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08B1 -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 Google Patents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08B1
KR102604508B1 KR1020227005239A KR20227005239A KR102604508B1 KR 102604508 B1 KR102604508 B1 KR 102604508B1 KR 1020227005239 A KR1020227005239 A KR 1020227005239A KR 20227005239 A KR20227005239 A KR 20227005239A KR 102604508 B1 KR102604508 B1 KR 10260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ection
footwear
article
se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5213A (ko
Inventor
토비 디 하트필드
에릭 비 아바
로스 클레인
제프리 씨 스팽크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3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조체와 갑피를 포함한다. 갑피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밑창 구조체 위에 발 수용 공동을 부분적으로 획정할 수 있다.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다. 발 수용 공동은 접근 위치에서 더 노출되어 발의 진입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스트랩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루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트랩은 갑피의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스트랩은 루프형 핸들이 노출된 상태로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원위부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78,85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미국 출원은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교시는 일반적으로 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신발류를 포함한다.
신발류는 지면으로부터 발을 떨어뜨리는 간격을 두기 위해 착화자의 발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밑창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에 부착되는 신발류 갑피는 발을 수용한다. 발에 대한 갑피의 맞음새는, 갑피가 발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느슨해지도록 체결 시스템에 의해 조정될 수 있지만, 발을 밑창 구조체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발 주위에서 조여질 수 있다. 예컨대, 레이싱(lacing) 시스템과 같은 폐쇄 시스템은 일단 발이 갑피 내에 수용되고 나면 묶이는 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신발류를 신는 것은 대개, 발을 삽입하는 동안 갑피의 발목 개구를 연신시켜 후방부를 유지하기 위해 한손이나 양손을 사용해야만 한다. 그 후, 발을 삽입한 후 끈을 묶는 것 등에 의해 갑피의 맞음새가 조정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한다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갑피의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루프형 핸들이 고정 위치에 있는 스트랩을 지닌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2는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으며 신발류 물품의 발 수용 공동에 진입하는 발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3은 갑피의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4은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교시의 대안의 양태에 따른,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는,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6은 갑피의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는, 도 5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교시의 대안의 양태에 따른, 갑피의 후방 섹션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으며 신발류 물품의 발 수용 공동에 진입하는 발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8은 갑피의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비고정 위치에 있는, 도 7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갑피의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는, 도 7의 신발류 물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부착된 인장 케이블을 부분 도시한, 신발류 물품을 위한 대안의 스트랩의 외측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부착된 인장 케이블을 부분 도시한, 도 10의 대안의 스트랩의 내측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후방 섹션이 사용 위치에 있고 도 10 및 도 11의 대안의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는, 신발류 물품의 후방부 및 안쪽 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부분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0 및 도 11의 대안의 스트랩이 고정 위치에 있고 대안의 루프형 핸들이 스트랩 상에 있는, 신발류 물품의 후방부 및 안쪽 측부를 보여주는 후방 부분 사시도이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발 개구를 확장시키기 위해 스로트 영역을 수동으로 연신시켜야만 하고 및/또는 끈을 조이고 묶어서 고정해야만 하는 신발류에 비해 필요한 손재주가 적고,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발을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피쳐(feature)를 갖는 다양한 신발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갑피는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는 섹션을 갖는다. 접근 위치는 손쉬운 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스트랩은 신발류에서부터 연장되고, 사용 위치에서 갑피의 접히는 섹션을 지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스트랩을 고정 위치로 조작하는 것을 손쉽게 하는 루프형 핸들을 갖는다.
일례에서,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조체와 갑피를 포함한다. 갑피는 제1 섹션과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밑창 구조체 위에 발 수용 공동을 부분적으로 획정할 수 있다.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다.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서보다 접근 위치에서 더 노출되어 발의 진입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스트랩은 제1 섹션과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루프형 핸들은 또한 루프 또는 그랩 핸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스트랩은 갑피의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달리 말하자면, 스트랩은 제2 섹션의 외면을 가로질러 연장될 만큼(예컨대, 제2 섹션의 후방부 둘레를 감쌀 만큼) 충분히 길다. 스트랩은 루프형 핸들이 노출된 상태로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원위부를 가질 수 있다. 루프형 핸들은 이에 따라 루프형 핸들이 없는 스트랩의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적은 손재주로 스트랩의 고정 및 해제를 더 손쉽게 달성하게 한다. 예컨대, 루프형 핸들이 없는 스트랩을 갑피 상의 해제 가능한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스트랩의 가장자리를 잡고 스트랩에서 잡아당기거나 떼어내야 하므로, 손가락이 상대적으로 강하고 민첩해야만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루프형 핸들을 지닌 스트랩은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루프형 핸들에 의해 형성된 개구 안으로 집어 넣어, 루프형 핸들을 파지할 필요 없이 손가락을 루프형 핸들 안에 끼운 상태로 손을 움직임으로써 스트랩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루프형 탭의 어느 방향이든 특정 신체 능력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게 더 유리할 수 있다.
일양태에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에서 그리고 제1 위치에서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스트랩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는(예컨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스트랩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어느 위치에서든 스트랩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트랩에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트랩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루프형 핸들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트랩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스트랩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트랩의 폭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루프형 핸들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트랩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스트랩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스트랩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스트랩의 원위부는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1 파스너 부분은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스트랩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파스너 부분은 갑피의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파스너 부분은 제2 파스너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에서, 제1 파스너 부분은 스트랩의 내측부에 고정될 수 있고,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외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스너 부분은 루프형 핸들 정반대측의 스트랩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트랩을 고정하기 위해 고리형 핸들 밖으로 손을 움직이지 않고 루프형 핸들에 의해 스트랩을 조작하는 손으로 제1 파스너 부분에서 갑피에 대해 스트랩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구성에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와 스트랩의 하부 에지 사이에서의 스트랩의 폭은 스트랩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변한다. 예컨대, 스트랩은 근위 단부와 스트랩의 중간부 사이 그리고 원위 단부와 중간부 사이에서보다 중간부에서 더 넓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를 따라 볼록할 수 있고,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하부 에지를 따라 볼록할 수 있다. 더욱이, 스트랩의 중간부는, 스트랩이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갑피의 제2 섹션에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의 가장 넓은 부분은 사용 위치에서 제2 섹션을 지지하여, 추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일양태에서, 일련의 파스너가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른 일련의 파스너는 긴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긴 스트립은 긴 스트립의 길이가 스트랩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이 경우 스트랩의 길이는 스트랩의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연장된다. 갑피에 있는 제2 섹션의 외면은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일련의 파스너는 제2 섹션의 후크 앤 루프 재료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갑피는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획정할 수 있고,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 모두는 제2 섹션을 한정하며, 갑피의 에지로부터 밑창 구조체를 향해 도중까지 하향 연장되어 바이트 라인의 위에서 종료될 수 있다. 스트랩은 갑피의 제1 섹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2 섹션은 안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와 바깥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 사이에서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을 수 있고, 제2 섹션은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하향 및 후방으로 접히는 제2 섹션의 상부 에지와 함께 접힘 영역에서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접힐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된 전방 섹션일 수 있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의 후방의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에서,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이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될 수 있고, 갑피의 제1 섹션 바깥으로 연장되어 스트랩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이 제1 섹션의 제2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은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스트랩은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서만 갑피에 비해제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파스너는 갑피에 있는 제1 섹션의 제1 측부(예컨대, 바깥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은 제1 섹션의 제2 측부(예컨대, 안쪽 측부)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기 전에 인장 케이블의 인장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파스너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쳐 및 장점과 다른 피쳐 및 장점은, 첨부도면과 연계되는 본 교시를 실시하기 위한 모드에 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명백하다.
도면을 참고하면, 유사한 참조부호는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며, 도 1은 밑창 구조체(12)와, 밑창 구조체(12)에 고정된 갑피(16)를 갖는 신발류 물품(12)을 보여준다. 갑피(16)는, 발 수용 공동(18)의 개구를 확장하기 위해 수동으로 갑피를 연신시키지 않고 발(20)(도 2에서 가상선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발 수용 공동(18)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82)은 갑피(16)를 지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갑피로의 스트랩(82)의 라우팅 및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루프형 핸들(83)을 갖는다.
여기에 예시한 신발류(10)는 농구와 같은 스포츠를 위해 구성된 운동화로서 도시되었지만, 신발류(10)는 농구화나 다른 운동화로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류(10)는 레저용 신발, 드레스 슈즈, 작업화, 샌들, 슬리퍼, 부츠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신발류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류(10)는 전족 영역(24), 중족 영역(26), 힐 영역(28)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들은 또한 밑창 구조체(12)와 갑피(16)의 전족 영역, 중족 영역 및 힐 영역이기도 하며, 갑피(16)에 의해 발목 영역(31)이 획정된다. 전족 영역(24)은 대체로, 발가락과, 중족골(metatarsal)과 발의 지골(phalange)을 연결하는 조인트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 영역(26)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 영역과 발등에 대응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부분을 포함하고, 힐 영역(28)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한다. 발목 영역(31)은 발목에 대응한다. 전족 영역(24), 중족 영역(26), 힐 영역(28), 및 발목 영역(31)은 신발류(10)의 정확한 영역을 구분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설명을 돕기 위해 신발류(10)의 일반적인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밑창 구조체(12)는 중창(32) 및 외창(34)을 포함한다. 중창(32)은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20)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지면 반력을 감소시키는(즉, 완충을 제공하는) 압축성 폴리머 발포체 요소(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32)은 유체 충전 챔버, 플레이트, 조정자(moderator) 또는 힘을 더 감소시키거나,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발(20)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기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32)은 하나의 일체형 중창일 수도 있고, 유닛으로 일체화된 다수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창(32)은 외창(34)과 하나의 밑창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외창(34)은 일체형일 수도 있고, 다수의 외창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일례에서는 정지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텍스처 처리될 수 있고/있거나, 중창(32)에 고정된 클리트(cleat)와 같은 정지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16)는 제1 섹션(16A) - 여기에서는 전방 섹션(16A)이라고도 함 - 과 제2 섹션(16B) - 여기에서는 후방 섹션이라고도 함 - 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후방 섹션(16B)은 전방 섹션(16A)에 대해 접히도록 구성되고, 섹션(16A, 16B)은,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도 1)와 접근 위치(도 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협동하게 구성된다. 사용 위치와 접근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은 핸즈프리 방식으로 또는 수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화자는 본인의 발(20)을 발 수용 공동(18)에 삽입하기 전에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후방 섹션(16B)을 접근 위치로 접을 수 있다. 예컨대, 착화자는 후방 섹션(16B)을 접근 위치로 접기 위해 본인 손을 사용하여 루프형 탭(52)을 후방 섹션(16B)으로부터 연장되게 파지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잡을 수 있다. 진입하는 착화자의 발(20)이 접혀 있는 후방 섹션(16B)의 내측부에 살짝 닿아,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로 다시 접히게 할 수 있다. 착화자는 후방 섹션(16B)을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착화자의 다른 발을 사용하여 후방 섹션(16B)을 접근 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사용 위치는 후방 섹션(16B)의 사용 위치로의 압박을 통해서만 및/또는 스트랩(82), 또는 스냅, 지퍼, 버튼 또는 다른 파스너(도시하지 않음)의 고정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후방 섹션(16B)은 사용 위치에서 이 후방 섹션(16B)이 접힘 영역(60)에서 접힐 때보다 낮은 후방 섹션(16B)의 다양한 층을 포함하는 재료의 내력에 의해, 도시한 사용 위치로 압박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어스는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로 다시 접히도록 강제한다. 제2 섹션[후방 섹션(16B)]이 제1 섹션[전방 섹션(16A)] 후방의 힐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접히는 제2 섹션은 신발류의 안쪽 측부(44)나 바깥 측부(42)에 배치될 수도 있고, 신발류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발(20)이 신발류(10)의 발 수용 공동(18) 내에 위치 설정되면, 중창(32)의 발 대향면에서 지지된다. 중창(32)의 발 대향면은 갑피(16)의 하부 영역에 고정된 스트로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또한, 내창(insole)(도시하지 않음)이 스트로벨 상에 또는 스트로벨이 없는 실시예에서는 밑창 구조체(12) 상에 직접 놓일 수 있고, 이 경우 발(20)은 밑창 구조체(12)와 내창 모두에 의해 지지된다.
신발류(10)는 바깥 측부(42)(도 2에 도시되어 있음)와 안쪽 측부(44)(도 1에 도시되어 있음)를 갖는다. 바깥 측부(42)는 제1 측부라고 칭할 수 있고, 안쪽 측부(44)는 제2 측부라고 칭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바깥 측부(42)와 안쪽 측부(44)는 전족 영역(24), 중족 영역(26), 힐 영역(28) 및 발목 영역(31)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신발류 물품(10)의 대향 측부 - 대향 측부 각각은 당업자가 이해하다시피 신발류 물품(10)의 종방향 중심선의 맞은 편에 속함 - 에 상응한다. 안쪽 측부(44)는 이에 따라 바깥 측부(42)에 반대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갑피(16)는 가죽, 직물, 폴리머, 면, 발포체, 복합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일 수 있다. 전방 섹션(16A)은, 발의 삽입 및 편안함을 돕기 위해 후방 섹션(16B)의 재료 또는 재료들보다 높은 탄성, 높은 통기성 또는 높은 탄성 및 높은 통기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섹션(16B)은 힐 영역(28)에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전방 섹션(16A)보다 강성인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방 섹션(16A)은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머 재료일 수 있고, 편복(編覆) 구성, 편직(예컨대, 날실뜨기) 구성 또는 부직 구성일 수 있다.
전방 섹션(16A)과 후방 섹션(16B)은 갑피(16)의 일체부이고, 후방 섹션(16B)은 갑피(16)의 바깥쪽 슬릿(46)(도 3)과 갑피(16)의 안쪽 슬릿(48)(도 1)에 의해 한정됨으로써 형성되고, 2개의 슬릿(46, 48) 모두는 후방 섹션(16B)을 한정하고, 갑피(16)의 상부 영역(50)으로부터 밑창 구조체(12)를 향해 도중까지 하향 연장된다.
후방 섹션(16B)은 여전히 접힘을 가능하게 하면서 후방 섹션(16B)에서 비교적 두꺼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리빙 힌지(living hinge)로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후방 섹션(16B)은 접근 위치로 접히는 접힘 영역(60)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섹션(16B)은 접힘 영역(60) 위 그리고 접힘 영역(60)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60)에서 더 얇고, 이에 따라 접힘 영역(60)에 리빙 힌지를 획정한다. 예컨대, 도 4을 참고하면, 패딩(62)(점선으로 나타냄)이 후방 섹션(16B)의 외층과 내층 사이에서 또는 후방 섹션(16B)의 나머지 층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접힘 영역(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패딩(65) 또는 강성 힐 카운터가 접힘 영역(60) 아래에 그리고 외층과 내층 사이에서 배치될 수 있다. 패딩(62, 65)은 패딩이 없는 접힘 영역(60)보다 두꺼울 수도 있고, 더 얇은 패딩을 가질 수도 있다.
스트랩(82)은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 데 사용된다. 도 1 및 도 3은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82)이 안쪽 측부(44)에서 바깥 측부(42)로 전방 섹션(16A)을 가로질러 둘러싼 다음, 바깥 측부(42)에서 안쪽 측부(44)로 후방 섹션(16B) 주위로 연속하는 신발류(10)의 안쪽 측부(44)를 보여준다. 스냅, 지퍼, 버튼이나 다른 파스너(도시하지 않음)가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후방 섹션(16B)과 전방 섹션(16A) 사이의 슬릿(46, 48)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변형에서, 후방 섹션(16B)과 전방 섹션(16A)의 일부가 슬릿(46, 48)에서 중첩될 수 있고,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82)은 스트랩(82)의 외면(84)(외측부)에 고정된 루프형 핸들(83)을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루프형 핸들(83)은 스트랩(82)의 외면(84)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루프형 핸들(83)은 스트랩(82)의 내면(내측부 또는 내부 측부)에 고정될 수 있고, 여전히 외면(84)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루프형 핸들(83)의 단부는 스트랩(82)의 상부 에지와 저부 에지 위에서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트랩(8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칭(81) 등에 의해 안쪽 측부(44)에서 전방 섹션(16A)에 고정된 근위부(82A)(근위 단부라고도 함)를 갖는다. 스트랩(82)은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서 바깥 측부(42) 주위로 그리고 후방 섹션(16B)을 가로질러 다시 안쪽 측부(44)로 연장되고, 역시 안쪽 측부(44)(예컨대, 스트랩이 연장되는 것과 동일한 측부)에서 갑피(16)의 전방 섹션(16A)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원위부(82B)(원위 단부라고도 함)를 갖는다. 루프형 핸들(83)은 근위 단부(82A)보다 원위 단부(82B)에 근접해서 스트랩(82)의 외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를 형성한다. 루프형 핸들(83)은 스트랩(82)[예컨대, 스트랩(82)의 외면(84)]에 고정되고, 스트랩(82)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착화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83)은 제1 위치 그리고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스트랩(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83)은 스티칭 등에 의해 위치(64, 66)에서 스트랩(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83)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 사이에서 스트랩(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64)로부터 제2 위치(66)로] 스트랩(82)의 폭을 따라 연장되고, 이에 따라, 핸들(83)과 스트랩(82) 사이에 개구(91)가 형성되며, 이 개구(91)는 스트랩(82)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스트랩(82)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핸들(83)이 스트랩(82)과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를 형성한다.
후크 앤 루프 파스너와 같은 파스너 부분(85)(점선으로만 도시함)은 루프형 핸들(83) 반대측의 스트랩(82)의 내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82)이 도 1에서와 같이 고정될 때, 스트랩(82)은 바깥쪽 슬릿(46), 후방 섹션(16B) 및 안쪽 슬릿(48)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파스너 부분(85)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파스너 부분(86)이 안쪽 측부(44)에서 전방 섹션(16A)에 고정될 수 있다. 발(20)이 삽입되고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로 복귀하고 난 후, 스트랩(82)은 바깥 측부(42)로부터 안쪽 측부(44)까지 후방 섹션(16B) 주위를 둘러쌀 만큼 충분히 길다. 파스너 부분(85)은 전방 섹션(16A)을 향한 원위부(82B)의 한번의 압박 동작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 부분(86)에 고정될 수 있고, 갑피(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한번의 떼어내는 동작을 통해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랩(82)은 바깥 측부(42)로부터 연장되고, 후방 섹션(16B) 주위를 둘러싸며, 바깥 측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스트랩(82)의 근위부(82A)는 후방 섹션(16B)에 고정될 수 있고, 스트랩(82)은 바깥 측부와 안쪽 측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바깥 측부와 안쪽 측부 중 나머지 하나까지 전방 섹션(16A) 주위를 감쌀 수 있다.
도 4는 접힘 영역(60)이 슬릿(48)[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릿(46)도 또한]의 하부 영역과 수평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의 신발류 물품(10) 후방을 보여준다. 루프형 탭(52)은 수직축(VA)과 정렬되고, 후방 섹션(16B)은 측방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또는 측방으로 아주 약간만 이동하면서 수직축(VA)을 따라 접힌다.
루프형 탭(52)은 힐 풀 탭(heel pull tab)으로 구성되고, 후방 섹션(16B)에 고정된다. 도 6에서 명백하다시피, 루프형 탭(52)은,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접힘 영역(60) 위에 배치된다. 루프형 탭(52)은 스티치(53)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1 위치(64)에서 그리고 스티치(54)에 의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2 위치(66)에서 후방 섹션(16B)에 부착된다. 루프형 탭(52)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 사이에서 후방 섹션(16B)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된다. 달리 말하자면, 루프형 탭(52)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 사이(66)에서 후방 섹션(16B)으로부터 이격된다. 루프형 탭(52)은 제1 위치(64)와 제2 위치 사이(66)에서 후방 섹션(16B)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루프형 탭(52)과 후방 섹션(16B)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68)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예컨대, 수평방향으로 루프형 탭(52)의 한 측면에서 루프형 탭(52)의 다른 측면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루프형 탭(52) 대신에 루프형이 아닌 탭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탭은 일단부에서만 후방 섹션(16B)에 앵커링된 직선형 스트립일 수 있다. 그러나, 탭(52)을 제1 위치(64)와 제2 위치(66)에서 후방 섹션(16B)에 부착하여 고리형으로 함으로써, 루프형 탭(52)을 보다 일관성 있고 손쉽게 잡아 스트랩(82)을 조작할 수 있다.
루프형 탭(52)은 직조 나일론과 같은 유연한 비신축성 재료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루프형 탭(52)은 튜브형이다. 예컨대, 탭(52)의 단부가 개방되어 튜브를 형성할 수 있지만, 후방 섹션(16B)에 고정되어 스티칭(53, 54)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이유로, 탭(52)은 후방 섹션(16B) 외측에 루프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루프형 탭으로 칭한다. 후방 섹션(16B)은 루프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스트랩(282)의 변형예에 의한 신발류 물품(2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신발류 물품(10 또는 11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도 7은 갑피(16)의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있고 스트랩(282)이 비고정 위치에 있으며 신발류 물품(210)의 발 수용 공동(18)에 진입하는 발(20)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신발류 물품(210)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신발류 물품(210)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282)과 케이블 및 파스너를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222)을 포함한다. 스트랩(282)은 전방 섹션(16A) 상에 배치된 파스너(286C)(도 8 및 도 9에 도시함)를 향해 원위부(282B)를 단일 압박하는 동작에 의해 파스너(285)를 통해 갑피(16)의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원위부(282B)를 갖는다. 스트랩은 갑피(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번에 떼어내는 동작을 통해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로부터 해제된다. 스트랩의 원위부(282B)는, 스트랩(282)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피(16) 외측에 유지될 때에 스트랩(282)의 근위부(282A)보다 갑피(16)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다.
파스너(285)는 제1 파스너 또는 제1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고, 파스너(286C)는 제2 파스너 또는 제2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282)은 이에 따라 스트랩(282)의 근위 단부(282D)보다 스트랩(282)의 원위 단부(282C)에 가까운 파스너(285)에 의해 전방 섹션(16A)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283)은 근위 단부(282D)보다 원위 단부(282C)에 가까운 스트랩(282)의 외측부(293)로부터 연장된다. 루프형 핸들(283)은 [예컨대, 스트랩(282)의 외면(84)으로부터] 스트랩(282)의 외측부(293)에 고정되고, 스트랩(282)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착화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도 9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같이, 루프형 핸들(283)은 제1 위치(265) 그리고 제1 위치(265)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266)에서 스트랩(2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283)은 스티칭 등에 의해 위치(265, 266)에서 스트랩(282)에 부착될 수 있다. 루프형 핸들(283)은 제1 위치(265)와 제2 위치(266) 사이에서 스트랩(2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265)와 제2 위치(2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265)로부터 제2 위치(266)로] 스트랩(282)의 폭을 따라 연장되고, 이에 따라, 핸들(283)과 스트랩(282) 사이에 개구(291)가 형성되며, 이 개구(291)는 스트랩(282)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스트랩(282)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핸들(283)이 스트랩(282)과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를 형성한다. 루프형 핸들(28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282)의 내측부(295)에 고정된 파스너(285) 반대측에 배치된다. 달리 말자하면, 루프형 핸들(283)은 스트랩(282)의 외측부(293) 상에 위치하고, 파스너(285)는 루프형 핸들(283) 정반대측의 스트랩(282) 내측부(295) 상에 위치한다.
체결 시스템(222)은, 후방 섹션(16B)이 접근 위치에 위치할 때에 발(20) 주위에서 전방 섹션(16A)을 조이도록 조정 가능하고 확실한 맞음새를 제공하여, 발(20)을 갑피(16) 아래에 놓인 밑창 구조체(12)에 대해 고정시킨다. 도 7 및 도 9를 참고하면, 체결 시스템(222)은 또한 제1의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도 포함한다. 인장 케이블(256)은 전방 섹션(16A)과 바이트 라인(bite line)(251) 근처의 바깥 측부(42) 상의 밑창 구조체(1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근위 단부(258)를 가질 수 있다. 스트랩(282)은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에 의해서만 갑피(16)에 비해제식으로 연결된다. 인장 케이블(256)은 전방 섹션(16A)에 있는 구멍(262)에서 갑피(16)로부터 나타날 때까지, 근위 단부(258) 근처에서 전방 섹션(16A)의 본체 내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전방 섹션(16A)의 외면 안쪽에 위치한다. 예컨대, 인장 케이블(256)은 전방 섹션(16A)의 내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전방 섹션(16A)에 일체로 직조되거나 고정된 채널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근위 단부(258)의 고정 및 구멍(262)의 간격은, 근위 단부(258)와 구멍(262) 사이에서 인장 케이블(256) 중 인접한 인장 케이블들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는 것을 보장한다. 단지 몇몇 근위 단부(258), 구멍(262) 및 인장 케이블(256)에만 참조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체결 시스템(222)은 또한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을 포함하는데, 이 루프형 케이블은 도 9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단지 몇몇 루프형 케이블(264)에만 참조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루프형 케이블(264)은 바이트 라인(251) 근처의 갑피(16)의 전방 섹션(16A) 또는 안쪽 측부(44) 상의 밑창 구조체(1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근위 단부를 갖는다.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이 근위 단부(258)로부터 전방 섹션(16A)의 바깥 측부(42)를 따라 상향 연장되고,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이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서 그 근위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인장 케이블(256)과 유사하게, 루프형 케이블(264)은 전방 섹션(16A)에 있는 구멍(268) - 이 구멍에서 루프형 케이블(264)의 루프형 단부(270)가 전방 섹션(16A)으로부터 연장됨 - 에서 갑피(16)로부터 나타날 때까지, 전방 섹션(16A) 내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전방 섹션(16A)의 외면 안쪽에 위치한다. 루프형 케이블(264)은 전방 섹션(16A) 본체의 내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전방 섹션(16A)에 일체로 직조되거나 고정된 채널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근위 단부의 고정 및 구멍(268)의 간격은, 근위 단부와 구멍(268) 사이에서 루프형 케이블(264) 중 인접한 인장 케이블들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는 것을 보장한다. 루프형 단부(270)는 루프형 케이블(264)의 연속 루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루프형 단부(270)는 스티칭 또는 케이블(264)의 2 부분을 서로 묶어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또는 케이블(264)의 단부에 구멍을 형성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인장 케이블(256)이나 루프형 케이블(264)과 같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케이블”이라는 용어는 가요성 있고 긴 인장 요소이며, 인장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구조이며,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레이스, 스트랜드, 와이어, 코드, 스레드(thread) 또는 스트링을 포함한다. 케이블(256, 264)은 (a) 특정 방향이나 위치에서의 갑피(16)의 연신에 저항하도록, (b) 밑창 구조체(12)와 갑피(16)에 대한 발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c) 발이 밑창 구조체(12) 및 갑피(16)에 대해 적절히 위치 설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및/또는 (d) 힘이 집중되는 위치를 보강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케이블(256, 264)에 적합한 재료로는 다양한 필라멘트, 섬유, 얀, 스레드 또는 레이온,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실크, 면, 탄소, 유리, 아라미드(예컨대, 파라아라미드 섬유 및 메타아라미드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액정 폴리머, 구리, 알루미늄 또는 강으로 형성된 로프가 있다.
계속해서 도 9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은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의 근위 단부(258)와, 스트랩(282)의 근위부(282A)에 고정되는 케이블(256)의 원위부(271) 사이에서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단지 몇몇 원위부(271)에만 참조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스트랩(282)의 원위 단부(282B)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섹션(16A)에 고정될 때,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256)은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264)에서 방향 전환되어, 이들 인장 케이블이 시작된 바깥 측부(42)를 향해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더 설명하다시피, 파스너는 스트랩(282)이 갑피(16) 상에 마련되어, 스트랩(282)의 조임과 위치 조정을 여전히 가능하게 하면서 전방 섹션의 안쪽 측부(44)와 바깥 측부(42) 모두에서의 바람직한 지지 조합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스너(285, 285A)는 스트랩(282) 상에 배치되고, 파스너(286A, 286B, 286C)(후크 앤 루프 재료라고도 함)는 갑피(16) 상에 배치되어, 스트랩(282)을 전방 섹션(16A)과 후방 섹션(16B)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돕도록 협동하여, 스트랩(282)이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파스너(285, 285A)는 스트랩(282)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일련의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다. 파스너(286A)는 힐 영역(28)에서 전방 섹션(16A)의 바깥 측부(42)에 고정되고(도 7 참조), 파스너(286B)는 힐 영역(28)에서 후방 섹션(16B)의 외면(287)에 고정되며(도 8 참조), 파스너(286C)는 힐 영역(28)에서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 고정된다(도 9 참조). 파스너(285, 285A)는 파스너(286A, 286B, 286C)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파스너(285, 285A, 286A, 286B, 286C)는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이다. 파스너(285, 285A)는 후크일 수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루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파스너(285, 285A)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후크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285, 285A)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285, 285A)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 있다. 게다가, 스냅, 버튼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파스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복수 개의 제1 파스너(285, 285A)는 스트랩(282)의 내측부(295)를 따라 이격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282)이 고정된 상태에서 갑피(16) 상에서의 스트랩(282)의 위치 설정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스트랩(282)을 따른 다수의 제1 파스너(285A)의 이격은, 스트랩(282)의 재료가 파스너(285A)의 재료보다 가요성이 큰 경우에 스트랩(282)이 더 많이 분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282)은 파스너(285A)가 서로 이격되지 않은 경우보다 제1 파스너(285A)들 사이의 공간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절될 것이다. 제1 파스너(285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스트립으로서 구성되고, 스트랩(282)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스트랩(282)의 저부 에지(290)와 스트랩(282)의 상부 에지(292)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면, 스트랩(282)은 바깥 측부(42)에서 안쪽 측부(44)로 후방 섹션(16B)의 후방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보다 양호하게 분절 가능하다.
스트랩(282)은,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바깥쪽 슬릿(46)과 안쪽 슬릿(48)을 가로지르고, 스트랩(282)은 안쪽 측부(44)에 고정된다. 케이블(256)의 원하는 인장량과 발(20)에 대한 갑피(16)의 관련 맞음새를 유지하기 위해, 스트랩(282)은 이러한 방식으로 갑피(16)의 후방부 둘레를 감싸고, 안쪽 측부(4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한가지 동작으로 조작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스트랩(282)은 우선 케이블(256)에서 원하는 인장 정도를 형성하도록 인장된 다음, 스트랩(282)에 대한 인장을 유지하면서 초기에 바깥 측부(42)에서 파스너(286A)에만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트랩(282)으로 [예컨대, 바깥쪽 슬릿(46), 후방 섹션(16B) 및 안쪽 슬릿(48)을 가로질러] 신발류(210)의 후방 둘레를 감싸기 전에 케이블(256)의 인장을 유지할 수 있고, 이어서 파스너(286C)에서 전방 섹션(16A)의 안쪽 측부(4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스트랩(282)이 후방 섹션(16B) 둘레를 감싸고 추가로 파스너(286B, 286C)에 고정되기 전에 먼저 고정될 수 있도록 파스너(286A)에 연결되어 부착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 및 도 11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신발류 물품(310)에서 스트랩(28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의 스트랩(382)을 보여준다. 신발류 물품(10, 110 및/또는 2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신발류 물품(310)의 구성요소는 유사한 참조부호로 표기된다. 도 10 및 도 11에는, 스트랩(382)이 도시되어 있고, 부착된 케이블(256)은 부분 도시되고, 스트랩(382)은 평탄하게 놓여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다시피, 스트랩의 상부 에지(392)와 스트랩의 하부 에지(390) 사이에서의 스트랩(382)의 폭은 원위 단부(382C)와 근위 단부(382D) 사이에서 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랩(382)은 중간부(382E)(폭 W1로 표기함)와 근위 단부(382D) 사이의 부분[폭 W2로 표기함]에서보다 스트랩의 중간부(382E)에서 더 넓고, 또한 중간부(382E)와 원위 단부(382C) 사이의 부분(폭 W3로 표기함)에서보다 중간부(382E)에서 더 넓으며, 이 경우 모든 폭은 스트랩(382)의 종방향 중심선(ML)에 수직하게 측정된다.
파스너는 스트랩(382)이 갑피(16) 상에 마련되어, 스트랩(382)의 조임과 위치 조정을 여전히 가능하게 하면서 전방 섹션의 안쪽 측부(44)와 바깥 측부(42) 모두에서의 바람직한 지지 조합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스너는 스트랩(382) 상에 파스너(385, 385A, 385B)를 포함하고, 이들 파스너는 스트랩(382)이 후방 섹션(16B)을 사용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트랩(382)을 전방 섹션(16A)과 후방 섹션(16B)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갑피(16) 상의 파스너(286A, 286B, 286C)와 협동한다. 파스너(385, 385A, 385B)는 스트랩(382)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일련의 파스너 부분이라고 칭할 수 있다. 파스너(385, 385A, 385B)는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일 수 있다. 파스너(385, 385A, 385B)는 후크일 수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루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파스너(385, 385A, 385B)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는 후크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385, 385A, 385B)는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일부는 후크이고 나머지는 루프일 수도 있으며, 파스너(385, 385A, 385B)는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도 있고, 파스너(286A, 286B, 286C) 중 하나 이상은 후크 앤 루프의 조합일 수 있다. 게다가, 스냅, 버튼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파스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복수 개의 제1 파스너(385, 385A, 385B)는 스트랩(382)의 내측부(395)를 따라 이격되고, 이로 인해 스트랩(382)이 고정된 상태에서 갑피(16) 상에서의 스트랩(382)의 위치 설정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스트랩(382)을 따른 다수의 제1 파스너(385A)의 이격은, 스트랩(382)의 재료가 파스너(385A)의 재료보다 가요성이 큰 경우에 스트랩(382)이 더 많이 분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파스너(385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스트립으로서 구성되고, 스트랩(382)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스트랩(382)의 저부 에지(390)와 스트랩(382)의 상부 에지(392)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면, 스트랩(382)은 바깥 측부(42)에서 안쪽 측부(44)로 후방 섹션(16B)의 후방 주위로 연장되도록 보다 양호하게 분절 가능하다. 파스너(385B)는 스트립보다는 라운드형이며, 이는 케이블(256)의 인장을 유지하는 바깥 측부(42)에 대한 스트랩(382)의 초기 압박 및 고정을 돕는 보다 큰 위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파스너(385)는 또한 원형이지만,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스트랩(382), 케이블(256) 및 갑피(16)는, 후방 섹션(16B)이 사용 위치에 있고 스트랩(382)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스트랩(382)의 가장 넓은 부분[예컨대, 중간부(382E)]이, 후방 섹션(16B)에 맞닿게 놓여 후방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크기가 정해져, 착화자의 힐에 증가된 측방 지지와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382)은, 가장 넓은 부분[중간부(382E)]이 후방 섹션(16B)에 배치되더라도, 전방 섹션(16A)에 고정될 때에 후방 섹션(16B)에 맞닿게 전체적으로 루프형 탭(52) 아래에 맞춰진다. 폭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스트랩(382)이 중간부(382E)에서 스트랩(382)의 상부 에지(392)를 따라 볼록하고 중간부(382E)에서 스트랩(382)의 저부 에지(390)를 따라 볼록하게 한다. 도 13은, 스트랩(382)이 바깥 측부(42)에서 바깥 슬릿(46)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보여주고, 도 12는 스트랩(382)이 안쪽 슬릿(48)과 바깥 슬릿(46)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을 참고하면, 신발류 물품(210)의 루프형 핸들(283)과 달리, 루프형 핸들(383)은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 스트랩(382)의 길이(예컨대, 종방향 중심선 LM)을 따라 연장되고, 여기에서 스트랩(382)에 스티칭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고, 개구(391)가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 루프형 핸들(383)과 스트랩(382)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391)는 스트랩(382)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루프형 핸들(383)은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 스트랩(3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364)와 제2 위치(3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364)로부터 제2 위치(366)로] 연장된다.
도 15는, 루프형 핸들(383) 대신에 사용되는 루프형 핸들(483)이 제2 위치(466) 위에 있는 제1 위치(464)에서 스트랩(382)에 고정되어, 루프형 핸들(483)과 스트랩(382) 사이의 개구(491)가 스트랩(382)의 길이를 따라(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신발류 물품(310)과 모든 양태에서 유사한 신발류 물품(4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개구(491)는 스트랩(382)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루프형 핸들(483)은 제1 위치(464)와 제2 위치(466) 사이에서 스트랩(382)에 연결되지 않고 제1 위치(464)와 제2 위치(466) 사이에서[예컨대, 제1 위치(464)로부터 제2 위치(466)로] 연장된다.
아래의 항은 여기에 개시된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신발류 물품으로서, 밑창 구조체;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 위에 발 수용 공동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갑피로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 있어서보다 접근 위치에 있어서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인 갑피; 및 제1 섹션과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으로부터 연장되고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루프형 핸들을 포함하고, 스트랩은 갑피의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스트랩은 루프형 핸들이 노출된 상태로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원위부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 제1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스트랩에 부착되고,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트랩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 제2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트랩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루프형 핸들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트랩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스트랩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원위부는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5: 제4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6: 제4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스트랩에 고정되는 제1 파스너 부분; 및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2 파스너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파스너 부분은 제2 파스너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파스너 부분은 스트랩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외측부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8: 제7항에 있어서, 제1 파스너 부분은 루프형 핸들 정반대측에서 스트랩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와 스트랩의 하부 에지 사이에서의 스트랩의 폭은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변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0: 제9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근위 단부와 스트랩의 중간부 사이 그리고 원위 단부와 중간부 사이에서보다 중간부에서 더 넓고, 스트랩의 중간부는, 스트랩이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제2 섹션에 맞닿게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1: 제9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를 따라 볼록하고,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하부 에지를 따라 볼록한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라 서로 이격된 일련의 파스너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른 일련의 파스너는 긴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긴 스트립은 이 긴 스트립의 길이가 스트랩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의 외면은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하며, 일련의 파스너는 제2 섹션의 후크 앤 루프 재료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는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획정하고,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 모두는 제2 섹션을 한정하며, 갑피의 에지로부터 밑창 구조체를 향해 도중까지 하향 연장되고, 스트랩은 제1 섹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안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와 바깥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 사이에서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힘 영역을 갖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으며, 제2 섹션은 접힘 영역에서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접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된 전방 섹션이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의 후방의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되고, 갑피의 제1 섹션 바깥으로 연장되어 스트랩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 및 제1 섹션의 제2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은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서만 갑피에 비해제식으로 연결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0: 제18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 배치되는 파스너를 더 포함하고, 스트랩은 제1 섹션의 제2 측부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기 전에 인장 케이블의 인장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파스너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1: 제2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트랩의 폭을 따라 연장되고, 루프형 핸들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트랩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스트랩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2: 신발류 물품으로서, 밑창 구조체;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 위에 발 수용 공동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갑피로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서보다 접근 위치에서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인 갑피; 제1 섹션과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으로부터 연장되고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루프형 핸들을 포함하고, 스트랩은 갑피의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스트랩은 루프형 핸들이 노출된 상태로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원위부를 갖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3: 제22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스트랩에 부착되고,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트랩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4: 제23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과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트랩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루프형 핸들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트랩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스트랩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원위부는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6: 제25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7: 제25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스트랩에 고정되는 제1 파스너 부분; 및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2 파스너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파스너 부분은 제2 파스너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 파스너 부분은 스트랩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외측부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파스너 부분은 루프형 핸들 정반대측에서 스트랩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와 스트랩의 하부 에지 사이에서의 스트랩의 폭은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서 변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1: 제30항에 있어서, 갑피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서보다 접근 위치에서 더 많이 노출되고,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스트랩은 근위 단부와 스트랩의 중간부 그리고 원위 단부와 중간부 사이에서보다 중간부에서 더 넓고, 스트랩의 중간부는, 스트랩이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제2 섹션에 맞닿게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2: 제30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를 따라 볼록하고,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하부 에지를 따라 볼록한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3: 제22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라 서로 이격된 일련의 파스너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34: 제33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른 일련의 파스너는 긴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긴 스트립은 이 긴 스트립의 길이가 스트랩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5: 제34항에 있어서, 갑피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서보다 접근 위치에서 더 많이 노출되고,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2 섹션의 외면은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하며, 일련의 파스너는 제2 섹션의 후크 앤 루프 재료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인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6: 제2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서보다 접근 위치에서 더 많이 노출되고,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갑피는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획정하고,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 모두는 제2 섹션을 한정하며, 갑피의 에지로부터 밑창 구조체를 향해 도중까지 하향 연장되며, 스트랩은 제1 섹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7: 제36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안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와 바깥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 사이에서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힘 영역을 갖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에서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접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8: 제37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된 전방 섹션이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의 후방의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39: 제22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갑피는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서보다 접근 위치에서 더 많이 노출되고,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신발류 물품은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되고, 갑피의 제1 섹션 바깥으로 연장되어 스트랩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 및 제1 섹션의 제2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 을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은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40: 제39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복수 개의 케이블에 의해서만 갑피에 비해제식으로 연결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41: 제39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 배치되는 파스너를 더 포함하고, 스트랩은 제1 섹션의 제2 측부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기 전에 인장 케이블의 인장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파스너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을 돕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여기에서 다양한 용어가 정의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아래의 정의는 본 명세서(청구범위 포함)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추가로, 인용되는 모든 인용예는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포함된다.
“신발류 물품”, “제조된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는 장비 및 제조 모두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조립되어 바로 착화할 수 있는 신발류 물품(예컨대, 신발, 샌들 부츠 등)과 신발류 물품을 착화하도록 준비되는 최종 조립 전의 신발류 물품의 개별 구성요소(예컨대, 중창, 외창, 갑피 구성요소 등)는 여기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신발류(들)”로 간주되고 대안으로서 언급된다.
단수 형태,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문맥에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그러한 아이템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메터(예컨대, 양 또는 조건의 파라메터)의 모든 수치값은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문맥상 달리 명백히 또는 분명히 나타나지 않는다면, “약”이 실제로 수치값 앞에 기재되던지 그렇지 않던지 간에,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약”은, 언급된 수치값이 약간의 부정확성을 (값에서의 정확도에 어느 정도 접근하게: 값에 대략 또는 상당히 근사하게: 거의)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에 의해 규정되는 부정확성이 그 통상의 의미로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다면, 여기에서 사용되는 “약”은 상기한 파라메터를 측정 및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변동을 나타낸다. 추가로, 범위의 개시는 모든 값 및 범위 내에서 더 분할된 범위를 상세히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구성된”,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이에 따라 언급한 피쳐, 단계, 공정, 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피쳐, 단계, 공정,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가능한 경우에 단계, 프로세스 및 공정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의 또는 대안의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열거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아이템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 중 임의의 것”이라는 구문은 “인용된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인용된 아이템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 중 임의의 항”이라는 구문은 “인용된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을 포함하여, 인용된 청구항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관성과 편의를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방향성 형용사가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위”, “아래”, “상향”, “하향”, “상부”, “저부” 등과 같은 용어들이 도면에 대해 기술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일컫는다. 예컨대, 신발의 종방향은 신발의 전족 영역에서 힐 영역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방” 또는 “앞쪽”이라는 용어는 힐 영역에서 전족 영역을 향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일컫는 데 사용되고, “후방” 또는 “뒷쪽”이라는 용어는 반대 방향, 즉 전족 영역에서 힐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일컫는 데 사용된다. 몇몇 경우, 구성요소는 종축과 종축을 따른 전방 및 후방 종방향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종방향 또는 종축은 또한 앞쪽-뒷쪽 방향 또는 앞쪽-뒷쪽 축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횡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을 일컫는다. 예컨대, 신발의 횡방향은 신발의 바깥 측부와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또는 횡축은 또한 측방향 또는 측방향 축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수직방향”이라는 용어는 측방향 및 종방향 모두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을 일컫는다. 예컨대, 밑창이 지면 상에 편평하게 놓이는 경우, 수직방향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방향성 형용사 각각은 밑창의 개별 구성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방” 또는 “상향”이라는 용어는, 갑피의 발등, 체결 영역 및/또는 스로트(throat)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상단을 향하는 수직방향을 일컫는다. “하방” 또는 “하향”이라는 용어는, 상향 방향의 반대로 구성요소의 저부를 향하는 수직방향을 일컫고,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저부를 향할 수 있다.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는 신발을 신었을 때에 착화자의 발이 차지하는 공간에 있는 부분을 일컫는다. 구성요소의 “내측부”는 신발류 물품의 조립 상태에서 신발류 물품이나 구성요소의 내부를 향해 배향되는(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일컫는다. 구성요소의 “외측부” 또는 “외측”은 조립된 신발에서 신발의 내부 반대측으로 배향된(또는 배향될)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표면을 일컫는다. 몇몇 경우, 조립된 신발류 물품에서 기타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내측부와 내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타 구성요소들이 구성요소의 외측부와 조립된 신발류 물품의 외측 공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향” 및 “내측을 향하는”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나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일컫고, “외측” 및 “외측을 향하는”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나 신발과 같은 신발류 물품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일컫는다. 게다가, “근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물품의 중심에 가깝거나, 착화자가 착화할 때에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된 경우에 발을 향해 더 근접한 방향을 일컫는다. 마찬가지로, “원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구성요소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어지거나 착화자가 착화할 때에 발이 신발류 물품에 삽입된 경우에 발로부터 멀어지는 상대 위치를 일컫는다. 이에 따라,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상대적인 공간 위치를 기술하기 위해 대체로 반대되는 용어를 제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제한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에게는 실시예의 범위 내에 속하는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의 임의의 피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다른 피쳐 또는 요소들과 결합되거나 이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의 견지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교시의 여러 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들 교시와 관련된 당해 기술에 익숙한 자라면, 본 교시를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의 양태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위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당업자가 포함된 내용에 의해 구조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다고 인식하는, 그렇지 않으면 포함된 내용에 기초하여 자명한 것으로 인식하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변형예의 전체 범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하며, 명시적으로 도시 및/또는 설명된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으로서,
    밑창 구조체;
    제1 섹션 및 제2 섹션을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 위에 부분적으로 발 수용 공동을 획정하는 갑피로서,
    갑피의 제1 및 제2 섹션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어 갑피 및 밑창 구조체의 교차 지점에서 바이트 라인을 획정하고,
    갑피는 안쪽(medial) 슬릿과 바깥쪽(lateral) 슬릿을 획정하고,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 모두는 제2 섹션의 경계를 이루며,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 모두는 갑피의 상부 에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바이트 라인의 위에서 종료되며,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되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의 후방에서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2 섹션은 접근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접히며, 발 수용 공동은 사용 위치에서보다 접근 위치에서 더 많이 노출되는 것인 갑피;
    제1 섹션과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 및
    스트랩으로부터 연장되고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루프형 핸들
    을 포함하고,
    스트랩은, 제2 섹션이 사용 위치에 위치할 때에, 갑피의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스트랩은 루프형 핸들이 노출된 상태로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원위부를 가지며,
    스트랩은 제1 섹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안쪽 슬릿과 바깥쪽 슬릿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스트랩에 부착되고,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트랩에 연결되지 않고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트랩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루프형 핸들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트랩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스트랩의 길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루프형 핸들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스트랩의 폭을 따라 연장되고, 루프형 핸들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스트랩에 의해 형성된 개구는 스트랩의 길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원위부는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고,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근위 단부보다 스트랩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스트랩에 고정되는 제1 파스너 부분; 및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2 파스너 부분
    을 더 포함하고, 제1 파스너 부분은 제2 파스너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파스너 부분은 스트랩의 내측부에 고정되고, 루프형 핸들은 스트랩의 외측부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제1 파스너 부분은 루프형 핸들로부터 정반대측에서 스트랩에 고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와 스트랩의 하부 에지 사이에서의 스트랩의 폭은 스트랩의 원위 단부와 스트랩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변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근위 단부와 스트랩의 중간부 사이 그리고 원위 단부와 상기 중간부 사이에서보다 상기 중간부에서 더 넓고,
    스트랩의 중간부는, 스트랩이 제1 섹션이나 제2 섹션 중 어느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때에 제2 섹션에 대해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상기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상부 에지를 따라 볼록하고, 상기 중간부에서 스트랩의 하부 에지를 따라 볼록한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라 서로 이격된 일련의 파스너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트랩의 내측부를 따른 일련의 파스너는 긴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긴 스트립은 스트랩의 길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긴 스트립의 길이를 가지고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의 외면은 후크 앤 루프 재료를 포함하며, 일련의 파스너는 제2 섹션의 후크 앤 루프 재료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후크 앤 루프 파스너인 것인 신발류 물품.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제2 섹션은 안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와 바깥쪽 슬릿의 최하위 영역 사이에서 제2 섹션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힘 영역을 갖고,
    제2 섹션은 접힘 영역 위 그리고 접힘 영역 아래에서보다 접힘 영역에서 더 얇으며, 제2 섹션은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하향 및 후방으로 접히는 제2 섹션의 상부 에지와 함께 접힘 영역에서 사용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접히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은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에 고정된 전방 섹션이고,
    제2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섹션 후방에서 밑창 구조체의 힐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고, 갑피의 제1 섹션 밖으로 연장되어 스트랩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 및
    제1 섹션의 제2 측부에서 갑피 또는 밑창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
    을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은 복수 개의 루프형 케이블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스트랩은 복수 개의 인장 케이블에 의해서만 갑피에 비해제식으로 연결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0. 제18항에 있어서,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 배치되는 파스너를 더 포함하고,
    스트랩은, 제1 섹션의 제2 측부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기 전에, 인장 케이블의 인장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섹션의 제1 측부에서 파스너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27005239A 2019-07-26 2020-06-18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KR102604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8858P 2019-07-26 2019-07-26
US62/878,858 2019-07-26
PCT/US2020/038346 WO2021021337A1 (en) 2019-07-26 2020-06-18 Closure strap for footwear upper with looped grab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213A KR20220035213A (ko) 2022-03-21
KR102604508B1 true KR102604508B1 (ko) 2023-11-20

Family

ID=7157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239A KR102604508B1 (ko) 2019-07-26 2020-06-18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53760B2 (ko)
EP (1) EP4003081B1 (ko)
KR (1) KR102604508B1 (ko)
CN (1) CN114173599A (ko)
WO (1) WO2021021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7420B2 (en) * 2020-05-22 2023-04-04 Nike, Inc. Strap system for article of footwear
US20230263270A1 (en) * 2022-02-18 2023-08-24 Christian Jones Adaptive footwear
JP2024036005A (ja) * 2022-09-05 2024-03-1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履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3240A1 (en) * 2008-05-29 2009-12-03 James Richard Hubbard Shoelace holder
US20180199659A1 (en) * 2015-07-27 2018-07-19 Chris Lintaman Length-adjustable shoe
US20180295942A1 (en) * 2017-04-17 2018-10-18 Nike, Inc. Increased Access Footwear
US20190021447A1 (en) * 2017-07-18 2019-01-24 Boa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inimizing dynamic lace movement

Family Cites Families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12A (en) 1908-05-19 1909-02-23 Mary E Jackson Fastener for shoes.
US1088067A (en) 1911-04-03 1914-02-24 Edward Forbes Laced boot or shoe.
US1649173A (en) 1923-03-31 1927-11-15 Mcdonough James Orthopedic shoe
US1700569A (en) 1927-04-28 1929-01-29 John R Hillery Tarsal support
US1894939A (en) 1932-03-10 1933-01-24 Lloyd W Brown Arch-supporting shoe
US1976819A (en) 1933-06-03 1934-10-16 Louis G Weiler Arch support
US2266083A (en) 1940-12-28 1941-12-16 Rzepa Bruno Securing means for shoes or the like
US3192651A (en) 1963-12-16 1965-07-06 Robert D Smith Shoe having a rear opening
US3913243A (en) 1975-02-20 1975-10-21 Lawrence Peska Ass Inc Golf sandal
US4079527A (en) 1976-06-03 1978-03-21 Antonious A J Shoe
US4081916A (en) 1977-02-03 1978-04-04 Thomas Salisbury Quick lace tightener for shoes
US4114297A (en) 1977-04-27 1978-09-19 Famolare, Inc. Cinching closure
US4282657A (en) 1979-03-16 1981-08-11 Antonious A J Heel restraint with an adjustable and flexible closure assembly for shoes
US4451995A (en) 1979-03-16 1984-06-05 Antonious A J Adjustable and flexible closure assembly for shoes with elasticized lower vamp opening
US4308672A (en) 1979-03-16 1982-01-05 Antonious A J Adjustable and flexible closure assembly for shoes with variable opening
CA1141535A (en) 1981-10-29 1983-02-22 Douglas S. Mahood Footwear article
US4486965A (en) 1982-05-14 1984-12-11 Nike, Inc. Footwear with overlapping closure strap means
US4640025A (en) 1985-04-17 1987-02-03 Derenzo Joseph M Figure eight shoe tie system
IT1196954B (it) 1986-07-10 1988-11-25 Calzaturificio Tecnica Spa Struttura di bloccaggio del piede per scarpe e scarponi
US4860464A (en) 1987-04-09 1989-08-29 Colgate-Palmolive Company Transverse support sling
US5074059A (en) 1987-10-19 1991-12-24 Melcher Jerald R Foot support
US4972613A (en) * 1989-10-10 1990-11-27 Wolverine World Wide, Inc. Rear entry athletic shoe
US5027482A (en) * 1990-01-24 1991-07-02 Central Dupage Pedorthics, Inc. Securing device for shoes
USD346479S (en) 1993-06-04 1994-05-03 Nike, Inc. Shoe upper
US5557866A (en) * 1993-09-07 1996-09-24 Prengler; Randall Athletic footwear with hinged entry and fastening system
US5819439A (en) 1995-01-05 1998-10-13 Sanchez; Pablo L. Sneaker for bodybuilders
US5755044A (en) * 1996-01-04 1998-05-26 Veylupek; Robert J. Shoe lacing system
US5813144A (en) * 1996-08-21 1998-09-29 Prengler; Randall Hinged entry footwear with inflatable brace
JPH10179210A (ja) 1996-12-19 1998-07-07 Achilles Corp 新規な緊締部品を備えた靴
US5794360A (en) 1997-03-07 1998-08-18 Michael Bell Non-slip sandal for use on other footwear and having strapping means for enabling tightness adjustment and rapid disconnection
FR2784870B1 (fr) * 1998-10-22 2000-12-15 Salomon Sa Lacage chausson avec blocage talon
FR2790371B1 (fr) 1999-03-02 2001-04-20 Salomon Sa Chaussure avec semelage anti-vibrations
US7490417B2 (en) 1999-11-01 2009-02-17 Nike, Inc. Underlay strap system
ITMC20000027A1 (it) 2000-03-24 2001-09-24 Emilio Bartolini Sottofondo antighiaccio ed antineve da allacciare sotto la suola delle calzature.
DE20013472U1 (de) 2000-08-04 2001-12-13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TW435102U (en) 2000-09-18 2001-05-16 Jiang Deng Feng Moveable rear wrapping portion for shoes
FR2824450B1 (fr) 2001-05-10 2008-03-14 Salomon Sa Chaussure de sport
US20030051374A1 (en) 2001-09-14 2003-03-20 Freed Anna B. Lacing system
US6941683B2 (en) 2001-09-14 2005-09-13 Anna B Freed Lacing system
US6832442B2 (en) 2002-02-19 2004-12-21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Adjustably sizable and protective boot
DE10208853C1 (de) 2002-03-01 2003-06-26 Goodwell Int Ltd Schnürschuh
US20080196212A1 (en) * 2003-04-08 2008-08-21 Sherlon Arleigh Nelson Clothes fastening system
KR200335605Y1 (ko) 2003-09-23 2003-12-11 류현욱 점프 신발
KR200355597Y1 (ko) 2004-04-26 2004-07-07 김지현 착탈이 용이한 신발
TWM261248U (en) 2004-05-25 2005-04-11 Jian-Hung Lin Amphibious dual-purposed shoes
ITMI20041810A1 (it) 2004-09-22 2004-12-22 Sports & Supports Ltd "articolo sanitario, anche ad uso sportiv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US7200957B2 (en) 2005-02-09 2007-04-10 Nike, Inc.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including a wrapped closure system
KR100720653B1 (ko) * 2006-08-10 2007-05-21 황보연 신축성을 보유한 신발
US8161669B2 (en) 2007-01-11 2012-04-24 X-Swiss, Inc. Infant shoe having a pivoting heel portion
US20090076428A1 (en) * 2007-08-09 2009-03-19 Jason Kay Ambidextrous ankle support
US20090100707A1 (en) 2007-10-22 2009-04-23 Aharon Bar Apparatus for fastening a shoe
US20090100649A1 (en) * 2007-10-22 2009-04-23 Aharon Bar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AU2010202361B2 (en) 2008-01-16 2013-05-30 James Neville Somerville Heel-lock shoe
FR2931629B1 (fr) 2008-06-03 2010-09-03 Babolat Vs Chaussure, en particulier chaussure de sports,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errage
US7905850B2 (en) * 2008-08-08 2011-03-15 David Norton Device and method for combining an athletic shoe and conventional ankle brace to limit active ankle inversion
US8490299B2 (en) 2008-12-18 2013-07-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20100319216A1 (en) * 2009-06-19 2010-12-23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Cycling shoe with rear entry
US8479415B2 (en) 2010-03-30 2013-07-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detachable wrap
US8225535B2 (en) 2010-05-10 2012-07-24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including a foldable heel
US9414640B2 (en) * 2010-08-02 2016-08-16 Colt Carter Nichols Cycling shoe
US20120079746A1 (en) 2010-10-01 2012-04-05 Converse Inc. Heel-End Slip Shoe
US11026473B2 (en) * 2011-05-19 2021-06-08 Under Armour, Inc. Foot support article
US8898936B1 (en) 2011-09-08 2014-12-02 Jennifer Thompson-Boothe Footwear fastening aid
US9532625B2 (en) * 2011-12-01 2017-01-03 Ektio Inc. Athletic shoe
US9516920B1 (en) * 2012-09-25 2016-12-13 Joseph A. DeRose Footwear structure
US9226548B2 (en) 2013-01-15 2016-01-0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channels having multiple tensile strands
US9265305B2 (en) 2013-01-17 2016-02-23 Nike, Incorporated Easy access articles of footwear
US20140096415A1 (en) 2013-02-28 2014-04-10 Jerry Long Footwear System
US9474330B2 (en) * 2013-06-10 2016-10-25 Nike, Inc. Article with adjustable rearward covering portion
US20150216252A1 (en) * 2014-01-31 2015-08-06 Zubits, Llc Footwear with magnetic closures
US9119436B1 (en) * 2014-02-07 2015-09-01 Donald B Ardell Fast transition running shoe
US9144262B2 (en) * 2014-02-07 2015-09-29 Donald B Ardell Fast transition running shoe
US20150374065A1 (en) * 2014-06-26 2015-12-31 Joseph DiFrancisco Easy Access Footwear
US9392838B2 (en) * 2014-09-23 2016-07-19 Fi-Ber Sports, Inc. Protective cov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004296B2 (en) * 2015-03-09 2018-06-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fastening system
US9526300B2 (en) 2015-03-16 2016-12-27 Anna Krengel Dually adjustable, anchored, parallel lacing technology
US9848674B2 (en) 2015-04-14 2017-12-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weight-activated cinching apparatus
US9723891B2 (en) 2015-04-15 2017-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 rowing
TWI667968B (zh) 2015-05-15 2019-08-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編織組件
EP3932238A1 (en) 2015-05-29 2022-01-05 Nike Innovate C.V. Footwear system with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medial and lateral side portions with separately securable distal ends
FR3046915B1 (fr) 2016-01-22 2019-08-16 Gbb Chaussure fermee pour enfant
USD814169S1 (en) 2016-02-15 2018-04-03 Nike, Inc. Shoe upper
CN205611886U (zh) 2016-05-18 2016-10-05 张国阳 一种凉鞋
EP4066672A1 (en) * 2016-10-26 2022-10-05 NIKE Innovate C.V. Hinged footwear sole structure for foot ent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180116343A1 (en) * 2016-11-01 2018-05-03 Black Brass, Inc. Closure and fastening system for shoes
US20180213882A1 (en) * 2017-02-01 2018-08-02 Steven Karl Morse Toddlers Shoe with fully pivoting counter, providing easy rear entry of foot into the shoe
US9907364B1 (en) 2017-02-14 2018-03-06 Richard Bosserman Shoe fasten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304479B2 (en) * 2017-02-28 2022-04-19 Nike, Inc. Footwear with laceless fastening system
CN114209121A (zh) * 2017-03-17 2022-03-22 全星有限合伙公司 在足部插入或取出构型与足部支撑构型之间过渡的鞋类用品
WO2018217423A1 (en) 2017-05-23 2018-11-29 Nike Innovate C.V. Rear access article of footwear with movable heel portion
US10674779B2 (en) 2017-08-30 2020-06-09 Nike, Inc. Magnetic fasten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2629265B1 (ko) * 2018-04-13 2024-01-2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 체결 시스템
US20200323308A1 (en) * 2019-04-09 2020-10-15 Edward Guy Dubuisson Dubui shoe
US20210186146A1 (en) * 2019-12-18 2021-06-24 David Erwin Article of footwear with hands free donning and remov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3240A1 (en) * 2008-05-29 2009-12-03 James Richard Hubbard Shoelace holder
US20180199659A1 (en) * 2015-07-27 2018-07-19 Chris Lintaman Length-adjustable shoe
US20180295942A1 (en) * 2017-04-17 2018-10-18 Nike, Inc. Increased Access Footwear
US20190021447A1 (en) * 2017-07-18 2019-01-24 Boa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inimizing dynamic lace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3081A1 (en) 2022-06-01
US20210022449A1 (en) 2021-01-28
KR20220035213A (ko) 2022-03-21
CN114173599A (zh) 2022-03-11
US11553760B2 (en) 2023-01-17
WO2021021337A1 (en) 2021-02-04
EP4003081B1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577B1 (ko) 신발 체결 시스템
EP3629807B1 (en) Rear closing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front zipper to rear cord connection
EP3506781B1 (en) Lacing system with loops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EP3614875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closure system having a transverse flap with cables
CN108697200B (zh) 具有张紧系统的鞋类制品
KR102604508B1 (ko) 루프형 그랩 핸들을 지닌 신발류 갑피용 폐쇄 스트랩
JP7445054B2 (ja) 足進入のための磁気保持開口を備える履物ア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