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930A - 반송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식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930A
KR20170038930A KR1020177006501A KR20177006501A KR20170038930A KR 20170038930 A KR20170038930 A KR 20170038930A KR 1020177006501 A KR1020177006501 A KR 1020177006501A KR 20177006501 A KR20177006501 A KR 20177006501A KR 20170038930 A KR20170038930 A KR 2017003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plate
pair
axis
endless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189B1 (ko
Inventor
유이치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이템
Publication of KR2017003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rranged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가 작고, 또한 건조효율의 높은 반송식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반송식 건조장치의 반송장치(1a)를, 무한체인(20)의 주회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플레이트(30)에 의하여 반송면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무한체인을 감은 제1스프로킷(11) 및 제2스프로킷과는 별도로, 무한체인과 맞물리는 종동기어(60)를 설치하고, 종동기어로부터 노커(65)를 돌출되게 설치한다. 노커의 회전궤도를, 제1스프로킷을 향하는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당연히 회전해야 하는 플레이트가,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에 궤도와 교차시킨다. 이에 따라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은 플레이트에 노커가 충돌하여, 플레이트를 회전시킨다.

Description

반송식 건조장치{CONVEYOR-TYP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컨베이어(conveyor)에 의하여 피건조물(被乾燥物)을 반송(搬送)하면서 건조(乾燥)시키는 반송식 건조장치(搬送式 乾燥裝置)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과거에,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를 사용한 건조장치를 다수 제안하고, 실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를 참조). 이들은,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를 상하로 배치함과 아울러, 인접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을 반대로 한 것이다. 최상단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공급된 피건조물은,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端部)까지 반송되고, 벨트의 회전에 따라 다음 단(段)의 컨베이어 벨트 위로 낙하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피건조물은 최하단의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컨베이어 벨트 사이로 보내진 에어(air)에 의하여 건조된다. 이러한 건조장치에서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가 작다는 이점을 구비한다.
본 출원인은 더욱더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상기한 종래의 장치와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가 마찬가지로 작고, 또한 건조효율이 보다 높은 반송식 건조장치를 실현시켜서, 본 발명에 이르렀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174153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32769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가 작고, 또한 건조효율이 높은 반송식 건조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반송식 건조장치는,
「수분을 함유하는 피건조물을 반송하는 반송장치, 및 상기 반송장치 내의 공간에 에어를 유통시키는 통풍장치를 구비하는 반송식 건조장치로서,
상기 반송장치는,
한 쌍의 무한체인과,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 각각의 한쪽이 감겨서 상기 무한체인을 위로부터 밑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 및 한 쌍의 제1스프로킷 각각과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 각각의 다른쪽이 감겨서 상기 무한체인을 밑에서부터 위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2스프로킷과,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의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 폭방향으로 평행한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상기 무한체인의 쌍방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이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피건조물을 재치하는 반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 각각의 양 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떨어진 제2축(第2軸)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축지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과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2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롤러 각각의 전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상부 레일과,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제2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롤러 각각의 전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 레일과,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무한체인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무한체인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노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축은 상기 제2축보다 전방에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하부 레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2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축은 상기 제2축보다 후방에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하부 레일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상부 레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노커의 회전궤도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스프로킷을 향하는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은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의 궤도와 교차한다」는 것이다.
「수분을 함유하는 피건조물」은,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낙하시키는 것이 문제가 없는 것으로서, 짐승똥, 퇴비(堆肥), 오니(汚泥), 식품잔사(食品殘渣)를 예시할 수 있다.
「통풍장치」로서는, 반송장치 내의 공간으로 에어를 넣어주는 송풍기, 반송장치 내의 공간으로부터 에어를 배출함으로써 흡기시키는 환풍기 또는 그 쌍방을 사용할 수 있다.
「종동기어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노커」는, 종동기어의 크기와 플레이트의 진행방향의 길이의 관계에 의하여 복수 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반송장치에서는, 무한체인의 주회(周回)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피건조물을 재치하는 반송면이 형성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는 제1스프로킷을 따라 이동할 때 및 제2스프로킷을 따라 이동할 때에, 자체 중량에 의하여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는 항상 동일한 면으로 반송면을 형성하면서, 제1스프로킷과 제2스프로킷의 사이를 주회한다.
그리고 제2스프로킷으로부터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의하여 반송된 피건조물은, 제1스프로킷의 근방에서 플레이트가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낙하한다. 낙하한 피건조물은, 그 하방에서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제2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플레이트의 위에 재치되고, 또한 제2스프로킷을 향하여 반송된다. 이렇게 플레이트에 의하여 반송되는 과정에서, 통풍장치에 의하여 반송장치 내의 공간을 유통하는 에어에 의해 피건조물이 건조된다. 제2스프로킷의 근방까지 반송된 피건조물은, 플레이트가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낙하하기 때문에, 반송장치의 하방에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회수할 수 있다.
본 구성의 반송식 건조장치에서는 피건조물이 플레이트에 재치되어 반송된다. 플레이트는, 가요성이 요청되는 컨베이어 벨트와는 달리, 금속이나 수지 등 강성(剛性)이 높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하중성(耐荷重性)이나 기계적 강도(强度)가 높은 요소로 피건조물을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에 다량의 피건조물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하는 건조장치에서는, 컨베이어 벨트가 감긴 한 쌍의 스프로킷의 일방에 도달한 컨베이어 벨트가 위로부터 밑으로 회전한 후에, 타방의 스프로킷에 도달하여 밑에서부터 위로 회전할 때까지의 이동의 과정에서는, 피건조물을 반송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무한의 컨베이어 벨트에서는, 편도로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하여 본 구성의 반송식 건조장치에서는, 플레이트가 제2스프로킷으로부터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과,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제2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의 쌍방에서, 피건조물을 플레이트에 재치하여 반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를 2단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설치 스페이스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동일한 면이 항상 위쪽을 향하여 반송면을 형성한다. 그 때문에, 플레이트를 무한체인에 연결하기 위한 제1축이나 플레이트에 가이드 롤러를 지지시키는 제2축을, 플레이트에 있어서 반송면을 형성하는 면의 반대면 즉 피건조물과 접촉하지 않는 면측에서 플레이트에 체결할 수 있다.
그런데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연속한 요소에 의하여 피건조물을 반송하는 경우와 달리,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하여 반송면을 형성하여 피건조물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피반송물이 삽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 피건조물이 저항이 되어,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회전이 방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특히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플레이트로 반송되고 있는 피건조물은, 건조의 정도가 낮아서 아직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성이 높다. 그 때문에, 제1스프로킷의 근방에서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트의 회전은 방해를 받을 우려가 크다.
이러한 걱정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반송식 건조장치는, 제1스프로킷의 근방에서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은 플레이트에 충격을 주어서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노커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커는 제1스프로킷과 상부 레일의 단부의 사이에, 무한체인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종동기어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기어는, 무한체인과 맞물림으로써 제1스프로킷의 회전을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종동기어와 일체적(一體的)으로 회전하는 노커의 회전궤도는, 플레이트가 제1스프로킷을 향하는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 롤러가 상부 레일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은 상태로 전진하는 경우의 플레이트의 궤도와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의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로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전진하는 플레이트에 노커가 상방으로부터 충돌한다. 이 충격에 의하여, 플레이트를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노커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종동기어는 무한체인과 맞물려서 회전하기 때문에, 무한체인의 회전을 구동하는 기구에 의하여 종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어, 노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송식 건조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복수의 상기 반송장치가 상하로 적층되어 있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여, 상단의 반송장치에서 건조된 피건조물은, 제2스프로킷의 근방에서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 플레이트로부터 낙하하고, 하단의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하는 플레이트에 재치되어 또다시 건조된다. 복수의 반송장치를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장치의 설치면의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고 피건조물이 반송되는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건조물의 건조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분함유율이 높은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송식 건조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각각의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의 소공부(小孔部)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여, 통풍장치에 의해 반송장치 내의 공간으로 유통하고 있는 에어가, 피건조물을 재치하고 있는 플레이트를 소공부를 통하여 통과한다. 그 결과, 보다 효율이 좋게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요성(可撓性)이 요청되는 컨베이어 벨트와 달리, 플레이트는 금속이나 수지 등의 강성(剛性)이 높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계적 강도(强度)의 저하를 걱정하지 않고, 다수의 소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로서,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가 작고, 또한 건조효율이 높은 반송식 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반송식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반송식 건조장치에 있어서의 반송장치 1개의 전체도이다.
도3은, 도2의 반송장치의 중요부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있어서의 A 범위의 확대도이다.
도5는, 도2의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종동기어 및 노커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2의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노커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반송식 건조장치(搬送式 乾燥裝置)(1)에 대하여 도1 내지 도6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닭장(99)으로부터 날마다 대량으로 배출되는 계분(鷄糞)을 건조시키는 반송식 건조장치(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식 건조장치(1)는, 수분을 함유하는 계분을 반송하는 반송장치(搬送裝置)(1a) 및 반송장치(1a) 내의 공간에 에어를 유통시키는 통풍장치(通風裝置)를 구비하는 반송식 건조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반송식 건조장치(1)에서는, 동일한 구성의 반송장치(1a)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로 2단 적층(積層)된 것이다. 반송식 건조장치(1)는, 다단(多段)의 케이지(cage)에서 다수의 닭을 사육하는 닭장(99)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닭의 체온에 의해 따뜻해진 에어가, 배기팬(排氣 fan)(1b)에 의하여 닭장(99)으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반송장치(1a) 내의 공간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배기팬(1b)이 본 발명의 통풍장치에 상당한다.
각 반송장치(1a)는, 한 쌍의 무한체인(無限 chain)(20)과, 한 쌍의 무한체인(20) 각각의 한쪽(one side)이 감겨서 무한체인(20)을 위로부터 밑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第1 sprocket)(11), 및 한 쌍의 제1스프로킷(11) 각각과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한 쌍의 무한체인(20) 각각의 다른쪽(the other side)이 감겨서 무한체인(20)을 밑에서부터 위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2스프로킷(第2 sprocket)(12)과, 한 쌍의 무한체인(20)의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의 폭방향으로 평행한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무한체인(20)의 쌍방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이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피건조물을 재치(載置)하는 반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plate)(30)와, 복수의 플레이트(30) 각각의 양 측면부(32)에 있어서 제1축(21)과 떨어진 제2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축지(軸支)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guide roller)(40)와,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무한체인(20)의 회전에 의하여 플레이트(30)가 제2스프로킷(12)으로부터 제1스프로킷(11)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한 쌍의 가이드 롤러(40) 각각의 전동(轉動)을 안내함과 아울러 플레이트(30)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상부 레일(上部 rail)(51)과,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무한체인(20)의 회전에 의하여 플레이트(30)가 제1스프로킷(11)으로부터 제2스프로킷(12)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한 쌍의 가이드 롤러(40) 각각의 전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플레이트(30)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 레일(下部 rail)(52)과, 제1스프로킷(11)과 상부 레일(51)의 단부의 사이에 있어서 무한체인(20)의 상방에 위치하여 무한체인(20)과 맞물림으로써 무한체인(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종동기어(從動 gear)(60)와, 종동기어(60)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종동기어(60)와 함께 회전하는 노커(knocker)(65)를 구비하고 있고, 플레이트(30)가 제1스프로킷(11)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제1축(21)은 제2축(42)보다 전방에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플레이트(30)는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고, 무한체인(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롤러(40)가 하부 레일(52)로 안내됨으로써 플레이트(30)는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며, 플레이트(30)가 제2스프로킷(12)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제1축(21)은 제2축(42)보다 후방에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 롤러(40)가 하부 레일(52)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플레이트(30)는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고, 무한체인(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로 안내됨으로써 플레이트(30)는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노커(65)의 회전궤도는, 플레이트(30)가 제1스프로킷(11)로 향하는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은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 플레이트(30)의 궤도와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송장치(1a)의 케이싱(casing)은 2쌍의 측벽(側壁)을 구비하고 있고, 그 속의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90)에는, 각각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이, 동일한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축지되어 있다. 즉 하나의 반송장치(1a)는,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으로 이루어진 스프로킷 쌍을 2쌍 구비하고 있다.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은, 동일한 직경으로 톱니의 피치(pitch)가 동일하다. 스프로킷 쌍의 각각에 무한체인(20)을 감아서, 제1스프로킷(11) 및 제2스프로킷(12)의 어느 일방에서 구동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무한체인(20)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주회(周回)한다.
무한체인(20)은, 평행한 2장의 링크 플레이트(link plate)(22)로 이루어진 링크 쌍이, 연결핀(2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다수 연결된 것이다. 연결핀(23)은 2장의 링크 플레이트(22) 사이에 프리 롤러(free roller)(25)를 삽입하여 통하도록 하고 있어, 프리 롤러(25)는 연결핀(23)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또한 한 쌍의 무한체인(20)의 각각에 있어서, 연결핀(23)은 내측의 링크 플레이트(22)를 넘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30)는, 한 쌍의 무한체인(20)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무한체인(20)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는 연결핀(23)에 의하여 양측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핀(23) 중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플레이트(3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핀(23)의 축심(軸心)이, 본 발명의 제1축(21)에 상당한다.
각 플레이트(30)는, 직4각형의 평판이고 다수의 소공부(小孔部)(도면 표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본체(31)와, 플레이트 본체(31)에 있어서 폭방향 한 쌍의 변으로부터 일방향(一方向)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면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축(21)을 축심(軸心)으로 하는 상기의 연결핀(23)은, 이 측면부(32)에 삽입된 후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플레이트(30)의 측면부(32)에는, 제1축(21)과 떨어진 위치에 가이드 롤러(40)가 제2축(42)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플레이트(30)에 부착된 가이드 롤러(40)와, 무한체인(20)에 조립된 프리 롤러(25)는 레일 위에서 함께 전동한다.
레일에는, 제2스프로킷(12)으로부터 제1스프로킷(11)을 향하여 플레이트(30)가 이동할 때에 가이드 롤러(40) 및 프리 롤러(25)의 전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레일(51)과, 제1스프로킷(11)으로부터 제2스프로킷(12)을 향하여 플레이트(30)가 이동할 때에 가이드 롤러(40) 및 프리 롤러(25)의 전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하부 레일(52)이 있다. 상부 레일(51) 및 하부 레일(52)은, 케이싱의 한 쌍의 측벽(90)에, 각각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부 레일(51)의 높이는 제1스프로킷(11) 및 제2스프로킷(12)의 상단보다 약간 낮게 설정되고, 하부 레일(52)의 높이는 제1스프로킷(11) 및 제2스프로킷(12)의 하단보다 약간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1스프로킷(11)의 지름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는, 제1스프로킷(11)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제1스프로킷(11)의 외주를 따라 원호모양으로 만곡(彎曲)하고 있는 안내면(53)이 설치되어 있고, 안내면(53)의 하단은 하부 레일(52)에 도달하고 있다. 안내면(53)은, 원호의 지름이 제1스프로킷(11)의 지름보다 약간 크고, 원호의 중심이 제1스프로킷(11)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스프로킷(1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제2스프로킷(12)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원호모양의 안내면(54)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면(54)은, 원호의 지름이 제2스프로킷(12)의 지름보다 약간 작고, 원호의 중심이 제2스프로킷(12)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면(54)의 상단은, 상부 레일(51)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40)가 전동하는 내측 부분에 도달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레일(51)의 일단과 제1스프로킷(11)의 사이, 및 하부 레일(52)의 일단과 제2스프로킷(12)의 사이에는, 플레이트(30)에 있어서 1장의 진행방향의 길이 이상의 공극(空隙)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종동기어(60)는 한 쌍이 있고, 케이싱의 한 쌍의 측벽(90)과 대향하여 회전축(61)에 의하여 축지되어 있다. 이 종동기어(60)는 상부 레일(51)의 단부와 제1스프로킷(1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종동기어(60)의 톱니 피치는, 제1스프로킷(11) 및 제2스프로킷(12)의 톱니 피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기어(60)는 무한체인(20)과 맞물린다. 종동기어(60)의 높이는, 제1스프로킷(11)을 향하여 이동하는 무한체인(20)과 상방에서 맞물리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종동기어(60)에는, 종동기어(60)의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62)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체(62)는, 회전축(61)에 대하여 등각도 간격(120도 간격)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3개의 암(arm)(63)을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암(63)의 선단에는, 타방의 종동기어(60)를 향하여 돌출된 노커(6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스프로킷(11)의 사이의 공간에는, 케이싱의 측벽(90)에 부착된 지지 바(支持 bar)(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스토퍼(59)가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59)는, 제1스프로킷(11)을 향하여 이동하는 플레이트(30)의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의 단부로부터 벗어난 시점에 있어서의 제1축(21)의 바로 아래에, 또한 제1스프로킷(11)과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의 반송식 건조장치(1)에 있어서의 반송장치(1a)에는 복수의 플레이트(30)에 의하여 반송면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플레이트(30)의 각각은, 제1축(21)에 의하여 무한체인(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 사이에서 주회하는 무한체인(20)의 이동을 따라 이동한다. 제1스프로킷(11)과 제2스프로킷(12)은 수평으로 떨어져 있고, 제1스프로킷(11)은 무한체인(20)을 위로부터 밑으로 회전시키고, 제2스프로킷(12)은 무한체인(20)을 밑으로부터 위로 회전시킨다. 그 때문에, 무한체인(20) 중에서 제2스프로킷(12)으로부터 제1스프로킷(11)을 향하는 부분은, 제1스프로킷(11)으로부터 제2스프로킷(12)을 향하는 부분의 위를 이동한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제2스프로킷(12)으로부터 제1스프로킷(11)을 향하는 이동을 「상이동(上移動)」, 제1스프로킷(11)으로부터 제2스프로킷(12)을 향하는 이동을 「하이동(下移動)」이라고 부른다.
각 플레이트(30)의 양 측면부(32)에, 제2축(4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40)는, 플레이트(30)의 상이동에 따라 상부 레일(51) 위를 전동하고, 플레이트(30)의 하이동에 따라 하부 레일(52) 위를 전동한다. 상부 레일(51) 및 하부 레일(52)의 높이는, 무한체인(20)에 연결된 제1축(21)의 높이와의 관계에서, 레일 위를 가이드 롤러(40)가 전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플레이트(30)가 수평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한체인(20)의 프리 롤러(25)도 상부 레일(51) 및 하부 레일(52) 위를 전동한다. 프리 롤러(25) 및 가이드 롤러(40)는 거의 동일한 직경이며, 프리 롤러(25)의 회전축인 제1축(21)과 가이드 롤러(40)의 회전축인 제2축(42)의 측면부(32)에 있어서의 높이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리 롤러(25) 및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 또는 하부 레일(52) 위를 전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플레이트(30)는 수평이 된다.
또한 플레이트(30)가 상이동을 할 때에, 무한체인(20)에 플레이트(30)를 연결하고 있는 제1축(21)은, 가이드 롤러(40)의 회전축인 제2축(42)보다 전방에 있다. 이에 따라 상이동을 할 때에는 플레이트(30)는 무한체인(20)에 견인되고, 이에 동반하여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 위를 전동한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 위를 전동하고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30)가 각각 수평한 상태로 됨으로써, 각 플레이트(30)의 윗면에 의하여 반송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나 호퍼(hopper) 등의 공급장치(91)에 의하여, 상이동을 하고 있는 플레이트(30) 위에 피건조물을 공급함으로써 반송면 위에 피건조물을 재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스프로킷(11)과 상부 레일(51)의 단부 사이에는, 플레이트(30)의 진행방향의 길이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이동을 하고 있는 플레이트(30)가 제1스프로킷(11)에 근접하고,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의 단부로부터 벗어나면, 그 공극에 있어서 플레이트(30)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이동의 경우에 제1축(21)은 제2축(42)보다 전방에 있기 때문에, 그때까지 반송면을 형성하고 있었던 윗면이 제2스프로킷(12)의 방향을 향하도록 플레이트(30)는 회전한다. 플레이트(30)의 회전에 의하여, 그때까지 재치되어 있었던 피건조물은 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30)가 회전할 때에 제1축(2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스토퍼(59)와 충돌한다. 이에 따라, 그 이상의 회전이 제한됨과 아울러 플레이트(30)에 부착되어 있었던 피건조물을 충돌의 충격에 의하여 떨어뜨릴 수 있다.
제1축(21)으로부터 매달리도록 무한체인(20)에 지지된 플레이트(30)는, 제1스프로킷(11)과 맞물려서 위로부터 밑으로 회전하는 무한체인(2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에 가이드 롤러(40)는, 제1스프로킷(11)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고 있는 안내면(53)으로 안내되고, 플레이트(30)는 서서히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이드 롤러(40)가 상방으로부터 하부 레일(52)에 접하고, 가이드 롤러(40)를 하부 레일(52) 위에서 전동시키면서 플레이트(30)가 제2스프로킷(12)을 향하여 이동하면, 플레이트(30)는 다시 수평으로 되고, 상이동 때에 반송면을 형성하고 있었던 면과 동일한 면이 상방을 향하여 반송면을 형성한다. 이렇게 수평으로 된 플레이트(30)는, 상방에서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한 피건조물을 반송면 위에 재치하고 하이동을 하면서 반송한다. 이 때에, 제1축(21)은 제2축(42)보다 후방에 있기 때문에, 무한체인(20)은 플레이트(30)를 밀도록 하이동을 시킨다.
하이동을 하고 있는 플레이트(30)가 제2스프로킷(12)에 근접하고, 가이드 롤러(40)가 하부 레일(52)의 단부로부터 벗어나면, 플레이트(30)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1축(21)은 제2축(42)보다 후방에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30)는 그때까지 반송면을 형성하고 있었던 면이 제2스프로킷(12)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한다. 플레이트(30)의 회전에 의하여, 그때까지 재치되어 있었던 피건조물은 낙하한다. 제1축(21)으로부터 매달리도록 무한체인(20)에 지지된 플레이트(30)는, 제2스프로킷(12)과 맞물려서 밑에서부터 위로 회전하는 무한체인(2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에 가이드 롤러(40)는, 제2스프로킷(12)보다 조금 내측에 위치하는 원호모양의 안내면(54)으로 안내되고, 플레이트(30)는 서서히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이드 롤러(40)가 상부 레일(51)에 도달하고, 가이드 롤러(40)를 상부 레일(51) 위에서 전동시키면서 플레이트(30)가 제1스프로킷(11)을 향하여 이동하면, 플레이트(30)는 다시 수평으로 된다. 플레이트(30)는 상방으로부터 공급된 피건조물을 재치하여 상이동을 하고, 그 이후에는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무한체인(20)의 주회를 따라 복수의 플레이트(30)가 상이동과 하이동을 반복함으로써, 상이동을 하는 플레이트(30)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면에 의하여 반송된 피건조물은, 하이동을 하는 플레이트(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반송면 위로 낙하하여 반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반송장치(1a)가 상하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의 반송장치(1a)에 있어서 하이동을 끝낸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한 피건조물은, 하단의 반송장치(1a)에 있어서 상이동을 하는 플레이트(30)에 재치된다. 그 후에 하단의 반송장치(1a)에 있어서 상이동을 하는 플레이트(30)에 의하여 반송되고, 또한 하이동을 하는 플레이트(30) 위로 낙하하여 반송된다. 피건조물은, 각각의 반송장치(1a)에 있어서 상이동 및 하이동을 하는 플레이트(30)에 의하여 반송되는 과정에서, 배기팬(1b)에 의하여 반송장치(1a) 내의 공간으로 보내진 따뜻한 에어에 의하여 건조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 본체(31)에 다수의 소공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1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30)에 재치된 피건조물을 통과하도록 에어가 유통된다. 이에 따라 효율 좋게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또 하단의 반송장치(1a)에 있어서 하이동을 끝낸 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한,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은, 스크루 컨베이어나 스크레이퍼(scraper) 등의 반출장치(92)에 의하여 반송식 건조장치(1)의 외부로 반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장치(1a)는, 연속한 면에서 피건조물을 반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는 달리,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플레이트(30)에 의하여 반송면을 형성하여 피건조물을 반송한다. 그 때문에, 인접하는 플레이트(30) 사이에 피반송물이 삽입되어,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트(30)의 회전이 방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 특히 상이동을 하고 있는 플레이트(30)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는 단계의 피건조물은, 아직 수분함유율이 높기 때문에 플레이트(30) 사이에 부착되기 쉽다.
그러한 경우에, 상부 레일(51)의 단부와 제1스프로킷(11) 사이의 공극에서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당연히 회전해야 하는 플레이트(30)가, 도6의 상측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 제1스프로킷(11)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위치에는, 상방으로부터 무한체인(20)과 맞물리도록 종동기어(60)가 부착되어 있고, 종동기어(60)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62)에는 노커(65)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무한체인(20)과 맞물리는 종동기어(60)가, 제1스프로킷(11)의 회전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노커(65)도 함께 회전한다. 노커(65)의 회전궤도는,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은 상태에서 전진하는 플레이트(30)의 궤도와 교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6의 하측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노커(65)는,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플레이트(30)와 충돌한다.
이 충격에 의하여, 플레이트(30)와 피건조물의 부착력을 약화시켜서, 플레이트(30)를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커(65)가 플레이트(30)에 충돌하는 위치가, 제1축(21)과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노커(65)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커(65)로부터 가압되는 힘이 동일하더라도, 제1축(21)에 가까운 위치에서 노커(65)가 충돌하는 경우보다, 플레이트(30)를 제1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종동기어(60)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노커(65)가, 플레이트(30)의 양쪽 사이드에 동시에 충돌한다. 그 때문에, 노커(65)로부터의 힘이 플레이트(30)의 전체에 전달되기 쉬워서, 더 확실하게 플레이트(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노커(65)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종동기어(60)는, 무한체인(20)의 회전을 구동하는 기구에 의하여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가적인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노커(6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형태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구성의 복수의 반송장치(1a)를 상하로 적층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건조물의 건조의 정도가 낮은 최상단의 반송장치에만 노커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건조의 정도가 진행된 피건조물은, 플레이트에 부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하단측의 다른 반송장치는, 상기의 반송장치(1a)로부터 종동기어(60), 회전체(62) 및 노커(65)를 제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수분을 함유하는 피건조물(被乾燥物)을 반송하는 반송장치(搬送裝置), 및 상기 반송장치 내의 공간에 에어를 유통시키는 통풍장치(通風裝置)를 구비하는 반송식 건조장치(搬送式 乾燥裝置)로서,
    상기 반송장치는,
    한 쌍의 무한체인(無限 chain)과,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 각각의 한쪽(one side)이 감겨서 상기 무한체인을 위로부터 밑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第1 sprocket), 및 한 쌍의 제1스프로킷 각각과 수평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 각각의 다른쪽(the other side)이 감겨서 상기 무한체인을 밑에서부터 위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2스프로킷(第2 sprocket)과,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의 사이에 위치하고, 각각 폭방향으로 평행한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상기 무한체인의 쌍방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각이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피건조물을 재치(載置)하는 반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plate)와,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 각각의 양 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는 떨어진 제2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축지(軸支)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guide roller)와,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2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롤러 각각의 전동(轉動)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상부 레일(上部 rail)과,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제2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롤러 각각의 전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하부 레일(下部 rail)과,
    상기 제1스프로킷과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端部)의 사이에서, 상기 무한체인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무한체인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종동기어(從動 gear)와,
    상기 종동기어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노커(knocker)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축은 상기 제2축보다 전방에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하부 레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2스프로킷을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축은 상기 제2축보다 후방에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하부 레일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무한체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상부 레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노커의 회전궤도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스프로킷을 향하는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가 상기 상부 레일의 단부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방해를 받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의 궤도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식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반송장치가 상하로 적층(積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식 건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의 소공부(小孔部)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식 건조장치.
KR1020177006501A 2014-09-25 2014-09-25 반송식 건조장치 KR101849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5375 WO2016046928A1 (ja) 2014-09-25 2014-09-25 搬送式乾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930A true KR20170038930A (ko) 2017-04-07
KR101849189B1 KR101849189B1 (ko) 2018-04-16

Family

ID=5558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501A KR101849189B1 (ko) 2014-09-25 2014-09-25 반송식 건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58517B2 (ko)
KR (1) KR101849189B1 (ko)
CN (1) CN106796082B (ko)
WO (1) WO2016046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8773B (zh) * 2018-11-19 2024-02-06 浙江天能电池(江苏)有限公司 废极板干燥碾压脱粉机
JP6576586B1 (ja) * 2019-03-19 2019-09-18 ホーワ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乾燥システム
CN111387274B (zh) * 2020-04-23 2022-11-22 安徽欧瑞达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均匀烘干的果蔬烘干机房
CN115698616A (zh) * 2020-06-25 2023-02-03 株式会社海泰 输送式干燥装置及输送式干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695A (ja) 1997-06-04 1998-12-15 Toyo Syst Kk 鶏糞乾燥装置
JP2001174153A (ja) 1999-12-14 2001-06-29 Toyo System Kk 鶏糞風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7142B (de) * 1966-03-17 1968-09-05 Miag Muehlenbau & Ind Gmbh Silo zum Zwischenlagern von Schuettgut
US4366628A (en) * 1981-04-06 1983-01-04 Proctor & Schwartz, Inc. Invertable pan conveyor and material carrying pan therefor
JPS6236148A (ja) * 1985-08-09 1987-02-17 Keiichi Isotani 荒茶用多段式乾燥機
JPH0672411B2 (ja) * 1988-01-20 1994-09-14 英夫 白井 流路中の塵芥などの固形物除去装置
DE3933868B4 (de) * 1989-10-11 2004-07-01 Robert Bosch Gmbh Gebläse mit einem elektronisch kommutierten Antriebsmotor
JPH0536372Y2 (ko) * 1989-11-18 1993-09-14
JPH0670680A (ja) * 1992-08-28 1994-03-15 Kawasaki Kiko Co Ltd 製茶乾燥機
DE4318583A1 (de) * 1993-06-04 1994-12-08 Bsw Verfahrenstechnik Gmbh Ing Klapp- und Führungseinrichtung für ein aus Segmenten zusammengesetztes endloses Transportband
JP2007085711A (ja) 2005-09-26 2007-04-05 Hiroshi Okawa エンドレス処理装置
CN2884095Y (zh) * 2005-12-12 2007-03-28 甘肃省机械科学研究院 网带式烘干机的集中传动机构
JP5836393B2 (ja) * 2011-11-28 2015-12-24 株式会社ハイテム 鶏糞撹拌搬送装置
CN102491615A (zh) * 2011-11-29 2012-06-13 钱尧翎 一种烟气污泥烘干机链板输送机构
CN203294732U (zh) * 2013-04-19 2013-11-20 株式会社椿本散装系统 刮板输送机
KR101408147B1 (ko) 2013-10-30 2014-06-1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695A (ja) 1997-06-04 1998-12-15 Toyo Syst Kk 鶏糞乾燥装置
JP2001174153A (ja) 1999-12-14 2001-06-29 Toyo System Kk 鶏糞風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6082A (zh) 2017-05-31
WO2016046928A1 (ja) 2016-03-31
JPWO2016046928A1 (ja) 2017-06-22
JP6258517B2 (ja) 2018-01-10
KR101849189B1 (ko) 2018-04-16
CN106796082B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189B1 (ko) 반송식 건조장치
US9291392B2 (en) Tunnel drying device for bulk material
KR20140035304A (ko) 다방향성 바퀴들을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및 모듈
RU2011104086A (ru)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JP2007014280A (ja) セイロ及び乾燥装置
KR20120114113A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JP2009154976A (ja) 商品供給・集積装置
JP5593020B2 (ja) 選別装置
US1327486A (en) Fruit-drier
US1582457A (en) Festooning machine
JP6618166B1 (ja) チェーン式搬送コンベア
JP4183249B2 (ja) フライ食品の油切り搬出装置
WO2021260902A1 (ja) 搬送式乾燥装置及び搬送式乾燥方法
JP2018111508A (ja) 物品計数投入装置
JP6254041B2 (ja) 物品搬送装置
JP6822666B2 (ja) ゆで卵の自動から割装置
JP5380757B1 (ja) ゴルフボール搬送装置
US3136404A (en) Apparatus for handling rod-like articles
CN205616061U (zh) 一种轴承套圈的运输装置
JP2005239426A (ja) 供給コンベヤ
JP3066147U (ja) 熱処理炉およびベルトコンベヤ
JP5824390B2 (ja) 農産物の仕分装置
US829484A (en) Grain-elevator.
KR20130003965U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JP2004210531A (ja) フライト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