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529B1 - 탄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탄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529B1
KR100918529B1 KR1020070069146A KR20070069146A KR100918529B1 KR 100918529 B1 KR100918529 B1 KR 100918529B1 KR 1020070069146 A KR1020070069146 A KR 1020070069146A KR 20070069146 A KR20070069146 A KR 20070069146A KR 100918529 B1 KR100918529 B1 KR 10091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frame
conveying
lower plat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10A (ko
Inventor
김영춘
강상원
Original Assignee
김영춘
주식회사 풍산홀딩스
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춘, 주식회사 풍산홀딩스, 강상원 filed Critical 김영춘
Priority to KR1020070069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5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 및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순환하는 순환벨트, 상기 순환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벨트와 함께 상기 프레임을 순환하며 탄두와 탄피를 가지는 탄환의 탄두측을 부착시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가지는 이송부; 내부에 제 1 이송로가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탄환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 일측은 상기 이송레일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레일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레일에서 전달된 상기 탄환을 상기 탄환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상기 탄환의 길이방향이 수직을 이루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사용처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탄환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탄환 공급장치는 이송부의 일측으로 공급된 탄환을 자동으로 검사장치측으로 전달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간편하다.

Description

탄환 공급장치 {APPARATUS FOR SUPPLYING BUL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환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와 이송레일을 보인 배면측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의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관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이송부 113 : 순환벨트
115 : 마그네트 120 : 구획부재
130 : 리브 140 : 이송레일
150 : 배출관
본 발명은 탄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환의 제조가 완료되면, 탄환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탄환을 검사장치로 공급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탄환을 박스 등에 넣어서 검사장치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박스에 담긴 탄환을 수작업으로 검사장치용 이송벨트에 공급하였다. 이로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환을 자동으로 검사장치용 이송벨트에 공급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한 탄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환 공급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 및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순환하는 순환벨트, 상기 순환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벨트와 함께 상기 프레임을 순환하며 탄두와 탄피를 가지는 탄환의 탄두측을 부착시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가지는 이송부; 내부에 제 1 이송로가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탄환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 일측은 상기 이송레일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레일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레일에서 전달된 상기 탄환을 상기 탄환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상기 탄환의 길이방향이 수직을 이루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사용처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환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환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와 이송레일을 보인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탄환 공급장치는 탄환(50)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10), 이송부(110)에서 이송된 탄환(50)을 하측으로 전달하는 이송레일(140) 및 이송레일(140)에서 전달된 탄환(50)을 낙하시켜 검사장치용 컨베이어(80)로 배출하는 배출관(150)를 가진다.
이송부(110)는 프레임(111), 순환벨트(113) 및 복수의 마그네트(115)를 가진다.
프레임(111)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은 지면측에 놓이고 타측은 지면의 상측에 위치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며, 탄환(50)을 프레임(1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 순환벨트(113) 및 마그네트(115)에 의하여 이송되는 탄환(50)이 프레임(111)의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프레임(111)은 케이스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면측에 놓인 프레임(111)의 일단부측에는 이송하고자 하는 탄환(50)이 저장된다.
순환벨트(113)는 프레임(111)의 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탄환(50)의 이송방향인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환한다. 즉, 순환벨트(113)는 프레임(111)의 일측(=하측)에서 타측(=상측) 및 타측(=상측)에서 일측(=하측)을 향하여 순환한다.
마그네트(115)는 순환벨트(113)에 고정되어 순환벨트(113)와 함께 프레임(111)을 순환하는데, 마그네트(115)에 탄환(50)의 탄두(51)측이 부착된다. 탄환(50)은 탄두(51)와 탄피(53)를 가지는데, 탄두(51)의 내부에는 마그네트(115)에 부착되는 금속(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마그네트(115)는 순환벨트(113)의 순환방향에 수직하는 프레임(111)의 폭방향(이하, "제 1 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호 다른 위치에 고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그네트(115)는 복수개가 하나의 군(群)을 이루면서 설치되고,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는 상기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다른 위치, 즉 상호 상하로 다른 높이에 고정된다. 이때,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는 상기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점점 높아지는 형태 또는 순차적으로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마그네트(115)에 부착된 탄환(50)을 하나씩 이송레일(140)로 이송시키기 위함으로, 후술한다.
그리고,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상호 인접하는 각 마그네트(115)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소정 간격을 가진다. 이때, 마그네트군(116)의 각 마그네트(115)와 마그네트군(117)의 각 마그네트(115)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가진다. 따라서, 마그네트군(116)의 각 마그네트(115)와 마그네트군(117)의 각 마그네트(115)는 순환벨트(113)의 순환방향인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이하, "제 2 방향"이라 함)과 평행하는 가상의 동일직선상에 각각 위치된다.
프레임(111)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하게 구획부재(120)가 복수개 설치된다. 순환벨트(113)와 대향하는 구획부재(120)의 면에는 탄환(50)의 탄피(53)의 직경 보다 조금 큰 관통홈(122)이 형성되는데, 관통홈(122)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가지는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각 마그네트(115)에 부착된 탄환(50)은 관통홈(122)을 통과하는데, 관통홈(122)은 각 마그네트(115)에 복수의 탄환(50)이 부착되어 이송될 때, 각 마그네트(115)에 부착된 복수의 탄환(50)들 중 하나의 탄환(50)만을 통과시킨다. 이 또한, 각 마그네트(115)에 부착된 탄환(50)을 하나씩 이송레일(140)로 이송시키기 위함으로, 후술한다.
이송레일(140)의 일측과 연통된 프레임(111)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제 2 방향과 평행하는 복수의 리브(130)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된다. 상호 인접하는 리브(130)와 리브(13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가지는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와 대응한다. 그러므로, 각 마그네트(115)에 부착된 탄환(50)은 대응되는 리브(130)와 리브(130) 사이를 통하여 이송레일(140)로 전달된다.
이송레일(140)은 일측은 이송부(110)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이송부(110)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이송부(110)에서 이송된 탄환(50)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탄환(50)은 이송레일(140)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이송로(143)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배출관(150)으로 전달된다.
제 1 이송로(143)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데, 제 1 이송로(143)의 타측의 폭은 탄환(50)의 탄피(53)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탄환(50)은 그 구조상 탄두(51)가 탄피(53) 보다 무거우므로, 마그네트(115)에 탄환(50)이 부착되어 이송되면 탄두(51)가 상측을 향한다. 그러므로, 이송부(110)에서 이송레일(140)로 탄환(50)이 이송될 때에는 탄환(50)의 탄두(51)가 먼저 이송레일(140)에 유입되고 탄환(50)의 탄피(53)는 나중에 이송레일(140)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 1 이송로(143)의 일측으로 전달된 탄환(50)은 탄두(51)가 제 1 이송로(143)의 타측으로 먼저 유입되면서 배출관(150)으로 전달된다. 즉, 제 1 이송로(143)를 따라 이송되는 탄환(50)은 길이방향이 제 1 이송로(143)의 길이방향과 대략 평행을 유지한다.
배출관(150)의 일측은 이송레일(140)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이송레일(140)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이송레일(140)에서 전달된 탄환(50)을 검사장치용 컨베이어(80) 등과 같은 사용처로 배출한다. 이때, 탄환(50)은 배출방향(이하, "제 3 방향"이라 함)에 대하여 길이방향이 수직을 이루면서 낙하되어 배출된다.
배출관(150)은 지면을 향하는 하판(151), 하판(151)과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하판(151)의 상측에 위치된 상판(154) 및 하판(151)과 상판(154)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측판(157)을 가지며 내부에 제 2 이송로(159)가 형성된다.
탄환(50)의 길이방향이 상기 제 3 방향과 수직을 이루면서 탄환(50)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탄환(50)이 배출관(150)의 제 2 이송로(159)로 유입될 때 탄환(50)의 길이방향이 상기 제 3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이송로(159)의 폭방향과 평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송레일(140)의 이송방향은 제 2 이송로(159)의 폭방향과 대략 평행을 이루며, 이송레일(140)의 타측이 배출관(150)의 일측 측판(157)과 연통된다.
탄환(50)은 제 2 이송로(159)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제 2 이송로(159)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이송로(159)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탄환(50)은 회전 및 미끄럼운동한다. 그런데, 탄환(50)의 탄두(51)는 탄피(53) 보다 직경이 작으므로, 탄환(50)은 탄두(51)를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회전한다. 그러면, 탄환(50)이 배출관(150)을 따라 배출될 때, 탄환(50)의 길이방향과 배출관(150)의 폭방향, 즉 탄환(50)의 길이방향과 제 2 이송로(159)의 폭방향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제 2 이송로(159)의 타측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150)에는 탄환(50)의 길이방향이 제 2 이송로(159)의 폭방향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탄환(50)이 배출관(150)의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제 2 이송로(159)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판(151)과 상판(154)의 대향면에 연속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탄환(50)의 탄피(53)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산(151a,154a)(도 4a 참조)과 골(151b,154b)(도 4a 참조)로 마련된다. 이때, 하판(151)의 산(151a)은 상판(154)의 골(145b)과 대향하고, 하판(151)의 골(151b)은 상판(154)의 산(154a)과 대향한다. 그리고, 하판(151)의 산(151a)과 상판(154)의 골(145b) 사이의 거리 및 하판(151)의 골(151b)과 상판(154)의 산(154a)의 거리는 탄환(50)의 탄피(53)의 직경 보다 조금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판(151)의 산(151a)의 각도(θ), 상판(154)의 산(154a)의 각도(θ), 하판(151)의 골(151b)의 각도(θ) 및 상판(154)의 골(154b)의 각도(θ)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때, 각도 θ=130°∼132°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참조).
도 1의 미설명 부호 160은 모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탄환 공급장치의 동작을 도 3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부의 정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관의 측단면도이다.
모터(160)(도 1참조)가 구동하면, 순환벨트(113)는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인 상기 제 2 방향과 평행하게 순환한다. 그러면, 프레임(111)의 일측에 유입된 탄환(50)의 탄두(51)가 순환벨트(113)에 고정된 마그네트(115)에 부착되어 상측에 위치된 프레임(111)의 타측으로 이송된다. 탄환(50)은 탄두(51)측이 탄피(53)측 보다 무거우므로 탄환(50)은 탄두(51)측이 상측에 위치되고 탄피(53)측이 하측에 위치된 형태로 프레임(111)의 타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각 마그네트(115)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환(50)이 부착될 수도 있는데, 각 마그네트(115)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탄환(50)들은 프레임(111)에 설치된 구획부재(120)의 관통홈(122)을 통과하게 된다.
그런데, 관통홈(122)은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와 대응됨과 동시에 탄환(50)의 탄피(53)의 직경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가 각 관통홈(122)을 통과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마그네트(115)에는 하나의 탄환(50)만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탄환(50)들은 떨어지게 된다.
구획부재(120)의 관통홈(122)을 통과한 마그네트(115)에 복수의 탄환(50)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구획부재(120)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11)의 일측에 위치된 마그네트(115)가 프레임(111)의 타측에 위치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1)이 타측에 위치된 각 마그네트(115)에는 하나의 탄환(50)만 부착되게 된다.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는 프레임(111)의 폭방향인 상기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한 높이인 다른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리브(130)와 리브(130) 사이의 간격은 각 마그네트군(116,117)의 각 마그네트(115)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마그네트(115)에 부착된 탄환(50)은 대응되는 리브(130)와 리브(130) 사이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유입된다.
리브(130)가 설치된 프레임(111)의 타단부측에서 순환벨트(113)의 순환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전환되므로, 순환벨트(113)의 순환방향이 전환되는 순간 마그네트(115)에 부착된 탄환(50)이 마그네트(115)로부터 떨어져 이송레일(140)로 전달된다(도 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도 2 참조), 탄환(50)은 이송레일(140)의 제 1 이송로(141)의 일측으로 하나씩 탄두(51)가 먼저 유입된다. 그리고, 제 1 이송로(141)의 타측의 폭이 탄피(53)의 직경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환(50)은 길이방향으로 제 1 이송로(141)의 타측에 유입되어 배출관(150)으로 전달된다.
제 1 이송로(141)의 길이방향은 배출관(150)의 제 2 이송로(159)의 폭방향과 평행한다. 그러므로, 제 1 이송로(141)에서 제 2 이송로(159)로 전달되는 탄환(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50)의 길이방향이 제 2 이송로(159)의 폭방향과 평행하다. 따라서, 탄환(50)은 제 2 이송로(159)에 이송되어 도 4a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제 2 이송로(159)를 형성하는 배출관(15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므로, 제 2 이송로(159)의 일측으로 전달된 탄환(50)은 구름운동 및 미끄럼운동을 하면서 제 2 이송로(159)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이때, 탄환(50)의 탄피(53)의 직경이 탄두(51)의 직경 보다 크므로, 탄환(50)은 미끄러지면서 탄두(51)를 중심으로 부채꼴 형태로 굴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피(53)가 탄두(51) 보다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더 앞선 형태가 된다.
그런데, 제 2 이동로(159)를 형성하며, 탄피(53)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하판(151)과 상판(154)의 대향면에 형성된 산(151a,154a)과 골(151b,154b)로 인하여, 탄환(50)은 요동운동도 한다. 따라서, 탄피(53)의 외주면은 하판(151)과 상판(154)의 대향면에 형성된 산(151a,154a)과 골(151b,154b)에 접촉되어 마찰저항을 받으면서 제 2 이동로의 타측으로 이동한다.
탄피(53)는 마찰저항을 받고 탄두(51)는 마찰저항을 받지 않으므로, 탄피(53)가 마찰저항에 의하여 멈칫하는 순간 탄두(51)측은 탄피(53)측으로 미끄럼운동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50)의 길이방향은 제 2 이송로(159)의 폭방향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운동의 반복으로, 탄환(50)은 길이방향이 제 2 이송로(159)의 배출방향과 수직을 이루면서 검사장치용 컨베이어(80)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탄환 공급장치는 이송부의 일측으로 공급된 탄환을 자동으로 검사장치측으로 전달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간편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 및 타측에서 일측을 향하여 순환하는 순환벨트, 상기 순환벨트의 순환방향에 수직하는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다른 높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순환벨트에 고정되고 상기 순환벨트와 함께 상기 프레임을 순환하며 탄두와 탄피를 가지는 탄환의 탄두측을 부착시켜 상기 탄환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가지는 이송부;
    내부에 제 1 이송로가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탄환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일;
    일측은 상기 이송레일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레일의 타측보다 낮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레일에서 전달된 상기 탄환을 상기 탄환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상기 탄환의 길이방향이 수직을 이루면서 낙하되도록 하여 사용처로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마그네트에 부착된 상기 탄환들 중, 하나의 상기 탄환만을 통과시키는 관통홈이 각각의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의 구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는 복수의 리브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고,
    상호 인접하는 상기 리브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각각의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로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송로의 타측의 폭은 상기 탄환의 탄피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환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로의 일측에 전달되고, 상기 제 1 이송로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지면을 향하는 하판, 상기 하판과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된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측판을 가지면서 내부에 제 2 이송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레일에서 상기 배출관의 상기 제 2 이송로로 전달되는 상기 탄환은 상기 제 2 이송로의 폭방향과 자신의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유입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탄환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 2 이송로의 폭방향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탄환이 상기 배출관의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제 2 이송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의 대향면에 대응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환의 탄피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산과 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산은 상기 상판의 골과 대향하고, 상기 하판의 골은 상기 상판의 산과 대향하며,
    상기 하판의 산의 각도는 130°∼132°, 상기 상판의 산의 각도는 130°∼132°, 상기 하판의 골의 각도는 130°∼132°및 상기 상판의 골의 각도는 130°∼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산의 각도, 상기 상판의 산의 각도, 상기 하판의 골의 각도 및 상기 상판의 골의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공급장치.
  8. 삭제
KR1020070069146A 2007-07-10 2007-07-10 탄환 공급장치 KR10091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46A KR100918529B1 (ko) 2007-07-10 2007-07-10 탄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46A KR100918529B1 (ko) 2007-07-10 2007-07-10 탄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10A KR20090005810A (ko) 2009-01-14
KR100918529B1 true KR100918529B1 (ko) 2009-09-21

Family

ID=4048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46A KR100918529B1 (ko) 2007-07-10 2007-07-10 탄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80B1 (ko) 2015-12-03 2016-03-15 주식회사 풍산 조절된 자기력을 이용한 탄환정렬이송장치
KR101656738B1 (ko) * 2016-06-20 2016-09-22 주식회사 풍산 방향정렬판 및 그것을 이용한 낙하식 탄피정렬공급 장치
US9863747B2 (en) 2015-12-28 2018-01-09 Poongsan Corporation System for inspecting, fixing, or screening ammun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314Y1 (ko) * 1987-06-26 1989-10-25 이준각 다목적 공급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JP2005289577A (ja) * 2004-03-31 2005-10-20 Shimonishi Seisakusho:Kk マグネットコンベ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314Y1 (ko) * 1987-06-26 1989-10-25 이준각 다목적 공급용 마그네틱 컨베이어장치
JP2005289577A (ja) * 2004-03-31 2005-10-20 Shimonishi Seisakusho:Kk マグネットコンベア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780B1 (ko) 2015-12-03 2016-03-15 주식회사 풍산 조절된 자기력을 이용한 탄환정렬이송장치
US9592962B1 (en) 2015-12-03 2017-03-14 Poongsan Corporation Apparatus for arranging and transferring ammunition using controlled magnetic force
US9863747B2 (en) 2015-12-28 2018-01-09 Poongsan Corporation System for inspecting, fixing, or screening ammunition
KR101656738B1 (ko) * 2016-06-20 2016-09-22 주식회사 풍산 방향정렬판 및 그것을 이용한 낙하식 탄피정렬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10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4003B (zh) 供料系统
CN1112090C (zh) 片状零件供给装置
KR100918529B1 (ko) 탄환 공급장치
JP6852057B2 (ja) ノーズローラ組立体
KR101533976B1 (ko) 방향성 부품의 공급을 위한 피더 및 그의 공급 방법
KR101849189B1 (ko) 반송식 건조장치
CN103253499B (zh) 喷淋机输送带的进瓶机构
JP7004286B2 (ja) 移載装置
KR101614681B1 (ko) 분배 레일을 가진 방향성 부품 피더
KR20090107196A (ko) 재료 공급 장치
CN101257822B (zh) 食品的加热装置
KR102108468B1 (ko) 복합물 이송용 컨베이어
JP6645197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9166926A (ja) 物品供給装置
JP5630300B2 (ja) 振り分け装置
JP5755169B2 (ja) 搬送装置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CN205616061U (zh) 一种轴承套圈的运输装置
KR101939367B1 (ko) 자세전환장치
JP2014091587A (ja) 移載装置を備える搬送装置
US6742778B2 (en) Signature hopper loader
KR20160094701A (ko) 다수 렌즈 공급용 렌즈 피더
JP2014200854A (ja) 熱交換器コアの仮組装置
JP4896602B2 (ja) 鶏卵整列供給装置
CN214148793U (zh) 一种棒材用连续加热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