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692B1 - 선바이저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선바이저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692B1
KR100971692B1 KR1020080101407A KR20080101407A KR100971692B1 KR 100971692 B1 KR100971692 B1 KR 100971692B1 KR 1020080101407 A KR1020080101407 A KR 1020080101407A KR 20080101407 A KR20080101407 A KR 20080101407A KR 100971692 B1 KR100971692 B1 KR 10097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terminal
switch
reciprocating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317A (ko
Inventor
유재덕
류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to KR102008010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6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통전될 수 있도록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경로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왕복이송부재; 및 소정의 전기장치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경로의 상기 제2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제1ㆍ제2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왕복이송부재는, 상기 선바이저가 상측으로 접힌 경우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선바이저가 하측으로 펴진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송되어 상기 제1ㆍ제2단자와 서로 접촉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바이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중력에 따른 왕복이송부재의 이송에 의해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되도록 구비되고, 독립적으로 대량 생산되어 직접 선바이저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접촉 마모로 인한 작동 에러의 발생 또는 제조시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미러 램프의 스위치로 사용될 경우, 선바이저의 위치 변화에 의한 1차 스위칭 작용뿐만 아니라, 미러의 사용 여부에 따른 2차 스위칭 작용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미러의 사용 여부에 따른 스위칭 작용을 하는 별도의 스위치 구비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선바이저, 스위치, 미러 램프, 중력

Description

선바이저용 스위치 {Switch for sun-visor}
본 발명은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 마모로 인한 작동 에러의 발생 또는 제조시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선바이저의 위치 변화에 의한 1차 스위칭 작용 뿐만 아니라, 소정의 전기장치의 사용 여부에 따른 2차 스위칭 작용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주간 주행 중에는 윈드쉴드 글래스와 도어 글래스를 통해 태양으로부터 강한 빛이 운전자의 눈으로 조사되어 안전운전을 방해할 정도로 눈이 부시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 실링에는 운전자 및 조수자의 눈에 조사되는 강한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선바이저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선바이저에는 운전자 또는 조수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미러를 사용할 때 운전자 또는 조수자의 얼굴을 비추는 미러 램프 등과 같은 소정의 전기장치를 작동시키는 선바이저용 스위치가 종종 구비된다.
이렇게 선바이저에 구비되는 소정의 전기장치는 선바이저가 상측의 탑 실링 측으로 접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원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구비되는 이유는, 선바이저가 탑 실링 측으로 접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선바이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의 작동 상태 여부를 운전자 또는 조수자가 인지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선바이저가 접힌 채로 상기 전기장치가 작동되고 있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선바이저에는 그 사용 상태에 따라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선바이저용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의 일례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선바이저(10)의 회동축(20)에 설치되는 제1단자(21), 및 탑 실링(TS)이나 선바이저(10)의 패드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20)을 지지하는 지지부(30)에 설치되는 제2단자(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자(21) 및 제2단자(31)는 선바이저(10)에 구비되는 소정의 전기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가 탑 실링(TS) 측으로 접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제1단자(21) 및 제2단자(31)가 분리되어 상기 전기장치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펴져 사용될 때에는 제1단자(21) 및 제2단자(31)가 접촉되어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운전자 또는 조수자가 선바이저(10)를 접거나 폄에 따라, 제1단자(21)가 제2단자(31) 및 지지부(30)와 계속적 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고, 제2단자(31)는 제1단자(21) 및 회동축(20)과 계속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제1단자(21) 및 제2단자(31)가 마모 또는 파손되어 작동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선바이저(10) 제작 시에 제1단자(21) 및 제2단자(31)를 작업자가 회동축(20) 및 지지부(30)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제1단자(21) 및 제2단자(31)가 정확히 설치되지 못한 제조시의 불량이 종종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의 다른 예는, 회동축(20)에 캠 구조가 형성되고, 돌출 형태로 구비되어 가압됨에 따라 이송되어 스위치 온 되며 가압 해제됨에 따라 다시 돌출되어 스위치 오프 되는 돌출 구조가 지지부(30)에 구비된다. 따라서,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펴져 사용될 때에만 회동축(20)의 캠 구조가 돌출 구조를 가압하여 전기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도 캠 구조와 돌출 구조가 반복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됨에 따라 마모 또는 파손되어 작동 에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가 구비된 선바이저(10)는 선바이저(10) 제작 시에 작업자가 캠 구조를 갖는 회동축(20)을 돌출 구조에 인서트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회동축(20)의 캠 구조가 돌출 구조에 정확히 설치되지 못한 제조시의 불량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편,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가, 미러가 구비된 선바이저에 있어서 미러 램프를 작동시키는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선바이저(10)의 사용 상태에 따른 1차 스위칭 작용뿐 아니라, 미러 커버의 개폐에 따른 2차 스위칭 작용이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1차 스위칭 작용만을 수행하고, 미러 커버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를 선바이저(10)에 설치하여 상기한 2차 스위칭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2차 스위칭 작용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스위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 및 제조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지단자의 접촉 마모가 발생되지 않고, 제조시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 구성요소의 개폐 여부에 따른 2차 스위칭 작용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선바이저용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내부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통전될 수 있도록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경로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왕복이송부재; 및 소정의 전기장치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경로의 상기 제2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제1ㆍ제2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왕복이송부재는, 상기 선바이저가 상측으로 접힌 경우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선바이저가 하측으로 펴진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송되어 상기 제1ㆍ제2단자와 서로 접촉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이송경로는, 상기 선바이저가 상측으로 접힌 경우에 왕복이송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위치의 전방측으로 형성되는 상부수용홈; 및 상기 선바이저가 하측으로 펴진 경우에 왕복이송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위치의 후방측으로 형성되는 하부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이송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옆면이 상기 제1ㆍ제2단자와 서로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경로는, 상기 왕복이송부재의 왕복 이송을 안내하도록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상기 이송경로에는, 상기 왕복이송부재가 왕복 이송될 때, 상기 이송경로 내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송경로를 밀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장치는 미러 램프로 구비되고, 상기 미러 램프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선바이저에 구비된 미러 커버가 열리면 가압되어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미러 커버가 닫히면 가압 해제되어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와 분리되는 제3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자는, 상기 미러 커버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중심부가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의하면, 선바이저의 사용 여부에 의한 접힘 또는 펴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왕복이송부재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송경로 내에서 왕복 이송되어 제1단자 및 제2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구성요소 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 따른 작동 에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선바이저의 제조시 선바이저의 구성요소에 설치되는 형태가 아니라, 독립적으로 대량 생산되어 직접 선바이저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제조시의 불량 발생도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선바이저용 스위치가 선바이저의 미러 램프의 스위치로 사용될 경우, 미러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2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는 제3단자가 구비되어, 선바이저의 위치 변화에 의한 1차 스위칭 작용 뿐만 아니라, 미러의 사용 여부에 따른 2차 스위칭 작용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미러의 사용 여부에 따른 스위칭 작용을 하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이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몸체부(100), 왕복이송부재(200), 제1단자(300), 제2단자(400) 및 제3단자(5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선바이저용 스위치의 몸체를 이루고, 그 내부에 이송경로(11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경로(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100)의 일단부에 위치되는 제1위치(P1)에서 타단부에 위치되는 제2위치(P2)에 이르기까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경로(110)는 후술되는 왕복이송부재(200)가 이탈되지 않고 중력에 따라 그 내부에서 부드럽게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왕복이송부재(200)의 크기에 대응되는 소정의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경로(110)에는 왕복이송부재(200)가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까지 이송된 경우, 왕복이송부재(200)가 중력에 의해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왕복이송부재(200)를 수용하는 상부수용홈(111) 및 하부수용홈(112)이 제1위치(P1)의 전방측 및 제2위치(P2)의 후방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수용홈(111)이 제1위치(P1)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중력의 방향인 아래쪽은 선바이저(10)의 전방측이기 때문에 왕복이송부재(200)는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부수용홈(11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용홈(112)이 제2위치(P2)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접혀질 때 왕복이송부재(200)가 중력에 의해 하부수용홈(112)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왕복이송부재(200)는 하부수용홈(112)에 수용되어 있는데, 이 하부수용홈(112)이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 힌 상태에 있어 중력의 방향에 반대인 위쪽, 즉 선바이저(10)의 후방측에 형성됨으로써,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힐 때 왕복이송부재(200)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수용홈(112)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혀진 상태에는 왕복이송부재(200)가 상부수용홈(111)에 안정적으로 수용 위치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펼쳐진 상태에는 왕복이송부재(200)가 하부수용홈(112)에 안정적으로 수용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선바이저(10)가 다시 상측으로 접혀지면, 왕복이송부재(200)가 중력에 의해 하부수용홈(112)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어 상부수용홈(111)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왕복이송부재(200)는 통전될 수 있도록 도체로 이루어지고, 이송경로(110) 내에 위치되어 이송경로(110)를 따라 왕복 이송된다. 이때, 상기 왕복이송부재(200)는 선바이저(1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중력에 의해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소정의 밀도 이상을 갖는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왕복이송부재(200)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재질이면서 통전성을 갖는 구리, 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부재(20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 이유는, 원기둥 형상은 왕복 이송될 때 회전될 수 있어 자연스러운 이송이 가능하고, 그 옆면이 넓어 후술되는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왕복이송부재(2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복이송부재(200)의 양 끝단부는 중심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경로(110)의 내주면에는 왕복이송부재(200)의 왕복 이송을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된 안내부(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이송부재(200)의 중심부의 직경이 작게 구비되므로 왕복이송부재(200)의 왕복 이송은 안내부(113)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안내부(113)는 왕복이송부재(200)의 양 끝단부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되어 왕복이송부재(200)의 이송경로(110)에서의 이탈은 방지함으로써, 왕복이송부재(200)의 왕복 이송을 안내한다.
즉, 왕복이송부재(200)의 양 끝단부가 돌출 형성된 안내부(113)에 걸리면서 왕복이송부재(200)가 이송경로(1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왕복이송부재(200)의 왕복 이송이 안내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13)는 이송경로(110)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 형태로 구비되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왕복이송부재(200)의 왕복 이송을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바(bar)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왕복이송부재(200)가 이송경로(110)의 내부에서 중력에 따라 부드럽게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경로(110)의 내면에는 왕복이송부재(20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유와 같은 윤활제(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윤활제의 윤활 기능이 장시간 지속되고 윤활제에 의해 선바이저(10)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 체부(100)에는 이송경로(1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밀폐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이송경로(110)는 양측 옆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므로, 밀폐부재(120)는 그 양측 옆면을 각각 밀폐시키는 덮개 형태로 두 개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밀폐부재(120)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부(100) 및 이송경로(110)의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작은 크기의 마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는 미러 램프 등과 같이 선바이저(10)에 구비되는 소정의 전기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미도시)에 연결되어,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혔을 경우에는 상기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전기장치에 대한 1차 스위칭 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는 상기 제2위치(P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는 그 일단이 이송경로(110) 내에 위치되어, 왕복이송부재(200)가 이송경로(110)의 하부로 이송되면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와 동시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펼쳐져 왕복이송부재(200)가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 측으로 이송되면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와 왕복이송부재(200)가 접촉되면서, 도체인 왕복이송부재(200)를 통해 제1 단자(300)와 제2단자(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다시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혀지면, 왕복이송부재(200)가 이송경로(110)를 따라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 측으로 이송되어 왕복이송부재(200)가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와 분리되면서, 제1단자(300)와 제2단자(400)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선바이저(10)의 위치에 따라 왕복이송부재(200)가 왕복 이송되면서, 제1단자(300)와 제2단자(400)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전기장치 작동에 대한 1차 스위칭 작용이 수행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그 구성요소들이 몸체부(100)에 구비된 형태로 독립적으로 생산되어 선바이저(10)에 장착되는 형태이므로 제조시의 불량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된 제3단자(500)는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기장치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그 조작에 따라 전기장치에 전력이 공급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전기장치에 대한 2차 스위칭 작용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전기장치가 미러 램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제3단자(500)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3단자(500)는 선바이저(10)가 하측으로 펼쳐진 상태라 하더라도 미러 커버(11)가 닫힌 경우에는 미러 램프를 작동시키는 회로가 개방되어 미러 램프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미러를 사용하기 위해 미러 커버(11)를 연 경우에는 미러 램프를 작동시키는 회로를 단락시켜 미러 램프에 전력이 공급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3단자(5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램프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면서 통전될 수 있는 구리, 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단자(500)의 일단부는 제2단자(400)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제2단자(400)의 후방측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단자(500)의 중심부에는 미러 커버(11)와 접촉 또는 분리되어 미러 커버(11)에 의해 가압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제3단자(500)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절곡부(510)가 돌출 형성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510)는 미러 커버(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단자(4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 개방되는 미러 커버(11)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커버(11)가 이송되어 개방되면, 절곡부(510)가 미러 커버(11)와 접촉되어 제2단자(400) 측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제3단자(500)의 일단이 제2단자(400)와 접촉됨으로써, 제2단자(400)와 제3단자(5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미러 커버(11)가 이송되어 닫히게 되면, 절곡부(510)에 대한 미러 커버(11)의 가압은 해제되고, 제3단자(500)의 탄성력에 의해 그 위치가 복원되고 제2단자(400) 및 제3단자(500)는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러 커버(11)를 개폐시킴으로써 미러를 사용하거나 사용 하지 않음에 따라, 제3단자(500)가 2차 스위칭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단자(500)는 제2단자(400)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단자(300)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미러 램프와 같은 상기 전기장치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는 왕복이송부재(200)의 이송에 따라 1차 스위치 온 되고, 제3단자(500)가 가압됨에 따라 2차 스위치 온 된 경우에만, 전기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어느 하나라도 스위치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이하, 계속해서 상기 전기장치가 미러 램프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의 작동 및 작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선바이저(10)가 상측으로 접혀져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이송부재(200)가 이송경로(110)의 제1위치(P1) 측의 상부수용홈(111)에 위치되고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는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미러 램프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바이저(10)를 사용하기 위해 하측으로 펼친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이송부재(200)가 중력에 의해 제2위치(P2) 측으로 이송되어 이송경로(110)의 하부수용홈(112)에 위치되면서 제1단자(300) 및 제2단자(400)와 접촉되어 1차 스위치 온 상태가 된다. 즉, 도체인 왕복이송부재(200)에 의해 제1단자(300)와 제2단자(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제1단자(300)와 제2단자(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더라도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커버(11)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단자(400)와 제3단자(500)가 분리되어 있어 2차 스위치 오프 상태이므로 미러 램프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미러 커버(11)가 개방되면 제3단자(500)가 미러 커버(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2단자(400)와 접촉되어 2차 스위치 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1차 스위치 온 및 2차 스위치 온 상태가 되어 미러 램프에 전력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는, 선바이저(1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면, 중력에 의한 왕복이송부재(200)의 이송으로 1차 스위칭 작용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전기장치 사용 여부에 따라 제3단자(500)에 의해 2차 스위칭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스위치로 1차 및 2차 스위칭 작용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있어서, 선바이저가 탑 실링 쪽으로 접힌 스위치 오프(Switch off)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있어서, 선바이저가 회동되어 탑 실링의 하측으로 펼쳐진 스위치 온(Switch on)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가 장착된 선바이저를 외피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있어서, 선바이저가 탑 실링 쪽으로 접힌 1차 스위치 오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 2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있어서, 선 바이저가 탑 실링의 하측으로 펼쳐진 1차 스위치 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있어서, 미러 커버가 닫힌 2차 스위치 오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 2에 도시된 B-B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바이저용 스위치에 있어서, 미러 커버가 열린 2차 스위치 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선바이저 11 : 미러 커버
100 : 몸체부 110 : 이송경로
111 : 상부수용홈 112 : 하부수용홈
113 : 안내부 120 : 밀폐부재
200 : 왕복이송부재 300 : 제1단자
400 : 제2단자 500 : 제3단자
510 : 절곡부 P1 : 제1위치
P2 : 제2위치

Claims (8)

  1. 선바이저에 구비되는 스위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이송경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통전될 수 있도록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경로 내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왕복이송부재; 및
    소정의 전기장치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이송경로의 상기 제2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제1ㆍ제2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왕복이송부재는,
    상기 선바이저가 상측으로 접힌 경우에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선바이저가 하측으로 펴진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송되어 상기 제1ㆍ제2단자와 서로 접촉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는,
    상기 선바이저가 상측으로 접힌 경우에 왕복이송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위치의 전방측으로 형성되는 상부수용홈; 및
    상기 선바이저가 하측으로 펴진 경우에 왕복이송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위치의 후방측으로 형성되는 하부수용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옆면이 상기 제1ㆍ제2단자와 서로 접촉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는,
    상기 왕복이송부재의 왕복 이송을 안내하도록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상기 이송경로에는,
    상기 왕복이송부재가 왕복 이송될 때, 상기 이송경로 내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송경로를 밀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밀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는 미러 램프로 구비되고,
    상기 미러 램프를 작동시키는 전기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선바이저에 구비된 미러 커버가 열리면 가압되어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미러 커버가 닫히면 가압 해제되어 상기 제1단자 또는 상기 제2단자와 분리되는 제3단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자는,
    상기 미러 커버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중심부가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선바이저용 스위치.
KR1020080101407A 2008-10-16 2008-10-16 선바이저용 스위치 KR10097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07A KR100971692B1 (ko) 2008-10-16 2008-10-16 선바이저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07A KR100971692B1 (ko) 2008-10-16 2008-10-16 선바이저용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17A KR20100042317A (ko) 2010-04-26
KR100971692B1 true KR100971692B1 (ko) 2010-07-22

Family

ID=4221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407A KR100971692B1 (ko) 2008-10-16 2008-10-16 선바이저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6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208A (ko) * 1999-09-03 2001-04-06 윤종용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US6270240B1 (en) 1998-12-17 2001-08-07 Harness Systems Technologies Research, Ltd. Structure for illuminating sunvisor
KR200263755Y1 (ko) 2001-11-01 2002-02-09 광성기업 주식회사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US6368114B1 (en) 1998-12-17 2002-04-0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sunvisor
KR20020063755A (ko) * 2001-01-30 2002-08-05 에듀이북스 주식회사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240B1 (en) 1998-12-17 2001-08-07 Harness Systems Technologies Research, Ltd. Structure for illuminating sunvisor
US6368114B1 (en) 1998-12-17 2002-04-0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sunvisor
KR20010026208A (ko) * 1999-09-03 2001-04-06 윤종용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KR20020063755A (ko) * 2001-01-30 2002-08-05 에듀이북스 주식회사 전자 출판물 사용자의 정당성 인증방법
KR200263755Y1 (ko) 2001-11-01 2002-02-09 광성기업 주식회사 조명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17A (ko) 2010-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949B1 (en) Sun visor assembly
JP4422064B2 (ja) 照明装置
US6858812B2 (en) Push-button switch
EP3447856B1 (en) Adapter,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ghting device
GB2276271A (en) Switch device
KR100340845B1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KR100971692B1 (ko) 선바이저용 스위치
US2925592A (en) Multiple unit indicator with individual testing system
US20070187195A1 (en) Glove box lamp switch
US10549686B2 (en) Light bar for a motor vehicle
US5796057A (en) Rocker-type electrical switch
US20020126496A1 (en) Vanity mirror
CN101026050A (zh) 漏电流减小的继电器
RU212118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зеркала автомобиля
US5504287A (en) Tilt responsive underhood lamp switch assembly
JPH03132421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US5722759A (en) Lamp assembly with inverted pivot member
CN108400048A (zh) 摆动开关装置
US4055739A (en) Lighted toggle lever switch
US5868491A (en) Lamp with moveable housing switch
GB2033677A (en) Switched electrical connector
CN219446696U (zh) 一种汽车遮阳板和车辆
KR101125242B1 (ko) 램프가 설치된 차량용 손잡이
CN110491700A (zh) 开闭器用手柄锁止装置
US4549070A (en) Combined cigarette and chart/map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