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520A -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520A
KR20170035520A KR1020150134435A KR20150134435A KR20170035520A KR 20170035520 A KR20170035520 A KR 20170035520A KR 1020150134435 A KR1020150134435 A KR 1020150134435A KR 20150134435 A KR20150134435 A KR 20150134435A KR 20170035520 A KR20170035520 A KR 20170035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ight rails
building
base por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959B1 (ko
Inventor
박동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림산업
Priority to KR102015013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9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부위 주변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베이스부 시공기구 및 유도부 시공판을 이용하여 베이스부 및 유도부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은, 시공부위에 기구 이동을 위한 좌,우 레일을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레일 배치단계와, 상기 좌,우 레일 상에 레일 위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배치시키는 기구 배치단계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 내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조성물 충진단계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이동경로상의 시공부위 표면에 조성물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베이스부 시공기구의 후면 단부가 좌,우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낙하된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베이스부로 평탄화시키는 베이스부 시공단계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좌,우 레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좌,우 레일 상에 유도부 시공판을 배치하는 시공판 배치단계와, 상기 유도부 시공판의 상측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킨 후에 충진된 상부면을 평탄화시키는 유도부 시공단계와, 상기 유도부의 시공 후에 유도부 시공판을 좌,우 레일로부터 분리시키고 좌,우 레일을 시공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거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점자블록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RAILLE BLOCK}
본 발명은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부위 주변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베이스부 시공기구 및 유도부 시공판을 이용하여 베이스부 및 유도부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조성물에 반응성 MMA수지를 포함시킴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켜 낙상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공정이 개선된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자블록은 시각 장애인 등의 보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블록 구조물의 상부에 점자구조를 갖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된다.
이러한 점자블록은 통상 베이스부 구조물의 상부에 돌출부(유도부)가 형성된 커버를 결합시켜 구성하거나, 각각의 돌출부(유도부)를 베이스부 상부에 고정시켜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점자블록은 돌출부가 딱딱한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력이 떨어져서 시각 장애인은 물론 일반 보행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로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딱딱한 돌출부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보다 쾌적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지 못함은 물론, 시각 장애인 및 일반 보행자가 보행 중 넘어졌을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보행시에 상당한 피로를 줄뿐만 아니라 지팡이 등이 접촉할 때 소음 발생이 커지는 문제도 있다.
한편, 블록 구조물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고무재와 같은 연성의 재질로 구성한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점자블록의 경우에 돌출부가 쉽게 손상되어 내구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블록 구조물에 돌출부를 구성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이를 제조하는 과정도 쉽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점자블록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39857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등록일자 : 2012.04.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점자가 형성된 블록커버와, 상기 블록커버가 결합되는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에 인서트 되는 블록심체로 구성하되, 상기 블록커버는 빗물의 지면 투수를 위해 다수의 투수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투수관의 외주연에는 블록 본체와의 융착 결합되는 다수의 결속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는 블록커버의 투수관을 블록심체의 결합공에 용융 결합되게 투수관 결속부가 형성되고, 투수관 결속부의 단부에는 냉각 수축과정에 조임 결속을 유발할 수 있게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는 테두리 상면으로는 블록커버의 맞춤돌기가 끼워지는 맞춤홈이 형성된 것이다.
기존 점자블록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260584호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등록일자 :2013.04.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복수의 고정홈을 갖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블록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체와; 상기 블록의 상부에 씌워지고, 상기 각 돌출체의 상측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 관통홀 주변에 상기 블록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각각의 돌출체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의 둘레면에는 외곽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곽 고정홈에 커버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커버의 가장자리가 블록의 둘레면까지 연장되어 그 단부에 형성된 외곽 고정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종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중 매립형 블록의 경우 시공상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구조물의 시공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부착방식의 점자블록이 시공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금속, PVC, 탄성 고무 등의 재료들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미끄럼 저항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시각 장애인 및 보행자의 낙상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특히 우천시에 더 자주 낙상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베이스부과 유도부로 구성된 점자블록의 미끄럼 방지기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39857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등록일자 : 2012.04.18) 한국 등록특허 제10-1260584호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등록일자 :2013.04.2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베이스부와 유도부로 구성된 점자블록을 제작하는 중에 베이스부의 상측에 유도부가 돌출되도록 융착시키는 공정을 레일을 이동하는 베이스부 시공기구와 유도부 시공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베이스부의 재질에 상관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반응성 MMA 수지를 첨가시켜 표면 접착력, 내마모성, 내구성을 갖는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공부위에 기구 이동을 위한 좌,우 레일을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레일 배치단계와, 상기 좌,우 레일 상에 레일 위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배치시키는 기구 배치단계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 내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조성물 충진단계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이동경로상의 시공부위 표면에 조성물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베이스부 시공기구의 후면 단부가 좌,우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낙하된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베이스부로 평탄화시키는 베이스부 시공단계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좌,우 레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좌,우 레일 상에 유도부 시공판을 배치하는 시공판 배치단계와, 상기 유도부 시공판의 상측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킨 후에 충진된 상부면을 평탄화시키는 유도부 시공단계와, 상기 유도부의 시공 후에 유도부 시공판을 좌,우 레일로부터 분리시키고 좌,우 레일을 시공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 배치단계는 좌우 레일의 단부 양측에 간격유지판을 결합시켜 레일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 시공단계는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의 후면에 결합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판을 결합시켜 상기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는 조절판의 단부 높낮이에 따라 베이스부의 시공두께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를 시공하기 전에 베이스부 시공부위의 테두리 표면에 착탈 가능한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시공단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조성물은 반응성 MMA수지가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반응성 MMA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40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3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10~15중량%, 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 1.0~5.0 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부위 주변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베이스부 시공기구 및 유도부 시공판을 이용하여 베이스부 및 유도부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조성물에 반응성 MMA수지를 포함시킴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켜 낙상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를 시공하는 중에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간편한 작업을 통해 평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판을 배치할 경우 베이스부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 제조방법에 따른 작업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른 점자블록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부위에 기구 이동을 위한 좌,우 레일을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레일 배치단계(S1)와, 상기 좌,우 레일 상에 레일 위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배치시키는 기구 배치단계(S2)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 내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조성물 충진단계(S3)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이동경로상의 시공부위 표면에 조성물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베이스부 시공기구의 후면 단부가 좌,우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낙하된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베이스부로 평탄화시키는 베이스부 시공단계(S4)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를 좌,우 레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좌,우 레일 상에 유도부 시공판을 배치하는 시공판 배치단계(S5)와, 상기 유도부 시공판의 상측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킨 후에 충진된 상부면을 평탄화시키는 유도부 시공단계(S6)와, 상기 유도부의 시공 후에 유도부 시공판을 좌,우 레일로부터 분리시키고 좌,우 레일을 시공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거단계(S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레일의 배치 전에 시공하고자 하는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 정리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표면 정리단계는 표면을 고압 세척하거나, 분사 또는 닦는 방법으로 청소할 수 있다.
레일 배치단계(S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태의 좌,우 레일(52,54)을 좌,우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레일(52,54)의 단부 양측에 간격유지판(20)을 결합시켜 레일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한다.
간격유지판(20)은 좌,우 레일(52,54)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좌,우 양측에 하측으로 개구된 끼움홈(22)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이다.
베이스부 시공기구(200)는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좌,우 레일(52,54)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다.
베이스부(12)의 두께를 사용자가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200)의 후면(210)에 결합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판(250)을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시켜 상기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는 조절판(250)의 단부 높낮이에 따라 베이스부(12)의 시공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 시공기구(200)의 후면(210)은 고정된 높이로 베이스부(12)의 시공두께를 다른 시공장소에서도 일정하게 하거나, 후면(210)에 결합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조절판(250)을 결합시켜 베이스부(12)의 시공두께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 시공기구(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을 베이스부 시공기구(200)의 내부로 주입함에 따라, 조성물이 내부에 충진된 상태에서 레일의 전진방향(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개구된 하부를 통해 조성물이 낙하되어 시공부위의 표면에 쌓이게 되고, 베이스부 시공기구(200)의 후면(210) 단부 또는 조절판(250)의 단부가 낙하된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게 됨에 따라 베이스부(12)의 표면이 평탄화되므로, 시공부위의 표면과 후면(210) 단부 또는 조절판(250)의 단부의 높이 간격에 따라 베이스부(12)의 두께가 결정된다.
유도부 시공판(300)은 도 7을 참조하면, 선형이나 점형의 충진공(310)이 복수개 천공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에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유도부 시공단계(S6)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부 시공판(300)의 상측에서 반응성 MMA수지가 포함된 조성물을 충진시키면서 충진공(310)을 통해 시공된 베이스부(12)의 표면으로 낙하시켜 베이스부(12)의 상측에 유도부(14)가 돌출되도록 조성물을 충진시킨 후에, 충진된 조성물의 표면을 별도의 도구(끌 또는 판)를 이용하여 균일한 높이로 평탄화시킨다.
이후에, 유도부 시공판(300)을 좌,우 레일(52,54)로부터 들어올려 분리시키고, 간격유지판(20)을 좌,우 레일(52,54)의 상측으로 들어올려 좌,우 레일(52,54)을 시공 부위로부터 탈거함으로써, 다른 시공장소에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 점자블록(10)은 베이스부(12)를 시공하기 전에 베이스부(12) 시공부위의 테두리 표면에 착탈 가능한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시공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는 베이스부 시공기구(200)가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중에 조성물을 하측으로 낙하시키면서 정해진 형태가 아니라 주변으로 번지게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2)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시공부위 표면으로부터 분리시켜 베이스부(12)가 정해진 형태(직사각형)로 시공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점자블록(10)은 직사각형 구조의 베이스부(12)의 상측에 선형 또는 점자 형태로 돌출된 유도부(1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점자블록(10)은 시각장애인에 대한 시인성 확보를 위해 유도부(14)를 노란색으로 착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유색안료와 축광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유도부(14)의 조성물은 중량%로, 반응성 MMA수지 20~40%, 충진제 5~10%, 축광안료 2~10%, 유색안료 2~5%, 돌로마이트 50~70%, 요변제 0.5~1.0%, 및 경화제부 0.5~3.0%로 이루어진 것을 일 예로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MMA수지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속경화형 반응성 수지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10~40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3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10~15중량%, N,N-bis(2-hydroxypropyl)-P-toluidine 1.0~5.0 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1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내후성, 강도, 부착성능 향상의 기능을 제공하고, 10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기능의 효과를 얻기 어렵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 도막의 강도는 향상되나 내충격성 및 유연성을 떨어뜨려 내한성이 저하된다.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는 경화된 도막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동절기 혹은 일교차가 큰 기후에서 신율 및 유연성을 제공하여, 크랙 방지 및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연성 부족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강도 부족 및 부착성 부족으로 인하여 도막의 박리 및 골재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은 반응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1중량% 미만시에는 경화시간이 지연되어 작업성이 나빠지며, 5중량% 초과시에는 경화시간은 단축되지만 황변현상 및 도막의 경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충진제는 도료 내에 포함되어 도료의 강도를 보장하고 작업성 향상 기능을 제공하고, 충진제의 종류로는 탄산칼슘과 실리카 샌드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제가 5중량% 미만일 경우 균일한 도막의 형성이 어렵고, 요변제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10중량% 초과시에는 충진제의 흡유량에 의해 광택 손실 및 내오염성이 저하되어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축광안료는 시각장애인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첨가된 것으로, 축광안료를 2중량%미만으로 사용할 시에는 발광효과 부족으로 인하여 시인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10중량% 초과시에는 발광효과는 우수하나 비용이 상승되어 경제성이 저하된다.
유색안료는 시각장애인의 시인성 확보에 유리한 노란색 안료를 채용하고, 유색안료를 2중량% 미만 사용시에는 착색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용이 상승된다.
돌로마이트(Dolomite)는 미끄럼 방지용 골재로서, 돌로마이트의 크기는 100~850㎛의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돌로마이트는 100㎛ 미만일 경우 사용시 미끄럼 저항이 떨어지며, 850㎛의 크기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끄럼저항이 증가되는 반면에 낙상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돌로마이트가 50중량% 미만으로 사용시 미끄럼저항 기능이 저하되고, 70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시 시공성이 저하된다.
요변제는 미끄럼 방지용 골재인 돌로마이트의 침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요변제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도료의 저장성이 나빠져서 침전 발생 및 도료의 시공시 골재가 뭍혀서 미끄럼 저항 기능을 저하시키고, 1.0중량% 초과 사용시에는 시공성이 저하된다.
경화제부는 100중량%에 대하여 과산화벤조일 30~50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 50~70중량%로 구성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경화제부는 함량이 0.5중량% 미만으로 사용시에는 경화 불량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고, 3.0중량%을 초과하여 사용할 시에는 경화된 도막의 황변현상 및 경도 저하를 야기시켜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조성된 유도부(14) 조성물을 베이스부(12)의 상측에 간편하게 융착시킴으로써, 베이스부(12)의 재질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베이스부(12)의 시각장애인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 기능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점자블록 12 : 베이스부
14 : 유도부 20 : 간격유지판
22 : 끼움홈 52,54 : 좌,우 레일
200 : 베이스부 시공기구 210 : 후면
250 : 조절판 300 : 유도부 시공판
310 : 충진공

Claims (5)

  1. 시공부위에 좌,우 레일(52,54)을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레일 배치단계(S1)와,
    상기 좌,우 레일(52,54) 상에 레일 위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시공기구(200)를 배치시키는 기구 배치단계(S2)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200) 내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키는 조성물 충진단계(S3)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200)를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면서 이동경로상의 시공부위 표면에 조성물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베이스부 시공기구(200)의 후면(210) 단부가 좌,우 레일(52,54) 상에서 이동하는 중에 낙하된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면서 균일한 두께의 베이스부(12)로 평탄화시키는 베이스부 시공단계(S4)와,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200)를 좌,우 레일(52,54)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좌,우 레일(52,54) 상에 유도부 시공판(300)을 배치하는 시공판 배치단계(S5)와,
    상기 유도부 시공판(300)의 상측에 조성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킨 후에 충진된 상부면을 평탄화시키는 유도부 시공단계(S6)와,
    상기 유도부(14)의 시공 후에 유도부 시공판(300)을 좌,우 레일(52,54)로부터 분리시키고 좌,우 레일(52,54)을 시공부위로부터 분리시키는 탈거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배치단계(S1)는 좌우 레일의 단부 양측에 간격유지판(20)을 결합시켜 레일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시공단계(S4)는 상기 베이스부 시공기구(200)의 후면(210)에 결합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판(250)을 결합시켜 상기 조성물의 표면을 스크레이핑하는 조절판(250)의 단부 높낮이에 따라 베이스부(12)의 시공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2)를 시공하기 전에 베이스부(12) 시공부위의 테두리 표면에 착탈 가능한 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 시공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반응성 MMA수지가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반응성 MMA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40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30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10~15중량%, 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P-톨루이딘 1.0~5.0 중량%,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3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50134435A 2015-09-23 2015-09-23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181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35A KR101819959B1 (ko) 2015-09-23 2015-09-23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35A KR101819959B1 (ko) 2015-09-23 2015-09-23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20A true KR20170035520A (ko) 2017-03-31
KR101819959B1 KR101819959B1 (ko) 2018-01-18

Family

ID=5850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435A KR101819959B1 (ko) 2015-09-23 2015-09-23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9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57B1 (ko) 2011-05-23 2012-05-02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584B1 (ko) 2011-03-31 2013-05-06 손천근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487Y1 (ko) * 2004-03-25 2004-06-29 이상준 점자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84B1 (ko) 2011-03-31 2013-05-06 손천근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39857B1 (ko) 2011-05-23 2012-05-02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959B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7009A (en) Tactile warning surface, method, and apparatus
KR100773122B1 (ko) 맨홀보수공법
EP3212395B1 (de) Begehbare verbundsicherheitsglasscheibe mit rutschhemmender oberfläche
EP3266356A1 (de) Duschboden und verfahren zur installation eines duschbodens
US949971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bilization of surfaces
KR101819959B1 (ko)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1341713B1 (ko) 미끄럼방지 노면 시공방법
KR101764201B1 (ko) 도로포장용보수재 조성물 및 도로포장용보수재층 형성방법
KR20130133393A (ko) 문양표현 탄성 포장 시공방법
KR101464316B1 (ko) 투수성을 확보하고 미끄럼 저항성을 높여 제공되는 고강도 시각 장애인 유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698737B1 (ko) 아스팔트 노면 씰 코팅 시공 방법
JPH0626002A (ja) 弾性舗装体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0963298B1 (ko) 기능성 탄성 포장층 시공방법
KR101097016B1 (ko) 우레탄 수지층과 mma수지층을 결합한 주차장 바닥 마감공법
KR101125213B1 (ko) 노면의 미끄럼 방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41111B1 (ko) 미끄럼 방지 도로 시공방법
KR101886184B1 (ko) 미끄럼방지용 도로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GB2490722A (en) Edging product for raised platforms incorporating a tactile surface
JP3837664B2 (ja) レンガ造壁面の剥落防止工法
KR101819958B1 (ko) 점자블록
KR102096837B1 (ko) 내부식성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그레이팅 데크의 제조장치
JP4395126B2 (ja) 舗装方法
AU2009100759A4 (en) Resurfacing of Paving
KR101007065B1 (ko) 보경로 설치 시공방법
JP4395125B2 (ja) 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