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654B1 -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 Google Patents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654B1
KR101732654B1 KR1020150136645A KR20150136645A KR101732654B1 KR 101732654 B1 KR101732654 B1 KR 101732654B1 KR 1020150136645 A KR1020150136645 A KR 1020150136645A KR 20150136645 A KR20150136645 A KR 20150136645A KR 101732654 B1 KR101732654 B1 KR 10173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actuator
barrier rib
button memb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273A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102015013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6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건조기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이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폰딩부를 구비하여 방수효과를 극대화한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내지 제4장착부를 갖는 바디와 이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제1장착부에 왕복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통과하는 버튼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는 리턴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수직 왕복 이동에 의해 수평 왕복 운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평 왕복 운동에 의해 가압되어 접점을 전환하는 노트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는 제3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와의 결합 시, 상기 공간부를 채우는 격벽 및 격벽에 의해 둘러싸여 침투한 수분이 고이는 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RETURN SWITCH}
본 발명은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건조기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이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폰딩부를 구비하여 방수효과를 극대화한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 중에서도 냉장고, 건조기 등의 도어를 개방하면 내부 조명을 점등하고 도어를 닫으면 내부 조명을 소등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는 스위치는 내부로 침투하는 습기 또는 수분 등에 의해 출력단자부에서 쇼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도어 스위치는 방습구조를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도어스위치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94828호 (2009년04월17일) [방습 도어 스위치](종래기술1)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플런저가 하강할 때 캠을 회동시키고, 이 캠이 단자를 밀어 온 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1은 방습성을 위해 격벽을 통해 밀폐성을 유지하는데, 완전하게 밀폐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침습에 강하긴 하나, 완전한 방습성을 구비한다고 보기 어렵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실용 제20-1992-0022131호 (1992년12월19일) [냉장고용 개량 도어 스위치](종래기술2)와, 공개실용 제20-1995-0028176호 (1995년10월20일)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종래기술3)와, 등록실용 제20-0259814호 (2001년12월22일)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종래기술4)가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2는 누름보턴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가압돌편이 회전하여 전원이 ON/OFF가 결정되고, 종래기술3은 힌지축을 통해 가압봉의 변위에 따라 단자의 ON/OFF를 결정하고, 종래기술4는 레버를 통해 이동로드의 변위에 따라 단자의 ON/OFF를 결정한다.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는 모두 밀폐성을 위해 격벽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수분이 단자 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는 격벽을 통해 일부 방습성을 구비하였으나, 완전한 밀폐구조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약간의 수분이라도 침투할 여지가 있고, 격벽 결합 부위에 작은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격벽, 침투된 수분을 유도하는 공간부 및 유도된 수분을 고이게 하는 폰딩부를 구비하여, 바디와 커버의 결합부위에 발생한 매우 작은 틈으로 침투하는 수분까지 완벽하게 차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간부, 격벽, 폰딩부를 다수 구비하고 이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분 침투 방지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장착부를 갖는 바디와 이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제1장착부에 왕복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통과하는 버튼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는 리턴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수직 왕복 이동에 의해 수평 왕복 운동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평 왕복 운동에 의해 가압되어 접점을 전환하는 노트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디는 제3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와의 결합 시, 상기 공간부를 채우는 격벽 및 격벽에 의해 둘러싸여 침투한 수분이 고이는 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공간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위치한 제1공간부 및 하부에 위치한 제2공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공간부를 채우는 제1격벽, 상기 제2공간부를 채우는 제2격벽 및 상기 제1격벽 또는 제2격벽 또는 둘 모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폰딩부를 형성하는 제3격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격벽 및 제2격벽과 이어지고 상기 제2장착부를 밀폐하는 제4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4격벽의 배치를 위한 함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버튼부재의 인입 시 상기 버튼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며, 상기 제2장착부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버튼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경사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가이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딩돌기를 수용하는 가이딩홈으로 이루어져, 액추에이터의 수평운동 시 단자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부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수용홈과 결합하는 돌기부로 이루어져, 액추에이터의 수평운동 시 단자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4장착부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격벽, 침투된 수분을 유도하는 공간부 및 유도된 수분을 고이게 하는 폰딩부를 다 수 구비하고 이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바디와 커버의 결합부위에 발생한 매우 작은 틈으로 침투하는 수분까지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외관).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리턴스위치(S)라 함은 버튼부재(20)가 상시 인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리턴부재(30)가 버튼부재(20)를 밀어내는 상시 인출상태의 스위치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S)(이하 본 리턴스위치(S))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리턴스위치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리턴스위치(S)는 제1 내지 제4장착부(111A)(111B)(111C)(111D)를 갖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에 결합되는 커버(13)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장착부(111A)는 버튼부재(20)가 장착되고, 이 버튼부재(20)가 상하로 인 출입운동을 하는 통로이다. 또한 제2장착부(111B)는 도면상 제1장착부(111A)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추에이터(40)가 이 제2장착부(111B)에 장착된다. 아울러 제3장착부(111C)는 도면상 제2장착부(111B)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노드선택부(50)가 이 제3장착부(111C)에 장착된다. 또 제4장착부(111D)는 도면상 제3장착부(111C)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출력단자부(60)가 이 제4장착부(111D)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13)는 상기 바디(1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또한 바디(11)와 커버(13)는 모두 각각 상호 결합되는 리브(117)(133)(Rib)를 가져, 각 리브(117)(133)간의 (바디(11)의 리브(117)와 커버(13)의 리브(133)) 억지끼움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본 리턴스위치(S)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요소의 수가 적고, 나아가 금속재질의 체결부재(예: 나사, 볼트 등)를 생략하는 특징으로 인해 방습성이 뛰어나 쇼트 발생 우려가 없다.
허나 전기한 바와 같이 각 리브(117)(133)를 통한 억지끼움결합만으로는 결합력을 충분히 보장받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5)를 형성하고, 커버(13)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5)를 수용하여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131a)을 갖는 결합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결합돌기(115)와 결합부(131)의 걸림 결합으로 인해, 전기한 바디(11)의 리브(117)와 커버(13)의 리브(133)를 억지 끼움 식으로 결합하고, 이후 바디(11)의 결합돌기(115)가 커버(13)의 결합부(131)의 걸림홈(131a)에 위치하여 걸릴 수 있도록 결합해 주면 된다.
바디(11)와 커버(13)의 결합 해제를 원하는 경우, 각 리브(117)(133)의 결합을 해제하기에 앞서 결합돌기(115)에서 결합부(131)를 먼저 결합 해제하는 것을 선행하여야 한다.
또한 바디(11)에 형성된 결합돌기(115)가 커버(13)에 형성되고, 커버(13)에 형성된 결합부(131)가 바디(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1장착부(111A)에 장착되는 버튼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튼부재(20)는 제1장착부(111A)내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 제1장착부(111A)의 상부 바디(11)에 형성된 출몰공(113)을 통과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버튼부재(20)는 바디(11)의 출몰공(113)을 드나드는 노출부(23)와, 바디(11)의 제1장착부(111A) 내에 귀속되기 위해 출몰공(113)의 크기보다 더 큰 폭 또는 직경을 갖는 함장부(25)(陷葬, 하우징에 내장되는 부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함장부(25)는 일종의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버튼부재(20)가 하우징(10)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20)의 상시 인출을 지지하는 리턴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 및 도 2에는 이러한 리턴부재(30)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탄성 또는 복원력을 갖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2장착부(111B)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액추에이터(40)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버튼부재(20)의 수직 왕복 이동에 의해 수평 왕복 운동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부재(20)의 인입 시 버튼부재(20)의 측벽부(21)에 접촉하여 노드선택부(50) 측으로 밀려가고, 버튼부재(20)의 인출 시 노드선택부(50)의 복원력에 의해 리턴부재(30)측으로 밀려가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2장착부(111B) 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3장착부(111C)에 장착되는 노드선택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드선택부(50)는 액추에이터(40)의 수평 왕복 운동에 의해 가압되어 접점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튼부재(20)의 인입 시 액추에이터(40)에 의해 가압되고, 버튼부재(20)의 인출 시 자체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며 액추에이터(40)를 리턴부재(30) 측으로(도면(도 1)상 좌측으로) 밀어낸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4장착부(111D)에 장착되는 출력단자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출력단자부(60)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 항상 쇼트 되어 있는 COM단자(Com)와, 스위치(S)의 오픈(Open) 상태일 때 쇼트 되는 NO단자(No)와, 스위치(S)의 닫힘(Closed) 상태이일 때 쇼트 되는 NC단자(N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하부 원 영역을 참고하여 버튼부재(20)의 인 출입에 따른 본 리턴스위치(S) 일련의 동작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튼부재(20)가 가압되어 인입되면 도면상(도 1 하부 우측 원 영역)으로 버튼부재(20)가 하강하고, 하강하면서 버튼부재(20)의 하부는 액추에이터(40)를 우측으로 밀어낸다.
이에 우측으로 밀려난 액추에이터(40)는 노드선택부(50)를 우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낸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NO단자(No)에 접촉되어 있던 노드선택부(50)는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NC단자(Nc)에 접촉하게 되고, COM단자(Com)와 NC단자(Nc)가 연통되어 리턴스위치(S)의 닫힘(Closed) 동작이 완료된다.
버튼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도 1 하부 좌측 원 영역)
먼저 노드선택부(50)는 자체탄성에 의해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좌측으로 복원되어 NO단자와 접촉하고,
복원된 노드선택부(50)가 액추에이터(40)를 좌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내고, 버튼부재(20)는 리턴부재(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인출상태로 밀려 올라가 버튼부재(20)의 노출부(23)가 출몰공(113)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COM단자(Com)와 NO단자(No)가 연통되어 리턴스위치(S)의 열림(Opened)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액추에이터(4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40)는 '안정적인 수평운동'과 동시에 '밀폐성 향상'이라는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가 사용될 수 있는 냉장고, 건조기 등은 습기, 수분 등이 많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스위치(S)의 하우징(10) 내부로 침습(浸濕)될 여지가 있으며, 특히 출력단자부(60) 또는 노드선택부(50) 측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에는 쇼트(Short)가 발생하여 과전류 등에 의해 스위치(S)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나아가 냉장고, 건조기 등 제품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평운동'은 물론 '밀폐성 향상'은 상당히 중요한 핵심 기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2장착부(111B)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42)와,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부(41)가 액추에이터(4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 하부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41)는 가이딩돌기(41T)로 이루어지고, 제2가이드부(42)는 가이딩돌기(41T)를 수용하는 가이딩홈(42T)으로 이루어져, 액추에이터(40)의 수평운동 시 노드선택부(50) 및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특히 하부 원 영역을 통해 액추에이터(40)의 동작에 따른 밀폐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버튼의 인입 시, 액추에이터(40)는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제2장착부(111B)의 공간과 제1장착부(111A)의 공간은 액추에이터(40)의 헤드(43)(도면 상 좌측)에 의해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가 완전 밀폐된다.
가장 주된 수분의 침투 경로는 버튼부재(20)의 측벽부(21)와 제1장착부(111A)사이의 틈(유격)으로 침투하는 경로인데, 이렇게 침투된 수분을 액추에이터(40)의 헤드(43)가 완전히 차단하여 침습을 막는다.(도 2 하부 우측 원 영역)
또한 버튼의 인출 시, 액추에이터(40)는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액추에이터(40)의 헤드(43)는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를 밀폐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도 2, 특히 하부 원 영역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의 가이딩돌기(41T)는 액추에이터(40)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바디(11)의 제2장착부(111B)에 형성된 가이딩홈(42T)과 좌측으로 밀착하여 노드선택부(50) 및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킨다.(도 2 하부 좌측 원 영역)
아울러 버튼의 인입 시에는 우측으로 밀착된 가이딩돌기(41T)가 바디(11)의 가이딩홈(42T)에 우측으로 밀착하여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습구조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액추에이터(40)의 헤드(43)와 가이딩돌기(41T)는 방수부재에 의해 코팅처리되거나, 방수부재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정적인 수평운동'을 이루기 위해, 액추에이터(40)의 제1가이드부(41)와 제2장착부(111B)의 제2가이드부(42)가 평행으로 구비된 점과 더불어, 액추에이터(40)의 헤드(43)는 경사접촉부(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경사접촉부(431)를 통해 버튼부재(20)의 수직운동이 액추에이터(40)의 수평운동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경사접촉부(431)는 버튼부재(20)가 액추에이터(40)를 우측으로 밀거나, 액추에이터(40)가 버튼부재(20)를 상측으로 밀거나 하는 접점이 된다. 따라서 경사접촉부(431)와 대칭을 이루는 아래쪽 부분(하측 경사접촉부)은 어떤 모양으로 치환하여도 무방한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또한 상기한 액추에이터(40)의 구성은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다양하게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내부 구조도를 도시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핵심특징인 공간부(112), 격벽(132) 및 폰딩부(134)(Ponding portion, 물을 고이게 하는 구성)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방수 구조를 통해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을 일부 차단할 수 있지만, 바디(11)와 커버(13) 간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매우 작은 틈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상기한 수분 침투에 의한 쇼트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리턴스위치(S)는 바디(11)에 형성된 공간부(112), 커버(13)에 형성된 격벽(132) 및 폰딩부(134)를 통해 바디(11)와 커버(13) 간의 결합부위 틈으로 침투되는 수분을 가두어 제1 내지 제4장착부(111A)(111B)(111C)(111D)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공간부(112), 격벽(132) 및 폰딩부(134)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리턴스위치(S)의 바디(11)는 제3장착부(111C)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간부(112)를 포함하고, 커버(13)는 바디(11)와의 결합 시, 공간부(112)를 채우는 격벽(132) 및 격벽(132)에 의해 둘러싸여 침투한 수분이 고이는 폰딩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공간부(112)는 액추에이터(40)의 상부에 위치한 제1공간부(112a) 및 하부에 위치한 제2공간부(112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간부(112)는 특히 제2장착부(111B) 및 제3장착부(111C)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데, 제2장착부(111B) 및 제3장착부(111C)의 수분 침투 방지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제1장착부(111A)의 경우에는 수분 침투 여부가 구성의 동작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고, 제4장착부(111D)의 경우에는 제3장착부(111C)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제4장착부(111D)의 수분 침투 역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간부(112)는 바디(11)와 커버(13)의 결합부위 틈으로 침투한 수분이 공간부(112) 측으로 유도되어 제2장착부(111B) 및 제3장착부(111C)로 침투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침투한 수분은 폰딩부(134)로 고이게 되어 수분 침투 방지 효과를 갖게 된다.
다음으로 격벽(132)은 제1공간부(112a)를 채우는 제1격벽(132a), 제2공간부(112b)를 채우는 제2격벽(132b) 및 제1격벽(132a) 또는 제2격벽(132b) 또는 둘 모두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폰딩부(134)를 형성하는 제3격벽(132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폰딩부(134)에 의한 수분 침투 방지 효과는 상기한 바 있고, 추가적으로 제1공간부(112a), 제2공간부(112b), 제1격벽(132a), 제2격벽(132b)의 구성은 제2장착부(111B) 및 제3장착부(111C)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고, 또한 제3격벽(132)은 제2장착부(111B) 및 제3장착부(111C)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이 고이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32)은 제1격벽(132a) 및 제2격벽(132b)과 이어지고 상기 제2장착부(111B)를 밀폐하는 제4격벽(132d)을 더 포함하고, 또한 이러한 제4격벽(132d)의 구비를 위해, 액추에이터(40)는 제4격벽(132d)의 배치를 위한 함몰부(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0)는 그 자체의 몸체와 제4격벽(132d)의 높이만큼 높이 차를 갖는 함몰부(45)를 구비하고, 또한 헤드(43) 역시 동일한 높이 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변형예(70)가 도시되어 있는데, 변형예(70)에 따른 액추에이터(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1가이드부(41)는 수용홈(7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42)는 상기 수용홈(71)과 결합하는 돌기부(72)로 이루어져, 액추에이터(40)의 수평운동 시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이러한 변형예(70)에 따른 액추에이터(40)의 동작에 따른 밀폐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버튼의 인입 시, 액추에이터(40)는 우축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제2장착부(111B)의 공간과 제1장착부(111A)의 공간은 액추에이터(40)의 헤드(43)(도면 상 좌측)에 의해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가 완전 밀폐한다.
또한 버튼의 인출 시, 액추에이터(40)는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고, 이 경우 액추에이터(40)의 헤드(43)는 제2장착부(111B)의 초입부(제1장착부(111A)와 연결된 부분)를 밀폐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도 4 하부 원 영역 내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2장착부(111B)의 제2가이드부(42)인 돌기부(7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액추에이터(40)의 제1가이드부(41)인 수용홈(71)과 밀착하여 노드선택부(50) 및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 하, 좌, 우를 특정하여 설명한 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고, 실제로 본 리턴스위치(S)가 적용되는 방향은 반드시 도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향기준에 대한 해석은 참고하고자 하는 도면에 한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S)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리턴스위치 10: 하우징
11: 바디 111A ~ 111D : 제1 내지 제4장착부
112: 공간부 113: 출몰공
13: 커버 132: 격벽
134: 폰딩부
20: 버튼부재 21: 측벽부
30: 리턴부재
40: 액추에이터
41: 제1가이드부 41T: 가이딩돌기
42: 제2가이드부 42T: 가이딩홈
43: 헤드 431: 경사접촉부
50: 노드선택부 60: 출력단자부
71: 수용홈(제1가이드부) 72: 돌기부(제2가이드부)

Claims (8)

  1. 제1장착부(111A)와, 상기 제1장착부(111A)의 일 측에 배치된 제2장착부(111B)와, 상기 제2장착부(111B)의 일 측에 배치된 제3장착부(111C)와, 상기 제3장착부(111C)의 일 측에 배치된 제4장착부(111D)를 갖는 바디(11) 및, 이 바디(11)에 결합되는 커버(13)로 이루어진 하우징(10);
    상기 제1장착부(111A)에 왕복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111A) 상부 바디(11)에 형성된 출몰공(113)을 통과하는 버튼부재(20);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는 리턴부재(30);
    상기 제2장착부(111B)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20)의 수직 왕복 이동에 의해 수평 왕복 운동하는 액추에이터(40);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수평 왕복 운동에 의해 가압되어 접점을 전환하는 노트선택부(50); 및
    상기 제4장착부(111D)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60);
    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11)는 제3장착부(111C)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간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3)는 상기 바디(11)와의 결합 시, 상기 공간부(112)를 채우는 격벽(132) 및 상기 격벽(132)에 의해 둘러싸여 침투한 수분이 고이는 폰딩부(134)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부(112)는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상부에 위치한 제1공간부(112a) 및 하부에 위치한 제2공간부(1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132)은 상기 제1공간부(112a)를 채우는 제1격벽(132a), 상기 제2공간부(112b)를 채우는 제2격벽(132b) 및 상기 제1격벽(132a) 또는 제2격벽(132b) 또는 둘 모두(132a)(132b)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폰딩부(134)를 형성하는 제3격벽(132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132)은 상기 제1격벽(132a) 및 제2격벽(132b)과 이어지고 상기 제2장착부(111B)를 밀폐하는 제4격벽(132d)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40)는 상기 제4격벽(132d)의 배치를 위한 함몰부(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는 상기 버튼부재(20)의 인입 시 상기 버튼부재(20)의 측벽부(21)에 접촉하며, 상기 제2장착부(111B)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42)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부(4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0)는 상기 버튼부재(20)의 측벽부(21)에 접촉하는 헤드(43)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43)는 경사접촉부(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41)는 가이딩돌기(41T)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42)는 상기 가이딩돌기(41T)를 수용하는 가이딩홈(42T)으로 이루어져,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수평운동 시 상기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41)는 수용홈(7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42)는 상기 수용홈(71)과 결합하는 돌기부(72)로 이루어져,
    상기 액추에이터(40)의 수평운동 시 상기 출력단자부(60)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7. 삭제
  8. 삭제
KR1020150136645A 2015-09-25 2015-09-25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KR10173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45A KR101732654B1 (ko) 2015-09-25 2015-09-25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645A KR101732654B1 (ko) 2015-09-25 2015-09-25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73A KR20170037273A (ko) 2017-04-04
KR101732654B1 true KR101732654B1 (ko) 2017-05-04

Family

ID=5858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645A KR101732654B1 (ko) 2015-09-25 2015-09-25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993B1 (ko) * 2022-10-24 2024-02-13 두얼파워전자(주)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14Y1 (ko) * 2001-10-15 2002-01-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JP2008079494A (ja) * 2006-08-24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滴プレ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14Y1 (ko) * 2001-10-15 2002-01-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JP2008079494A (ja) * 2006-08-24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滴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73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955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130041273A (ko) 가구용 댐퍼
KR20130103402A (ko) 접점 장치
US8049123B2 (en) Computer input device and waterproof button mechanism thereof
KR101732654B1 (ko)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US20100032270A1 (en) Electrical switch, particularly of microswitch design
CN209641534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快速通断扳机开关
US20200115923A1 (en) Appliance lock with repelling magnetic sensing switch actuation in a hydrophobic enclosure
EP2557580B1 (en) Switch
KR101729631B1 (ko)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US20070163864A1 (en) Latch releasing device
US20200115927A1 (en) Appliance lock with magnetic sensing switch actuation in a hydrophobic enclosure
CN102733687B (zh) 埋入式箱包锁
KR101924465B1 (ko)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20120100239A1 (en) Switching ware
KR101201458B1 (ko)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 장치
KR101767200B1 (ko)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CN220691948U (zh) 一种具有自动锁定结构的手柄模块
CN113002981A (zh) 一种rfid智能防水安全箱
JP2002357043A (ja) 蝶 番
KR20020043065A (ko) 휴대폰 힌지장치
US20220145662A1 (en) Handle assembly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same
CN105350829A (zh) 静音锁体
CN105064815A (zh) 箱锁
CN216972927U (zh) 衣物护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