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106A -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106A
KR20170054106A KR1020150156843A KR20150156843A KR20170054106A KR 20170054106 A KR20170054106 A KR 20170054106A KR 1020150156843 A KR1020150156843 A KR 1020150156843A KR 20150156843 A KR20150156843 A KR 20150156843A KR 20170054106 A KR20170054106 A KR 20170054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rice
food composition
preference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자
김선림
강현중
서우덕
김현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15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4106A/ko
Publication of KR2017005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맵쌀 0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및 상기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리 함량이 증진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소비자들이 식미 저하 없이 많은 양의 보리를 섭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고지혈증 및 당뇨 등을 포함한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성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갈변 현상이 감소됨에 따라 보리를 포함하는 식품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리를 이용한 식품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barley having reduced browning reaction}
본 발명은 영백찰 및 맵쌀을 포함하는,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및 상기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리(Hordeum vulgare L.)는 세계 4대 작물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의 경우에 쌀 다음가는 주식 곡물이다. 보리는 말초신경 활동 증진 및 그의 기능 향상, 혈당 조절,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제거능 또는 LDL 콜레스테롤 산화 억제능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보리의 생리활성 기능이 재조명되면서 보리국수, 보리빵, 보리 미숫가루, 보리차, 보리음료 등 보리를 이용한 가공 식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강관리를 위하여 보리밥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보리는 생리활성물질로 잘 알려진 베타글루칸(β-glucan)을 함유하고 있는데,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하루에 3-6g의 수용성 베타글루칸 섭취시, 6-8%의 LDL 콜레스테롤 감소효과가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는, 한 공기의 밥(200g)에 약 50% 이상의 일반 보리가 첨가되어야 하는 양이다. 그러나, 보리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이라는 폴리페놀 성분에 의하여 갈변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보리밥의 색 변이로 인하여 보리밥의 선호도가 감소되기도 한다.
상기 갈변 현상은, 효소적 갈변 또는 비효소적 갈변을 포두 포함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색의 변화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갈변은 식품 외관을 손상시키고 향을 나쁘게 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과 필수 아미노산 등을 영양상 무효로 하게 하거나 감소하게 하므로 보리를 이용한 식품 산업에서, 보리의 갈변 방지는 해결해야 하는 아주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맵쌀 0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이 새찰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에 비하여 갈변이 감소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맵쌀 0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백찰보리 및 맵쌀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백찰 보리 15 내지 100 중량 % 및 0 내지 85 중량 %가 포함된,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맵쌀 0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영백찰"이란, 다른 보리 품종보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이 적어,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보리 품종을 의미한다. 상기 영백찰은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개발되었으며, 2013년 8월 26일자로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하여,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5224호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에서 영백찰, 영백찰보리 및 영백찰쌀보리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맵쌀"이란, 일반적으로 쌀밥으로 취반하여 먹는 쌀을 의미하며, 메벼에서 나온 찰기가 적은 쌀로서 찹쌀에 대응하는 쌀이다.
맵쌀의 품종은 다양하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맵쌀은 신동진, 추청, 삼광, 호품, 칠보, 진수미, 소품, 하이아미 및 운광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갈변 현상"이란, 식품의 저장, 가공, 조리과정에서 식품이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갈변은 효소가 관여하는 효소적 갈변일 수 있으며, 상기 효소적 갈변의 기질이 되는 것은 식물 중의 페놀류 및 폴리페놀류, 구체적으로 보리의 프로안토시아니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안토시아니딘이 효소의 작용에 의해 반응성이 높은 퀴논류로 변환되며, 생성된 퀴논류는 그 자체로 중합하거나 아미노화합물과의 반응물이 중합하여 착색중합물질인 멜라노이딘으로 변환되어 갈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갈변 현상은 백도, 밝기, 적색도 또는 황색도의 변화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백도"란, 물체색의 흰 정도를 나타내는 도수를 의미하고; 본 발명의 용어, "밝기"란, 밝은 정도를 의미하고; 본 발명의 용어, "적색도"란, 적색 또는 붉은색의 정도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용어, "황색도"란, 황색 또는 노란색의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갈변현상의 감소는 상기 백도, 밝기, 적색도 또는 황색도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으로써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영백찰이 아닌 새찰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에 비해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60시간까지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새찰"이란, 찰성인자계통의 보리 품종을 의미하며, 보통보리를 찰기가 많은 유전인자로 바꾸기 위하여 인공교배와 세대촉진을 실시함으로써, 개발된 보리 품종이다. 본 발명에서 새찰, 새찰보리 및 새찰쌀보리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백찰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리밥 또는 보리떡은 취반 또는 호화 후 48시간이 지난 후에도, 그리고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보리밥의 백도, 밝기, 적색도 또는 황색도가 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10). 그러나, 새찰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리밥 또는 보리떡은 취반 또는 호화 후 48시간이 지나면, 백도, 밝기, 적색도 또는 황색도의 수준이 크게 변화됨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10).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새찰 또는 영백찰의 보리 함량을 5% 간격으로 0 내지 100% 첨가하여 보리밥을 제조하여 취반 직후의 보리밥의 색상 및 전체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새찰을 이용한 보리밥의 선호도는 취반 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시 모든 범위에서 5점 이하임을 확인하였다(도 17). 그러나,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의 선호도는 취반 직후는 물론, 취반 후 24시간 및 48시간의 저장기간 경과시에도 선호도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취반 직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에도 15 내지 100%의 혼합비율 범위에서 선호도는 5점 이상임을 확인하였다(도 18).
이는,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맵쌀 0 내지 85 중량 %를 포함하는 보리 식품조성물은 갈변현상이 저해되므로 상품성이 높아지는 것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영백찰은 도정률이 40 내지 90%, 구체적으로 45 내지 85%, 더욱 구체적으로 50 내지 8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 선호도가 높은 보리밥을 제조하기 위하여 영백찰의 적합 도정률을 판정한 결과, 쌀과 혼반 시 영백찰의 적합 도정률은 약 50-80%의 범위가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도 1 내지 3), 이에 따라, 본 발명에는 도정률이 77%인 영백찰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보리밥, 보리떡, 보리과자, 보리음료 및 보리빵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보리를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리는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2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영백찰 및 맵쌀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0 내지 85 중량 %가 포함된,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영백찰, 맵쌀, 갈변 현상 및 식품에 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보리 함량이 증진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소비자들이 식미 저하 없이 많은 양의 보리를 섭취할 수 있게 하므로, 고지혈증 및 당뇨 등을 포함한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성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갈변 현상이 억제됨에 따라 보리를 포함하는 식품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리를 이용한 식품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영백찰의 도정률 및 저장 시간에 따른 보리밥의 수분흡수성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20℃, B는 30℃ 및 C는 40℃에서 상기 보리밥의 수분흡수성을 조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영백찰의 도정률과 보리밥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보리밥의 수분흡수성, B는 보리밥의 퍼짐성, C는 영백찰(알곡)의 백도 및 D는 보리밥 백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서로 다른 도정률을 갖는 영백찰을 이용하여 취반한 보리밥과 쌀밥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밥의 백도(whitene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새찰을 이용한 보리밥, 및 B는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의 백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밥의 밝기(lightne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새찰을 이용한 보리밥, 및 B는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의 밝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밥의 적색도(redne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새찰을 이용한 보리밥, 및 B는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의 적색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밥의 황색도(yellowne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새찰을 이용한 보리밥, 및 B는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의 황색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새찰 또는 영백찰의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밥의 취반 직후의 갈변현상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9는 새찰 또는 영백찰의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밥의 취반 24시간 후의 갈변현상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새찰 또는 영백찰의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밥의 취반 48시간 후의 갈변현상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1은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떡의 백도(whitene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새찰을 이용한 보리떡, 및 B는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떡의 백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떡의 밝기(lightne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새찰을 이용한 보리떡, 및 B는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떡의 밝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떡의 황색도(yellowness)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새찰을 이용한 보리떡, 및 B는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떡의 황색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새찰보리 함유량에 따른 취반 직후의 보리밥의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색상에 대한 선호도, 및 B는 보리밥 전체에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영백찰보리 함유량에 따른 취반 직후의 보리밥의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색상에 대한 선호도, 및 B는 보리밥 전체에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새찰보리 함유량에 따른 취반 24시간 후의 보리밥의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색상에 대한 선호도, 및 B는 보리밥 전체에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영백찰보리 함유량에 따른 취반 24시간 후의 보리밥의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색상에 대한 선호도, 및 B는 보리밥 전체에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새찰보리 함유량에 따른 취반 48시간 후의 보리밥의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색상에 대한 선호도, 및 B는 보리밥 전체에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영백찰보리 함유량에 따른 취반 48시간 후의 보리밥의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A는 색상에 대한 선호도, 및 B는 보리밥 전체에 선호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새찰 혼합비율 및 저장시간에 따른 보리밥 선호도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영백찰 혼합비율 및 저장시간에 따른 보리밥 선호도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보리밥 제조에 적합한 영백찰의 도정률 판정
선호도가 높은 보리밥을 제조하기 위하여 영백찰의 적합 도정률을 판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정률을 50%, 60%, 70%, 77% 및 90%로 달리한 영백찰과 쌀을 혼반하여 보리밥을 제조하였으며, 이후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상기 보리밥의 수분흡수성, 퍼짐성, 곡실 백도, 보리밥 백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수분흡수성을 분석한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20℃에서 쌀은 2시간 만에 포화흡수가 이루어져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수분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영백찰은 8시간에 포화흡수가 이루어짐을 확인함으로써 쌀의 4배 정도의 수분 흡수량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분흡수 속도는 90%와 50% 도정이 다소 빨랐으나 도정률이 달라져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0℃에서 영백찰의 수분흡수력은 도정률이 달라져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나, 50% 도정률의 경우 가장 적고 빠른 수분흡수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40℃에서 50% 도정률의 경우 4시간에 포화흡수력을 보여 가장 빨리 평형상태에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보리밥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과 도정률과의 상관관계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관관계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퍼짐성, 알곡백도, 보리밥백도, 알곡밝기 및 보리밥밝기에 대하여 영백찰이 쌀보다 높은 범위를 가질 때의 도정률을 조사하였다.
도정률과 영백찰쌀보리의 취반 및 색도와의 상관관계
도정률과의 상관관계식 영백찰
적합도정률 범위
흡수성(%) 302.3 y = - 0.0266x2 + 1.9333x + 298.28
R² = 0.9573
2.1-74%
(흡수성 302 이상)
퍼짐성(%) 489.5 y = - 0.0159x2 - 0.4025x + 580.06
R² = 0.9821
60%이하
(퍼짐성 489 이상)
알곡백도 42.83 y = - 0.0168x2 + 1.6223x + 14.531
R² = 0.9991
23-74%
(알곡백도 42 이상)
보리밥백도 62.75 y = - 0.0115x2 + 1.3643x + 4.5651
R² = 0.9597
없음
(보리밥백도 62 이상)
알곡밝기 70.49 y = - 0.0118x2 + 1.2778x + 43.372
R² = 0.996
29-79%
(알곡밝기 70 이상)
보리밥밝기 71.52 y = - 0.0002x3 + 0.0442x2 - 2.586x + 116.57
R² = 0.9864
36-45%
(보리밥밝기 72 이상)
그 결과, 상기 표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보리밥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변수들에 대하여 쌀보다 높은 범위를 가질 때의 영백찰의 도정률은 약 20-80%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정률 50% 미만은 수율이 낮고 곡립이 너무 작아 선호도가 떨어지며, 80% 이상은 식감이 딱딱하고 색도에서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쌀과 혼반 시 영백찰의 적합 도정률은 약 50-80%의 범위가 적합함을 확인하였다(도 3). 이에 따라, 도정률이 77%인 영백찰을 본 발명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밥의 갈변현상 분석
실시예 1-1. 보리밥의 백도(whiteness) 변화 분석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보리밥을 제조하였다. 상기 영백찰 또는 새찰은 도정률이 77%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맵쌀은 신동진(새만금농산, 무농약쌀지평선) 벼를 사용하였다.
이후, 영백찰 또는 새찰로 제조한 보리밥의 백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취반 직후, 취반 24시간 후, 및 취반 48시간 후에 보리밥의 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백도는 Kett(Kett Electic Laboratory C-300-3) 장비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고, 그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5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 새찰보리의 경우 백도는 취반 직후 41.8에서 48시간 저장 후 25.2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 41.4에서 36.4로 소폭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에도, 새찰의 경우에는 취반 직후 34.6에서 48시간 저장 후 15.3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에는 35.2에서 29.1로 소폭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취반 후 저장 중에서도 백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보리밥의 밝기(lightness) 변화 분석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밥의 밝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취반 직후, 취반 24시간 후, 및 취반 48시간 후에 보리밥의 밝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밝기는 color difference meter(Color JS 55; Color Technology System Co., Japan) 장비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고, 그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10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 새찰의 경우 취반 직후 63.3에서 48시간 저장 후 46.7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 65.6에서 61.9로 소폭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취반 후 저장 중에서도 밝기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보리밥의 적색도(redness) 변화 분석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밥의 적색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취반 직후, 취반 24시간 후, 및 취반 48시간 후에 보리밥의 적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적색도는 color difference meter(Color JS 55; Color Technology System Co., Japan) 장비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고, 그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10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 새찰의 경우 취반 직후 0.9에서 48시간 저장 후 8.6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 0.5에서 1.4로 소폭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취반 후 저장 중에서도 적색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4. 보리밥의 황색도(yellowness) 변화 분석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밥의 황색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취반 직후, 취반 24시간 후, 및 취반 48시간 후에 보리밥의 황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황색도는 color difference meter(Color JS 55; Color Technology System Co., Japan) 장비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고, 그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10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 새찰의 경우 취반 직후 13.4에서 48시간 저장 후 22.2로 증가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 17.0에서 17.5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취반 후 저장 중에서도 황색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영백찰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리밥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백도,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며, 또한 취반 후 24시간 및 48시간이 지난 후에도 백도, 밝기, 적색도 및 황색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음에 따라 갈변현상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내지 10).
실시예 2. 보리 첨가량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보리떡의 갈변현상 분석
실시예 2-1. 보리떡의 백도(whiteness) 변화 분석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보리떡을 제조하였다. 상기 영백찰 또는 새찰은 도정률이 77%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맵쌀은 신동진(새만금농산, 무농약쌀지평선) 벼를 사용하였다.
이후, 영백찰 또는 새찰로 제조한 보리떡의 백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호화 직후, 호화 24시간 후, 및 호화 48시간 후에 보리떡의 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백도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5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 새찰의 경우 백도는 호화 직후 24.8에서 48시간 저장 후 12.9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 23.2에서 16.8로 소폭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에도, 새찰의 경우에는 호화 직후 17.7에서 48시간 저장 후 10.0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에는 16.1에서 12.5로 소폭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떡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호화 후 저장 중에서도 백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보리떡의 밝기(lightness) 변화 분석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떡의 밝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호화 직후, 호화 24시간 후, 및 호화 48시간 후에 보리떡의 밝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밝기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10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 새찰의 경우 호화 직후 51.7에서 48시간 저장 후 38.6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 51.5에서 48.6으로 소폭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떡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호화 후 저장 중에서도 밝기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보리떡의 황색도(yellowness) 변화 분석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보리떡의 황색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호화 직후, 호화 24시간 후, 및 호화 48시간 후에 보리떡의 황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황색도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100%의 보리를 함유했을 때, 새찰의 경우 호화 직후 20.5에서 48시간 저장 후 27.8로 증가하였지만, 영백찰의 경우 22.2에서 22.5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떡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호화 후 저장 중에서도 황색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영백찰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리떡은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백도, 밝기 및 황색도가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또한 호화 후 24시간 및 48시간이 지난 후에도 백도, 밝기 및 황색도가 거의 변화되지 않음에 따라 갈변현상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보리 함량별 선호도 조사
실시예 3-1. 취반 직후 보리 함량별 선호도 조사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취반 직후의 보리밥의 색상 및 전체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새찰 또는 영백찰의 보리 함량을 5% 간격으로 0 내지 100% 첨가하여 보리밥을 제조하였다. 취반 직후, 24시간 및 48시간이 경과한 이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1점은 매우 싫음, 3점은 싫음, 5점은 보통, 7점은 좋음 및 9점은 아주 좋음의 기준을 갖는 9점 척도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새찰의 경우, 색상 선호도는 새찰 함량 25-85%의 범위; 및 모양, 맛 및 냄새 등의 전체 선호도는 새찰 함량 15-100% 범위에서 5점 이상으로 보통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4). 영백찰의 경우에는, 색상선호도는 영백찰 함량 15-100%의 범위; 및 모양, 맛 및 냄새 등의 전체 선호도는 영백찰 함량 15-100% 범위에서 5점 이상인 보통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5).
실시예 3-2. 취반 24시간 경과 후 보리 함량별 선호도 조사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취반 24시간 경과 후의 보리밥의 색상 및 전체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에 따라 보리밥을 제조하였고, 제조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에 따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새찰의 경우, 색상 선호도는 20-50%의 범위; 및 모양, 맛 및 냄새 등의 전체 선호도는 30-50% 범위에서 5점 이상으로 보통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6). 반면, 영백찰의 경우에는, 색상선호도는 10-100%의 범위; 및 모양, 맛 및 냄새 등의 전체 선호도는 15-100% 범위에서 5점 이상인 보통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7).
이를 통해, 영백찰을 이용하여 보리밥을 제조한 경우에는 대조군인 새찰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리밥보다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더라도, 색상 선호도 및 전체 선호도가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3. 취반 48시간 경과 후 보리 함량별 선호도 조사
도정률이 77%인 영백찰 또는 새찰과 맵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취반 48시간 경과 후의 보리밥의 색상 및 전체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에 따라 보리밥을 제조하였고, 제조 후 48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에 따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새찰의 경우, 색상 선호도 및 전체 선호도는 전체 범위에서 5점 미만인 보통 미만의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8). 반면, 영백찰의 경우에는, 색상선호도는 10-100%의 범위; 및 모양, 맛 및 냄새 등의 전체 선호도는 15-100% 범위에서 5점 이상으로 보통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9).
이를 통해, 영백찰을 이용하여 보리밥을 제조한 경우에는, 보리 함량이 100%까지 증가하여도, 또한 취반 48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대조군인 새찰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리밥보다 색상 선호도 및 전체 선호도가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색상 선호도 및 전체 선호도의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새찰 혼합비율 및 저장시간에 따른 선호도조사 결과, 취반 직후를 제외하고, 취반 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시 새찰을 포함하는 보리밥은 모든 범위에서 선호도가 5점 이하임을 확인하였다. 선호도 조사의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5점 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혼합비율을 확인한 결과, 단지 취반 직후에서만 약 15-85%에 불과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정식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으며, 방정식의 그래프를 도 20에 정리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새찰을 이용한 보리밥은 새찰보리를 약 15-85%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취반 직후 색, 모양, 맛 및 냄새 등의 선호도가 최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새찰을 포함하는 보리밥에 대한 선호도 조사의 회귀방정식
방정식 선호도 5.0 이상 혼합비율 범위
새찰 취반직후
색상 선호도
y=-0.0012x2+0.1207x+4.0863R²=0.8477 8.25-92.34%
새찰 취반직후
전체적인 선호도
y=-0.0013x2+0.1318x+3.1517R²=0.8284 16.81-84.57%
새찰 취반 24시간 후
색상 선호도
y=-0.0008x2+0.0492x+4.2019R²=0.8771 -
새찰 취반 24시간 후
전체적인 선호도
y=-0.0007x2+0.0458x+3.9286R²=0.7686 -
새찰 취반 48시간 후
색상 선호도
y=-0.0004x2+0.009x+3.9633R²=0.9169 -
새찰 취반 48시간 후
전체적인 선호도
y=-0.0005x2+0.0208x+3.4798R²=0.8436 -
또한, 영백찰 혼합비율 및 저장시간에 따른 색상 선호도 및 전체 선호도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취반 직후는 물론, 취반 후 24시간 및 48시간의 저장기간 경과시에도 선호도가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선호도 조사의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5점 이상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혼합비율을 확인한 결과, 취반 직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에도 약 15-100%의 혼합비율 범위에서 선호도는 5점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방정식을 하기 표 3에 정리하였으며, 방정식의 그래프를 도 21에 정리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영백찰을 이용한 보리밥은 영백찰보리를 약15-100%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저장 시간이 지나도 갈변이 최소화되며, 모양, 맛 및 냄새 등의 전체 선호도가 최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영백찰을 포함하는 보리밥에 대한 선호도 조사의 회귀방정식
방정식 선호도 5.0 이상 혼합비율 범위
영백찰 취반직후
색상 선호도
y=-0.0011x2+0.1205x+4.0288R²=0.9113 8.76-100.79%
영백찰 취반직후
전체적인 선호도
y=-0.0011x2+0.1285x+3.4254R²=0.9202 13.91-102.91%
영백찰 취반 24시간 후
색상 선호도
y=-0.001x2+0.117x+4.2628R²=0.9761 6.68-110.32%
영백찰 취반 24시간 후
전체적인 선호도
y=-0.001x2+0.1239x+3.5149R²=0.9637 13.45-110.46%
영백찰 취반 48시간 후
색상 선호도
y=-0.0009x2+0.1011x+4.0968R²=0.8877 9.79-102.55%
영백찰 취반 48시간 후
전체적인 선호도
y=-0.001x2+0.1133x+3.6923R²=0.9214 13.04-100.26%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맵쌀 0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변 현상은 백도, 밝기, 적색도 또는 황색도의 변화인 것인,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영백찰이 아닌 새찰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에 비해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것인, 식품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60시간까지 갈변 현상이 감소되는 것인, 식품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보리밥, 보리떡, 보리과자, 보리음료 및 보리빵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인, 식품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쌀은 신동진, 추청, 삼광, 호품, 칠보, 진수미, 소품, 하이아미, 고시히까리 및 운광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인, 식품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백찰은 도정률이 50 내지 80%인 것인, 식품조성물.
  8. 영백찰 및 맵쌀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백찰 15 내지 100 중량 % 및 0 내지 85 중량 %가 포함된,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56843A 2015-11-09 2015-11-09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KR20170054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43A KR20170054106A (ko) 2015-11-09 2015-11-09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43A KR20170054106A (ko) 2015-11-09 2015-11-09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94A Division KR20190030680A (ko) 2019-03-15 2019-03-15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06A true KR20170054106A (ko) 2017-05-17

Family

ID=5904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43A KR20170054106A (ko) 2015-11-09 2015-11-09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41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4072A (zh) * 2018-04-09 2018-09-11 西藏雅鲁藏布食品有限公司 一种青稞压缩饼干及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4072A (zh) * 2018-04-09 2018-09-11 西藏雅鲁藏布食品有限公司 一种青稞压缩饼干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862B1 (ko)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CN104381754A (zh) 一种藤茶苦荞饺子及其制备方法
KR101937654B1 (ko) 인삼, 홍삼, 도라지 또는 더덕을 이용한 조청 제조방법
KR20140013708A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9396A (ko) 즉석 연근 떡국 및 그 제조방법
KR102510215B1 (ko) 다기능 드레싱 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다기능 드레싱 소스
KR101551241B1 (ko) 고추장 잼 및 그 제조방법
KR101435941B1 (ko) 간장 조미액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274908A (ja) ポタージュス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31476A (ko) 국수용 멸치 김치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KR101320370B1 (ko) 복분자를 포함하는 호떡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4106A (ko)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KR100948391B1 (ko) 감귤농축액을 포함하는 감귤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0680A (ko) 갈변 현상이 감소된 보리를 함유한 식품조성물
KR101894985B1 (ko) 홍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894638B1 (ko) 귀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귀리 된장
KR20210000779A (ko) 굼벵이 효소처리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8760A (ko) 벼과식물의 녹엽과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면
KR102415781B1 (ko) 유자를 함유하는 소스의 제조방법
KR102510946B1 (ko) 건강기능성 식품용 흑마늘 진액의 제조방법
KR102087292B1 (ko) 홍삼 두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3169147U (ja) ビタミン強化と虫歯予防機能を有する農産物加工食品パン及びケ−キ
KR101917722B1 (ko) 콩과 팥을 이용한 산미장의 제조방법
Innocent et al. Effects of Plant Ash Fortification on okpa the Ethnic and Traditional Snack of Southeast Nigeria
Sajith et al. Development of carambola pomace based cookies and its consumer accep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