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538A -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538A
KR20170024538A KR1020160103844A KR20160103844A KR20170024538A KR 20170024538 A KR20170024538 A KR 20170024538A KR 1020160103844 A KR1020160103844 A KR 1020160103844A KR 20160103844 A KR20160103844 A KR 20160103844A KR 20170024538 A KR20170024538 A KR 2017002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ble
receiving box
wall portion
spira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230B1 (ko
Inventor
토시히로 키무라
스스무 타케우치
히데츠구 츠다
시게카즈 스기모토
타카아키 오츠카
카즈오 사사지마
아키노리 모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for stacking objects like trays, bobbin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25Reels, e.g. for filamentary or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0Heavy objects, e.g. ISO-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운반 대차(30)는, 장척의 제어 케이블(22)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수용하는 수용 상자(L)를, 제어 케이블의 다발의 소용돌이 권축이 수평방향이 되는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운반하고, 수용 상자 내에서 제어 케이블의 다발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부착 지지체(40)와, 운반 대차에 고정되고, 수용 상자를 운반 대차에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용 암(50)을 포함하되, 수용 상자에 수용된 제어 케이블은, 고정용 암에 의해 수용 상자가 운반 대차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용 상자로부터 일단부가 인출됨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이 회전함으로써 송출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TROLLEY HAVING DELIVERY FUNCTION OF CONTROL CABL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장척의 제어 케이블을 운반하는 대차, 특히, 제어 케이블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운반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을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운반 대차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개수공사 등의 시에 승강실과 승강로 내의 케이블 행거 등의 중계점 사이에 부착되는 제어 케이블은, 골판지 상자 등의 수용 상자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개수공사의 현장에 반입된다. 그리고, 제어 케이블은, 평대차 등에 옮겨 적재된 뒤에, 승강실 내로 운반되어, 승강실 천장의 구출구로부터 승강로로 인출된다. 제어 케이블의 선단을 승강로 내의 중계점에 접속한 후, 승강실을 강하시키면서 평대차에 적재된 제어 케이블을 송출하지만, 이때, 제어 케이블이 얽히지 않도록 수작업으로 제어 케이블을 송출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 특허 제2011-225167호 공보에는, 제어 케이블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드럼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고, 이 승강 장치에 의해서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을 대차 위에 들어올려서 적재하는 동시에, 제어 케이블을 드럼체로부터 송출할 수 있도록 한 운반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운반 대차에서는, 예를 들면, 골판지 상자 등의 수용 상자에 수용되어 있는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을 일단 수용 상자로부터 꺼내서 드럼체에 둘러 감은 상태에서 운반 대차에 옮겨 실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긴 제어 케이블을 수용 상자로부터 일단 꺼내서 옮겨 실을 수고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대차에 적재된 제어 케이블을 송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는, 장척의 제어 케이블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수용하는 수용 상자를, 해당 제어 케이블 다발의 소용돌이 권축이 수평방향이 되는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운반 대차로서, 운반 대차에 고정되고, 수용 상자 내에서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 다발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부착 지지체와, 운반 대차에 고정되고, 수용 상자를 운반 대차에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용 암(arm)을 포함하되, 수용 상자에 수용된 제어 케이블은, 고정용 암에 의해 수용 상자가 운반 대차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용 상자로부터 일단부가 인출됨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 다발이 회전함으로써 수용 상자로부터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에 있어서, 롤러 부착 지지체는, 상부가 운반 대차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만곡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만곡에 따라서 부착되는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 다발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에 있어서, 수용 상자는,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을 지니고, 고정용 암은, 상하 방향으로 뻗은 1쌍의 앵글부재로 이루어지고, 1쌍의 앵글부재는, 수용 상자의 앞면에 맞닿는 제1 벽부 및 앞면에 인접하는 측면에 맞닿는 제2 벽부로 구성된 앞쪽 앵글부재와, 수용 상자의 후면에 맞닿는 제3 벽부 및 측면에 맞닿는 제4 벽부로 구성된 뒤쪽 앵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에 따르면, 고정용 암에 의해 수용 상자를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운반 대차에 고정하는 동시에, 제어 케이블의 일단부가 수용 상자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 다발을 회전시켜서 송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 케이블을 수용 상자로부터 꺼내서 운반 대차에 옮겨 싣는 수고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을 송출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케이블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와 위쪽으로부터 본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운반 대차 하부면에 부착된 회전 지지판 및 캐스터(caster)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운반 대차의 회전 지지판을 90°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운반 대차를 전후 방향으로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운반 대차를 수용 상자에 집어넣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운반 대차에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운반 대차에 적재한 수용 상자로부터 제어 케이블을 인출하면서 승강실을 하강시켜서 제어 케이블을 설치할 때의 작업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형상, 재료, 수치, 방향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예시로서, 용도, 목적, 사양 등에 맞춰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복수의 실시형태나 변형예 등이 포함되는 경우, 그들의 특징부분을 적절하게 조합시켜서 이용하는 것은 당초부터 상정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인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1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엘리베이터(10)는 권양기(12)를 구비하고 있다.
권양기(12)는,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승강로(S)의 바로 위의 기계실(M)에 설치되어 있고, 주로프(13)를 개재해서 승강실(14) 및 균형추(도시 생략)를 상대적으로 승강시킨다.
승강실(14)은, 승객이나 짐을 실어서 승강하는 기능을 지니고, 각 층의 승강장(15-1, 15-2, 15-3)에 설치된 승강장 문(16-1, 16-2, 16-3)과 대향하도록 승강실 문(17)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실(14)은 행선지층 등록 등이 설치된 조작 패널(18)을 승강실 내에 구비하는 동시에, 긴급 시에 승객을 구출하는 구출구(19)가 천장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반(20)은, 전술한 기계실(M)에 설치되어, 승강실(14)의 바닥면에 설치된 접속구(14a)와 승강로(S)의 벽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21) 사이에 부착된 제어 케이블(22)을 개재해서 승강실(14)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반(20)은, 권양기(12)나 승강실(14)의 운전을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이용해서,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이하, 편의상 "운반 대차"라고만 칭함)(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운반 대차(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운반 대차(30)의 하부면에 부착된 회전 지지판 및 캐스터의 운반 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캐스터를 운반 대차(30)의 폭방향으로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운반 대차(30)를 전후 방향으로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도시한 「X」는 전후 방향을, 「Y」는 상하 방향을, 「Z」는 폭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운반 대차(30)는, 장척의 제어 케이블(22)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수용하는 전후 방향(X)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의 수용 상자(L)를 운반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수용 상자(L)에 수용된 제어 케이블(22)의 다발은, 소용돌이 권축이 수평방향이 되는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운반 대차(30)에 적재된다(도 5 참조). 운반 대차(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뒤로 분할된 앞쪽 대좌(32) 및 뒤쪽 대좌(34)로 구성되어 있다. 앞쪽 대좌(32) 및 뒤쪽 대좌(34)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앞쪽 대좌(32)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뒤측 대좌(34)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앞쪽 대좌(32)의 하부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지지판(35)이 부착되어 있다. 회전 지지판(35)은, 회전축(35a)을 개재해서 앞쪽 대좌(32)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 지지판(35)의 전후 양단부에는 스토퍼 부착 캐스터(36, 37)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캐스터(36, 37)는, 정지용의 슬라이드 레버(36a, 37a)가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 레버(36a, 37a)를 둘레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캐스터(36, 37)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동을 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반 대차(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각 캐스터(36, 37)는 회전 지지판(35)을 개재해서 앞쪽 대좌(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반 대차(30)는, 제어 케이블(22)의 다발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부착 지지체(40)와, 수용 상자(L)를 운반 대차(30)에 고정하는 고정용 암(50)을 구비하고 있다.
롤러 부착 지지체(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 대좌(32)에 고정된 지지체(42)와, 지지체(42)의 상부에 부착된 복수의 롤러(44a 내지 44e)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42)는, 2매의 패널(42a, 42b)을 대향 배치해서 양 측면이 구성되어 있다. 각 패널(42a, 42b)은, 상단면이 전후 방향(X)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앞면 패널(42c)이 각 패널(42a, 42b)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체(42)의 상단면은, 지지체(42) 및 뒤쪽 대좌(34)의 지지체와 함께 전체로서 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X)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높이가 운반 대차(30)의 전후 양 단부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패널(42a, 42b)의 상단면의 만곡에 따라서 복수의 롤러(44a 내지 44e)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롤러(44a 내지 44e)는, 그 외주면의 위쪽 부분이 각 패널(42a, 42b)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해서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러(44a 내지 44e)의 5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지만, 롤러의 수는 5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패널(42a, 42b)의 측면 하부에는, 상하 방향(Y)으로 긴 슬릿(42d)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42d)에는, 회전 지지판(35)의 회전정지부로서 기능하는 고정용 핀(46)이 상하 방향(Y)으로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 고정용 핀(4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 대좌(32)의 상부면에 설치된 마운트(mount)(47)에 상하 방향(Y)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앞쪽 대좌(32)의 관통 구멍(32a) 및 회전 지지판(35)의 고정용 구멍(35b, 35c)(도 3(a) 및 도 3(b) 참조) 중 어느 한쪽에 삽입 통과되어, 회전 지지판(35)의 회전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용 핀(46)이 고정용 구멍(35b)에 삽입 통과될 때, 각 캐스터(36, 37)를 포함하는 회전 지지판(35)은 앞쪽 대좌(32)의 바로 아래에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운반 대차(30)를 쓰러뜨려서 평면 배치 상태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지지판(35)을 약 90도 회전시켜서 고정용 핀(46)이 고정용 구멍(35c)에 삽입 통과되면, 회전 지지판(35)이 폭방향(Z)을 따라서 전개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앞쪽 대좌(32)를 자립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 대좌(34)의 전단부 하부면에는 판 형상의 연결 쇠장식(48)이 부착되어 있다. 연결 쇠장식(48)에는, 2개의 볼트(48b, 48c)가 상하 방향(Y)으로 관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앞쪽 대좌(32)의 후단부에는, 상기 2개의 볼트(48b, 48c)에 대응하는 위치에 긴 구멍(32b, 32c)이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긴 구멍(32b, 32c)에 볼트(48b, 48c)가 각각 삽입 통과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앞쪽 대좌(32) 및 뒤쪽 대좌(34)의 전후 방향(X)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결과, 전후 방향(X)의 길이가 다른 복수 종류의 수용 상자(L)에 대응해서 운반 대차(3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고정용 암(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Y)으로 뻗는 1쌍의 앵글부재(52, 54)에 의해 구성된다. 앵글부재(52)는 앞쪽 대좌(32) 전단부 상부면에 상하 방향(X)을 따라서 세워 설치되고, 앵글부재(54)는 뒤측 대좌(34)의 후단부 상부면에 상하 방향(X)을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앵글부재(52)는, 수용 상자(L)의 앞면에 맞닿는 제1 벽부(52a) 및 수용 상자(L)의 앞면에 인접하는 측면에 맞닿는 제2 벽부(52b)로 이루어진 L자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앵글부재(52)는, 지지체(42)에 간극(α)을 개재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앵글부재(54)는, 수용 상자(L)의 후면에 맞닿는 제3 벽부(54a) 및 수용 상자(L)의 후면에 인접하는 측면에 맞닿는 제4 벽부(54b)로 이루어진 L자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앵글부재(52, 54)의 제1 벽부(52a) 및 제3 벽부(54a)의 외측면 상부에는, 손잡이(52c) 및 손잡이(54c)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이 손잡이(52c, 54c)를 쥐고서 운반 대차(30)를 이동시키거나 일으키거나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2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상자(L) 전단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Y)으로 뻗는 한쪽의 모서리부는 간극(α)에 집어넣어져 있다. 수용 상자(L)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반대쪽의 모서리부도 마찬가지로, 앵글부재(54)와 지지체(42)의 간극에 집어넣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 상자(L)를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운반 대차(3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해서 운반 대차(30)를 이용한 제어 케이블(22)의 운반 및 부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수원은, 수용 상자(L)를 바닥면에 평면배치 상태로 설치하고, 수용 상자(L)의 바닥면을 예를 들면, 커터 나이프 등으로 절단해서 개구단부(L1)를 형성한다. 이어서, 롤러 부착 지지체(40)와 전후의 앵글부재(52, 54)의 간극에 상기 개구단부(L1)의 전후 양 단부의 모서리부를 각각 집어넣는다. 그 후, 고정용 암(50)에 설치된 손잡이(52c, 54c)를 쥐고서 수용 상자(L)를 운반 대차(30)에 고정한 상태인 채로 일으킨다. 그리고, 회전 지지판(35)을 90°회전시켜서 고정용 핀(46)을 고정용 구멍(35c)에 삽입 통과 고정해서(도 3(b) 참조), 운반 대차(3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 상태로 자립시킨다.
다음에, 보수원은, 운반 대차(30)를 밀어서 이동시켜, 승강실(14) 내로 반입한다. 그리고, 승강실 내에서의 원격 조작으로 기계실(M)의 엘리베이터 제어반(20)을 조작해서 케이블 행거(21)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승강실(14)을 상승시킨다. 그 후, 수용 상자(L)의 상단부를 커터 나이프 등으로 절단해서 개구시켜, 제어 케이블(22)의 일단부를 인출하여 승강실(14)의 구출구(19)로부터 승강로(S) 내에 제어 케이블(22)을 송출한다. 이때, 슬라이드 레버(36a, 37a)를 슬라이드시켜서 캐스터(36, 37)에 제동을 걸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뒤쪽 대좌(34)의 캐스터에도 제동을 걸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어 케이블(22)을 송출할 때에 운반 대차(3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것으로부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케이블(22)의 일단부를 케이블 행거(21)에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반(20)을 원격 조작해서 승강실(14)을 천천히 하강시킨다. 이때, 수용 상자(L)에 수용된 제어 케이블(22)은,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22)이 회전함으로써 수용 상자(L)로부터 송출된다. 그리고, 승강실(14)이 피트(P)까지 강하하면 제어 케이블(22)의 타단부를 승강실(14)의 하단에 설치된 접속구(14a)에 접속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 케이블(22)의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부착해야 할 제어 케이블(22)의 다발이 복수개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설치 작업을 반복해서 행하면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30)에 따르면, 고정용 암(50)에 의해 수용 상자(L)를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운반 대차(30)에 고정하는 동시에, 제어 케이블(22)이 수용 상자(L)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22)의 다발을 회전시켜서 송출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22)을 수용 상자(L)로부터 일단 꺼내서 운반 대차(30)에 옮겨 싣는 수고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22)을 수용 상자(L)로부터 송출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 케이블(22)의 설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체(42)는 운반 대차(30)의 전후 방향(X)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만곡되어 있지만, 지지체(42)의 상변부가 반드시 만곡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복수의 롤러(44a 내지 44e)의 외주면이 지지체(42)의 상변부로부터 돌출해서 노출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용 암(50)은 운반 대차(30)의 전후 양 단부에 설치된 1쌍의 앵글부재(52, 54)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쌍의 평판부재 또는 봉 형상 부재를 운반 대차(30)의 전후 양 단부에 세워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균등한 범위 내에서 각종 개량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3)

  1. 장척의 제어 케이블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수용하는 수용 상자를, 해당 제어 케이블 다발의 소용돌이 권축이 수평방향이 되는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운반 대차로서,
    상기 운반 대차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 상자 내에서 소용돌이 형상의 상기 제어 케이블 다발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부착 지지체와,
    상기 운반 대차에 고정되고, 상기 수용 상자를 상기 운반 대차에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용 암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 상자에 수용된 상기 제어 케이블은, 상기 고정용 암에 의해 상기 수용 상자가 상기 운반 대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상자로부터 일단부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 다발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용 상자로부터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착 지지체는, 상부가 상기 운반 대차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만곡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만곡에 따라서 부착되어 상기 소용돌이 형상의 제어 케이블 다발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상자는,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을 지니고,
    상기 고정용 암은, 상하 방향으로 뻗은 1쌍의 앵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1쌍의 앵글부재는, 상기 수용 상자의 앞면에 맞닿는 제1 벽부 및 상기 앞면에 인접하는 측면에 맞닿는 제2 벽부로 구성된 앞쪽 앵글부재와, 상기 수용 상자의 후면에 맞닿는 제3 벽부 및 상기 측면에 맞닿는 제4 벽부로 구성된 뒤쪽 앵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KR1020160103844A 2015-08-25 2016-08-16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KR102439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6047A JP6041946B1 (ja) 2015-08-25 2015-08-25 エレベータ用制御ケーブルの送り出し機能付き運搬台車
JPJP-P-2015-166047 201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38A true KR20170024538A (ko) 2017-03-07
KR102439230B1 KR102439230B1 (ko) 2022-09-01

Family

ID=5754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844A KR102439230B1 (ko) 2015-08-25 2016-08-16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41946B1 (ko)
KR (1) KR102439230B1 (ko)
CN (1) CN106476872B (ko)
TW (1) TWI678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9655B (zh) * 2018-04-11 2023-12-15 波士顿电梯(湖州)有限公司 电梯随行电缆
CN108995695A (zh) * 2018-08-02 2018-12-14 重庆庆之都建材有限公司 一种卷材运输车
JP6881865B1 (ja) * 2020-02-28 2021-06-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巻上機ユニット及びその据付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271A (ja) * 2000-08-08 2002-02-19 Toshiba Elevator Co Ltd テールコード用梱包構造体とその運搬台車
US8016222B2 (en) * 2008-04-16 2011-09-13 Windy City Wire Cable And Technology Products, Llc Wire and cable dispensing container and systems
JP2011225167A (ja) * 2010-04-22 2011-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ケーブル運搬台車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5349A (en) * 1990-12-26 1994-01-04 Tussing Norman P Cart for spools of wire
DE9207857U1 (ko) * 1992-06-12 1992-09-24 Klein, Hans-Peter, 6800 Mannheim, De
FI116461B (fi) * 2004-03-18 2005-11-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n toimituskokonaisuus
CN201089472Y (zh) * 2007-08-28 2008-07-23 浙江球冠集团有限公司 装运电缆盘具的小车
CN201439465U (zh) * 2009-08-27 2010-04-21 浙江天杰实业有限公司 可拆卸式电缆盘
JP5528312B2 (ja) * 2010-12-06 2014-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テールコードの懸架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219152B (zh) * 2011-05-24 2013-02-13 上海云童机械有限公司 轮胎吊电缆卷盘自动连接上电系统
CN202575730U (zh) * 2011-11-25 2012-12-05 桂林国际电线电缆集团有限责任公司 电线电缆周转盘翻盘工具
CN203283270U (zh) * 2013-04-13 2013-11-13 宁波金鼎紧固件有限公司 一种手推车
CN203460904U (zh) * 2013-05-10 2014-03-05 宁夏电力公司宁东供电局 多功能电缆小车
EP2860142B1 (en) * 2013-10-10 2016-09-14 KONE Corporation A rope terminal assembly and an elevator
CN203699604U (zh) * 2013-12-30 2014-07-09 福建优胜达电梯有限公司 电梯缆线盛放篮
CN203997511U (zh) * 2014-05-15 2014-12-10 国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电线电缆生产企业专用运输工具
CN204341148U (zh) * 2015-01-04 2015-05-20 铜陵新能建电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轻型电缆运输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271A (ja) * 2000-08-08 2002-02-19 Toshiba Elevator Co Ltd テールコード用梱包構造体とその運搬台車
US8016222B2 (en) * 2008-04-16 2011-09-13 Windy City Wire Cable And Technology Products, Llc Wire and cable dispensing container and systems
US8366126B2 (en) * 2008-04-16 2013-02-05 Windy City Wire Cable And Technology Products, Llc Wire and cable dispensing container and systems
JP2011225167A (ja) * 2010-04-22 2011-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ケーブル運搬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8093A (zh) 2017-03-01
TWI678330B (zh) 2019-12-01
JP6041946B1 (ja) 2016-12-14
KR102439230B1 (ko) 2022-09-01
JP2017043169A (ja) 2017-03-02
CN106476872A (zh) 2017-03-08
CN106476872B (zh)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0255B2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搬送設備
TWI731185B (zh) 物品搬送設備
JP2013518787A (ja) コンテナをコーニングおよび/またはデコーニング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関連する方法
WO2001094200A1 (fr) Aeronef comportant plusieurs cabines superieures et inferieures faisant office de compartiment a marchandises ou de cabines a passagers, et procede de chargement de marchandises sur un aeronef
TWI758504B (zh) 搬運系統及搬運方法
JP2016020255A (ja) 階間搬送設備
ITTO20091054A1 (it) "installazione per l'assemblaggio di parti meccaniche su scocche di autoveicoli"
KR20170024538A (ko) 엘리베이터용 제어 케이블의 송출 기능 부여 운반 대차
JP5123236B2 (ja) ドア搬送装置
JP5209549B2 (ja) ドア搬送設備
CN101711213B (zh) 特别用于航空器货舱中行李的传送装置
WO2020009371A1 (ko)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JPS6019610A (ja) 搬送設備
JPH07215665A (ja) パレタイザーおよび空パレット供給装置
KR20120023568A (ko) 롤체 수납 설비
KR200452416Y1 (ko) 선박용 크레인
KR102648706B1 (ko) 수직 컨베이어 기능이 구비된 특수승강기
US20230045842A1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 telescoping conveyor
EP2401218A1 (en) Handling of winding shafts and rolls
JP7393967B2 (ja) 荷物積付装置
JP2019123614A (ja) コンテナクレーン及びコンテナクレーンによる荷役方法
CN111891673B (zh) 纱筒数字化输送器
CN214062379U (zh) 一种卸料平台系统
JP4834127B2 (ja) 搬送システム
FI122345B (fi) Kannatuslaitteisto, käsittelyjärjestelmä, valmistuslinja ja menetelm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