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765A -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 Google Patents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765A
KR20170043765A KR1020150143233A KR20150143233A KR20170043765A KR 20170043765 A KR20170043765 A KR 20170043765A KR 1020150143233 A KR1020150143233 A KR 1020150143233A KR 20150143233 A KR20150143233 A KR 20150143233A KR 20170043765 A KR20170043765 A KR 2017004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pair
rigid plates
elastic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702B1 (ko
Inventor
김웅
Original Assignee
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 filed Critical 김웅
Priority to KR102015014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7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평면시공은 물론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패널과 패널이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구조를 갖고, 전면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지는 한 쌍의 강성판과; 한 쌍의 강성판 후면에 일정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며, 한 쌍의 강성판을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 절곡충진재; 상기의 구성물들의 형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절곡충진재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강성판 후면에 전면이, 탄성 절곡충진재 아치형태의 삽입 홈에 아치형태의 돌출부가, 밀착되게 조립됨과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며, 일정의 강도를 갖는 다수 개의 고정충진재로 이루어져 평면시공은 물론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간편한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Sandwich panel that curved surface construction is available}
통상,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은,
한 쌍의 금속판과 코아층에 보온재 등이 충진 되는 것으로 일명 “샌드위치 판넬”로 명칭 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시공은 물론 간편한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상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 패널은,
건축용 내장재, 특히 탄성력이 거의 없는 석고보드 형태의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평면시공은 물론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통상의 샌드위치 패널은, 제조공장에서 평면 형태로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된 형강에 맞대어 고정하는 형식으로 시공된다, 또한 곡면시공에 있어서는 제조공장에서 제조된 평면형태의 패널을 응용하여 현장에서 재가공하는 형식으로 시공한다,
한쪽의 금속판 패널을 해체한 후, 코아층의 보온재 등을 전체 제거 또는 일부 제거한 후, 금속판의 절곡성질을 이용하여 상기의 한 쪽의 금속판을 절곡형성한 후, 코아층에 보온재 또는 밀폐재 등으로 충진 한 후, 나머지 한 쪽의 금속판으로 절곡형태를 만들어 후레싱하는 방법으로 시공한다.
또한 선행기술로 할 수 있는 곡면 구축용 판넬(공개특허 10-2009-0038338)도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서 착안된 것으로 즉, 반 가공 상태로 제조된 패널을 현장에서 완성하는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즉 현장에서 시공하는 형식 중 일부가 가공된 후, 추가적인 시공을 현장에서 해야 하는 형식으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는,
건축용 내장재, 특히 마감재로는 여러 기능적 요인으로 인해, 유해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석고보드 형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다. 물론 천연 석고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아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황은 아니다.
즉, 탄성력이 거의 없는 석고보드 형태의, 종래의 마감재는 곡면시공에 있어서는 탄성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곡면시공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많다.
곡면시공이 필요한 경우 일부 기능적 요인을 포기하고 다른 형태의 즉, 탄성력이 있는 마감재를 선택한다 할 수 있다.
종래의 반 가공 상태로 제조된 패널을 현장에서 완성하는 형식을,
완성형으로, 즉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 한 쌍의 강성판과
상기 한 쌍의 강성판이 절곡될 수 있도록, 코아층의 탄성 절곡충진재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는 코아층의 고정충진재로 구성되어, 평면시공은 물론 간편한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의 강성판과 고정충진재가 건축용 내장재가 적용되어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패널과 패널이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구조를 갖고, 전면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지는 한 쌍의 강성판과;
한 쌍의 강성판 후면에 일정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며, 한 쌍의 강성판을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 절곡충진재;
상기의 구성물들의 형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절곡충진재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강성판 후면에 전면이, 탄성 절곡충진재 아치형태의 삽입 홈에 아치형태의 돌출부가, 밀착되게 조립됨과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며, 일정의 강도를 갖는 다수 개의 고정충진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종래의 반가공 상태로 제조된 패널을 현장에서 완성하는 형식을,
완성형으로, 즉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 한 쌍의 강성판과
상기 한 쌍의 강성판이 절곡될 수 있도록, 코아층의 탄성 절곡충진재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는 코아층의 고정충진재로 구성되어, 평면시공은 물론 간편한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의 강성판과 고정충진재가 건축용 내장재가 적용되어
평면 시공은 물론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 패널이 제공된다.
도 1의 60은, 구조물들이 조립되고 결합 형성된 샌드위치 패널의 종 단면도.
도 3은, 내장 샌드위치 패널의 일 예의, 조립 결합 형성된 고정충진재(30)와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전면도, 종 방향으로의 구성요소들의 분리단면도.
도면을 참조하여 대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1의 50은, 대표적 실시 예의 조립됨과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된 탄성 절곡충진재(40), 고정충진재(30)의 종 단면도이고,
도면 1의60은, 구조물들이 조립되고 결합 형성된 샌드위치 패널의 종 단면도이며, 도면 1의 70은 절곡 형선 된 샌드위치 패널의 종 단면도이다.
참고로, 상세한 설명 시 모든 구성요소들의 전면, 후면은 표면 쪽을 전면(도1의 15)으로 하고 표면의 반대쪽 면을 후면으로 한다.
전면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지는 한 쌍의 강성판(10,20)에 있어서,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조건만 충족된다면 통상의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의 금속판은 물론 비금속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금속판은 함석과 등과 같은 얇은 판재도 포함될 수 있다.
“패널과 패널이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 구조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붕, 벽 등의 어떠한 조립구조도 무방하다. 즉 한 장의 패널에 암수구조를 갖고 조립되는 구조를 갖거나 패널과의 조립을 위한 프레임을 통해 조립되는 구조를 갖거나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후레싱 되는 구조를 갖거나 메탈 패널의 조립되는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건축용 내장재, 마감재 등의 조립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강성판(10,20)의 표면에는 통상적 건축 디자인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페인트의 도장 또는 도안 또는 형상 또는 데크 패널과 같이 타 재료가 포함되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절곡충진재(40)에 있어서는,
한 쌍의 강성판(10,20) 후면과 결합 형성되는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양쪽 전면은,
패널이 절곡될 시 굴곡영역이 되며 전면의 높이(도1의 a)는 조절될 수 있고, 높이(도1의 a)의 확장은 굴곡영역의 확장이 된다.
탄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과 더불어 절곡 형성될 시 구조물들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만 충족된다면,
통상의, 샌드위치 패널의 저밀도 충진재는 물론 경량 건축재료 등으로 사용되는 재료 중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는 우레탄스펀지, 저 압축 스티로폼, 실리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사가 아닌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경우 접착제에 의해 상기의 조건이 충족된다면 적용이 가능하다.
고정충진재(30)에 있어서는,
한 쌍의 강성판(10,20) 후면에 전면이, 아치형태의 돌출부(31)가 탄성 절곡충진재(40) 아치형태의 삽입 홈(41)에, 밀착되게 조립됨과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된다.
고정충진재(30)는 정 사각, 직사각, 원, 링 등의 어떠한 형태여도 무방하다.
링 형태로 즉, 속이 비어있는 형태는 속에 고정충진재(30) 이외의 다른 재료의 충진재로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크기와 숫자도 조절될 수 있다.
구조물들 즉 한 쌍의 강성판(10,20)과 탄성 절곡충진재(40)의 형태가 고정충진재(30)에 의해 고정된다. 즉 패널의 형태가 유지된다 할 수 있다.
탄성 절곡충지재(40)의 전면은, 절곡부분이 됨과 동시에 절곡 방향이 되므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또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이 교차되는 형식을 갖고, 상기의 형식 내에서 다수 개의 고정충진재(30)가 배치된다 할 수 있다.
탄성 절곡충진재(40)와 접촉되는 고정충진재(30)의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
돌출부(31)의 아치의 굴곡정도는, 샌드위치 패널의 절곡 시공 시, 절곡정도에 따라 강성판(10,20) 표면에 영향을 주므로 조절 형성될 수 있다.
일정의 강도를 갖는 다수 개의 고정충진재(30)에 있어서는,
사용 환경에서의, 한 쌍의 강성판(10,20)의 팽창 수축을 흡수할 수 있는 강성의 재료로 형성된다.
통상의 샌드위치 패널의 고밀도 충진재는 물론 경량 건축 재료 등으로 사용되는 재료 중 강성의 재료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분사가 아닌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경우 접착제에 의해 상기의 적용 가능한 재료의 조건이 충족된다면 선택이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고밀도 종이, 목재, 합성목재, 수지, 플라스틱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정의 접착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접착제조건, 즉, 일정의 접착제는,
재료 자체의 접착성에 의한 동일 재료 간의 접착인 경우와 사용 환경에서의 수축팽창을 흡수할 수 있는 경우는 신축성이 없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외는 신축성을 갖는 실링 접착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접착제는 물론 건축 재료로 사용되는 재료 중 상기 조건을 충족한다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성형 시, 재료 자체가, 즉 고정충진재(30), 탄성 절곡충진재(40)가 접착성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조건을 충족한다면 별도의 접착제 없이 접착제로 대신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 적용 범위로는,
한 쌍의 강성판(10,20) 후면과 다수 개의 고정충진재(30)와 탄성 절곡충진재(40) 양쪽 전면,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삽입 홈(41)과 다수 개의 고정충진재(30)의 돌출부(31)가 된다.
또한 보강 강성판(110,120)과 표면재(150,160)가 포함된다.
도 2는, 강성판(10,20)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의 일예이며, 탄성 절곡충진재(140)와 고정충진재(130)의 조립되고 결합 형성된 코아층 충진재의 조립단면도와 전면도이다.
한 쌍의 강성판(10,20)이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의 금속판에 있어서,
금속판과 금속판이 연속적으로 조립되도록 조립구조를 갖는 구조가, 암 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충진재(130) 전면의 노출된 부분(131)과 결합되는 금속판 부분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132)으로 파상형상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 절곡충진재(140)와 결합되는 금속판 후면부분에 절곡부분을 일정하게 하기위하여 절곡방향으로 다수 개의 절곡유도 홈(도1의 d)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 절곡충진재(140)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는 일정의 다수개의 고정충진재(130)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 양측이 고정충진재(130)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암 수 구조와 파상형상은 통상의 구조이며,
상기의 다수 개의 절곡 유도 홈은, 비금속의 두꺼운 종이 등과 같은 경우에도 형성될 수 있고
탄성 절곡충진재(140)와 결합되는 금속판 후면부분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홈의 깊이에 있어서는, 사용 환경 즉 시공 중, 홈의 길이방향으로 각이 형성되어 절곡되면 안 된다는 조건에서 되도록 깊이가 얕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홈의 깊이는 강성판(10,20)의 강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도 3은,
강성판과 고정충진재(30)가 내장용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내장 샌드위치 패널의 일예이며, 조립되고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된 고정충진재(30)와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전면도, 또한 내장 샌드위치 패널의 일예의 종 방향으로의 분리단면도이다. 상기의 내장용이란 마감재 칸막이 등이 된다.
대표적 실시 예와는 강성판(10,20)이 보강 강성판(110,120)과 표면재(150,160)로 구성되는 차이를 갖는다.
또한 고정충진재가 내장용 비금속 재료가 적용되는 차이만을 갖는다.
탄성 절곡충진재(40)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는 고정충진재(30)의 배치가,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전면이 메시 구조로 형성되며 고정충진재(30)의 테두리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지는 한 쌍의 강성판에 있어서,
강성판이,
절곡이 가능한 한 쌍의 표면재(150,160)와, 상기 표면재(150,160) 후면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한 압력을 가할시 표면재(150,160)의 굴곡면을 따라 파손되어 절곡되게 깨어지는 일정의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으로 이루이 질 수 있다.
고정충진재(30)에 있어서는,
내장재, 마감재의 재료 중 강성의 재료가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강성 판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고압축 스티로폼 같은 경우도 가능하나 비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경우,
보강 강성판(110,120)이 깨어질 수 있는 재료이므로 탄성이 없는 강성 재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내장재 특히 마감재로 사용되는 보드 복합 패널 등의 재료 중 , 강성의 재료에서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
한 쌍의 강성판에 있어서,
내장재 마감재 등의 재료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금속판이 갖고 있는 물리적 특성, 즉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강성판으로 조합되는 것이다.
보강 강성판(110,120)과 표면재(150,160)로 구성된 강성 판이,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조건만 충족된다면 통상의 내장재, 특히 마감재로 사용되는 석고보드, 황토보드, 직물보드, 복합패널 등의 어떠한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내장 샌드위치 패널의 용도에 따라, 통상의 금속판재의 샌드위치 패널 두께에서부터 통상의 석고보드 두께까지 두께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는 이해적 관점에서의,
강성판이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내장 샌드위치 패널의 일 예의 대표적 실시 예가 된다.
통상의 석고보드용 석고가 보강 강성판(110,120)의 재료가 되고 종이가 표면재(150,160)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강성판이, 보강 강성판(110,120)이 석고보드용 석고가 적용될 수 있고 표면재(150,160)가 종이로 구성될 수 있다.
석고보드용 석고가 보강 강성 판(110,120)이 되고 종이가 표면재(150,160)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고정충진재(30)는 석고보드용 석고가 적용될 수 있고 탄성 절곡충지재는 실리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석고가 절곡 되게 깨어지면서 종이가 찢어지면 안 된다.
즉 종이는, 석고의 두께와 강도가 참고 되어 선택 적용되어야 한다.
통상의 석고는, 통상의 황토, 초벌구이 된 도자기용 소지 등의 재료가 가공에 의해 대신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통상의 종이는, 통상의 굴곡 탄성률이 큰 직물 등이 대신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에 있어서,
일정하게 파손되도록 탄성 절곡충진재(40) 양쪽 전면과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 후면에 톱니모양의 다수개의 돌출편(145,115)이 서로 맞물려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절곡충진재(40) 양쪽 전면과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두께의 차이를 두어 얇은 부분이 우선적으로 일정하게 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돌출편이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톱니모양이 된다.
탄성 절곡충진재(40) 양쪽 전면의 수평면 아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수평면 위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곡되었을 때에, 깨어진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이 매끈히 절곡됨과 동시에 이탈방지를 위하여,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의 전면과 두께의 중심부에 메시 망 심재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시 망 심재의, 재료로는 직물, 수지,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고 표면재(150,160) 종이에 메시가 일체형으로 엠보싱 되어 있을 수 있다.
메시 망의 재료의 선택은, 사용 환경 중 수축 팽창에 의해 보강 강성판(110,120)이 파손되지 않도록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메시 망의 구조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메시 망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체적 작용 기능에 있어서는.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 한 쌍의 강성판(10,20)과
상기 한 쌍의 강성판이 절곡될 수 있도록, 코아층의 탄성 절곡충진재(40)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는 코아층의 고정충진재(30)로 구성되며,
상기의 고정충진재(30)의 아치 형태의 돌출부(31)에 의해, 한 쌍의 강성판(10,20) 표면의 불완전한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고정충진재(30)의 아치 형태의 돌출부(31)를 감싸는,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삽입 홈(41)를 구성하는 탄성체에 의해, 한 쌍의 강성판(10,20) 표면의 매끈한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강성판(10,20) 중 한쪽의 강성판 전면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앞으로 가하면,
반대편의 코아층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전면부 높이영역(도1의 a)에서는, 일정한 압력과 탄성력에 의해,
한쪽의 강성판(20)이 코아층의 두께(도1의 c)와 높이(도1의 a)를 줄임과 동시에 두께 쪽으로 아치를 그리며 절곡됨과 동시에 압력을 가하는 쪽의 강성판(10)도 두께 바깥쪽(도1의 b)으로 절곡된다.
탄성절곡충진재(40)의 형태는 절곡된 형태로 변형되어 고정된다.
일정한 압력은, 한 쌍의 강성판(10,20)과 코어층 전체에 탄성 절곡충진재(40)가 채워졌다고 가정했을 때에,
압력을 가할 시 굴곡 되는 압력이 되며, 통상의 금속판 정도의 강도라면 현장에서 시공 시, 형강 또는 벽에 패널을 대고 사람의 손으로 밀어 절곡한 후, 볼 너트 체결 등이 가능하나, 특수한 경우라면 기기를 이용하여 절곡한 후 볼 너트 체결 등을 할 수도 있다.
강성판이 표면재(150,160)와 보강 강성판(110,120)으로 이루어진 내장 샌드위치 패널도 동일하나 하기의 차이를 갖는다.
보강 강성판(110,120)은, 일정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표면재(150,160)의 굴곡 면을 따라 일정하게 절곡 되게 깨어진 상태로 재배치된다.
사용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된다 할 수 있다.
강성판(10,20)이 금속판인 경우에 있어서는,
평면시공은,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된다.
곡면시공은, 절곡된 형상의 형강에, 패널을 맞댄 후 손으로 밀어 절곡되도록 한 후, 조인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손으로 밀어 절곡되도록 할 수 없을 정도로 패널의 강도가 강하다면, 통상의 금속판 절곡 기기를 이용 절곡한 후 형강에 조립하는 형식으로도 가능하다.
강성판이 비금속 강성판(110,120,150,160)인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내장재, 마감재에 있어서는,
평면시공은,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된다.
곡면시공은, 곡면의 형상을 갖는 건물의 내벽 합판 등에, 패널에 접착제를 칠한 후 손으로 밀어 형태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곡면의 형상을 갖는 건물의 내벽 등에 패널을 손으로 밀어 형태를 고정시킨 후 피스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조는 통상적 방법 등으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나, 하기에 금속과 비금속으로 분류하여 다양한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참고로 하기에서 적용되는 성형 틀이란, 한 형식의 성형 틀이 아닌 통상적인 금속 비금속의 성형방법에 의한 성형 틀 중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성형 틀로 해석함이 마땅하다.
금속에 있어서는,
1. 코아층의 탄성 절곡충진재(40)와 고정충진재(30)를 별도로 성형한 후, 상기 구조물들을 조립함과 동시 접착제로 결합한 후 - 상기의 조립되고 결합된 코아층의 충진재를, 또 다시 한 쌍의 강성판(10,20)과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법.
접착제는 탄성 절곡충진재(40)와 고정충진재(30)의 재료가 될 수 있는, 특히 우레탄 접착제 등과 같은 경우도 접착제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2. 코아층의 탄성 절곡충진재(40) 또는 고정충진재(30)를 별도로 성형한 후 - 상기의 별도로 성형된 하나의 충진재를, 성형 틀에 임시적으로 고정한 후, 성형 틀의 빈 공간에 나머지 하나의 충진재 재료를 주입 또는 분사하여 코아층의 충진재를 완성한 후 - 상기의 완성된 충진재를 또 다시 한 쌍의 강성판(10,20)과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법.
비 금속에 있어서는,
1. 코아층의 탄성 절곡충진재(40)와 고정충진재(30)를 별도로 성형한 후 조립함과 동시 접착제로 결합한 후 - 상기의 조립되고 결합된 코아층의 충진재를, 또 다시 한 쌍의 보조 강성판(110,120)과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법.
보강 강성판(110,120)과 표면재(150,160)의 결합은, 보강 강성판(110,120)의 성형 시 보조강판의 접착성분에 의한 결합 또는 보강 강성판(110,120)의 성형 후 접착제에 의한 결합.
2. 코아층의 탄성 절곡충진재(40) 또는 고정충진재(30)를 별도로 성형한 후 - 상기의 별도로 성형된 하나의 충진재를, 성형 틀에 임시적으로 고정한 후, 성형틀의 빈 공간에 나머지 하나의 충진재 재료를 주입 또는 분사하여 코아층의 충진재를 완성한 후 - 상기의 완성된 충진재를 또 다시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과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법.
또는 코아층의 충진재를 완성한 후 - 성형 틀을 이용하여, 상기 완성된 충진재 구조물 한쪽 위에, 보강 강성판(110,120)의 재료를 주입 또는 분사하여 한쪽의 보강 강성판(110)을 완성한 후 - 완성된 충진재 구조물 또 다른 한쪽 위에 보강 강성판(110,120)의 재료를 주입 또는 분사하여 또 다른 한쪽의 보조 강성판(120)을 완성하는 방법.
보강 강성판(110,120)과 표면재(150,160)는 상기 1과 동일.
10,20; 한 쌍의 강성판 30; 고정충진재
40; 탄성 절곡충진재 110,120; 한 쌍의 보강 강성판
150,160; 한 쌍의 표면재 31; 아치형태의 돌출부
41; 아치형태의 삽입 홈 115,125,145; 돌출편

Claims (7)

  1.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패널과 패널이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구조를 갖고, 전면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지는 한 쌍의 강성판과;
    한 쌍의 강성판 후면에 일정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며, 한 쌍의 강성판을 절곡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 절곡충진재;
    상기의 구성물들의 형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 절곡충진재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강성판 후면에 전면이, 탄성 절곡충진재 아치형태의 삽입 홈에 아치 형태의 돌출부가, 밀착되게 조립됨과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 형성되며, 일정의 강도를 갖는 다수 개의 고정충진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2.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강성판(10,20)이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금속판에 있어서,
    금속판과 금속판재이 연속적으로 조립되도록 조립구조를 갖는 구조가 암 수 구조이며,
    고정충진재(130) 전면의 노출된 부분(131)과 결합되는 금속판 부분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132)으로 파상형상이 형성되며,
    탄성 절곡충진재(140)와 결합되는 금속판 후면부분에,
    절곡부분을 일정하게 하기위하여 탄성 절곡충진재(140)의 절곡방향으로 다수 개의 절곡유도 홈(도1의 d)이 형성되며,
    탄성 절곡충진재(140)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는 일정의 다수개의 고정충진재(130)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 양측이 고정충진재(130)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3. 1항에 있어서,
    탄성 절곡충진재(40)를 사이에 두고 일정하게 배치되는 고정충진재(30)의 배치가,
    탄성 절곡충진재(40)의 전면이 메시 구조로 형성되며 고정충진재(30)의 테두리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전면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시, 절곡되게 구부러지는 한 쌍의 강성판에 있어서,
    강성판이,
    절곡이 가능한 한 쌍의 표면재(150,160)와, 상기 표면재(150,160) 후면에 결합 형성되며 일정한 압력을 가할시 표면재(150,160)의 굴곡면을 따라 파손되어 절곡되게 깨어지는 일정의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으로 이루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 패널
  4. 3항에 있어서,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에 있어서,
    일정하게 파손되도록 탄성 절곡충진재(40) 양쪽 전면과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 후면에 톱니모양의 다수개의 돌출편(145,115)이 서로 맞물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패널
  5. 4항에 있어서,
    절곡되었을 때에, 깨어진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의 매끈히 절곡됨과 동시에 이탈방지를 위하여,
    한 쌍의 보강 강성판(110,120)의 전면과 두께의 중심부에 메시 망 심재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패널
  6. 5항에 있어서,
    고정충진재(30)와 보강 강성판(110,120)이 석고보드용 석고로 형성되며, 표면재(150,160)가 석고보드용 종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내장 샌드위치패널
  7. 1항에 있어서
    고정충진재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KR1020150143233A 2015-10-14 2015-10-14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KR10255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233A KR102551702B1 (ko) 2015-10-14 2015-10-14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233A KR102551702B1 (ko) 2015-10-14 2015-10-14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765A true KR20170043765A (ko) 2017-04-24
KR102551702B1 KR102551702B1 (ko) 2023-07-05

Family

ID=5870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233A KR102551702B1 (ko) 2015-10-14 2015-10-14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7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3916A (zh) * 2020-01-02 2020-05-08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弧形地板成型方法及轨道车辆弧形地板
KR102316158B1 (ko) 2020-12-02 2021-10-22 하이테크판넬 주식회사 건축물의 지붕구조
KR102316156B1 (ko) 2020-12-02 2021-10-22 하이테크판넬 주식회사 건축물의 지붕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314B2 (ko) * 1973-01-26 1979-11-08
JPH0716963A (ja) * 1993-07-06 1995-01-20 Nippon Light Metal Co Ltd 曲面アルミニウムハニカ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30036A (ko) * 2003-11-14 2006-12-18 인텔리전트 엔지니어링 (바하마즈) 리미티드 형상체들을 갖는 개선된 구조 샌드위치 플레이트 부재
KR101428733B1 (ko) * 2013-05-03 2014-08-11 노경임 가변성 아치형 샌드위치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6314B2 (ja) * 2010-04-09 2014-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曲面サンドイ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314B2 (ko) * 1973-01-26 1979-11-08
JPH0716963A (ja) * 1993-07-06 1995-01-20 Nippon Light Metal Co Ltd 曲面アルミニウムハニカム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30036A (ko) * 2003-11-14 2006-12-18 인텔리전트 엔지니어링 (바하마즈) 리미티드 형상체들을 갖는 개선된 구조 샌드위치 플레이트 부재
KR101428733B1 (ko) * 2013-05-03 2014-08-11 노경임 가변성 아치형 샌드위치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3916A (zh) * 2020-01-02 2020-05-08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弧形地板成型方法及轨道车辆弧形地板
KR102316158B1 (ko) 2020-12-02 2021-10-22 하이테크판넬 주식회사 건축물의 지붕구조
KR102316156B1 (ko) 2020-12-02 2021-10-22 하이테크판넬 주식회사 건축물의 지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702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5351B1 (en)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KR20120049415A (ko) 플라스틱 뒷받침을 갖는 바닥 패널
KR20170043765A (ko)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KR101239366B1 (ko)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KR101700173B1 (ko) 기능성 안전 건축 내외장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NL2022369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JP5216315B2 (ja) 防音床材
JP2008007961A (ja) 緩衝材及び床仕上材
JP6278776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4442540B2 (ja) 木造軸組耐力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5047642B2 (ja) 床用緩衝体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JP2008267035A (ja) 床用緩衝体、床構造、及び、補強床敷設方法
JP2006291557A (ja) パイプシャフト構造
JP2000320103A (ja) 建築用内装板材
CN102628315A (zh) 复合地板
JP2009150141A (ja) 防音床材
KR102099659B1 (ko) 신축변형 방지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44826B1 (ko)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KR101239750B1 (ko)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JP2005351067A (ja) 建築物の外壁
JP2009024409A (ja) 遮音床材の施工構造、遮音床材の除去方法及び遮音床材の更新方法
JP2019027141A (ja) 防音木質床材
JPH0533483A (ja) 型 枠
KR101393531B1 (ko) 사출성형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JP2023179054A (ja) 建材パネルおよびそ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