10-12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55563B2 (en) 2017-10-12 2022-06-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low refractive index layers
US10748975B2 (en) 2018-07-27 2020-08-1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26240A (zh) 2017-08-08
JP2017117787A (ja) 2017-06-29
CN107026240B (zh) 2019-01-15
EP3185326B1 (en) 2020-04-29
EP3185326A1 (en) 2017-06-28
US10566576B2 (en) 2020-02-18
JP6501748B2 (ja) 2019-04-17
US20170179437A1 (en) 2017-06-22
KR102416470B1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470B1 (ko) 광효율 향상을 위한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US2018035858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08987450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48956B1 (ko)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이용한 멀티비젼 표시장치
US9614014B2 (en) Display device
US11025895B2 (en) Directional pixel array for multiple view display
JP6170421B2 (ja) 有機el表示装置
US11402689B2 (en) Mixed-format backlight, display, and method
JP2020184481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20121301A1 (en) Display device
CN113260903A (zh) 具有动态颜色子像素重映射的多视图显示器、系统和方法
JP2022046696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569483B2 (en) Display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US7615920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2248453A (ja) 表示装置
KR2020009736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025742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185996A (zh) 显示装置
JP6318693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00039057A (ko) 표시 장치
JP4525007B2 (ja) 表示装置
KR20160038628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7047811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224096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449069B1 (ko) 반사도가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