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835A -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835A
KR20170072835A KR1020170038754A KR20170038754A KR20170072835A KR 20170072835 A KR20170072835 A KR 20170072835A KR 1020170038754 A KR1020170038754 A KR 1020170038754A KR 20170038754 A KR20170038754 A KR 20170038754A KR 20170072835 A KR20170072835 A KR 20170072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haft
step motor
cover
linear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733B1 (ko
Inventor
윤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럽
Publication of KR2017007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93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ith an integrated touc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4Tou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렌지와 가스보일러 및 가스스토브용 터치조작에 따른 가스량의 분출량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밸브와 스마트 컨트롤러를 간편하게 연결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듈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프론트 판넬, 또는 리모트 콘트롤에 형성되어있는 터치식 조정에 의해 가스의 점화 및 화력조정과 소화시 밸브를 자동으로 열고 닫고를 할 수 있는 초미세 가스용 조절 미터링 밸브(FINE MITERING VELVE)와 리니어 스텝모터와 이를 연계 구동시킬 수 있는 CPU 컨트롤러를 연결지어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ELECTRIC BURNER CONTROL DEVICE FOR GAS RANGE}
본 발명은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터치 패널에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가스 기기의 화력조절 및 점화, 소화를 컨트롤할 수 있는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섬세하고 일정함을 유지하며 세분화된 화력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점에 집중한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가스레인지나 스토브의 화력조절장치 구조는 누름레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기기를 사용하는 형태이므로, 조작이 복잡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가스 기기는 수동손잡이를 눌러 돌려서 점화시키고 다시 노브를 돌려서 화력의 세기를 3단계 정도로만 조정이 되는 방식이므로, 수동노브를 통한 화력조절의 불안정성과, 단계 외의 화력을 원할때 조정이 용이롭지 못한점이 있었고, 매번 가스량이 동일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보다 더 섬세하고 일정함을 유지하며 세분화된 화력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13218(1999.04.15.공개) 국내 특허공보 제10-1017293호(2009.11.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동 노브를 통한 화력 조절의 불안정성과 단계 외의 화력을 원할 때 조정이 용이롭지 못한 점, 매번 가스량이 동일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동에서 벗어나 터치패널의 조정아이콘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항상 원하는 화력과 가스유입량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빠르고 안전하게 벨브를 스스로 개폐시키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와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이고 이 장치를 적용한 새로운 제품뿐 아니라, 기존의 제품에도 추가로 장착이 가능하기에 신규 기기로 교체하는 비용을 절감하면서 제품의 품질을 고품격으로 높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에 환경보호 및 쓰레기 절감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면에 있어서 매우 큰 만족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파인 미터링 벨브를 형성하는 하우징내에 가스의 유입구와 분출구 사이에 스텝핑모터와 개폐 공이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섬세 단계 조정을 일정하면서도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전진과 후진을 하며, 사용자에 의한 소화 명령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강제소화 조건시에도 재빨리 솔 벨브를 차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수동조절에 의한 불안한 가스유입량이나 화력크기 조절실패에 따른 수동 재점화등의 불필요한 동작을 절감시키고 온수 사용시 사용량과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는 자동화력 조절기능이며 이는 기존의 비례조절 벨브보다 더욱 미세하고 정확하게끔 오리피스의 구경을 제어한다는 장점을 지니므로 본 고안의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가스 레인지와 가스보일러,가스 스토브 전체의 부가가치를 한차원 더 올려줌으로써 제품의 상품성과 품질성이 더욱 높아지고 안전성 및 신뢰성 등의 향상을 이룰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가스렌지의 화구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전기식으로 제어하는 화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력조절장치는,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와 샤프트 커버(500) 및 가스 제어부 커버(600), 상기 가스 제어부 커버(6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700), 및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는, 중심축이 축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동작을 하는 리니어 스텝모터(310)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커버(500)는,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을 하며, 선단부에 일정한 경사의 노치(410)가 형성된 샤프트(400)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제어부 커버(6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면에는 가스 입구(100)가 형성되고, 어느 한 측면에는 가스 토출구(200)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 입구(100)와 대응되는 타면에는 가스 이동관(21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가스 이동관(210)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 입구(100)와 연결되는 직선의 이동통로인 가스 제어부 챔버(6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 제어부 챔버(610)는 상기 가스 토출구(200)의 이동통로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스 입구(100)와 가스 토출구(200)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00)는, 상기 가스 입구(100)와 상기 가스 제어부 챔버(610)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되어 전기적인 동작에 의해 가스의 이동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상기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는,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동작과 전진 및 후퇴 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에서,
상기 샤프트(400)는,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을 하며, 상기 가스 이동관(210)을 따라 가스 제어부 챔버(610)로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에서,
상기 샤프트(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치(410)는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의 오리피스 구경이 가스가 토출되는 오리피스 구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에서,
상기 샤프트(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치(410)는 V자 또는 U자 계곡의 형태로서 상기 샤프트(400)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의 방향으로 깊이와 폭이 일정하게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에서,
상기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는, 화구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점화장치를 동작시키는 점화스위치(812)와,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샤프트(40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가스량을 조절하는 화력조절스위치(813)가 정전식 또는 압력식 버튼으로 구현된 컨트롤패널(8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있는 스텝모터와 연계된 원통형 노치 샤프트(400)에 화력 조절의 섬세량을 결정하는 노치(410)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스텝모터가 전진과 후진을 할때 단계별로 항상 같은 양의 가스가 들고 날수 있도록 회전에 따른 홈의 각도와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가스 기기(가스레인지, 가스 온수 보일러, 가스 스토브등,,) 뿐 아니라 기존에 생산된 기기들에까지 적용이 가능한 것이기에 전체 기기들의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제품의 상품성과 품질성, 나아가 안전성까지 확보됨은 물론이고, 한정된 지구자원의 절감이라는 부차적인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화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 결합도.
도 3은 화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상부 결합도.
도 4는 화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전면 결합도.
도 5는 화력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진.
도 6과 7은 화력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8과 9는 화력조절장치의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 내지 12는 샤프트의 위치에 따른 가스량의 조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컨트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버튼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는 화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 결합도, 도 3은 화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상부 결합도, 도 4는 화력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전면 결합도, 도 5는 화력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진, 도 6과 7은 화력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8과 9는 화력조절장치의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 내지 12는 샤프트의 위치에 따른 가스량의 조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컨트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스테퍼 모터 커버(300)내에 스테퍼 모터와 연계된 공이, 즉 원통형 노치 샤프트(400)가 자리하고 있는데 스테퍼 모터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원통형의 shaft도 같이 움직이면서 가스 입구(100)량을 스탭모터의 회전에 따라 오리피스의 정밀궤도를 조정하여 가스량을 조정한 후 가스 토출구(200)을 통해 방출시키는 구조로써, 초미세 조정이 가능한것은 원통형에 노치를 두어 각도와 깊이에 따른 폭을 조절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가스량이 통과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가스 유입량에 따라 노치는 한 개 또는 두개 이상의 자리를 가질수 있어서 주방용 가스기기 부터 보일러, 혹은 스토브와 같은 대용량의 가스 기기 장치에도 모두 적용이 손쉽도록 한 것인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위와 같이 구성된 AGV와 이를 제어하고 조정하고 명령을 전달해주는 전기식 초미세 가스 조절 미터링 밸브 컨트롤러(800)를 함께 연결하고 구성시켜 모듈화를 이룸으로써, 어느 기종의 기기든 종류나 용량에 관계없이 초미세 조정장치가 장착된 전자식 기기로 거듭날 수 있도록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부여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력조절장치(10)는 가스가 인입되어 인출되는 통로와, 가스 통로를 개폐하는 수단과, 개폐 수단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화력조절장치(10)는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 샤프트 커버(500) 및 가스 제어부 커버(600)와, 가스 제어부 커버(6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700)로 이루어진다. 화력조절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는다.
가스 제어부 커버(6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구조물로서, 일면에 가스 입구(100)가 형성되고, 어느 한 측면에 가스 토출구(200)가 형성된다. 또한, 가스 입구(100)와 대응되는 타면에는 가스 이동관(21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단이 가스 이동관(210)과 연통되고 타단이 가스 입구(100)와 연결되는 직선의 이동통로인 가스 제어부 챔버(610)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제어부 챔버(610)는 가스 토출구(200)의 이동통로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가스 입구(100)와 가스 토출구(200)를 서로 연통시키며, 도시가스배관이나 가스봄베 등에서 공급된 가스가 가스 입구(100)를 통해 유입되어 가스 토출구(200)를 통해 유출된다. 유출된 가스는 화구로 이동하여 점화된다.
샤프트(400)의 선단부는 가스 제어부 챔버(610)의 일단을 통해 챔버내로 출입하며, 가스 제어부 챔버(610)의 타단은 가스 입구(100)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제어부 챔버(610)와 가스 토출구(200)는 직선의 이동통로로, 두 개의 이동통로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700)는 가스 입구(100)와 가스 제어부 챔버(610)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 이동통로를 막거나 여는 기능을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700)는 가스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정전이나 비상시에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가스 제어부 커버(600)의 타면, 즉 가스 입구(100)가 형성된 일면에 대응되는 면에는 가스 이동관(210)이 형성되되, 가스 제어부 챔버(610)와 일직선상에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가스 이동관(210)이 형성된 가스 제어부 커버(600)의 타면의 외측에는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가 설치되는데, 이 안에는 리니어 스텝모터(310)가 설치된다.
리니어 스텝모터(310)는 제1나사체결부(320), 제2나사체결부(330), 제3나사체결부(340)에 체결된 나사로 인해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에 고정된다.
리니어 스텝모터(310)는 중심축이 정해진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동작을 하는 구동수단이다. 본 발명의 리니어 스텝모터(310)는 수 ㎜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정밀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가스량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중심축에는 샤프트(400)가 설치된다. 샤프트(400)는 체결 수나사(420)에 의해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중심축에 고정된다. 그리고 샤프트(400)의 선단부 표면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노치(홈; 410)가 형성된다. 샤프트(400)는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전진 또는 후퇴 동작에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 운동을 하며, 가스 이동관(210)을 따라 가스 제어부 챔버(610)로 출입한다.
샤프트(400)의 위치에 따른 가스량 조절 메카니즘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와 가스 제어부 커버(600)의 사이에는 샤프트 커버(500)가 설치되어 샤프트(400)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샤프트 커버(500)의 내부에는 샤프트(400)가 자유롭게 전후진 이동을 할 수 있는 샤프트 챔버(510)가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샤프트 커버(500)는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 및 가스 제어부 커버(600) 중의 하나와 일체형으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700)는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열리거나 닫히는 밸브로서, 가스의 이동 통로를 원천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가스렌지의 동작을 조정한다. 가스 입구(100)는 솔레노이드 밸브 가스 입구(710)와 연통하여 외부의 가스가 솔레노이드 밸브(70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그리고 가스 제어부 챔버(610)는 솔레노이드 밸브 가스 토출구(720)와 연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700)에서 배출된 가스가 가스 토출구(2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선(730)은 솔레노이드 밸브(7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준다.
스텝모터 제어선(740)은 스텝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해준다.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선(730)과 스텝모터 제어선(740)은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에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전원을 주고받는다.
한편, 도 10 내지 12는 샤프트의 위치에 따른 가스량의 조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00)는 통상적으로 원통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선단부에는 노치(410)가 형성된다.
여기서, 노치(410)는 원통의 선단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절개한 것으로서, 원통의 측면까지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다. 노치(410)는 원통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의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직선의 V자 또는 U자 계곡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노치(410)는 후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깊이와 폭이 일정한 비율만큼 작아진다. 따라서 노치(410)는 선단부의 깊이가 가장 깊고,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깊이가 낮아져서 일정 거리가 지나면 노치(410)가 없어지는 구조로 만들어진다. 통상적으로는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동작 거리와 비슷한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노치(41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샤프트(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치(410)는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의 오리피스 구경이 가스가 토출되는 오리피스 구경보다 크다.
또한, 원통 형상의 샤프트(400)의 노치부가 가스 제어부 챔버(6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스의 이동이 차단되어 가스렌지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의 샤프트(400)만을 도시하였으나, 가스 제어부 챔버(610)의 모양이 원통 모양이 아닐 경우에는 샤프트(400)도 다른 모양이 될 수 있다.
선단부에 노치(410)가 형성된 샤프트(400)는 가스 이동관(210)을 통해 가스 제어부 커버(600)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샤프트(400)의 선단부는 가스 제어부 챔버(610)의 내부까지 들어간다.
가스렌지의 불이 꺼진 상태에서는 샤프트(400)의 선단부가 가스 제어부 챔버(610)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가 된다.(도 10 참조) 이때, 노치(410)가 돌출되지 않도록 선단부가 가스 토출구(200) 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샤프트(400)의 몸체가 가스 제어부 챔버(610) 및 가스 토출구(200)의 입구를 막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스의 이동이 차단되어 화구의 불이 꺼지게 된다.
사용자가 가스렌지를 켜기 위해 컨트롤패널(810)을 조작하면,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는 리니어 스텝모터(310)를 동작시켜 샤프트(400)를 후퇴시킨다.(도 11 참조) 샤프트(400)의 이동 거리는 정해진 화력에 맞춰서 달라지는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이동거리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샤프트(400)가 뒤로 후퇴하면서 노치(410) 부분이 가스 토출구(200)의 아래쪽까지 오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는 가스 제어부 챔버(610)와 가스 토출구(200)의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즉, 계곡 모양의 노치(410)로 인해 생긴 공간이 가스 제어부 챔버(610)와 가스 토출구(200) 사이의 가스 이동통로를 형성하면서 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구에 불이 붙어서 가스렌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샤프트(400)가 뒤로 더 후퇴하면 노치(410)의 깊이가 더 깊어지기 때문에 가스 제어부 챔버(610)와 가스 토출구(200) 사이의 가스 이동통로가 더 크게 형성된다.(도 12 참조) 이로 인해 가스의 이동량이 더 많아지고 화구의 불이 더 커지면서 화력이 세진다.
화구의 불을 줄일 때에는 리니어 스텝모터(310)가 전진하면서 샤프트(400)를 가스 제어부 챔버(610) 내부로 밀어넣으면서 노치(410)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한다. 불을 완전히 끌 때에는 샤프트(400)를 완전히 밀어넣어서 선단부의 노치(410)의 끝부분이 가스 토출구(200)를 지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사용자의 컨트롤패널(810) 조작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회전식 노브에 비해서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정밀한 회전동작과 샤프트(400)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가스량의 세밀하고도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동식 가스렌지에서도 노브와 전면 조작부만 제거하고, 본 발명의 화력조절장치(10)를 설치하면 전기식 제어가 가능한 가스렌지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컨트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14는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는 CPU에 의해 동작하며, DC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되도록 설계된다.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에는 온도센서와 진동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되어 과열 또는 지진 발생시에 솔레노이드 밸브(700) 및 리니어 스텝모터(310)를 동작시켜 가스의 완전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별도의 UI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스마트폰이나 홈 네트워킹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구비한다.
컨트롤패널(810)은 터치식 버튼을 구비한 입력수단으로서, 정전식 또는 압력식으로 가스렌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스위치(811)는 가스렌지를 온/오프시키는 버튼이며, 점화스위치(812)는 화구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불을 점화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점화스위치(812)를 누르면 정해진 양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리니어 스텝모터(310)가 동작하면서 화구 인접한 곳에 설치된 점화장치(Igniter)가 동작한다.
화력조절스위치(813)는 샤프트(400)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리니어 스텝모터(310)를 제어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누르는 만큼 샤프트(400)의 위치가 변하면서 가스량이 달라진다. 이로 인해 화력이 세밀하게 조정된다.
타이머선택스위치(814)는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후에 불이 꺼지도록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정해진 시간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 밸브(700) 및 리니어 스텝모터(310)가 불이 꺼지도록 동작한다.
화력표시부(815, 816)는 현재 불꽃의 화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화구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두 개의 화력표시부(815, 816)가 좌우에 배치되도록 표현하였다. 화력표시부(815, 816)는 화구의 수나 배치와 동일한 수와 배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0 : 가스 입구 200 : 가스 토출구
210 : 가스 이동관 300 :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
310 : 리니어 스텝모터 320 : 제1나사체결부
330 : 제2나사체결부 340 : 제3나사체결부
400 : 샤프트 410 : 노치
420 : 체결 수나사 500 : 샤프트 커버
510 : 샤프트 챔버 600 : 가스 제어부 커버
610 : 가스 제어부 챔버 700 : 솔레노이드 밸브
710 : 솔레노이드 밸브 가스 입구 720 : 솔레노이드 밸브 가스 토출구
730 : 솔레노이드 밸브 전원선 740 : 스텝모터 제어선
800 :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 810 : 컨트롤패널
811 : 전원스위치 812 : 점화스위치
813 : 화력조절스위치 814 : 타이머선택스위치
815, 816 : 화력표시부

Claims (5)

  1. 가스렌지의 화구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전기식으로 제어하는 화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력조절장치는,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와 샤프트 커버(500) 및 가스 제어부 커버(600), 상기 가스 제어부 커버(6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700), 및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 커버(300)는, 중심축이 축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동작을 하는 리니어 스텝모터(310)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커버(500)는,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을 하며, 선단부에 일정한 경사의 노치(410)가 형성된 샤프트(400)가 구비되며,
    상기 가스 제어부 커버(6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면에는 가스 입구(100)가 형성되고, 어느 한 측면에는 가스 토출구(200)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 입구(100)와 대응되는 타면에는 가스 이동관(21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가스 이동관(210)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가스 입구(100)와 연결되는 직선의 이동통로인 가스 제어부 챔버(6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 제어부 챔버(610)는 상기 가스 토출구(200)의 이동통로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스 입구(100)와 가스 토출구(200)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00)는, 상기 가스 입구(100)와 상기 가스 제어부 챔버(610)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되어 전기적인 동작에 의해 가스의 이동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상기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는,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동작과 전진 및 후퇴 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0)는,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는 동작을 하며, 상기 가스 이동관(210)을 따라 가스 제어부 챔버(610)로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치(410)는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의 오리피스 구경이 가스가 토출되는 오리피스 구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노치(410)는 V자 또는 U자 계곡의 형태로서 상기 샤프트(400)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의 방향으로 깊이와 폭이 일정하게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식 화력조절 컨트롤러(800)는, 화구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점화장치를 동작시키는 점화스위치(812)와, 상기 리니어 스텝모터(3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샤프트(40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키면서 가스량을 조절하는 화력조절스위치(813)가 정전식 또는 압력식 버튼으로 구현된 컨트롤패널(8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KR1020170038754A 2015-01-21 2017-03-27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KR101921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0499 2015-01-21
KR2020150000499 2015-01-2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54A Division KR101796097B1 (ko) 2015-01-21 2015-04-10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35A true KR20170072835A (ko) 2017-06-27
KR101921733B1 KR101921733B1 (ko) 2018-11-23

Family

ID=566177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54A KR101796097B1 (ko) 2015-01-21 2015-04-10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KR1020170038754A KR101921733B1 (ko) 2015-01-21 2017-03-27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54A KR101796097B1 (ko) 2015-01-21 2015-04-10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796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18B1 (ko) 2016-08-23 2019-03-11 윤진웅 가스렌지용 이중 화력조절장치
CN107753236A (zh) * 2017-11-21 2018-03-06 广东银狐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牙科椅用的水电气总开关
WO2019164030A1 (ko) * 2018-02-22 2019-08-29 윤진웅 가스렌지용 이중 화력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539A (ja) * 2004-10-15 2006-04-27 Sumitomo Chemical Co Ltd 流量制御弁
KR100896881B1 (ko) 2007-10-31 2009-05-12 동양매직 주식회사 플러그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733B1 (ko) 2018-11-23
KR101796097B1 (ko) 2017-11-09
KR20160090228A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733B1 (ko)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JP2003074837A (ja) ガス燃焼器具
CA2278560C (en) High turndown modulating gas burner
JP2016205746A (ja) ガスコンロにおける火力調節装置
JP5587939B2 (ja) 炊飯機能付きガスコンロ
JP6919893B2 (ja) ガスコンロ
JP2003083537A (ja) ガス燃焼器具
JP6005080B2 (ja) 火力調節装置
JP2019039647A (ja) ガスコンロ
KR101123848B1 (ko) 자동 혼합기 조절장치가 마련된 가스버너
JP5080836B2 (ja) グリル装置
JP5806162B2 (ja) 火力調節装置及びガス加熱調理器
JP4010990B2 (ja) ガスバルブ
JP4901223B2 (ja) ガス調理器
KR200414662Y1 (ko) 음식점용 가스렌지
US2733760A (en) Gas burner ignition system
TW201915370A (zh) 多出氣口栓塞安全閥
KR20150107195A (ko) 가스콕 장치
KR200321042Y1 (ko) 음식점용 가스렌지
US3391867A (en) Control system and parts therefor or the like
JPH08219463A (ja) コンロ用ガス制御装置
JPH01127854A (ja) 暖房機
KR940007898B1 (ko) 액화석유가스용 풍로의 자동화력 조절장치
KR100282647B1 (ko) 온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구이용 가스기구
JP4880311B2 (ja) ガス流量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