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764B1 -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764B1
KR102644764B1 KR1020217029819A KR20217029819A KR102644764B1 KR 102644764 B1 KR102644764 B1 KR 102644764B1 KR 1020217029819 A KR1020217029819 A KR 1020217029819A KR 20217029819 A KR20217029819 A KR 20217029819A KR 102644764 B1 KR102644764 B1 KR 10264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cable
article
footwea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261A (ko
Inventor
로리 에스 블랑쉬
카이진 올라프손
제임스 조르마이어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2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rigid, e.g. resis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9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arch-supports of the bracel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갑피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크레이들(cradle)도 또한 포함하며, 이 크레이들은 갑피와 밑창 구조체 사이에서 연장되는 베이스,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1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 및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2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벽을 갖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복수 개의 아이렛(eyelet)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를 느슨한 상태와 조여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을 더 포함한다. 케이블은 제1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스트랜드와, 제2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2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PCT 국제 출원은 35 U.S.C. §119(e) 하에서 2019년 2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09,30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2020년 2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6/796,06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 우선권 출원의 개시는 본 출원의 개시의 부분으로서 간주되며, 참조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신발류를 조여진 상태와 느슨한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기 위한 동적 레이싱 시스템(dynamic lacing system)을 갖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반드시 종래기술은 아닌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은 통상적으로 갑피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 상에 발을 수용,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발의 바닥면에 근접한 갑피의 저부는 밑창 구조체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체는 내마멸성 및 지면과의 정지마찰력을 제공하는 겉창과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겉창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층형 구성을 포함한다.
갑피는 발 주위에서의 갑피의 맞음새를 조정하기 위해 끈, 스트랩 또는 다른 파스너와 협동할 수 있다. 예컨대, 끈은 발 주위에서 갑피를 폐쇄하도록 조여, 일단 발 주위의 갑피의 원하는 맞음새가 달성되고 나면 묶을 수 있다. 끈을 묶을 때마다 갑피가 발 주위에서 너무 느슨하거나 너무 조이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끈은 신발류의 착화 동안에 느슨하게 하거나 풀 수 있다. 후크 및 루프 파스너(hook and loop fastener)와 같은 파스너는 기존 끈보다 작동이 쉽고 빠르지만, 이러한 파스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모되는 경향이 있고, 갑피에 발을 고정할 때에 원하는 장력을 얻기 위해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기지의 자동 조임 시스템은 통상, 발 주위의 갑피를 폐쇄하기 위해 갑피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조작 가능한 회전식 노브(knob)와 같은 조임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 조임 시스템은 발 주위의 갑피의 원하는 맞음새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케이블의 장력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지만, 발 주위에 갑피를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에 적절히 장력을 가하도록 조임 기구를 조작하는 시간 소모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발에서 신발류를 제거하고 싶은 경우, 착화자는 케이블의 장력을 해제하기 위해 해제 기구를 누르는 것과 동시에, 발에서 갑피를 벗겨야만 한다. 게다가, 이러한 자동 조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의 길이를 따른 일정한 인장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회전식 노브의 회전으로 인해 전체 케이블이 균일하게 조여진다. 갑피의 제1 영역을 갑피의 제2 영역과 다른 정도로 조이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추가의 케이블 및 조임 기구가 포함되고 별도로 제어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기지의 자동 조임 시스템에서는 신발류를 조이고 푸는 동안 발 주위의 갑피의 맞음새를 신속하고 다양하게 조정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가 결여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기지의 자동 조임 시스템에 의해 채용되는 조임 기구는 발 주의의 갑피의 맞음새를 조정하기 위해 착화자에 대해 접근 가능하고, 이에 의해 신발류의 전체 외관 및 미적 외관으로부터 제거되도록 갑피의 외측부에 포함되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단지 선택된 구성의 예시를 위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a는 느슨한 상태의 신발류 물품을 보여주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바깥측(lateral-side)의 입면도이고,
도 1b는 조여진 상태의 신발류 물품을 보여주는,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측의 입면도이며,
도 2a는 느슨한 상태의 신발류 물품을 보여주는,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측(medial-side)의 입면도이며,
도 2b는 조여진 상태의 신발류 물품을 보여주는,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측의 입면도이고,
도 3은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 5-5를 따라 취한,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선 6-6을 따라 취한,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분해도이며,
도 8은 도 1a의 신발류 물품의 크레이들의 바깥측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크레이들의 안쪽측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케이블 로크의 일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케이블 로크의 분해도이며,
도 12는 로킹 부재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로킹 부재를 노출시키도록 덮개가 제거된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 10의 케이블 로크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로킹 부재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로킹 부재를 노출시키도록 덮개가 제거된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 10의 케이블 로크의 평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부호는 도면 전반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고하며 예시적인 구성을 보다 충분히 설명하겠다. 본 개시를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알려주기 위해, 예시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구성에 관한 완벽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예와 같은 특정 상세가 기술된다. 특정 상세는 반드시 채용될 필요는 없으며, 예시적인 구성은 여러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특정 상세와 예시적인 구성이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별한 예시적인 구성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구성하다", "구성된",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이에 따라 언급한 피쳐(feature), 완전체, 단계, 공정,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피쳐, 완전체, 단계, 공정,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공정은, 수행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한, 설명하거나 예시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추가의 또는 대안의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이들에 "맞물리거나", 이들에 "연결되거나" 또는 "커플링된" 것으로 언급될 때, 다른 요소 또는 층 바로 위에 있거나, 이들에 직접 체결, 연결 또는 커플링될 수도 있고, 개재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나 층 "바로 위에 있거나",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맞물리거나",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커플링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개재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없다.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단어들도 동일한 방식(예컨대, "사이" 대 "사이에 직접", "인접" 대 "바로 인접" 등)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관련하여 열거된 아이템 모두 또는 이들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여기에서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 섹션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 및 다른 서수 용어는, 문맥상 명확히 나태나지 않는 한, 순차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의 교시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양태는 신발류 물품을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갑피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또한 갑피와 밑창 구조체 사이에서 연장되는 베이스를 갖는 크레이들(cradle),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1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 및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2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한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복수 개의 아이렛(eyelet)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를 느슨한 상태와 조여진 상태 사이 간에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을 더 포함한다. 케이블은 제1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스트랜드와, 제2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2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현예는 아래의 선택적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며, 이 제1 케이블 채널을 통해 케이블의 제1 부분이 라우팅된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며, 이 제2 케이블 채널을 통해 케이블의 제2 부분이 라우팅된다. 제1 케이블 채널은 제2 케이블 채널과 교차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배치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슬리브는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배치된 외피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피는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크레이들은 강성 재료나 반강성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강성 재료와 반강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풀림 방향으로의 케이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 로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케이블 로크는 크레이들의 베이스와 밑창 구조체의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케이블 로크는 크레이들의 베이스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크레이들의 베이스는 케이블 로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크레이들의 베이스는 밑창 구조체 내에 배치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크레이들은 신발류 물품의 중족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갑피의 제1 측면은 바깥측이고, 갑피의 제2 측면은 안쪽측이다.
몇몇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갑피에 걸쳐 연장되는 전족 스트랩을 포함하고, 제1 스트랜드가 전족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가 전족 스트랩의 제2 단부에 부착된다. 신발류 물품은 또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갑피의 힐 카운터 주위에서 연장되는 힐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스트랜드는 힐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는 힐 스트랩의 제2 단부에 부착된다. 제1 스트랜드의 단부는 제1 측벽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스트랜드의 단부는 제2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아치형일 수 있다. 베이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협동하여, 갑피가 배치되는 채널을 획정할 수 있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스트랜드와 제2 스트랜드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크레이들을 제공한다. 크레이들은 베이스와, 베이스의 제1 측부로부터 제1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제1의 복수 개의 아이렛을 포함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한다. 크레이들은 또한 베이스의 제2 측부로부터 제2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제2의 복수 개의 아이렛을 포함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한다.
이 양태는 아래의 선택적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베이스, 안쪽 측벽, 바깥쪽 측벽은 협동하여, 크레이들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신발류 물품의 갑피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채널을 획정한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아치형일 수 있다. 베이스는 거의 평면형일 수 있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아치형일 수 있다. 제1 원위 단부와 제2 원위 단부 중 하나 이상은 크레이들의 제1 단부에서 크레이들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베이스로 모일 수 있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의 높이는 크레이들의 제1 단부에서 크레이들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테이퍼질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케이블 채널을 포함한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케이블 채널을 포함한다. 제1 케이블 채널은 제2 케이블 채널과 교차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슬리브는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외피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피는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는 케이블 로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나 관통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는 베이스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채널은 리세스로부터 제1 측벽의 제1 원위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채널은 측벽의 리세스로부터 제1 측벽의 후방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복수 개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는 길쭉하다. 선택적으로,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형일 수 있다.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는 아이렛을 에워싸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는 크레이들의 외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플랜지는 균일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고, 가변적인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베이스는 베이스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탭을 포함할 수 있다. 탭은 베이스의 리세스로부터 탭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이들은 강성 재료나 반강성 재료, 또는 강성 재료와 반강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관한 세부사항은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다른 양태, 피쳐(feature) 및 장점이 설명 및 도면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고하면, 가변 장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10)의 일례가 개시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은 갑피(100)와, 갑피(100)에 부착된 밑창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은 각각 갑피(100)와 밑창 구조체(20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인장 시스템(300)과 케이블 로크(400)를 더 포함한다. 인장 시스템(300)은 케이블(302)과 크레이들(304)을 포함하며, 크레이들은 갑피(100), 밑창 구조체(200) 및 케이블 로크(400)를 따라 케이블(302)의 부분을 라우팅하는 복수 개의 통로 및 안내부를 제공한다. 인장 시스템(300)과 케이블 로크(400)는 협동하여, 신발류 물품(100)을 느슨한 상태와 조여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한다. 케이블 로크(400)는 선택적으로 케이블(302)을 조여진 상태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신발류(10)는 신발류(10)의 최전방 지점과 관련된 전방 단부(12)와 신발류(10)의 최후방 지점에 대응하는 후방 단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류(10)의 종축(AF)은 전방 단부(12)에서 후방 단부(14)로 신발류(1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신발류(10)를 바깥측(16)과 안쪽측(19)으로 분할한다. 따라서, 바깥측(16)과 안쪽측(18)은 각각 신발류(10)의 대향 측부에 대응하고, 전방 단부(12)에서 후방 단부(14)로 연장된다.
신발류 물품(10)은 종축(AF)을 따라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전족 영역(20), 중족 영역(22) 및 힐 영역(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 영역(20)은 발가락과, 중족골을 발의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에 대응할 수 있다. 중족 영역(22)은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힐 영역(24)은 종골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갑피(100)는, 서로 협동하여 내부 공간(102) 및 발목 개구(104)를 획정하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과 발목 개구는 서로 협동하여 밑창 구조체(200) 상에서 지지하도록 발을 고정한다. 예컨대, 갑피(100)는 내부 공간(102)의 대향 측부 상의 중족 영역(22)에 있는 한 쌍의 쿼터 패널(quarter panel)(106)을 포함한다. 스로트(throat)(108)가 갑피(100)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발목 개구(104)에서 전족 영역(20)까지 쿼터 패널(10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발등 영역을 획정한다. 도시한 예에서, 스로트(108)는 밀폐되고, 이에 의해 재료 패널이 발등 영역의 대향하는 쿼터 패널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내부 공간(102)을 덮는다, 여기에서, 스로트(108)를 덮는 재료 패널은 쿼터 패널(106)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100)는 발목 개구(104)의 바깥측(16) 및 안쪽측(18)을 따라 힐 영역(24) 전반에 걸쳐 연장되는 힐측 패널(110)을 포함하는 것으로 더욱 설명될 수 있다. 힐 카운터(112)가 신발류(10)의 후방 단부(14) 주위를 둘러싸고, 실측 패널(110)과 연결된다. 스로트(108), 힐측 패널(110) 및 힐 카운터(112)의 최상위 에지들은 서로 협동하여, 칼라(114)를 형성하고, 이 칼라는 내부 공간(102)의 발목 개구를 획정한다.
갑피(100)는 신발류(10)를 발에 대해서 인장시키기 위해 발목 개구(104)에 인접하게 칼라(114)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파지 피쳐(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b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갑피(100)에는 인장 시스템(30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리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슈라우드(118)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갑피(100)는 스로트(108) 및 이 스로트(108)와 연관된 인장 시스템(300)의 부분을 가리도록 구성된 스로트 슈라우드(118)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0)는 내부 공간(102)을 획정하도록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제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100)를 위한 적절한 재료로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륙, 발포체, 가죽 또는 합성 가죽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갑피(100)는 조여진 상태와 느슨한 상태 간에서의 갑피(10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갑피(100)의 상이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비탄성 또는 비연신성 재료와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탄성 또는 연신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탄성 재료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판덱스(spandex), 엘라스테인(elastane), 고무 또는 네오프렌(neoprene)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 직물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탄성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나일론, 피혁, 비닐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 또는 탄성 특성을 부여하지 않는 다른 재료/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한 예에서, 힐측 패널(110) 중 하나 이상은 칼라(114)에서 밑창 구조체(200) 측으로 연장되는 탄성 영역(120)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영역(120)은 칼라(114)와 밑창 구조체(200) 사이의 각각의 힐측 패널(110)의 중간 부분에서 종결된다. 다른 예에서, 탄성 영역(120)은 칼라(114)에서 밑창 구조체(200)로 연속하여 그리고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탄성 영역(120)으로 인해, 발목 개구(104)의 사이즈를 선택적으로 확대하도록 힐 카운터(112)가 스로트(108)로부터 멀어지게 인장될 수 있다.
갑피(100)는 힐 카운터(112)에 부착되는 강성 힐 클립(122)을 더 포함한다. 힐 클립(122)은 바깥측(16)에서 안쪽측(18)까지 힐 카운터(112)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홈(124)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클립(122)의 홈(124)은 인장 시스템(300)의 힐 스트랩(3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4의 단면도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힐 클립(122)은, 신발류 물품(10)이 조립될 때에 케이블 로크(400)에 있는 해제 기구(404)의 단부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채널(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200)는 밑창 구조체(200)에 완충 특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창(202)과, 신발류 물품(10)의 지면 맞물림면(26)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겉창(204)을 포함한다. 종래의 밑창 구조체와 달리, 중창(202) 및 겉창(204) 각각은 혼합적으로 형성되어, 각각 다수의 서브구성요소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중창(202)은 캐리어(206), 캐리어(206) 내에 배치되는 하부 코어(208), 및 캐리어(206) 내에 배치되는 상부 코어(210)[총칭하여, "중창 구성요소(206, 208, 21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겉창(204)은 전족부(212)와, 전족부(212)와 별개로 형성되는 힐부(214)를 포함한다. 서브구성요소(206, 208, 210, 212, 214)들은, 예컨대 접착식 접합 및 혼합을 비롯한 다양한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조립되고 고정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206)는 밑창 구조체(200)의 외측부를 형성하고, 서로 협동하여 전족 영역(20)에서 힐 영역(24)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동(220)을 획정하는 둘레벽(216)과 베이스(218)를 포함한다. 하부 코어(208)는 내부 공동(220) 내에 배치되고, 베이스(218)를 향하는 하부면(222)과, 하부면(222)을 등지고 있는 하부 코어(208) 측 상에 형성된 상부면(224)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224)은 인장 시스템(300)과 케이블 로크(40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26)와 복수 개의 노치(228a 내지228c)를 포함한다. 특히, 리세스(226)는 케이블 로크(400)에 있는 하우징(402)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 로크(4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 내에 매설된다. 노치(228a 내지 228c)는 캐리어(206)의 상부면(224)을 따라 리세스(226)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장 시스템(300)의 부분과 케이블 로크(400)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코어(210)는 내부 공동(220) 내에 배치되고,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을 향하는 하부면(230)과, 하부면(230)을 등지고 있는 상부 코어(210) 측 상에 형성된 상부면(232)을 포함한다. 상부 코어(210)의 하부면(230)은, 바깥측(16)에서 안쪽측(18)으로 연장되는 채널(234)을 포함하고 내부에 크레이들(3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234)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크레이들(304)의 저부면이 상부 코어(210)의 하부면(230)과 거의 동일 높이가 된다. 상부 코어(210)의 상부면(232)은 둘레벽(216)과 협동하여, 신발류 물품(10)의 풋베드(28)를 형성한다.
각각의 중창 구성요소(206, 208, 210)는 발포체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어, 신발류 물품에 완충, 반응성 및 에너지 분배 특성을 부여한다. 몇몇 예에서, 캐리어(206)는 제1 발포 재료로 형성되고, 하부 코어(208)는 제1 발포 재료로 형성되며, 상부 코어(210)는 제3 발포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중창 구성요소(206, 208, 210) 중 하나 이상은 보다 큰 완충 및 충격 분배를 제공하는 발포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한편, 중창 구성요소의 나머지(206, 208, 210)는 강성이 보다 큰 발포 재료로 형성된다.
중창 구성요소(206, 208, 210)를 위한 예시적인 탄성 폴리머 재료는 하나 이상의 엘라스토머[예컨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발포시키거나 또는 몰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지방족 폴리머, 방향족 폴리머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호모폴리머, 코폴리머(터폴리머 포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올레핀 호모폴리머, 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올레핀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코폴리머, EVOH 코폴리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불포화 단일 지방산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 아세테이트,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코폴리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이오노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양태에서, 이오노머 폴리머는 카르복실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이들의 염(예컨대,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등), 및/또는 이들의 무수물을 갖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오노머 폴리머(들)는 하나 이상의 지방산 개질 이오노머 폴리머,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 에틸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에틸렌 부티렌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 코폴리머(예컨대, 폴리아미드-폴리에테르 코폴리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예컨대, 가교 결합 폴리우레탄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천연 고무 및/또는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과 같은 합성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폴리머 재료가 발포 폴리머 재료인 경우, 발포 재료는 온도 및/또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기체로 상전이하는 물리적 발포제 또는 그 활성 온도보다 높게 가열될 때에 기체를 형성하는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될 수 있다. 예컨대, 화학적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중탄산나트륨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아조 화합물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포 폴리머 재료는 가교 결합 발포 재료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다이큐밀 퍼옥사이드와 같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발포 폴리머 재료는 안료, 개질 또는 천연 점토, 개질 또는 비개질 합성 점토, 활석 유리 섬유, 분말형 유리, 개질 또는 천연 실리카, 탄산칼슘, 운모, 종이, 우드칩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폴리머 재료는 몰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탄성 폴리머 재료가 성형 엘라스토머인 경우, 미경화 엘라스토머(예컨대, 고무)가 밴버리 혼합기(Banbury mixer)에서 황 기반 또는 퍼옥사이드 기반 경화 패키지와 같은 선택적인 충전제 및 경화 패키지와 혼합되고, 캘린더링되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고, 몰드 내에 배치되어 가황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탄성 폴리머 재료가 발포 재료인 경우, 해당 재료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와 같은 몰딩 프로세스 중에 발포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가 사출 성형 시스템의 배럴에서 용융되고,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발포제 및 선택적으로 가교제와 결합된 다음, 발포제를 활성화하는 조건 하의 몰드 내로 주입되어, 성형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 폴리머 재료가 발포 재료인 경우, 발포 재료는 압축 성형 발포체일 수 있다. 압축 형성은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밀도, 강성 및/또는 듀로미터)를 변경하거나 발포체의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기 위해(예컨대, 2개 이상의 발포체 부재를 융해하거나, 발포체를 성형하는 등), 또는 이들 양자 모두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압축 성형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를 사출 성형하고 발포시키는 것에 의해, 발포 입자 또는 비드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발포 시트 원료를 절단하는 것 등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발포 프리폼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시작된다. 압축 성형 발포체는 그 후, 발포 폴리머 재료(들)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프리폼을 압축 몰드에 배치하고, 폐쇄된 몰드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폼을 압축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리폼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몰드가 폐쇄되고 나면, 충분한 열 및/또는 압력이 압축 성형 발포체의 외면 상에 스킨을 형성하거나, 개별 발포 입자를 서로 융해하거나, 발포체(들)의 밀도를 영구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프리폼(들)을 변경하기에 충분한 지속 시간 동안 폐쇄형 몰드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폼에 인가된다. 가열 및/또는 압력 인가에 이어서, 몰드가 개방되고, 성형 발포 물품이 몰드로부터 제거된다.
인장 시스템(300)은 케이블(302)과, 케이블(302)을 밑창 구조체(200)를 거쳐 갑피(100)를 따르게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라우팅 요소(304, 306, 308, 310)를 포함한다. 라우팅 요소(304, 306, 308, 310)는 신발류 물품(10)의 중족 영역에서 케이블(302)을 위한 라우팅 및 부착 지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크레이들(304)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케이블(302)의 부분은, 갑피(10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신발류 물품(10)이 조여진 상태로 변경될 때에 갑피(100)에 대해 케이블(302)을 유지하도록 작동 가능한 탄성 외피(30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라우팅 요소(308, 310)는 갑피(100)의 스로트(108)에 걸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족 스트랩(308)과, 힐 카운터(112) 주위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힐 스트랩(310)을 더 포함한다.
케이블(302)은 윤활성이 매우 높을 수도 있고/있거나, 낮은 탄성계수 및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섬유는 높은 강도 대 중량 비와 낮은 탄성을 갖는, 모듈러스가 높은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케이블(302)은 성형 모노필라멘트 폴리머 및/또는 기타 윤활 코팅이 있거나 없는 직조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케이블(302)은 함께 직조된 재료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고하며, 케이블(302)은, 신발류 물품(10)을 조여진 상태와 느슨한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라우팅 요소(304, 306, 308, 310) 및 케이블 로크(400)와 협동하는 인장 요소(312)와 제어 요소(314)를 포함한다. 인장 요소(312)와 제어 요소(314)는 총칭하여 조정 요소(312, 314)라고 한다. 조정 요소(312, 314)는 신발류 물품(10)을 조여진 상태로 변경하도록 조임 방향(DT)으로 그리고 신발류 물품(10)이 느슨한 상태로 변하게 하도록 풀림 방향(DL)으로 이동 가능하다. 몇몇 예에서, 제어 요소(314)에 인가하는 조임력(FT)이 케이블 로크(400)를 통해 인장 요소(312)의 적어도 일부로 전달되어, 인장 요소(312)를 조임 방향(DT)으로 이동시킨다.
도 1a 내지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인장 요소(312)와 제어 요소(314)는 바깥쪽 스트랜드(316, 320)와 안쪽 스트랜드(318, 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특히, 인장 요소(312)는 바깥쪽 스트랜드(316)와 안쪽 스트랜드(318)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요소(314)도 또한 바깥쪽 스트랜드(320)와 안쪽 스트랜드(322)를 포함한다. 예시한 예에서,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로크(400)를 통해 제어 요소(314)의 바깥쪽 스트랜드(320)에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인장 요소(312)의 안쪽 스트랜드(318)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로크(400)를 통해 제어 요소(314)의 안쪽 스트랜드(3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 및 안쪽 스트랜드(318)의 위치는 제어 요소(314)의 바깥쪽 스트랜드(320) 및 안쪽 스트랜드(322) 각각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는 케이블 로크(400)에 있는 제1 단부(324)로 연장되고, 갑피(100)의 바깥측(16)을 따라 크레이들(304), 힐 스트랩(310) 및 전족 스트랩(308)을 통해 크레이들(304)에 부착된 제2 단부(326)로 라우팅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인장 요소(312)의 안쪽 스트랜드(318)는 케이블 로크(400)에 있는 제1 단부(328)로 연장되고, 갑피(100)의 안쪽측(18)을 따라 크레이들(304), 힐 스트랩(310) 및 전족 스트랩(308)을 통해 크레이들(304)에 부착된 제2 단부(330)로 라우팅된다.
전술하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요소(314)의 바깥쪽 스트랜드(320)는 케이블 로크(400)를 통해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에 연결되고, 케이블 로크(400)에 있는 제1 단부(332)에서부터 갑피(100)를 따라 제2 단부(334)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요소(314)의 안쪽 스트랜드(322)는 케이블 로크(400)를 통해 인장 요소(312)의 안쪽 스트랜드(318)에 연결되고, 케이블 로크(400)에 있는 제1 단부(336)에서부터 갑피(100)를 따라 제2 단부(338)로 연장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바깥쪽 스트랜드(320)의 제2 단부(334)는 안쪽 스트랜드(322)의 제2 단부(338)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깥쪽 스트랜드(320)와 안쪽 스트랜드(322)가 갑피(100)의 스로트(108)에 걸쳐 연장되는 연속적인 스트랜드를 형성한다. 바깥쪽 스트랜드(320)와 안쪽 스트랜드(322)의 제2 단부(334, 338)는 중간 연결 요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간접 연결될 수 있다.
갑피(100) 주위에서 연장되는 제어 요소(314)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외피(306)로 둘러싸일 수 있다. 각각의 외피(306)는, 제어 요소(314)가 조임력(FT)에 의해 갑피(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때[즉,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할 때], 외피(306)와 제어 요소(314)가 느슨한 상태에서 연신 또는 확장 상태로 변하게 하는 재료 및/또는 직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력(FT)이 제거되면, 외피(306)의 재료 및/또는 직조물은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외피(306)가 느슨한 상태로 수축되게 하며, 내부에 제어 요소(314)에 의한 번칭을 수용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 요소(314)는 외피(306)를 통해 발목 개구(104)의 앞쪽측에 인접하게 갑피(100)의 스로트(108)를 가로질러 라우팅된다. 따라서, 제어 요소(314)는 착화자의 발목 앞에서 갑피(100)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별개의 조임 그립(340)이 스로트(108)에 근접한 부착 위치에서 외피(306)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어 요소(314)를 갑피(100)로부터 멀어지게 당기도록 사용자가 조임력(FT)을 가하게 함으로써, 제어 요소(314)와 인장 요소(312) 각각이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제어 요소(314)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조임 그립(340)을 외피(306)의 다른 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조임 그립(340)이 생략되고, 외피(306)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파지된다.
이제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인장 시스템(300)의 크레이들(304)이 케이블(302), 외피(306) 및 케이블 로크(400)를 수용, 라우팅 및/또는 부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피쳐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크레이들(304)은 갑피(100)의 재료보다 경도가 큰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302)을 위한 라우팅 및 장착 포인트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크레이들(304)은 신발류 물품(100)을 따라 강성이 증가된 영역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레이들(304)은 전방 단부(341a)에서부터 후방 단부(341b)로 연장되고, 베이스(342), 베이스(342)의 바깥측(16)으로부터 연장되는 바깥 측벽(344) 및 베이스(342)의 안쪽측(18)으로부터 연장되는 안쪽 측벽(346)을 포함한다. 바깥 측벽(344)은 베이스(342)의 바깥측(16)으로부터 안쪽 원위 단부(348)로 연장되고, 안쪽 측벽(346)은 베이스(342)의 안쪽측(18)으로부터 안쪽 원위 단부(350)로 연장된다. 각각의 측벽(344, 346)의 높이(H344, H346)는 전방 단부(341b)에서부터 후방 단부(341a)까지 종축(A) 방향을 따라 테이퍼진다.
베이스(342)와 측벽(344, 346)은 내면(352)으로부터 크레이들(304)의 양 측부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내면(352) 및 외면(354)을 형성한다. 크레이들(304)의 베이스(342)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며, 갑피 코어(210의 하부면(230)에 형성된 채널(23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도 4 및 도 7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레이들(304)의 외면(354)이 갑피 코어(210)의 하부면(230)과 동일한 높이이다. 측벽(344, 346) 각각은 베이스(342)로부터 각각의 원위 단부(348, 350)까지 아치형 형상을 갖는다. 특히, 각각의 측벽(344, 346)의 내면(352)은 오목하다. 따라서, 크레이들(304)의 내면(352)은 내부에 갑피(100)의 중족 영역(2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U자형 채널(356)을 획정하고, 이에 의해 베이스(342)는 갑피(100) 아래에서 연장되고, 측벽(344, 346)은 각각의 바깥쪽 및 안쪽 쿼터 패널(106)을 따라 연장된다.
베이스(342)는 케이블(302)과 케이블 로크(4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의 복수 개의 라우팅 및 수용 피쳐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베이스(342)는 외면(354)에 형성된 리세스(358)를 포함한다. 리세스(358)는 케이블 로크(400)의 하우징(402)의 형상에 상응하는 프로파일을 갖고, 신발류 물품(10)이 조립될 때에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에 형성된 리세스(226)와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 코어(208)의 리세스(226)는 케이블 로크(400)의 하우징(402)의 하부를 수용하고, 크레이들(304)의 리세스(358)는 케이블 로크(400)의 하우징의 상부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402)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2개의 리세스(226, 358) 내에 배치된다.
베이스(342)는 베이스(342)의 후방 단부(341b)로부터 연장되는 탭(3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탭(360)은 리세스(358)의 후방 에지에서부터 탭(360)의 후방 에지로 연장되는 홈(362)을 포함할 수 있다. 홈(362)은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에 형성된 노치(228c)들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여, 케이블 로크(400)의 해제 기구(404)를 위한 라우팅 경로를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홈(362)은 케이블 로크(400)에 바로 인접한 해제 기구(404)를 위한 라우팅 경로를 마련하고, 이에 의해 해제 기구(404)가 케이블 로크(400)에서 압축되거나 조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및 도 9를 계속해서 참고하면, 크레이들(304)은 케이블 로크(400)로부터 갑피(100)로의 제어 요소(314)를 위한 라우팅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제어 요소 채널(364a, 364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요소 채널(364a, 364b)은 갑피(100)로부터 케이블 로크(400)로 외피(306)의 단부를 슬라이드식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다.
바깥쪽 제어 요소 채널(364a)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42)의 외면(354)에 형성된 제1 단부(366a)로부터 연장된다. 제1 단부(366a)는 리세스(358)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게 리세스(358)의 바깥쪽 에지에 형성되고,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에 형성된 노치(228a)들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여, 외피(306)를 위한 케이블 로크(400)의 라우팅 경로를 제공한다. 바깥쪽 제어 요소 채널(364a)은 이어서 베이스(342)를 통해 바깥쪽 측벽(344)의 바깥쪽 원위 단부(348)에 인접하게 제2 단부(368a)로 연장된다. 바깥쪽 제어 요소 채널(364a)의 제2 단부(368a)는 바깥쪽 측벽(344)의 외면(354) 상에 형성된 도관(370a)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깥쪽 제어 요소 채널(364a)은 베이스(342)의 외면(354)으로부터 크레이들(304)을 통해 내면(352)으로, 그리고 이어서 도관(370a)을 통해 바깥쪽 측벽(344)의 외면(354)을 따라 이행한다.
안쪽 제어 요소 채널(364b)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42)의 외면(354)에 형성된 제1 단부(366b)로부터 연장된다. 제1 단부(366b)는 리세스(358)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게 리세스(358)의 안쪽 에지에 형성되고,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에 형성된 노치(228a)들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여, 외피(306)를 위한 라우팅 경로를 제공한다. 안쪽 제어 요소 채널(364b)은 이어서 베이스(342)를 통해 안쪽 측벽(346)의 안쪽 원위 단부(350)에 인접하게 제2 단부(368b)로 연장된다. 안쪽 제어 요소 채널(364b)의 제2 단부(368b)는 안쪽 측벽(346)의 외면(354) 상에 형성된 도관(370b)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안쪽 제어 요소 채널(364b)은 베이스(342)의 외면(354)으로부터 크레이들(304)을 통해 내면(352)으로, 그리고 이어서 도관(370b)을 통해 안쪽 측벽(346)의 외면(354)을 따라 이행한다.
도 8 및 도 9를 계속해서 참고하면, 크레이들(304)은 케이블 로크(400)로부터 갑피(100)로의 인장 요소(312)를 위한 라우팅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인장 요소 채널(372a, 372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인장 요소 채널(372a, 372b)은 갑피(100)로부터 케이블 로크(400)로 인장 요소(312)의 단부를 슬라이드식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다.
바깥쪽 인장 요소 채널(372a)은 베이스(342)의 외면(354)에 형성된 제1 단부(374a)로부터 연장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부(374a)는 리세스(358)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리세스(358)의 바깥쪽 에지에 형성되고,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에 형성된 노치(228b)들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여, 인장 요소(312)를 위한 라우팅 경로를 제공한다. 바깥쪽 인장 요소 채널(372a)은 이어서 베이스(342)를 통해 바깥쪽 측벽(344)의 후방 단부(341b)에 인접하게 제2 단부(376a)로 연장된다. 바깥쪽 인장 요소 채널(372a)의 제2 단부(376a)는 바깥쪽 측벽(344)의 외면(354) 상에 형성된 도관(378a)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깥쪽 인장 요소 채널(372a)은 베이스(342)의 외면(354)으로부터 크레이들(304)을 통해 내면(352)으로, 그리고 이어서 도관(378a)을 통해 바깥쪽 측벽(344)의 외면(354)을 따라 이행한다.
안쪽 인장 요소 채널(372b)은 베이스(342)의 외면(354)에 형성된 제1 단부(374b)로부터 연장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부(374b)는 리세스(358)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게 리세스(358)의 안쪽 에지에 형성되고, 하부 코어(208)의 상부면(224)에 형성된 노치(228b)들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여, 인장 요소(312)를 위한 라우팅 경로를 제공한다. 안쪽 인장 요소 채널(372b)은 이어서 베이스(342)를 통해 안쪽 측벽(346)의 후방 단부(341b)에 인접하게 제2 단부(376b)로 연장된다. 안쪽 인장 요소 채널(372b)의 제2 단부(376b)는 안쪽 측벽(346)의 외면(354) 상에 형성된 도관(378b)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안쪽 인장 요소 채널(372b)은 외면(354)으로부터 크레이들(304)을 통해 내면(352)으로, 그리고 이어서 도관(378b)을 통해 외면(354)을 따라 이행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몇몇 예에서 인장 요소 채널(372a, 372b)은 각각의 제어 요소 채널(364a, 364b)과 교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장 요소 채널(372a, 372b) 또는 제어 요소 채널(364a, 364b)에는, 내부에 케이블(302)을 수용하고 채널(364a, 364b, 372a, 372b)들의 교차부에서 인장 요소(312)와 제어 요소(314)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슬리브(380)(도 1a 내지 도 2b)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슬리브(380)는 도 1a 내지도 2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인장 요소 채널(312)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인장 요소(312)의 각각의 부분을 수용한다. 슬리브(380)는 윤활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장 요소(312)가 슬리브(38) 내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고, 외피(306)가 슬리브(380)의 외면 위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 요소 채널(364a, 364b)에는 인장 요소 채널( 372a, 372b)의 슬리브(38)에 더하여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슬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크레이들(304)의 다른 예에서, 인장 요소 채널(372a, 372b)은 크레이들(304) 내의 제어 요소 채널(364a, 364b)과 완전히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인장 요소(312)와 제어 요소(314)는 크레이들(304)의 재료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바깥쪽 측벽(344)과 안쪽 측벽(346) 각각은 케이블(302)의 인장 요소(312)를 갑피(100)의 쿼터 패널(106)을 따라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아이렛(382)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344, 346)은 측벽(344, 346)의 각각의 원위 단부(348, 350)를 따라 배치된 일련의 아이렛(38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아이렛(382)은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고, 제어 요소 채널(364a, 364b)과 측벽(344, 346)의 측벽(344, 346)의 전방 단부(341a) 사이에 배치된다. 크레이들(304)은 또한 측벽(344, 346)의 중간부에서 원위 단부(348, 350)와 베이스(342)를 따른 일련의 아이렛(382)들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렛(38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중간 아이렛(382a) 중 하나 이상은 길쭉하고, 각각의 측벽(344, 346)을 관통하는 슬롯을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의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아이렛(382, 382a)은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즉, 지면에 평행하게) 크레이들(304)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크레이들의 아이렛(382, 382a)은 케이블(302)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아이렛(382, 382a)은 크레이들(304)의 외면(354)에 형성되고 아이렛(382, 382a)을 둘러싸는 플랜지(384, 384a)를 포함한다. 도시한 예의 플랜지(384, 384a)는 외면(354)으로부터 거의 균일한 높이를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384, 384a)는 케이블(302)을 크레이들(304) 및/또는 갑피(100)를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테이퍼진 높이 또는 가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인장 시스템(300)은 갑피를 따라 케이블(302)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스트랩(308, 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인장 시스템(300)은 갑피(100)의 스로트(108)에 걸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족 스트랩(308)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족 스트랩(308)은 갑피(100)의 바깥측(16) 상의 쿼터 패널(106)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부(386a), 갑피(100)의 안쪽측(18) 상의 쿼터 패널(106)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단부(386b), 및 스로트(108)에 걸쳐 연장되는 중간부(388)를 포함한다. 전족 스트랩(308)의 각각의 단부(386a, 386b)는 이 단부를 통과하는 케이블(302)을 수용하기 위한 라우팅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단부(386a, 386b)는 케이블(302)을 라우팅할 수 있는 루프(390a, 390b)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전족 스트랩(308)의 단부(386a, 386b)는 폴리머 케이블 안내부 등과 같은 둘레 라우팅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크레이들(304)의 아이렛(382, 382a)을 따른 케이블(302)의 인장 요소(312)의 라우팅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추가의 전족 스트랩(308)이 인장 시스템(300)에 용이하게 추가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a 내지 도 2b를 참고하면, 인장 시스템(300)은 갑피(100)의 힐 카운터(112) 주위에서 연장되는 힐 스트랩(310)을 더 포함한다. 힐 스트랩(310)은 갑피(100)의 바깥측(16) 상의 힐 카운터(1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단부(392a), 갑피(100)의 안쪽측(18) 상의 힐 카운터(1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단부(392b), 및 후방 단부(14)에서 힐 카운터(112)에 걸쳐 연장되는 중간부(394)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394)는 힐 클립(122)의 홈(124) 내에 수용된다. 전족 스트랩(310)의 각각의 단부(392a, 392b)는 이 단부를 통과하는 케이블(302)을 수용하기 위한 라우팅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단부(392a, 392b)는 케이블(302)을 라우팅할 수 있는 루프(396a, 396b)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전족 스트랩(308)의 단부(392a, 392b)는 폴리머 케이블 안내부 등과 같은 둘레 라우팅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인장 시스템(300)은 갑피(100) 및/또는 크레이들(304)에 부착되는 추가의 라우팅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예에서 갑피(100) 및/또는 크레이들(304)은 케이블(302)을 라우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케이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케이블 안내부는 케이블(302)을 슬라이드식으로 수용하는 통로를 획정하는 직물 또는 메시 루프에 의해 형성된다. 몇몇 예에서, 케이블 안내부는 강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에서의 케이블(30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윤활성 폴리머(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와 같은 저마찰 재료로 라이닝되거나 코팅된 아치형 내면을 갖는다. 상기한 케이블 안내부의 예가 U.S. 출원 공보 제2018/0228244호에 설명되고 제시되어 있으며, 이 미국 출원의 개시는 그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는 케이블 로크(400)에 있는 제1 단부(324)로부터 바깥쪽 인장 요소 채널(372a)의 제1 단부(374a)로 라우팅된다. 바깥쪽 스트랜드(316)는 이어서 바깥쪽 인장 요소 채널(372a)을 통해, 도관(378a)을 통해 크레이들(304)의 바깥쪽 측벽(344)에 있는 후방 단부(341b)로 연장되는 폴리머 슬리브(380)들 중 하나 내로 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378a)은 지면에 대해 경사각을 이루도록 그리고 바깥쪽 측벽(344)의 테이퍼진 원위 단부(348)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바깥쪽 인장 요소 채널(372a)로부터, 바깥쪽 스트랜드(316)는 힐 스트랩(310)의 제1 단부(392a) 상의 루프(396a)를 통과한 다음, 크레이들(304)로 다시 라우팅된다. 크레이들(304)에서, 바깥쪽 스트랜드(316)의 제2 단부(330)는 바깥쪽 측벽(344)의 후방 단부(341b)에 인접하게 아이렛(382)들 중 첫번째 아이렛을 통해 라우팅되고, 바깥쪽 측벽(344)의 전방 단부(341a)에 인접하게 아이렛(382)들 중 두번째 아이렛에 부착된다. 2개의 아이렛(382)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깥쪽 스트랜드(316)의 길이부는 전족 스트랩(308)의 바깥쪽 단부(386a) 상에 형성된 루프(390a)를 통과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인장 요소(312)의 안쪽 스트랜드(318)는 신발류 물품의 안쪽측(18)에 형성된 대응하는 피쳐에 대해, 바깥쪽 스트랜드(316)와 동일한 방식으로 라우팅된다.
도시한 예에서, 바깥쪽 스트랜드(316)와 안쪽 스트랜드(318)의 제2 단부(326, 330)는 독립적으로 크레이들(304)에 부착된다. 따라서, 인장 시스템(300)이 조여진 상태로 이동할 때, 바깥쪽 스트랜드(316)는 제1 인장력을 가질 수 있고, 안쪽 스트랜드(318)는 상이한 제2 인장력을 갖는다. 다른 예에서, 바깥쪽 스트랜드(316)와 안쪽 스트랜드(318)의 제2 단부(326, 330)는 스로트(108)를 따라 또는 밑창 구조체(200) 내 등과 같은 신발류 물품(10)의 중간부에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트랜드(316, 318)들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힘이 나머지 스트랜드(316, 318)에 전달되어, 전체 인장 요소(312)를 따라 거의 균일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인장 요소(312)가 하나의 전족 스트랩(308)을 통해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크레이들(304) 내에 복수 개의 아이렛(382)을 마련함으로써, 신발류 물품(10)에 상이한 구성의 전족 스트랩(308)을 허용한다. 예컨대, 인장 요소(312)를 최후방 아이렛(382)에서 최전방 아이렛(382)으로 직접 라우팅하는 대신, 측벽(344, 346)의 원위 단부(348, 350)를 따라 단지 하나의 케이블(302) 길이부만을 마련함으로써, 인장 요소(312)가 아이렛(382)들 중 중간 아이렛들을 통해 라우팅되어, 크레이들의 측벽(344, 346)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분리된 케이블(302) 길이부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신발류 물품(10)에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한 전족 스트랩(308)과 유사한 복수 개의 개별 전족 스트랩(308)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스트랩(308)의 바깥쪽 단부(386a)는 각각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의 길이부들 중 하나를 수용하고, 각각의 스트랩(308)의 대응하는 안쪽 단부(386b)는 각각 인장 요소의 안쪽 스트랜드(316)의 길이부들 중 하나를 수용한다. 다른 예에서, 바깥쪽 스트랜드(316)는, 안쪽 스트랜드(318)가 안쪽 측벽(346)의 아이렛(382)을 따라 라우팅되는 것과 상이하게 바깥쪽 측벽(344)의 아이렛(382)을 따라 라우팅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랜드(316, 318)들 중 어느 하나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한 대로 라우팅되어, 하나의 케이블(302) 길이부를 제공할 수 있고, 스트랜드(316, 318)들 중 나머지 하나는 복수 개의 아이렛(382)을 통해 라우팅되어, 다수의 케이블(302) 길이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족 스트랩은 V자형 전족 스트랩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한 쌍의 스트랩이 갑피의 일측부에 있는 각각의 개별 단부로부터 갑피(100)의 타측부에 있는 하나의 단부로 연장된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제어 요소(314)의 바깥쪽 스트랜드(320)와 외피(306)가 바깥쪽 측벽(344)에 있는 바깥쪽 제어 요소 채널(364a)을 통해 라우팅되고,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를 수용하는 슬리브(380) 내부로 통한다. 바깥쪽 제어 요소 채널(364a)로부터, 제어 요소(314)의 바깥쪽 스트랜드(320)와 외피(306)가 발목 개구(104)에 인접하게 스로트(108)에 걸쳐 라우팅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제어 요소의 안쪽 스트랜드(322)와 외피(306)가 유사한 방식으로 안쪽 제어 요소(364b)로부터 갑피(100)의 스로트(108)로 라우팅되고, 이에 의해 바깥쪽 스트랜드(316)와 안쪽 스트랜드(318)의 제2 단부(334, 338)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부착되어, 갑피(100)의 스로트(108)에 걸쳐 연장되는 연속적인 제어 요소(314)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 디바이스 또는 케이블 로크(400)는 하부 코어(208)와 크레이들(304)의 리세스(226, 358)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조정 요소(312, 314)가 그 각각의 풀림 방향(DL)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로킹 상태로 압박될 수 있다. 인장 요소(312)와 제어 요소(314)는 각각 양 “‡향에서 케이블 로크(400)의 하우징(402)에 접근하여 이 하우징을 통과한다. 몇몇 구성에서, 케이블 로크(400)는 로킹 상태에 있는 동안에 조정 요소(312, 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해제 기구(404)가 케이블 로크(400)를 로킹 상태에서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하여, 조정 요소(312, 314)가 양 방향(DT, DF)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해제 기구(404)는 케이블 로크(400)를 로킹 상태에서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하여, 조정 요소(312, 314)가 양 방향(DT, DF)으로 이동하게 한다. 예컨대, 해제 기구(404)는 당겨질 때에 케이블 로크(400)를 로킹 상태에서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해제 코드 또는 케이블(404)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 코드(404)는 케이블 로크(400)에 부착된 제1 단부(406)로부터 갑피(100)의 후방 단부(14)에 있는 클립(122)의 채널(126) 내에 고착된 원위 단부(408)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케이블 로크(400)를 로킹 상태에서 로킹 해제 상태로 바꾸기 위해 사용자가 해제 코드(404)를 파지하여 당길 수 있다.
몇몇 예에서, 해제 코드(404)는, 케이블 로크(400)를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및/또는 케이블 로크(400)를 로킹 해제 상태로부터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사용자가 해제 코드(404)를 파지하여 당길 수 있게 하도록 케이블 로크(40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루프 또는 외피와 같은 파지 피쳐(410)를 포함한다. 도 1은 갑피(100)의 후방 단부(14)에서 클립(122)에 인접하게 형성된 해제 코드(404)의 파지 피쳐(410)를 보여준다.
몇몇 구현예에서, 케이블 로크(400)는 하우징(402)과, 이 하우징(402)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우징(402)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덮개(414)로 밀폐되는 로킹 부재 또는 로크 부재(412)를 포함한다. 도 11은, 로킹 부재(412)와, 하우징(402)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덮개(414)를 보여주는, 도 10의 케이블 로크(400)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하우징(402)은 제1 단부(416)와 제2 단부(4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획정한다. 하우징(402)은 베이스부(420)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부는 케이블 수용면(422)과, 케이블 수용면(422)과 반대되는 베이스부(420)의 측부에 배치되고 갑피(100)의 외면에 대향하는 장착면(424)을 포함한다. 덮개(414)는 베이스부(420)의 케이블 수용면(422)과 마주하여, 그 사이에, 로킹 부재(412)와 인장 시스템(300)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로킹 부재 공동(426)을 획정한다. 몇몇 구성에서, 로킹 부재 공동(426)은 하우징(402)의 제2 단부(418)를 향해 테이퍼지는 웨지 형상 구성과 연관되도록 서로를 향해 모아지는 제1 맞물림면(428) 및 제2 맞물림면(430)(도 12 및 도 13)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제1 맞물림면(428)과 제2 맞물림면(430)은, 서로를 향해 모아지고 덮개(414)와 베이스부(420)의 케이블 수용면(422) 사이에서 연장되어 로킹 부재 공동(426)을 획정하는 하우징(402)의 대응하는 측벽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시스템(300)의 케이블(302)은 인장 요소(312)와 제어 요소(314)를 포함하며, 이 인장 요소와 제어 요소는, 로킹 부재 공동(426)을 통해 연장되고 제1 맞물림면(428)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2 맞물림면(430)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로킹 요소(31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인장 요소(314)는 제1 단부(416)에 근접하게 하우징(402)의 대향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대응하는 슬롯(432)(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인장 요소(312)는 제2 단부(418)에 근접하게 하우징(402)의 대향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대응하는 슬롯(432)(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빠져나간다.
몇몇 구현예에서, 로킹 부재(412)는, 로킹 부재(412)가 하우징(402)의 로킹 부재 공동(426) 내에 배치될 때에 하우징(402)의 제1 맞물림면(428)과 마주하는 제2 로크면(434)과, 하우징(402)의 제2 맞물림면(430)과 마주하는 제2 로크면(436)을 포함한다. 몇몇 예에서, 제1 로크면(434)과 제2 로크면(436)은 서로를 향해 모아진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1 로크면(434)은 제1 맞물림면(428)과 거의 평행할 수 있고, 제2 로크면(436)은 제1 맞물림면(430)과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로크면(434, 436)은 융기부 또는 치형부를 가지며, 융기부 또는 치형부 각각은 인장 시스템(300)에 의한 조임 방향(DT)으로의 이동을 허용[즉, 조임력(DT)이 제어 요소(314)에 인가되는 경우]하는 한편, 로킹 부재(412)가 로킹 상태일 때에 로킹 요소(315)를 파지함으로써 인장 시스템(300)에 의한 풀림 방향(DL)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각진 면을 갖는다. 로킹 부재(412)를 하우징(402)에 부착하기 위해, 압박 부재(438)(예컨대, 스프링)가 하우징(402)의 제2 단부(418)에 부착되는 제1 단부(440)와, 로킹 부재(412)의 제1 단부(444)에 부착되는 제2 단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로킹 부재(412)는 하우징(402)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케이블 로크(400)의 로킹 상태와 연관된 로킹 위치(도 12)와, 케이블 로크(400)의 로킹 해제 상태와 연관된 로킹 해제 위치(도 1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몇몇 예에서, 해제 기구(404)[예컨대, 해제 코드(404)]는 로킹 부재(412)를 로킹 위치(도 12)에서 로킹 해제 위치(도 13)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킹 부재(412)는 제1 단부(444) 반대측의 로킹 부재(41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탭부(446)를 포함할 수 있다. 일구성에서, 해제 코드(404)의 제1 단부(406)는 로킹 부재(412)의 탭부(446)에 부착된다. 탭부(446)는, 케이블 로크(400)를 로킹 해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제1 로크면(434)과 제2 로크면(436) 중 대응하는 로크면에 형성되고, 하우징(402)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유지 피쳐(450)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한 쌍의 유지 피쳐 또는 리세스(448)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2)과 연관된 유지 피쳐(450)는 하우징(402)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제1 유지 피쳐(450) 및 제2 유지 피쳐(450)를 포함할 수 있고, 유지 피쳐(450)는 대응하는 압박 부재(452)에 의해 공동(426)과 서로를 형해 내측으로 압박된다. 유지 피쳐(450)는 후퇴 상태(도 12)와 연장 상태(도 1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리빙(living) 힌지로서 작동하도록 하우징(402)과 일체로 형성되는 융기부일 수 있다.
도 12는, 로킹 부재(412)가 하우징(402)의 공동(426) 내에서 로킹 위치에 배치된 것을 보여주기 위해 덮개(414)가 제거된 상태의, 도 10의 케이블 로크(400)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몇몇 예에서, 로킹 부재(412)는 로킹 위치로 압박된다. 예컨대, 도 12는, 로킹 부재(412)의 제1 단부(444)를 하우징(402)의 제2 단부(418)를 향해 강제하여, 로킹 부재(412)를 로킹 위치로 압박하도록 로킹 부재(412)에 압박력(FB)(방향 DB로 나타냄)을 가하는 압박 부재(438)를 보여준다. 로킹 위치에서, 로킹 부재(412)는 인장 시스템(300)의 로킹 요소(315)를 로크면(434, 436)과 맞물림면(428, 430) 사이에 핀칭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402)에 대한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로킹 부재(412)의 로킹 위치는 인장 시스템(300)이 풀림 방향(DL)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시한 예에서, 로킹 부재(412)는, 조임력(FT)이 조임 그립(340)에 가해질 때에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을 허용하는데, 그 이유는 이 방향이 로킹 부재(412)의 대체로 웨지 형상으로 인해 인장 시스템(300)으로 하여금 로킹 부재(412)에 힘을 인가하게 하고, 이에 의해 로킹 부재(412)를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하기 때문이다. 일단 조임 그립(340)에 인가되는 힘이 압박 부재(438)에 의해 로킹 부재(412)에 부여되는 힘으로 인해 해제되고 나면, 로킹 부재(412)는 로킹 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도 13은, 로킹 부재(412)가 하우징(402)의 공동(426) 내에서 로킹 해제 위치에 배치된 것을 보여주기 위해 덮개(414)가 제거된 상태의, 도 10의 케이블 로크(400)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몇몇 예에서, 로킹 부재(412)의 탭부(446)에 부착되는 해제 코드(404)는 로킹 부재(412)에 해제력(FR)을 인가하여, 로킹 부재(412)를 제1 맞물림면(428)과 맞물림면(4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우징(402)에 대해 이동시킨다. 따라서, 해제력(FR)은 로킹 부재(412)가 하우징(402)에 대해 이동하게 하도록 압박 부재(438)의 압박력(FB)을 극복하기에 충분하고, 이에 따라 인장 시스템(300)의 로킹 요소(315)를 로크면(434, 436)과 맞물림면(428, 430) 사이에 핀칭하는 것이 해제된다. 몇몇 예에서, 해제 코드(404)에 의해 인가되는 해제력(FR)이 해제될 때에 압박력(FB)으로 인해 로킹 부재(412)가 로킹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해제 코드(404)는, 충분하거나 미리 정해진 크기의 해제력(FR)이 인가되어 해제 코드(404)를 갑피(100)로부터 멀어지도록 도 13의 시야에 대해 당길 때에 해제력(FR)을 인가할 수 있다.
로킹 해제 위치에서, 로킹 부재(412)는 인장 시스템(300)의 로킹 요소(315)를 로크면(434, 436)과 맞물림면(428, 430)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402)에 대한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을 허용한다. 로킹 부재(412)의 로킹 해제 위치는, 힘(FT, FL)이 제어 요소(314)와 인장 요소(312) 각각에 인가될 때에 조임 방향(DT)과 풀림 방향(DL) 모두로의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을 허용한다.
몇몇 예에서, 해제 코드(404)에 인가되는 충분한 크기 및/또는 지속 기간으로 인해, 해제 코드(404)가 로킹 부재(412)에 압박력(FB)의 방향(도 12)과 반대되는 방향의 해제력(FR)(도 13)을 가하고, 이에 따라 로킹 부재(412)가 맞물림면(428, 4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우징(402)에 대해 그리고 하우징(402)의 제1 단부(416)를 향해 이동한다. 하우징(402)의 유지 피쳐(450)들 중 하나 이상은, 해제력(FR)이 로킹 부재(412)를 하우징(402)의 제1 맞물림면(428)과 제2 맞물림면(430)의 반대 방향으로의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킬 때에 로킹 부재(412)의 유지 피쳐(448)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에서, 일단 해제력(FR)이 해제되어 해제력(FR)의 인가를 중단하고 나면, 로킹 부재(412)의 유지 피쳐(448)와 하우징(402)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피쳐(450) 간의 맞물림이 로킹 부재(412)를 로킹 해제 위치에 유지한다. 로킹 부재(412)가 예정된 거리만큼 이동하고, 해제력(398)이 더 이상 인가되지 않게 된 후, 압박 부재(438)의 압박력(FB)과 압박 부재(452) 상에 의해 유지 피쳐(450)에 인가되는 힘이 로킹 부재(412)의 유지 피쳐(388e)를 하우징(402)의 유지 피쳐(450)와 맞물리도록 로킹한다.
몇몇 시나리오에서, 제1 크기와 연관된 해제력(FR)이 해제 코드(404)에 인가되어 로킹 부재(412)를 맞물림면(428, 430)의 반대 방향으로 예정된 거리 미만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피쳐(448, 450)가 맞물리지 않는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제1 크기와 연관된 해제력(FR)은, 발 주위의 내부 공간(102)의 맞음새를 조정하기 위해 인장 시스템(300)을 풀림 방향(DL)이나 조임 방향(DT)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유지될 수 있다. 일단 발 주위의 내부 공간(102)의 원하는 맞음새가 달성되고 나면, 해제력(FR)이 해제되어, 로킹 부재(412)가 로킹 위치로 다시 이동하여, 풀림 방향(DL)으로의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이 제한되어, 원하는 맞음새가 지속될 수 있다. 로킹 부재(412)가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인장 시스템(300)이 조임 방향(DT)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일단 해제력(FR)이 해제되고 원하는 맞음새가 달성되고 나면, 로킹 부재(412)는 하우징(402)에 대한 인장 시스템(300)의 위치를 로킹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맞음새를 자동으로 지속한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와 연관된 해제력(FR)이 해제 코드(404)에 인가되어, 로킹 부재(412)를 맞물림면(428, 430)의 반대 방향으로 예정된 거리만큼 이동시켜, 대응하는 유지 피쳐(448, 450)들이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유지 피쳐(448, 450)들의 맞물림은, 유지 피쳐(450)에 로킹 부재(412)에 대향하는 테이퍼진 에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해제 코드(404)가 예정된 거리만큼 당겨질 때에 로킹 부재(412)가 압박 부재(452)에 의해 부여되는 압박력(FB)에 대하여 유지 피쳐(450)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들 시나리오에서 대응하는 유지 피쳐(448, 450)들 간의 맞물림은 해제력(FR)이 해제될 때에 로킹 부재(412)를 로킹 해제 위치에 유지한다.
로킹 부재(412)는, 조임력(FT)이 제어 요소(314)에 인가될 때에 로킹 위치로 복귀된다. 즉, 바깥쪽 스트랜드(320)와 안쪽 스트랜드(322)에 힘이 인가될 때, 이들 스트랜드는 인장 상태로 되고, 이어서 스트랜드(320, 322)가 유지 피쳐(450)의 부분을 통과할 때에 유지 피쳐(450)를 통해 압박 부재(452)에 힘을 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지 피쳐(450)는 압박 부재(452)를 압축하고, 이로 인해 유지 피쳐(450)들이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며, 유지 피쳐가 로킹 부재(412)의 유지 피쳐(448)와 분리되어, 압박 부재(438)가 로킹 부재(412)를 로킹 위치로 복귀시게 한다.
사용 시, 신발류 물품(10)은 인장 시스템(300)을 사용하여 느슨한 상태(도 1a 및 도 2a)와 조여진 상태(도 1b 및 도 2b)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초기에 느슨한 상태로 제공된 신발류(10)에 있어서, 인장 요소(312)의 스트랜드(316, 318)의 유효 길이[즉, 제1 단부(324, 328)에서부터 제2 단부(326, 330)까지의 거리]는 최대화될 것이고, 이에 따라 인장 요소(312)가 갑피(100) 주위에서 느슨한 상태로 있고, 제어 요소(314)의 스트랜드(320, 322)의 유효 길이[즉, 제1 단부(332, 336)로부터 제2 단부(334, 338)까지의 거리]는 최소화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이 신발류(10)의 내부 공간(102)으로 삽입될 수 있고, 갑피(100)의 재료는 내부에 발을 수용하도록 갑피(100)가 연신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갑피(100)의 내부 공간(102) 내에 삽입된 경우, 인장 시스템(3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여진 상태로 변경되어, 신발류(10)를 발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요소(300)는 제어 요소(314)의 조임 그립(340)에 조임력(FT)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조여진 상태로 변경되고, 이에 의해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할 때, 케이블(302)은 케이블 로크의 하우징(402)을 통해 당겨지고, 이에 의해 인장 요소(312)의 스트랜드(316, 318)의 유효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는 갑피(100)를 발 주위에서 조여진 상태로 변경하도록 갑피(100) 주위에서 최소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요소(312)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될 때, 바깥쪽 스트랜드(316)와 안쪽 스트랜드(318)는 조임력(FT)을 전족 스트랩(308)의 단부(386a, 386b)로 분배하여, 전족 스트랩(308)을 스로트(108)에 대해 타이트하게 당긴다. 이와 동시에, 인장 요소(312)의 바깥쪽 스트랜드(316)와 안쪽 스트랜드(318)가 조임력(FT)을 힐 스트랩(310)의 단부(392a, 392b)로 분배하여, 사용자의 발목 후방 둘레의 힐 카운터(112)를 수축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 요소(314)의 유효 길이는, 인장 시스템(300)이 조여진 상태로 변경될 때에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요소(314)는 외피(306)의 탄성에 의해 갑피(100)에 대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고, 외피(306)는 수축될 때에 제어 요소(314)가 외피(306) 내에서 접히게 함으로써 제어 요소(314)의 증가된 유효 길이를 수용한다.
사용자가 발에서 신발류 물품(10)을 제고하고자 하는 경우, 인장 시스템(300)은 느슨한 상태로 변경되어, 갑피(100)가 발 주위에서 느슨해지게 할 수 있다. 처음에, 케이블 로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438)의 압박력(FB)을 극복하기 위해 충분한 해제력(FR)을 인가함으로써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되어야만 한다. 일단 케이블 로크(400)가 로킹 해제 상태로 변경되고 나면, 사용자의 발에서 신발류 물품(10)을 당김으로써 케이블(302)이 케이블 로크의 하우징(402)을 통해 풀림 방향(DL)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는 본질적으로 갑피가 확장되어, 인장 요소(312)의 스트랜드(316, 318)의 유효 길이를 증가하게 한다.
아래의 항은 전술한 신발류 물품 및 크레이들을 위한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 크레이들(cradle)로서, 갑피와 밑창 구조체 사이에서 연장되는 베이스,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1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 및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2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벽을 갖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복수 개의 아이렛(eyelet)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및 갑피를 느슨한 상태와 조여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로서, 제1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스트랜드와, 제2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2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블 채널을 통해 케이블의 제1 부분이 라우팅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블 채널을 통해 케이블의 제2 부분이 라우팅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제2 케이블 채널과 교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배치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배치되는 외피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강성 재료나 반강성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강성 재료와 반강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풀림 방향으로의 케이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 로크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9: 제8항에 있어서, 케이블 로크는 크레이들의 베이스와 밑창 구조체의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케이블 로크는 크레이들의 베이스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의 베이스는 케이블 로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리세스 또는 관통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의 베이스는 밑창 구조체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신발류 물품의 중족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의 제1 측부는 바깥측이고, 갑피의 제2 측부는 안쪽측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갑피에 걸쳐 연장되는 전족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트랜드가 전족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가 전족 스트랩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갑피의 힐 카운터(heel counter) 주위에서 연장되는 힐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트랜드는 힐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는 힐 스트랩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트랜드의 단부는 제1 측벽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의 단부는 제2 측벽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아치형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협동하여, 내부에 갑피가 배치되는 채널을 획정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스트랜드와 제2 스트랜드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긴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1: 신발류 물품을 위한 크레이들로서, 베이스, 베이스의 제1 측부로부터 제1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제1의 복수 개의 아이렛을 포함하는 제1 측벽, 및 베이스의 제2 측부로부터 제2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제2의 복수 개의 아이렛을 포함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크레이들.
항 22: 제21항에 있어서, 베이스, 안쪽 측벽 및 바깥쪽 측벽은 협동하여, 크레이들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신발류 물품의 갑피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채널을 획정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아치형인 것인 크레이들.
항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거의 평면형이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 각각은 아치형인 것인 크레이들.
항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원위 단부와 제2 원위 단부 중 하나 이상은 크레이들의 제1 단부에서 크레이들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베이스로 모이는 것인 크레이들.
항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의 높이는 크레이들의 제1 단부에서 크레이들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것인 크레이들.
항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항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항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제2 케이블 채널과 교차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제2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외피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피는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케이블 로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리세스 또는 관통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베이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1 측벽의 제1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5: 제34항에 있어서, 제2 케이블 채널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1 측벽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6: 제2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아이렛 중 하나 이상은 길쭉한 것인 크레이들.
항 37: 제2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 중 하나 이상은 원통형인 것인 크레이들.
항 38: 제2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 중 하나 이상은 해당 아이렛을 둘러싸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항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크레이들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항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균일한 높이를 갖는 것인 크레이들.
항 41: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가변적인 높이를 갖는 것인 크레이들.
항 42: 제2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베이스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탭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항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베이스의 리세스로부터 탭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항 44: 제2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강성 재료나 반강성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강성 재료와 반강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항 45: 제2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레이들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전술한 설명은 예시와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를 총망라하거나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피쳐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적용 가능하다면 상호 교환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지 않더라도 선택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피쳐는 또한 여러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본 개시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그러한 수정 모두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54)

  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
    크레이들(cradle)로서, 갑피와 밑창 구조체 사이에서 연장되는 베이스,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1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 및 베이스로부터 갑피의 제2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벽을 갖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복수 개의 아이렛(eyelet)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및
    갑피를 느슨한 상태와 조여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로서, 제1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1 스트랜드와, 제2 측벽의 아이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장되는 제2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케이블
    을 포함하고,
    신발류 물품은 풀림 방향으로의 케이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 로크(lock)를 포함하고,
    케이블 로크는 크레이들의 베이스와 밑창 구조체의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블 로크는 크레이들의 베이스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블 채널을 통해 케이블의 제1 부분이 라우팅(routing)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블 채널을 통해 케이블의 제2 부분이 라우팅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제2 케이블 채널과 교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배치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배치되는 외피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강성 재료나 반강성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강성 재료와 반강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의 베이스는 케이블 로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리세스 또는 관통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의 베이스는 밑창 구조체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신발류 물품의 중족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의 제1 측부는 바깥측(lateral side)이고, 갑피의 제2 측부는 안쪽측(medial side)인 것인 신발류 물품.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갑피에 걸쳐 연장되는 전족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트랜드가 전족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가 전족 스트랩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로 갑피의 힐 카운터(heel counter) 주위에서 연장되는 힐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제1 스트랜드는 힐 스트랩의 제1 단부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는 힐 스트랩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트랜드의 단부는 제1 측벽에 부착되고, 제2 스트랜드의 단부는 제2 측벽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아치형인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협동하여, 내부에 갑피가 배치되는 채널을 획정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스트랜드와 제2 스트랜드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긴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1. 갑피 및 밑창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크레이들로서,
    베이스;
    갑피의 외면을 따라 베이스의 제1 측부로부터 제1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제1의 복수 개의 아이렛을 포함하는 제1 측벽;
    갑피의 외면을 따라 베이스의 제2 측부로부터 제2 원위 단부로 연장되고 제2의 복수 개의 아이렛을 포함하는 제2 측벽; 및
    베이스의 리세스 내에 수용되고, 풀림 방향으로의 케이블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케이블 로크(lock)
    를 포함하고,
    케이블 로크는 크레이들의 베이스와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부분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케이블 로크는 베이스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인 크레이들.
  22. 제21항에 있어서, 베이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협동하여, 크레이들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갑피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채널을 획정하는 것인 크레이들.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아치형인 것인 크레이들.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평면형이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 각각은 아치형인 것인 크레이들.
  2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1 원위 단부와 제2 원위 단부 중 하나 이상은 크레이들의 제1 단부에서 크레이들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베이스로 모이는 것인 크레이들.
  26.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의 높이는 크레이들의 제1 단부에서 크레이들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것인 크레이들.
  27.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갑피를 느슨한 상태와 조여진 상태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크레이들.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중 하나 이상은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케이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제2 케이블 채널과 교차하는 것인 크레이들.
  30. 제28항에 있어서, 제2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는 케이블의 제2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31. 제27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내부에 외피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피는 케이블의 제1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32. 제28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케이블 로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리세스 또는 관통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로크는 케이블의 풀림 방향으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크레이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베이스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34. 제32항에 있어서, 제1 케이블 채널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1 측벽의 제1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것인 크레이들.
  35. 제34항에 있어서, 제2 케이블 채널은 상기 리세스로부터 제1 측벽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것인 크레이들.
  36.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아이렛 중 하나 이상은 길쭉한 것인 크레이들.
  37.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 중 하나 이상은 원통형인 것인 크레이들.
  38.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렛 중 하나 이상은 해당 아이렛을 둘러싸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크레이들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균일한 높이를 갖는 것인 크레이들.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가변적인 높이를 갖는 것인 크레이들.
  42.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베이스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탭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베이스의 리세스로부터 탭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인 크레이들.
  4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강성 재료나 반강성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강성 재료와 반강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인 크레이들.
  4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따른 크레이들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46. 제1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갑피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7. 제1항에 있어서, 크레이들은 갑피의 외면과 대향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8.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아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9.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갑피의 외면과 대향하는 오목한 내면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0. 제49항에 있어서,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의 오목한 내면에 대한 반대측 상에 볼록한 외면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1.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협동하여, 후방 단부 및 전방 단부 사이의 크레이들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U자 형상의 채널을 구비하는 크레이들을 제공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2.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두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렛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3.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4. 제53항에 있어서, 갑피를 느슨한 상태로부터 수축된 상태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조임 요소를 더 포함하고, 조임 요소는 채널에 의해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17029819A 2019-02-22 2020-02-20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KR102644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09309P 2019-02-22 2019-02-22
US62/809,309 2019-02-22
PCT/US2020/019015 WO2020172393A1 (en) 2019-02-22 2020-02-20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6/796,061 2020-02-20
US16/796,061 US11382389B2 (en) 2019-02-22 2020-02-20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261A KR20210121261A (ko) 2021-10-07
KR102644764B1 true KR102644764B1 (ko) 2024-03-06

Family

ID=7214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819A KR102644764B1 (ko) 2019-02-22 2020-02-20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382389B2 (ko)
EP (1) EP3927205B1 (ko)
JP (2) JP7242883B2 (ko)
KR (1) KR102644764B1 (ko)
CN (1) CN113727622B (ko)
WO (1) WO2020172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6472B2 (en) *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CN112955047B (zh) * 2018-09-06 2022-11-2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反馈机构的动态系带系统
KR102154855B1 (ko) * 2018-11-07 2020-09-11 정현주 장식성과 편의성이 개선된 마네킹 신발
US11849806B1 (en) * 2019-02-04 2023-12-26 Scott Baker Shoe
KR102644764B1 (ko) * 2019-02-22 2024-03-0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JP7186151B2 (ja) * 2019-09-11 2022-12-08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US11758981B2 (en) * 2020-02-21 2023-09-19 Nike, Inc. Tensioning system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176243B1 (ko) * 2020-04-22 2020-11-09 이동훈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US20220110401A1 (en) * 2020-10-13 2022-04-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USD1031245S1 (en) * 2021-12-09 2024-06-18 Spray Moret, LLC Sho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027A1 (en) * 2007-10-09 2009-04-09 Nike, Inc. Footwear with a Foot Stabilizer
US20140223779A1 (en) * 2013-02-14 2014-08-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rconnected Tensile Strands
US20170280826A1 (en) * 2013-09-12 2017-10-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Member with Support Arm
US20180220734A1 (en) * 2016-07-22 2018-08-09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8182A (en) * 1972-04-13 1973-10-30 Nippon Rubber Usa Corp Soft and securely held shoe
US4550511A (en) * 1983-01-14 1985-11-05 Kangaroos U.S.A., Inc. Instep support for footwear
US4670998A (en) * 1986-01-28 1987-06-09 Chesebrough-Pond's, Inc. Navicular support tennis shoe
AT393940B (de) * 1986-03-21 1992-01-10 Koeflach Sportgeraete Gmbh Einrichtung zum festlegen eines fusses oder innenschuhes im vorfuss- bzw. ristbereich einer schale
US4811500A (en) * 1987-02-06 1989-03-14 L. A. Gear, Inc. Article of footware having an adjustable instep supporting insert
IT225832Y1 (it) * 1991-06-10 1997-01-24 Arkos Srl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piede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da t rekking
US5704138A (en) * 1991-07-04 1998-01-06 Salomon S.A. Mountain hiking boot with internal tightening device
FR2711896B1 (fr) * 1993-11-04 1995-12-22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à doublure au moins partiellement élastique.
US5416987A (en) * 1993-11-12 1995-05-23 L.A. Gear, Inc. Speed closure for footwear
FR2726440B1 (fr) * 1994-11-07 1997-01-03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US5692319A (en) * 1995-06-07 1997-12-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360° wrap fit closure system
JP2793980B2 (ja) * 1995-07-12 1998-09-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
US6073370A (en) * 1998-02-23 2000-06-13 Shimano Inc. Snowboard boot power lacing configuration
US6401366B2 (en) * 1999-04-16 2002-06-11 Nike, Inc. Athletic shoe with stabilizing frame
US7347012B2 (en) * 2005-07-15 2008-03-25 The Timberland Company Shoe with lacing
US8312646B2 (en) * 2006-05-25 2012-11-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tensile element
US20110185597A1 (en) * 2008-07-08 2011-08-04 Ecco Sko A/S Golf shoe with a stabilizing system
US8479415B2 (en) * 2010-03-30 2013-07-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detachable wrap
US8973288B2 (en) * 2010-07-30 2015-03-10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ngled tensile strand elements
US8875418B2 (en) * 2011-02-04 2014-11-04 Nike, Inc.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872537B2 (en) * 2014-04-08 2018-01-23 Nike, Inc.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lightweight, selectively supported textile components
FR3024022B1 (fr) * 2014-07-22 2017-04-28 Salomon Sas Article chaussant a structure amelioree
US10681957B2 (en) * 2015-09-17 2020-06-16 Daniel Thomas Duarte Suspension bridging shoe
US10206453B2 (en) * 2016-02-12 2019-02-19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including a support cage
US11033068B2 (en) * 2016-03-07 2021-06-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rnal support member
US11408104B2 (en) * 2016-12-16 2022-08-09 The North Face Apparel Corp. Footwear article including circular knit structures
US10856619B2 (en) * 2017-03-06 2020-12-08 Fuerst Group,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knit upper with edging
KR102644764B1 (ko) * 2019-02-22 2024-03-0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027A1 (en) * 2007-10-09 2009-04-09 Nike, Inc. Footwear with a Foot Stabilizer
US20140223779A1 (en) * 2013-02-14 2014-08-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rconnected Tensile Strands
US20170280826A1 (en) * 2013-09-12 2017-10-0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Having Member with Support Arm
US20180220734A1 (en) * 2016-07-22 2018-08-09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US20180228244A1 (en) 2016-07-22 2018-08-16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7205B1 (en) 2024-05-15
EP3927205A1 (en) 2021-12-29
US11382389B2 (en) 2022-07-12
JP7242883B2 (ja) 2023-03-20
CN113727622B (zh) 2023-07-18
US20200268106A1 (en) 2020-08-27
JP2022521013A (ja) 2022-04-04
JP2023085270A (ja) 2023-06-20
CN113727622A (zh) 2021-11-30
KR20210121261A (ko) 2021-10-07
US20220304420A1 (en) 2022-09-29
WO2020172393A1 (en)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764B1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KR102629265B1 (ko) 신발 체결 시스템
EP3506781B1 (en) Lacing system with loops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TWI732504B (zh) 具有分支前足帶的鞋類物品及鞋面
US11707113B2 (en) Easy-access article of footwear with cord lock
US20210235819A1 (en) Tensioning system for article of footwear
KR20180015166A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제어 장치
CN115697126A (zh) 用于鞋类物品的鞋面
CN109890238B (zh) 用于鞋类物品的鞋带导引件
KR20210087518A (ko) 구역 동적 레이싱 시스템
US20210093046A1 (en) Zonal dynamic lacing system
KR102604508B1 (ko)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JP7445054B2 (ja) 足進入のための磁気保持開口を備える履物アッパー
US20230248113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structure
WO2023150658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