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723A -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723A
KR20170063723A KR1020177010204A KR20177010204A KR20170063723A KR 20170063723 A KR20170063723 A KR 20170063723A KR 1020177010204 A KR1020177010204 A KR 1020177010204A KR 20177010204 A KR20177010204 A KR 20177010204A KR 20170063723 A KR20170063723 A KR 2017006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saccharide
preparation
present
oligosaccharide preparatio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288B1 (ko
Inventor
신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지
Publication of KR2017006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21D2/181Sugars or 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고당의 바람직한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흡습성이 억제된,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용매로 용해해서 용액을 얻는 공정 및 (b) 상기 공정 (a)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분무 건조,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공정 및 경우에 따라서는 (c) 조립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제제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올리고당 제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OLIGOSACCHARIDE PREPAR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원은 선행하는 일본 출원인 일본특허출원 제2014-204799(출원일: 2014년 10월 3일)의 우선권의 이익을 향유하는 것이며, 그 개시 내용 전체는 인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본 발명은 흡습성이 낮고,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올리고당은 단당이 2개에서 10개 정도 결합한 당질이다. 대표적인 올리고당으로서, 프룩토 올리고당, 라피노오스, 대두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크실로 올리고당, 유당과당 올리고당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올리고당은 난우식성, 저칼로리, 정장 작용 등의 생리적 기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룩토 올리고당의 생리적 기능으로서, 장내 비피더스균 증식 촉진 작용, 정장 작용, 미네랄 흡수 촉진 작용, 난소화성(저칼로리), 콜레스테롤 등의 지질의 대사 개선 작용, 면역 조절 작용,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건강 지향의 고조에 따라, 바람직한 생리적 기능을 갖는 올리고당을 손쉽게 섭취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로 인해,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가공 식품으로서, 테이블 슈거 등의 조미료 형태에 그치지 않고, 음료, 빵, 디저트, 과자 등 다양한 형태를 시장에서 볼 수 있다.
올리고당은, 일반적으로 흡습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그로 인해, 올리고당으로부터 특정한 성분에 대해서 고순도의 결정을 얻는 방법(특허문헌 1)이나, 올리고당과 자당이 혼합된 과립으로 하는 방법(특허문헌 2) 등에 의해, 흡습성을 억제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일본특허 제264057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03-259100호 공보
올리고당으로부터 저흡습성의 고순도 결정을 얻는 방법은, 당밀액으로부터 정제 공정, 분리·분획 공정, 정석(晶析) 공정 등, 복수의 번잡한 공정이 필요하여, 얻어지는 결정은 고가의 것이 된다. 또한, 올리고당과 자당이 혼합된 과립에 대해서는, 올리고당의 바람직한 특징인 저칼로리 성질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자는 금번, 올리고당에 대하여, 저칼로리인 식이섬유를 첨가함으로써 흡습성을 억제할 수 없을지 검토한바, 올리고당(특히, 이눌린을 포함하지 않는 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유당과당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제제는 흡습성이 낮은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자는 또한, 상기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을 30:70 내지 56:44로 함으로써, 바람직한 흡습성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상기 제제는 원료를 용해한 후에, 건조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올리고당의 바람직한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흡습성이 억제된,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올리고당 제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a)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용매로 용해해서 용액을 얻는 공정 및
(b) 상기 공정 (a)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건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제제의 제조 방법(이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2)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이 30:70 내지 56:44인, 상기 (1)에 기재된 제조 방법.
(3) 공정 (b)의 건조가 분무 건조,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제조 방법.
(4) (c) 조립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5) 올리고당이 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및 유당과당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6) 프룩토 올리고당이 이눌린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프룩토 올리고당인, 상기 (5)에 기재된 제조 방법.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올리고당 제제(이하,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8)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건조 제제.
(9) 분무 건조 제제, 진공 건조 제제 또는 동결 건조 제제인, 상기 (8)에 기재된 올리고당 건조 제제.
(10) 24℃에서 2일간 보존 후에 있어서도 제제의 성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올리고당 건조 제제.
(11) 상기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료.
(12)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올리고당 제제를 제조하고, 계속해서, 해당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함유 음식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흡습성이 낮고,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올리고당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올리고당」이란, 단당이 2개 내지 10개 결합한 당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유당과당 올리고당, 라피노오스, 대두 올리고당, 크실로 올리고당, 락툴로오스, 셀로 올리고당, 이소말토 올리고당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에 있어서는, 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유당과당 올리고당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프룩토 올리고당으로서, 이눌린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프룩토 올리고당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자당에 대하여 효소 반응에 의해 프룩토오스를 전이시킴으로써 얻어진 프룩토 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당에 프룩토오스를 1 내지 3분자 결합시킨 1-케스토오스(GF2), 니스토오스(GF3) 및 프룩토푸라노실니스토스(GF4)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눌린을 함유하지 않는 프룩토 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상기한 프룩토 올리고당의 구체예로서, 메이올리고 P, 메이올리고 G(모두 가부시끼가이샤 메이지 푸드 머테리아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카시아 식이섬유」란, 아카시아속의 나무에서 채취되는 수액으로, 다당류 구조를 갖는 난소화성 당질이며, 물질명으로서는 「아라비아검」이라고 불리는 식품 소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가 양호한 풍미를 갖고 또한 저흡습성이기 위해서는, 상기 아카시아 식이섬유로서, 탈색 또는 표백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카시아 식이섬유로서, 예를 들어 파이버검 P, 파이버검 TAN(모두 넥시라사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a)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용매로 용해하는 공정 및
(b) 상기 공정 (a)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c) 상기 공정 (b)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당 제제를 조립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당 제제가 제공된다. 이하, 공정 (a), (b) 및 (c)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정 (a)
공정 (a)는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용해하는 공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을 30:70 내지 56:44가 되도록 칭량하여, 용매를 첨가해서 용해하여, 적절한 고형분 농도(Brix)로 조정한다. 상기 용매를 첨가해서 용해할 때에 가온 및/또는 교반하면서 용해시켜도 된다. 상기 용매로서는, 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할 수 있는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본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pH5 내지 7, 보다 바람직하게는 pH5.5 내지 6.5의 범위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의 pH가 상기한 범위보다 낮은 경우, 본 공정에 있어서의 가온 용해 시나 후의 공정 (b)에 있어서의 건조 시에 올리고당이 가수 분해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한 pH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 선택한 올리고당에서 유래한다고 추정되는 착색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용해하지 않고, 단순히 양 성분을 혼합한 분말을 공정 (c)에 의해 조립해도, 흡습성이 억제된 올리고당 제제를 얻을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 및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에 있어서의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함유량의 비율은, 흡습, 조해, 고결을 억제함과 함께, 올리고당의 기능을 보다 좋게 발휘시키기 위해, 30:70 내지 56:44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55.3:44.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56:44 또는 40:60 내지 55.3:44.7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5:55 내지 56:44 또는 45:55 내지 55.3:44.7이다. 상기한 범위 외의 질량 비율 및 함유량의 비율에 있어서,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비율이 높은 경우는 흡습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의 각별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올리고당의 기능을 살리는 관점에서는 아카시아 식이섬유에 대한 올리고당의 비율이 보다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 이외의 첨가물을 함유시켜도 된다. 상기 첨가물로서, 예를 들어 유화제, 증점제, 착색료, 향료, 보존료, 살균료, 광택제, 영양강화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공정 (a)에 있어서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용해할 때에 함께 용해시킬 수 있다.
공정 (b)
공정 (b)는 공정 (a)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건조하는 공정이다. 건조 수단으로서는, 분무 건조,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 공정이다.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정 (b)의 건조 처리에 의해, 본 발명의 흡습성이 억제된 올리고당 제제를 얻을 수 있다. 분무 건조 또는 진공 건조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당 제제는 흡습성이 억제된 성질을 가지지만, 액체에 대한 용해성이 약간 낮은 경향이 있다. 또한, 동결 건조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당 제제는, 흡습성이 억제된 성질을 가지면서 액체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지만, 부피가 큰 성상이며, 혼합 작업 등의 작업 적성이나 타정 제품의 제조 적성이 낮은 경향이 있다.
공정 (c)
공정 (c)는 (b) 공정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당 제제를 추가로 조립하는 공정이다.
조립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동층 조립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b)에 더하여 본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공정 (b)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당 제제의 용해성, 가루 날림, 타정 적성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설비에 따라서는 상기 공정 (b) 및 공정 (c)를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적어도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용매에 용해시킨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건조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건조 제제(바람직하게는, 분무 건조 제제, 진공 건조 제제 또는 동결 건조 제제)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건조 제제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라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올리고당 건조 제제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공지의 음식료 및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료 및 의약품이 제공된다. 이들 음식료 및 의약품은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다른 원재료에 첨가 내지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미미한 감미를 가지지만, 적용 제품의 맛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또한, 상기 적용 제품이 식품인 경우에는 보디감을 증가시키는 효과, 음식료인 경우는 불쾌한 맛을 마스킹하는 효과를 갖는다. 어느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흡습성이 억제되고 있는 점에서, 취급이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우수한 타정 적성을 갖기 때문에, 각종 타정 제품의 기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소량의 유화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직타법에 의해 올리고당 고함유의 타정 제품을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적용 제품으로서는 정제를 들 수 있다.
후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우수한 저흡습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24℃에서 2일간 정치 보존한 경우에 보존 개시 시의 제제와 비교해서 제제의 성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온도 24℃·습도 50%의 조건에서 정치 보존한 경우에 보존 개시 시의 제제와 비교해서 120분 후까지 고결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습성이 낮고, 보존 안정성이 양호한 올리고당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흡습성이 낮은 점에서, 판매할 때의 포장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 자체는 약간의 감미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각종 음식료 등에 사용한 경우, 최종 제품의 맛에 미치는 영향(과잉의 감미)은 거의 없기 때문에, 광범위한 제품에 사용이 가능하다. 최종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맛의 보디감 증강 효과나, 불쾌한 맛의 마스킹 효과 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 제제에 대해서는 우수한 타정 적성을 갖는다. 그로 인해, 각종 타정 제품의 기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올리고당은 흡습성이 높은 점에서 타정 적성이 나빠서, 타정 제품에 있어서 30% 이상의 높은 배합율로 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소량의 유화제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직타법에 의해 올리고당 고함유의 타정 제품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발명이 제공된다.
(11) (a)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이 30:70 내지 55.3:44.7인 성분을 용매로 용해해서 용액을 얻는 공정 및
(b) 상기 (a) 공정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분무 건조,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올리고당 제제.
(12) (c) 상기 (11)에 기재된 올리고당 제제를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올리고당 제제.
(13) 올리고당이 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또는 유당과당 올리고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것인, 상기 (11) 또는 (12) 기재의 올리고당 제제.
(14) 프룩토 올리고당이 이눌린을 포함하지 않는 프룩토 올리고당인, 상기 (13)에 기재된 올리고당 제제.
(15) 상기 (11) 내지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올리고당 제제를 함유하는 음식료.
실시예
본 발명을 이하의 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한 올리고당과 식이섬유에 대하여, 물을 첨가해서 Brix65의 수용액을 제조했다. 상기 수용액은 각각의 pH가 약 6이 되도록 탄산나트륨을 사용해서 조정했다. 제조 후의 각각의 시험구의 수용액을, 진공 건조해서 올리고당 제제를 제조했다. 얻어진 각 제제를, 샤알레에 5g 칭량해서 넣고, 실온(24℃)에서 2일간 정치 후, 흡습 상태를 눈으로 관찰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올리고당으로서 프룩토 올리고당(메이올리고 P(액), 가부시끼가이샤 메이지 푸드 머테리아), 식이섬유로서 아카시아 식이섬유(파이버검 P, 넥시라사)를 사용했다. 사용한 프룩토 올리고당은, 자당에 프룩토오스를 1 내지 3분자 결합시킨 1-케스토오스(GF2), 니스토오스(GF3) 및 프룩토푸라노실니스토스(GF4)를 주성분으로 하고, 단당 및 자당의 함유량이 고형분 중 5% 이하이고, 이눌린을 함유하지 않는 올리고당이다. 또한, 사용한 아카시아 식이섬유는, 아카시아·세네갈종에서 얻어지는 탈색 처리되지 않은 식이섬유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올리고당(프룩토 올리고당)과 식이섬유(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이 30:70 내지 50:50의 범위에 있어서, 흡습성이 낮은 올리고당 제제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올리고당(프룩토 올리고당, 상품명: 메이올리고 P(분말), 가부시끼가이샤 메이지 푸드 머테리아) 10g에 대하여 물 20ml를 첨가해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켜서 올리고당 수용액을 제조했다. 아카시아 식이섬유(상품명: 파이버검 P, 넥시라사) 10g에 대하여, 물 100ml를 첨가해서 80℃의 온욕조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켜서 식이섬유 수용액을 제조했다. 상기 올리고당 수용액과 식이섬유 수용액을 혼합한 후, 동결 건조(장치명: 진공 동결 건조기 FD-1형, 선반 온도 35℃)해서 올리고당 제제를 얻었다. 상기 올리고당 제제는 부피가 큰 성상이었지만, 흡습성이 낮아 조해하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3
올리고당(프룩토 올리고당, 상품명: 메이올리고 P(액), 가부시끼가이샤 메이지 푸드 머테리아) 210g과 식이섬유 170g에 대하여, 물을 첨가해서 80℃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켜서, Brix40의 수용액을 제조했다. 상기 식이섬유로서, 아카시아 식이섬유(상품명: 파이버검 P, 넥시라사), 폴리덱스트린(상품명: 라이테스 파우더, 다니스코 재팬사), 난소화성 덱스트린(상품명: 파이버솔2, 마쓰타니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을 사용했다. 상기 수용액은 각각의 pH가 약 6이 되도록 탄산나트륨을 사용해서 조정했다. 제조 후의 각각의 시험구의 수용액을 분무 건조(장치명: SDLT-8형, 입구 온도: 130℃, 출구 온도: 90℃)한 후, 조립(장치명: 플로우코터 FLO-5형)해서 올리고당 제제를 제조했다. 상기 조립 공정의 결합제로서는, 상기 분무 건조품의 10질량% 수용액을 사용했다. 상기 조립 공정에 의해 얻어진 각 제제를, 샤알레에 5g 칭량해서 넣고, 24℃·습도 50%, 또는 30℃·습도 60%의 환경 하에서 각각 0 내지 240분 정치했다. 제제의 질량 증가량 및 외관을 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표 2의 결과에서, 24℃ 습도 50% 및 30℃ 습도 60%의 어느 조건에 있어서도, 프룩토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을 55.3:44.7(210g:170g)로 한 올리고당 제제(시험구 2-A)가 가장 고결하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 시험구 2-A의 올리고당 제제는 정치 개시로부터 240분 경과한 후에도 완전히 조해하여 고결하지 않고, 가볍게 진동을 가하는 것만으로 취급이 용이한 성상이 되었다.
또한, 시험구 2-A의 원료(단, 프룩토 올리고당은 분말의 것을 사용)와 올리고당 제제의 구조·물성에 대해서 분석을 행한바, 원료의 프룩토 올리고당과, 프룩토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물리적 혼합물에서는 비정질 물질로 보이는 열적 거동이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관찰되었지만, 올리고당 제제에서는 그러한 거동은 소실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건조 공정에 의해 원료와는 다른 구조·물성의 올리고당 제제가 생성되고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시험구 2-A의 올리고당 제제(프룩토 올리고당:아카시아 식이섬유=21:17) 98질량부에 대하여, 유화제(상품명: 포엠 TR-FB, 리켄 비타민 가부시끼가이샤) 2질량부를 첨가해서 잘 혼합한 후, 타정기(가부시끼가이샤 후지 야꾸힝기까이사 제조 형식: FY-MS2-30)를 사용해서, 직경 8 내지 9φ㎜, 질량 250 내지 310㎎인 정제 a를 얻었다. 정제 a의 제조 시에 캐핑 등의 트러블은 발생하지 않고, 외관이 양호하고, 흡습성이 낮은 타정품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얻어진 정제 a는 올리고당의 미미한 감미를 갖는 양호한 미질(味質)을 갖고 있었다.
비교예 1
올리고당(프룩토 올리고당, 상품명: 메이올리고 P(분말), 가부시끼가이샤 메이지 푸드 머테리아) 2㎏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상품명: 파이버검 P, 넥시라사) 2㎏를 잘 혼합한 혼합 분말을 제조했다. 상기 혼합 분말을 조립(장치명: 가부시끼가이샤 달톤 혼련·고속 교반 조립기 형식: SPGJ-25TG형, 유동층 건조기 형식: MDG-380형)해서 올리고당 제제를 제조했다. 상기 조립 공정의 결합제로서는, 물을 사용했다.
제조된 상기 올리고당 제제는, 올리고당 단체와 비교해서 약간 흡습성이 개선된 것처럼 보였지만, 접촉하는 것만으로 끈적거림이 있는 흡습성이 높은 종래의 올리고당과 마찬가지의 것이었다.
실시예 5
올리고당으로서, 프룩토 올리고당(상품명: 메이올리고 P(액), 가부시끼가이샤 메이지 푸드 머테리아), 갈락토 올리고당(상품명: 컵올리고 P(분말), 닛신 세이토우 가부시끼가이샤), 유당과당 올리고당(상품명: 올리고노 오카게 LS-55P, 엔스이코 세이토우 가부시끼가이샤) 각각 50g을 사용해서, 아카시아 식이섬유(상품명:파이버검 P, 넥시라사) 50g과 혼합하여, 물을 첨가해서 용해시켜서, Brix65의 수용액을 제조했다. 상기 수용액은 각각의 pH가 약 6이 되도록 탄산나트륨을 사용해서 조정했다. 제조 후의 각각의 시험구의 수용액을 분무 건조(장치명: SDLT-8형, 입구 온도: 130℃, 출구 온도: 90℃)해서 올리고당 제제를 제조했다.
얻어진 각 제제를, 샤알레에 5g 칭량해서 넣고, 24℃·습도 50%에서 각각 0 내지 72시간, 또는 27℃·습도 65%의 환경 하에서 0 내지 18시간으로 각각 정치했다. 제제의 질량 증가량 및 외관을 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표 3의 결과에서, 아카시아 식이섬유와 표 3에 기재한 각각의 올리고당(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유당과당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올리고당 제제는, 정치 개시로부터 72시간 경과한 후에 있어서도 완전히 조해하지 않고, 저흡습성으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 5에서 사용한 프룩토 올리고당 5g을 27℃·습도 65%로 정치한바, 1시간 경과 후에는 흡습해서 조해했다.
실시예 6
표 4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서, 통상의 공정(혼합 처리, 리파이너 처리, 콘칭 처리, 성형 처리)에 의해 초콜릿을 제조했다.
Figure pct00004
통상, 초콜릿에 배합되는 설탕을 프룩토 올리고당 분말(예를 들어 메이올리고 P 분말)로 치환해서 초콜릿을 제조한 경우, 제조 도중에 있어서 초콜릿 반죽의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통상의 공정에 따라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본원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제조상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초콜릿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했다.
실시예 7
표 5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서,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한 구운 과자를 제조했다. 마가린과,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 또는 설탕을 혼합하고, 계속해서 계란을 첨가해서 유화시킨 후, 밀가루를 더 혼합해서 반죽을 제조했다. 상기 반죽을 성형한 후, 180℃에서 11분간 소성하여, 쿠키를 얻었다.
Figure pct00005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해서 제조된 쿠키는, 대조품보다 약간 황색기를 띤 양호한 외관을 가지며, 대조품보다 씹는 맛이 있는 와삭와삭한 식감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8
표 6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서,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한 분말 음료를 공지의 조립 방법(일본특허공고 소50-2651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제조했다.
Figure pct00006
얻어진 분말 음료의 부피 비중을 비교한바, 대조와 본 발명의 올리고당을 배합한 것 사이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각의 분말 음료의 입도 분포를 마이크로형 전자 진동체기로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7
표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조의 분말 음료는 60메쉬를 통과하는 미세한 입도의 획분이 많은 데 반해,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한 분말 음료는, 대조보다 입도가 큰 획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는, 분말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양호한 조립 적성을 갖고 있었다.
얻어진 분말 음료 20g을 23℃의 물 200mL에 투입하고, 스패튤라로 20초간 교반해서 음료를 제조했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한 음료는, 대조 음료와 비교하면, 건조 냄새가 없는, 순하고, 풍부한 맛이 있는 풍미였다. 또한, 제조된 음료를 체(22메쉬)로 걸러서 잔사를 관찰한바,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한 음료는, 대조 음료보다 덩어리의 발생이 적었던 점에서, 양호한 용해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9
표 8에 나타낸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한 분말 음료를 제조했다.
Figure pct00008
얻어진 분말 음료 3.5g을 180ml의 맑은 물에 용해해서 음료를 제조했다. 본 분말 음료는, 가볍게 교반하는 것만으로 신속하게 용해했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을 배합한 음료는, 보디감이 있으면서, 산뜻한 풍미를 갖고 있었다.

Claims (12)

  1. (a) 올리고당 및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용매로 용해해서 용액을 얻는 공정 및
    (b) 상기 공정 (a)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건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제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의 질량 비율이 30:70 내지 56:44인,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정 (b)의 건조가 분무 건조,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인,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조립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올리고당이 프룩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및 유당과당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프룩토 올리고당이 이눌린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프룩토 올리고당인,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올리고당 제제.
  8. 올리고당과 아카시아 식이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건조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분무 건조 제제, 진공 건조 제제 또는 동결 건조 제제인, 올리고당 건조 제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24℃에서 2일간 보존 후에 있어서도 제제의 성상이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올리고당 건조 제제.
  11. 제7항에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음식료.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올리고당 제제를 제조하고, 계속해서 해당 올리고당 제제를 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당 함유 음식료의 제조 방법.
KR1020177010204A 2014-10-03 2015-10-02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8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4799 2014-10-03
JPJP-P-2014-204799 2014-10-03
PCT/JP2015/078031 WO2016052721A1 (ja) 2014-10-03 2015-10-02 オリゴ糖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723A true KR20170063723A (ko) 2017-06-08
KR102538288B1 KR102538288B1 (ko) 2023-05-31

Family

ID=5563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204A KR102538288B1 (ko) 2014-10-03 2015-10-02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202405A4 (ko)
JP (1) JP6688736B2 (ko)
KR (1) KR102538288B1 (ko)
CN (1) CN107106581B (ko)
SG (1) SG11201701354VA (ko)
TW (1) TWI727932B (ko)
WO (1) WO2016052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707A1 (ja) * 2017-05-26 2018-11-29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オリゴ糖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912758B (zh) * 2017-12-08 2021-02-09 厦门大学 一种促干燥抗吸潮的复合功能性低聚木糖组合物的制备方法
CN109170461A (zh) * 2018-09-03 2019-01-11 溧阳市迪贝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低聚果糖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JP7165025B2 (ja) * 2018-10-23 2022-11-02 株式会社明治 フラクトオリゴ糖配合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フラクトオリゴ糖配合油性菓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9100A (ja) 1990-03-07 1991-11-19 Nisshin Seito Kk オリゴ糖含有砂糖顆粒の製造方法
JPH0430773A (ja) * 1990-05-25 1992-02-03 Taiyo Kagaku Co Ltd オリゴ糖含有粉末およびその製造法
JP2640577B2 (ja) 1991-02-15 1997-08-13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ニストース結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5447A (ja) * 2005-05-24 2006-12-07 Nisshin Pharma Inc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飲食品
WO2013027700A1 (ja) * 2011-08-19 2013-02-28 ユーハ味覚糖株式会社 食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3117A (en) * 1977-11-21 1979-06-12 Kawai Seiyaku Kk Ascorbic acid table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160619A (ja) * 1984-08-31 1986-03-28 Eisai Co Ltd 分散性粉末
JP4273277B2 (ja) * 1999-06-30 2009-06-03 大塚製薬株式会社 オリゴ糖補給組成物
EP1175905A1 (en) * 2000-07-24 2002-01-3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Nutritional Composition
JP2003238416A (ja) * 2002-02-13 2003-08-27 Kureo Internatl Kk 腸内細菌改善組成物
JP3662550B2 (ja) * 2002-05-08 2005-06-22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粉末組成物
CN102329341A (zh) * 2011-06-23 2012-01-25 天津实发中科百奥工业生物技术有限公司 低聚糖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9100A (ja) 1990-03-07 1991-11-19 Nisshin Seito Kk オリゴ糖含有砂糖顆粒の製造方法
JPH0430773A (ja) * 1990-05-25 1992-02-03 Taiyo Kagaku Co Ltd オリゴ糖含有粉末およびその製造法
JP2640577B2 (ja) 1991-02-15 1997-08-13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ニストース結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5447A (ja) * 2005-05-24 2006-12-07 Nisshin Pharma Inc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飲食品
WO2013027700A1 (ja) * 2011-08-19 2013-02-28 ユーハ味覚糖株式会社 食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88736B2 (ja) 2020-04-28
WO2016052721A1 (ja) 2016-04-07
TW201628627A (zh) 2016-08-16
EP3202405A1 (en) 2017-08-09
EP3202405A4 (en) 2018-05-09
CN107106581A (zh) 2017-08-29
CN107106581B (zh) 2021-01-08
SG11201701354VA (en) 2017-04-27
JPWO2016052721A1 (ja) 2017-07-20
TWI727932B (zh) 2021-05-21
KR102538288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36363A2 (de) Zusammensetzungen, welche buttersäureester von kohlenhydraten und kohlenhydratpolyolen enthalten
TWI377913B (en) Eutectic crystalline sugar alcoh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986002B2 (en) Sugar compositions for tableting by direct compression
KR20170063723A (ko) 올리고당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US9815862B2 (en) Polymorphs of LNnT
CN112384078A (zh) 甜味剂粉末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685214B1 (ko) 제과류 제품
JP5442243B2 (ja) 腎障害抑制剤
HUE026399T2 (en) Confectionery preparation
JP6189567B1 (ja) タンパク質含有顆粒の製造方法
JP6608193B2 (ja) 固形状組成物
JP5507253B2 (ja) 「ナキ」の抑制されたラクトスクロース含有ハードキャンディとその製造方法
EP2633765A1 (de) Instant-Zubereitungen mit Polydextrose,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H06205653A (ja) ラクチュロースオリゴ糖を有効成分と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剤
TW201717963A (zh) 固形組合物
JP7185626B2 (ja) オリゴ糖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68872B2 (ja) ラクチュロース乾燥物、可食組成物、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7181441A (ja) コエンザイムq10配合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117626A (ja) コエンザイムq10配合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2065145A (ja) ビスケット・クッキー類生地
KR20150047830A (ko) 정장작용과 gi 저감효과가 있는 자일로올리고당 함유 감미료 조성물
JP2008148647A (ja) 乳成分含有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