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845B1 -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845B1
KR100340845B1 KR1020000038597A KR20000038597A KR100340845B1 KR 100340845 B1 KR100340845 B1 KR 100340845B1 KR 1020000038597 A KR1020000038597 A KR 1020000038597A KR 20000038597 A KR20000038597 A KR 20000038597A KR 100340845 B1 KR100340845 B1 KR 10034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ver
hole
cas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571A (ko
Inventor
박제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845B1/ko
Priority to IL14408601A priority patent/IL144086A0/xx
Priority to US09/897,974 priority patent/US20020003083A1/en
Priority to MXPA01006888A priority patent/MXPA01006888A/es
Priority to CNB011200375A priority patent/CN1248265C/zh
Publication of KR2002000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20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herein an auxiliary movement thereof, or of an attachment thereto, is necessary before the main movement is possible or effective, e.g. for unlatching, for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의 고내등을 선택적으로 소등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외로 입출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기구적으로 전환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고내등을 소등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손쉽게 다시 점등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고내등 점등으로 인한 소비전력 상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The structure of door switch }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고내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저장실 내측에는 고내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내등은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때 점등되며, 야간 또는 냉장고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이 어두울 경우,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고내등을 제어하는 도어스위치는 통상 냉장고의 고내 벽면이나 본체 전면에 설치되며, 도어와 접촉할 수 있도록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내등은 도어 개폐시,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도어스위치가 내측으로 밀리거나 복원되면서 온/오프가 전환되어 점등 또는 소등되게 된다.
도 1a에는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스위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스위치(10)에는 케이스(11) 내측에서 상기 케이스(11)의 상면(11a)을 관통하여 돌출된 플런저(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12)는 실질적으로 도어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케이스(11) 내외로 입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상면(11a)에는 상기 플런저(12)가 통과하기 위한 플런저통과공(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통과공(11b)의 외주연에는 상기 플런저(12)를 보호하고, 상기 플런저(12)의 입출경로를 안내하는 플런저가이드(11c)가 적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를 살펴보면, 상기 플런저(12)의 케이스 내측 단부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3)는 도어 폐쇄시 상기 플런저(12)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도어 개방시 상기 플런저(12)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12)의 케이스 내측부는 상기 플런저통과공(11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는 상기 탄성부재(1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스 내측부가 상기 플런저통과공(11b)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케이스(11) 외측으로는 소정길이 만큼만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2) 내측부의 외주연 일측에는 돌출된 형상의 접촉돌기(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돌기(12a)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돌기(12a)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 단자구동구(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구동구(14)의 일측에는 가동단자(15)와 고정단자(16)로 구성된 고내등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구동구(14)는 일측이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접촉돌기(12a)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단자(15)는 상기 단자구동구(14)에 의해 일측으로 밀리거나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고정단자(16)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어가 폐쇄될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12)가 도어에 의해 상기 케이스(11) 내측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접촉돌기(12a)는 하측으로이동하며 상기 단자구동구(14)를 우측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자구동구(14)에 의해 상기 가동단자(15) 또한 우측으로 밀리며 고정단자(16)와 이격되고, 고내등이 소등된다.
한편 도어가 개방될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12)를 지지하고 있던 탄성부재(1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12)가 돌출되면서, 상기 접촉돌기(12a)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단자구동구(14)가 좌측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단자(15) 또한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고정단자(16)와 접촉하게 되어 고내등이 점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스위치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 고내등은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항상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플런저(12)를 압입하던 힘이 제거되어 상기 플런저(12)가 돌출되면 고내등은 무조건적으로 점등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냉장고를 사용하는 시점이 낮시간이거나 냉장고 주변이 밝은 경우, 고내등의 점등이 불필요한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고내등이 점등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소비전력의 측면에서 볼 때, 고내등의 무분별한 점등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1b는 종래의 도어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도어스위치 21 : 케이스
22 : 플런저 23 : 탄성부재
24 : 힌지부 25 : 스위치
26 : 접점 27 : 플런저가이드
28 : 가이드부 28a : 걸림턱
30 : 커버 31 : 측면
31a : 체결턱 31b : 고정단
32 : 관통공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외로 입출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기구적으로 전환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커버가 체결되고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통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의 통공을 개방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고내등을 소등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손쉽게 다시 점등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고내등 점등으로 인한 소비전력 상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는 과정에서 기재되는 방향표시는 도면상의 상하좌우를 그대로 이용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스위치(20) 내부에 설치된 고내등스위치의 작동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며, 케이스(21)의 상면(21a)에 돌출된 플런저(22)가 상기 케이스(21) 내외측으로 입출되면서, 상기 플런저(22)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가동단자(25)와 고정단자(26)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a를 참조하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케이스(21) 내측에서 케이스 상면(21a)을 관통하여 돌출된 플런저(22)가 상하로 입출되며 상기 플런저(22)에 형성된 접촉돌기(22a)와 밀착된 단자구동부(24)를 좌우로 유동시켜, 상기 가동단자(25)를 고정단자(26)와 이격시키거나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22)의 케이스(21) 내측 단부가 탄성부재(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어스위치(20)의 케이스 상면(21a)에는 상기 플런저(22)가 돌출되는 플런저통과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통과공(21b)의 외주연에는, 상기 플런저(22)의 돌출부위가 외부 힘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플런저(22)의 입출경로를 안내하는 플런저가이드(27)가 소정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상면(21a)에는 상기 플런저가이드(27)를 사이에 두고 상방으로 소정높이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28)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8)의 상단부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턱(2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8) 사이에는 플레이트형상의 커버(30)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커버(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통과공(21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부(28)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3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는 각각 하방으로 측면(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31)의 하측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체결턱(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턱(31a)의 상면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8)의 걸림턱(28a) 저면과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30)의 저면은 상기 플런저가이드(27)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30)는 하측이 상기 플런저가이드(27)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이 상기 체결턱(31a)과 걸림턱(28a)의 밀착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유동이 구속되고, 상기 가이드부(28)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측면(31)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체결턱(31a)보다 더욱 돌출된 형태의 고정단(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단(31b)은 상기 커버(30)가 일정범위 이상 이동하게 되면 상기 고정단(31b)이 상기 가이드부(28)의 측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커버(30)가 상기 가이드부(2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고정단(31b) 사이의 길이는 상기 커버(3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범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상면 일측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2)은 상기 커버(32)의 이동이 상기 고정단(31b)에 의해 구속된 상태, 다시 말해 상기 커버(30)의 일측 고정단(31b)과 상기 가이드부(28)의 일측단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 하측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통과공(21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2)의 직경은 상기 플런저(22)는 통과하되, 상기 플런저가이드(27)는 통과하지 못하는 소정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를 상기 가이드부(28)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런저(22)를 상기 관통공(32)을 통해 돌출시키거나, 상기 플런저통과공(21b)을 폐쇄하여 상기 플런저(22)를 삽입된 상태로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스위치(20)는 냉장고의 고내 벽면 또는 본체 전면에 설치되며, 냉장고 도어와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어스위치 커버(30)의 초기위치는 상기 커버(30)의 관통공(32)과 상기 케이스(21)의 플런저통과공(21b)이 동일 선상에 놓인 상태, 즉 상기 플런저통과공(21b)이 개방되어 상기 플런저(22)의 입출이 가능한 상태이다.
냉장고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도어스위치(20)의 플런저(22)는 케이스(21)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상기 케이스(21) 내측에서 상기 플런저(22)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가동단자(25)가 고정단자(26)로부터 이격되어 냉장고의 고내등이 소등된다. 그리고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플런저(22)는 내측의 탄성부재(2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케이스(21)의 플런저통과공(21b) 및 커버(30)의 관통공(3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동단자(25) 또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단자(26)와 접촉되어 냉장고의 고내등이 점등된다.
한 편,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하는 시간이 낮시간이거나 조명 등에 의해 냉장고 주변이 밝은 경우, 사용자는 고내등에 의한 조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된다. 그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플런저(22)를 내측으로 누르고 상기 커버(30)를 상기 가이드부(28)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플런저통과공(21b)폐쇄한다.
그렇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22)는 상기 커버(30)의 하면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구속되고, 상기 가동단자(2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자(26)와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냉장고의 고내등은 소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고내등을 다시 점등시키고자 하면, 사용자는 다시 상기 커버(30)를 이동시켜 상기 커버(30)의 관통공(32)을 상기 플런저통과공(21b)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플런저(22)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냉장고 고내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스위치의 플런저통과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고내등을 선택적으로 소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30)의 저면이 플런저가이드(27)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나, 상기 플런저가이드(27)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30)의 저면이 상기 케이스 상면(21a)에 밀착되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부(28)는 낮은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커버(30)의 체결턱(31a)은 상기 커버(30)의 길이방향 측단에 직접 형성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28)에 마주보는 걸림턱(28a)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30)에 하측으로 연장된 측면(31)과 상기 측면(31)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턱(31a)를 형성하였으나, 이는 상기 커버(30)가 상하방향 유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런저통과공(21b)을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30)에 관통공(32)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커버(30)를 관통공(32)이 형성되지 않은 작은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28)의 길이를 상기 커버(30)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커버(30)가 상기 가이드부(28)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플런저통과공(21b) 및 플런저가이드(27)가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버(30)는 그 저면이 상기 플런저가이드(27)의 상단부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런저통과공(2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커버(30)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커버(30)를 힌지로 체결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커버(30)의 힌지체결부 타측에 필요한 경우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구조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도어스위치를 구속하여 고내등을 소등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손쉽게 다시점등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내에 조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고내등을 소등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고내등 점등으로 인한 소비전력 상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와;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외로 입출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기구적으로 전환시키는 플런저와;
    상기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커버가 체결되고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통공을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의 통공을 개방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KR1020000038597A 2000-07-06 2000-07-06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KR10034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597A KR100340845B1 (ko) 2000-07-06 2000-07-06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IL14408601A IL144086A0 (en) 2000-07-06 2001-07-01 Door switch for refrigerator
US09/897,974 US20020003083A1 (en) 2000-07-06 2001-07-05 Door switch for refrigerator
MXPA01006888A MXPA01006888A (es) 2000-07-06 2001-07-05 Interruptor de puerta para refrigerador.
CNB011200375A CN1248265C (zh) 2000-07-06 2001-07-06 冰箱门开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597A KR100340845B1 (ko) 2000-07-06 2000-07-06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571A KR20020004571A (ko) 2002-01-16
KR100340845B1 true KR100340845B1 (ko) 2002-06-20

Family

ID=1967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597A KR100340845B1 (ko) 2000-07-06 2000-07-06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003083A1 (ko)
KR (1) KR100340845B1 (ko)
CN (1) CN1248265C (ko)
IL (1) IL144086A0 (ko)
MX (1) MXPA010068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31B1 (ko) 2015-01-05 2017-04-24 전영환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701B1 (ko) * 2002-04-17 2008-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스위치
CN100348934C (zh) * 2003-03-21 2007-1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用门开关
CN100348933C (zh) * 2003-05-22 2007-1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的门开关
KR101451659B1 (ko) * 2008-04-15 2014-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CN101958196B (zh) * 2010-09-17 2013-08-21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行程限位装置
JP6121802B2 (ja) * 2012-10-12 2017-04-2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3971957A (zh) * 2013-01-31 2014-08-06 上海永星电子开关有限公司 一种冰箱门开关
US9696084B1 (en) * 2016-09-15 2017-07-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ght switch for door in door refrigerator
CN106449194A (zh) * 2016-10-28 2017-02-22 福建星海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限位开关触发装置
US11131132B2 (en) * 2017-09-28 2021-09-28 Ergomat, Inc. Gate supportive, signal transmitting hinge
CN110873507B (zh) * 2018-09-03 2021-04-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双层门结构的冰箱
EP3663683A1 (en) * 2018-12-03 2020-06-10 Industria Tecnica Valenciana, S.A. Stop sensor for an ice machine
CN112444078B (zh) * 2019-08-28 2022-06-2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可实现重心内移的冰箱
KR20210095415A (ko) * 2020-01-23 2021-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631B1 (ko) 2015-01-05 2017-04-24 전영환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2463A (zh) 2002-01-23
CN1248265C (zh) 2006-03-29
KR20020004571A (ko) 2002-01-16
US20020003083A1 (en) 2002-01-10
IL144086A0 (en) 2002-05-23
MXPA01006888A (es)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845B1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US6022131A (en) Room lighting unit for vehicles
JP4456521B2 (ja) 自動車用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6310151A5 (ko)
US20070187195A1 (en) Glove box lamp switch
KR100814517B1 (ko) 글로브박스 램프 작동용 댐퍼 일체형 스위치장치
US6273593B1 (en) Door and manually actuated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US6150622A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for refrigerators and similar
US6742917B2 (en) Vanity mirror
US20050007765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a purse
JPH03217353A (ja) 自動車用のサンバイザ
KR200263755Y1 (ko)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KR20030017254A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KR100848701B1 (ko) 냉장고용 도어스위치
KR100312562B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스위치 조작장치
KR0119895Y1 (ko) 냉장고 도어스위치
KR100832491B1 (ko)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KR101400984B1 (ko) 차량용 실내등
KR950004340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조명 장치
KR20020009894A (ko) 자동차의 도어스위치
KR100269762B1 (ko)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KR200265577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200371146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100402610B1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