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631B1 -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 Google Patents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631B1
KR101729631B1 KR1020150000626A KR20150000626A KR101729631B1 KR 101729631 B1 KR101729631 B1 KR 101729631B1 KR 1020150000626 A KR1020150000626 A KR 1020150000626A KR 20150000626 A KR20150000626 A KR 20150000626A KR 101729631 B1 KR101729631 B1 KR 10172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mounting portion
button member
hea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121A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102015000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6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2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건조기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이며, 버튼 자체가 액츄에이터를 밀어내고 제2장착부의 벽면에 밀착시켜, 출력단자부가 수분으로부터 완전하게 밀폐되게끔 하여 쇼트 발생의 우려가 없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방습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이고,
제1 내지 제4장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제1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드나드는 버튼부재;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상시 인출을 지지하는 리턴부재;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인입 시 상기 버튼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며, 제2장착부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2장착부 내에서 수평이동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3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고. 자체 복원력을 갖는 노드선택부; 및 상기 제4장착부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RETURN SWITCH HAVING MOISTURE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건조기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이며, 버튼 자체가 액츄에이터를 밀어내고 제2장착부의 벽면에 밀착시켜, 출력단자부가 수분으로부터 완전하게 밀폐되게끔 하여 쇼트 발생의 우려가 없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방습구조를 실현할 수 있는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 중에서도 냉장고, 건조기 등의 도어를 개방하면 내부 조명을 점등하고 도어를 닫으면 내부 조명을 소등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는 스위치는 내부로 침투하는 습기 또는 수분 등에 의해 출력단자부에서 쇼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도어 스위치는 방습구조를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도어스위치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94828호 (2009년04월17일) [방습 도어 스위치](종래기술1)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플런저가 하강할 때 캠을 회동시키고, 이 캠이 단자를 밀어 온 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1은 방습성을 위해 격벽을 통해 밀폐성을 유지하는데, 완전하게 밀폐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침습에 강하긴 하나, 완전한 방습성을 구비한다고 보기 어렵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실용 제20-1992-0022131호 (1992년12월19일) [냉장고용 개량 도어 스위치](종래기술2)와, 공개실용 제20-1995-0028176호 (1995년10월20일)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종래기술3)와, 등록실용 제20-0259814호 (2001년12월22일)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종래기술4)가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2는 누름보턴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가압돌편이 회전하여 전원이 ON/OFF가 결정되고, 종래기술3은 힌지축을 통해 가압봉의 변위에 따라 단자의 ON/OFF를 결정하고, 종래기술4는 레버를 통해 이동로드의 변위에 따라 단자의 ON/OFF를 결정한다.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는 모두 밀폐성을 위해 격벽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수분이 단자 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에는 버튼부재(누름보턴, 가압봉, 이동로드)와 액츄에이터(가압돌편, 힌지축, 레버) 간의 결합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수가 많아 복잡한 면이 있고, 특히 그 구조가 단순하지 않아 동작의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또한 격벽을 통해 일부 방습성을 구비하였으나, 완전한 밀폐구조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약간의 수분이라도 침투할 여지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2장착부에 장착된 수평이동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버튼부재의 인입 시 액츄에이터가 노드선택부를 밀어냄과 동시에 제2장착부를 완전 밀폐시켜 노드선택부 및 출력단자부에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습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가이딩돌기를 가져 전기한 밀폐성을 갖되, 보다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이 탁월하고 구성요소의 수가 적어 제품단가가 저렴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액츄에이터의 헤드가 경사접촉부를 구비하여 버튼부재와 액츄에이터 간에 힌지, 레버와 같은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버튼부재의 인 출입운동에 맞춰서 액츄에이터가 수평왕복운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의 단순화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장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제1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드나드는 버튼부재;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상시 인출을 지지하는 리턴부재;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인입 시 상기 버튼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며,
제2장착부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2장착부 내에서 수평이동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3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고. 자체 복원력을 갖는 노드선택부; 및
상기 제4장착부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는 가이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딩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딩홈으로 이루어져,
액츄에이터의 수평운동 시 단자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액츄에이터의 헤드는 경사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한편, 상기 제1가이드부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수용홈과 결합하는 돌기부로 이루어져,
액츄에이터의 수평운동 시 단자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제2장착부에 장착된 수평이동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버튼부재의 인입 시 액츄에이터가 노드선택부를 밀어냄과 동시에 제2장착부를 완전 밀폐시켜 노드선택부 및 출력단자부에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습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가이딩돌기를 가져 전기한 밀폐성을 갖되, 보다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이 탁월하고 구성요소의 수가 적어 제품단가가 저렴하고,
아울러 액츄에이터의 헤드가 경사접촉부를 구비하여 버튼부재와 액츄에이터 간에 특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버튼부재의 인 출입운동에 맞춰서 액츄에이터가 수평왕복운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의 단순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와 관련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변형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리턴스위치(S)라 함은 버튼부재(20)가 상시 인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리턴부재(30)가 버튼부재(20)를 밀어내는 상시 인출상태의 스위치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S)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1 내지 제4장착부(111A)(111B)(111C)(111D)를 갖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에 결합되는 커버(13)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장착부(111A)는 버튼부재(20)가 장착되고, 이 버튼부재(20)가 상하로 인 출입운동을 하는 통로이다.
또한 제2장착부(111B)는 도면상 제1장착부(111A)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츄에이터(40)가 이 제2장착부(111B)에 장착된다.
아울러 제3장착부(111C)는 도면상 제2장착부(111B)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노드선택부(50)가 이 제3장착부(111C)에 장착된다.
또 제4장착부(111D)는 도면상 제3장착부(111C)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출력단자부(60)가 이 제4장착부(111D)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13)는 상기 바디(1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또한 바디(11)와 커버(13)는 모두 각각 상호 결합되는 리브(117)(133)(Rib)를 가져, 각 리브(117)(133)간의 (바디(11)의 리브(117)와 커버(13)의 리브(133)) 억지끼움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본 리턴스위치(S)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요소의 수가 적고,
나아가 금속재질의 체결부재(예: 나사, 볼트 등)를 생략하는 특징으로 인해 방습성이 뛰어나 쇼트 발생 우려가 없다.
허나 전기한 바와 같이 각 리브(117)(133)를 통한 억지끼움결합만으로는 결합력을 충분히 보장받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5)를 형성하고,
커버(13)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5)를 수용하여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131a)을 갖는 결합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결합돌기(115)와 결합부(131)의 걸림결합으로 인해, 전기한 바디(11)의 리브(117)와 커버(13)의 리브(133)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고, 이후 바디(11)의 결합돌기(115)가 커버(13)의 결합부(131)의 걸림홈(131a)에 위치하여 걸릴 수 있도록 결합해 주면 된다.
바디(11)와 커버(13)의 결합 해제를 원하는 경우, 각 리브(117)(133)의 결합을 해제하기에 앞서 결합돌기(115)에서 결합부(131)를 먼저 결합 해제하는 것을 선행하여야 한다.
또한 바디(11)에 형성된 결합돌기(115)가 커버(13)에 형성되고, 커버(13)에 형성된 결합부(131)가 바디(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1장착부(111A)에 장착되는 버튼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튼부재(20)는 제1장착부(111A)내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 제1장착부(111A)의 상부 측 바디(11)에 형성된 출몰공(113)을 드나든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버튼부재(20)는 바디(11)의 출몰공(113)을 드나드는 노출부(23)와, 바디(11)의 제1장착부(111A) 내에 귀속되기 위해 출몰공(113)의 크기보다 더 큰 폭 또는 직경을 갖는 함장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함장부(25)는 일종의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버튼부재(20)가 하우징(10)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20)의 상시 인출을 지지하는 리턴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 및 도 2에는 이러한 리턴부재(30)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탄성 또는 복원력을 갖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2장착부(111B)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액츄에이터(40)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버튼부재(20)의 인입 시 버튼부재(20)의 측벽부(21)에 접촉하여 노드선택부(50) 측으로 밀려가고,
버튼부재(20)의 인출 시 노드선택부(50)의 복원력에 의해 리턴부재(30)측으로 밀려가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2장착부(111B) 내에서 수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3장착부(111C)에 장착되는 노드선택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드선택부(50)는 버튼부재(20)의 인입 시 액츄에이터(40)에 의해 가압되고,
버튼부재(20)의 인출 시 자체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며 액츄에이터(40)를 리턴부재(30) 측으로(도면(도 1)상 좌측으로) 밀어낸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4장착부(111D)에 장착되는 출력단자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출력단자부(60)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 항상 쇼트 되어 있는 COM단자(Com)와, 스위치(S)의 오픈(Open) 상태일 때 쇼트 되는 NO단자(No)와, 스위치(S)의 닫힘(Closed) 상태이일 때 쇼트 되는 NC단자(N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하부 원 영역을 참고하여 버튼부재(20)의 인 출입에 따른 본 리턴스위치(S) 일련의 동작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튼부재(20)가 가압되어 인입되면 도면상(도 1 하부 우측 원 영역)으로 버튼부재(20)가 하강하고, 하강하면서 버튼부재(20)의 하부는 액츄에이터(40)를 우측으로 밀어낸다.
이에 우측으로 밀려난 액츄에이터(40)는 노드선택부(50)를 우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낸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NO단자(No)에 접촉되어 있던 노드선택부(50)는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NC단자(Nc)에 접촉하게 되고, COM단자(Com)와 NC단자(Nc)가 연통되어 리턴스위치(S)의 닫힘(Closed) 동작이 완료된다.
버튼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도 1 하부 좌측 원 영역)
먼저 노드선택부(50)는 자체탄성에 의해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좌측으로 복원되어 NO단자와 접촉하고,
복원된 노드선택부(50)가 액츄에이터(40)를 좌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내고, 버튼부재(20)는 리턴부재(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인출상태로 밀려 올라가 버튼부재(20)의 노출부(23)가 출몰공(113)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COM단자(Com)와 NO단자(No)가 연통되어 리턴스위치(S)의 열림(Opened)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액츄에이터(4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40)는 '안정적인 수평운동'과 동시에 '밀폐성 향상'이라는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가 사용될 수 있는 냉장고, 건조기 등은 습기, 수분 등이 많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스위치(S)의 하우징(10) 내부로 침습(浸濕)될 여지가 있으며, 특히 출력단자부(60) 또는 노드선택부(50) 측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에는 쇼트(Short)가 발생하여 과전류 등에 의해 스위치(S)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나아가 냉장고, 건조기 등 제품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평운동'은 물론 '밀폐성 향상'은 상당히 중요한 핵심 기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2장착부(111B)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42)와,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부(41)가 액츄에이터(4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 하부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41)는 가이딩돌기(41T)로 이루어지고, 제2가이드부(42)는 가이딩돌기(41T)를 수용하는 가이딩홈(42T)으로 이루어져, 액츄에이터(40)의 수평운동 시 노드선택부(50) 및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특히 하부 원 영역을 통해 액츄에이터(40)의 동작에 따른 밀폐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버튼의 인입 시, 액츄에이터(40)는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제2장착부(111B)의 공간과 제1장착부(111A)의 공간은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도면 상 좌측)에 의해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가 완전 밀폐된다.
가장 주된 수분의 침투 경로는 버튼부재(20)의 측벽부(21)와 제1장착부(111A)사이의 틈(유격)으로 침투하는 경로인데, 이렇게 침투된 수분을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가 완전히 차단하여 침습을 막는다.(도 2 하부 우측 원 영역)
또한 버튼의 인출 시, 액츄에이터(40)는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는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를 밀폐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도 2, 특히 하부 원 영역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의 가이딩돌기(41T)는 액츄에이터(40)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바디(11)의 제2장착부(111B)에 형성된 가이딩홈(42T)과 좌측으로 밀착하여 노드선택부(50) 및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킨다.(도 2 하부 좌측 원 영역)
아울러 버튼의 인입 시에는 우측으로 밀착된 가이딩돌기(41T)가 바디(11)의 가이딩홈(42T)에 우측으로 밀착하여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습구조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와 가이딩돌기(41T)는 방수부재에 의해 코팅처리되거나, 방수부재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정적인 수평운동'을 이루기 위해, 액츄에이터(40)의 제1가이드부(41)와 제2장착부(111B)의 제2가이드부(42)가 평행으로 구비된 점과 더불어,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는 경사접촉부(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경사접촉부(431)를 통해 버튼부재(20)의 수직운동이 액츄에이터(40)의 수평운동으로 전달된다.)
도 3에는 이러한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의 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헤드(43a)를 갖는 것을 기본 실시로 하되,
도 3 [B]와 같이 삼각헤드(43b)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3 [C]와 같이 사다리꼴헤드(43c)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3 [D]와 같이 아치형헤드(43d)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각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액츄에이터(40)에 구비된 것은 경사접촉부(431)로, 이 경사접촉부(431)는 버튼부재(20)가 액츄에이터(40)를 우측으로 밀거나, 액츄에이터(40)가 버튼부재(20)를 상측으로 밀거나 하는 접점이 된다.
따라서 도면상에서(도 3) 경사접촉부(431)와 대칭을 이루는 아래쪽 부분(하측 경사접촉부)은 어떤 모양으로 치환하여도 무방한 것임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 4에는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변형예(70)가 도시되어 있는데,
변형예(70)에 따른 액츄에이터(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1가이드부(41)는 수용홈(7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42)는 상기 수용홈(71)과 결합하는 돌기부(72)로 이루어져,
액츄에이터(40)의 수평운동 시 단자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여 이러한 변형예(70)에 따른 액츄에이터(40)의 동작에 따른 밀폐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버튼의 인입 시, 액츄에이터(40)는 우축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제2장착부(111B)의 공간과 제1장착부(111A)의 공간은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도면 상 좌측)에 의해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가 완전 밀폐한다.
또한 버튼의 인출 시, 액츄에이터(40)는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액츄에이터(40)의 헤드(43)는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를 밀폐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도 4 하부 원 영역 내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2장착부(111B)의 제2가이드부(42)인 돌기부(7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40)의 제1가이드부(41)인 수용홈(71)과 밀착하여 노드선택부(50) 및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 하, 좌, 우를 특정하여 설명한 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고, 실제로 본 리턴스위치(S)가 적용되는 방향은 반드시 도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향기준에 대한 해석은 참고하고자 하는 도면에 한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S)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리턴스위치 10: 하우징
11: 바디 111A ~ 111D : 제1 내지 제4장착부
113: 출몰공 13: 커버
20: 버튼부재 21: 측벽부
30: 리턴부재 40: 액츄에이터
41: 제1가이드부 42: 제2가이드부
41T: 가이딩돌기 42T: 가이딩홈
43: 헤드 431: 경사접촉부
50: 노드선택부 60: 출력단자부
71: 수용홈(제1가이드부) 72: 돌기부(제2가이드부)

Claims (10)

  1. 제1 내지 제4장착부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제1장착부에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통과 가능한 버튼부재;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는 리턴부재;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인입 시 상기 버튼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며, 상기 제2장착부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2장착부 내에서 수평이동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3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고. 자체 복원력을 갖는 노드선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헤드는 경사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41)는 가이딩돌기(41T)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42)는 상기 가이딩돌기(41T)를 수용하는 가이딩홈(42T)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의 수평운동 시 단자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바디와 상기 커버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리브(117)(133)(Rib)를 가져, 상기 바디의 상기 리브(117)와 상기 커버의 상기 리브(133) 간의 억지끼움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5)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5)를 수용하여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131a)을 갖는 결합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바디의 출몰공을 드나드는 원기둥 형상의 노출부(23)와, 상기 바디의 제1장착부 내에 귀속되기 위해 출몰공(113)의 크기보다 더 큰 폭 또는 직경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의 함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인입 시, 상기 액츄에이터는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상기 제2장착부의 공간과 상기 제1장착부의 공간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헤드(43)에 의해 상기 제2장착부의 초입부가 완전 밀폐되고,
    상기 버튼의 인출 시, 상기 액츄에이터의 가이딩돌기(41T)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바디의 제2장착부에 형성된 가이딩홈(42T)과 좌측으로 밀착하여 상기 노드선택부 및 출력단자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헤드는 호형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헤드는 삼각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헤드는 사다리꼴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헤드는 아치형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장착부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턴스위치.
KR1020150000626A 2015-01-05 2015-01-05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KR10172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26A KR101729631B1 (ko) 2015-01-05 2015-01-05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26A KR101729631B1 (ko) 2015-01-05 2015-01-05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21A KR20160084121A (ko) 2016-07-13
KR101729631B1 true KR101729631B1 (ko) 2017-04-24

Family

ID=5650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26A KR101729631B1 (ko) 2015-01-05 2015-01-05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845B1 (ko) 2000-07-06 2002-06-20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KR200422722Y1 (ko) * 2006-05-16 2006-07-3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845B1 (ko) 2000-07-06 2002-06-20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구조
KR200422722Y1 (ko) * 2006-05-16 2006-07-3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21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202B2 (en) Push button switch
CN111180240B (zh) 按键结构及键盘
US8957338B2 (en) Trigger action switch operator
US8049123B2 (en) Computer input device and waterproof button mechanism thereof
US20100032270A1 (en) Electrical switch, particularly of microswitch design
CN105089371A (zh) 一种电子锁的控制方法及该类型电子锁
KR101628422B1 (ko) 특히 차량의 도어용 또는 리드용 핸들
US6556110B1 (en) Switching device with interrupter chamber module
CN103280356A (zh) 防水按键及电子装置
US20200115923A1 (en) Appliance lock with repelling magnetic sensing switch actuation in a hydrophobic enclosure
KR101729631B1 (ko)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US7518072B2 (en) Latch releasing device
US20210396048A1 (en) Magnetically-triggered lock mechanism
KR101732654B1 (ko)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CN111734238A (zh) 一种按钮式机柜门锁结构及机柜门
US20200115927A1 (en) Appliance lock with magnetic sensing switch actuation in a hydrophobic enclosure
KR101767200B1 (ko)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CN214541980U (zh) 一种防水控制开关
CN219012227U (zh) 钥匙盖组件及具有其的门锁
CN216972927U (zh) 衣物护理机
CN211923840U (zh) 一种门锁设备
KR101797111B1 (ko) 로터리형 푸시 록 스위치
EP4206427A1 (en) A latch assembly for use in a lock mechanism
CN117747331A (zh) 按压开关、车门和汽车
JPH06111676A (ja) 貯蔵庫用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