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817A -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 Google Patents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817A
KR20170033817A KR1020167037093A KR20167037093A KR20170033817A KR 20170033817 A KR20170033817 A KR 20170033817A KR 1020167037093 A KR1020167037093 A KR 1020167037093A KR 20167037093 A KR20167037093 A KR 20167037093A KR 20170033817 A KR20170033817 A KR 20170033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wear
envelope
functional
shell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아트리스 부셰
게랄드 고띠에
Original Assignee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살로몬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3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9/00Shoe-shaped inserts; Inserts covering the inste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4Different layers of the sam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rigid, e.g. resis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2Uppers made of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087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6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Abstract

제 1 외피(21)를 포함하되, 제 1 외피(21)가 세로로는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되는, 신발류(1).
제 1 외피(21)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돼 있는 기능피스(71, 111 및 121)와, 외피(21)에 대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의 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신발류(1).

Description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ITEM OF FOOTWEAR OF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신발 또는 그 등가물과 신발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평지 또는 산지에서의 걷기, 달리기, 스케이트보딩, 구기종목, 크로스컨트리스키, 스노보딩 또는 스노슈잉(snowshoeing) 같은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신발류는 발의 고정 및/또는 충분한 조임 상태를 보장하면서도 만족할만한 편안함을 제공해야 하는 것처럼, 때로는 이율배반적인 다양한 기능들을 충족해야 한다. 또한 신발류는 발의 어떤 변형에 맞추는 능력으로서 유연성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신발류에 걷기나 관련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여유를 남겨 발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갑피(upper)와 밑창부(sole)을 결합시켜 신발 같은 신발류들을 제조하는 방식이 이미 잘 알려져 있고 널리 퍼져 있다. 갑피의 경우 일반적으로 측포(lateral quarter), 중포(medial quarter), 선포(vamp), 설포(tongue), 굽(heel), 뒷보강(back counter), 앞보강(toe counter), 특히 신끈 고리(lace loop)가 달린 조임 장치 및 신끈(shoe lace), 내부 라이닝(inner lining), 그외 다른 피스들까지 해서 수많은 피스들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 중 어떤 것은 여러 부분들을 포함하기도 한다. 신발의 주된 문제점은 평면 재단 및 조립된 피스들을 결합하여 3차원 형틀에 넣는다는 것이다. 갑피는 기지의 방식으로 조립밑창과 결합시켜 신발요소를 한정한다. 그리고 첫 번째 방법에 따라 갑피에 접착제를 발라 조립밑창에 부착한다. 조립밑창은 제1 조립물이라고도 하며, 상대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을 잘 견딜 수 있다. 형틀이 갑피 안으로 삽입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갑피를 제 1 조립물에 붙일 때 갑피를 잡아당기면서 접착시킨다. 흔히 이를 '전통 성형 조립'이라고 한다. 이 기법의 경우 접착제에 열을 가하는 동안 충분한 압력을 주어 신발요소를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방법 또한 잘 알려진 것으로서, 재봉을 통해 갑피와 제 1 조립물을 결합하여 신발요소를 실시하는 것이다. 흔히 이를 '스트로벨(Strobel) 조립'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제1 조립물은 재봉이 가능한 유연한 밑창으로 스트로벨 밑창이라고 한다.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 각각에 있어서, 제 1 조립물은 밑창부에 속한다. 이 밑창부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완충층과 접지를 고려한 한 개의 마모층 같은 외부 피스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접착에 의해 제 1조립물과, 성형 조립된 갑피에 고정된다. 그리고 밑창부는 신발요소 안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내부층이 배치되어 위생, 완충, 족궁 유지 등의 측면에서 보호기능을 발휘한다. 끝으로, 신발요소가 밑창부의 다른 구성 피스들과 결합하여 신발을 형성하는 것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들로 실시된 선 기술에 따른 신발의 경우 그 제조방법에 상관없이 몇 가지 단점들이 존재함을 목격하게 된다. 먼저, 신발을 만드는데 수많은 피스들, 일반적으로 40개 내지 60개의 피스들이 필요하다. 이처럼 신발을 구성하는 피스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제조공정과 소요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신발 한 개를 만드는데 일반적으로 40분 내지 1시간 30분이 걸린다. 고전적인 기법들로 제작한 신발들의 형태가 복잡한 것은 그 구성품의 수와 제조공정의 수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 다른 단점은 신발, 특히 갑피의 불연속적인 구조에서 비롯된다. 예컨대, 사이즈가 작은 피스가 보다 큰 피스와 포개진 경우 작은 피스가 위치한 부분에서 종종 갑피의 가요성(flexibility)에 심한 변화가 올 수 있다. 이는 때때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이른바 갑피의 3차원 성형을 어렵게 한다.
또 다른 단점은 발과 신발 사이의 자유공간이 존재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이는, 일정 장소에서 발이 갑피 또는 밑창부와 접촉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갑피와 제 1 조립물의 접합부 중 일정 부분들에서 특히 그러하다. 그 결과 착용시 불편함이나 외상성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발과 신발 간의 불시 운동(untimely movements)이 목격되기도 한다.
끝으로, 전통적인 선 기술에 따른 신발은 발의 고정 및/또는 충분한 조임 상태를 항시 보장해주지는 못한다. 게다가 이러한 신발은 발의 모든 변형에 대해 체계적으로 맞춰주지 못한다.
이에 비해서 출원인은 신발류 제조를 위한 다른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예컨대,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르면, 신발류는 제 1 외피를 포함하되, 제 1 외피가 세로로는 후단(rear end)부터 전단(front end)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lateral border)와 내측 테두리(medial border)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부터 상단까지 전개되고,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외피는 입체, 다시 말해 3차원으로 구성됨으로써, 제 1 외피가 발과 매우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틀 상에 위치하게 될 뿐 아니라, 이로써 제 1 외피가 매우 균일하게 발의 형태에 맞춰지게 된다.
이는 곧 발이 제 1 외피에 접촉 또는 적어도 매우 인접하게 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 발과 제 1 외피 간의 불시 운동이 거의 없어 발을 균일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한 이점은 바로 신발류가 전통적인 선 기술에 따른 신발에 비해 발에는 더욱 편안하다는 것이다.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른 배치를 통해서, 제 1 외피의 내부면 및/또는 외부면이 완전히 규칙적이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기본적으로 규칙적인 표면 상태를 가진다는 측면에서 제 1 외피가 구조적 연속성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덜하거나 전혀 없다는 것이 이점이다.
전기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제 1 외피가 발을 고정시키고 만족할만한 편안함을 제공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게다가 제 1 외피는 발의 변형에도 잘 맞춰지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른 신발류는 어떠한 정적 또는 동적 상황에서도 편안함을 주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프랑스 특허 FR 2 999 881호에 따른 배치를 통해서 신발류 제조에 필요한 피스의 수가 줄어들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은 신발류를 전반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보다 정확히 말해, 본 발명은 예컨대 행동자극의 전달, 지면 또는 기구의 반응 복원 또는 감각정보의 지각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 효율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의 피로를 줄이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의 편안함 및 고정과 같은 기본적 품질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정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다. 예컨대 스포츠용으로 착용시 강력한 정보의 지원 또는 전송을 추구하는 경우라면 이는 매우 무모한 일이다. 실제로, 노력 전달시 편안함과 최적화는 우선 보기에도 이율배반적인 개념이다.
앞서 제기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1 외피를 포함하는 신발류를 제안하되, 제 1 외피가 세로로는 후단부터 전단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부터 상단까지 전개되어 있다. 이어서 어떤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외피가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류는, 제 1 외피와 마주보는 위치에 기능 피스를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제 1 외피에 대한 기능 피스의 위치를 정하는 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일정 지점에서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특성을 외피에 부여할 수 있다. 추후 상세설명에 이어 부연하겠지만, 예컨대 기능 피스가 중족골 영역에 위치하는 관형 섹션(tubular section)일 수 있다. 이 섹션은 횡변형에 대한 외피의 저항을 국소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실제로, 중족골 영역에서의 지지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에서 그 결과, 신발류가 감각정보, 행동자극 또는 다소 강한 지면반응의 전달을 필요로 하는 활동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 달리기를 하는 경우가 바로 그러하다. 하지만, 그것은 일례일 뿐이며 나중에 살펴보겠지만, 본 발명은 추가 피스에 가능한 다른 기능들을 미리 고려하였다.
그로 인한 이점들 중에는 사용 효율의 최적화와 사용자의 피로 감소가 있다. 기능 피스를 추가함으로써 발의 편안함 및 고정이라는 외피의 기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컨대 편안함과 전달 정확성이라는 우선 보기에도 이율배반적인 두 가지 특징들을 양립시키는데 성공한 셈이다.
이어서 본 발명이 보다 용이한 신발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임을 추가적으로 알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신발류의 구조 및 제조방법을 개선시켰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에 대해서는, 비제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방법을 아래와 같이 도시하고 있는 별첨 도면에 비추어, 다음에 나올 상세설명을 통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류의 전방 투시도
-  도 2는 도 1의 II-II을 따라 그은 단면도
-  도 3은 조립전의 모재(preform)와 기능 피스(functional piece)를 나타낸 개략 투시도로서, 모재는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제 1 외피 및 제 2 외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  도 4는 모재와 기능 피스의 조립후 모습을 나타낸, 도 3의 유사도
-  도 5는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외피 조직과 관련된 개략도
-  도 6은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외피 조직과 관련된 또 다른 개략도
-  도 7은 도 1에 따른 신발류의 외피 조직과 관련된 또 다른 개략도
-  도 8은 도 1에 따른 신발류에 통합될 보강재의 측면도
-  도 9는 도 1에 따른 신발류 제조와 관련된 투시도
-  도 10은 도 1에 따른 신발류 제조와 관련된 또 다른 투시도
-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 1 외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모재의 개략 투시도
-  도 12는 도 11의 모재로써 얻어지는 신발류의 상부 전방 투시도
-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 1 외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모재의 개략 전방 투시도로서, 모재는 기능 피스들을 수용하고 있다.
-  도 14는 기능 피스들이 아직 모재와 결합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 13의 유사도
후술하게 될 제 1 실시 형태는 예컨대 평지 또는 산지에서의 걷기 또는 달리기가 가능한 신발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제 1 실시 형태는 앞서 언급한 것들과 같은 다른 분야들에 적용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제 1 실시 형태에 관해 기술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류(1)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고려되었다. 곧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신발류(1)의 구조가 전혀 일반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신발류(1)가 일종의 신발이라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상세 설명의 나머지 내용을 이해하는데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발(1)은 세로로는 종방향(L)을 따라 후단 또는 뒷굽(4)부터 전단 또는 앞코(5)까지, 가로로는 횡방향(W)을 따라 외측 테두리(6)와 내측 테두리(7) 사이까지 전개된다. 때문에 제 1 외피가 사용자의 발을 감싸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은 전체 상부를 제외하고 발을 감싸도록 고려된 하부(10)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신발이 동시에 하부와 상부를 모두 포함하되, 상부가 발목과 하퇴부까지도 감싸도록 고려된 신발을 대신 검토해볼 수도 있다.
기술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신발(1)은 높이로는 기저12)부터 상단(13), 다시 말해 하부(10) 또는 신발(1)의 자유단(free end)까지 전개된다. 기저는 발을 지지하는 신발 구획(subdivision)에 해당한다.
신발(1)은 보행시 발의 원활한 전개, 감각정보의 전달 및 발의 지지 또는 수용에 대한 자극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이것이 바로 신발(1) 또는 신발류가 비교적 유연한 이유이다.
앞으로 자세히 다루겠지만, 신발(1)은 세로로는 종방향(L)을 따라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횡방향(W)을 따라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되는 제 1 외피(21)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외피가 사용자의 발을 감싸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 1 외피의 조직에 있어서, 앞으로 설명하겠지만, 제 1 외피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적어도 실들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제한적으로,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외피의 실들은 제 1 외피(21) 전체에 분산돼 있으며, 제조시 실들의 용융이, 그 양과 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제 1 외피의 유지력 및/또는 접착성 및/또는 내마모성에 기여하게 된다. 실제로 실들의 용융은 제 1 외피(21)가 스스로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이는 곧, 제 1 외피가 다른 피스들과 결합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어떤 외력만 가해지지 않는다면 유지력을 잃고 주저앉는 일은 없다는 뜻이다. 한편으로는 제 1 외피(21)가 단체형 피스(monoblock piece)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들의 양/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신발에 그 형태를 부여하는 자립형(self-supporting) 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외피(21)는 신발(1)에 그 형태를 부여한다. 달리 말하면, 제 1 외피의 후단(24), 전단(25), 외측 테두리(26), 내측 테두리(27), 기저(28) 및 상단(29)이 신발류 또는 신발(1)의 후단(4), 전단(5), 외측 테두리(6), 내측 테두리(7), 기저(12) 및 상단(13)을 각각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제 1 외피(21)에 채택된 미니멀 구조는 단순성, 경량성, 그리고 기타 수많은 이점들을 보장한다.
비제한적으로, 여전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신발(1)은 세로로는 종방향(L)을 따라 후단(34)부터 전단(35)까지, 가로로는 횡방향(W)을 따라 외측 테두리(36)와 내측 테두리(3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38)부터 상단(39)까지 전개되는 제 2 외피(31)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외피(31) 역시 제 1 외피(21)와 마찬가지로 발을 감싸고 있다. 제 2 외피(31)는 제 1 외피(21) 바깥에 배치돼 있어 발을 간접적으로 감싸게 된다. 최종적으로 신발(1)의 형태가 제 1 외피(21)와 제 2 외피(31) 모두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다. 이어서 두 외피들을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대해 살펴보겠다.
여전히 본 발명의 의도에 따라서, 제 2 외피(31)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을 포함하되, 적어도 실들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포함하고,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은 제 2 외피(31) 전체에 분산돼 있으며, 제 2 외피의 형태는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의 용융에 의해 엉겨 고정된다. 거기에서 또다시 용융은 제 2 외피(31)가 스스로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곧, 제 2 외피가 다른 피스들과 결합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어떤 외력만 가해지지 않는다면 유지력을 잃고 주저앉는 일은 없다는 뜻이다. 한편으로는 제 2 외피(31)가 단체형 피스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들의 양/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신발에 그 형태를 부여하는 자립형 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제 2 외피(31)가 단체형 피스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실들의 양/농도에 따라서, 다소 상당한 수준까지 신발에 그 형태를 부여하는, 자립형(self-supporting) 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외피(31)는 신발(1)에 그 형태를 부여한다. 달리 말하면, 제 2 외피(31)의 후단(34), 전단(35), 외측 테두리(36), 내측 테두리(37), 기저(38) 및 상단(39)이 신발류 또는 신발(1)의 후단(4), 전단(5), 외측 테두리(6), 내측 테두리(7), 기저(12) 및 상단(13)을 각각 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제 2 외피(31)에 채택된 미니멀 구조는 단순성, 경량성, 그리고 기타 수많은 이점들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특성들을 제대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외피(21 및 31)의 제조 방법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다음에서 언급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외피(21 및 31)의 획득은 슬리브(sleeve)(41), 다시 말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로 만들어진 탄성관(flexible tube)의 제조로써 얻어진다. 이어서 전체 도면을 통해 살펴보겠지만, 대신 외피(21 및 31)는 양말(sock)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41)는 신발류(1) 실시에 필요한 모재이다. 비제한적으로,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슬리브(41)가 있으면 제 1 외피(21)과 제 2 외피(31) 모두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슬리브(41)는 세로로 제 1 단부(42)부터 제 2 단부(43)까지 전개된다. 여기에서 제 1 단부(42)는 해당업계 종사자에게 이미 잘 알려진 기법, 예컨대 접단 재봉(sewing after folding)과 같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 또는 그 등가물로 만들어진 앞닫이를 덧붙이는 식으로 막는다. 제 2 단부(43)의 경우 단순한 개방구이다. 슬리브(41)가 있으면 외피(21 및 31)를 일체형으로 제작 가능함을 목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는 서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조과정이 단순화되고 실시에 필요한 피스의 개수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슬리브(41) 및 외피(21 및 31)를 만드는데 사용된 실들의 결합 형태는 도 5 및 도 6에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실들은 제편(knitting), 제직(weaving), 편조(braiding) 또는 다른 방법과 같은 적합한 모든 직조기법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음을 고려할 수 있다. 제편의 경우, 1열 바늘대(single needle bed) 또는 2열 바늘대(double needle bed)가 있는 원형 직기(circular loom), 원통판 직기(cylinder-plate loom) 또는 평형 직기(flat loom)를 사용할 수 있다. 두 편직 영역(tricot zones)은 인타르시아(intarsia) 기법 또는 자수법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장식패턴은 제편시 인타르시아 기법, 자수법, 자카드 기법 등을 통해 직접 얻을 수 있다. 도 5는, 제 1 실들(44)을 제 1 방향으로 배향시키고 제 2 실들(45)은 제 2 방향으로 배향시킨 후, 제 1 실들(44) 및 제 2 실들(45)을 교차시켜 탄성 메시(mesh)를 형성하는 전통 제직법을 상징한다. 도 6은, 여기에서 3개의 실들(46, 47 및 48)을 고리형태로 배열 후 서로 관통시키는 제편법을 상징한다. 물론 다른 수많은 배치 방식이 가능하다.
슬리브(41)는 평형 직기(flat loom)를 이용해 제작함으로써 예컨대 섹션들, 다시 말해 슬리브 직경의 다양화, 굽 형태의 다양화, 신끈 통로용 개구(開口) 제작, 슬리브 내벽의 밀도 다양화, 또는 특히 고리들의 조임 정도 다양화가 가능해진다. 실제로, 평형 직기는 광범위한 조절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직경이든 길이든 모든 사이즈의 슬리브 제작이 가능하도록 맞추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평형 직기가 원형 직기(circular loom)보다 더 실용적이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원형 직기는 슬리브 직경 수준의 협소한 범위 내에서만 작동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슬리브(41) 종류, 다시 말해 단 한 대의 평형 직기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사이즈의 신발 종류를 완비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여러 대의 원형 직기가 필요하다. 끝으로 평형 직기의 경우 원하는 모든 특징들을 가진, 원하는 사이즈의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3차원 외피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에서 적합한 실은 무엇인지 상기할 필요가 있다.
먼저, 실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또는 모든 등가 또는 유사 소재와 같이 열가용성 합성재의 사출가공을 통해 얻어진 모노필라멘트일 수 있다. 필라멘트의 생산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거미가 만들어낸 실크 필라멘트와 비교할 만하다. 상기 필라멘트는 그 횡단면이 고르다는 점에서 단일-성분, 또는 단일-소재임을 밝히고자 한다. 하나, 다중-성분, 예컨대 이중-성분일 수도 있다. 이중-성분의 경우에는 필라멘트의 횡단면에서 제 1 소재로 구성된 코어(core)와, 코어를 둘러싸고 있으며 제 2 소재로 구성된 주변외피를 볼 수 있다. 두 소재 각각이 열가용성이거나, 둘 중 한 개만 열가용성일 수 있다. 두 소재가 열가용성이라 하더라도, 용융 온도는 서로 다르다.
다음으로, 실은 멀티-필라멘트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여러 개의 필라멘트를 결합시켜 얻는다. 그 같은 결합 형태는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모든 필라멘트(49)는 용융점이 같기 때문에 같은 성질을 가진다. 하나, 어떤 것들은 용융성이 있고 다른 것들은 그렇지 못하거나 용융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성질이 다른 필라멘트들의 조합들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미 알려진 모든 기법을 통해 필라멘트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 실을 섬유망(fiber net)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섬유는 제한된 길이의 필라멘트이다. 이미 알려진 모든 기법과, 특히 제연(twisting)을 통해 섬유들을 촘촘히 밀착시켜 망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킨다. 전통적으로 특히 면과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한 마찰(rubbing)에 의해 실들의 상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경우 마찰로든, 마찰과 용융 접착의 조합으로든, 접착만으로든 섬유들간의 상호 고정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는 열가용성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슬리브(41)의 구조를 제시한 이상, 신발(1) 제조시 슬리브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겠다. 그러나 먼저 제 1 실시 형태의 의도에 따라서 신발류(1) 또는 신발이 보강재(51)를 포함하고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 보강재가 신발(1) 제조시 교합에 의해 외피(21 및 31)와 결합함으로써 특정 능력을 부여한다는 사실을 앞으로 잘 알게 될 것이다.
도 8에서 보듯이, 보강재(51)는 세로로는 후단(54)부터 전단(5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56)와 내측 테두리(5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58)부터 상단(59)까지 전개되는 피스이다. 보강재(51)의 경우 외피(21 및 31)와 길이 및 폭이 비슷하다. 정확히 말해, 보강재(51)는 제 1 외피(21)과 관련되어 세로로는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외피(21)와 신발류(1)가 특히 기저(12) 위치와 기저 둘레에서 당연히 강화되는 것이다.
보강재(51)에는 필수적으로 조임장치(61)가 있다. 이 장치는 예컨대 상단(59)에 위치한 신끈 고리(62)뿐만 아니라, 해당업계 종사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신끈(63) 및 고정장치(blocking device)(64)를 포함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강재(51)를 조이거나 풀 수 있고, 다음에 잘 나타나 있듯이, 그에 따라 신발(1)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외에 다른 조임 수단들도 고려해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류(1)가 제 1 외피(21)와 마주보는 위치에 기능 피스(71)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외피에 대해 기능 피스(71)의 위치를 정하는 위치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 피스(71)가 신발류(1)에 국소적인 특정한 기계적 속성을 부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다음에 기술하겠지만, 위치설정수단의 경우 기능 피스(71)를 제 1 외피(21) 상에,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발류(1) 상에 정확히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신발류(1)는 3차원 물체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능 피스를 입체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기능 피스(71)는 3차원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그와 맞춰지게 될 표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이는 기능 피스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한다.
신발류(1)에는 요부(concave portions) 및/또는 철부(convex portions)가 있기 때문에 기능 피스(71) 역시 대부분의 경우 그 기계적 구조(메시(mesh))의 변형 및/또는 엘라스테인 필라멘트 및/또는 탄성 필라멘트의 사용으로 부여된 순응성(conformability)에 의해 요부 및/또는 철부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 특정한 경우 기능 피스(71)는 관형(管形) 섹션, 다시 말해 슬리브 부분 또는 양말 부분을 가지고 실시한다. 이러면, 외피(21 및 31)와 마주보고 있는 원하는 지점에 기능 피스를 배치할 수 있다. 양말은 뒷축을 갖지 않거나, 한 개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개 또는 두 개의 단부가 막혀 있을 수도 있음을 명시하고자 한다. 기능 피스가 양말 또는 단목 양말의 형태를 가질 때, 양말 뒤축과 전단(front end)에 의해 구성된 멈추개(stoppers) 때문에, 기능 피스를 외피(21 및 31) 상에 위치시킬 때 정확히 세로 위치에 둘 수 있다.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기능 피스(71)는 제 1 외피(21) 상에 배치된다. 신발류(1)의 역할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신발류(1)에 후단(4)에서부터 전단(5) 쪽으로 연속된 4개의 영역이 있음을 명시하고자 한다. 이들 영역은 바로 뒷굽 영역(72), 족궁 영역(73), 중족골 영역(74) 및, 발가락을 수용하는 전단 영역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 피스는 중족골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기능 피스는 신발류(1)의 횡단면으로 배향된 상태에서 중족골 영역을 완전히 우회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발류는 횡변형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횡복원력(transverse stability)의 증가로 중족골 위치에서의 지면 지지력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여전히 비제한적으로, 기능 피스(71)는 제 1 외피(21)와 제 2 외피(31) 사이에 수용된다. 그럼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신발류(1)에 통합될 수 있다.
외피(21 및 31)용으로서, 기능 피스(71)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44 내지 48)을 포함하되, 적어도 실들의 일부는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49)를 포함하고 있다. 일단 용융이 이루어지면, 적어도 기능 피스(71)의 한 구획을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은 기능 피스(71) 전체에 분산돼 있으며, 기능 피스(71)의 형태가 적어도 한 개의 열 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의 용융에 의해 엉겨 고정 또는 미 고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여전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외피(21)에 대한 기능 피스(71)의 위치설정수단은, 슬리브 부분의 관형 외에도 가역적으로 신장 가능한 실들을 포함하되, 실들은 기능 피스 구조와 결합되어 있다. 이는 기능 피스를 구성하는 실들의 일부가 탄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 실들은 예컨대 엘라스테인(elastane)으로 실시 가능하다. 실제로 기능 피스(71), 다시 말해 슬리브 부분은, 앞으로 이해하게 되겠지만, 그 형태가 관형인데다 신장 가능한 실들의 존재로 인해, 제 1 외피(21) 상에 씌워져 있으며 제 1 외피(21) 둘레의 원하는 지점에 자리잡을 수 있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 따라, 신발(1) 제조시 슬리브(41)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실제로, 신발(1)의 구성품들은, 선 기술의 경우처럼 복잡한 기계 사용하거나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손수 조립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통해서 슬리브(41)가, 사용자의 발 형상을 본뜬 이른바 형틀 피스(76) 상에 씌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발에 양말을 신기듯이 슬리브를 형틀(76) 상에 적용한 것이다. 슬리브(41)는 그 직물 조직에서 기인하는 탄성 때문에 형틀(76)에 순응하게 된다. 슬리브(41)의 순응을 돕는 탄성은 슬리브를 구성하는 메시의 가역적인 탄성 변형에서 기인한다. 이어서 기능 피스(71), 다시 말해 슬리브 부분을, 이 경우에는 중족골 영역(74)에서 원하는 지점에 제 1 외피(21) 둘레로 형틀(76) 상에 씌운다. 이때 탄성이 형틀과 제 1 외피에 구속력을 가함으로써 슬리브 부분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보강재(51)를 제 1 외피(21)가 되는 슬리브(41)의 구획에 끼워맞춘다. 그런 다음 제 2 외피(31)가 되는 슬리브(41)의 구획이 보강재(51) 위로 접힌 상태에서, 보강재와 제 1 외피 및 기능 피스(71)에 할당된 구획을 덮어씌운다. 이는 발을 감싸는 신발(1)의 부분조립체(sub-assembly), 즉 최종적으로 제 1 외피(21), 기능 피스(71), 보강재(51) 및 제 2 외피(31)를 포함하는 부분조립체를 구성하기에 충분하다. 제 2 외피(31)에 신끈(63) 통로용 개구(77)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 때문에 모든 적절한 기법에 의해 부분조립체가 온도상승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외피들 및 기능 피스(71)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필요한 수준까지 용융시켜 신발(1)에 특히 그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일종의 토션 박스(torsion box)처럼 기능 피스(71)가 조립체의 변형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는데, 조립체에 더 강한 복원력을 주기 위해서는 중족골 영역이 특히 중요하다. 형틀(76)은 가열후 부분조립체에서 빼낼 수 있다. 그러면 신발(1)이 거의 완성되는 것이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라서, 거기에다 외부 밑창부(78)를 추가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신발류(1) 또는 신발은 외부 밑창부(78)을 포함한다. 외부 밑창부는 지면을 지지하게 돼 있어 마찰로 인한 마모를 잘 견디고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그리하여 예로서 마모층(79) 및 완충층(80)을 포함하고 있다. 발의 족궁을 수용하는 신발 영역의 횡단면도인 도 2에서, 기저(12)는 앞서 언급한 족궁과 현저히 같은 비 평면적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에 순응한다. 그래서 족궁 또는 다른 발바닥 형상들을 복제하기 위해 신발(1)에 내부 밑창부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신발(1)은 선 기술에 따른 신발에 비해 형태가 단순하다. 또한 신발(1)이 가벼워짐에 따라 기계적 관성도 감소하게 된다. 그로 인한 이점은 운동 기록의 향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예컨대 장거리주자에게 매우 적합하다.
도 2는 또한 보강재(51)가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에 위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당연히 조임 장치(61) 역시 본래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에 위치한다. 그런 상태를 유지해야 예컨대 숲속 레이스시 나뭇가지에 신끈(63)이 걸리는 일을 피할 수 있다.
여전히 도 2와 함께 도 1을 보자면,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가 가로섹션을 따라 연속돼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이 외피들은 각각의 상단(29 및 39) 및 신발의 상단(13)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전개된다.
도 1과 도 3 또는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 사이의 경계는 접주름(fold)(83)으로 신발 개방구 (84)를 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발 개방구(84) 테두리는 두 외피(21 및 31)를 포개 접음으로써 한정된다. 이는 곧, 선 기술과 마찬가지로, 이 테두리에 솔기 또는 관련 피스가 없기 때문에 신발(1)이 사용자를 포함하여 개방구(84) 위치에서는 불편함을 줄만한 요인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서, 도 3 또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외피(21)에는 서로 다른 기계적 속성을 가진 3개의 영역(91, 92 및 93)이 있다. 이 속성들은 실에 들어있는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백분율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서는 비제한적으로,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농도가 예컨대 60% 내지 100%로 높은 제 1 영역(91)을 고려한다. 제 1 영역(91)은 기저(28) 및 기저 테두리를 한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농도가 예컨대 30% 내지 70%로 중간 수준인 중간 영역 또는 제 2 영역(92)을 고려한다. 제 2 영역은 주로 외측 테두리(26) 및 내측 테두리(27)의 위치에서 전개된다. 마지막으로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농도가 예컨대 5% 내지 40%로 낮은 제 3 영역(93)을 고려한다. 제 3 영역은 주로 상단(29) 위치에서 전개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 1 외피(21)가 기저(28) 쪽으로는 상대적으로 거의 휘지 않는 반면 상단(29) 쪽으로 점점 더 많이 휘게 할 수 있다. 가요성(flexibility) 또는 탄성(elasticity)은 편직 메시의 성질 및/또는 메시를 구성하는 소재의 탄성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탄성 때문에 제 1 외피(21)가 발, 발목 또는 하퇴부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장력이 유지되는 탄성 실이 발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같은 의도에서, 제 2 외피(31)에도 서로 다른 기계적 속성을 가진 3개의 영역(101, 102 및 103)이 있다. 이 속성들 또한 실에 들어있는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백분율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서는 비제한적으로,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농도가 예컨대 60% 내지 100%로 높은 제 1 영역(101)을 고려한다. 제 1 영역(101)은 기저(38) 및 기저 테두리를 한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농도가 예컨대 30% 내지 70%로 중간 수준인 중간 영역 또는 제 2 영역(102)을 고려한다. 제 2 영역은 주로 외측 테두리(36) 및 내측 테두리(37)의 수준(위치)으로 전개된다. 마지막으로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농도가 예컨대 5% 내지 40%로 낮은 제 3 영역(103)을 고려한다. 제 3 영역은 주로 상단(39) 위치에서 전개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 2 외피(31)가 기저(38) 쪽으로는 상대적으로 거의 휘지 않는 반면 상단(39) 쪽으로 점점 더 많이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때 상단 쪽으로 휘는 가요성 때문에 제 2 외피(31)가 발, 발목 또는 하퇴부 쪽으로 밀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그때 외피는 장력이 유지되는 탄성 실을 포함하고 있어 발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각 외피(21 및 31)의 경우, 필라멘트의 용융 정도는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비율에 따른 물리적 또는 기계적 속성을 결정한다. 예컨대,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백분율이 높을수록, 내마모성이 증가한다. 반면,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백분율이 낮은 경우에는 탄성이 그대로 유지된다. 달리 말하면,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백분율이 높을수록 내마모성은 증가하지만 탄성은 당연히 감소하는 것이다. 반면, 열가용성 필라멘트의 백분율이 낮은 경우에는, 내마모성은 감소하지만 탄성은 당연히 대폭 증가한다.
끝으로, 외피(21 및 31) 및 기능 피스(71)가 조립되면, 신발(1)은 기저(12)부터 상단(13)까지 가로방향으로 가요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한편으로는 발을 지지하는 능력과 다른 한편으로는 신발을 신고 벗기 용이하도록 상단(13) 위치에서 가역적으로 나팔처럼 벌어지는 능력을 신발에 부여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위에 제시된 외피들의 배치가 제한적이지 않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특히, 각 외피 및 기능 피스(71)에 탄성, 방수성, 내마모성, 항진균성 같은 원하는 속성이나 원하는 미적 형상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여전히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외피(21)의 두께는 5mm 이하로, 3mm 이하일 때 좋은 결과를 얻은 것으로 안다. 따라서, 제 1 외피(21)의 무게도 가벼워지게 된다.
같은 의도에서, 제 2 외피(31)의 두께도 5mm 이하로, 3mm 이하일 때 좋은 결과를 얻은 것으로 안다. 따라서, 제 2 외피(31)의 무게도 가벼워지게 된다.
한편 기능 피스(71)의 두께는 3mm 이하이다. 그래서 무게가 가벼워지게 된다.
각 피스(21, 31 및 71)의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의 용융 후에 두께를 측정한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1)은 필적할만한 기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선 기술에 따른 신발보다 더 가볍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들에 관해서는 다음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통해 간단히 소개하겠다. 편의성 면에서 특히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이들이 입증되었다. 게다가, 제 1 실시 형태에서 보여진 동일 또는 유사 요소들의 경우 같은 참조 방식을 이용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따르면, 제 2 실시 형태의 경우 신발류 또는 신발(1)에 후단(4) 및 전단(5), 외측 테두리(6) 및 내측 태두리(7), 또는 기저(12) 및 상단(13)이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특징적인 것은 바로 모재 또는 슬리브(41)의 구조이다. 이것은 예컨대 막혀 있는 제 1 단부(42)와 뚫려 있는 제 2 단부(43) 사이로 전개된다. 그러나, 슬리브(41)는 모든 다른 외피 또는 외피 구획을 제외하고 오직 제 1 외피(21)만을 얻을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져 있다. 그 결과, 제 1 외피(21)의 개방 단부(43)만이 신발 개방구(84)를 한정한다. 그래서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1)은 모든 추가 외피를 제외하고, 제 1 외피(21), 기능 피스(71) 및 보강재(51), 그 조임 장치(61)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보강재(51)가 제 1 외피(21)를 감싸고 있다. 이는 곧, 신발(1)이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에 비해 훨씬 더 가볍다는 뜻이다. 아울러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신발의 경우 필수적이지는 아니지만 외부 밑창부(78)를 고려해넣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에 따르면, 제 3 실시 형태에는 오직 제 1 외피(21)만을 얻을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져 있는 슬리브(41)가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 특징적인 것은 바로 여러 개의 기능 피스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 후단(24)쪽을 향해 있는 기능 피스(111)가 뒷보강이다. 또한 3차원 요소에 해당한다. 반면 전단 쪽을 향해 기능 피스(121)는 앞보강이다. 그 역시 3차원 요소에 해당한다. 이 요소들(111 및 121)은 예컨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거나 훨씬 더 큰 강성(rigidity)을 부여한다. 그리고 3차원 형태로 되어 있어 배치 및 위치설정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앞으로 나올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특히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기능 피스(71, 111 및 121)를 고려할 수도 있다.
각 기능 피스를 원하는 기술적 효과에 따라서 외피 내부, 외피 외부, 또는 두 내피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외피(21 및 31)에 대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의 위치설정수단이 접착제를 포함한다.
기타 경우로는, 외피에 대한 기능 피스의 위치설정수단이 걸이 요소들(hooking elements)을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호환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진 갑피가 있는 신발이라면 어떠한 유형이든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형틀에 갑피를 올린 후 일정한 특징을 가진 기능 피스를 갑피 상에 배치한 다음, 접착을 시행하고 마지막으로 외부 밑창부를 덧붙인다.
본 발명은, 제 1 외피를 포함하되, 제 1 외피가 세로로는 후단부터 전단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와 내측 테두리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부터 상단까지 전개되는 신발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에는 기능 피스를 외부 밑창부와 조립하기 전 형틀에 장착된 외피에 덧붙이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능 피스에는, 예컨대 용이한 위치설정을 허용하는 양말의 관형 섹션/부분 또는 다른 3차원 형틀을 사용할 뿐 아니라 예컨대 양말의 관형 섹션/부분을 만들때 신장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위치를 정하는 위치설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Claims (21)

  1. 제 1 외피(21)를 포함하되, 제 1 외피(21)가 세로로는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되며,
    제 1 외피(21)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돼 있는 기능피스(71, 111 및 121)와, 외피(21)에 대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의 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외피(21)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44, 45, 46, 47 및 48)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기능 피스(71, 111 및 121)가 3차원 구조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44, 45, 46, 47 및 48)을 포함하되, 적어도 실들(44, 45, 46, 47 및 48)의 일부는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49)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이 기능 피스(71, 111 및 121) 전체에 분산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피스(71)는 관형(管形) 섹션을 가지고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피스(71)가 중족골 영역(74)에 위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피스(111)가 뒷보강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피스(121)가 앞보강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21 및 31)에 대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의 위치설정수단이 가역적으로 신장 가능한 실들을 포함하되, 실들은 기능 피스 구조와 결합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1.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에 대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의 위치설정수단이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21 및 31)에 대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의 위치설정수단이 걸이 요소들(hooking elements)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외피(21)를 구성하는 적어도 실들(44, 45, 46, 47 및 48)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49)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외피(21)의 실들이 제 1 외피(21) 전체에 분산돼 있으며, 실들의 용융이 제 1 외피의 유지력 및/또는 접착성 및/또는 내마모성에 기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로는 후단(34)부터 전단(3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36)와 내측 테두리(3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38)부터 상단(39)까지 전개되는 제 2 외피(31)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 2 외피(31)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실들 실들(44, 45, 46, 47 및 48)을 포함하되, 적어도 실들의 일부가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은 제 2 외피 전체에 분산돼 있으며, 제 2 외피의 형태는 적어도 한 개의 열가용성 필라멘트(49)를 포함하고 있는 실들의 용융에 의해 엉겨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제 1 외피(21) 및 제 2 외피(31)는 서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장치(61)가 있는 보강재(51)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밑창부(78)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1).
  20. 제 1 외피(21)를 포함하되, 제 1 외피(21)가 세로로는 후단(24)부터 전단(25)까지, 가로로는 외측 테두리(26)와 내측 테두리(27) 사이, 그리고 높이로는 기저(28)부터 상단(29)까지 전개되는 신발류(1)의 제조 방법으로, 기능 피스(71, 111 및 121)를 외부 밑창부와 조립하기 전 형틀에 장착된 외피에 덧붙이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기능 피스(71, 111 및 121)에는 위치설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167037093A 2014-07-18 2015-07-07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KR20170033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01631 2014-07-18
FR1401631A FR3023683B1 (fr) 2014-07-18 2014-07-18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amelioree
PCT/FR2015/000136 WO2016009115A1 (fr) 2014-07-18 2015-07-07 Article chaussant à structure amélioré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817A true KR20170033817A (ko) 2017-03-27

Family

ID=5189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7093A KR20170033817A (ko) 2014-07-18 2015-07-07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70208900A1 (ko)
EP (1) EP3169178A1 (ko)
JP (1) JP2017521178A (ko)
KR (1) KR20170033817A (ko)
CN (1) CN106535690B (ko)
AR (1) AR101232A1 (ko)
AU (1) AU2015288990A1 (ko)
BR (1) BR112017000245A2 (ko)
CA (1) CA2954250A1 (ko)
FR (1) FR3023683B1 (ko)
RU (1) RU2017105009A (ko)
TW (1) TW201615114A (ko)
WO (1) WO2016009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0095B2 (en) 2015-06-17 2021-05-11 Nike, Inc. Knitted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3199048A1 (de) * 2016-01-28 2017-08-02 Elten GmbH Diabetiker-sicherheitsschuh und verfahren zu dessen anpassung
EP4026936A1 (en) * 2016-04-01 2022-07-13 NIKE Innovate C.V. Shoe upper hav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 strap
US11445779B2 (en) * 2016-07-21 2022-09-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layers, retention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0316441B2 (en) * 2016-12-16 2019-06-11 The North Face Apparel Corp. Footwear article including circular knit structures
US11408104B2 (en) 2016-12-16 2022-08-09 The North Face Apparel Corp. Footwear article including circular knit structures
TWI667965B (zh) * 2017-03-10 2019-08-11 薩摩亞商紘織國際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lly formed shoe blank
CN108691083B (zh) * 2017-04-06 2020-09-08 纮织国际有限公司 一体成型鞋胚的制造方法
IT201700048479A1 (it) * 2017-05-05 2018-11-05 Aksolut S R L Tomaia in maglia per calzature e relativa calzatura
US11357288B2 (en) * 2017-07-31 2022-06-14 Nike, Inc.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O2019046387A2 (en) 2017-08-31 2019-03-07 Nike Innovate C.V. FOOTWEAR WITH A SOFT ROD AND STRUCTURE HAVING SUBSTANTIALLY EQUAL FRICTION COEFFICIENTS
US20190116932A1 (en) * 2017-10-20 2019-04-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outer element and an inner element
US20190166952A1 (en) * 2017-12-05 2019-06-06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with dispensed saddle
US20190166950A1 (en) * 2017-12-06 2019-06-06 Agnes Yen Sinclair Elastic Woven Shoe
US10834998B2 (en) * 2018-04-13 2020-11-17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including a holding cage
EP3823484B1 (en) * 2018-07-20 2022-03-23 Nike Innovate C.V.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inner component and a shroud
US11486069B2 (en) 2018-09-26 2022-11-01 Santoni S.P.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ubular intarsia knitted item by means of a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
CN111820532B (zh) * 2019-04-17 2023-04-0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分支前足带的鞋面
FR3098690B1 (fr) * 2019-07-17 2021-07-30 Decathlon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rticle chaussant
FR3098689B1 (fr) * 2019-07-17 2021-07-30 Decathlon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rticle chaussant
TWI748744B (zh) * 2019-11-13 2021-12-01 美商北面服飾公司 包括圓形針織結構之鞋類物品
DE102019220470B4 (de) * 2019-12-20 2023-05-17 Adidas Ag Gestricktes Schuhoberteil mit integralen Ösen
IT202000001459A1 (it) * 2020-01-24 2021-07-24 Trere Innovation S R L Struttura e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di una scarpa con tomaia in maglia.
IT202000003760A1 (it) * 2020-02-24 2021-08-24 Scarpa Calzaturificio Spa Metodo di produzione di una tomaia per calzature e calzatura provvista di una tomaia realizzata secondo tale metodo
IT202100020774A1 (it) * 2021-08-02 2023-02-02 Santoni & C Spa Procedimento per realizzare un manufatto tessile tubolare con una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 maglieria, e tomaia per calzatura realizzata mediante tale procedimento
WO2023139522A1 (en) * 2022-01-19 2023-07-27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rame
USD1008611S1 (en) 2022-03-23 2023-12-26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7826S1 (en) 2022-03-23 2023-12-19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7825S1 (en) 2022-03-23 2023-12-19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USD1007110S1 (en) 2022-03-23 2023-12-12 Mountain Origins Design LLC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1528B1 (fr) * 1999-03-30 2001-05-18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a ossature souple
US6427362B2 (en) * 2000-03-13 2002-08-06 Norcross Safety Products, L.L.C. Boot with strapping to restrain movement of foot
KR20050119528A (ko) * 2004-06-16 2005-12-21 김봉락 이중양말 및 그의 제조방법
FR2891117B1 (fr) * 2005-09-28 2007-12-28 Salomon Sa Chaussure qui ameliore le maintien d'un talon
US20080005927A1 (en) * 2006-07-06 2008-01-10 Kun-Wang Hung Multi-function shoe having flexible sock body
US8578632B2 (en) * 2010-07-19 2013-11-12 Nike, Inc. Decoupled foot stabilizer system
FR2999881B1 (fr) * 2012-12-21 2015-06-12 Salomon Sas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simplifiee
FR2999882B1 (fr) * 2012-12-21 2015-06-12 Salomon Sas Chaussure realisee a partir d'une chaussette et d'une structure de renfort
CN203341080U (zh) * 2013-05-24 2013-12-18 福建省晋江市帝星鞋塑有限公司 一种除臭吸汗的徒步鞋
US20150257453A1 (en) * 2014-03-14 2015-09-17 Teresa Olsen Device and method for cracked dry skin repair
FR3024022B1 (fr) * 2014-07-22 2017-04-28 Salomon Sas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amelioree
US9713349B2 (en) * 2015-04-14 2017-07-25 Eldad Kenzo Campbell Two so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8900A1 (en) 2017-07-27
AR101232A1 (es) 2016-11-30
RU2017105009A (ru) 2018-08-20
CN106535690B (zh) 2019-11-01
JP2017521178A (ja) 2017-08-03
FR3023683A1 (fr) 2016-01-22
TW201615114A (zh) 2016-05-01
BR112017000245A2 (pt) 2017-10-31
WO2016009115A1 (fr) 2016-01-21
AU2015288990A1 (en) 2017-02-09
EP3169178A1 (fr) 2017-05-24
CN106535690A (zh) 2017-03-22
FR3023683B1 (fr) 2017-06-16
CA2954250A1 (fr)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3817A (ko)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JP6408999B2 (ja) 簡略化された構造を有する履物製品
KR20170037940A (ko)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US11849796B2 (en) Flat weft-knitted upper for sports shoes
TWI620517B (zh) 具有一彎曲編織繫帶元件之鞋類物件及形成具有一編織組件之一鞋類物件之一鞋面之方法
CN104797153B (zh) 包含具有护套部分和鞋舌部分的编织部件的鞋类鞋面
JP6288743B2 (ja) 一体化ニット輪郭部分を備えた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CN105411079B (zh) 具有带聚合物层的针织鞋面的鞋类物品
JP5787950B2 (ja) 平編み甲部構成または他の甲部構成を有する履物物品
JP5749774B2 (ja) シューズ
CN205913005U (zh) 鞋类物品和鞋面
JP2016135251A (ja) 靴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241750A1 (en) Footwear article having a cord structure and a convertible heel strap
KR101988651B1 (ko) 실리콘사를 이용한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