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200B1 -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200B1
KR101767200B1 KR1020150000627A KR20150000627A KR101767200B1 KR 101767200 B1 KR101767200 B1 KR 101767200B1 KR 1020150000627 A KR1020150000627 A KR 1020150000627A KR 20150000627 A KR20150000627 A KR 20150000627A KR 101767200 B1 KR101767200 B1 KR 10176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button member
mounting
retur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122A (ko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전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102015000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2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2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건조기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이며, 버튼자체가 액츄에이터를 밀어내고 제2장착부의 벽면에 밀착시켜, 출력단자부가 수분으로부터 완전하게 밀폐되게끔 하여 쇼트 발생의 우려가 없는 단순한 구조를 갖되, 자동화를 위해 조립성이 개선되어 수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내지 제4장착부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제1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드나드는 버튼부재,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상시 인출을 지지하는 리턴부재,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턴부재의 인입 시 상기 리턴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3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고, 자체복원력을 갖는 노드선택부 및, 상기 제4장착부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장착부 하부 측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리턴부재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RETURN SWITCH}
본 발명은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건조기의 도어에 적용될 수 있는 스위치이며, 버튼자체가 액츄에이터를 밀어내고 제2장착부의 벽면에 밀착시켜, 출력단자부가 수분으로부터 완전하게 밀폐되도록 하여 쇼트 발생의 우려가 없는 구조를 갖되, 조립이 쉽고 용이하여 자동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자동화를 통한 생산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리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 중에서도 냉장고, 건조기 등의 도어를 개방하면 내부 조명을 점등하고 도어를 닫으면 내부 조명을 소등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도어에 설치되는 스위치는 내부로 침투하는 습기 또는 수분 등에 의해 출력단자부에서 쇼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도어 스위치는 방습구조를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도어스위치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94828호 (2009년04월17일) [방습 도어 스위치](종래기술1)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플런저가 하강할 때 캠을 회동시키고, 이 캠이 단자를 밀어 온 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1은 방습을 위해 격벽을 통해 밀폐성을 유지하는데, 완전하게 밀폐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침습에 강하긴 하나, 완전한 방습성을 구비한다고 보기 어렵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실용 제20-1992-0022131호 (1992년12월19일) [냉장고용 개량 도어 스위치](종래기술2)와, 공개실용 제20-1995-0028176호 (1995년10월20일)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종래기술3)와, 등록실용 제20-0259814호 (2001년12월22일)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종래기술4)가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2는 누름보턴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가압돌편이 회전하여 전원이 ON/OFF가 결정되고,
종래기술3은 힌지축을 통해 가압봉의 변위에 따라 단자의 ON/OFF를 결정하고,
종래기술4는 레버를 통해 이동로드의 변위에 따라 단자의 ON/OFF를 결정한다.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는 모두 밀폐성을 위해 격벽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수분이 단자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에는 버튼부재(누름보턴, 가압봉, 이동로드)와 액츄에이터(가압돌편, 힌지축, 레버) 간의 결합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수가 많아 복잡한 면이 있고, 특히 그 구조가 단순하지 않아 동작의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또한 격벽을 통해 일부 방습성을 구비하였으나, 완전한 밀폐구조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약간의 수분이라도 침투할 여지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1 내지 4의 구성을 조립하는데 있어, 물리적으로 자동화를 실현하기 어려운 구성요소를 갖는 바, 작업자의 수작업 공정을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어, 자동화에 의한 대량생산에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튼부재의 상시 노출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리턴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바디에 형성하여 바디에 각 구성을 기 조립한 다음에 커버를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양산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수용부를 리턴부재의 외측 둘레에 상응하는 내측둘레를 갖는 수용홈으로 구비하여, 종래의 핀, 봉, 돌기 등과 같은 구성에 비해 조립성이 개선되어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버튼부재의 길이가 바디의 제1장착부의 길이보다 짧아 버튼부재의 조립 시 억지로 끼워 넣지 않고 제1장착부에 간편하게 올려놓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는 단순한 조립구조로 생산효율을 높임은 물론 자동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버튼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와 제1장착부에 형성된 안내부의 결합을 통해 인 출입되는 버튼부재의 동작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장착부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제1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드나드는 버튼부재,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의 상시 인출을 지지하는 리턴부재,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인입 시 상기 버튼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3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고, 자체복원력을 갖는 노드선택부 및,
상기 제4장착부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장착부 하부 측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리턴부재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리턴부재의 외측 둘레에 상응하는 내측둘레를 갖는 수용홈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버튼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장착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버튼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제1장착부의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버튼부재의 상시 노출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리턴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바디에 형성하여 바디에 각 구성을 기 조립한 다음에 커버를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자동화가 가능하고,
특히 수용부를 리턴부재의 외측 둘레에 상응하는 내측둘레를 갖는 수용홈으로 구비하여, 종래의 핀, 봉, 돌기 등과 같은 구성에 비해 조립성이 개선되어 자동화 양산이 가능하고,
아울러 엑츄에이터를 동작하게 하기 위한 힌지, 레버 등과 같은 기타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버튼부재의 길이가 바디의 제1장착부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여 버튼부재의 조립 시 비스듬하게 억지로 끼워 넣지 않고 제1장착부에 간편하게 올려놓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게 하여 자동 양산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버튼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와 제1장착부에 형성된 안내부의 결합을 통해 인 출입되는 버튼부재의 동작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리턴스위치(S)라 함은 버튼부재(20)가 상시 인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리턴부재(30)가 버튼부재(20)를 밀어내는 상시 인출상태의 스위치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S)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1 내지 제4장착부(111A)(111B)(111C)(111D)를 갖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에 결합되는 커버(13)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장착부(111A)는 버튼부재(20)가 장착되고, 이 버튼부재(20)가 상하로 인 출입운동을 하는 통로이다.
또한 제2장착부(111B)는 도면상 제1장착부(111A)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츄에이터(40)가 이 제2장착부(111B)에 장착된다.
아울러 제3장착부(111C)는 도면상 제2장착부(111B)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노드선택부(50)가 이 제3장착부(111C)에 장착된다.
또 제4장착부(111D)는 도면상 제3장착부(111C)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출력단자부(60)가 이 제4장착부(111D)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13)는 상기 바디(1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또한 바디(11)와 커버(13)는 모두 각각 상호 결합되는 리브(117)(133)(Rib)를 가져, 각 리브(117)(133)간의 (바디(11)의 리브(117)와 커버(13)의 리브(133)) 억지끼움결합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본 리턴스위치(S)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요소의 수가 적고,
나아가 금속재질의 체결부재(예: 나사, 볼트 등)를 생략하는 특징으로 인해 방수성이 뛰어나 쇼트 발생 우려가 없다.
허나 전기한 바와 같이 각 리브(117)(133)를 통한 억지끼움결합만으로는 결합력을 충분히 보장받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5)를 형성하고,
커버(13)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5)를 수용하여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131a)을 갖는 결합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결합돌기(115)와 결합부(131)의 걸림결합으로 인해, 전기한 바디(11)의 리브(117)와 커버(13)의 리브(133)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고, 이후 바디(11)의 결합돌기(115)가 커버(13)의 결합부(131)의 걸림홈(131a)에 위치하여 걸릴 수 있도록 결합해 주면 된다.
바디(11)와 커버(13)의 결합 해제를 원하는 경우, 각 리브(117)(133)의 결합을 해제하기에 앞서 결합돌기(115)에서 결합부(131)를 먼저 결합 해제하는 것을 선행하여야 한다.
또한 바디(11)에 형성된 결합돌기(115)가 커버(13)에 형성되고, 커버(13)에 형성된 결합부(131)가 바디(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1장착부(111A)에 장착되는 버튼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튼부재(20)는 제1장착부(111A)내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통해 제1장착부(111A)의 상부 측 바디(11)에 형성된 출몰공(113)을 드나든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버튼부재(20)는 바디(11)의 출몰공(113)을 드나드는 원기둥 형상의 노출부(23)와, 바디(11)의 제1장착부(111A) 내에 귀속되기 위해 출몰공(113)의 크기보다 더 큰 폭 또는 직경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의 함장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함장부(25)는 일종의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버튼부재(20)가 하우징(10)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버튼부재(20)는 제1장착부(111A)의 길이보다 짧아 제1장착부(111A)에 수직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핵심 과제인 '조립의 자동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으로 작용하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따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커버(13) 역시 바디(11)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재(20)의 상시 인출을 지지하는 리턴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 및 도 2에는 이러한 리턴부재(30)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탄성 또는 복원력을 갖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2장착부(111B)에 장착되는 액츄에이터(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액츄에이터(40)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버튼부재(20)의 인입 시 버튼부재(20)의 측벽부(21)에 접촉하여 노드선택부(50) 측으로 밀려가고,
버튼부재(20)의 인출 시 노드선택부(50)의 복원력에 의해 리턴부재(30)측으로 밀려가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2장착부(111B) 내에서 수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3장착부(111C)에 장착되는 노드선택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드선택부(50)는 버튼부재(20)의 인입 시 액츄에이터(40)에 의해 가압되고,
버튼부재(20)의 인출 시 자체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며 액츄에이터(40)를 리턴부재(30) 측으로(도면(도 1)상 좌측으로) 밀어낸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제4장착부(111D)에 장착되는 출력단자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출력단자부(60)는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 항상 쇼트 되어 있는 COM단자(Com)와, 스위치(S)의 오픈(Open) 상태일 때 쇼트 되는 NO단자(No)와, 스위치(S)의 닫힘(Closed) 상태이일 때 쇼트 되는 NC단자(N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하부 원 영역을 참고하여 버튼부재(20)의 인 출입에 따른 본 리턴스위치(S) 일련의 동작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튼부재(20)가 가압되어 인입되면 버튼부재(20)가 하강하고, 하강하면서 버튼부재(20)의 하부는 액츄에이터(40)를 우측으로 밀어낸다.
이에 우측으로 밀려난 액츄에이터(40)는 노드선택부(50)를 우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낸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NO단자(No)에 접촉되어 있던 노드선택부(50)는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NC단자(Nc)에 접촉하게 되고, COM단자(Com)와 NC단자(Nc)가 연통되어 리턴스위치(S)의 닫힘(Closed) 동작이 완료된다.
버튼부재(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도 1 하부 좌측 원 영역)
먼저 노드선택부(50)는 자체탄성에 의해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좌측으로 복원되어 NO단자(No)와 접촉하고,
복원된 노드선택부(50)가 액츄에이터(40)를 좌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내고, 버튼부재(20)는 리턴부재(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인출상태로 밀려 올라가 버튼부재(20)의 노출부(23)가 출몰공(113)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COM단자(Com)와 NO단자(No)가 연통되어 리턴스위치(S)의 열림(Opened)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특징인 '조립성'과 관련한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립성'과 관련한 특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부(111A)의 하부 측 바디(11)에 형성된 수용부(1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부(112)는 리턴부재(30)의 하부를 수용하여 리턴부재(30)의 하우징(10) 내 삽입을 보다 편리하게 하여 자동화 및 양산화에 기여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2)는 리턴부재(30)의 외측 둘레에 상응하는 내측둘레를 갖는 수용홈(112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부(112)는 리턴부재(30)의 외측 둘레에 상응하는 내측둘레를 갖는 수용홈(112A)'인 특징으로 인해, 조립성이 보다 개선되는데,
보다 명확하게 이를 설명하면,
종래의 기술들은 스프링으로 된 리턴부재(30)를 하우징 내, 특히 제1장착부(111A)에 배열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리턴부재(30)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는 일종의 핀 또는 돌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리턴부재(30)를 고정시키는데,
리턴부재(30)의 통공에 구비된 스프링의 삽입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이유로 기계식의 자동화가 구현되기 어려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립을 해야 하고, 이는 결국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스프링 삽입을 위한 공간의 확보를 위해 버튼부재(20)의 길이를 줄이고, 수용홈(112A)을 제1장착부(111A) 하부 측 바디에 구비하였다.
이에 따라 리턴부재(30)의 일단은 버튼부재(20)와 고정되고, 리턴부재(30)의 타단은 수용홈(112A)에 삽입되는 식으로 조립이 완료되는데, 이 작업은 기계를 통한 자동화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핵심 과제인 '자동화'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조립성'과 관련하여 본 리턴스프링(S)의 또 다른 특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20)의 함장부(25)는 내측으로 결합공간부(231)를 갖고, 이 결합공간부(231)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봉(23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명확하게 이를 설명하면, 결합공간부(231)는 함장부(25)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 결합공간부(231)에 전기한 리턴부재(30)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고정되고, 리턴부재(30)의 통공에는 이 결합공간부(231)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봉(233)이 삽입되어, 버튼부재(20)와 리턴부재(30)간의 결합을 지지한다.
상기 버튼부재(20)와 리턴부재(3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자동화를 통해 기계가 조립을 진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버튼부재(20)를 제1장착부(111A)에 수직으로 삽입하고, 버튼부재(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노출부(23)가 출몰공(113)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후, 리턴부재(30)를 버튼부재에 삽입하는데, 이 때 리턴부재(30)의 일단은 버튼부재(20)의 결합공간부(231)에 삽입되게 하되, 리턴부재(30)의 통공에 고정봉(233)이 삽입되게 결합하고, 리턴부재(30)의 타단은 상기 바디(11)의 수용홈(112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면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는 동일 과정을 거쳐 버튼부재(20)와 리턴부재(30)를 삽입하는데, 리턴부재(30)의 타단을 먼저 바디(11)의 수용홈(112A)에 고정되도록 하고, 일단을 버튼부재(20)의 결합공간부(231) 내측으로 삽입하는 형태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버튼부재(20)를 제1장착부(111A)에 수직으로 삽입하기 전, 리턴부재(30)를 버튼부재(20)의 결합공간부(231) 내부에 먼저 삽입하고, [버튼부재(20)와 리턴부재(30)의 결합체]를 제1장착부(111A)에 수직으로 삽입하되, 리턴부재(30)의 타단이 바디(11)의 수용홈(112A)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액츄에이터(40), 노드선택부(50), 출력단자부(60)는 바디(11)에 미리 장착이 완료된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조립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턴스위치(S)는
버튼부재(20)의 길이(L20)가 제1장착부(111A)의 길이(L111A)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특징으로, 버튼부재의 길이(L20)가 제1장착부의 길이(L111A)보다 길면, 버튼부재(20)의 길이에 기인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리턴부재(30) 때문에 수용홈(112A)을 바디(11)가 아닌 커버(13)에 구비해야 하므로, 버튼부재(20) 및 리턴부재(30)를 제1장착부(111A)에 삽입한 후 커버(13)의 결합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없어 결국 작업자의 수작업을 빌려 조립이 완료될 수밖에 없으므로,
'조립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버튼부재의 길이(L20)가 제1장착부의 길이(L111A)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버튼부재의 길이(L20)가 제1장착부의 길이(L111A)보다 짧은 특성'은 본 발명이 갖는 특징적인 엑츄에이터에 의한 것으로, 엑츄에이터를 동작하게 하기 위한 힌지, 레버 등과 같은 기타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버튼부재의 길이가 바디의 제1장착부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버튼부재(20)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27)와,
제1장착부(111A)의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7)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안내부(111a)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먼저 함장부(25)의 측면 중 액츄에이터(40)와 접촉하는 면을 특별히 측벽부(21)라 명명했고, 버튼부재(20)의 측면부라 함은 측벽부(21)를 제외한 함장부(25)의 모든 측면을 의미한다.(원통형 함장부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측벽부가 구비된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7)는 버튼부재(2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이고,
안내부(111a)는 제1장착부(111A)의 내측벽에 형성된 돌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7)는 버튼부재(2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이고,
안내부(111a)는 제1장착부(111A)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에서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7) 및 안내부(111a)를 복수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C]에서는 홈 형태의 가이드(27)를 버튼부재(20)의 마주보는 양 측면부에 구비하고, 돌기형태의 가이드(27)를 제1장착부(111A)의 내측벽 중 상기 양 측면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두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 하, 좌, 우를 특정하여 설명한 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고, 실제로 본 리턴스위치(S)가 적용되는 방향은 반드시 도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향기준에 대한 해석은 참고하고자 하는 도면에 한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리턴스위치 10: 하우징
11: 바디 111A ~ 111D : 제1 내지 제4장착부
112: 수용부 112A: 수용홈
113: 출몰공 13: 커버
20: 버튼부재 21: 측벽부
23: 노출부 231: 결합공간부
233: 고정봉 25: 함장부
27: 가이드
30: 리턴부재 40: 액츄에이터
41: 제1가이드부 42: 제2가이드부
43: 헤드 431: 경사접촉부
50: 노드선택부 60: 출력단자부

Claims (10)

  1. 제1 내지 제4장착부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제1장착부에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장착부 상부 바디에 형성된 출몰공을 통과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노출부와, 상기 제1장착부 내에 귀속되도록 상기 출몰공보다 직경이 큰 사각기둥 형상의 함장부를 포함하는 버튼부재;
    일단부가 상기 버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리턴부재;
    상기 제2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인입 시 상기 버튼부재의 측벽부에 접촉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제1장착부 하부 측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리턴부재의 하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장착부의 길이보다 짧아 상기 제1장착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리턴부재의 외측 둘레에 상응하는 내측둘레를 갖는 수용홈이며,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제1장착부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함장부는 내측으로 결합공간부를 갖고, 이 결합공간부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압되고, 자체복원력을 갖는 노드선택부; 및

    상기 제4장착부에 장착되고,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출력단자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턴스위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제1장착부의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리턴스위치.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버튼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홈이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장착부 내측벽에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버튼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장착부 내측벽에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턴스위치.
  10. 삭제
KR1020150000627A 2015-01-05 2015-01-05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KR10176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27A KR101767200B1 (ko) 2015-01-05 2015-01-05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27A KR101767200B1 (ko) 2015-01-05 2015-01-05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22A KR20160084122A (ko) 2016-07-13
KR101767200B1 true KR101767200B1 (ko) 2017-08-10

Family

ID=5650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27A KR101767200B1 (ko) 2015-01-05 2015-01-05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2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22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955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1869335B1 (ko)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CN111180240B (zh) 按键结构及键盘
US20140085781A1 (en)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2775497B1 (en) Switch
US8957338B2 (en) Trigger action switch operator
US8193461B2 (en) Electrical switch, particularly of microswitch design
US10437289B2 (en) Button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EP2557580B1 (en) Switch
KR101767200B1 (ko) 조립성이 개선된 리턴스위치
US7060917B1 (en) Plunger switch for electric appliances
US3614363A (en) Cam switch unit
KR101729631B1 (ko) 방습구조를 갖는 리턴스위치
KR101732654B1 (ko) 방수구조를 구비한 리턴스위치
JPS6054733B2 (ja) 電気スイツチ
US4440992A (en) Low profile keyboard switch actuating assembly
JP3834830B2 (ja) リミットスイッチの構造
KR101110463B1 (ko) 회로차단기 외부조작 핸들의 트립버튼장치
JP4784708B1 (ja) スイッチ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CN219534366U (zh) 一种按转式按钮控制开关
CN220963123U (zh) 一种方便拆装的翘板开关
JP6213308B2 (ja) スイッチ
JP200913495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JPS603815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