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53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531A
KR20170054531A KR1020177011740A KR20177011740A KR20170054531A KR 20170054531 A KR20170054531 A KR 20170054531A KR 1020177011740 A KR1020177011740 A KR 1020177011740A KR 20177011740 A KR20177011740 A KR 20177011740A KR 20170054531 A KR20170054531 A KR 20170054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do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키 마루타니
가즈히로 후루타
겐이치 츠카모토
다쿠야 마시모
고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Power Sour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과, 상기 문의 전면에 설치되고 휴대정보단말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말 부착부와, 상기 단말 부착부에 상기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정보단말에 급전하는 단말 급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포메이션테크놀러지(이하, IT라고 함)를 활용한 냉장고, 예를 들어 냉장고 저장품의 수납상황을 관리하여, 식자재 구입 리스트 또는 요리 메뉴의 선정이나 조리 레시피 등에 활용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 IT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보관리를 위한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정보단말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23232호
그러나, 휴대정보단말은 책상 등에 얹어놓고 사용하는 사양의 것이 많은 것이 실정이지만, 휴대정보단말을 주방에서 사용하는 경우, 주방에는 휴대정보단말을 얹어 놓을 장소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휴대정보단말을 싱크대 위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경우, 휴대정보단말이 물에 젖거나, 휴대정보단말의 화면을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휴대정보단말을 놓아 둘 장소를 확보할 수 있고, 휴대정보단말이 물에 젖거나 휴대정보단말의 화면을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따르면,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전면(前面)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을 구비한다. 상기 문의 전면에 설치되고 휴대정보단말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말 부착부와, 상기 단말 부착부에 상기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정보단말에 급전하는 단말급전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냉장실용 문 및 휴대정보단말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단말 부착부 주변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4는 냉장실용 문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단말 부착부에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단말 부착부에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정보단말을 수납한 단말충전커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단말충전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8의 (a)는 냉장실용 문의 단말 부착부 주변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냉장실용 문의 단말 부착부에 단말충전커버를 장착한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냉장실용 문의 정면도이다.
도 10의 (a)는 휴대정보단말에 중계 케이블을 접속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휴대정보단말에 중계케이블을 접속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실용 문의 단말 부착부 주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실용 문의 단말 부착부 주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도 8 상당도이다.
도 14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도 13 상당도이다.
도 15는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도 16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도 2 상당도이다.
도 17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상당도이다.
도 18은 냉장실용 문의 단말 부착부에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실용 문의 단말 부착부에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a)는 커버로 덮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커버로 덮은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도 2 상당도이다.
도 21은 지지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지지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지지부재를 휴대정보단말의 받침대로서 사용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지지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 20 상당도이다.
도 25는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도 18 상당도이다.
도 26은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도 13 상당도이다.
도 27은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부착부 주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휴대정보단말을 구비한 상태에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도 13 상당도이다.
도 30은 제15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실용 문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냉장실용 문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단자부의 오목부내에 접속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 31 상당도이다.
도 33은 단자부의 오목부의 개구부를 커버로 폐색한 상태를 도시한 도 30 상당도이다.
도 34는 제16 실시형태에 따른 도 32 상당도이다.
도 35는 제17 실시형태에 따른 도 30 상당도이다.
도 36은 제18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실용 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제19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실용 문의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냉장실용 문의 정면도이다.
도 39의 (a)는 단말 홀더에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단말 홀더에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제20 실시형태에 따른 도 30 상당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1에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본체(1)는 단열상자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본체(1)의 내부에는 상단부터 차례로 냉장실(2), 야채실(3)이 설치되고, 그 하방에 제빙실(4) 및 소냉동실(5)이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며, 또한 그 하방에 냉동실(6)이 설치되어 있다. 제빙실(4)에는 자동제빙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6)의 전면부에는 힌지 개폐식(프렌치형)의 냉장실용 문(7, 8)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용 문(7, 8) 중 우측 냉장실용 문(7)의 수평방향의 폭이 좌측 냉장실용 문(8)의 수평방향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다. 즉, 우측 냉장실용 문(7)의 면적이 좌측 냉장실용 문(8)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좌측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진 휴대정보단말(9)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말 부착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말 부착부(1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냉장실용 문(7) 또는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에 예를 들어 각종 설정이나 선택을 실시하는 조작부 및 필요한 표시를 하는 복수의 표시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3)의 앞쪽에는 서랍식 야채실용 문(11)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용 문(11)의 배면부에는 식품인 청과물, 즉 야채나 과일 등을 수납하는 수납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2) 및 야채실(3)은 모두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고, 예를 들어, 냉장실(2)의 유지 온도는 1~5℃로 설정되어 있고, 야채실(3)의 유지 온도는 그보다 약간 높은 2~6℃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용 문(7)의 후방인 냉장실(2)의 우측 영역에는 얼지 않는 온도대, 예를 들면 0℃~1℃의 온도대에서 고기나 생선 등의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칠드실(도시하지 않음)과, 달걀을 저장하기 위한 달걀 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제빙실(4), 소냉동실(5) 및 냉동실(6)은 모두 냉동 온도대, 예를 들면, -10 내지 -20℃의 마이너스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제빙실(4)의 앞쪽에는 저빙 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된 서랍식의 제빙실용 문(12)이 설치되어 있다. 소냉동실(5) 앞쪽에도 저장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된 서랍식 소냉동실용 문(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6)의 앞쪽에도 저장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된 서랍식 냉동실용 문(14)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단말 부착부(1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부착부(10)는 단면이 L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부재(끼워맞춤 지지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5)는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서의 하부에, 예를 들어 나사 고정이나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15)의 내저부의 중앙부분에는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용 접속단자(단말 급전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전용 접속단자(16)는, 예를 들어 도크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급전용 접속단자(16)에 접속된 케이블(충전용 전원케이블)(16a)은 냉장실용 문(8) 내에 매설되고, 냉장고의 본체(1) 내에 설치된 급전용 전원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휴대정보단말(9)을 단말 부착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때에는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를 지지부재(15)의 전벽(前壁)부(15a)와 냉장실용 문(8)의 전면(前面) 사이에 끼워 맞추고, 또한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에 설치된 충전단자(도시하지 않음)를 급전용 접속단자(16)에 접속시킨다(도 5 참조). 이 구성의 경우,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가 지지부재(15)의 전벽부(15a)와 냉장실용 문(8)의 전면 사이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은 단말 부착부(10)에 충분한 강도로 부착된다. 그리고, 휴대정보단발(9)의 하단부의 충전단자와 급전용 접속단자(16)의 접속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의 부착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휴대정보단말(9)을 단말 부착부(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휴대정보단말(9)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부재(15)의 전벽부(15a)와 냉장실용문(8)의 전면 사이로부터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를 빼내고, 또한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의 충전단자와 급전용 접속단자(16)의 접속을 해제한다.
상기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의 단말 부착부(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을 주방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휴대정보단말(9)을 놓아두는 장소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을 씽크대 위에 놓고 사용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이 물이나 기름 등에 젖거나, 휴대정보단말의 화면을 인식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의 단말 부착부(10)에 부착해 두면, 휴대정보단말(9)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부착부(10)를 냉장실용 문(7, 8) 중 수평방향의 폭이 좁은 쪽, 즉 문의 면적이 작은 쪽에 설치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의 단말 부착부(10)에 부착한 상태에서, 면적이 큰 문인 냉장실용 문(7)을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장실(2)내의 넓은 범위를 확인하고, 또한 냉장실(2)의 우측 영역에 저장되고, 특히 요리에 사용되는 기회가 많은 달걀이나, 칠드실내에 저장된 저장품을 확인하면서, 휴대정보단말(9)의 화면과 비교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에 표시한 조리 레시피 정보 등을 확인하면서, 냉장실(2)내의 저장품을 취출할 수 있다. 또는, 냉장실(2)내의 저장품을 확인하면서 휴대정보단말(9)에 표시한 식재료 구입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면적이 작은 냉장실용 문(8)의 개폐 조작시의 원심력이나 충격 등의 외력은 면적이 큰 냉장실용 문(7)의 개폐 조작시의 외력에 비하여 작으므로, 냉장실용 문(8)의 개폐 조작시에 단말 부착부(10)로부터 휴대정보단말(9)이 벗어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전용 접속단자(16)를 도크 커넥터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의 급전용 접속단자가 USB 커넥터인 경우에는, 급전용 접속단자(16)를 예를 들어 USB커넥터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 중에는 급전중인 것, 또는 충전의 용량성능을 휴대정보단말(9)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부착부(10)를 폭이 좁은 냉장실용 문(8)에 설치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폭이 넓은 냉장실용 문(7)에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도 6 내지 도 8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하는 단말급전부를 무선급전장치로 구성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급전용 단말충전커버(무선급전용 커버)(17)를 휴대정보단말(9)에 장착하도록 구성했다. 이 단말충전커버(17)는 2개로 분할된 상부 커버(17a)와 하부 커버(17b)로 구성되고, 이들 상부 커버(17a)와 하부 커버(17b)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을 덮도록 하고 있다. 단말충전커버(17)의 전면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7c)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7c)를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패널이 노출되어 있다.
단말충전커버(17)내의 하반부에는 무선급전용 전력수신부(受電部)(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력수신부(18)로부터 도출된 커넥터 케이블(19)의 선단부에 설치된 커넥터(20)는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의 충전단자에 접속된다. 단말충전커버(17)내의 상부에는 마그네트(21)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용 문(8)은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판(전면판)(22)과, 내부판(23)과, 이들 외부판(22) 및 내부판(23) 사이에 설치된 단열재(24)와, 문 캡(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열재(24)는 발포 단열재(26)와, 고단열 성능을 갖는 진공단열패널(27)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판(22)은 주로 철판(자성판(22a))으로 구성되어 있고, 휴대정보단말(9)을 부착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 부분은, 예를 들어 비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비자성판(2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장실용 문(8)내의 비자성판(22b)의 내면에서의 단말충전커버(17)의 전력수신부(18)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무선급전용 급전부(28)가 설치되어 있다. 급전부(28)로부터 도출된 케이블(29)은 냉장실용 문(8)내에 매설되고, 냉장고의 본체(1)내에 설치된 급전용 전원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수신부(18) 및 급전부(28)는 예를 들어 전자유도방식으로 무선 급전하는 무선급전장치(단말 급전부)(30)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단말충전커버(17)(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가 지지부재(15)의 전벽부(15a)와 냉장실용 문(8)의 전면과의 사이에 끼워 맞추어지고, 또한 단말충전커버(17)의 마그네트(21)가 냉장실용 문(8)의 철판(22a)에 흡착됨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은 단말 부착부(10)에 충분한 강도로 부착된다. 그리고, 이 부착 상태에서, 전력수신부(18) 및 급전부(28)를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에 무선 급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정보단말(9)에 단말충전커버(17)를 장착하고, 또한 무선급전장치(30)의 전력수신부(18) 및 급전부(28)를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에 무선 급전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의 충전단자를 급전용 커넥터에 접속하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8)내에 급전부(28)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급전부(28)를 설치한 부분에서는 단열재(24)의 두께 치수가 얇아져, 단열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열재(24)를 발포단열재(26)와 진공단열패널(27)로 구성했으므로, 단열재(24)의 두께 치수를 얇게 해도, 충분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전력수신부(18) 및 급전부(28)를 전자유도방식으로 무선 급전하는 무선급전장치(30)로 구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전력수신부(18) 및 급전부(28)를, 예를 들어 용량결합방식으로 무선 급전하는 무선급전장치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15)를 냉장실용 문(8)의 외부판(22)에 고정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지지부재(15)의 부착부에 강력한 마그네트를 설치하고, 상기 마그네트를 상기 외부판(22)의 철판(22a)에 흡착시킴으로써, 지지부재(15)를 냉장실용 문(8)의 외부판(2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도 9 및 도 10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8)의 내부로부터 도출된 충전용 전원 케이블(도시하지 않음)과 휴대정보단말(9)의 충전단자를 접속하는 중계 케이블(31)을 구비했다. 상기 중계 케이블(31)의 선단부에는 휴대정보단말(9)의 충전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32)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정보단말(9)의 충전단자의 종류가 복수인 경우, 이들 복수 종류의 충전단자에 접속 가능한 복수 종류의 커넥터(32)를 갖는 중계 케이블(31)이 복수 종류 준비되어 있고, 이들 복수 종류의 중계 케이블(31) 중의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여 냉장실용 문(8)의 내부로부터 도출된 충전용 전원 케이블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3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충전단자의 종류가 다른 휴대정보단말(9)이어도, 중계 케이블(31)을 통하여 접속함으로써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종류의 중계 케이블(31)을 준비하도록 구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휴대정보단말(9)의 충전단자의 종류가 복수인 경우, 이들 복수 종류의 충전단자에 접속 가능한 복수 종류의 커넥터를 준비하고, 이들 복수 종류의 커넥터 중의 원하는 하나를 중계 케이블(31)의 선단부의 커넥터(3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4 실시형태)
도 11은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8)의 외부판(전면판)(22) 전체가 비자성체인 경우에, 휴대정보단말(9)을 부착하는 부위의 외부판(22)의 내측에 판형상 마그네트(33)를 설치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4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장실용 문(8)의 외부판(22)이 비자성체(예를 들어, 유리 또는 수지)인 경우에, 외부판(22)의 내측에 판형상의 마그네트(33)를 설치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의 후면부에 설치된 철판 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마그네트(33)에 흡착되므로,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부판(22)의 내측에 판형상의 마그네트(33)를 설치했지만, 대신 외부판(22)의 내측에 자성체의 판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휴대정보단말(9)의 후면부 또는 내부에 마그네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실시형태)
도 12는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4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끼워맞춤 지지부)(15)를 냉장실용 문(8)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15)의 부착부(15b)의 선단부에 강력한 마그네트(34)를 설치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지부재(15)의 마그네트(34)를 냉장실용 문(8)의 외부판(22)의 내측의 마그네트(33)에 흡착시킴으로써, 지지부재(15)를 냉장실용 문(8)에 이동 가능하고 단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실용 문(8)의 외부판(22)이 예를 들어 철판 등의 자성체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그네트(33)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판형상의 마그네트(33) 대신, 외부판(22)의 내측에 자성체의 판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5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4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5 실시형태에서도 제4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지지부재(15)를 냉장실용 문(8)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의 냉장실용 문(8)에서의 부착위치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13은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6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부착부(10)를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서 오목부가 되도록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 휴대정보단말(8)을 수납 가능한 크기의 오목부(35)를 설치했다. 그리고, 도 13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35)의 내측 하부에, 휴대정보단말(8)의 하단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단면이 "コ" 형상인 수용부재(36)를 설치했다. 또한, 오목부(35)의 상부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 누름부재(37)를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누름부재(37)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의 상부를 누르도록 구성했다.
또한, 수용부재(36)의 내저부의 중앙부분에는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용 접속단자(단말급전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전용 접속단자(16)는 예를 들어 도크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급전용 접속단자(16)에 접속된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은 냉장실용 문(8)내에 매설되고, 냉장고의 본체(1)내에 설치된 급전용 전원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용 문(8)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단열재(24)는 발포 단열재(26)와, 고단열 성능을 갖는 진공단열패널(27)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단열패널(27)은 상기 오목부(35)를 따라서 설치되고 또한 오목부(35)의 크기보다 큰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냉장실용 문(8)의 내부에서의 오목부(3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 및 그 주변에 설치된 단열재(24)는 냉장실용 문(8)의 내부에서의 그 밖의 부분에 설치된 단열재(24)보다 높은 단열성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휴대정보단말(9)을 오목부(35)내에 수용할 때에는 오목부(35)의 상부의 누름부재(37)를 상방으로 걷어 올리면서, 휴대정보단말(9)을 오목부(35)내에 수용하고,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를 수용부재(36)내에 끼워 맞추고, 또한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의 충전단자를 급전용 접속단자(16)에 접속시키고, 또한 누름부재(37)로 휴대정보단말(9)의 상단부를 누른다(도 13의 (b) 참조).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6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6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정보단말(9)을 오목부(35)내에 수용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냉장실용 문(8)의 전면과 휴대정보단말(9)의 전면이 대략 면일치되도록 하는 점에서, 냉장실용 문(8)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8)에 오목부(35)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오목부(35)를 설치한 부분에서는 단열재(24)의 두께 치수가 얇아지고, 단열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6 실시형태에서는 단열재(24)를 발포 단열재(26)와 진공단열패널(27)로 구성했으므로, 단열재(24)의 두께 치수를 얇게 해도 충분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도 14 및 도 15는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7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38)는 그 한쪽(도 15 중 우측) 측부가 냉장실용 문(7)의 한쪽(도 15 중 우측) 측변부에서 개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냉장실용 문(7)은 프렌치형 문이고, 오목부(38)의 측부 개구는 냉장실용 문(7)의 외측 측변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38)의 상하부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정보단말(9)의 출입동작을 안내하는 단면이 "コ"형상인 레일부재(39, 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8)의 측부 개구를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을 출입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휴대정보단말(9)로 급전하는 급전용 접속단자는, 오목부(38)의 도 15 중의 좌측부의 내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중계 케이블(31)을 사용하여 급전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제2 실시형태의 무선급전장치(30)를 사용하여 급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7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7 실시형태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7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목부(38)의 상하부에 레일(39, 40)을 설치하고, 오목부(38)의 측부 개구를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을 출입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7)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고, 냉장실용 문(7)의 개폐조작시의 원심력이나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이 분리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도 16은 제8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부착부(10)에 대하여, 휴대정보단말(9)을 경사지게 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부착부(10)의 지지부재(41)의 상면부에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홈부(41a)를 형성하고, 이들 홈부(41a) 중의 원하는 하나에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를 끼워 맞추어 지지하게 한다. 이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을 원하는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지지부재(41)의 상면부에 4개의 홈부(41a)를 형성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의 경사각도를 4단계로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8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8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8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장실용 문(8)에 휴대정보단말(9)을 경사지게 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정보단말(9)의 화면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8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41)의 상면부에 4개의 홈부(41a)를 형성하고, 휴대정보단말(9)의 경사각도를 4단계로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정보단말(9)의 경사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의 화면을 한층 더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지지부재(41)의 상면부에 형성하는 홈부(41a)의 개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개 이상이어도 좋고 3개 또는 2개 이어도 좋다.
(제9 실시형태)
도 17 및 도 18은 제9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9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7)의 전면에서의 단말 부착부(10)의 상부에 차양부(42)를 설치했다. 상기 차양부(42)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치수가 단말 부착부(10)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구성되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9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9 실시형태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9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장실용 문(7)의 전면에서의 단말 부착부(10)의 상부에 차양부(42)를 설치했으므로, 물방물이나 오일 방울 등이 휴대정보단말(9)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0 실시형태)
도 19는 제10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0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부착부(10)의 전면을 덮는, 예를 들어 투명한 커버(43)를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했다. 또한, 커버(43)는 반투명 부재 또는 불투명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0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0 실시형태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0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 부착부(10)의 전면을 덮는 커버(43)를 구비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을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휴대정보단말(9)의 터치패널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43)로 휴대정보단말(9)을 덮을 수 있으므로, 물방울이나 오일방울 등이 휴대정보단말(9)에 묻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1 실시형태)
도 20 내지 도 24는 제1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1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재(끼워맞춤 지지부)(44)를 냉장실용 문(8)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분리된 상태에서 휴대정보단말(9)의 받침대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44)는 본체 부재(45)와, 본체 부재(45)의 상면 전단부에 돌출 설치된 전방 가이드부(46)와, 본체 부재(45)의 상면의 중앙부에 경사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후방 가이드 부재(47)와, 본체 부재(45)의 후부에 후방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부착부재(48)를 갖는다. 부착부재(48)의 후단부에는 강력한 마그네트(49)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마그네트(49)를 냉장실용 문(8)의, 예를 들어 철판제의 외부판(전면판)에 흡착시킴으로써, 지지부재(44)를 냉장실용 문(8)에 부착하고 있다. 전방 가이드부(46)와 후방 가이드부재(47) 사이에,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를 끼워 맞추어 협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후방 가이드 부재(47)의 경사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0 내지 도 24 참조). 또한, 냉장실용 문(8)으로부터 분리된 지지부재(44)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재(48)를 후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책상(50)의 상면상에 안정적으로 배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44)는 휴대정보단말(9)의 받침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1 실시형태의 경우, 휴대정보단말(9)로의 급전(충전)은 무선급전장치(제2 실시형태 참조)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계 케이블(제3 실시형태 참조)에 의해 실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1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1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1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장실용 문(8)으로부터 분리된 지지부재(44)를 휴대정보단말(9)의 받침대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44)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2 실시형태)
도 25는 제1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 또는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2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충전커버(17)를 장착한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의 오목부(35)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냉장실용 문(8)내에서의 오목부(35)의 배면부에 급전부(28)를 설치했다.
이 구성에서는, 단말 충전 커버(17)를 장착한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의 오목부(35)내에 수용하면, 급전부(28) 및 전력수신부(18)를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에 무선 급전된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2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 또는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2 실시형태에서도 제2 실시형태 또는 제6 실시형태와는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3 실시형태)
*도 26은 제1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3 실시형태에서는 급전용 접속단자(51)를 냉장실용 문(8)의 오목부(35)의 상부 내면에 설치했다. 그리고, 휴대정보단말(9)의 상부의 충전단자를 상기 급전용 접속단자(51)에 접속하면서,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의 오목부(35) 내에 수용한다. 또한, 적어도 휴대정보단말(9)을 상기 오목부(35)내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휴대정보단말(9)의 대기중의 화면에는 냉장실용 문(8)의 전면의 색 또는 도안과 동일한 색 또는 동일한 도안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3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3 실시형태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3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정보단말(9)의 충전단자와 상기 급전용 접속단자(51)를 접속한 부분이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급전용 접속단자(51)가 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급전용 접속단자(51) 및 휴대정보단말(9)의 수전단자부 부근에 물방울이나 오일 방울 등이 묻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3 실시형태에서는 급전용 접속단자(51)를 오목부(35)의 상부 내면에 설치하고,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8)의 오목부(35)내에 수용하도록 구성했으므로, 급전용 접속단자(51) 및 휴대정보단말(9)의 충전단자 부근에 물방울이나 오일 방울 등이 묻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정보단말(9)을 상기 오목부(35)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휴대정보단말(9)의 대기중의 화면에, 냉장실용 문(8)의 전면의 색 또는 도안과 동일한 색 또는 동일한 도안의 화상이 표시되므로 휴대정보단말(9)이 대기중인 경우, 냉장실용 문(8)의 전면의 외관이 좋아진다.
(제14 실시형태)
도 27 내지 도 29는 제1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4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8)에 단말 부착부(10)로서 설치한 오목부(35)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단면이 T자 형상인 완충재(52)를 설치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재(52)는 제1 완충재(52a)와 제2 완충재(52b)를 구비한다. 제1 완충재(52a)는 오목부(35)의 상변, 좌변, 우변 상부 및 하변 좌측부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제2 완충재(52b)는 오목부(35)의 우측변 하반부 및 하변 우측부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완충재(52)는 탄성변형 가능한 비금속재 또는 비자성재로 절연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고무패킹, 수지패킹,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 완충재(52)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5)의 내주벽면에 접촉되는 부착편부(52c)와, 오목부(35)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접촉되는 바깥쪽 돌출편부(52d)와, 안쪽으로 돌출되는 안쪽 돌출편부(52e)를 갖는다. 부착편부(52c)를 오목부(35)의 내주벽면에 예를 들어 접착시키고, 또한 바깥쪽 돌출편부(52d)를 오목부(35)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예를 들어 접착함으로써, 완충재(52)를 냉장실용 문(8)의 단말 부착부(10)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접착하는 대신, 나사 고정하거나 압입해도 좋다.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정보단말(9)을 오목부(35)내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완충재(52)의 안쪽 돌출편부(52e)에 의해 휴대정보단말(9)의 전면 둘레가장자리부를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용 문(8)의 외부판(22)은 비금속재 또는 비자성재인, 예를 들어 유리 또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35)의 하변부의 내주 벽면의 중앙부분에는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하기 위한 급전용 접속단자(단말 급전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전용 접속단자(16)는 예를 들어, 도크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급전용 접속단자(16)에 접속된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은 냉장실용 문(8)내에 매설되고, 냉장고의 본체(1)내에 설치된 급전용 전원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7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5)의 하변부의 내주벽면에서의 급전용 접속단자(16)의 전방(주위)에는, 휴대정보단말(9)의 하부에 접촉되는 유연성이 있는 지느러미 형상의 리브(방수구조)(53)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리브(53)의 좌우방향의 치수는 급전용 접속단자(16)의 좌우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리브(53)는 완충재(52)와 동일하게 탄성변형 가능한 비금속재 또는 비자성재로 절연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고무패킹, 수지패킹, 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53)의 하변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서 리브(53)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전방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53)가 휴대정보단말(9)과 접촉되는 위치는, 완충재(52)를 오목부(3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할 경우에는, 적어도 완충재(52)가 휴대정보단말(9)과 접촉되는 위치보다 내측, 즉 급전용 접속단자(16)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재(52)는 오목부(35)의 둘레 가장자리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지는 않고, 급전용 접속단자(16)의 전방 부분에는 완충재(52)를 설치하지 않는 부분을 두고 있다. 또한, 오목부(3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의 우측변부의 상부에도 일부분 완충재(52)를 설치하지 않는 부분을 두고 있고, 해당 부분에, 휴대정보단말(9)을 분리하기 위한 단말분리기구(55)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단말분리기구(55)로서는 휴대정보단말(9)과 단말 부착부(10) 사이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단말을 후방으로부터 앞쪽으로 밀어낼 수 있는 오목부 형상이 설치되어 있다(도 28 참조). 또한, 완충재(52)는 오목부(3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해도 좋고, 그와 반대로 오목부(35)의 상변부 또는 측변부에만 설치하는 등, 오목부(3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부분적으로 완충재(52)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의 경우, 휴대정보단말(9)을 오목부(35)내에 수용할 때에는 오목부(35)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완충재(52)의 안쪽 돌출편부(52e)를 바깥쪽으로 걷어 올리면서 휴대정보단말(9)을 오목부(35)내에 수용하고,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의 충전단자를 급전용 접속단자(16)에 접속한다. 이 휴대정보단말(9)의 수용상태에서는 완충재(52)의 안쪽 돌출편부(52e)로 휴대정보단말(9)의 전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누르고 있다(도 29b 참조). 이 경우, 동시에 급전용 단자(16)의 전방에 설치한 지느러미 형상의 리브(53)의 선단부가 휴대정보단말의 하부와 접촉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4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6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4 실시형태에서도 제6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4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목부(35)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완충재(52)를 설치하므로, 냉장실용 문(8)에 사용되는 유리 또는 수지와 휴대정보단말(9)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는 구성이 된다. 이 때문에, 미세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해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판(22), 완충재(52) 및 리브(53)에는 모두 비금속재 또는 비자성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전파를 차폐하기 어려운 부재로 휴대정보단말(9)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성이 되므로, 휴대정보단말(9)의 수신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정보단말(9)의 형상이 둥근 형태를 띤 형상이어도, 지느러미 형상의 리브(53)가 휴대정보단말(9)의 전면 하부에 확실하게 접촉되는 구성이 된다. 이에 의해,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 묻은 물이 휴대정보단말(9)의 전면을 지나 하방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그 물은 급전용 접속단자(16)에 도달하지 않고, 리브(53)의 전면 및 경사부(54)를 지나 하방으로 흘러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냉장실용 문(8)의 전면에 묻은 물이 급전용 접속단자(16)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오목부(35)내의 하부 영역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재(52)를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을 통하여 냉장실용 문(8)에 정전기가 흐르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휴대정보단말(9)을 사용자가 손가락끝 등으로 조작한 경우에, 정전기의 작용으로 통증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전용 접속단자(16)의 위치는 오목부(35)의 하변부의 중앙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부(35)의 좌측변부 또는 우측변부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급전용 접속단자(16)의 상방에 휴대정보단말(9)과 접촉되는 리브(53)를 설치하고, 급전용 접속단자(16)로 물이 상방으로부터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분리 기구(55)로서 오목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을 후방으로부터 밀어내는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완충재(52)에서의 휴대정보단말(9)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누르고 있는 안쪽 돌출편부(52e)를 누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겨 걷어 올려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안쪽 돌출편부(52e)에 사용자가 집을 수 있는 손잡이로서 지느러미 형상 부재를 세워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5 실시형태)
도 30 내지 도 33은 제1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5 실시형태에서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정보단말(9)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단말 홀더(단말 부착부)(61)를 냉장고의 냉장실용 문(7)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단말 홀더(61)는 기판부(62)와, 기판부(62)의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부재(15)를 갖는다. 이 구성의 경우,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가 지지부재(15)의 전벽부(15a)와 기판부(62)의 전면과의 사이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은 단말 홀더(61)에 착탈 가능하고 충분한 강도로 유지된다.
또한, 기판부(62)에는 예를 들어 마그네트(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마그네트를 냉장실용 문(7)의 예를 들어 철 등의 자성체의 전면판(22)에 흡착시킴으로써 단말 홀더(61)를 냉장실용 문(7)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말 홀더(61)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은 냉장고와는 독립된 단말로서 냉장실용 문(7)에 부착되어 있다. 즉, 냉장고의 냉장실용 문(7)에는 휴대정보단말(9)을 부착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단말 홀더(61)를 냉장실용 문(7)으로부터 떼어내면, 냉장실용 문(7)의 전면은 보통의 냉장실용 문과 동일한 구성이 된다.
또한,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2)이 유리 등의 비자성체의 부재일 때에는 전면판(22)의 내면측에, 예를 들어 철 등의 자성체의 판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판재에 단말 홀더(61)의 기판부(62)의 마그네트를 흡착시키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단말 홀더(61)의 기판부(62)에 마그네트를 설치하는 대신,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22)에 흡착되는 흡착판 등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22)이 유리 등의 비자성체의 부재이어도, 단말홀더(61)의 기판부(62)를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22)에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냉장실용 문(7)의 예를 들어 좌측 측면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접속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63)는 휴대정보단말(9)에 접속 케이블(64)(도 31, 도 32 참조)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이고, 냉장실용 문(7)에 설치된 오목부(65)와, 오목부(65)의 내저부에 설치된, 예를 들어 USB 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66)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65)의 내부에는 휴대정보단말(9)로부터 분리한 접속케이블(64)을 수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도 32 참조). 또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65)의 개구부는 커버(67)에 의해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67)는 예를 들어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모두 도시하지 않음)의 끼어 맞춤에 의해, 오목부(65)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66)에 접속된 케이블(충전용 전원 케이블)(68)은 냉장실용 문(7)내에 매설되고, 냉장고의 본체(1)내에 설치된 급전용 전원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급전용 전원회로에서, 전원 콘센트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에 기초하여 생성한 정전압 전원을 케이블(68), 커넥터(66) 및 접속 케이블(64)을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5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5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5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장실용 문(7)의 측면에 접속부(63)를 설치했으므로, 접속부(63)의 커넥터(66)에 접속 케이블(64)의 일단의 단자(64a)를 접속하고, 접속 케이블(64)의 타단의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휴대정보단말(9)의 급전용 접속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함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할 수 있다.
또한, 제15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63)의 오목부(65)의 내부에 접속 케이블(64)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로부터 분리한 접속 케이블(64)을 오목부(65)내에 간단히 수용할 수 있고, 접속 케이블(64)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부(63)의 오목부(65)의 개구부를 커버(67)에 의해 폐색 가능하도록 구성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커버(67)로 오목부(65)의 개구부를 폐색해 둠으로써 접속부(63) 주변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7)의 예를 들어 좌측 측면에 접속부(63)를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실용 문(7)의 우측 측면, 상면 또는 하면에 접속부(63)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16 실시형태)
도 34는 제16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6 실시형태에서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63)의 오목부(65)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전면측에, 접속 케이블(64)을 끼워 맞춤(삽입) 가능한 홈부(65a)를 형성했다. 이 구성의 경우, 접속부(63)의 커넥터(66)에 접속한 접속 케이블(64)을 상기 홈부(65a)내를 통하여 냉장실용 문(7)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케이블(64)을 상기 홈부(65a) 내를 통하여 전방으로 빼낸 상태에서, 커버(67)에 의해 오목부(65)의 개구부를 폐색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6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6 실시형태에서도 제15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6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속부(63)의 커넥터(66)에 접속한 접속 케이블(64)을 홈부(65a) 내를 통하여 전방으로 빼고, 또한 커버(67)에 의해 오목부(65)의 개구부를 폐색할 수 있으므로, 접속 케이블(64)을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접속부(63) 주변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7 실시형태)
도 35는 제17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7 실시형태에서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63)를 냉장실용 문(7)의 전면에 설치했다. 이 이외의 제17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7 실시형태에서도 제15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7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속부(63)를 냉장실용 문(7)의 전면에 설치했으므로, 접속 케이블(64)의 단자(64a)를 접속부(63)의 커넥터(66)에 접속하는 작업을 실시하기 쉬워진다.
(제18 실시형태)
도 36은 제18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8 실시형태에서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63)를 냉장실용 문(7)의 고내측에, 예를 들어 냉장실용 문(7)의 내면 중 상단 도어포켓(69)과 중단 도어포켓(70) 사이의 부위에서의 힌지 반대측의 부위에 설치했다. 상기 접속부(63)의 커넥터(66)와 냉장고의 고(庫)내에 배치한 고내 카메라(71)를 접속 케이블(64)로 접속함으로써, 고내 카메라(7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8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8 실시형태에서도 제15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8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속부(63)를 냉장실용 문(7)의 고내측에 설치했으므로, 냉장고의 고내에 배치한 고내 카메라(7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고내 카메라(71)를 대신하여 무선 태그 판독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을 냉장고의 고내에 배치한 경우에도, 접속부(63)로부터 상기 무선 태그 판독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9 실시형태)
도 37 내지 도 39는 제19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19 실시형태에서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72)을 비자성체의 부재, 예를 들어 유리로 구성하고, 냉장실용 문(7)의 내부에 접속부로서 무선 급전 방식의 급전부(73)를 설치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실용 문(7)은 상기 전면판(7)과,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내부판(74)과, 전면판(72)과 내부판(74) 사이에 충전된 예를 들어 발포단열재로 이루어진 단열재(75)와,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의 문 섀시(76)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제의 전면판(72)의 내면(도 37 중의 우측면)에는 비산방지시트(77)가 접착되어 있다. 급전부(73)는 비산방지시트(77)의 내면(반접착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단열재(75) 중에 매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전부(73)는 냉장실용 문(7)의 비자성체 부재의 전면판(72)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급전부(73)로부터 도출된 케이블(충전용 전원케이블)(78)은 냉장실용 문(7) 내에 매설되고, 냉장고의 본체(1)내에 설치된 급전용 전원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비산방지시트(77)의 접착면에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부(73)의 배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의 마크(79)가 인쇄되어 있고, 또한 무선급전방식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 등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용 문(7)에 휴대정보단말(9)을 부착할 때에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말 홀더(80)를 사용하고, 또한 단말충전커버(17)(도 6, 도 7, 도 8 참조)를 휴대정보단말(9)에 장착하도록 구성했다. 단말 홀더(80)는 비자성체의 부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냉장실용 문(7)의 상단부에 거는 걸이부(81)가 설치되고, 하단부에 지지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도 3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홀더(80)의 걸이부(81)를 냉장실용 문(7)의 상부에 걸고, 또한 도 3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충전커버(17)(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를 지지부재(15)의 전벽부(15a)와 단말 홀더(80)의 기판부(80a)와의 사이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냉장실용 문(7)에 휴대정보단말(9)이 부착되고, 또한 단말충전커버(17)의 전력수신부(18)와 급전부(73)가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72) 및 단말 홀더(80)의 기판부(80a)를 끼고 대향한다. 그리고, 이 부착상태에서, 급전부(73) 및 전력수신부(18)를 통하여 휴대정보단말(9)에 무선급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냉장실용 문(7)의 전면에 무선급전방식의 전력수신부(18)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19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 및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9 실시형태에서도 제2 실시형태 및 제15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9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면판(72)에 마크(79)나 문자를 인쇄함으로써, 급전부(73)의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휴대정보단말(9)을 급전부(73)에 정확하게 대응시켜 냉장실용 문(7)에 부착할 수 있어, 무선급전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단말홀더(80)에 걸이부(81)를 형성했지만, 걸이부(81)를 형성하지 않고, 단말홀더(80)의 기판부(80a)에, 전면판에 흡착되는 흡착판을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72)을 유리(비자성체)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판 중 급전부(73)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비자성체로 구성하고, 다른 부분은 자성체(예를 들어 철)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전면판의 다른 부분을 자성체로 구성한 경우에는, 단말홀더(80)에 걸이부(81)를 형성하지 않고, 단말 홀더(80)의 기판부(80a)에 전면판에 흡착하는 마그네트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면판의 다른 부분을 자성체로 구성한 경우에는 단말홀더(80)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충전커버(17)에 내장된 마그네트(21)를 전면판에 흡착시킴으로써, 단말충전커버(17)(휴대정보단말(9))를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무선급전기능을 갖는 단말충전커버(17)를 장착한 휴대정보단말(9)을 단말 홀더(80)에 수용하도록 구성했지만, 휴대정보단말이 무선급전기능을 갖는 것의 경우, 단말충전커버(17)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정보단말(9)을 단말 홀더(80)에 직접 수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20 실시형태)
도 40은 제20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제20 실시형태에서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홀더(81)에 무선급전방식의 전력수신부(18)를 내장하도록 구성했다. 단말홀더(81)의 기판부(81a)의 이면에는 냉장실용 문(7)의 전면판(72)에 흡착되는 흡착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단말 홀더(81)의 하단부에는 지지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말홀더(81)의 기판부(81a)의 예를 들어 좌측면부에는, 예를 들어 USB커넥터로 이루어진 전력수신부용 접속부(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력수신부용 접속부(82)를 단말 홀더(81)의 기판부(81a)의 전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전력수신부용 접속부(82)를, 단말 홀더(81)의 기판부(81a)의 우측면부,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 설치해도 좋다.
상기 구성의 경우, 휴대정보단말(9)의 하단부를 지지부재(15)의 전벽부(15a)와 단말홀더(81)의 기판부(81a) 사이에 끼워맞춤으로써, 휴대정보단말(9)을 냉장실용 문(7)에 부착한다. 그리고, 전력수신부용 접속부(82)에 접속 케이블(64)의 일단의 단자(64a)를 접속하고, 접속 케이블(64)의 타단의 단자를 휴대정보단말(9)의 급전용 접속부에 접속함으로써, 단말 홀더(81)의 전력수신부(18)에서 수전한 전력을 휴대정보단말(9)에 급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제20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15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0 실시형태에서도 제15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0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충전커버(17)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홀더(81)만을 사용하여 냉장실용 문(7)으로부터 휴대정보단말(9)에 무선급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5 실시형태 내지 제20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의 냉장실용 문(7)에 휴대정보단말(9)(단말홀더(80, 81))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좌측의 냉장실용 문(8)에 휴대정보단말(9)(단말홀더(80, 81))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좌측의 냉장실용 문(8)의 측면 또는 전면에 접속부(63)를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용 문(7, 8)내에 매설된 케이블(충전용 전원 케이블)(16a, 29, 68, 78)을 냉장고의 본체(1)내에 설치된 급전용 전원회로(전원기판)에 접속할 때, 상기 케이블(16a, 29, 68, 78)을 통형상의 문 힌지의 내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냉장실용 문(7, 8)의 개폐시에 케이블(16a, 29, 68, 78)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의 전면에 설치되고, 휴대정보단말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단말 부착부와,
    상기 단말 부착부에 상기 휴대정보단말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정보단말에 급전하는 단말급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문에서의 상기 단말 부착부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단열재는 발포 단열재와 진공단열패널의 2층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의 크기는 상기 단말 부착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문에서의 상기 단말 부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단열성능이 상기 문에서의 다른 부분의 단열성능보다 높고,
    상기 단말 부착부는 판형상을 이루는 휴대정보단말을 수용가능한 크기의 오목부이고,
    상기 판형상의 휴대정보단말을 상기 오목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문의 전면과 상기 휴대정보단말의 전면이 면일치가 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급전부는 도크 커넥터로 구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급전부는 USB 커넥터로 구성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급전부는 무선급전장치로 구성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전면에서의 상기 단말 부착부의 상부에 차양부를 설치한,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부착부의 전면을 덮는 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부착부를 최상부의 문에 설치한,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급전부는 상기 단말 부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방향으로 설치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프렌치형 문인 경우, 상기 단말 부착부를 상기 문 중 폭이 좁은 쪽에 구비한,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콘센트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에 기초하여 생성한 정전압 전원을 상기 휴대정보단말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한, 냉장고.
KR1020177011740A 2012-10-12 2013-09-24 냉장고 KR20170054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6942 2012-10-12
JP2012226942 2012-10-12
JPJP-P-2013-049071 2013-03-12
JP2013049071 2013-03-12
JPJP-P-2013-115459 2013-05-31
JP2013115459A JP6121802B2 (ja) 2012-10-12 2013-05-31 冷蔵庫
PCT/JP2013/075707 WO2014057798A1 (ja) 2012-10-12 2013-09-24 冷蔵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2713A Division KR20150036321A (ko) 2012-10-12 2013-09-24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151A Division KR102246516B1 (ko) 2012-10-12 2013-09-24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531A true KR20170054531A (ko) 2017-05-17

Family

ID=504772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2713A KR20150036321A (ko) 2012-10-12 2013-09-24 냉장고
KR1020177011740A KR20170054531A (ko) 2012-10-12 2013-09-24 냉장고
KR1020207001151A KR102246516B1 (ko) 2012-10-12 2013-09-24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2713A KR20150036321A (ko) 2012-10-12 2013-09-24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151A KR102246516B1 (ko) 2012-10-12 2013-09-24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30524B2 (ko)
EP (1) EP2910877B1 (ko)
JP (1) JP6121802B2 (ko)
KR (3) KR20150036321A (ko)
CN (6) CN107461984A (ko)
TW (1) TWI621820B (ko)
WO (1) WO2014057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1943B2 (ja) 2013-03-12 2018-09-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庫内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6498866B2 (ja) * 2013-03-12 2019-04-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
DE102013216769B4 (de) * 2013-08-23 2017-07-27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Türabsteller
US10027866B2 (en) 2015-08-05 2018-07-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s having internal content camera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JP2017146039A (ja) * 2016-02-18 2017-08-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5588388B (zh) * 2016-02-26 2018-04-10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的可移动显示装置及其控制系统
US10312737B2 (en) * 2016-03-23 2019-06-0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ultiple coils
WO2018016053A1 (ja) * 2016-07-21 2018-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デバイスと通信可能な冷蔵庫
KR102519045B1 (ko) * 2016-07-28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73782B1 (ko) 2016-07-28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18156B1 (ko) * 2016-07-28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6225400A (zh) * 2016-08-18 2016-12-1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组件外置式门体、冰箱
KR20180024352A (ko)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7006891B2 (ja) * 2016-09-01 2022-01-24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JP6877529B2 (ja) * 2017-03-03 2021-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および冷蔵庫扉の製造方法
US20190032984A1 (en) * 2017-07-26 2019-01-3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s having multiple freezer chambers
KR20190106650A (ko) 2018-03-0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775731A1 (en) * 2018-04-02 2021-02-17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glass panel mounted on a door
CN110440520A (zh) * 2018-05-02 2019-11-12 江森自控科技公司 制冷控制单元
CN109246946A (zh) * 2018-09-17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控制终端
JP7220058B2 (ja) * 2018-11-15 2023-02-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の音声対話装置、および冷蔵庫
JP7281058B2 (ja) * 2019-08-02 2023-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2225439B1 (ko) * 2019-08-06 202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냉장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1656025B2 (en) * 2019-12-30 2023-05-23 Whirlpool Corporation Resilient housing
JP7409891B2 (ja) * 2020-01-31 2024-01-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409890B2 (ja) * 2020-01-31 2024-01-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481854B2 (ja) * 2020-02-05 2024-05-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391699B2 (ja) * 2020-02-10 2023-12-0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505890B2 (ja) 2020-02-10 2024-06-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407613B2 (ja) * 2020-02-17 2024-01-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182139B2 (ja) * 2020-09-03 2022-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品検出装置、及び食品管理システム
CN112815611A (zh) * 2020-12-31 2021-05-18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上可移动显示板的连接结构及冰箱
DE102021127900A1 (de) * 2021-10-27 2023-04-27 Miele & Cie. Kg Einbauhaushaltsgeräte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0580A1 (fr) * 1981-02-20 1982-08-27 Technigaz Reservoir de stockage de gaz cryogeniques liquides tels que notamment de l'hydrogene
US4773032A (en) * 1984-11-20 1988-09-20 Fujitsu Limited Terminal input apparatus
US5018328A (en) * 1989-12-18 1991-05-28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mpartment vacuum insulation panels
JP3366541B2 (ja) * 1996-12-06 2003-01-14 ホシデン株式会社 充電器
KR19990012722A (ko) 1997-07-30 1999-02-25 배순훈 냉장고
US7126569B2 (en) * 1999-03-23 2006-10-24 Minolta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364998B1 (ko) * 2000-04-21 2002-12-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366504B1 (ko) * 2000-07-03 2003-01-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 디스플레이브라켓의 진공단열재 고정구조
KR100340845B1 (ko) * 2000-07-06 2002-06-20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JP3868725B2 (ja) * 2000-07-26 2007-01-1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扉
JP2002039670A (ja) * 2000-07-28 2002-02-06 Denso Corp 冷蔵庫
US20020115480A1 (en) * 2001-02-13 2002-08-22 Huang Chih Chen Adapter set
JP2003323232A (ja) * 2002-05-07 2003-11-14 Toshiba Corp 情報端末ホルダー
JP2004147407A (ja) * 2002-10-23 2004-05-20 Toshiba Corp 充電器
JP2004159409A (ja) * 2002-11-06 2004-06-03 Yamamoto Takahiro 携帯電話機用の充電器
DE102004027005B4 (de) * 2003-03-10 2018-09-13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 mit Display
US7404298B2 (en) * 2003-03-10 2008-07-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901916B1 (ko) 2003-03-10 2009-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JP2004340415A (ja) * 2003-05-13 2004-12-02 Toshiba Corp 冷蔵庫
JP2005030607A (ja) * 2003-07-07 2005-02-03 Hitachi Ltd 充電器及び充電器を備えた冷蔵庫
JP2005098560A (ja) * 2003-09-22 2005-04-14 Toshiba Corp 家庭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冷蔵庫
JP2005110421A (ja) *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US7233137B2 (en) 2003-09-30 2007-06-19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system
KR100556774B1 (ko) * 2003-11-07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을 구비한 냉장고
DE112004002192B4 (de) * 2003-11-14 2016-08-18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
CN2663889Y (zh) * 2003-12-04 2004-12-15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通讯功能的电冰箱
US7322209B2 (en) * 2004-03-30 2008-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584468A (zh) * 2004-05-25 2005-02-23 沈阳七彩科技工程有限公司 电子制冷与控温设备
JP2006033392A (ja) * 2004-07-15 2006-02-02 Casio Comput Co Ltd 携帯端末機用充電器、携帯端末機用クレイドル装置及び携帯端末システム
KR100608939B1 (ko) * 2004-12-27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MX2007007603A (es) * 2004-12-24 2007-08-02 Lg Electronics Inc Estructura de instalacion de unidad de despliegue para refrigerador.
JP4520897B2 (ja) * 2005-04-22 2010-08-11 株式会社エクシング 携帯電気機器
BRPI0613196B1 (pt) * 2005-07-20 2020-11-10 Lg Electronics Inc. porta de refrigerador
KR20070033147A (ko)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이를 포함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113858A (ja) 2005-10-21 2007-05-10 Hitachi Appliances Inc 冷凍冷蔵庫
EP1969297B1 (en) * 2006-01-03 2018-12-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display mounting frame
KR101317600B1 (ko) * 2006-12-15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7898812B2 (en) 2007-01-04 2011-03-01 Whirlpool Corporation Alternative hosts for multiple adapters and multip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JP2008236888A (ja) * 2007-03-20 2008-10-02 Seiko Epson Corp 携帯装置用充電装置、客席用テーブル、携帯装置用充電装置の決済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86435B2 (en) * 2007-08-05 2014-07-22 Enocean Gmbh Security system including wireless self-energizing switch
US8276399B2 (en) * 2007-09-12 2012-10-02 Whirlpool Corporation Docking station for a refrigerator
KR101346502B1 (ko) * 2008-02-21 201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MX2008006644A (es) * 2008-05-22 2009-11-23 Mabe Sa De Cv Sistema de nivelacion para panel o cajon.
JP2011231937A (ja) * 2008-08-26 2011-11-17 Panasonic Corp 冷蔵庫
JP4778996B2 (ja) * 2008-09-03 2011-09-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20100122157A (ko) * 2009-05-12 2010-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IT1396119B1 (it) * 2009-09-23 2012-11-16 Nuova Star Spa Combinazione di una cerniera per ante o sportelli e di un dispositivo ammortizzatore.
JP2011097770A (ja) * 2009-10-30 2011-05-12 Brother Industries Ltd 電子機器
US20130120996A1 (en) * 2010-01-26 2013-05-16 Robertson Transformer Co. Thermal Transformer for LED Lighting Applications
KR101752670B1 (ko) * 2010-08-11 201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3167101U (ja) * 2011-01-24 2011-04-07 ラディウス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用ドックスタンド
JP5118226B2 (ja) * 2011-03-30 2013-01-1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受電デバイスおよび受電デバイスに給電する電力伝送システム
JP3169204U (ja) * 2011-05-09 2011-07-21 コスモケミカル株式会社 自発光式視線誘導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67103A (zh) 2017-11-21
KR20150036321A (ko) 2015-04-07
CN107270635B (zh) 2020-05-05
TW201423010A (zh) 2014-06-16
CN107367115A (zh) 2017-11-21
US20150211783A1 (en) 2015-07-30
CN107367115B (zh) 2021-05-18
KR20200008039A (ko) 2020-01-22
TWI621820B (zh) 2018-04-21
CN107367116A (zh) 2017-11-21
CN107461984A (zh) 2017-12-12
WO2014057798A1 (ja) 2014-04-17
CN107270635A (zh) 2017-10-20
CN104704307A (zh) 2015-06-10
EP2910877A1 (en) 2015-08-26
CN107367103B (zh) 2021-03-02
CN104704307B (zh) 2017-05-03
JP6121802B2 (ja) 2017-04-26
KR102246516B1 (ko) 2021-04-30
US10830524B2 (en) 2020-11-10
CN107367116B (zh) 2021-03-05
JP2014199173A (ja) 2014-10-23
EP2910877A4 (en) 2016-07-06
EP2910877B1 (en)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4531A (ko) 냉장고
KR101948551B1 (ko) 냉장고
US9356267B1 (en) Protective battery case to partially enclose a mobile electronic device
JP5992782B2 (ja) 冷蔵庫
CN102980348B (zh) 冰箱
JP6936899B2 (ja) 冷蔵庫
CN107076499B (zh) 冰箱
CN106895634B (zh) 冰箱
CN209926691U (zh) 冰箱
TWI662240B (zh) 冰箱箱體之供電結構
JP2017026199A (ja) 冷蔵庫
KR20200035638A (ko) Nfc를 이용한 광고가 가능한 가구용 멀티탭
CN111043812A (zh) 智能冰箱
CN117308445A (zh) 嵌入式冰箱及其开门的控制方法
CN115549148A (zh) 储能设备及其储能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