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762B1 -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762B1
KR100269762B1 KR1019970043080A KR19970043080A KR100269762B1 KR 100269762 B1 KR100269762 B1 KR 100269762B1 KR 1019970043080 A KR1019970043080 A KR 1019970043080A KR 19970043080 A KR19970043080 A KR 19970043080A KR 100269762 B1 KR100269762 B1 KR 10026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ood
terminal
doo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683A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7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실내의 룸램프(room Lamp)와 무드램드(Mood Lamp)를 하나의 스위치로 연동하여 점소들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자동차 도어들의 개폐에 따라 각각 스위칭되는 복수의 도어스위치와, 이 도어스위치에 의하여 자동차 도어들중 하나라도 열리면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고 모두 닫히면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배터리 전원과 제어부 출력을 선택하고 또한 가변저항을 써서 품램프와 무드램프를 적절히 제어하는 램프스위치를 구비한다. 램프스위치는 슬라이드 조작되는 레버를 가지며, 그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룸램프를 제어부 출력으로 점등시키거나 배터리 전원을 직접 인가하여 조도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일정조도 이하에서는 무드램프를 연동시킨다. 개시된 장치는 하나의 슬라이드식 스위치로서 룸램프와 무드램프를 연동시키는 구조를 통해 조작의 편리 및 비용을 절감하는데 표과적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실내의 룸램프(Room Lamp_)와 무드램프(Mood Lamp)를 하나의 스위치로 연동하여 점소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램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램프중 룸램프 자동차 실내의 천정 부위 등에 위치하여 자동차 실내를 전체적으로 밝혀주기 위한 램프로서, 상시 온되는 온모드(On-Mode)와 상시 오프되는 오프모드(Off-Mode)와 자동차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온되는 도어모드(Door-Mode)를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무드램프는 여린 조도와 다양한 색상으로 자동차 실내의 분위기 연출을 위한 램프로서 자동차 실내의 소정 위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측면의 앞 뒤 유리창 사이의 기둥(Center Pillar)에 장착한다.
한편, 이러한 룸램프와 무드램프를 하나의 스위치로 간단하게 연동 조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된 룸램프와 무드램프를 하나의 스위치 조작으로 연동하여 점소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 램프 구동 장차에 대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의 스위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 : 배터리 20 : 도어스위치
30 : 제어부 40 : 램프스위치
41 : 금속바아 42 : 슬라이드레버
43 : 가변저항 44 : 마이크로스위치
45 : 탄성체 50 : 룸램프
60 : 무드램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자동차 도어들의 개폐에 따라 각가가 스위칭되는 복수의 도어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도어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도어들이 모두 닫히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어느 하나라도 열리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자동차 실내를 가변조도로 조명하기 위한 룸램프와; 자동차 실내를 분위기 연출을 위한 조도로 조명하기 위한 무드램프와; 상기 룸램프를 상기 제어부의 출력을 연결하여 도어개폐에 따라 점소등되게 하는 도어모드, 그 룸램프를 상기 배터리 전원측에 연결한 후 그 밝기를 조절하는 조도가변모드, 이 조도가변모드에서 룸램프가 일정조도 이하로 감소된 시점부터 상기 무드램프를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하여 함께 점등시키는 무드연동모드, 그리고 룸램프가 최소밝기로 되는 조도가변모드의 끝에서 그 룸램프를 소등하면서 무드램프를 점등상태를 유지하는 무드모드로 전환조작되는 램프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스위치를, 상기 룸램프 및 무드램프 모두 소등하기 위한 오프단자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이 인가되는 도어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직접 인가되는 온단자와, 이 온단자에 일단이 접속되어 이동접촉을 위한 단자구간을 형성하며 그 접점 위치에 따라 온단자 위치부터 저항값이 점차 증가하게 놓인 가변저항, 이 가변저항 끝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무드단자와, 상기 단자들을 이동접촉하도록 조작되는 통전가능한 슬라이드레버와, 이 슬라이드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룸램프와 접속된 통전가능한 금속바와, 상기 가변저항이 형성하는 단자구간의 일정지점부터 상기 무드단자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버에 연동되는 탄성체 및 이 탄성체의 연동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무드램프에 인가하도록 스위칭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보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배터리(10), 도어스위치(20), 제어부(30), 램프스위치(40), 룸램프(50) 및 무드램프(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룸램프(50)는 통상 자동차 실내의 천정 부위에 설치되어 자동차 실내를 밝혀주는 램프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전압조정 방식으로 그 조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무드램프(60)는 자동차 실내를 분위기 있는 조도나 색으로 조명하여 무드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터리(10)는 자동차에서 필요한 소정 직류 전원(예를 들면, 12V)을 공급한다.
그리고, 도어스위치(20)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차 도어들의 개폐에 의거하여 각각 스위칭 온/오프되어 도어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30)로 인가한다.
제어부(30)는 도어스위치(20)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차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며, 룸램프(50)를 자동차 도어들중 하나라도 열리면 점등시키고 모두 닫히면 소등하도록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이를 도어모드(door mode)라 한다.
한편, 램프스위치(40)는 사용자가 룸램프(50)와 무드램프(60)를 점소등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룸램프(50) 및 무드램프(60) 모두 소등상태인 오프모드(off mode)로 두도록 개방된 오프단자(OFF1)와, 상기한 도어모드를 위한 제어부(30)의 출력이 인가되는 도어단자(DOOR)와, 배터리(10)의 전원이 직접 인가되어 룸램프(50)를 자동차 도어와 관계없이 최대밝기로 점등시키는 온모드(on mode)를 위한 온단자(ON)와, 이 온단자(ON)에 일단이 접속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드레버(42)의 이동접촉단자 구간을 형성하며 그 접촉위치에 따라 온단자(ON) 위치부터 점차 저항값이 증가하게 놓인 가변저항(43)과, 이 가변저항(43)의 끝에서 간격을 두고 개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 무드단자(OFF2)와, 이상의 단자들을 슬라이드식으로 이동접촉하도록 조작되고 통전되는 슬라이드레버(42)와, 상술한 단자들과 나란히 놓여서 슬라이드레버(42)의 이동조작을 안내하고 상기한 룸램프(50)와 접속되어 통전되는 금속바아(41)와, 상기한 무드램프(60)가 점등되는 무드모드(mood mode)를 위해 일단, 상기 가변저항(43)이 형성하는 이동접촉단자 구간의 일정지점부터(바람직하게는 룸램프의 조도가 30% 정도로 감소되는 지점으로 설정한다) 상기 무드단자(OFF2)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버(42)에 연동되는 탄성체(45)를 가지고 있고 이 탄성체(45)의 연동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무드램프(60)에 인가하도록 스위칭되는 마이크로스위치(44)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자동차의 램프구동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램프스위치(40)의 슬라이드레버(41)가 오프단자(OFF1)에 연결되면 룸램프(50)와 무드램프(60) 모두 소등된다.
모두 소등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조작에 의거하여 슬라이드레버(41)가 금속바아(41)에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어 도어단자(DOOR)에 접촉되면 제어부(30)는 복수의 도어스위치(20)의 상태 즉, 자동차 도어들의 각 개폐 상태에 따라서 자동차 도어중 어느 하나라도 열리면 도어단자(DOOR)에 인가되는 제어부(30)의 출력전압으로 룸램프(50)가 점등되고, 무드램프(60)는 여전히 소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물론, 자동차 도어들이 모두 닫히면 제어부(30)의 출력전압이 없으므로 룸램프(50)가 소등되어진다.
슬라이드레버(41)가 상기 도어단자(DOOR)에서 온단자(ON)로 이동조작되면, 배터리(10)의 전원이 직접 품램프(50)로 인가되므로 룸램프(50)는 자동차 도어들과 무관하게 항상 최대밝기로 점등되는 온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슬라이드레버(41)가 온모드를 위한 단자(ON)를 벗어나 가변 저항(43)의 이동접촉단자 구간을 이동하도록 조작되면, 그 이동위치에 따라 가변저항(43)의 저항값이 가변되고 따라서 그 가변된 저항값의 비율에 따라 배터리 전원 전압이 분압되어 룸램프(50)의 조도가 감소되는 조도가변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조도가변모드에서는, 슬라이드레버(42)가 가변 저항(43)이 형성하는 그 이동접촉단자 구간의 소정 지점(A), 즉 룸램프(50)의 조도가 30% 정도로 감소되는 위치에서부터 무드단자(OFF2)에 대응하여 놓인 마이크로스위치(44)의 탄성체(45)가 그 슬라이드레버(42)에 눌리게 되어 마이크로스위치(44)가 턴온된다. 따라서 이때부터는 무드램프(60)가 상기 룸램프(50)와 함께 점등되는 소위 무드연동모드로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무드연동모드는 상기 슬라이드레버(42)가 상기 가변저항(43)의 이동접촉단자 구간의 끝 지점까지 슬라이드 조작되는 동안 이행된다. 슬라이드레버(42)가 그 이동접촉단자 구간의 끝 지점을 벗어나 무드단자(OFF2)에 놓이면, 상기 룸램프(50)의 조도가변모드 및 그 룸램프(50)와 무드램프(60)를 함께 점등시키는 무드연동모드는 종료되면서 무드램프(60)만이 점등되는 무드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실내 조명인 룸램프와 실내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무드램프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이 드는 하나의 슬라이드식 으위치로서 룸램프와 무드램프를 연동 구동하여 자동차 실내의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고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자동차 도어들의 개폐에 따라 각각 스위칭되는 복수의 도어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도어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도어들이 모두 닫히면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어느 하나라도 열리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자동차 실내를 가변조도로 조명하기 위한 룸램프와;
    자동차 실내를 분위기 연출을 위한 조도로 조명하기 위한 무드램프와;
    상기 룸램프를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연결하여 도어개폐에 따라 점소등도게 하는 도어모드, 그 룸램프를 상기 배터리 전원측에 연결한 후 그 밝기를 조절하는 조도 가변모드, 이 조도가변모드에서 룸램프가 일정조도 이하로 감소된 시점부터 상기 무드램프를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하여 함께 점등시키는 무드연동모드, 그리고 룸램프가 최소밝기로 되는 조도가변모드의 끝에서 그 룸램프를 소등하면서 무드램프를 점등상태를 유지하는 무드모드로 전환조작되는 램프스위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실내램프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스위치는 상기 룸램프 및 무드램프 모두 소등하기 위한 오프 단자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이 인가되는 모어 단자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직접 인가되는 온 단자와, 이 온 단자에 일단이 접속되어 이동접촉을 위한 슬라이드식 단자구간을 형성하며 그 접점 위치에 따라 온단자 위치부터 저항값이 점차 증가하게 놓인 가변저항과, 이 가변저항 끝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무드단자와, 상기 단자들을 이동접촉하도록 조작되는 통전가능한 슬라이드레버와, 이 슬라이드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룸램프와 접속된 통전가능한 금속바와, 상기 가변저항이 형성하는 단자구간의 일정지점부터 상기 무드단자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버에 연동되는 탄성체 및 이 탄성체의 연동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무드램프에 인가하도록 스위칭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KR1019970043080A 1997-08-29 1997-08-29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KR10026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080A KR100269762B1 (ko) 1997-08-29 1997-08-29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080A KR100269762B1 (ko) 1997-08-29 1997-08-29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683A KR19990019683A (ko) 1999-03-15
KR100269762B1 true KR100269762B1 (ko) 2000-10-16

Family

ID=1951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080A KR100269762B1 (ko) 1997-08-29 1997-08-29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99B1 (ko) * 2006-09-18 2008-02-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무드버튼의 조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683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4571A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KR100269762B1 (ko) 자동차의 실내램프 구동장치
AU2003233497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multiple lighting schemes and method
KR100405812B1 (ko) 차량의 실내등 제어장치
CN1157519A (zh) 翻转盖型盒式电话机面板灯的控制电路
CN216057582U (zh) 后装饰灯系统及具有其的车辆
KR200250021Y1 (ko) 원텃치온오프스위치를구비한차내조명기구
JPH08332840A (ja) 車両に用いられるサンバイザ
JPH0917576A (ja) 照明装置
KR0147180B1 (ko) 자동차의 조도조절 가능한 실내등
KR20050023651A (ko) 테일 게이트 램프의 밝기 조절 구조
KR200371146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0150315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작동장치
KR0149630B1 (ko) 승용차의 독서등 조도조절 장치 및 방법
KR970002498Y1 (ko) 자동차 실내 조명장치
KR950010003Y1 (ko) 전자렌지의 고내등 구동회로
KR0182378B1 (ko)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9990018611A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제어장치
JPH1053066A (ja) 後退灯回路
KR0112929Y1 (ko) 형광등과 백열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실내등
KR100220123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노브
KR970037810A (ko) 차량의 실내등 광도 조절장치
KR200432929Y1 (ko) 차량용 LED(Light-EmittingDiode) 제어장치
KR012606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회로
JPS63298932A (ja) 照光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