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119A -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119A
KR20170045119A KR1020160130791A KR20160130791A KR20170045119A KR 20170045119 A KR20170045119 A KR 20170045119A KR 1020160130791 A KR1020160130791 A KR 1020160130791A KR 20160130791 A KR20160130791 A KR 20160130791A KR 20170045119 A KR20170045119 A KR 20170045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oduct
gate lever
stopper shaf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319B1 (ko
Inventor
타케시 온다
케이지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부정한 상품의 반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품 반출 장치는, 상품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자세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를 저지하는 게이트 레버(30)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게이트 레버(30)의 샤프트 맞닿음부가 그 외주면의 소정 부위에 맞닿음으로써 게이트 레버(30)의 상기 폐쇄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게이트 레버(30)의 상기 샤프트 맞닿음부에 의한 상기 소정 부위에 대한 맞닿음이 해제됨에 따라 게이트 레버(30)의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를 해제하는 스토퍼 샤프트(35)를 포함한다. 게이트 레버(30)는, 상기 샤프트 맞닿음부가 상기 소정 부위에 맞닿아 있을 때에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를 덮는 샤프트 커버부(36a~e)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PRODUCT DELIVERING APPARATUS OF A VENDING MACHINE}
[0001]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에 쌓여 수용된 상품을 최하위의 상품부터 순서대로 낙하시켜 상품 취출구(取出口)로 반출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이러한 종류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에 출몰(出沒)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품 통로에 쌓인 상품 중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를 규제하는 게이트 레버(gate lever)와,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방에서 상기 상품 통로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게이트 레버에 의한 상품의 낙하의 규제가 해제되어 상기 최하위의 상품을 반출할 때에, 상기 상품 통로에 쌓인 상품 중 최하위에서 두 번째의 상품의 낙하를 규제하는 로크 레버(lock lever)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레버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품 통로에 돌출된 자세를 유지하고,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레버의 맞닿음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품 통로에 돌출된 자세의 유지를 해제하는 상품 통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샤프트를 가지고 있다.
[000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117913호
[0004] 도 15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부호 101이 상기 스토퍼 샤프트를 나타내고, 부호 102가 상기 게이트 레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正面視)에 있어서, 스토퍼 샤프트(10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게이트 레버(102)의 맞닿음 부위의 양측의 부위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가늘고 긴 막대 등의 부정(不正) 조작 부재가 상품 취출구로부터 스토퍼 샤프트(10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부위의 양측의 부위(노출 부위; 103)에 침입하여, 상기 부정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의 스토퍼 샤프트(101)가 상방으로 밀리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부정 조작 부재에 의해 스토퍼 샤프트(101)가 상방으로 밀리면, 게이트 레버(102)에 의한 상기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의 규제가 해제되어 본래 반출되어야 할 것이 아닌 상품이 반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부정한 상품의 반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요망되고 있다.
[0005] 따라서, 본 발명은, 부정한 상품의 반출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6]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에 쌓여 수용된 상품을 최하위의 상품부터 순서대로 낙하시켜 상품 취출구로 반출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상품 반출 장치는, 상기 상품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자세와 상기 상품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자세로 변화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폐쇄 자세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를 저지하고,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가 해제되면 상기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를 허용하는 게이트 레버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그 외주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샤프트 맞닿음부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기 폐쇄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소정량 이동하여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기 샤프트 맞닿음부에 의한 상기 소정 부위에 대한 맞닿음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를 해제하는 스토퍼 샤프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레버는, 상기 샤프트 맞닿음부가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의 상기 소정 부위에 맞닿아 있을 때에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의 상기 소정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를 덮는 샤프트 커버부를 가지고 있다.
[0007] 상기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상품 반출 장치에 비해,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노출 부위가 적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부정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이 눌리는 것이 방지 또는 억제되며, 그 결과, 부정한 상품의 반출도 방지 또는 억제된다.
[0008]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상품 반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품의 판매 대기시의 상품 반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품의 판매시의 상품 반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상품 반출 장치를 구성하는 게이트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게이트 레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게이트 레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D-D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E-E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F-F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G-G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0009]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판매기(1)의 측면 단면도이다. 자동판매기(1)는, 상품 수납고(收納庫, 2)와, 상품 수납고(2) 내에 설치된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3)을 포함한다. 각 상품 수납 칼럼(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품 통로(4)를 갖는다. 각 상품 수납 칼럼(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상품 통로(4)에 대응시켜 상품 반출 장치(5)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2개가 배치되어 있다. 각 상품 반출 장치(5)는, 대응하는 상품 통로(4) 내에 상하방향으로 쌓여 수용된 복수의 상품(P) 중 최하위의 상품(P1)부터 순서대로 낙하시켜 상품 취출구(6)로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10] 도 2~도 4는, 상품 반출 장치(5)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상품 반출 장치(5)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품 반출 장치(5)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상품 반출 장치(5)의 측면 단면도)이다.
[001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품 반출 장치(5)는, 예컨대 강판(鋼板)제의 프레임(10)을 가지며, 이 프레임(10)에 각종의 구성 요소가 조립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종의 구성 요소는, 품절 검지 스위치(20), 게이트 레버(30), 로크 레버(40) 등을 포함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0)에는 비교적 큰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1)의 상방에 품절 검지 스위치(20)가 설치되고, 개구부(11)에 게이트 레버(30) 및 로크 레버(40)가 설치되어 있다.
[0012] 품절 검지 스위치(20)는, 상품 통로(4) 내의 상품(P)의 품절을 검지한다. 품절 검지 스위치(20)는, 상품 통로(4) 내부로 돌출하여 상품(P)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 레버(21)를 포함하며, 상품(P)에 의한 가압 레버(21)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품 통로(4) 내의 상품(P)의 품절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품절 검지 스위치(20)는, 상품 통로(A) 내의 상품(P)이 하나만 남게 되면 상품 통로(4) 내의 상품(P)의 품절을 검지하게 되어 있다.
[0013] 게이트 레버(30)는, 상품 통로(4) 내의 최하위의 상품(P1)의 낙하를 저지하며, 이로써, 상품 통로(4) 내의 모든 상품(P)을 상품 통로(4) 내에 유지한다. 게이트 레버(30)는, 프레임(10)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부(31)와, 판 형상부(31)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아암부(32)를 가진다. 판 형상부(31)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의 일단 측(일방(一方)의 긴 변 측)이, 프레임(10)에 부착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지지 샤프트(33)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0014] 제 1 지지 샤프트(33)는, 프레임(10)의 상기 폭 방향의 일단 측의 소정 부위가 이면(裏面) 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샤프트 지지부(12)와, 프레임(10)의 상기 폭 방향의 타단(他端) 측의 소정 부위가 이면 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샤프트 지지부(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지지 샤프트(33)에는, 게이트 레버(30)를,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 즉, 프레임(10)에 대하여 판 형상부(31)가 기립한 자세로 가세(付勢)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판 형상부(31)는, 프레임(10)에 대하여 기립한 자세에 있을 때, 상품 통로(4)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 통로(4)를 폐쇄한다」는 것은, 상품 통로(4)의 통로 단면적을 상품(P)의 단면적보다 좁은 상태로 하는 것을 말한다.
[0015] 즉, 게이트 레버(30)는, 제 1 지지 샤프트(33)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상품 통로(4)를 폐쇄하는 자세(이하 단순히 「폐쇄 자세」라고 한다)로 상시(常時) 가세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레버(3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4)의 가세력(付勢力, biasing force)을 초과하는 하방을 향하는 힘(여기에서는 상품(P)의 중량)이 판 형상부(31)에 작용함으로써 제 1 지지 샤프트(33) 둘레로 하방을 향해(도 4 중의 화살표 B 방향) 회동(回動)하며, 이로써, 상기 폐쇄 자세로부터 상품 통로(4)를 개방하는 자세(이하 「개방 자세」라고 한다)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16] 각 아암부(32)는, 판 형상부(31)의 하면으로부터 프레임(10) 측으로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32)의 단면(端面, 32a)은, 게이트 레버(30)가 상기 폐쇄 자세에 있을 때에, 게이트 레버(30)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프레임(10)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의 정면 측의 소정 부위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0017] 게이트 레버(30)는, 상기 폐쇄 자세에 있을 때에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하방을 향한(화살표 B 방향) 회동이 저지된다. 이로써, 게이트 레버(30)는, 상기 폐쇄 자세가 유지되어 최하위의 상품(P1)의 낙하를 저지한다. 한편,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지 않을 때, 게이트 레버(30)는, 최하위의 상품(P1)의 중량에 의해 제 1 지지 샤프트(33) 둘레로 상기 하방을 향해 회동하여 최하위의 상품(P1)이 낙하한다. 즉, 게이트 레버(30)는,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에 의한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대한 맞닿음이 해제되어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가 해제되면, 최하위의 상품(P1)의 낙하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5, 도 6을 참조).
[0018] 로크 레버(40)는, 상품 통로(4) 내의 최하위로부터 두 번째의 상품(P2)의 낙하를 저지하며, 이로써, 최하위의 상품(P1) 이외의 상품(P)을 상품 통로(4) 내에 유지한다. 로크 레버(40)는, 프레임(10)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게이트 레버(3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로크 레버(40)는, 게이트 레버(30)의 판 형상부(31)와 마찬가지로, 그 길이방향의 일단 측이, 프레임(10)에 부착된 제 2 지지 샤프트(4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지지 샤프트(41)는, 제 1 지지 샤프트(33)와 마찬가지로, 제 1 샤프트 지지부(12)와 제 2 샤프트 지지부(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0019] 또, 로크 레버(40)의 이면(裏面)에는,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지지판부(42)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판부(42)는, 프레임(10)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 지지판부(42)에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상방에 이것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동 샤프트(43)가 출입하는 대략 U자 형상의 샤프트 수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0020] 로크 레버(40)는, 통상적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 즉, 거의 전체가 프레임(10)의 개구부(11)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며, 이때, 회동 샤프트(43)는 각 지지판부(42)의 샤프트 수용부(42a) 내의 바닥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 레버(40)는, 상기 통상의 상태로부터 제 2 지지 샤프트(41) 둘레로 전방을 향해(도 4 중의 화살표 C 방향) 회동함으로써 상품 통로(4) 내에 돌출되며, 이로써, 최하위에서 두 번째의 상품(P2)의 낙하를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5, 도 6을 참조).
[0021] 스토퍼 샤프트(35) 및 회동 샤프트(43)는, 제 1 샤프트 지지부(12)와, 프레임(10)의 이면의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부착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부재(5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 샤프트(35)는, 제 1 샤프트 지지부(12)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긴 제 1 긴 구멍(長孔)(도시 생략)과, 안내 부재(51)에 상기 제 1 긴 구멍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2 긴 구멍(51a)(도 4 참조)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 1 긴 구멍 내부 및 제 2 긴 구멍(51a)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동 샤프트(43)는, 제 1 샤프트 지지부(12)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길고 또한 상기 제 1 긴 구멍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 3 긴 구멍(도시 생략)과, 안내 부재(51)에 상기 제 3 긴 구멍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 4 긴 구멍(도시 생략)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 3 긴 구멍 내부 및 상기 제 4 긴 구멍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안내 부재(51)는, 제 1 샤프트 지지부(12)와 함께, 스토퍼 샤프트(35) 및 회동 샤프트(43)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안내 부재(51)에는, 제 1 지지 샤프트(33) 및 제 2 지지 샤프트(41)를 각각 관통 삽입시키는 관통 삽입 구멍도 구비되어 있다.
[0022] 또, 스토퍼 샤프트(35) 및 회동 샤프트(43)의 축 방향의 중간부는, 프레임(10)의 이면 측에 배치된 작동판(52)이 연결되어 있다. 작동판(5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판(52)의 상부는, 프레임(10)의 이면 상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53)의 플런저(plunger; 53a)에 연결되어 있고, 작동판(52)의 하부는, 일단이 프레임(10)의 하부에 연결된 인장(引張) 코일 스프링(54)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즉, 작동판(52)은, 인장 코일 스프링(가세 부재; 54)에 의해 상시 하방으로 가세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53)가 작동함에 따라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0023] 솔레노이드(53)의 비(非)작동시에, 작동판(52)은 인장 코일 스프링(54)의 가세력에 의해 그 가동(可動) 범위의 최하 위치에 있다. 이때, 작동판(52)에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 샤프트(35) 및 회동 샤프트(43)도 각각의 가동 범위의 최하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솔레노이드(53)가 작동하면, 작동판(52)은 솔레노이드(53)에 의해 상방으로 끌어 올려져 그 가동 범위의 최상 위치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스토퍼 샤프트(35) 및 회동 샤프트(43)도 각각의 가동 범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동판(52) 및 솔레노이드(53)가 스토퍼 샤프트(35)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0024] 다음으로, 상품 반출 장치(5)의 동작에 대해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품(P)의 판매 대기시의 상품 반출 장치(5)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도면이며, 도 6은, 상품(P)의 판매시의 상품 반출 장치(5)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도면이다.
[0025] 상품(P)의 판매 대기시에 있어서, 게이트 레버(30)는, 상기 폐쇄 자세에 있으며, 로크 레버(40)는, 거의 전체가 프레임(10)의 개구부(11)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스토퍼 샤프트(35), 회동 샤프트(43) 및 작동판(52)은, 각각의 최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게이트 레버(30)의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은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의 정면 측의 상기 소정 부위에 맞닿아 있어, 게이트 레버(30)의 상기 하방을 향한 회동이 저지되어 있다. 즉, 게이트 레버(30)는 스토퍼 샤프트(35)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가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품 통로(4) 내의 최하위의 상품(P1)의 낙하가 게이트 레버(30)에 의해 저지되어, 상품 통로(4) 내의 모든 상품(P)이 상품 통로(4) 내에 유지된다. 또, 회동 샤프트(43)는, 로크 레버(40)의 각 샤프트 수용부(42a) 내의 바닥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0026] 상품(P)의 판매시에는, 솔레노이드(53)가 작동하여 작동판(52)을 그 최하 위치로부터 최상 위치로 끌어올리며, 이에 따라, 스토퍼 샤프트(35) 및 회동 샤프트(43)도 각각의 최하 위치로부터 최상 위치로 이동한다. 스토퍼 샤프트(35)가 그 최하 위치로부터 최상 위치를 향해 소정량 이동하면, 게이트 레버(30)의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에 의한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의 상기 소정 부위에 대한 맞닿음이 해제된다. 이로써, 스토퍼 샤프트(35)에 의한 게이트 레버(30)의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가 해제된다. 또, 회동 샤프트(43)는, 그 최하 위치로부터 최상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각 샤프트 수용부(42a)의 상측의 내벽을 눌러 로크 레버(40)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회동시킨다. 이로써, 로크 레버(40)가 상품 통로(4) 내에 돌출되어, 상품 통로(4) 내의 최하위에서 두 번째의 상품(P2)의 낙하가 로크 레버(40)에 의해 저지된다. 즉, 최하위의 상품(P1) 이외의 각 상품(P)이 상품 통로(4) 내에 유지된다. 한편,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가 해제된 게이트 레버(30)는, 최하위의 상품(P1)의 중량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회동하기 때문에, 최하위의 상품(P1)이 낙하하여 상품 취출구(6)로 반출된다. 그리고, 최하위의 상품(P1)이 낙하하면, 게이트 레버(3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4)의 가세력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로 돌아온다.
[0027] 상품(P)의 판매 종료 후에 솔레노이드(53)의 작동이 정지되면, 작동판(52)은, 인장 코일 스프링(54)의 가세력에 의해 그 최하 위치로 되돌려지며, 이에 따라, 스토퍼 샤프트(35) 및 회동 샤프트(43)도 각각의 최하 위치로 돌아온다. 따라서,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게이트 레버(30)의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의 상기 소정 위치에 맞닿게 되어, 게이트 레버(30)는, 스토퍼 샤프트(35)에 의해 상기 폐쇄 자세가 유지된다. 또, 회동 샤프트(43)는, 그 최상 위치로부터 최하 위치로 이동할 때, 각 샤프트 수용부(42a)의 하측의 내벽을 눌러 로크 레버(40)를 제 2 지지 샤프트(41) 둘레로 후방을 향해 회동시킨다. 이로써, 로크 레버(40)는, 거의 전체가 프레임(10)의 개구부(11) 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돌아오며, 상품 통로(4) 내에 남아 있는 상품(P)이 게이트 레버(30) 상에 낙하하여 상품(P)의 판매 대기 상태가 된다.
[0028] 그런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품(P)의 판매 대기시에, 상품 취출구(6)로부터 침입한 상기 부정 조작 부재에 의해 스토퍼 샤프트(35)가 눌려 상방으로 이동되면, 게이트 레버(30)에 의한 최하위의 상품(P1)의 낙하의 저지가 해제되어, 본래 반출시켜야 하는 것이 아닌 최하위의 상품(P1)이 상품 취출구(6)로 반출되고 만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상품 취출구(6)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품 반출 장치(5)에 있어서, 상기 부정 조작 부재를 이용한 상품(P)의 반출(부정한 상품(P)의 반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노출된다」 또는 「노출 부위」란, 주로 상품 반출 장치(5)를 정면 측의 비스듬한 하방에서 보았을 때,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품 반출 장치(5)를 상품 취출구(6)에서 보았을 때에 노출되는 것 또는 노출되는 부위를 말한다.
[0029] 도 7은, 상품 반출 장치(5)의 정면 주요부 도면이다. 도 8~도 14는, 게이트 레버(3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게이트 레버(30)의 정면도이고, 도 9는, 게이트 레버(30)의 좌측면도이며, 도 10은, 게이트 레버(30)의 우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D-D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8의 E-E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F-F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8의 G-G 단면도이다.
[0030]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토퍼 샤프트(35)의 일방(一方)의 단부(도 7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는, 프레임(10)의 이면 측에 가려져 있다(노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상품(P)의 판매 대기시,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게이트 레버(30)의 3개의 아암부(32)의 단면(32a)은, 상기 최하 위치에 있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축방향으로 다른 부위에 각각 맞닿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서 볼 때에 우측에 배치된 아암부(32)(이하 「우측 아암부(32R)」라 한다)의 단면(32a)은,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프레임(10)과 작동판(52) 사이의 부위에 맞닿는다. 또,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아암부(32)(이하 「좌측 아암부(32L)」라 한다)의 단면(32a)은,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스토퍼 샤프트(35)의 타방(他方)의 단부(도 7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로부터 소정 범위의 부위에 맞닿는다. 또한, 우측 아암부(32R)와 좌측 아암부(32L)의 사이에 배치된 아암부(32)(이하 「중간 아암부(32C)」라 한다)의 단면(32a)은,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작동판(52)과 안내 부재(51) 사이의 부위에 맞닿는다.
[0031]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게이트 레버(30)는, 각 아암부(32; 32R, 32C, 32L)의 단면(32a)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을 때,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의 맞닿음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를 덮는 제 1 샤프트 커버부(36) 및 제 2 샤프트 커버부(37)를 가지고 있다. 제 1 샤프트 커버부(36)는, 각 아암부(32)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의 상기 맞닿음 부위에 스토퍼 샤프트(35)의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위를 덮는다. 제 2 샤프트 커버부(37)는,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의 하측에 단면(32a)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의 상기 맞닿음 부위의 하측 부위를 덮는다.
[0032] 구체적으로는, 제 1 샤프트 커버부(36)는, 우측 아암부(32R)의 양측면, 중간 아암부(32C)의 양측면 및 좌측 아암부(32L)의 안내 부재(51) 측의 측면에 형성되고, 제 2 샤프트 커버부(37)는, 우측 아암부(32R), 중간 아암부(32C) 및 좌측 아암부(32L)의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0033] 그리고, 우측 아암부(32R)의 프레임(10) 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샤프트 커버부(36a)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프레임(10)과 우측 아암부(32R) 사이의 노출 부위를 덮으며, 우측 아암부(32R)의 작동판(52) 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샤프트 커버부(36b)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우측 아암부(32R)와 작동판(52) 사이의 노출 부위를 덮는다. 또, 우측 아암부(32R)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샤프트 커버부(37)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우측 아암부(32R)의 단면(32a)의 맞닿음 위치의 하측의 노출 부위를 덮는다.
[0034] 중간 아암부(32C)의 작동판(52) 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샤프트 커버부(36c)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작동판(52)과 중간 아암부(32C) 사이의 노출 부위를 덮으며, 중간 아암부(32C)의 안내 부재(51) 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샤프트 커버부(36d)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중간 아암부(32C)와 안내 부재(51) 사이의 노출 부위를 덮는다. 또, 중간 아암부(32C)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샤프트 커버부(37)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중간 아암부(32C)의 단면(32a)의 맞닿음 위치의 하측의 노출 부위를 덮는다.
[0035] 좌측 아암부(32L)의 안내 부재(51) 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샤프트 커버부(36e)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안내 부재(51)와 좌측 아암부(32L) 사이의 노출 부위를 덮는다. 또, 좌측 아암부(32L)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샤프트 커버부(37)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좌측 아암부(32L)의 단면(32a)의 맞닿음 위치의 하측의 노출 부위를 덮는다. 또한, 좌측 아암부(32L)의 안내 부재(51)와는 반대 측의 측면에 제 1 샤프트 커버부(3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은,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타방의 단부로부터 상기 소정 범위의 부위가 좌측 아암부(32L)의 뒤쪽(裏側)에 가려져 있기(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타방의 단부 측의 부위가 노출될(좌측 아암부(32L)로부터 돌출할) 경우에는, 좌측 아암부(32L)의 안내 부재(51)와는 반대 측의 측면에도 제 1 샤프트 커버부(36)가 형성된다.
[0036] 여기서, 게이트 레버(30)의 회동시에, 게이트 레버(30)와, 프레임(10), 안내 부재(51) 또는 작동판(52)이 접촉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 제 1 샤프트 커버부(36; 36a~36c) 및 각 제 2 샤프트 커버부(37)에 의해 상술한 각 노출 부위를 완전하게 덮을 수는 없다. 즉, 제 1 샤프트 커버부(36a~36e) 또는 제 2 샤프트 커버부(37)와, 프레임(10), 안내 부재(51) 또는 작동판(52)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생기게 된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품 취출구(6) 측으로부터 스토퍼 샤프트(35)를 보았을 때에, 상술한 각 틈새, 즉,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제 1 샤프트 커버부(36a~36e) 및/또는 제 2 샤프트 커버부(37)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위를 가리기 위한 틈새 가림부가, 프레임(10) 및 안내 부재(51)에 설치되어 있다.
[0037]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0)에는, 상기 틈새 가림부로서, 프레임(10)의 우측 아암부(32R)에 근접하는 부위가 우측 아암부(32R) 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굴곡편부(屈曲片部, 16)와,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스토퍼 샤프트(35)의 하방으로부터 우측 아암부(32R)와 중간 아암부(32C)의 사이에서 스토퍼 샤프트(35)에 오버랩(overlap)되는 위치까지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안내 부재(51)에는, 상기 틈새 가림부로서, 스토퍼 샤프트(35)의 하방의 위치에서 중간 아암부(32C) 측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51b) 및 좌측 아암부(32L) 측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51c)가 설치되어 있다.
[0038] 그리고, 상기 틈새 가림부, 즉, 프레임(10)에 설치된 굴곡편부(16) 및 사다리꼴 형상부(17)와, 안내 부재(51)에 설치된 돌기부(51b, 51c)에 의해, 상품 취출구(6)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술한 각 틈새가 가려지는 동시에, 상기 부정 조작 부재가 상품 취출구(6)로부터 상술한 각 틈새를 통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으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환언하면, 상기 틈새 가림부는, 제 1 샤프트 커버부(36a~36e) 및 제 2 샤프트 커버부(37)와 협동하여, 상기 상품 취출구(6)로부터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틈새 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저해하며, 이로써, 상기 부정 조작 부재가 상품 취출구(6)로부터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0039]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게이트 레버(30)의 각 아암부(32)의 단면(32a)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의 상기 소정 부위에 맞닿아 있을 때,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노출 부위가 게이트 레버(30)의 각 아암부(32)에 설치된 제 1 샤프트 커버부(36a~36e) 및 제 2 샤프트 커버부(37)에 의해 덮인다. 이로써, 상기 부정 조작 부재에 의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이 눌리는 것이 방지 또는 억제되어, 부정한 상품(P)의 반출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0040]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0) 및 안내 부재(51)는,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제 1 샤프트 커버부(36a~36e) 및/또는 제 2 샤프트 커버부(37)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위를 가리기 위한 상기 틈새 가림부(16, 17, 51b, 51c)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부정 조작 부재가 상품 취출구(6)로부터 상기 각 틈새를 통해 스토퍼 샤프트(35)의 외주면으로 침입하는 것이 저지되어, 부정한 상품(P)의 반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0041]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게이트 레버(30)의 각 아암부(32)는, 제 1 샤프트 커버부(36) 및 제 2 샤프트 커버부(37)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레버(30)의 각 아암부(32)가 제 1 샤프트 커버부(36)만 가지거나 또는 제 2 샤프트 커버부(37)만 가져도 무방하다.
[0042]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틈새 가림부가 프레임(10) 및 안내 부재(51)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틈새 가림부는, 프레임(10)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프레임(10)과 별개의 개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 1 샤프트 커버부(36; 36a~36e) 및 제 2 샤프트 커버부(37)는,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0043]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한층 더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가 있다.
[0044] 1; 자동판매기
4; 상품 통로
5; 상품 반출 장치
6; 상품 취출구
10; 프레임
16; 굴곡편부(틈새 가림부)
17; 사다리꼴 형상부(틈새 가림부)
30; 게이트 레버
31; 판 형상부
32(32R, 32C, 32L); 아암부
32a; 아암부의 단면(샤프트 맞닿음부)
35; 스토퍼 샤프트
40; 로크 레버
43; 회동 샤프트
51; 안내 부재
51b, 51c; 돌기부(틈새 가림부)
52; 작동판(구동장치)
53; 솔레노이드(구동장치)
54; 인장 코일 스프링(가세 부재)
36(36a~36e); 제 1 샤프트 커버부
37; 제 2 샤프트 커버부
P, P1, P2; 상품

Claims (7)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 내에 쌓여 수용된 상품을 최하위의 상품부터 순서대로 낙하시켜 상품 취출구(取出口)로 반출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로서,
    상기 상품 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자세와 상기 상품 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자세로 변화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폐쇄 자세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를 저지하며,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가 해제되면 상기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를 허용하는 게이트 레버(gate lever)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그 외주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샤프트 맞닿음부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기 폐쇄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소정량 이동하여 상기 폐쇄 자세에 있는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기 샤프트 맞닿음부에 의한 상기 소정 부위에 대한 맞닿음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게이트 레버의 상기 폐쇄 자세의 유지를 해제하는 스토퍼 샤프트
    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레버는, 상기 샤프트 맞닿음부가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의 상기 소정 부위에 맞닿아 있을 때에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를 덮는 샤프트 커버부를 가지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샤프트를 상기 제 1 위치 측으로 가세(付勢, bias)하는 가세 부재와,
    상기 가세 부재의 가세력(付勢力, biasing force)에 대항하여 상기 스토퍼 샤프트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스토퍼 샤프트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게이트 레버가 상기 최하위의 상품의 낙하를 허용했을 때에, 상기 상품 통로 내의 최하위에서 두 번째의 상품의 낙하를 저지하는 로크 레버(lock lever)
    를 더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커버부는,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부위에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위와,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부위의 하측의 부위의 적어도 일방(一方)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레버는, 상기 상품 통로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판 형상부와, 상기 판 형상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그 단면(端面)이 상기 샤프트 맞닿음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아암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레버 및 상기 스토퍼 샤프트가 조립 부착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품 취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스토퍼 샤프트를 보았을 때에,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샤프트 커버부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위를 가리도록 형성된 틈새 가림부를 가지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가림부는, 상기 샤프트 커버부와 협동하여, 상기 상품 취출구로부터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외주면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틈새 또는 공간의 형성을 저해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조립 부착되어 상기 스토퍼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틈새 가림부를 가지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1020160130791A 2015-10-16 2016-10-10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101894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4871A JP6711507B2 (ja) 2015-10-16 2015-10-16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JP-P-2015-204871 201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119A true KR20170045119A (ko) 2017-04-26
KR101894319B1 KR101894319B1 (ko) 2018-09-03

Family

ID=5855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791A KR101894319B1 (ko) 2015-10-16 2016-10-10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11507B2 (ko)
KR (1) KR101894319B1 (ko)
CN (1) CN107038802B (ko)
TW (1) TWI6201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3892A (zh) * 2017-12-29 2019-07-0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及出货方法
CN111557025B (zh) * 2018-03-30 2022-04-22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357A (ja) * 1992-02-28 1993-09-21 Sanyo Electric Co Ltd 袋搬出装置の扉ロック機構
JP2001093037A (ja) * 1999-09-22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JP2002083358A (ja) * 2000-09-08 2002-03-22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における盗難防止構造
JP2010117913A (ja) 2008-11-13 2010-05-27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5132958A (ja) * 2014-01-10 2015-07-23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搬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720B1 (en) * 1998-03-20 2001-03-13 The Coca-Cola Company Vending machine
US20030127302A1 (en) * 2001-01-31 2003-07-10 Brewer Marvin Vincent Regulatory gate system for product drop off of vibratory conveyors
JP4101065B2 (ja) * 2003-01-08 2008-06-11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291356C (zh) * 2003-02-21 2006-12-20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搬出装置
CN201130400Y (zh) * 2007-11-09 2008-10-08 天津市轻工装备研究所 自动售卖机出货取货结构
JP5672045B2 (ja) * 2011-02-16 2015-02-1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620893B2 (ja) * 2011-08-24 2014-11-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AU2012327214B2 (en) * 2011-11-14 2015-03-19 Fuji Electric Co., Ltd. Vending machine
CN103434861B (zh) * 2013-08-03 2015-08-26 安徽三只松鼠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三通道输出式货物输送通道
CN103544776A (zh) * 2013-10-25 2014-01-29 上海煦荣信息技术有限公司 自动售货系统及自动售货终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357A (ja) * 1992-02-28 1993-09-21 Sanyo Electric Co Ltd 袋搬出装置の扉ロック機構
JP2001093037A (ja) * 1999-09-22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JP2002083358A (ja) * 2000-09-08 2002-03-22 Kubota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における盗難防止構造
JP2010117913A (ja) 2008-11-13 2010-05-27 Sanden Corp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5132958A (ja) * 2014-01-10 2015-07-23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搬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1507B2 (ja) 2020-06-17
KR101894319B1 (ko) 2018-09-03
TW201719581A (zh) 2017-06-01
TWI620151B (zh) 2018-04-01
JP2017076344A (ja) 2017-04-20
CN107038802B (zh) 2019-12-17
CN107038802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319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5910473B2 (ja) 商品収納装置
JP527775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593951B2 (ja) 自動販売機
JP590963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522291B2 (ja) 自動販売機の直積式商品収納ラック
JP545119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010225008A (ja) 自動販売機の直積式商品収納ラック
JP201201844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612727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526114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488936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TW201640453A (zh) 銷售點自動販賣機
JP5217817B2 (ja) 商品収容装置
JP492982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JP5134596B2 (ja) ペットボトル送出装置および物品送出装置
JP544481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1025701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438980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し装置
JP5561405B2 (ja) 自動販売機の直積式商品収納ラック
JP5907024B2 (ja) 自動販売機
JP2001344649A (ja) 自動販売機のプッシャ式商品搬出装置
JP2007226364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010113686A (ja) 自動販売機
JP201025701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