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755Y1 -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755Y1
KR200263755Y1 KR2020010033449U KR20010033449U KR200263755Y1 KR 200263755 Y1 KR200263755 Y1 KR 200263755Y1 KR 2020010033449 U KR2020010033449 U KR 2020010033449U KR 20010033449 U KR20010033449 U KR 20010033449U KR 200263755 Y1 KR200263755 Y1 KR 200263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ixed terminal
fixed
ro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문
Original Assignee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3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755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18)가 설치되는 패드(4); 상기 패드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관(8); 상기 슬라이드관 내부에 삽입되어 그의 길이방향으로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10); 한쪽 부위가 차량의 루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절곡된 기다란 파이프 형상으로서, 일지점에 상기 슬라이더(10)가 고정 결합되어 그와 함께 상기 슬라이드관을 따라 기동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연장된 전선(20)이 통과되며, 다른 한쪽 부위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판형상의 고정단자(22)가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로드(6); 상기 패드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 및 고정단자(22)와 상대적 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단자와 상기 램프와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패드와 상기 로드의 상대적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의 외주면에 파이프 형상으로 밀착되는 이동단자(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Slide type sun visor having a illuminator}
본 고안은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선바이저는 운전석 정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조사됨으로써 운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운전석 상단에 설치되는 패널 또는 패드형태의 운전 보조수단이다. 선바이저는 보통 운전석 뿐만 아니라 조수석에도 설치되는 것이 일반이다.
한편, 선바이저는 운전석 상부의 루프에 장착되므로 그의 길이에 있어 제한이 따르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특히 해가 기울었을 때 차창을 통해 측부 후방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경우 그 빛을 차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선바이저를 도어측 창으로 위치를 이동시킨 후 슬라이드식으로 그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방식의 선바이저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또한 위의 슬라이드식과는 별개로, 패드 자체에 거울과 더불어 그 측방에 램프와 같은 조명수단이 사용자의 편이를 위해 설치된 선바이저가 제공되고 있다. 선바이저는 일단이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선바이저에 램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은 루프의 내장재를 통해 패드로 공급된다. 이 때, 위에서 언급된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에 조명수단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선바이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방법이 문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수단이 설치된 슬라이드식 선바이저를 제공함에 있어서, 유용한 전기적 접속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아니하며, 전기를 조명수단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선바이저의 단자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2는 단자부 및 슬라이드관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단자홀더를 A-A방향으로 부분 절단하여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내지 도 3의 이동단자(24)의 단면도이다.
도 5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의 단면도로서, 도 5a는 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도 5b는 단자가 접속해제된 상태를 패드의 위치와 함께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선바이저 4 ; 패드
6 ; 로드 8 ; 슬라이드관
10 ; 슬라이더 12 ; 마개
14 ; 이동단자 홀더 16 ; 거울
18 ; 램프 20 ; 전선 22 ; 고정단자 24 ; 이동단자
거울 및 램프가 설치되는 패드; 상기 패드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관; 상기 슬라이드관 내부에 삽입되어 그의 길이방향으로 피스톤과 유사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 한쪽 부위가 차량의 루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절곡된 기다란 파이프 형상으로서, 일지점에 상기 슬라이더가 고정 결합되어 그와 함께 상기 슬라이드관을 따라 기동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연장된 전선이 통과되며, 다른 한쪽 부위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판형상의 고정단자가 원주방향을 따라 밀착 고정되는 로드; 상기 패드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 및 고정단자와 상대적 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단자와 상기 램프와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패드와 상기 로드의 상대적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의 외주면에 파이프 형상으로 밀착되는 이동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단자는 상기 고정단자가 상기 이동단자 내부로 인입되어 있을 때, 고정단자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곳곳에 돌출부가 내향 돌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단자가 상기 로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만 설치되며, 동시에 상기 이동단자 또한 패드를 펼친 위치에서 이동단자와 접속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에만 설치됨으로써, 상기 램프로 하여금 상기 패드를 루프로부터 펼쳐졌을 때만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2는 단자부 및 슬라이드관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단자홀더를 A-A방향으로 부분 절단하여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이동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5a,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의 단면도로서, 단자부의 형상 변경에 따른 패드의 위치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선바이저(2)는 기본적으로, 한정된 패드(4)의 면적으로 다양한 방향에서 조사되는 빛을 가릴 수 있도록 패드(4)가 로드(6)로부터 그의 길이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는 슬라이드식이다. 이를 위해 패드 내부에 슬라이드구조가 마련되는데, 이는 슬라이드관(8)과 그 내부에 밀착하여 끼워져 피스톤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10)로 구성된다. 슬라이더(10)에는 로드(6)가 관통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슬라이드관은 패드에 설치된다. 슬라이드관은 보통 스치로폼 내지 우레탄폼에 의해 성형되는 구조물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고정 설치되지만, 중공성형에 의한 것도 무방하다.
슬라이드관의 일측에는 마개(12)와 유사한 끼움부재가 끼워져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로드의 임의적 유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의 타측은 후술되는 이동단자홀더(14)가 마개의 기능을 하도록 슬라이드관에 삽입 고정된다.
로드(6)는 일단이 절곡된 상태이며, 일단은 차량의 루프 상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로드의 구체적 형상 및 루프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패드의 내부에는 거울(16) 및 조명수단인 램프(18)가 설치된다. 램프(18)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공급을 받게 된다. 이를 위해 배터리로부터 연장된 전선(20)은 차량의 루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로드(6)의 내부를 따라 고정단자(22)까지 연장된다. 더 상세하게는, 로드(6)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선(20)이 그 내부를 통과하며, 로드의 반대단에 설치되는 고정단자(22)와 납땜으로 연결된다. 고정단자는 판형상으로서 로드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감겨져 장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스·마이너스 극으로 각각 분리되어 장착된다.
슬라이드관의 측부에는 단자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이동단자홀더(14, 이하, 홀더라 한다)가 패드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된다. 일단에 클립방식 또는 납땜에 의해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원통형의 이동단자(24)는 홀더(14)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그 내부를 통해 로드(로드의 외주면에 설치된 고정단자를 포함)가 밀착된 상태로 인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이동단자(24)는 패드와 함께 움직이며,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가 로드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단자간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즉, 도 1에 표시된 바는 패드가 약간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는 패드를 로드로부터 인출하는 때는 램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낮 또는 저녁 무렵이기 때문이다.
단자간의 전기적 접속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 이동단자에 제공되는데,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보면, 이동단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곳곳에 돌출부(26)가 내향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는 로드의 고정단자(22)가 이동단자(24) 내부로 인입되어 있을 때, 고정단자(22)의 외면을 압박함으로써 단자간 접속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홀더(14)는 횡방향으로 로드가 삽입되는 구멍(14a)이 형성되며, 세로방향으로는 서로 다른 극성의 이동단자가 절연된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4b)이 마련된다.
램프를 직접 점소등하기 위한 스위치(도시생략)가 거울의 측방 등 패드의 일곳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단자(22)와 이동단자(24) 간의 접속이 상기 거울을 보고자 선바이저의 패드를 펼쳤을 때에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스위치를 켜놓은 상태에서도 패드를 루프에 밀착시키게 되면 램프가 자동적으로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자(22)를 로드(6)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구간에만 설치하며, 동시에 패드(4) 및 슬라이드관(8)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단자(24) 또한 패드를 펼친 위치에서 이동단자와 접속될 수 있는 구간에만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5a는 조명이 필요할 상황에서 패드를 루프로부터 펼친 상태 즉, 단자가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5b는 패드는 루프에 밀착시켰을 때 즉, 단자간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이동단자는 패드와 함께 회전을 포함하여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 에서는 이해의 편이를 위해 이동단자를 고정하는 홀더(14) 및 고정단자가 설치되는 로드(6)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동단자와 고정단자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물론 절연체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에도 조명수단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며, 그렇게 함에도 불구하고 선바이저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또한, 단자간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램프를 안정적으로 점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거울(16) 및 램프(18)가 설치되는 패드(4); 상기 패드 내부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관(8); 상기 슬라이드관 내부에 삽입되어 그의 길이방향으로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10); 한쪽 부위가 차량의 루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절곡된 기다란 파이프 형상으로서, 일지점에 상기 슬라이더(10)가 고정 결합되어 그와 함께 상기 슬라이드관(8)을 따라 기동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연장된 전선(20)이 통과되며, 다른 한쪽 부위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판형상의 고정단자(22)가 원주방향을 따라 밀착 고정되는 로드(6); 상기 패드(4)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 및 고정단자와 상대적 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단자와 상기 램프와의 전기적 연결이, 상기 패드와 상기 로드의 상대적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단자의 외주면에 파이프 형상으로 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단자(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가 이동단자 내부로 인입되어 있을 때, 고정단자의 외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단자(24)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곳곳에 돌출부(26)가 내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22)는 상기 로드(6)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구간에만 설치되며; 동시에 상기 이동단자(24)는 그를 고정하는 홀더(14)의 내주면 일정구간에만 설치됨으로써; 상기 패드(4)를 루프로부터 펼쳐졌을 때만 상기 램프가 점등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KR2020010033449U 2001-11-01 2001-11-01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KR200263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449U KR200263755Y1 (ko) 2001-11-01 2001-11-01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449U KR200263755Y1 (ko) 2001-11-01 2001-11-01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755Y1 true KR200263755Y1 (ko) 2002-02-09

Family

ID=7311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449U KR200263755Y1 (ko) 2001-11-01 2001-11-01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75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92B1 (ko) 2008-10-16 2010-07-22 주식회사 용산 선바이저용 스위치
KR101315312B1 (ko) 2011-07-27 2013-10-04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모니터 고정장치
KR20180085519A (ko)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도남알루메탈 차량용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의 슬라이드관 성형방법
KR101989554B1 (ko) 2018-02-08 2019-06-14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선바이저용 모듈
KR20200134829A (ko) 2019-05-23 2020-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출식 선바이저
KR20200134830A (ko) 2019-05-23 2020-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 수납식 선바이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92B1 (ko) 2008-10-16 2010-07-22 주식회사 용산 선바이저용 스위치
KR101315312B1 (ko) 2011-07-27 2013-10-04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모니터 고정장치
KR20180085519A (ko)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도남알루메탈 차량용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의 슬라이드관 성형방법
KR101989554B1 (ko) 2018-02-08 2019-06-14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선바이저용 모듈
KR20200134829A (ko) 2019-05-23 2020-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출식 선바이저
KR20200134830A (ko) 2019-05-23 2020-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 수납식 선바이저
US11124049B2 (en) 2019-05-23 2021-09-21 Hyundai Motor Company Sun visor stored in and withdrawn from a vehicle roof panel
US11241943B2 (en) 2019-05-23 2022-02-08 Hyundai Motor Company Sun visor stored in a vehicle ro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839A (en) Vehicular sun visor assembly
US5205639A (en) Vehicular sun visor assembly
US7201427B2 (en) Sun visor assembly
EP0317284A1 (en) Two-way vanity mirror visor
JPH0159124B2 (ko)
JP4456521B2 (ja) 自動車用プッシュスイッチ
US5533776A (en) Sun visor for motor vehicles
EP2813385B1 (en) Sunvisor for vehicles
KR200263755Y1 (ko)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JP2006310151A5 (ko)
AU2001296360A1 (en) Motor vehicle door assembly with canopy assembly
JP2006506275A (ja) カバー付き照明付きバニティミラー組立体
EP0865967A3 (de) Rückblickspiegel-Anordnung für Nutzfahrzeuge, insbesondere Omnibusse
AU2001237959A1 (en) Vanity mirror lamp assembly with replaceable battery
JPH0144529B2 (ko)
KR100340845B1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EP0217818A1 (en) Sun visor for a motor vehicle
US10549686B2 (en) Light bar for a motor vehicle
US5975708A (en) Visor with pivoting vanity mirror assembly
JP2574570B2 (ja) 車両用のサンバイザ
JPH03132421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200397784Y1 (ko)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의 전원연결구조
KR100692276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선바이저 시스템
JP3335903B2 (ja) 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100581127B1 (ko) 선바이져 장착 클립의 전기적 와이어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