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916B1 -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916B1
KR100901916B1 KR1020030014899A KR20030014899A KR100901916B1 KR 100901916 B1 KR100901916 B1 KR 100901916B1 KR 1020030014899 A KR1020030014899 A KR 1020030014899A KR 20030014899 A KR20030014899 A KR 20030014899A KR 100901916 B1 KR100901916 B1 KR 10090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harging
terminal
power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058A (ko
Inventor
이익규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916B1/ko
Priority to US10/795,582 priority patent/US7404298B2/en
Priority to JP2004067653A priority patent/JP4567351B2/ja
Publication of KR2004008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공급장치와 충전용 배터리부를 분리시킴으로써 냉장고의 공간이용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냉장고의 일측에 부착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크기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와, 냉장고 도어의 삽입홈 내에 설치되어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로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장착 케이스에 부설된 충전장치 접지단자 및, 일단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로 인가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냉장고, 배터리, 충전

Description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S DETACHABLE TERMINAL IMPLEMENTED IN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용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내장한 냉장고 및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분리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 주요 도면번호의 설명 *
1: 냉장고 20: 도어
22: 연결부재 24: 도어 힌지부
40: 전원공급장치 42: AC 어댑터
44: 충전 레귤레이터 46: 마이컴
50: 삽입홈 60: 장착 케이스
56: 힌지축부재 58: 충전장치 접지단자
70: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 72: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
74: 충전용 배터리
본 발명은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공급장치와 충전용 배터리부를 분리시킴으로써 냉장고의 공간이용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면서, 냉장고는 냉장 및 냉동과 같은 단순한 기능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냉장고 자체를 전자적으로 제어하거나, 네트워크가 가능한 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받거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주제어 기기로서 작동하도록 소정의 컴퓨터가 내장되어 부착될 수 있다. 즉, 냉장고의 외부에 그 화면이 제공되고, 일종의 터치스크린과 같은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도어 정면에 냉장고용 단말기(2)가 부착되어 있다. 이 냉장고용 단말
기(2)는 외부의 전원이 직접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용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전원공급장치(10)는 냉장고용 단말기(2) 내에 부설되며,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AC 어댑터(11)와, 이 AC 어댑터(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크기의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레귤레이터(12) 및, 이 충전 레귤레이터(12)를 제어하여 냉장고용 단말기(2)의 각 구성소자(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조절하는 마이컴(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전원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도어의 일측에 부착된 냉장고용 단말기에 내장됨으로써, 냉장고용 단말기의 크기와 무게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럼으로써, 냉장고의 도어를 적게 차지하도록 하기 위한 냉장고용 단말기의 소형화를 방해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전원공급장치는 외부의 전원을 직접 공급받게 됨으로써, 냉장고의 도어로부터의 탈착이 가능한 냉장고용 단말기의 경우, 그 전원 연결에 있어서 고전압으로 인한 위험이 야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를 냉장고용 단말기와 별도로 부설함으로써, 냉장고용 단말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와 충전 배터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
조를 제공하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냉장고의 일측에 부착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크기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와, 냉장고 도어의 삽입홈 내에 설치되어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로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장착 케이스에 부설된 충전장치 접지단자 및, 일단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로 인가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AC 어댑터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전원으로 변환하는 충전 레귤레이터와, 상기 충전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재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조절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 케이스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중심회전축을 지닌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삽입홈의 측벽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수단의 중심회전축은 그 중심에 관통구멍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 케이스는 상기 연결부재가 지나는 통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와, 도어 내부와, 상기 관통구멍 및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
장치와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충전장치가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는 상술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장착 케이스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로부터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전용 배터리로 이루어진 충전용 배터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예로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내장한 냉장고 및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그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20)와, 냉장고(1)의 상부에 설치된 전원공급장치(40)와, 이 도어(20) 내측으로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삽입홈(50)과, 이 삽입홈(50) 내에 설치되어 이 삽입홈(50)의 양 측벽(52, 53)에 결합된 장착 케이스(60)를 구비한다. 이 장착 케이스(60)의 공간으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가 삽입 및 분리된다.
이 장착 케이스(60)는 예를 들어 도시된 힌지장치(56)에 의해 삽입홈(50)의 측벽(52, 53)에 연결되어, 소정의 범위의 각도만큼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이렇 게 개방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소자(도시되지 않음)는 종래에 있는 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40)로부터 충전장치 접지단자(58)로의 충전전압의 인가를 위해, 연결부재(22)는 그 일단부가 전원공급장치(40)에 연결되고, 냉장고(1)의 상부 내부를 통하여 도어 힌지부(24)를 통하여 도어 내부를 지나도록 된다. 이러한 도어 힌지부(24)와 도어 내부를 통과하는 연결부재 구조는 종래 기술에서도 알려진 기술이다. 다음으로, 이 연결부재(22)는 그 타단부가 장착 케이스(60)의 충전장치 접지단자(58)(도 4에 도시됨)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2)는 일종의 배선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분리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착 케이스(60)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화면표시부(7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창(61)이 형성된 전면부(62)와, 삽입홈(50)의 양 측벽(52, 53)에 결합되는 양 측면부(64, 65)와,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배면부에 대응하여 지지하는 배면부(66)와, 저면부(68)로 구성된다.
이 장착 케이스(60)의 내부 공간으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가 삽입되고 분리되므로, 이에 적합한 소정의 크기 이상을 지닌다. 즉, 장착 케이스(60)의 내부 크기(즉, 전면부(62), 양측면부(64, 65), 배면부(66) 및 저면부(68)로 이루어진 크기)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또한 이 전면부(62)에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가 구비할 수 있는 마이크(75) 및 카메라(7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마이크용 개구(62a) 및 카메라용 개구(62b)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62)에는 장착 케이스(60)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장착 케이스(60)의 양 측면부(64, 65)는 삽입홈(50)의 측벽(52, 53)과 각각 힌지장치(56)에 의해 결합되어, 장착케이스(60)가 개폐되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장착 케이스(60)의 저면부(68)와 삽입홈(50)의 저부(55) 사이에 소정의 경첩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별도로 설치되어 장착 케이스(60)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측면부들(64, 6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양 측면들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개방된 장착 케이스(60)로부터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착 케이스(60)의 배면부(66)도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배면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개방된 장착 케이스(60)로부터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측면부들(64, 65)과 배면부(66)는 모두 또는 적어도 두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대응하는 것들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또한, 이 측면부(64)는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외측면부(64a)와 내측면부(64b)로 이루어진 이중구조를 지니고, 외측면부(64a)는 소정의 관통구멍(도시되지 않음)이 있다. 이러한 측면부(64)는 연결부재(22)의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므로, 소정의 가이드홈(또는 좁은 통로)만이 형성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측면부(65)는 단일 구조이거나 이중구조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저면부(68)도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상저면부(68a)와 하저면부(68b)로 이루어진 이중구조를 지니고, 상저면부(68a)에는 충전장치 접지단자(58)를 노출시키는 개구들(69)이 형성된다. 이러한 저면부(68)는 연결부재(22)의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므로, 소정의 가이드홈(또는 좁은 통로)만이 형성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장착 케이스(60)는 삽입홈(50)의 측벽(52)에 형성된 관통구멍(52a)을 통과하여 장착 케이스(54)의 외측면부(64a)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지나도록 된 힌지측부재(56)와, 이 힌지측부재(56)가 이 삽입홈(50)의 측벽(5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 힌지장치에 의해 삽입홈(50)의 측벽(52)에 부착된다. 다만, 삽입홈(50)의 다른 측벽(53)은 통상적인 힌지장치에 의해 결합되어도 된다.
또한, 이 장착 케이스(60)는 연결부재(22)에 의한 충전장치 접지단자(58)로의 연결을 위해, 이 힌지측부재(56)의 중심에는 관통구멍(56a)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 내부를 관통한 연결부재(22)가 관통구멍(56a)을 통하여 장착 케이스(60)의 상저면부(68a)와 하저면부(68b) 사이의 공간을 지나서 충전장치 접지단자(58)에 연결된다.
다른 경우로, 장착 케이스(60)의 저면부(68)와 삽입홈(50)의 저부(55)가 경첩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어 장착 케이스(60)가 개폐되는 때도, 이 경접장치의 중심회전축 내에 연결부재(22)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이 연결부재(22)가 하저면부(68b)의 소정의 크기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지나 충전단자 접지단자(58)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결합장치인 힌지장치(56) 및 경첩장치는 그 중심에 관통구멍을 지닌 중심회전축에 의해 이 연결부재(22)를 충전단자 접지단자(58)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결합장치 이외에, 삽입홈(50)에 별도의 부가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이 장착 케이스(60)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만 개폐되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는 장착 케이스(60)의 충전장치 접지단자(58)에 연결될 수 있는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72)를 그 하부에 구비한다. 이 충전장치 접지단자(58)와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72)는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서, 예를 들면 두 접지단자(58), (72)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가 장착 케이스(60) 내로 삽입된 때 전원을 공급받기에 적합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충전장치 접지단자(58)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충전장치 접지단자(58)와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72)가 부착되는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스(60)의 저부와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저부 이외에도 다른 위치에 대응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압은 전원공급장치(40)에 의해 연결부재(22)를 통하여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충전 용 배터리(74)로 공급된다.
자세하게는, 이 전원공급장치(40)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AC 어댑터(42)와, 이 AC 어댑터(4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크기의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레귤레이터(44) 및, 이 충전 레귤레이터(44)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조절하는 마이컴(46)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 전원공급장치(40)에 의한 충전전원은 그 일단부가 전원공급장치(4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냉장고 도어(20)의 삽입홈(50) 내의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가 끼워지는 장착 케이스(60)의 저면부(68)에 부착된 충전장치 접지단자(58)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2)를 통하여 충전장치 접지단자(58)로 인가된다.
다음으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충전용 배터리부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일측의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72)와 충전용 배터리(74)로 구성되고, 이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72)는 연결부재(22)의 충전장치 접지단자(58)에 접촉하여 충전전원을 인가 받아, 다시 충전용 배터리(74)로 인가한다. 충전용 배터리(74)는 이 충전전원을 저장하고, 필요시에 각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70)의 각 소자들(도시되지 않음)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를 냉장고용 단말기와 별도로 구성하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냉장고용 단말기를 소형화 및 경
량화를 성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와 충전 배터리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냉장도 도어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냉장고의 일측에 부착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크기의 충전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와;
    냉장고 도어의 삽입홈 내에 설치되어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로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장착 케이스에 부설된 충전장치 접지단자 및;
    일단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로 인가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AC 어댑터와; 상기 AC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전원으로 변환하는 충전 레귤레이터와; 상기 충전 레귤레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부재로 공급되는 충전전원을 조절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스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중심회전축
    을 지닌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중심회전축은 그 중심에 관통구멍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케이스는 상기 연결부재가 지나는 통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와, 도어 내부와, 상기 도어의 삽입홈에 설치되는 상기 장착 케이스까지 연장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7. 제1항에 따른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장착 케이스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충전장치 접지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 접지단자로부터 상기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충전용 배터리로 이루어진 충전용 배터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가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
KR1020030014899A 2003-03-10 2003-03-10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KR100901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899A KR100901916B1 (ko) 2003-03-10 2003-03-10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US10/795,582 US7404298B2 (en) 2003-03-10 2004-03-09 Refrigerator
JP2004067653A JP4567351B2 (ja) 2003-03-10 2004-03-10 冷蔵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899A KR100901916B1 (ko) 2003-03-10 2003-03-10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058A KR20040080058A (ko) 2004-09-18
KR100901916B1 true KR100901916B1 (ko) 2009-06-10

Family

ID=3736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899A KR100901916B1 (ko) 2003-03-10 2003-03-10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1802B2 (ja) 2012-10-12 2017-04-2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94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냉장고
KR20010094356A (ko) * 2000-03-30 2001-11-01 구자홍 냉장고용 영상표시기기 장착구조
KR20010113400A (ko) * 2000-06-19 2001-12-28 구자홍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94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냉장고
KR20010094356A (ko) * 2000-03-30 2001-11-01 구자홍 냉장고용 영상표시기기 장착구조
KR20010113400A (ko) * 2000-06-19 2001-12-28 구자홍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058A (ko) 200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298B2 (en) Refrigerator
EP1565637B1 (en) Electric supply system for the door of refrigerators and freezers
US20090236918A1 (en) While-in-use electrical box that shuts power off to the device when cover is open
CN100417898C (zh) 具有能够安装可分离式终端的安装壳体的冰箱
KR201200728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0417896C (zh) 设有电冰箱装卸式终端机安装外壳的电冰箱
EP3829020A1 (en) Travel type multifunctional charger and its control system
WO2019137189A1 (zh) 应用在制冷设备上的无线供电系统、抽屉组件及制冷设备
KR100901916B1 (ko) 냉장고에 내장된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KR100906832B1 (ko)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장착 케이스가 설치된 냉장고
KR100501150B1 (ko) 냉장고 탈착형 단말기의 장착 케이스가 설치된 냉장고
TW202313160A (zh) 視訊遊戲系統
US5864462A (en) Spare battery containing means in a personal computer
US6737190B2 (en) Electronic apparatus
WO2003067734A2 (en) Recharging device for hearing aid with rechargeable battery
JPH1061974A (ja) 空気調和機
CN105872868A (zh) 一种麦克风
CN109974380B (zh) 冰箱
KR200495303Y1 (ko) Usb충전모듈
US9750115B2 (en) Interface module for powering wireless user interface through light switch
US6515849B2 (en) Control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390629Y1 (ko) 핸드폰 직결 가능한 휴대용 2차전지 충전기
CN219499018U (zh) 车载充电器
CN217063954U (zh) 一种耳机仓
JPH09114554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