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966A -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 - Google Patents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966A
KR20170059966A KR1020177002801A KR20177002801A KR20170059966A KR 20170059966 A KR20170059966 A KR 20170059966A KR 1020177002801 A KR1020177002801 A KR 1020177002801A KR 20177002801 A KR20177002801 A KR 20177002801A KR 20170059966 A KR20170059966 A KR 20170059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fiber
fibers
poly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카수야
나오토시 토미타
요시유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96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9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by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96Plasmapheresis; Leucopheresis; Lympho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4Chemical modification with acids, their salts or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ulfur, selenium, tellurium, polonium or compounds thereof
    • D06M11/55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ulfur, selenium, tellurium, polonium or compounds thereof with sulfur trioxide; with sulfuric acid or thiosulfuric acid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2Aldehydes; Ketones
    • D06M13/13Unsaturated aldehydes, e.g. acrolein; Unsaturated ketones; Ketenes ; Dikete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92Nitroso compounds; Nitro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7Prote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2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8Synthetic fibre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20Polyalkenes, 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with alkenyl groups bonded to aromatic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400/00Specific information on the treatment or the process itself not provided in D06M23/00-D06M23/18
    • D06M2400/01Creating covalent bondings between the treating agent and the fibr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출물이 적어 안전하고, 높은 단백질 흡착 성능을 가진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흡수율이 1∼50%이고,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를 반복단위로 하고, 반복단위가 갖는 방향환의 일부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가교되어 있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그것을 사용한 단백질 흡착용 컬럼이다.
Figure pct00009

여기서 일반식의 A는 알킬지방족기, 페닐방향족기 및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FIBER FOR PROTEIN ADSORPTION AND COLUMN FOR PROTEIN ADSORPTION}
본 발명은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혈액이나 혈액 성분 등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처리액으로부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혈액 등의 처리액을 체외로 인출하고, 처리액 중의 병인 물질 등을 흡착 컬럼에 의해 제거하고, 정화하고나서 되돌리는 치료로서는 인공 투석 이외에, 아페레시스(apheresis)라고 불리는 혈액 정화 요법이 보급되고 있다. 아페레시스 요법으로서는 주로 단순 혈장 교환 요법, 2중 여과 혈장 교환 요법,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한 후에 혈장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혈장 흡착 요법, 전혈인채로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혈액 흡착 요법이 알려져있다.
실제로, 혈장 흡착 요법에 있어서는 자기 항체를 흡착 제거하는 흡착 컬럼, 저밀도 리포 단백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 컬럼이 실용화되어 있다. 혈액 흡착 요법에 있어서는 엔도톡신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 컬럼이나, β2-미크로글로블린(이하, β2-MG)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 컬럼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제거 대상 물질과 상호 작용하는 리간드가 고정화된 흡착 담체이다.
여기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흡착하는 재료로서, 아미노기를 갖는 리간드를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술폰으로 이루어지는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단백질 흡착용 담체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아미노기를 갖는 리간드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p-페닐렌에테르술폰) 등의 폴리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스티렌(이하,「PS」)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또는 이들 고분자 화합물의 유도체 또는 이들 고분자 화합물을 블렌드, 알로이화한 것으로이루어지는 수불용성 담체의 표면에 고정화한 단백질 흡착용 담체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폴리머에 대하여 소망의 관능기를, 상기 관능기를 갖는 알데히드 또는 케톤을 이용하여 고정화한 단백질 흡착용 담체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상기 문헌에서는 폴리머로서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문헌이 개시하는 단백질 흡착용 담체에서는 리간드의 고정화에 의해 높은 흡착 성능이 부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6-27207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2-5827호 공보 국제공개 2013/022012호
그러나, 어느 종의 단백질 흡착용 담체에서는 리간드를 고정화하는 공정에 의해 담체의 물리적 강도가 저하하고, 담체의 일부가 미립자로서 발생하고, 분리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높은 피흡착 물질의 흡착 성능을 가짐과 아울러, 미립자 발생의 가능성이 낮은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진행한 결과, 이하의 구성의 단백질 흡착용 섬유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흡수율이 1∼50%이고,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를 반복단위로 하고, 상기 반복단위가 갖는 방향환의 일부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가교되어 있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용 섬유.
Figure pct00001
(식 중, A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및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된다. 파선은 방향환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있다.
(2) 식 중, A가 이하의 일반식(A-1), (A-2) 또는 (A-3)인 (1) 기재의 단백질 흡착용 섬유.
Figure pct00002
(식 중, R1∼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파선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3) 상기 폴리머는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및 그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인 (1) 또는 (2) 기재의 단백질 흡착용 섬유.
(4) 상기 섬유의 단사 지름이 0.1∼1000㎛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백질 흡착용 섬유.
(5) 상기 가교되어 있는 폴리머가 갖는 모든 방향환의 수에 대한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방향환의 수가 4∼70%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백질 흡착용 섬유.
(6) 사이토카인 흡착용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백질 흡착용 섬유.
그리고, 단백질 흡착용 섬유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단백질 흡착용 섬유를 흡착 담체로서 포함하는 단백질 흡착용 컬럼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은 높은 피흡착 물질의 흡착 성능을 가짐과 아울러, 섬유로부터의 미립자의 발생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혈액, 생체의 체액 및 생체의 배액(排液) 등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처리액으로부터 β2-MG나 사이토카인 등의 단백질을 흡착 제거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용 섬유는 흡수율이 1∼50%이다. 또한, 이 섬유는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를 반복단위로 하고, 상기 반복단위가 갖는 방향환의 일부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가교되어 있는 폴리머(이하, 「폴리머 B」라고 한다)를 함유한다.
(식 중, A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및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된다. 파선은 폴리머가 갖는 방향환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또한, 식 중 A가, 이하의 일반식(A-1), (A-2) 또는 (A-3)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식 중, R1∼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파선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를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머」(이하 「폴리머 C」라고 한다)란 반복단위에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가 포함되는 폴리머를 말한다. 방향족 탄화수소가 벤젠환이면, 반복단위 중 또는 측쇄에 벤젠 골격이 포함되는 폴리머가 된다. 폴리머 C는 단독 중합체,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탄화수소기의 방향환인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복소 방향환인 푸란, 티오펜, 피롤.
비벤젠계 방향환인 아줄렌, 시클로펜타디엔.
그 중에서도 벤젠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 C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그들의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의 구조 단위나 폴리술폰의 구조 단위와 다른 구조 단위의 공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로서는 랜덤이어도 블록이어도 좋다. 또한, 폴리머 C로서는 1종일 필요는 없고, 다른 구조의 것을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의 유도체를 반복단위로 하는 폴리머로서는 폴리α-메틸스티렌,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및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에테르술폰 및 폴리페닐술폰 등의 술폰기를 갖는 폴리머가 예시된다.
폴리머 C는 폴리머 B가 되기 전의 원료이지만, 원료로서의 폴리머 C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1만∼100만의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C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10만∼50만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하여 40℃에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산출된 것이다.
「반복단위가 갖는 방향환의 일부가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가교되어 있다」란 폴리머 C가 갖는 하나의 방향환과, 다른 폴리머 C가 갖는 것 다른 방향환이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하고, 폴리머 C끼리가 화학적으로 가교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관능기 A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식 중 A가 복수 방향환에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지방족기의 경우, 탄소수가 1∼3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기의 경우, 탄소수가 6∼1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기의 경우, 탄소수가 0∼2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정의한 관능기 A가 존재함으로써 일반식(I)의 구조가 부피가 크게 되고, 본 발명의 효과가 커진다. 또한, 방향족기가 결합하면 효과가 더욱 상승한다.
관능기 A로서는 일반식(A-1), (A-2) 및 (A-3)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1∼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개의 탄화수소기이다.
일반식(A-1)으로 나타내어지는 관능기로서는 이소프로필기, tert-부틸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A-2)으로 나타내어지는 관능기로서는 디에틸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섬유에 단백질을 흡착시키고자 한 경우, 섬유의 화학 구조뿐만 아니라, 물리 구조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단백질은 섬유 표면에 흡착하지만, 그 때, 섬유 표면에 유연한 층이 형성되어 있는 쪽이, 단백질은 흡착되기 쉽다. 한편, 섬유 표면에 유연한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섬유 표면의 친수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섬유의 친수성이 높은 경우, 액 중에서의 섬유 표면이 갖는 폴리머의 운동성이 높게 되므로, 단백질은 표면에 흡착되기 어려워질뿐만 아니라, 섬유의 물리적 강도가 저하해서 미립자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를 반복단위로 하는 1종류 이상의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흡수율이 1∼50%인 섬유가 단백질을 흡착하기 위해서 유용함을 발견했다. 단백질은 섬유의 표면에 흡착하지만, 그 때, 섬유의 흡수율이 높은 쪽이 섬유 표면에 유연한 분자층이 형성된다. 한편으로 섬유 표면의 친수성을 높인 경우나,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폴리머의 운동성을 높인 경우 등은 단백질은 흡착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흡수율이 1∼50%가 되도록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섬유 표면은 상기 일반식(I)에 포함되는 방향환에 의해 소수성이 향상함과 아울러,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에 의해 가교되어 3차원의 폴리머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화학적으로 친수성을 강하게 높이는 일이 없어도, 섬유에 유연한 분자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섬유로부터의 미립자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섬유가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단백질의 흡착 성능이 상승한다.
또한, 단백질 흡착용 섬유용의 폴리머 B에서는 폴리머 C가 갖는 모든 방향환으로부터 가교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폴리머 B의 모든 방향환의 수에 대한,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에 포함되는 방향환의 수의 비율이 4∼7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너무 낮으면, 흡수율이 증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섬유가 팽윤하기 쉽고, 섬유 강도가 저하하고, 섬유로부터의 발생하는 미립자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한편, 이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흡수율이 낮아지고, 섬유 표면의 유연한 분자층도 얇아지기 때문에 단백질의 흡착 성능이 낮아진다.
폴리머 C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기 위해서는 알킬기, 페닐기, 히드록시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알데히드기 및 술포닐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방향환에 대하여, 벤질알데히드기를 가진 화합물로 가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 폴리술폰계 폴리머 및 그들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하여, 벤질알데히드기를 가진 화합물로 폴리머를 가교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벤질알데히드기를 가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단위를 갖는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섬유의 흡수율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가교제로서, 반응성이 낮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기, 알킬렌기 등의 지방족기또는 방향환이 결합한 벤질알데히드를 이용하여 가교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미노기 등의 전자 공여성 관능기가 결합한 벤질알데히드로 가교한 경우, 가교의 정도는 높게 된다. 단, 섬유의 흡수율이 높게 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섬유의 물리적 강도가 저하하고, 미립자 발생의 저감 효과는 상술의 관능기만큼은 아니다. 또한, 전자 흡인성인 니트로기 등의 전자 흡인성 관능기가 결합한 벤질알데히드를 가진 화합물을 이용하여 가교한 경우, 가교의 정도는 낮아진다.
또한, 가교제로서,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 가교 후의 섬유는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섬유는 물에 의한 팽윤 형태를 취하지 않고, 다공질 구조화한다. 그 이유로서는 포름알데히드로 가교한 경우에는 입체적인 장해가 적기 때문에, 가교 반응에 사용하는 용매가 섬유 표면의 재료에 대해 침식하는 양이 커지고, 가교하지 않고 있는 폴리머 부분이 용탈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폴리머 C에 대하여, 벤질 알데히드기를 가진 화합물을 이용하여, 가교 반응시키기 위한 용매로서는 폴리머 C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술폰계 폴리머를 용해나 팽윤시키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가교반응 시, 용매에 의해 용해나 팽윤해서 성겨진 섬유 표면의 폴리머의 분자 구조가 적절하게 가교되고, 3차원의 폴리머 네트워크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용매로서는 니트로벤젠, 니트로프로판 또는 N-메틸-2-피롤리돈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촉매로서 산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하는 산으로서는 황산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백질 흡착용 섬유는 폴리머 B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열거된다. 단백질 흡착 섬유의 모든 폴리머에 대한 폴리머 B 이외의 폴리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0질량% 이하, 또는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폴리머 B 이외의 폴리머를 섬유에 함유시키고, 이들량을 조정함으로써 흡수율을 조정할 수 있다. 폴리머 B가 섬유 전체에 대하여 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1∼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백질 흡착용 섬유의 섬유 지름은 지나치게 가늘면 섬유 강도가 저하하고, 또한 섬유 지름이 지나치게 굵으면, 섬유 중량당의 표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섬유 중량당의 단백질 흡착 성능이 저하하는 점으로부터 섬유 지름은 0.1∼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용 섬유는 흡착 담체로서 예를 들면, 카트리지 중에 충전되어 혈액 등의 체액의 단백질 흡착용 컬럼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단백질 흡착 섬유 및 컬럼의 제작:
(1) 섬유의 제작:
(참고예 1) 섬유상 담체의 제작:
해 성분으로서 폴리스티렌(중량 평균 분자량 18.1만) 90질량%, 폴리프로필렌 10질량%의 혼합 폴리머, 도 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복합 구금을 이용하여 용융 방사를 행하면서 이루어지는 도 수 16개, 해/도 비율 50/50질량%, 섬유지름 20㎛인 해도 복합 섬유를 제작하고, 또한 3.1배로 연신한 후, 기계 권축을 부여해서 섬유를 형성했다. 상기 섬유를 통편상으로 하고, 섬유상 담체(편지의 종방향 인장시 밀도 58-60mm/50c)를 얻었다(이하, 「섬유상 담체 A」라고 한다).
또한, 여기서의 섬유 지름이란 섬유상 담체의 소편시료 10편을 랜덤하게 채취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S-800; Hitachi, Ltd.)을 이용하여 배율 2000배의 사진을 각각 촬영하고, 각 사진당 10개소(계 100개소)의 섬유의 직경을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말한다.
(참고예 2) 섬유상 담체의 제작:
코어(core) 성분으로서, 폴리스티렌(중량 평균 분자량 26.1만) 35질량%, 폴리폴리프로필렌 35%질량%의 혼합 폴리머, 시스(sheath) 성분으로서 폴리스티렌(중량 평균 분자량 26.1만) 30질량%를 사용하고, 복합 구금을 이용하여 용융 방사를 행하고, 코어 성분이 폴리스티렌이 해, 폴리프로필렌이 도가 되어 있는 피복형 해도 복합 섬유(도 수 16개, 섬유 지름 26㎛)를 얻었다. 용융 방사법으로 제작한 것을 통편상으로 하고, 편지의 섬유(편지의 종방향 인장시 밀도 95mm/50c)를 얻었다(이하, 「섬유상 담체 B」라고 한다).
(참고예 3) 부직포 A의 제작
이하의 조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복합 구금을 이용해서 방사 속도 800m/분, 연신 배율 3배로 용융 방사를 행하고, 36도의 해도 복합 섬유를 얻었다. 도 성분은 내부가 코어-시스 구조로 되어 있다.
도의 코어 성분: 폴리프로필렌
도의 시스 성분: 폴리스티렌(중량 평균 분자량 26.1만) 90질량%, 폴리프로필렌 10질량%
해 성분: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고, 공중합 성분으로서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3질량%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질량 비율: 도 중의 코어/도 중의 시스/해=45/40/15.
이 섬유 85질량%와 직경 20㎛의 폴리프로필렌섬유 15질량%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단위중량 133.7g/m2)을 제작한 후, 이 부직포 2매 사이에 시트상의 폴리프로필렌제 네트(두께 0.5mm, 단사 지름 0.3mm, 개구부 사방 2mm, 단위 중량 70.3g/m2)를 끼우고, 니들 펀치함으로써 3층 구조의 부직포(이하, 「PP제 부직포」)를 얻었다.
PP제 부직포를 95℃, 3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해 성분을 용해함으로써, 코어-시스 섬유의 직경이 5㎛이고, 부피 밀도가 0.02g/cm3인 부직포(PSt+PP제 부직포)(이하, 「부직포 A」)를 제작했다.
(2) 리간드 도입 반응:
(실시예 1) 단백질 흡착 섬유 A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 0.8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 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하여 세정했다. 이어서, 섬유를 메탄올에 침지하여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A」라고 한다)를 얻었다.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단백질 흡착 섬유 B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 0.4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 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해서 세정했다. 이어서,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B」라고 한다)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B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단백질 흡착 섬유 C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 1.6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 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해서 세정했다. 이어서, 섬유를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C」)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C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단백질 흡착 섬유 D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tert-부틸벤즈알데히드 0.8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 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하여 세정했다. 이어서, 섬유를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tert-부틸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D」라고 한다)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D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단백질 흡착 섬유 E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1.0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5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 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해서 세정했다. 이어서, 섬유를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디에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흡착 섬유 E」라고 한다)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E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단백질 흡착 섬유 F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 0.15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 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해서 세정했다. 이어서, 섬유를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F」라고 한다)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F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단백질 흡착 섬유 G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 3.0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 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해서 세정했다. 이어서, 섬유를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G」라고 한다)를 얻었다.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단백질 흡착 섬유 H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4-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1.5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4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부직포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5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부직포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해서 세정했다. 이어서, 부직포를 인출하고,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4-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를 행한 부직포(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H」)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H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단백질 흡착 섬유 I의 제작:
50g의 N-메틸올-α-클로로아세트아미드, 400g의 니트로벤젠, 400g의 98중량 % 황산 및 0.85g의 파라포름알데히드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 중에 50g의 섬유상 담체 B를 침지하고, 4℃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섬유를 0℃의 빙수 5L 중에 침지해서 반응을 정지시킨 후, 물로 세정하고, 또한 섬유에 부착되어 있는 니트로벤젠을 메탄올로 추출 제거했다. 이 섬유를 50℃에서 진공 건조하고, 클로로아세트아미드메틸화 가교 폴리스티렌 편지(이하, 「AMPSt 편지」라고 한다) 71g을 얻었다.
테트라에틸렌펜타민 1.5g을 디메틸술폭시드(이하, 「DMSO」) 50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20g의 AMPSt 편지를 교반하면서 가하고, 2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AMPSt 편지는 유리 필터 상에서 500mL의 DMSO로 세정했다. 세정 후의 AMPSt 편지 3.0g을, 1.0g의 파라클로로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용해한 150mL의 DMSO의 용액 중에 가하고, 25℃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나서, 유리 필터 상에서 각각 60mL의 DMSO 및 증류수로 세정하고, 또한 각각 3L의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로 세정하고,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I」라고 한다)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I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단백질 흡착 섬유 J의 제작:
니트로벤젠 18.1mL, 황산 11.9mL, 파라포름알데히드 0.8g을 50℃에서 혼합, 교반, 용해하고, 반응액을 30mL 조제했다. 이 반응액에 1g의 섬유상 담체 A를 침지하고, 반응액을 50℃로 유지한 채 1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으로부터 반응후의 섬유를 인출하고, 40mL의 니트로벤젠에 침지해서 세정했다. 이어서, 섬유를 메탄올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또한 물에 침지해서 세정을 행하고, 단백질 흡착 섬유(이하, 「단백질 흡착 섬유 J」)를 얻었다. 단백질 흡착 섬유 J가 갖는 방향환끼리가 관능기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를 표 1에 나타낸다.
(3) 단백질 흡착 섬유를 흡착 담체로서 구비한 컬럼의 제작: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제 컬럼(직경:40mm×길이:133mm, 흡착 섬유 충전부 체적: 40cm3) 1개당에 흡착 섬유 A∼J를 각각 54g 충전했다. 그 후, 컬럼내를 주사용 수(Otsuka Pharmaceutical Co., Ltd.)로 채운 후, 고압 증기 멸균을 행하고, 각각 단백질 흡착 섬유 A∼J를 흡착 담체로서 구비한 컬럼(이하, 「컬럼 A∼J」)을 얻었다.
2. 측정 방법:
(1) 방향환 및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의 확인:
단백질 흡착 섬유 A∼J에 있어서의 방향환 및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의 동정은 1H-NMR 스펙트럼으로 동정했다. 즉, 중클로로포름에 단백질 흡착 섬유 A∼J를 용해시키고, 핵자기 공명 장치(JOEL RESONANCE사)를 이용하여 1H-NMR 스펙트럼(TMS 기준)을 얻었다(공명 주파수: 270MHz). 취득한 1H-NMR 스펙트럼에 있어서, 프로톤의 존재 위치와 케미컬 쉬프트의 관계에 따라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동정했다.
6.0∼8.0ppm: 방향환의 프로톤
5.0∼6.0: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의 가교점의 프로톤
1.0∼2.5: 폴리스티렌 주쇄의 프로톤
또한, 1H-NMR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모든 방향환의 수에 대한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에 포함되는 방향환의 수의 비율을 이하의 식 1에 따라서 산출했다.
비율(%)=(5.0-6.0(ppm)에 있어서의 피크 적분값)/{(6.0-8.0(ppm)에 있어서의 피크 적분값)+(1.0-2.5(ppm)에 있어서의 피크 적분값)}×1/8×100 … 식 1
(2) 흡수율 측정:
단백질 흡착 섬유 A∼J에 있어서의 팽윤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흡수율을 측정했다. 즉, 1변 4cm의 정방형으로 절단된 섬유상 담체를 물에 24시간 이상 침지시킨 후, 2매의 킴타올(NIPPON PAPER CRECIA Co., LTD. 제품) 사이에 끼워서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건조 전의 중량을 측정했다. 이 후, 상온 진공 하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키고, 건조 후의 중량을 측정했다. 흡수율을 이하의 식 2에 따라서 산출했다.
흡수율(%)={(건조 전의 흡착 섬유 담체 중량)-(건조 후의 흡착 섬유 담체 중량)}/(건조 전의 흡착 섬유 담체 중량) … 식 2
(3) IL-6 흡착 성능 측정:
단백질 흡착 섬유 A∼J에 있어서의 흡착 반응 전후의 용액 중의 IL-6 농도를 ELISA법으로 정량하고, 이하의 식에 따라서 흡착률을 산출했다. 즉, 직경 6mm의 원판상으로 절단한 단백질 흡착 섬유 A∼J4매를,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에 넣었다. 이 용기에, 인간 천연형 IL-6(Kamakura Techno-Science, Inc.)의 농도가 10000pg/mL이 되도록 조정한 소태아 혈청(이하, FBS)을 1.1mL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내에서 2시간 전도 혼화했다. 흡착 섬유 담체를 용기로부터 제거한 후, 시판의 인간 IL-6ELISA 키트(Kamakura Techno-Science, Inc.)를 이용하여 용액 중의 IL-6의 잔농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 3에 따라서 IL-6 흡착률을 산출했다.
IL-6 흡착률(%)={(인큐베이트 전의 IL-6 농도)-(인큐베이트 후의 IL-6 농도)}/(인큐베이트 전의 IL-6 농도)×100 … 식 3
(4) 불용성 미립자수 측정:
The Japanese Pharmacopoeia, the fifteenth edition 수록(2006년 3월 31일 후생노동성 고시 제285호)의 일반 시험법 6.07 주사제의 불용성 미립자 시험법(제 1 법:광차폐 입자 계수법;pp.1-2)을 참고로 해서 실시했다. 포장화물 및 용기의 진동 시험 방법(JISZ0232)을 참고로 하고, 컬럼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각 1시간 진동했다. 진동 후의 컬럼을 시판의 인공 신장용 혈액 회로와 접속하고, 생리 식염액 2L를 이용하여 매분 100mL의 유속으로 세정했다. 또한, 사용하는 생리 식염액은 포어 사이즈 0.3㎛의 필터를 통과한 것을 사용했다. 여과한 생리 식염액을 펌프를 이용하여 매분 50mL의 유속으로 1시간 본품에 송입(送入)하고, 그 유출액을 20분 마다 1L씩, 계 3 회 채취(계 3L)했다. 얻어진 유출액을 광차폐형 자동 미립자 측정 장치에 각각 300mL씩 공급하고, 미립자를 측정하고, 1시간 송액했을 때의 총 미립자수(개/mL)를 산출했다. 1시간 송액했을 때의 총미립자수가 5㎛ 이상의 미립자가 0.5개/mL 이하이고, 또한 25㎛ 이상의 미립자가 0.2개/mL 이하이면 미립자의 양이 적다고 판단했다.
상기의 (2) 흡수율 및 (3) IL-6 흡착 성능의 측정 방법에 따르고, 단백질 흡착 섬유 A∼J를 평가했다. 또한, 상기의 (4) 불용성 미립자수의 측정 시험 방법을 따르고, 컬럼 A∼J를 평가했다. 흡수율, IL-6 흡착 성능 및 불용성 미립자수 측정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의 결과로부터,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어 있고, 흡수율이 1.2%∼49.7%의 범위인 단백질 흡착 섬유 A∼E는 IL-6 흡착률이 53.3% 이상을 나타내고 사이토카인 제거 성능이 높을뿐만 아니라, 불용성 미립자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었다(실시예 1∼5).
한편,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어 있지만, 흡수율이 54.3%인 단백질 흡착 섬유 F에서는 불용성 미립자의 발생은 적지만, IL-6 흡착률은 5.0%로 사이토카인 제거 성능이 낮았다(비교예 1).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어 있지만, 흡수율이 0.5%인 단백질 흡착 섬유 G에서는 불용성 미립자의 발생은 적지만, IL-6 흡착률은 3.0%로 사이토카인 제거 성능이 낮았다(비교예 2).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어 있지만, 흡수율이 0.8%인 단백질 흡착 섬유 H에서는 불용성 미립자의 발생은 적지만 IL-6 흡착률은 7.5%로 사이토카인 제거 성능은 낮았다(비교예 3). 또한, 흡수율이 46.4%이지만,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어 있지 않은 단백질 흡착 섬유 I에서는 IL-6 흡착률은 60.2%가 되고, 사이토카인 제거 성능은 높지만, 불용성 미립자의 발생이 많았다 (비교예 4). 폴리머의 방향환끼리가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공유 결합되어 있지 않고, 흡수율도 0.6%로 낮은 단백질 흡착 섬유 J에서는 불용성 미립자의 발생이 많고, IL-6 흡착률은 7.0%로 사이토카인 제거 성능도 낮았다 (비교예 5).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폴리머 B에 상당하는 것 이외에는 방향족이 아닌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섬유가 함유하는 모든 방향족의 수는 폴리머 B의 방향족의 수와 같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용 섬유는 혈액, 생체의 체액 및 생체로부터의 배출 액 등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처리액으로부터 β2-MG나 사이토카인 등의 단백질을 흡착 제거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피흡착 물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단백질 흡착용 컬럼, 예를 들면 단백질인 β2-미크로글로블린이나, 사이토카인, 자기면역항체, 지질·단백질 복합체인 저밀도 리포단백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체외 순환 컬럼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Claims (7)

  1. 흡수율이 1∼50%이고,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그 유도체를 반복단위로 하고, 상기 반복단위가 갖는 방향환의 일부가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통해서 가교되어 있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용 섬유.
    Figure pct00007

    [식 중, A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및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된다. 파선은 방향환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식 중, A는 이하의 일반식(A-1), (A-2) 또는 (A-3)인 단백질 흡착용 섬유.
    Figure pct00008

    [식 중, R1∼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0개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파선은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및 그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인 단백질 흡착용 섬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단사 지름이 0.1∼1000㎛인 단백질 흡착용 섬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되어 있는 폴리머가 갖는 모든 방향환의 수에 대한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방향환의 수가 4∼70%인 단백질 흡착용 섬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이토카인 흡착용인 단백질 흡착용 섬유.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백질 흡착용 섬유를 흡착 담체로서 포함하는 단백질 흡착용 컬럼.
KR1020177002801A 2014-09-16 2015-09-16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 KR20170059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7681 2014-09-16
JPJP-P-2014-187681 2014-09-16
PCT/JP2015/076292 WO2016043223A1 (ja) 2014-09-16 2015-09-16 タンパク質吸着用繊維及びタンパク質吸着用カ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966A true KR20170059966A (ko) 2017-05-31

Family

ID=5553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801A KR20170059966A (ko) 2014-09-16 2015-09-16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82369B2 (ko)
EP (1) EP3195930B1 (ko)
JP (1) JP6696176B2 (ko)
KR (1) KR20170059966A (ko)
CN (1) CN106714961B (ko)
CA (1) CA2961454A1 (ko)
WO (1) WO2016043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5339A (zh) * 2019-09-12 2021-03-1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基于相分离的交联剂载体及其制备和应用
JPWO2023008489A1 (ko) * 2021-07-29 2023-02-02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0969A (ko) 1973-04-20 1974-12-16
JP4878415B2 (ja) 2001-06-07 2012-02-15 新日鐵化学株式会社 ビスフェノールaの製造方法
JP2006272075A (ja) 2005-03-28 2006-10-12 Toray Ind Inc 吸着材料
WO2008026667A1 (fr) * 2006-08-31 2008-03-06 Toray Industries, Inc. Support d'adsorption contenant une fibre composite
JP5332230B2 (ja) 2007-02-22 2013-11-06 東レ株式会社 血液処理カラム
JP5824873B2 (ja) 2010-05-28 2015-12-02 東レ株式会社 ハイモビリティーグループタンパク吸着担体
KR101631536B1 (ko) * 2011-08-09 2016-06-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흡착용 담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82369B2 (en) 2018-05-29
JP6696176B2 (ja) 2020-05-20
CN106714961B (zh) 2020-08-07
US20170253999A1 (en) 2017-09-07
CA2961454A1 (en) 2016-03-24
EP3195930A4 (en) 2018-05-09
CN106714961A (zh) 2017-05-24
EP3195930A1 (en) 2017-07-26
JPWO2016043223A1 (ja) 2017-06-29
EP3195930B1 (en) 2021-06-09
WO2016043223A1 (ja)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869B2 (en) Absorbent and column for extracorporeal circulation
US7470368B2 (en) Hydrophilic substanc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U660425B2 (en) High efficiency removal of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from whole blood
US5418061A (en) Microporous polysulfone supports suitable for removal of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A2095423A1 (en) High efficiency removal of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from whole blood
CN109562219B (zh) 用于净化血液的材料
KR101631536B1 (ko) 흡착용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9216A (ko) 중공사막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5916712B2 (ja) 免疫抑制性細胞捕集材及び免疫抑制性細胞捕集用カラム
Zheng et al. In vitro hemocompatibility and hemodialysis performance of hydrophilic ionic liquid grafted polyethersulfone hollow fiber membranes
Hou et al. A heparin modified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membrane adsorbent for selective removal of low density lipoprotein from plasma
JP2006312804A (ja) 吸着材および体外循環用カラム
KR20170059966A (ko) 단백질 흡착용 섬유 및 단백질 흡착용 컬럼
JP4110806B2 (ja) 体外循環用毒素吸着材
Anderson et al. Evaluation of the permeability and blood‐compatibility properties of membranes formed by physical interpenetration of chitosan with PEO/PPO/PEO triblock copolymers
JP7415700B2 (ja) 血液浄化用担体
JP4032465B2 (ja) 血栓形成性物質の吸着剤および体外循環カラム
JP4779190B2 (ja) 炎症性疾患治療用カラム
JP2006077136A (ja) 生体適合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2003310751A (ja) 癌胎児性抗原吸着材および体外循環用カラム
CN114011389B (zh) 一种用于脓毒血症的血液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167184A1 (ja) 好中球除去材料及び好中球除去材料の製造方法
JP7459449B2 (ja) 可溶性腫瘍壊死因子受容体の吸着材料
JP7230478B2 (ja) 血液浄化カラム
JPH0622623B2 (ja) エンドトキシン除去用材料およびエンドトキシンの除去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