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59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598A
KR20170064598A KR1020150169909A KR20150169909A KR20170064598A KR 20170064598 A KR20170064598 A KR 20170064598A KR 1020150169909 A KR1020150169909 A KR 1020150169909A KR 20150169909 A KR20150169909 A KR 20150169909A KR 20170064598 A KR20170064598 A KR 20170064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hole
lines
gate
dat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563B1 (ko
Inventor
류승석
이세응
박찬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63B1/ko
Priority to US15/340,396 priority patent/US9940888B2/en
Priority to CN201611095467.4A priority patent/CN106814514B/zh
Publication of KR2017006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기판, 오픈 홀, 제1 신호 라인들, 제2 신호 라인들을 포함한다. 기판은 액티브 영역, 베젤 영역, 오픈 홀 영역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구비된다. 베젤 영역은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정의된다. 오픈 홀 영역은 액티브 영역의 내측에 정의되며, 액티브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오픈 홀은 오픈 홀 영역에 구비되며, 오픈 홀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들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한다. 제2 신호 라인들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한다. 오픈 홀 영역은 제1 오픈 홀 영역과 제2 오픈 홀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오픈 홀 영역에는 제1 신호 라인들만이 배열된다. 제2 오픈 홀 영역에는 제1 신호 라인들과 교차하는 제2 신호 라인들이 배열된다. 제1 오픈 홀 영역은 오픈 홀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2 오픈 홀 영역은 제1 오픈 홀 영역의 외측에서 오픈 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티브 영역 내에 오픈 홀을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이 있다.
표시장치는 얇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정보 처리기에서 표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Portable) 혹은 모바일(Mobile) 기기에서는 더욱 얇고, 더 가벼우며, 전력 소비가 작은 표시 패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 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의 구조적인 변형이 요구되고 있다.
구조적으로 변형된 표시장치들은 기존의 표시장치들과는 형상을 달리하기 때문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구조물들의 배치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변형된 표시장치들에서는 기존의 표시장치와는 다른 라인 배열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즉, 변형된 표시장치의 특성에 맞게 배열되되, 서로 다른 신호(또는, 전압)가 인가되는 각 신호 라인들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신규한 라인 배열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픈 홀을 우회하는 신규한 라인 배열 구조를 적용하여 이웃하는 라인간의 신호 간섭을 줄이면서도 오픈 홀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기판, 오픈 홀, 제1 신호 라인들, 제2 신호 라인들을 포함한다. 기판은 액티브 영역, 베젤 영역, 오픈 홀 영역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구비된다. 베젤 영역은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정의된다. 오픈 홀 영역은 액티브 영역의 내측에 정의되며, 액티브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오픈 홀은 오픈 홀 영역에 구비되며, 오픈 홀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1 신호 라인들은 픽셀들에 제1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한다. 제2 신호 라인들은 픽셀들에 제2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한다. 이때, 오픈 홀 영역은 제1 오픈 홀 영역 및 제2 오픈 홀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오픈 홀 영역에는 제1 신호 라인들만이 배열된다. 제2 오픈 홀 영역에는 제1 신호 라인들과 교차하는 제2 신호 라인들이 배열된다. 제1 오픈 홀 영역은 오픈 홀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2 오픈 홀 영역은 제1 오픈 홀 영역의 외측에서 오픈 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구동회로, 게이트 구동회로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은 픽셀들을 구획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픽셀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게이트 라인들을 통해 픽셀들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 중 어느 하나는 제1 신호 라인들이고, 다른 하나는 제2 신호 라인들이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데이터 라인들, 수직 게이트 라인들, 수평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구동회로, 게이트 구동회로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들, 수직 게이트 라인들, 및 수평 게이트 라인들은 픽셀들을 구획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픽셀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수직 게이트 라인들을 통해 픽셀들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한다. 좌우로 이웃하는 제1 픽셀 및 제2 픽셀 사이의 제1 컬럼 경계부에는 두 개의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되고, 좌우로 이웃하는 제2 픽셀 및 제3 픽셀 사이의 제2 컬럼 경계부에는 하나의 수직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며, 수평 게이트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들을 통해 수직 게이트 라인에 1:1로 연결된다. 이때, 데이터 라인들 및 수직 게이트 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신호 라인들이고, 다른 하나는 제2 신호 라인들이다.
제1 신호 라인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이웃하는 제1 신호 라인과 제2 신호 라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좁다.
제2 신호 라인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이웃하는 제1 신호 라인과 제2 신호 라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좁다.
본 발명은 오픈 홀을 우회하는 신규한 라인 배열 구조를 적용하여 이웃하는 라인간의 신호 간섭을 줄이면서도 오픈 홀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휘도 불균일 등에 의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비 표시 영역인 오픈 홀 영역의 면적을 줄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오픈 홀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신호 라인들이 오픈 홀을 단순 우회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R1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셀 어레이의 일부를 보여 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픈 홀 영역 몇 오픈 홀 영역을 가로지르는 신호 라인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패널에 연결된 COF를 확대하여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셀 어레이의 일부를 보여 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픈 홀 영역 몇 오픈 홀 영역을 가로지르는 신호 라인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양자점 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QDD) 등의 표시장치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장치가 액정 표시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 알려져 있는 모든 액정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투과형 표시장치, 반투과형 표시장치, 반사형 표시장치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오픈 홀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표시장치는 그 응용 분야가 다양해 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그 일환으로, 표시장치에는 표시 장치를 관통하는 오픈 홀(HL)이 가공될 필요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액티브 영역(AA)과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베젤 영역(NA)이 정의된 기판(1)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A)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영역으로, 서로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베젤 영역(NA)은 액티브 영역(AA)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여러 구동 소자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베젤 영역(NA)은 액티브 영역(AA) 내의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픽셀 구동부(IC)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구동부(IC)는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Data Driving Integrated Circuit)와,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Gate Driving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홀 영역(HLA)이 정의된다. 오픈 홀 영역(HLA)은 픽셀들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오픈 홀 영역(HLA)은 액티브 영역(AA)의 중심부는 물론, 액티브 영역(AA)의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오픈 홀 영역(HLA)이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픈 홀 영역(HLA)의 평면 형상은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신호 라인들의 배열 패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오픈 홀 영역(HL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홀(HL)이 구비될 수 있다. 오픈 홀(HL)은 액티브 영역(AA)의 내측에서 기판(1)을 관통하는 홀을 의미한다. 오픈 홀(HL)의 평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을 포함하는 평면 도형 형상일 수 있다. 즉, 오픈 홀(HL)은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픈 홀 영역(HLA)에는,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실런트(sealant)(SSL, 도 2)가 도포된다. 실런트(SSL, 도 2)는 표시장치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런트(SSL, 도 2)는 오픈 홀(HL)과,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신호 라인들 사이에 배치된다.
액티브 영역(AA)에는 픽셀들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또는, 전압)들이 인가되는 신호 라인들이 배치된다. 오픈 홀(HL)과 이웃한 신호 라인들은 오픈 홀(HL)을 지나 다른 픽셀들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배치된다.
즉, 액티브 영역(AA)에 오픈 홀(HL)이 없는 경우, 서로 다른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라인들은 어느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면 충분하다. 다만, 액티브 영역(AA)에 오픈 홀(HL)이 형성된 경우, 신호 라인들은 오픈 홀(HL)을 우회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와는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신호 라인들이 오픈 홀을 단순 우회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R1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들은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다. 게이트 라인(G1 내지 G6)들 각각은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은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오픈 홀(HL)의 형상을 따라 배열된다.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 각각은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된다.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은 일부 영역에서 서로 교차되나,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기 때문에 단락(short circuit)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은 오픈 홀(HL)의 형상을 따라 배열되되, 오픈 홀(HL)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오픈 홀(HL)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이웃하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기생 용량이 발생한다.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의 기생 용량에 기인하여, 휘도 불균일 등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의 기생 용량이 증가하면, 신호 간섭에 의한 RC 딜레이(RC delay)가 발생한다. 이는 특정 픽셀에 원하는 레벨 만큼의 전압 충전을 어렵게 한다. 다시 말해, 이웃하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의 기생 용량에 기인하여, 특정 픽셀의 휘도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은 오픈 홀(HL)의 형상을 따라 우회하며, 일부 영역(R)에서 서로 나란하게 진행한다.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이 나란하게 진행하는 일부 영역(R)에서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의 수평 방향으로의 중첩 면적이 넓기 때문에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의 기생 용량이 증가한다. 기생 용량은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이 인접 배치됨에 따라 더욱 증가한다.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의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은 일정 간격(L1)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들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 사이마다 소정의 간격(L1)만큼 이격시키는 경우, 오픈 홀 영역(HLA)의 전체 면적이 증가한다. 오픈 홀 영역(HLA)은 입력 영상이 구현되지 않는 비 표시 영역이다. 즉, 오픈 홀 영역(HLA)에는 픽셀들이 구비되지 않으며, 오픈 홀(HL)을 따라 우회하는 신호 라인들만이 배치된다. 입력 영상이 구현되는 액티브 영역(AA) 내에 비 표시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이는 사용자에게 명확히 인지되어 표시장치의 심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픈 홀 영역(HLA)에서 게이트 라인(G1 내지 G6)들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을 교번하여 배열하는 경우, 기생 용량에 기인한 표시 품질 저하 문제와, 오픈 홀 영역(HLA)이 차지하는 면적의 증가 문제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따라서, 오픈 홀 영역(HLA)의 면적을 넓히지 않으면서도, 게이트 라인(G1 내지 G6)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의 기생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신규한 라인 배열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오픈 홀 영역(HLA)에서, 제1 신호 라인들과 제2 신호 라인들이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기생 용량에 기인한 불량을 줄이면서도, 오픈 홀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라인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제2 신호 라인은 게이트 펄스가 인가되는 게이트 라인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신호 라인들과 제2 신호 라인들을 이분(二分)하여 분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는 제1 신호 라인들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는 제2 신호 라인들을 각각 제1 오픈 홀 영역과 제2 오픈 홀 영역에 분할 배치한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서로 교차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이거나,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오픈 홀 영역에 배열되는 제1 신호 라인들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제1 신호 라인들이 서로 단락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된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제2 오픈 홀 영역에 배열되는 제2 신호 라인들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제2 신호 라인들이 서로 단락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된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제1 오픈 홀 영역과 제2 오픈 홀 영역 사이에 정의된 경계선과 인접한 영역에서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이웃하여 나란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은 경계선과 인접한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의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양자를 기 설정된 거리 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경계선과 인접한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의 기생 용량에 기인한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인접한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사이의 기생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영역을 경계선 영역으로 한정시킴으로써 오픈 홀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픽셀 어레이 구조들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임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아래 실시예들은 제1 신호 라인들과 제2 신호 라인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픽셀 어레이들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PNL),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 TCON)(12)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PNL)은 액정셀(Clc)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PNL)에서 영상 데이터는 매트릭스 형태로 픽셀들이 배치된 픽셀 어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픽셀 어레이는 하부 기판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 어레이와, 상부 기판에 형성된 컬러필터 어레이를 포함한다. COT(Color filter on TFT) 공정을 이용하면, 컬러 필터는 하부 기판의 TFT 어레이에 형성될 수 있다.
TFT 어레이에는 수직 라인들과 수평 라인들을 포함한다. 수직 라인들은 표시패널(PNL)의 수직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평 라인들은 표시패널(PNL)의 수평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수직 라인들과 교차된다. 수직 라인들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데이터 라인들(DL)을 포함한다. 수평 라인들은 게이트 펄스가 인가되는 게이트 라인들(GL)을 포함한다.
TFT 어레이에서, 데이터 라인들(DL)과 게이트 라인들(GL)의 교차부마다 TFT들이 형성된다. 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액정셀(Clc)의 픽셀 전극(1)에 공급한다. 액정셀들(Clc) 각각은 TFT를 통해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는 픽셀 전극(1)과 공통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전극(2)의 전압차에 의해 구동된다. 액정셀(Clc)에는 액정셀의 전압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유지시키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접속된다. 표시패널(PNL)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드라이브 IC는 소스 드라이브 IC(SIC, 10_1)와 게이트 드라이브 IC(GIC, 10_2)를 포함하는 표시패널(PNL)의 구동회로이다. 소스 드라이브 IC(SIC)와 게이트 드라이브 IC(GIC)는 COF(Chip on film)와 같은 연성회로기판 상에 함께 실장될 수 있다. COF의 입력단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접합되고, COF의 출력단은 표시패널(PNL)의 하부 기판에 접합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브 IC(GIC)는 GIP(Gate-driver In Panel) 회로의 방식에 따라 표시패널(PNL)의 베젤 영역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SIC)는 타이밍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을 샘플링한 후에 래치(Latch)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소스 드라이브 IC(SIC)는 타이밍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ADC)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브 IC(GIC)는 타이밍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데이터 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펄스)를 제1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제n 게이트 라인까지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2)는 호스트 시스템(14)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드라이브 IC들(SIC)에 전송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2)는 호스트 시스템(14)으로부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CLK) 등의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타이밍 신호들은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된다. 타이밍 콘트롤러(12)는 타이밍 신호(Vsync, Hsync, DE, CLK)를 이용하여 소스 드라이브 IC들(SIC)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와, 게이트 드라이브 IC들(GIC)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호스트 시스템(Host System, SYSTEM)(14)은 텔레비젼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4)은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PNL)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4)은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타이밍 콘트롤러(12)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셀 어레이의 일부를 보여 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픈 홀 영역 몇 오픈 홀 영역을 가로지르는 신호 라인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 에서, 'D1~D9'는 데이터 라인들, 'G1~G6'는 게이트 라인들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T1' 및 'PIX1'은 각각 제1 픽셀(P1)의 TFT와 픽셀 전극을 의미하고, 'T2' 및 'PIX2'은 각각 제2 픽셀(P2)의 TFT와 픽셀 전극을 의미하며, 'T3' 및 'PIX3'은 각각 제3 픽셀(P3)의 TFT와 픽셀 전극을 의미한다.
제1 TFT(T1)는 제2 게이트 라인(G2)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3 데이터 라인(D3, D8)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제1 픽셀 전극(PIX1)에 공급한다. 제1 TFT(T1)는 제2 게이트 라인(G2)과 일체화된 게이트 전극, 제3 데이터 라인(D3)과 일체화된 드레인 전극, 및 제1 픽셀 전극(PIX1)에 연결된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TFT(T2)는 제2 게이트 라인(G2)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 라인(D2)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제2 픽셀 전극(PIX2)에 공급한다. 제2 TFT(T2)는 제2 게이트 라인(G2)과 일체화된 게이트 전극, 제2 데이터 라인(D2)과 일체화된 드레인 전극, 및 제2 픽셀 전극(PIX2)에 연결된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TFT(T3)는 제3 게이트 라인(G3)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 라인(D2)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제3 픽셀 전극(PIX3)에 공급한다. 제3 TFT(T3)는 제3 게이트 라인(G3)과 일체화된 게이트 전극, 제2 데이터 라인(D2)과 일체화된 드레인 전극, 및 제3 픽셀 전극(PIX3)에 연결된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픽셀 어레이에는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들이 더 구비되며, 공통전극은 픽셀 전극(PIX1, PIX2, PIX3)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들을 구동한다.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오픈 홀 영역(HL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홀(HL)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오픈 홀 영역(HLA)에 하나의 오픈 홀(HL)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오픈 홀 영역(HLA)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을 포함한다. 제1 오픈 홀 영역(HLA1)은 오픈 홀(HL)과 인접 배치된다. 제2 오픈 홀 영역(HLA2)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의 외측에 배치되며, 오픈 홀(HL)과 일정 거리 이격된다. 즉, 오픈 홀 영역(HLA)은 경계선(GDL)을 사이에 두고, 오픈 홀(HL)과 인접한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오픈 홀(HL)과 이격된 제2 오픈 홀 영역(HLA2)으로 구획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라인(D1 내지 D9)들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데이터 라인(D1 내지 D9)들과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G1 내지 G6)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전압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라인(D1 내지 D9)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단에 인가될 수 있다. 게이트 펄스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게이트 라인(G1 내지 G6)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단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오픈 홀 영역(HLA1)에는 데이터 라인(D3 내지 D8)들만이 배치된다.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D3 내지 D8)들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배치된다.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데이터 라인(D3 내지 D8)들은 서로 단락되지 않는 최소 간격(L2)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데이터 라인(D3 내지 D8)들 사이의 이격 거리(L2)는, 게이트 라인(G2 내지 G5)과 데이터 라인(D3 내지 D8) 사이의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확보해야 하는 이격 거리(L1)보다 짧다(도 6).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는 게이트 라인(G2 내지 G5)들이 배치된다.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라인(G2 내지 G5)들은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배치된다.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게이트 라인(G2 내지 G5)들은 서로 단락되지 않는 최소 간격(L3)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게이트 라인(G2 내지 G5)들 사이의 이격 거리(L3)는, 게이트 라인(G2 내지 G5)과 데이터 라인(D3 내지 D8) 사이의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확보해야 하는 이격 거리(L1)보다 짧다.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는 게이트 라인(G2 내지 G5)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D3 내지 D8)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차된다. 이때,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데이터 라인(D3 내지 D8)들과 게이트 라인(G2 내지 G5)들은 서로 교차될 뿐 나란하게 배열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D3 내지 D8)과 게이트 라인(G2 내지 G5) 사이의 기생 용량은 크지 않다(도 7).
도면에서는,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신호 라인들이 오픈 홀(HL)의 형상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신호 라인들은 오픈 홀(HL) 주위에서, 직선 또는 곡선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오픈 홀 영역(HLA1)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D3, D8)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의 가장 내측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3, G4)은, 일부 영역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즉,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 사이의 경계선(GDL)과 인접한 데이터 라인(D3, D8)과 게이트 라인(G3, G4)은 일부 영역에서 나란하게 배열된다. 경계선(GDL)과 인접한 데이터 라인(D3, D8)과 게이트 라인(G3, G4) 사이의 기생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계선(GDL)과 인접한 데이터 라인(D3, D8)과 게이트 라인(G3, G4)은 서로 일정 간격(L1) 이격되도록 배열한다.
본 발명에서 이웃하는 게이트 라인(G3, G4)과 데이터 라인(D3, D8)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영역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의 경계선(GDL)이 정의되는 영역 뿐이다. 즉, 게이트 라인(G1 내지 G6, 도 2)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도 2)들이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되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경우에 비해, 게이트 라인(G3, G4)과 데이터 라인(D3, D8)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영역이 상당수 줄어든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 사이의 경계선(GDL) 영역에서만 게이트 라인(G3, G4)과 데이터 라인(D3, D8)이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은 게이트 라인(G2 내지 G5)들과 데이터 라인(D3 내지 D8)들을 분할 배치함으로써, 게이트 라인(G3, G4)과 데이터 라인(D3, D8)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영역을 경계선(GDL) 영역으로 한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경계선(GDL)과 인접한 게이트 라인(G3, G4)과 데이터 라인(D3, D8) 사이에만 소정의 이격 거리(L1)를 확보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신호 라인들 사이의 기생 용량을 최소화하여 특정 픽셀에 원하는 레벨 만큼의 전압 충전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비 표시 영역인 오픈 홀 영역(HLA)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킨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오픈 홀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만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1 오픈 홀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는 게이트 라인만이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여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오픈 홀 영역에는 데이터 라인이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여 배치되며, 게이트 라인과 교차된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패널에 연결된 COF를 확대하여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PNL),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 DIC)(10),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 TCON)(12)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PNL)은 액정셀(Clc)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PNL)에서 영상 데이터는 매트릭스 형태로 픽셀들이 배치된 픽셀 어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픽셀 어레이는 하부 기판에 형성된 TFT 어레이와, 상부 기판에 형성된 컬러필터 어레이를 포함한다. COT(Color filter on TFT) 공정을 이용하면, 컬러 필터는 하부 기판의 TFT 어레이에 형성될 수 있다.
TFT 어레이에는 수직 라인들과 수평 라인들을 포함한다. 수직 라인들은 표시패널(PNL)의 수직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평 라인들은 표시패널(PNL)의 수평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수직 라인들과 교차된다. 수직 라인들은 데이터 라인들(DL), 및 수직 게이트 라인들(VGL)을 포함한다. 수평 라인들은 수직 게이트 라인들(VGL)을 통해 게이트 펄스가 인가되는 수평 게이트 라인들(HGL)을 포함한다. 수평 게이트 라인들(HGL)은 콘택홀들(CONT1, 도 10)을 통해 수직 게이트 라인들(VGL)과 1:1로 연결되어 수직 게이트 라인들(VGL)을 통해 게이트 펄스를 공급받는다.
TFT 어레이에서, 데이터 라인들(DL)과 수평 게이트 라인들(HGL)의 교차부마다 TFT들이 형성된다. TFT는 수평 게이트 라인(HGL)으로부터의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수직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액정셀(Clc)의 픽셀 전극(1)에 공급한다. 액정셀들(Clc) 각각은 TFT를 통해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는 픽셀 전극(1)과 공통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전극(2)의 전압차에 의해 구동된다. 액정셀(Clc)에는 액정셀의 전압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유지시키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접속된다. 표시패널(PNL)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드라이브 IC(10)는 소스 드라이브 IC(SIC)와 게이트 드라이브 IC(GIC)를 포함하는 표시패널(PNL)의 구동회로이다. 소스 드라이브 IC(SIC)와 게이트 드라이브 IC(GIC)는 COF와 같은 연성회로기판 상에 함께 실장될 수 있다. COF의 입력단은 PCB에 접합되고, COF의 출력단은 표시패널(PNL)의 하부 기판에 접합될 수 있다. COF에서, 소스 드라이브 IC(SIC)에 연결된 라인들(도 9, 점선)과 게이트 드라이브 IC(GIC)에 연결된 라인들(도 9, 실선)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그 라인들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된다.
소스 드라이브 IC(SIC)는 타이밍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을 샘플링한 후에 래치(Latch)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소스 드라이브 IC(SIC)는 타이밍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ADC)를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을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브 IC(GIC)는 타이밍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데이터 전압에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펄스)를 제1 수직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제n 수직 게이트 라인까지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모든 드라이브 IC들(DIC)이 표시패널(PNL)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된 COF에 형성되고, 수직 게이트 라인들(HGL)을 통해 수평 게이트 라인들(HGL)에 게이트 펄스가 인가된다. 따라서, 표시패널(PNL)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IC가 접합되거나 내장될 필요가 없고, 표시패널(PNL)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수평 게이트 라인들(HGL)과 게이트 드라이브 IC를 연결하는 라우팅(routing) 라인들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표시패널(PNL)에서 COF와 연결된 일측의 베젤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베젤 영역의 폭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셀 어레이의 일부를 보여 주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픈 홀 영역 몇 오픈 홀 영역을 가로지르는 신호 라인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4 에서, 'D1~D8'은 데이터 라인들, 'VG1~VG4'는 수직 게이트 라인들, 'HG1~HG4'는 수평 게이트 라인들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평 방향에서 이웃한 픽셀들 사이에는 하나의 수직 게이트 라인(VG1~VG4)이 형성되거나 두 개의 데이터 라인들(D1~D6)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내지 제3 픽셀들(P1~P3)이 한 라인에 나란히 배치될 때 좌우로 이웃한 제1 픽셀과 제2 픽셀 사이의 제1 컬럼 경계부(CB1)에는 두 개의 데이터 라인들(D1, D2)이 형성된다. 이에 비하여, 좌우로 이웃한 제2 픽셀(P2)과 제3 픽셀(P3) 사이의 제2 컬럼 경계부(CB2)에는 하나의 수직 게이트 라인(VG2)이 형성된다. 수직 게이트 라인들(VG1~VG4)은 콘택홀들(CONT1)을 통해 수평 게이트 라인들(HG1~HG4)에 1:1로 연결된다. 수직 게이트 라인들(VG1~VG4)에는 TFT가 연결되지 않는다.
제1 픽셀(P1)의 TFT와 픽셀 전극을 각각 'T1' 및 'PIX1'이라 하고, 제2 픽셀(P)의 TFT와 픽셀 전극을 각각 'T2' 및 'PIX2'이라 할 때, 제1 및 제2 픽셀들(P1, P2)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픽셀(P1)의 TFT(T1)와 픽셀 전극(PIX1)은 제1 데이터 라인(D1)의 좌측에 배치된다. TFT(T1)는 제1 수평 게이트 라인(HG1)으로부터의 제1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1)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픽셀 전극(PIX1)에 공급한다. TFT(T1)는 제1 수평 게이트 라인(HG1)과 일체화된 게이트 전극, 제1 데이터 라인(D1)과 일체화된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PIX1)에 연결된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픽셀(P2)의 TFT(T2)와 픽셀 전극(PIX2)은 제2 데이터 라인(D2)의 우측에 배치된다. TFT(T2)는 제1 수평 게이트 라인(HG1)으로부터의 제1 게이트 펄스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 라인(D2)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압을 픽셀 전극(PIX2)에 공급한다. TFT(T2)는 제1 수평 게이트 라인(HG1)과 일체화된 게이트 전극, 제2 데이터 라인(D2)과 일체화된 드레인 전극, 및 픽셀 전극(PIX2)에 연결된 소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는 공통전압 공급 라인은 수평 게이트 라인(HG1~HG4)과 같은 게이트 금속으로 형성된다. 공통전압 공급 라인은 콘택홀을 통해 각 픽셀(P1, P2, P3)마다 형성된 공통전극에 연결되어 공통전압(Vcom)을 각 픽셀(P1, P2, P3)들에 분배한다. 공통전극은 픽셀 전극(PIX1, PIX2)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 분자들을 구동한다.
도 11 및 도 12를 더 참조하면, 오픈 홀 영역(HL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홀(HL)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오픈 홀 영역에 하나의 오픈 홀(HL)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오픈 홀 영역(HLA)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을 포함한다. 제1 오픈 홀 영역(HLA1)은 오픈 홀(HL)과 인접 배치된다. 제2 오픈 홀 영역(HLA2)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의 외측에 배치되며, 오픈 홀(HL)과 일정 거리 이격된다. 즉, 오픈 홀 영역(HLA)은 경계선(GDL)을 사이에 두고, 오픈 홀(HL)과 인접한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오픈 홀(HL)과 이격된 제2 오픈 홀 영역(HLA2)으로 구획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8) 및 수직 게이트 라인들(VG1 내지 VG4),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8) 및 수직 게이트 라인들(VG1 내지 VG4)과 서로 교차하는 수평 게이트 라인들(HG1 내지 HG4)을 포함한다. 데이터 전압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 라인(D1 내지 D8)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단에 인가될 수 있다. 게이트 펄스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게이트 라인들(VG1 내지 VG4)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단에 인가될 수 있다. 수평 게이트 라인들(HG1 내지 HG4)은 콘택홀들(CONT1, 도 10)을 통해 수직 게이트 라인들과 1:1로 연결되어 수직 게이트 라인들(VG1 내지 VG4)을 통해 게이트 펄스를 공급받는다.
제1 오픈 홀 영역(HLA1)에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만이 배치된다.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배치된다.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은 서로 단락되지 않는 최소 간격(L2)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 사이의 이격 거리(L2)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의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확보해야 하는 이격 거리(L1)보다 짧다.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이 배치된다.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은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배치된다.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은 서로 단락되지 않는 최소 간격(L3)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 사이의 이격 거리(L3)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의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확보해야 하는 이격 거리(L1)보다 짧다.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차된다. 이때,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과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은 서로 교차될 뿐 나란하게 배열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D1 내지 D6)과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 사이의 기생 용량은 크지 않다.
도면에서는,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신호 라인들이 오픈 홀(HL)의 형상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신호 라인들은 오픈 홀(HL) 주위에서, 직선 또는 곡선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서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8)들이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오픈 홀(HL)을 우회하는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은 제2 오픈 홀 영역에서 서로 교차되어 단락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과 연결되는 데이터 라우팅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우팅 라인들의 일측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CONT2)을 통해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과 연결된다. 데이터 라우팅 라인들의 타측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CONT3)을 통해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과 연결된다. 콘택홀들(CONT2, CONT3)은 오픈 홀 영역의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콘택홀들(CONT2, CONT3)은 오픈 홀 영역의 경계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라우팅 라인들은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오픈 홀(HL)을 우회하여 배치된다. 데이터 라우팅 라인들은 제2 오픈 홀 영역(HLA2)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과 교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데이터 라우팅 라인은, 데이터 라우팅 라인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D1 내지 D6)과 함께, 데이터 라인(D1 내지 D6)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수평 게이트 라인(HG1 내지 HG4)은 오픈 홀(HL)을 우회하지 않을 수 있다. 수평 게이트 라인(HG1 내지 HG4)은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으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펄스를 해당 픽셀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오픈 홀 영역(HLA)에는 픽셀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수평 게이트 라인(HG1 내지 HG4)이 오픈 홀 영역(HLA)을 지날 필요는 없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수평 게이트 라인(HG1 내지 HG4)이 오픈 홀 영역(HLA)에서 오픈 홀(HL)을 따라 우회하는 경우, 오픈 홀 영역(HLA)의 면적이 증가하여, 표시 장치의 심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오픈 홀 영역(HLA)을 향하는 수평 게이트 라인(HG1 내지 HG4)은 오픈 홀 영역(HLA)과 인접한 픽셀까지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오픈 홀 영역(HLA1)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D1, D6)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의 가장 내측에 배치된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은, 일부 영역에서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즉,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 사이의 경계선(GDL)과 인접한 데이터 라인(D1, D6)과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은 일부 영역에서 나란하게 배열된다. 경계선(GDL)과 인접한 데이터 라인(D1, D6)과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 사이의 기생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계선(GDL)과 인접한 데이터 라인(D1, D6)과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은 서로 일정 간격(L1) 이격되도록 배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과 데이터 라인(D1, D6)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영역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의 경계선(GDL)이 정의되는 영역 뿐이다. 즉, 게이트 라인(G1 내지 G6, 도 2)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도 2)들이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되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경우에 비해,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과 데이터 라인(D1, D6)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영역이 상당수 줄어든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제1 오픈 홀 영역(HLA1)과 제2 오픈 홀 영역(HLA2) 사이의 경계선(GDL) 영역에서만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과 데이터 라인(D1, D6)이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은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들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들을 분할 배치함으로써, 수직 게이트 라인(VG2, VG3)과 데이터 라인(D1, D6)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영역을 경계선(GDL) 영역으로 한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해, 경계선(GDL)과 인접한 수직 게이트 라인(VG1 내지 VG4)과 데이터 라인(D1 내지 D6) 사이에만 소정의 이격 거리(L1)를 확보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오픈 홀(HL)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신호 라인들 사이의 기생 용량을 최소화하여 특정 픽셀에 원하는 레벨 만큼의 전압 충전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비 표시 영역인 오픈 홀 영역(HLA)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킨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오픈 홀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만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1 오픈 홀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수직 게이트 라인만이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여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오픈 홀 영역에는 데이터 라인이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여 배치되며, 수직 게이트 라인과 교차된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최근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타입 및 자동차 계기판 등에 구비되는 표시장치(DP)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watch type), 글래스 타입(glass type)의 표시장치(DP)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DP)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 표시 영역 내에 구비되는 오픈 홀(HL)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DP)는 사용자의 옷에 고정되거나, 시계의 스트랩(strap)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 구조가 필요하다.
체결 구조는 액티브 영역(AA) 외부의 베젤 영역(NA)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구조적 제약, 설계상의 필요,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에 구비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기술적 사상은 액티브 영역(AA)내에 오픈 홀(HL)을 구비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타입의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와치 타입의 표시장치(D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치 타입의 표시장치(DD)는 표시장치(DD)의 전면(前面)에 구비되는 시계 바늘(100) 및 표시장치(DD)의 배면에 구비되는 시계 구동부(101)를 더 포함한다. 시계 바늘(100)과 시계 구동부(101)는, 오픈 홀(HL)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시계 바늘(100)은 오픈 홀(HL)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시침, 분침, 초침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 구동부(101)는 시계 바늘(100)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시계 바늘(100)은 시계 구동부(101)를 통해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동한다. 시계 구동부(101)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 타입의 표시장치(DD)는, 배터리를 통해 움직이는 쿼츠 무브먼트 방식(quartz movement type), 태엽을 이용하는 태엽 방식(manual winding watch), 시계 하우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오토메틱 방식(automatic type), 중력의 오차까지 계산하여 구동하는 뚜르비옹 방식(tourbillon type)으로 구동될 수 있다.
와치 타입의 표시장치(DD)는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부(201), 및 시계를 구동하기 위한 시계 구동부(101)를 각각 구비한다. 표시 패널 구동부(201)와, 표시 패널 구동부(201)는 별도로 동작한다. 시계 구동부(101)와 표시 패널 구동부(201)는 필요에 따라서 서로 연동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구분되어 별개로 동작한다. 따라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 등을 통한 콜(call) 송/수신, 메시지(message) 송/수신, 정보 송/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 구동부(201)를 통해 각 픽셀들이 구동한다. 이와 별도로 시계 바늘(100)은 시계 구동부(101)를 통해 상시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와치 타입의 표시장치(DD)는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픽셀을 구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DD)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AA : 액티브 영역 NA : 베젤 영역
HLA : 오픈 홀 영역 HLA1 : 제1 오픈 홀 영역
HLA2 : 제2 오픈 홀 영역 HL : 오픈 홀
GDL : 경계선

Claims (7)

  1. 복수의 픽셀들이 구비된 액티브 영역,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에 정의된 베젤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의 내측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홀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오픈 홀 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 홀;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는 제1 신호 라인들;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오픈 홀의 둘레를 따라 우회하는 제2 신호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오픈 홀 영역은,
    상기 제1 신호 라인들만이 배열되며, 상기 오픈 홀과 인접한 제1 오픈 홀 영역;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들과 교차하는 상기 제2 신호 라인들이 배열되며, 상기 오픈 홀과 이격된 제2 오픈 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을 구획하는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상기 픽셀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통해 상기 픽셀들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신호 라인들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신호 라인들인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을 구획하는 데이터 라인들, 수직 게이트 라인들, 및 수평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상기 픽셀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 및
    상기 수직 게이트 라인들을 통해 상기 픽셀들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를 더 포함하고,
    좌우로 이웃하는 제1 픽셀 및 제2 픽셀 사이의 제1 컬럼 경계부에 두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이 배치되고,
    좌우로 이웃하는 제2 픽셀 및 제3 픽셀 사이의 제2 컬럼 경계부에 하나의 상기 수직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며,
    상기 수평 게이트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들을 통해 상기 수직 게이트 라인에 1:1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수직 게이트 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신호 라인들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신호 라인들인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이웃하는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좁은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라인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이웃하는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제2 신호 라인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좁은 표시장치.
KR1020150169909A 2015-12-01 2015-12-01 표시장치 KR10247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09A KR102476563B1 (ko) 2015-12-01 2015-12-01 표시장치
US15/340,396 US9940888B2 (en) 2015-12-01 2016-11-01 Display device with signal lines detouring around opening inside display area
CN201611095467.4A CN106814514B (zh) 2015-12-01 2016-12-0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09A KR102476563B1 (ko) 2015-12-01 2015-12-01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598A true KR20170064598A (ko) 2017-06-12
KR102476563B1 KR102476563B1 (ko) 2022-12-12

Family

ID=5877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09A KR102476563B1 (ko) 2015-12-01 2015-12-0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0888B2 (ko)
KR (1) KR102476563B1 (ko)
CN (1) CN106814514B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0661A (zh) * 2017-08-18 2017-11-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电子设备
WO2019199139A1 (ko) * 2018-04-13 2019-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홀 영역을 우회하는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226027A1 (en) * 2018-05-25 2019-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can driver for driving display panel in which empty area enclosed by display area is formed
CN110797373A (zh) * 2018-08-02 2020-02-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1142296A (zh) * 2018-11-02 2020-05-1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
KR20200063377A (ko) * 2018-11-27 2020-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818874B2 (en) 2018-01-08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0910461B2 (en) 2018-07-03 2021-02-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916595B2 (en) 2018-07-06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035655A (ko) * 2019-09-24 2021-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978666B2 (en) 2018-01-08 2021-04-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1093059B2 (en) 2018-10-05 2021-08-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14523B2 (en) 2018-11-30 2021-09-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127931B2 (en) 2018-09-28 2021-09-21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US11152449B2 (en) 2018-11-30 2021-10-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US11250776B2 (en) 2017-12-22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82420B2 (en) 2018-11-29 2022-03-2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21682A (ko) * 2015-06-11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계
US12004390B2 (en) 2018-10-23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uxiliary pixel near through-h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36B1 (ko) * 2015-01-27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사각형 디스플레이
KR102483956B1 (ko) 2016-03-31 2023-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033601B (zh) * 2017-07-05 2021-06-29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基板和显示装置
CN107329397B (zh) * 2017-07-26 2023-06-2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轻智能手表校准方法、装置和轻智能手表
CN107247356A (zh) * 2017-07-31 2017-10-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面板和电子设备
CN107689196A (zh) * 2017-09-05 2018-02-13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一种amoled显示屏及其布线方法
JP7002908B2 (ja) * 2017-10-13 2022-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938879B1 (ko) 2017-10-27 2019-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90206894A1 (en) * 2017-12-28 2019-07-04 a.u. Vista Inc. Display systems with non-display areas
CN110034152B (zh) * 2018-01-12 2023-08-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190087B (zh) 2018-02-22 2021-08-2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JP2019160174A (ja) * 2018-03-16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CN108449450B (zh) * 2018-03-26 2020-01-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以及电子装置
CN108873512B (zh) * 2018-06-06 2021-04-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873515B (zh) * 2018-06-19 2021-04-0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873518A (zh) * 2018-06-26 2018-11-2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847415B (zh) * 2018-06-29 2020-08-1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栅极驱动电路以及显示面板
CN108806513B (zh) * 2018-06-29 2021-06-2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806503B (zh) * 2018-06-29 2020-07-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735094A (zh) * 2018-07-25 2018-11-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KR102516058B1 (ko) * 2018-08-17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US10852607B2 (en) 2018-08-21 2020-12-01 Apple Inc.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US11852938B2 (en) 2018-08-21 2023-12-26 Apple Inc.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JP7132032B2 (ja) * 2018-08-23 2022-09-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9119447B (zh) * 2018-08-29 2020-11-1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54579B1 (ko) * 2018-09-06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9064902B (zh) * 2018-09-20 2020-12-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53262B1 (ko) 2018-10-16 2024-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구부가 형성된 터치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93535B1 (ko) 2018-10-26 2023-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65161A (ko) * 2018-11-29 2020-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66505A (ko) * 2018-11-30 2020-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066502A (ko) * 2018-11-30 2020-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066473A (ko) * 2018-11-30 2020-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66503A (ko) * 2018-11-30 2020-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102582641B1 (ko) * 2018-11-30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191670B2 (ja) * 2018-12-17 2022-12-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KR20200088930A (ko) * 2019-01-15 2020-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817143B (zh) * 2019-01-30 2022-05-0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703370B (zh) * 2019-02-22 2020-09-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陣列基板
KR20200104978A (ko) * 2019-02-27 2020-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104972A (ko) * 2019-02-27 2020-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248458B2 (ja) * 2019-03-08 2023-03-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00121400A (ko) 2019-04-15 2020-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TWI696988B (zh) * 2019-05-02 2020-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20210013846A (ko) * 2019-07-29 2021-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관통홀을 갖는 표시 장치
CN110491917A (zh) * 2019-08-09 2019-11-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设备
CN110504287B (zh) * 2019-08-09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210029328A (ko) * 2019-09-05 2021-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863414A (zh) * 2019-11-26 2021-05-2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KR20210078638A (ko) 2019-12-18 2021-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1159299A1 (zh) * 2020-02-12 2021-08-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基板及触控显示装置
EP4091199A1 (en) * 2020-02-18 2022-11-23 Google LLC Reducing hole bezel region in displays
US11778874B2 (en) * 2020-03-30 2023-10-03 Apple Inc. Reducing border width around a hole in display active area
KR20210131489A (ko) * 2020-04-23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950454B2 (en) * 2020-05-11 2024-04-02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10138211A (ko) * 2020-05-11 2021-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11613658B (zh) * 2020-06-02 2023-07-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220000440A (ko) * 2020-06-25 2022-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09545A (ko) * 2020-07-15 2022-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342368A (zh) 2020-08-07 2022-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
CN111816118B (zh) 2020-08-28 2020-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103329B (zh) * 2020-11-05 2021-0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882791A (zh) * 2021-02-05 2022-08-09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装置
WO2023115406A1 (en) * 2021-12-22 2023-06-2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CN114864640A (zh) * 2022-04-20 2022-08-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676A (ko) * 2007-03-15 2008-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
JP2009047902A (ja) * 2007-08-20 2009-03-05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CN101477285A (zh) * 2009-02-09 2009-07-0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与均化显示装置的负载效应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9419B2 (en) * 1997-10-31 2005-06-21 Kopin Corporation Portable microdisplay system
JP4341792B2 (ja) * 1999-08-31 2009-10-07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CN1444819A (zh) * 2000-05-24 2003-09-24 科比恩公司 便携式微显示系统
TWI264121B (en) * 2001-11-30 2006-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A display devi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JP3925486B2 (ja) * 2003-01-23 2007-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046352A (ja) * 2003-07-29 2005-02-24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ホール付表示装置
ATE486298T1 (de) * 2006-05-19 2010-11-15 Sharp Kk Anzeigevorrichtung
JP4201041B2 (ja) * 2006-11-20 2008-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US20080225216A1 (en) * 2007-03-15 2008-09-18 Seiko Epson Corporation Active matrix circuit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1802725B (zh) * 2007-05-16 2013-02-13 视瑞尔技术公司 全息显示装置
KR20090059661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형 액정표시장치
JP2010032760A (ja) * 2008-07-29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0066461A (ja) * 2008-09-10 2010-03-25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CN101487962B (zh) * 2009-01-20 2012-07-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具窄型边框区结构的显示装置与其驱动方法
TWI490829B (zh) * 2013-01-11 2015-07-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與顯示裝置
CN103513570B (zh) * 2013-09-24 2017-01-1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图形化oled计时器
KR102216879B1 (ko) * 2014-01-14 2021-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실장 장치 및 그 실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676A (ko) * 2007-03-15 2008-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
JP2009047902A (ja) * 2007-08-20 2009-03-05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CN101477285A (zh) * 2009-02-09 2009-07-0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与均化显示装置的负载效应的方法

Cited B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682A (ko) * 2015-06-11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계
CN107340661A (zh) * 2017-08-18 2017-11-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电子设备
US11250776B2 (en) 2017-12-22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27876B2 (en) 2017-12-22 2023-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64408B2 (en) 2018-01-08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1251404B2 (en) 2018-01-08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1793029B2 (en) 2018-01-08 2023-10-1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0818874B2 (en) 2018-01-08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0910600B2 (en) 2018-01-08 2021-02-0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1444261B2 (en) 2018-01-08 2022-09-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1127920B2 (en) 2018-01-08 2021-09-2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0978666B2 (en) 2018-01-08 2021-04-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window
US11515507B2 (en) 2018-01-08 2022-11-2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US11335764B2 (en) 2018-04-13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including plurality of wirings bypassing hole area encompassed by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90119960A (ko) * 2018-04-13 201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홀 영역을 우회하는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99139A1 (ko) * 2018-04-13 2019-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홀 영역을 우회하는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16200B2 (en) 2018-05-25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can driver for driving display panel in which empty area enclosed by display area is formed
WO2019226027A1 (en) * 2018-05-25 2019-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can driver for driving display panel in which empty area enclosed by display area is formed
US10910461B2 (en) 2018-07-03 2021-02-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25707B2 (en) 2018-07-03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53549B2 (en) 2018-07-06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916595B2 (en) 2018-07-06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11595B2 (en) 2018-08-02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CN110797373A (zh) * 2018-08-02 2020-02-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
US11659743B2 (en) 2018-08-02 2023-05-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US11127931B2 (en) 2018-09-28 2021-09-21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US11960671B2 (en) 2018-10-05 2024-04-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93059B2 (en) 2018-10-05 2021-08-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2004390B2 (en) 2018-10-23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uxiliary pixel near through-hole
US11839121B2 (en) 2018-11-02 2023-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CN111142296A (zh) * 2018-11-02 2020-05-1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
US10964771B2 (en) 2018-11-02 2021-03-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having an opening arranged inside a display area
KR20200063377A (ko) * 2018-11-27 2020-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974487B2 (en) 2018-11-27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26048B2 (en) 2018-11-29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972708B2 (en) 2018-11-29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282420B2 (en) 2018-11-29 2022-03-2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515385B2 (en) 2018-11-30 2022-1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95889B2 (en) 2018-11-30 2024-02-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64438B2 (en) 2018-11-30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including an opening area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US11152449B2 (en) 2018-11-30 2021-10-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US11114523B2 (en) 2018-11-30 2021-09-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35655A (ko) * 2019-09-24 2021-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0888B2 (en) 2018-04-10
CN106814514A (zh) 2017-06-09
US20170154566A1 (en) 2017-06-01
KR102476563B1 (ko) 2022-12-12
CN106814514B (zh)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563B1 (ko) 표시장치
EP3113012B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80049296A (ko) 관통 홀을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US96465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0938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9169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020938B1 (ko) 액정표시장치
US9910328B2 (en) Pixel array of liquid crystal display
US81440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12456B1 (ko) 표시장치
GB2464789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111684A (ko) 액정표시장치
US78688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OCB mode dummy liquid crystal cell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70800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24264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0740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5432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80914B1 (ko) 표시장치
KR102572965B1 (ko) 표시장치
KR10204384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7683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134848A (ko) 액정 표시장치
KR10201656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77714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0768807B1 (ko) Lcd 패널 구동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