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940A -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 Google Patents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940A
KR20170037940A KR1020177000434A KR20177000434A KR20170037940A KR 20170037940 A KR20170037940 A KR 20170037940A KR 1020177000434 A KR1020177000434 A KR 1020177000434A KR 20177000434 A KR20177000434 A KR 20177000434A KR 20170037940 A KR20170037940 A KR 2017003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wear
shell
sheath
bas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아트리스 부셰
게랄드 고띠에
프레데릭 크레티논
프레데릭 기아코본
레네 보렐
벤자민 그레네트
Original Assignee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8940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379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3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9/00Shoe-shaped inserts; Inserts covering the inste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4Different layers of the sam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9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arch-supports of the bracel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제 1 외피(21)를 포함하되, 제 1 외피(21)가 세로로는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되어 있으며, 발의 수용량을 한정하는 한편, 제 2 외피(31) 또한 포함하되, 제 2 외피(31)가 세로로는 후단(34)부터 전단(3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36)와 내측 테두리(3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38)부터 상단(39)까지 전개되어 있으며, 발의 수용량을 한정하는데,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신발류(1).
적어도 구획 위치에 가역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개재 피스(71, 101 및 121)를 포함하되, 개재 피스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 (31) 사이에 배치돼 있는, 신발류(1).

Description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FOOTWEAR ITEM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신발 또는 그 등가물과 같은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평지 또는 산지에서의 걷기, 달리기, 스케이트보딩, 구기종목, 크로스컨트리스키, 스노보딩, 스노슈잉(snowshoeing) 또는 사이클링 같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신발류는 발의 고정 및/또는 충분한 조임 상태를 보장하면서도 만족할만한 편안함을 제공해야 하는 것처럼, 때로는 이율배반적인 다양한 기능들을 충족해야 한다. 또한 신발류는 발의 어떤 변형에 맞추는 능력으로서 유연성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신발류에 걷기나 관련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여유를 남겨 발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갑피(upper)와 밑창부(sole)을 결합시켜 신발 같은 신발류들을 제조하는 방식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갑피의 경우 일반적으로 측포(lateral quarter), 중포(medial quarter), 선포(vamp), 설포(tongue), 굽(heel), 뒷보강(back counter), 앞보강(toe counter), 특히 신끈 고리(lace loop)가 달린 조임 장치 및 신끈(shoe lace), 내부 라이닝(inner lining), 그외 다른 피스들까지 해서 수많은 피스들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 중 어떤 것은 여러 부분들을 포함하기도 한다. 신발의 주된 문제점은 평면 재단 및 조립된 피스들을 결합하여 3차원 형틀에 넣는다는 것이다. 갑피는 기지의 방식으로 조립밑창과 결합시켜 신발요소를 한정한다. 그리고 첫 번째 방법에 따라 갑피에 접착제를 발라 조립밑창에 부착한다. 조립밑창은 제1 조립물이라고도 하며, 상대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을 잘 견딜 수 있다. 형틀이 갑피 안으로 삽입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갑피를 제 1 조립물에 붙일 때 갑피를 잡아당기면서 접착시킨다. 흔히 이를 '전통 성형 조립'이라고 한다. 이 기법의 경우 접착제에 열을 가하는 동안 충분한 압력을 주어 신발요소를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방법 또한 잘 알려진 것으로서, 재봉을 통해 갑피와 제 1 조립물을 결합하여 신발요소를 실시하는 것이다. 흔히 이를 '스트로벨(Strobel) 조립'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제1 조립물은 재봉이 가능한 유연한 밑창으로 스트로벨 밑창이라고 한다.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 각각에 있어서, 제 1 조립물은 밑창부에 속한다. 이 밑창부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완충층과 접지를 고려한 한 개의 마모층 같은 외부 피스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접착에 의해 제 1조립물과, 성형 조립된 갑피에 고정된다. 그리고 밑창부는 신발요소 안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내부층이 배치되어 위생, 완충, 족궁 유지 등의 측면에서 보호기능을 발휘한다. 끝으로, 신발요소가 밑창부의 다른 구성 피스들과 결합하여 신발을 형성하는 것이다.
선 기술에 따른 신발의 경우 그 제조방법에 상관없이 몇 가지 단점들이 존재함을 목격하게 된다. 먼저, 신발을 만드는데 수많은 피스들, 일반적으로 40개 내지 60개의 피스들이 필요하다. 이처럼 신발을 구성하는 피스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제조공정과 소요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신발 한 개를 만드는데 일반적으로 40분 내지 1시간 30분이 걸린다. 고전적인 기법들로 제작한 신발들의 형태가 복잡한 것은 그 구성품의 수와 제조공정의 수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 다른 단점은 신발, 특히 갑피의 불연속적인 구조에서 비롯된다. 예컨대, 사이즈가 작은 피스가 보다 큰 피스와 포개진 경우 작은 피스가 위치한 부분에서 종종 갑피의 가요성(flexibility)에 심한 변화가 올 수 있다. 이는 때때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이른바 갑피의 3차원 성형을 어렵게 한다.
또 다른 단점은 발과 신발 사이의 자유공간이 존재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이는, 일정 장소에서 발이 갑피 또는 밑창부와 접촉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갑피와 제 1 조립물의 접합부 중 일정 부분들에서 특히 그러하다. 그 결과 착용시 불편함이나 외상성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발과 신발 간의 불시 운동(untimely movements)이 목격되기도 한다.
끝으로, 선 기술에 따른 신발은 발의 고정 및/또는 충분한 조임 상태를 항시 보장해주지는 못한다. 게다가 이러한 신발은 발의 모든 변형에 대해 체계적으로 맞춰주지 못한다.
이에 비해서 출원인은 신발류 제조를 위한 다른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예컨대,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르면, 신발류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외피를 포함하되, 각 외피가 세로로는 후단(rear end)부터 전단(front end)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lateral border)와 내측 테두리(medial border)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부터 상단까지 전개되고,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다.
외피들은 입체, 다시 말해 3차원으로 구성됨으로써, 발과 매우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틀 상에 위치하게 될 뿐 아니라, 이로써 외피들이 매우 균일하게 발의 형태에 맞춰지게 된다. 이는 곧 발이 외피들에 접촉 또는 적어도 매우 인접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 발과 외피들 간의 불시 운동이 거의 없어 발을 균일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한 이점은 바로 신발류가 전통적인 선 기술에 따른 신발에 비해 발에는 더욱 편안하다는 것이다.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른 배치를 통해서, 각 외피의 내부면 및/또는 외부면이 완전히 규칙적이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기본적으로 규칙적인 표면 상태를 가진다는 측면에서 각 외피가 구조적 연속성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덜하거나 전혀 없다는 것이 이점이다.
전기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외피들이 발을 고정시키고 만족할만한 편안함을 제공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게다가 각 외피는 발의 변형에도 잘 맞춰지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른 신발류는 어떠한 정적 또는 동적 상황에서도 편안함을 주게 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른 배치를 통해서 신발류 제조에 필요한 피스의 수가 줄어들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은 신발류를 전반적으로 한층 더 개선하고자 한다. 보다 정확히 말해, 본 발명은 예컨대 행동자극의 전달, 지면 또는 기구의 반응 복원, 또는 감각정보의 지각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 효율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의 피로를 줄이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의 편안함 및 고정과 같은 기본적 품질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도 부응하고자 한다. 예컨대 스포츠용으로 착용시 강력한 정보의 지원 또는 전송을 추구하는 경우라면 이는 매우 무모한 일이다. 실제로, 노력 전달시 편안함과 최적화는 우선 보기에도 이율배반적인 개념이다.
앞서 제기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1 외피를 포함하는 신발류를 제안하되, 제 1 외피가 세로로는 후단부터 전단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부터 상단까지 전개되어 있으며,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발의 수용량을 한정하는 한편, 신발류는 제 2 외피 또한 포함하되, 제 2 외피가 세로로는 후단부터 전단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부터 상단까지 전개되어 있으며,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발의 수용량을 한정하는데, 제 1 외피 및 제 2 외피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는, 적어도 구획 위치에 가역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개재 피스(intercalary piece)를 포함하되, 개재 피스가 제 1 외피 및 제 2 외피 사이에 배치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일정 지점에서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특성을 신발류에 부여할 수 있다. 이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예컨대 외피들의 상단 위치에 배치되는 개재 피스가 설포(tongue)일 수 있다. 아니면, 이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기저들의 위치에 배치되는 개재 피스가 밑창부일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에, 개재 피스는 자신과 마주보는 위치로 외피들의 부분들이 상대 이동(relative displacement)할 수 있도록 한다. 왜냐하면 개재 피스는 가역적으로 탄성 압축되는 경향이 있어, 예컨대 특정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피들의 관련 부분들이 서로 근접하여 자연적 이격 거리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거리는 개재 피스의 두께에 해당한다. 개재 피스가 압축되면서, 압축력의 일부를 개재 피스의 수직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압축력을 완화시킨다. 달리 말하면, 개재 피스가 신발류의 사용과 관련된 노력, 자극 또는 감각정보의 전달면을 확대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신발류의 편안함이 증대된다는 이점이 있다. 놀랍게도, 노력, 자극 또는 정보의 전달 상태는 변질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발류 사용에 있어 편안함과 정확함을 동시에 확보하는데 성공한 셈이다. 이로써 사용자의 기록이 향상되고 피로가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신발류의 구조 및 제조방법을 개선시켰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에 대해서는, 비제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방법을 아래와 같이 도시하고 있는 별첨 도면에 비추어, 다음에 나올 상세설명을 통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류의 상부 전방 투시도
-  도 2는 도 1의 II-II을 따라 그은 단면도
-  도 3은 조립전의 모재(preform)와 개재 피스를 나타낸 개략 투시도로서, 모재는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제 1 외피 및 제 2 외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  도 4는 모재와 개재 피스의 조립후 모습을 나타낸, 도 3의 유사도
-  도 5는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외피 조직과 관련된 개략도
-  도 6은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외피 조직과 관련된 또 다른 개략도
-  도 7은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외피 조직과 관련된 또 다른 개략도
-  도 8은 도 1에 따른 신발류에 통합될 보강재의 측면도
-  도 9는 도 1에 따른 신발류 제조와 관련된 투시도
-  도 10은 도 1에 따른 신발류 제조와 관련된 또 다른 투시도
-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한, 도 2와의 유사 단면도
-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한, 도 2와의 유사 단면도
후술하게 될 제 1 실시 형태는 예컨대 평지 또는 산지에서의 걷기 또는 달리기가 가능한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제 1 실시 형태는 앞서 언급한 것들과 같은 다른 분야들에 적용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제 1 실시 형태에 관해 기술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류(1)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고려되었다. 곧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신발류(1)의 구조가 전혀 일반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신발류(1)가 일종의 신발이라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상세 설명의 나머지 내용을 이해하는데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발(1)은 세로로는 종방향(L)을 따라 후단 또는 뒷굽(4)부터 전단 또는 앞코(5)까지, 가로로는 횡방향(W)을 따라 외측 테두리(6)와 내측 테두리(7) 사이까지 전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은 전체 상부를 제외하고 발을 감싸도록 고려된 하부(10)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신발이 동시에 하부와 상부를 모두 포함하되, 상부가 발목과 하퇴부까지도 감싸도록 고려된 신발을 대신 검토해볼 수도 있다.
기술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발(1)은 높이로는 기저(12)부터 상단(13), 다시 말해 하부(10) 또는 신발(1)의 자유단(free end)까지 전개된다. 기저는 발을 지지하는 신발 구획(subdivision)에 해당한다.
신발(1)은 보행시 발의 원활한 전개, 감각정보의 전달 및 발의 지지 또는 수용에 대한 자극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이것이 바로 신발(1) 또는 신발류가 비교적 유연한 이유이다.
앞으로 자세히 다루겠지만, 신발(1)은 세로로는 종방향(L)을 따라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횡방향(W)을 따라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되는 제 1 외피(21)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외피가 사용자의 발을 감싸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 1 외피의 조직에 있어서, 앞으로 설명하겠지만, 제 1 외피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제 1 외피의 경우 적어도 실들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제한적으로,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외피의 실들은 제 1 외피(21) 전체에 분산돼 있으며, 실들의 용융이, 그 양과 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제 1 외피의 유지력 및/또는 접착성 및/또는 내마모성에 기여하게 된다. 실제로 용융은 제 1 외피(21)가 스스로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한편으로는 제 1 외피(21)가 단체형 피스(monoblock piece)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들의 양/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신발에 그 형태를 부여하는 자립형(self-supporting) 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외피(21)는 신발(1)에 그 형태를 부여하거나 부여하는데 기여한다. 달리 말하면, 제 1 외피의 후단(24), 전단(25), 외측 테두리(26), 내측 테두리(27), 기저(28) 및 상단(29)이 신발류 또는 신발(1)의 후단(4), 전단(5), 외측 테두리(6), 내측 테두리(7), 기저(12) 및 상단(13)을 각각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제 1 외피(21)에 채택된 미니멀 구조는 단순성, 경량성, 그리고 기타 수많은 이점들을 보장한다.
비제한적으로, 여전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발(1)은 세로로는 종방향(L)을 따라 후단(34)부터 전단(35)까지, 가로로는 횡방향(W)을 따라 외측 테두리(36)와 내측 테두리(3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38)부터 상단(39)까지 전개되는 제 2 외피(31)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외피(31) 역시 제 1 외피(21)와 마찬가지로 발을 감싸고 있다. 제 2 외피(31)는 제 1 외피(21)의 외부에 배치돼 있어 발을 간접적으로 감싸게 된다. 최종적으로 신발(1)의 형태가 제 1 외피(21)와 제 2 외피(31) 모두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다.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여전히 본 발명의 의도에 따라서, 제 2 외피(31)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2 외피의 경우, 다음에서 설명하겠지만, 적어도 실들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은 제 2 외피(31) 전체에 분산돼 있으며, 실들의 용융이, 그 양과 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제 2 외피의 유지력 및/또는 접착성 및/또는 내마모성에 기여하게 된다. 거기에서 또 다시 용융은 제 2 외피(31)가 스스로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제 2 외피(31)가 단체형 피스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들의 양/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신발에 그 형태를 부여하는 자립형 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외피(31)는 신발(1)에 그 형태를 부여하거나 부여하는데 기여한다. 달리 말하면, 제 2 외피(31)의 후단(34), 전단(35), 외측 테두리(36), 내측 테두리(37), 기저(38) 및 상단(39)이 신발류 또는 신발(1)의 후단(4), 전단(5), 외측 테두리(6), 내측 테두리(7), 기저(12) 및 상단(13)을 각각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제 2 외피(31)에 채택된 미니멀 구조는 단순성, 경량성, 그리고 기타 수많은 이점들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특성들을 제대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외피(21 및 31)의 제조 방법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다음에서 언급하도록 하겠다.
먼저, 예컨대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외피(21 및 31)의 획득은 슬리브(sleeve)(41), 다시 말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로 만들어진 탄성관(flexible tube)의 제조로써 얻어진다. 슬리브(41)는 신발류(1) 실시에 필요한 모재이다. 비제한적으로,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슬리브(41)가 있으면 제 1 외피(21)과 제 2 외피(31) 모두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슬리브(41)는 세로로 제 1 단부(42)부터 제 2 단부(43)까지 전개된다. 제 1 단부(42)는 해당업계 종사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기법, 예컨대 접단 재봉(sewing after folding)과 같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 또는 그 등가물로 만들어진 앞닫이를 덧붙이는 식으로 막는다. 제 2 단부(43)의 경우 단순한 개방구이다.
슬리브(41)가 있으면 외피(21 및 31)를 일체형으로 제작 가능함을 목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는 서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조과정이 단순화되고 실시에 필요한 피스의 개수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슬리브(41) 및 외피(21 및 31)를 만드는데 사용된 실들의 결합 형태는 도 5 및 도 6에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실들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돼 있으며 예컨대 제편(knitting), 제직(weaving), 편조(braiding) 등과 같은 적합한 모든 직조기법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음을 고려할 수 있다. 제편의 경우, 1열 바늘대(single needle bed) 또는 2열 바늘대(double needle bed)가 있는 원형 직기(circular loom), 원통판 직기(cylinder-plate loom) 또는 평형 직기(flat loom)를 사용할 수 있다. 두 편직 영역(tricot zones)은 인타르시아(intarsia) 기법 또는 자수법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장식패턴은 제편시 인타르시아 기법, 자수법, 자카드 기법 등을 통해 직접 얻을 수 있다. 도 5는, 제 1 실들(44)을 제 1 방향으로 배향시키고 제 2 실들(45)은 제 2 방향으로 배향시킨 후, 제 1 실들(44) 및 제 2 실들(45)을 교차시켜 탄성 메시(mesh)를 형성하는 전통 제직법을 상징한다. 도 6은, 여기에서 3개의 실들(46, 47 및 48)을 고리형태로 배열 후 서로 관통시키는 제편법을 상징한다. 물론 다른 수많은 배치 방식이 가능하다.
슬리브(41)는 평형 직기를 이용해 제작함으로써 예컨대 섹션들, 다시 말해 슬리브 직경의 다양화, 굽 형태의 다양화, 신끈 통로용 개구(開口) 제작, 슬리브 내벽의 밀도 다양화, 또는 특히 고리들의 조임 정도 다양화가 가능해진다. 실제로, 평형 직기는 광범위한 조절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직경이든 길이든 모든 사이즈의 슬리브 제작이 가능하도록 맞추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평형 직기가 원형 직기보다 더 실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원형 직기는 슬리브 직경 수준의 협소한 범위 내에서만 작동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슬리브(41) 종류, 다시 말해 단 한 대의 평형 직기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사이즈의 신발 종류를 완비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여러 대의 원형 직기가 필요하다. 끝으로 평형 직기의 경우 원하는 모든 특징들을 가진, 원하는 사이즈의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3차원 외피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적합한 실은 무엇인지 상기할 필요가 있다.
먼저, 실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또는 모든 등가 또는 유사 소재와 같이 열가용성 합성재의 사출가공을 통해 얻어진 모노필라멘트일 수 있다. 필라멘트의 생산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거미가 만들어낸 실크 필라멘트와 비교할 만하다. 상기 필라멘트는 그 횡단면이 고르다는 점에서 단일-성분, 또는 단일-소재임을 밝히고자 한다. 하나, 다중-성분, 예컨대 이중-성분일 수도 있다. 이중-성분의 경우에는 필라멘트의 횡단면에서 제 1 소재로 구성된 코어(core)와, 코어를 둘러싸고 있으며 제 2 소재로 구성된 주변외피를 볼 수 있다. 두 소재 각각이 열가용성이거나, 둘 중 한 개만 열가용성일 수 있다. 두 소재가 열가용성이라 하더라도, 용융 온도는 서로 다르다.
다음으로, 실은 멀티-필라멘트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여러 개의 필라멘트를 결합시켜 얻는다. 그 같은 결합 형태는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모든 필라멘트(49)는 용융점이 같기 때문에 같은 성질을 가진다. 하나, 어떤 것들은 용융성이 있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못하거나 용융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성질이 다른 필라멘트들의 조합들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미 알려진 모든 기법을 통해 필라멘트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 실을 섬유망(fiber net)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섬유는 제한된 길이의 필라멘트이다. 이미 알려진 모든 기법과, 특히 제연(twisting)을 통해 섬유들을 촘촘히 밀착시켜 망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킨다. 전통적으로 특히 면과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한 마찰(rubbing)에 의해 실들의 상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경우 마찰로든, 마찰과 용융 접착의 조합으로든, 접착만으로든, 섬유들간의 상호 고정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는 열가용성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슬리브(41)의 구조를 제시한 이상, 앞으로 신발(1) 제조시 슬리브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겠다. 그러나 먼저 제 1 실시 형태의 의도에 따라서 신발류(1) 또는 신발이 보강재(51)를 포함하고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 보강재가 신발(1) 제조시 교합에 의해 외피(21 및 31)와 결합함으로써 특정 능력을 부여한다는 사실을 앞으로 잘 알게 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8에서 보듯이, 보강재(51)는 세로로는 후단(54)부터 전단(5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56)와 내측 테두리(5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58)부터 상단(59)까지 전개되는 피스이다. 보강재(51)의 경우 외피(21 및 31)와 길이 및 폭이 비슷하다. 정확히 말해, 보강재(51)는 제 1 외피(21)와 관련되어 세로로는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외피(21)와 신발류(1)가 특히 기저(12) 위치와 기저 둘레에서 당연히 강화되는 것이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보강재(51)에는 조임장치(61)가 있다. 이 장치는 예컨대 상단(59)에 위치한 신끈 고리(62)뿐만 아니라, 해당업계 종사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신끈(63) 및 고정장치(blocking device)(64)를 포함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강재(51)를 조이거나 풀 수 있고, 다음에 잘 나타나 있듯이, 그에 따라 신발(1)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신끈 고리(62)는 신끈이 통과하며 미끄러지게 만든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고정장치는 선택사양이며, 신끈의 간단한 매듭으로도 대체 가능하다.
보다 특정한 방식으로, 제 1 실시 형태에 관해서, 보강재(51)는 기저(58), 기저부터 자유단(66)까지 점점 기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외측 분기(lateral branch)(65), 신끈 고리(62)가 있는 자유단(66), 기저부터 자유단(68)까지 점점 기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적어도 한 개의 내측 분기(medial branch)(67), 신끈 고리(62)가 있는 자유단(68), 및 신끈 고리들 사이로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신끈(63)을 포함하고 있다. 비제한적으로, 보강재(51)는 4개의 외측 분기(65)와 4개의 내측 분기(67)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각 분기의 개수는 서로 달리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분기(65 및 67)에는 해당업체 종사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모든 기법을 통해 실시 가능한 신끈 고리가 있다. 끝으로, 보강재가 조임 장치와 결합돼 있어 외피(21 및 31)는 물론 결과적으로 발까지도 균일하게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1 및 도 2를 통해 이해할 수 있듯이, 특히 신발류(1)의 편안함을 최적화하기 위해, 외측 분기(65) 및 내측 분기(67)가 적어도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치돼 있으며, 신끈 고리(62)들은 제 1 외피(21)의 외부 및 제 2 외피(31)의 외부에 배치돼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10 전체를 통해 이해할 수 있듯이, 신발류는 적어도 구획 위치에 가역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개재 피스(71)를 포함하되, 개재 피스(71)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에 배치돼 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듯이, 서로 마주보는 외피(21 및 31)의 두 구획은, 개재 피스가 국소적으로 이들을 분리시키더라도, 상대적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고 개재 피스는 신발류 사용에 관계된 노력에 비례하여 압축되었다가 노력 소멸시 초기 두께를 회복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개재 피스는 자신에게 가해진 압축 에너지의 일부는 흡수하고, 또 일부는 자신과 수직인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킨다. 그리하여 외피에서의 특정 압력을 감소시켜 편안함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해서, 개재 피스(71)는 길다란 형태로 돼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보호를 위해 조임/끈조임시스템 아래로 전개되어 설포를 정의한다. 설포(71)는,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상단(29 및 39)에 위치하며, 세로로는 후단(74)부터 전단(7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76)와 내측 테두리(77) 사이, 그리고 두께로는 하부(78)와 상부(79) 사이로 전개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외피 상단에서의 편안함이 증대된다. 사용자에게는 발의 상부, 다시 말해 발목 및/또는 발등굴절부를 더 잘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설포의 후단(74)은 폭이 더 넓어서, 다소 T자 형태를 띠게 된다. 또한 설포는 균일한 직사각형일 수도 있는데, 핵심은 설포가 끈조임시스템 아래로 전개되고, 기능적 측면과 경량성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서는 미적 측면까지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설포는 마찬가지로, 전술한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오직 미적 기능만을 가질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설포가 (신끈 고리를 제외한) 끈조임부 아래로만 전개되도록 고려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여전히 발목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를 통해 이해할 수 있듯이, 설포(71)의 후단(74)이 예컨대, 제 1 외피(21) 및/또는 제 2 외피(31)에 결속돼 있고, 설포의 나머지 주요부는 제 1 외피(21) 및/또는 제 2 외피(31)로부터 분리돼 있다. 그 결과 설포 후단(74)이 적어도 외피에 대해 고정돼 있으며, 나머지, 즉 중앙부 및 전단(75)은 외피에 대해 미끄러지듯 이행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신발류의 세로굽힘(longitudinal flexions)을 용이하게 하여 발의 전개를 돕는다. 부가적으로, 후단과 외피와의 결속은, 접착과 같은 모든 적절한 수단, 또는 모든 등가 또는 보조 기법에 의해 가능함을 명시하고자 한다. 결속은 다른 어떠한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실시예로서, 설포 후단(74)은 두 외피(21 및 31)에 결속돼 있어, 미적으로 뛰어난 마감 처리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검토해보건대, 적어도 한 개의 실끈 고리(62)는 설포(71) 위에 자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서도 비제한적으로, 모든 신끈 고리들은 설포 위에 자리한다. 그때 편안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실제로, 이를 위해 고려된 장치(61)에 의한 조임 행위시, 신끈 고리(62) 전체가 설포를 매개로 발에 걸쳐지게 된다. 조임시스템은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 예컨대 끈구멍(eyelets)을 가지고도 실시 가능하다.
설포(71)는, 최상의 조건에서 그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재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층은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e acetate : EVA)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또는 동일 기능을 완수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소재일 수도 있다. 설포는 여러 부분, 예컨대 적절한 방식으로 상호 배치된 여러 층을 포함하고, 코르크 또는 그 등가물과 같은 천연소재들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방식에 따라서 여전히 비제한적으로, 적어도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중 하나에는 설포(71)의 외측 테두리(76) 및/또는 내측 테두리(77) 위치에 주름(81, 82, 83 및 84)이 있다. 여기에서 보다 정확히 말하면, 제 1 외피(21)에는 외측 주름(81)과 함께 내측 주름(82)이 있고, 제 2 외피(31)에도 역시 외측 주름(83) 및 내측 주름(84)이 있다. 이 주름들은 외피(21 및 31)의 형상을 가변화함으로써 착화시 신발류의 용적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굴곡들 때문에 신발을 신고 벗기가 쉬워질뿐더러, 신발에서 발을 단번에 뺄 수 있다.
이제, 도 9 및 도 10에 따라 신발(1) 제조시 슬리브(41)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실제로, 신발(1)의 구성품들은, 선 기술의 경우처럼 복잡한 기계를 사용하거나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손수 조립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통해서 슬리브(41)가, 사용자의 발 형상을 본뜬 이른바 형틀 피스(86) 상에 씌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발에 양말을 신기듯이 슬리브를 형틀(86) 상에 적용한 것이다. 슬리브(41)는 그 직물 조직에서 기인하는 탄성 때문에 형틀(86)에 순응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강재(51)를 제 1 외피(21)가 되는 슬리브(41)의 구획에 끼워맞춘다. 그런 다음 제 2 외피(31)가 되는 슬리브(41)의 구획이 보강재(51) 위로 접힌 상태에서, 보강재와, 제 1 외피에 할당된 구획을 덮어씌운다. 이는 발을 감싸는 신발(1)의 부분조립체(sub-assembly), 즉 최종적으로 제 1 외피(21), 보강재(51), 제 2 외피(22) 및 설포(71)를 포함하는 부분조립체를 구성하기에 충분하다. 제 2 외피(31)에 보강재(51)의 외측 분기(65) 및 내측 분기(67) 자유단(66 및 68)의 통로용 개구들(87)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 때문에 모든 적절한 기법에 의해 부분조립체가 온도상승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외피들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필요한 수준까지 용융시켜 신발(1)에 그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형틀(86)은 가열후 부분조립체에서 빼낼 수 있다. 그러면 신발(1)이 거의 완성되는 것이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서, 거기에다 외부 밑창부(88)를 추가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신발류(1) 또는 신발은 외부 밑창부(88)을 포함한다. 외부 밑창부는 지면을 지지하게 돼 있어 마찰로 인한 마모를 잘 견디고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그리하여 예로서 마모층(89) 및 완충층(90)을 포함하고 있다. 발의 족궁을 수용하는 신발 영역의 횡단면도인 도 2에서, 기저(12)는 앞서 언급한 족궁과 현저히 같은 비 평면적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에 순응한다. 그래서 족궁 또는 다른 발바닥 형상들을 복제하기 위해 신발(1)에 내부 밑창부를 추가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신발(1)은 선 기술에 따른 신발에 비해 형태가 단순하다. 또한 신발(1)이 가벼워짐에 따라 기계적 관성도 감소하게 된다. 그로 인한 이점은 바로 운동 기록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예컨대 장거리주자에게 매우 적합하다.
도 2는 또한 보강재(51) 거의 전체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전히 도 2와 함께 도 1을 보자면,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가 가로섹션을 따라 연속돼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이 외피들은 주름이 있긴 하지만 각각의 상단(29 및 39)과 신발의 상단(13)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전개된다. 그리하여 발을 총체적이고 영구적으로 피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뿐 아니라 도 3 및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의 경계는 주름(93)으로, 신발 개방구(94)를 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발 개방구(94)의 테두리는 두 외피(21 및 31)를 간단히 포개 접음으로써 한정된다. 이는 곧, 선 기술과 마찬가지로, 이 테두리에 솔기 또는 관련 피스가 없기 때문에 신발(1)이 개방구(94) 위치에서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만한 요인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에 관해서는 다음에서 도 11 및 도 12를 통해 간단히 소개하겠다. 편의성 면에서 특히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이들이 입증되었다. 게다가, 제 1 실시 형태에서 보여진 동일 또는 유사 요소들의 경우 같은 참조 방식을 이용하도록 한다.
도 11에 따르면, 제 2 실시 형태의 경우 신발류 또는 신발(1)에 외측 테두리(6) 및 내측 태두리(7), 또는 기저(12) 및 상단(13)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외피(21), 제 2 외피(31), 보강재(51), 신끈 고리(62) 또는 설포(71)가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특징적인 것은 바로 신발류(1)가 두 외피(21 및 31) 사이에 배치된 또 다른 개재 피스(101)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개재 피스(101)는 밑창부(102)의 일부분으로서, 밑창부(102) 부분(101)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기저(28 및 38)에 위치하며, 세로로는 후단(104)부터 전단(10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106)와 내측 테두리(107) 사이, 그리고 두께로는 하부(108)와 상부(109) 사이로 전개되어 있다. 부분(101)은 자신과 마주보는 위치로 외피들의 부분들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외피(21 및 31) 기저(28 및 38)의 전체 또는 구획들이 해당된다. 왜냐하면 개재 피스는 가역적으로 탄성 압축되는 경향이 있어, 예컨대 특정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피들의 관련 부분들이 서로 근접했다가도 곧이어 자연적 이격 거리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 거리는 개재 피스의 두께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발바닥 위치에서의 충격 또는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한 이점은 예컨대 사용자의 관절 보호에 한층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제한적으로 개재 피스, 즉 밑창부(102) 부분(101)이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기저(28 및 38) 전체와 마주보는 형태로 전개된다. 이로써, 신발류의 기저(12) 전체에서의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설포(71)와 관련지어 기술한 바대로 추가된 개재 피스(101)는 예컨대 제 1 외피(21) 및/또는 제 2 외피(31)에 결속돼 있다. 외피와의 결속은 접착과 같은 모든 적절한 수단, 또는 모든 등가 또는 보조 기법에 의해 가능하다. 이로써, 자극 또는 감각정보를 보다 정확히 전달하는 방향으로 외피(21 및 31) 기저(28 및 38)의 상호 협력을 최적화한다. 대안으로서, 기저와의 결속 없이 개재 피스를 배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개재 피스(101)는, 최상의 조건에서 그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재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층은 에틸렌초산비닐(EVA)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또는 동일 기능을 완수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소재일 수도 있다. 개재 피스 또는 부분(101)은 여러 부분, 예컨대 적절한 방식으로 상호 배치된 여러 층을 포함하고, 코르크 또는 그 등가물과 같은 천연소재들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신발류(1)가 마모층(111) 및, 마모층(111)과 외피(21 및 31) 기저(28 및 38)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한 개의 중간층(112)을 포함하되, 마모층(111) 및 중간층(112)은 외부 밑창부를 구성하고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이로써, 직접 마모층에서 일정 수준의 완충이 가능하다.
이제 도 1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경우, 신발류 또는 신발(1)에 여전히 외측 테두리(6) 및 내측 테두리(7) 또는 기저(12) 및 상단(13)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외피(21), 제 2 외피(31), 보강재(51), 신끈 고리(62) 또는 설포(71)가 있다. 제 2 외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류는 두 외피(21 및 31) 사이에 또 다른 개재 피스(121)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개재 피스(121)는 밑창부(122)의 일부분으로서, 밑창부(122) 부분(121)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기저(28 및 38)에 위치하며, 세로로는 후단(124)부터 전단(1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126)와 내측 테두리(127) 사이, 그리고 두께로는 하부(128)와 상부(129) 사이로 전개되어 있다. 부분(121)은 자신과 마주보는 위치로 외피들의 부분들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외피(21 및 31) 기저(28 및 38)의 전체 또는 구획들이 해당된다. 왜냐하면 개재 피스는 가역적으로 탄성 압축되는 경향이 있어, 예컨대 특정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피들의 관련 부분들이 서로 근접했다가도 곧이어 자연적 이격 거리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 거리는 개재 피스의 두께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발바닥 위치에서의 충격 또는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한 이점은 예컨대 사용자의 관절 보호에 한층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제한적으로 개재 피스, 즉 밑창부(122) 부분(121)이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기저(28 및 38) 전체와 마주보는 형태로 전개된다. 이로써, 신발류의 기저(12) 전체에서의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개재 피스(121)는 예컨대 제 1 외피(21) 및/또는 제 2 외피(31)에 결속돼 있다. 외피와의 결속은 접착과 같은 모든 적절한 수단, 또는 모든 등가 또는 보조 기법에 의해 가능하다. 이로써, 자극 또는 감각정보를 보다 정확히 전달하는 방향으로 외피(21 및 31) 기저(28 및 38)의 상호 협력을 최적화한다. 대안으로서, 기저와의 결속 없이 개재 피스를 배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개재 피스(121)는, 최상의 조건에서 그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재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층은 에틸렌초산비닐(EVA)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또는 동일 기능을 완수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소재일 수도 있다. 개재 피스 또는 부분(121)은 여러 부분, 예컨대 적절한 방식으로 상호 배치된 여러 층을 포함하고, 코르크 또는 그 등가물과 같은 천연소재들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에서 특징적인 것은 바로 신발류(1)가 외피 기저(38)에 직접 결속된 마모층(131)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 제 2 외피(31) 기저(38)가 해당되는데, 제 2 외피는 신발류의 외부를 한정한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행동자극 및 소리정보의 직접적인 전달이 용이해진다.
달리 말하면, 밑창부의 완충부(121)가 갑피에 완전히 통합됨으로써, 오직 마모창만 겉으로 드러나는, 특정한 미학적 형상을 신발에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매우 단순한 구조물과 매우 흥미로운 제조비용으로, 실시비용이 훨씬 더 많이 드는 이중 지속형 구조물의 미적 효과를 얻은 셈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의 두 실시 방식, 즉 내부 밑창부로서 두 외피(21 및 31) 사이 또는 외피 및 보강재(51) 사이에 배치된 개재 피스(101) 및, 외부 밑창부로서 도 12에 도시된대로 두 외피(21 및 31) 사이에 배치된 개재 피스(121)의 조합도 가능하다 있다.
두 경우에 있어, 밑창부의 완충형 개재 피스(101 및 121)를 피복한다는 점 때문에 소재의 선택 범위가 훨씬 더 확대될 수 있는데, 그 이유은 외피(21 또는 31) 또는 외피들(21 및 31)에 의해 내마모력과 같은 응력들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완충형 개재 피스들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미적 요건에 구애받지 않아도 되므로, 이 개재 피스들은 성형(molding)보다는 재단(cutout)을 통해 실시할 수 있어서, 다시금 제조비용의 절감과 소재 선택범위의 확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앞으로 나올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특히, 신발류의 다른 부분과, 예컨대 발가락 보호용 앞보강을 형성하기 위해 전면부쪽에, 굽에 보조받침을 제공하기 위해 후면부 쪽에, 혹은 발목 보호를 위해 테두리 위치에, 다시금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개재 피스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신발류에 다시금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외피를 추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Claims (17)

  1. 제 1 외피(21)를 포함하되, 제 1 외피(21)가 세로로는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되어 있으며, 발의 수용량을 한정하는 한편, 제 2 외피(31) 또한 포함하되, 제 2 외피(31)가 세로로는 후단(34)부터 전단(3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36)와 내측 테두리(3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38)부터 상단(39)까지 전개되어 있으며, 발의 수용량을 한정하는데,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신발류(1)로서,
    적어도 구획 위치에 가역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개재 피스(intercalary piece)(71, 101 및 121)를 포함하되, 개재 피스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 (31) 사이에 배치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재(51)를 포함하되, 보강재(51)가 기저(58), 기저(58)부터 자유단(66)까지 점점 기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적어도 한 개의 외측 분기(lateral branch)(65), 신끈 고리(62)가 있는 자유단(66), 기저(58)부터 자유단(68)까지 점점 기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적어도 한 개의 내측 분기(medial branch)(67), 신끈 고리(62)가 있는 자유단(68), 및 신끈 고리들 사이로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신끈(63)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외측 분기(65) 및 내측 분기(67)가 적어도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치돼 있으며, 신끈 고리(62)들은 제 1 외피(21)의 외부 및 제 2 외피(31)의 외부에 배치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재 피스(71)는 설포(71)로서, 설포(71)는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상단(29 및 39)에 위치하며, 세로로는 후단(74)부터 전단(7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76)와 내측 테두리(77) 사이, 그리고 두께로는 하부(78)와 상부(79) 사이로 전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설포(71)의 후단(74)이 제 1 외피(21) 및/또는 제 2 외피(31)에 결속돼 있고, 설포의 나머지 주요부는 제 1 외피(21) 및/또는 제 2 외피(31)로부터 분리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6. 청구항 4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포(71)는 끈조임부 아래로 전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포(7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재층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중 하나에는 설포(71)의 외측 테두리(76) 및/또는 내측 테두리(77) 위치에 주름(81, 82, 83 및 84)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9.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재 피스(101 및 121)는 밑창부(102 및 122)의 일부분으로서, 밑창부(102 및 122) 부분(101 및 121)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기저(28 및 38)에 위치하며, 세로로는 후단부터 전단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106)와 내측 테두리(107) 사이, 그리고 두께로는 하부(108)와 상부(109) 사이로 전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개재 피스(101 및 121)는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기저(28 및 38) 전체와 마주보는 형태로 전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개재 피스(101 및 121)는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의 기저(28 및 38)와 마주보는 형태로 전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재 피스(101 및 121)는 제 1 외피(21) 및/또는 제 2 외피(31)에 결속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재 피스(101 및 12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재층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모층(111) 및, 마모층(111)과 외피(21 및 31) 기저(28 및 38)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한 개의 중간층(112)을 포함하되, 마모층(111) 및 중간층(112)은 외부 밑창부를 구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31) 기저(38)에 직접 결속된 마모층(131)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외피(21)의 경우 적어도 실들(44, 45, 46, 47 및 48)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외피(31)의 경우 적어도 실들(44, 45, 46, 47 및 48)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KR1020177000434A 2014-07-22 2015-07-08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KR20170037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01667A FR3024022B1 (fr) 2014-07-22 2014-07-22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amelioree
FR1401667 2014-07-22
PCT/FR2015/000139 WO2016012665A1 (fr) 2014-07-22 2015-07-08 Article chaussant à structure amélioré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940A true KR20170037940A (ko) 2017-04-05

Family

ID=5189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434A KR20170037940A (ko) 2014-07-22 2015-07-08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70181501A1 (ko)
EP (1) EP3171727B1 (ko)
JP (1) JP2017521187A (ko)
KR (1) KR20170037940A (ko)
CN (1) CN106535688B (ko)
AR (1) AR102325A1 (ko)
AU (1) AU2015293740A1 (ko)
BR (1) BR112017000580A2 (ko)
CA (1) CA2954833A1 (ko)
FR (1) FR3024022B1 (ko)
RU (1) RU2017105463A (ko)
TW (1) TW201615115A (ko)
WO (1) WO20160126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619A (ko) * 2018-11-13 2020-05-21 (주)케이인벤티오 자동 착화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3683B1 (fr) * 2014-07-18 2017-06-16 Salomon Sas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amelioree
TWI727198B (zh) * 2015-05-29 2021-05-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鞋類平坦圖案製品及鞋類製品的製造方法
MX2019000830A (es) * 2016-07-21 2019-07-04 Nike Innovate Cv Articulo de calzado con multiples capas, sistemas de retencion para un articulo de calzado, y metodos de fabricacion.
US11445779B2 (en) 2016-07-21 2022-09-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layers, retention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842228B2 (en) * 2016-11-22 2020-11-24 Wholeknit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 embryo tailored from tubular fabric and associated shoe embryo
FR3065153B1 (fr) * 2017-04-12 2019-06-28 Salomon Sas Chaussure a tige amelioree
EP3943652B1 (en) 2017-05-05 2023-09-27 NIKE Innovate C.V.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irst and second knitted portions
CN115413847A (zh) * 2017-05-31 2022-12-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针织部件
IT201800003730A1 (it) * 2018-03-19 2019-09-19 Macpi S P A Pressing Div Metodo per la formatura tridimensionale di una tomaia di una calzatura
US10834998B2 (en) * 2018-04-13 2020-11-17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including a holding cage
FR3082103B1 (fr) * 2018-06-08 2020-08-28 Decathlon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haussure, et chaussure susceptible d'etre obtenue par ledit procede
DE102018213347B4 (de) * 2018-08-08 2022-06-09 Adidas Ag Rundgewebter Sportartikel
IT201800010320A1 (it) * 2018-11-14 2020-05-14 Geox Spa Articolo di calzatura con fodera rimovibile
KR102644764B1 (ko) * 2019-02-22 2024-03-0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WO2020214379A1 (en) * 2019-04-17 2020-10-22 Nike Innovate C.V. Footwear upper with branched forefoot straps
DE102019209275B4 (de) * 2019-06-26 2023-02-02 Adidas Ag Schuh und Schuhoberteil mit optimierten formbeständigen Eigenschaften
FR3098688B1 (fr) * 2019-07-17 2022-02-25 Decathlon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rticle chaussant
IT202000001459A1 (it) 2020-01-24 2021-07-24 Trere Innovation S R L Struttura e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di una scarpa con tomaia in maglia.
FR3107437B1 (fr) * 2020-02-25 2022-04-29 Decathlon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de semelle comprenant un élément de semelle textile intégralement ou en partie thermofondu, et article chaussant comprenant une telle structure de semelle.
IT202100015113A1 (it) 2021-06-09 2022-12-09 Trere Innovation S R L Struttura e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di una scarpa con tomaia in maglia.
FR3130520A1 (fr) * 2021-12-17 2023-06-23 Salomon S.A.S. Article chaussant
USD1007110S1 (en) 2022-03-23 2023-12-12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8611S1 (en) 2022-03-23 2023-12-26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7826S1 (en) 2022-03-23 2023-12-19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7825S1 (en) 2022-03-23 2023-12-19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162B2 (ja) * 1989-04-18 1994-08-03 勝治 赤木
WO1998017138A1 (en) * 1996-10-21 1998-04-30 O'neill, Inc. Performance water sport boot
JPH1175907A (ja) * 1997-09-12 1999-03-23 Okamoto Ind Inc 運動靴
US5970629A (en) 1998-05-08 1999-10-26 Montrail, Inc. Footwear and composite liner for use in such footwear
US6029376A (en) * 1998-12-23 2000-02-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R2791528B1 (fr) * 1999-03-30 2001-05-18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a ossature souple
US6895696B1 (en) * 2002-02-01 2005-05-24 Aric Sanders Protective shoelace storage compartment
FR2853818A1 (fr) * 2003-04-18 2004-10-22 Salomon Sa Chaussure
EP1475006A1 (en) * 2003-05-06 2004-11-10 Cheng-Ming Chen Sock combined with insole
FR2855946B1 (fr) * 2003-06-12 2006-02-10 Salomon Sa Chaussure
US6990755B2 (en) * 2003-10-09 2006-01-3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7290355B2 (en) * 2004-03-29 2007-11-06 Bauer Nike Hockey Inc. Skate boot comprising a tongue
US20070062067A1 (en) * 2005-09-16 2007-03-22 Columbia Insurance Company Boot with interchangeable booties
US9149086B2 (en) * 2009-10-07 2015-10-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knitted elements
US8578632B2 (en) 2010-07-19 2013-11-12 Nike, Inc. Decoupled foot stabilizer system
US20130312284A1 (en) 2011-05-27 2013-11-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Welded Upper
US8869435B2 (en) * 2011-08-02 2014-10-28 Nike, Inc. Golf shoe with natural motion structures
US20130260104A1 (en) * 2012-04-03 2013-10-03 Nike, Inc. Yarns, Threads, And Textiles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TWM455386U (zh) 2012-09-21 2013-06-21 Chong-Guang Lin 鞋體改良結構
JP5947913B2 (ja) 2012-10-24 2016-07-06 株式会社アシックス 踵部にスポンジ部材を備えたアッパー
US20140130373A1 (en) 2012-11-15 2014-05-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498023B2 (en) 2012-11-20 2016-11-22 Nike, Inc.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sock and tongue portions
FR2999882B1 (fr) * 2012-12-21 2015-06-12 Salomon Sas Chaussure realisee a partir d'une chaussette et d'une structure de renfort
FR2999881B1 (fr) * 2012-12-21 2015-06-12 Salomon Sas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simplifiee
US9241537B2 (en) 2013-01-15 2016-01-26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that intersect
US10136695B2 (en) * 2013-02-26 2018-11-27 Nike, Inc. Footwear upper having selectively located padding
CN106455754B (zh) 2014-05-05 2020-09-1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选择性定位的衬垫的鞋类鞋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619A (ko) * 2018-11-13 2020-05-21 (주)케이인벤티오 자동 착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24022B1 (fr) 2017-04-28
AR102325A1 (es) 2017-02-22
FR3024022A1 (fr) 2016-01-29
CA2954833A1 (fr) 2016-01-28
EP3171727A1 (fr) 2017-05-31
JP2017521187A (ja) 2017-08-03
AU2015293740A1 (en) 2017-02-09
EP3171727B1 (fr) 2021-01-20
CN106535688B (zh) 2019-11-01
US20170181501A1 (en) 2017-06-29
TW201615115A (zh) 2016-05-01
BR112017000580A2 (pt) 2017-11-07
WO2016012665A1 (fr) 2016-01-28
CN106535688A (zh) 2017-03-22
RU2017105463A (ru)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7940A (ko)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KR20170033817A (ko)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JP7045923B2 (ja) 張力ストランドを有する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JP6408999B2 (ja) 簡略化された構造を有する履物製品
TWI667968B (zh) 編織組件
TWI652998B (zh) 含內部層特徵之具有編織組件之鞋類物件
JP6288743B2 (ja) 一体化ニット輪郭部分を備えた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JP5749774B2 (ja) シューズ
CN104797153B (zh) 包含具有护套部分和鞋舌部分的编织部件的鞋类鞋面
CN105411079B (zh) 具有带聚合物层的针织鞋面的鞋类物品
JP6399524B2 (ja) 一体化ニット輪郭部分を備えた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CN205913005U (zh) 鞋类物品和鞋面
KR20160023705A (ko) 중공체 제조방법
JP2016135251A (ja) 靴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TWI598053B (zh) 合併有具有單絲區域之一編織組件之鞋類物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