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295A -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295A
KR20170023295A KR1020150117243A KR20150117243A KR20170023295A KR 20170023295 A KR20170023295 A KR 20170023295A KR 1020150117243 A KR1020150117243 A KR 1020150117243A KR 20150117243 A KR20150117243 A KR 20150117243A KR 20170023295 A KR20170023295 A KR 2017002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lue
composition
emulsion
blue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432B1 (ko
Inventor
정혜선
문선영
김연준
지홍근
유효경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32B1/ko
Priority to CN201610646878.1A priority patent/CN106466234A/zh
Priority to PCT/KR2016/009155 priority patent/WO2017030409A1/ko
Publication of KR2017002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케어용, 바디케어용 및 헤어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블루에멀젼 조성물은 에멀젼의 안정도를 계속 유지하여 푸른빛을 장기간 유지하여 외관상 차별화를 갖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심미적 아름다움을 만족시킬 수 있고, 블루에멀젼의 작은 입자사이즈를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블루에멀젼의 빠른 피부 흡수를 통한 보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Blue emulsion composition comprising Lecithin and Sodium Dilauramidoglutamide Lysine}
본 발명은 블루에멀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서로 섞이지 않는 2개의 액체가 계면활성제의 도움으로 한쪽의 액체 중에 다른 액체가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된 계를 분산계라고 한다. 유화(Emulsion), 가용화(Solubilization), 마이크로에멀전(Microemulsion)은 대표적인 액체-액체 분산계로서 산업 전반에 널리 보급 응용되고 있다. 콜로이드는 입자 크기와 열역학적 평형상태로 구별하며 분산상의 입자 크기 및 열역학적 안정성에 따라 유화(emulsion)와 가용화(solubilization)로 크게 나누고, 그 중간적인 형태인 마이크로에멀전(microemulsion)으로 나눌 수 있다.
유화는 연속상에 분산된 분산상의 입자 크기가 0.1㎛~10㎛ 정도로 광범위하여 크게 둘로 나누기도 한다. 첫 번째로, Oil 함량이 많고 입자가 크며 외관이 유백색이고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비평형계인 macroemulsion(일반적으로 emulsion이라고 함)과 두 번째로, oil 함량이 적고 입자가 작으며 열역학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한 청백색을 나타내는 miniemulsion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에멀젼(emulsion, 유화)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가 일정한 비로 작은 액적의 형태로 다른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시스템은 두 액체 이외에 제3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 계면활성제 분자는 계면에 흡착하는 특성이 있으며, 한 방향으로 배향하여 막을 형성하거나 용액 중에서 미셀을 만들고,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거나 그 밖에 전기 이중층을 형성함으로써 유화의 안정성에 기여하기도 한다. 에멀젼의 분산 입자들은 다른 콜로이드에 비해 그 입자의 크기도 크고 부피비도 높다. 이 에멀젼의 분산상이 기름이냐 물이냐에 따라 각각 O/W 에멀젼(oil-in water emulsion)과 W/O 에멀젼(water-in-oil emulsion)으로 나눌 수 있다. 그 밖의 에멀젼 종류에는 oil-in-oil(비극성 탄화수소에 ethylene-glycol과 같은 극성 기름이 분산된 것)이나 다중 에멀젼(multiple emulsion, W/O/W, O/W/O)이 있다.
에멀젼을 만드는 방법은 먼저 유화제를 물이나 오일 상에 용해시킨 후에 다른 상을 첨가하면서 교반하거나 혹은 두 상에 같이 첨가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는 교반 장치나 콜로이드밀, 압출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주로 액적을 변형시켜 점성력이나 관성력으로 분쇄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들은 층류, 난류, 공동화(cavitation) 그리고 계면의 불안정성을 이용한다. 이러한 분산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유화제는 기름의 종류 및 첨가상 등에 상관없이 기름/물간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고 유화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계면활성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계면장력이 저하하는 것을 이용하여 작은 에너지로 기름 또는 물을 미세 입자화 할 수 있다. 유화기(homogenizer, colloid mill, 고속 터빈 교반 등)는 기계적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러한 입자화를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화장치는 여러 성분들의 혼합, 균일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기로서 교반기, 혼합기, 분산기 및 초음파나 고압을 이용한 기기까지의 총칭을 말하고 있다. 에멀젼에 요구되는 에너지가 어느 정도인가는 △G = r△A로 나타낼 수가 있다. 여기서 r는 2상간의 계면 장력이고, △A는 확장된 면적, 즉 에멀젼입자의 계면 면적으로 유화 기기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에너지는 자유 에너지의 증가량인 △G로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인 유화기기로 Homo Mixer는 고정 stator와 움직이는 부분의 clearance가 약 0.5mm이고 이 부분에 시료가 통과될 때 생기는 전단력, 충격, 난류에 의해 시료가 파쇄되어 에멀션 입자가 형성되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Homogenizer는 1900년대 초 프랑스 사람인 August Gaulin이 우유의 입자의 균질화, 맛 개선 및 보관 기간 등을 연장할 목적으로 만들었으며, 그 이후에는 유제품 및 식품 가공에 널리 사용되었고 근년에는 화학 공업에서도 많이 응용되고 있다. Homogenizer는 높은 압력(Max. 100MPa)에서 시료를 valve 사이 간격을 통과시켜 고압에서 상압(0.1013 MPa)으로 변화시키면 압력차에 의한 cavitation 과 난류에 의해 입자의 미립화가 일어난다. 에멀젼입자 크기는 약 1㎛ 이하를 필요로 할 때 Homogenizer를 사용하며 고압 Homogenizer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부분과 파쇄 효과를 얻기 위한 valve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Microfluidics.사가 1980년대 중반에 독자적으로 고안 설계한 초고압 Homogenizer(U.S.Patent 4533254)가 에멀젼, 분산, 분쇄기로 사용되고 있다. 식품용에서 출발했던 Homogenizer를 개량 발전시킨 형태로 높은 압력(Max. 250MPa)까지 사용 가능하여 폭 넓은 제형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Chamber 구조는 액체/액체를 충돌시키는 Y자 형태와 고체/액체를 충돌시키는 Z 형태로, 재질은 경도성이 높고 chamber내의 orifice의 마모도가 적은 모스 경도 10의 다이아몬드나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 구조는 유압 펌프에서 발생한 압력을 Plunger 속도가 일정하게 작동하는 증압 펌프와 그 펌프의 일의 양에 따라 처리량과 처리 압력에 맞춘 chamber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까지 제시하는 유화 기기 중 기계적인 힘에서는 가장 크다고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유화 입자를 미세하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화 온도가 TC(65℃)이상에서 유화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유화제 양은 포화lecithin 0.5 (w/w%)이상이 되어야 한다. 유화의 안정성에서는 같은 입자 크기라도 분포가 협소 할수록 안정한 것으로 되어 있다. 유화 입자 형성 시 기계적인 힘은 기기에 의한 전단력과 난류에 의해 생기는 역학적인 힘에 비례해서 입자가 미세해지며 이 때 생기는 유화 입자 크기와 에너지와의 관계를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해 놓았다.
D ∝ e-2/5 r3 /5 p-3/5
상기 식에서 e은 에너지 밀도 (W.m3), r는 계면장력 (mN.m-1), p는 연속상 밀도 (Kg.m-3), D는 유화 입자 직경이다, 유화 장치의 방식이 모두 다르지만 단순히 입자 크기만을 갖고 상기 식으로 에너지 밀도 (또는 파쇄 효과)를 계산해 보면
eHomomixer:eHomogenizer:eMicrofluidizer = 1 : 8600 : 15000
이며 동일한 압력 조건 (100bar)에서도 Homogenizer 보다 MIcrofluidizer가 고속 충돌 효과인 impact 효과가 있어 입자가 작고 분포도 협소하여 유화효율이 나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에멀젼의 종류 중 oil 함량이 적고 입자가 작으며 열역학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한 청백색을 나타내는 miniemulsion을 블루에멀젼이라하는데, 블루에멀젼의 상태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블루에멀젼의 입자사이즈가 50-500㎚이며, 상기 블루에멀젼은 Nanoemulsion, Miniemulsion, Finely dispersed emulsion, ultrafine emulsion, 또는 sub micro system 이라고 부르며, 고압의 Homogenization 으로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블루에멀젼은 계면활성제로서 레시친으로만을 포함하도록 하여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만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은 상온에서 시간이 흐르면 푸른색이 옅어지면서 흰색으로 전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은 일본화성화학의 페리세아로 트리펩타이드로 아래의 구조와 같이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의 형태로 이루어진 물질로 제미니형 양친매성물질이다.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
Figure pat00001
이물질은 스킨케어에 이용될 때, 각질층에 고침투성, 액정 형성력, 피부의 배리어 기능 개선, 피부 탄력의 회복, 우수한 사용감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레시틴(Lecithin)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Sodium Dilauramidoglutamide Lysine)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의 경우, 일정시간 경과 후 푸른색이 옅어지면서 흰색으로 변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종래의 블루에멀젼과는 달리, 에멀젼의 안정도를 계속 유지하여 푸른색을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외관상으로 차별화를 갖고, 블루에멀젼의 작은 입자사이즈를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블루에멀젼의 빠른 피부 흡수를 통한 보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에멀젼의 안정도를 계속 유지하여 블루에멀젼의 푸른색을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외관상으로 차별화를 갖고, 블루에멀젼의 작은 입자사이즈를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블루에멀젼의 빠른 피부 흡수를 통한 보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을 이용한 스킨케어용 조성물, 바디케어용 조성물 및 헤어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레시틴(Lecithin)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Sodium Dilauramidoglutamide Lysine)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블루에멀젼’이란, 에멀젼 종류 중에서 오일의 함량이 적고 입자가 적으며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청백색을 나타내는 입자크기 50 내지 500㎚의 mimiemulsion을 블루에멀젼이라고 한다. 상기 miniemulsin, 즉 블루에멀젼은 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만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레시틴만으로 블루에멀젼을 만들 경우 상온에서 장기간 후에 에멀젼의 푸른빛이 옅어지면서 흰색으로 변화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시틴과 함께 보조계면활성제로서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이용하여 블루에멀젼을 제조할 경우, 안정도에 상관없이 에멀젼의 푸른색이 장기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원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블루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상기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은 블루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블루에멀젼이 아닌 흰색의 에멀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루에멀젼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식물성 오일, 에스테르 및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레시틴 0.01 내지 10 중량%,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세라마이드 0.01 내지 5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0중량, 식물성 오일 1 내지 20중량%, 에스테르오일 1 내지 20중량% 및 정제수 3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블루에멀젼이 아닌 흰색의 에멀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종래에 블루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어떠한 식물성 오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호호바오일, 썬플라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아보카도오일, 콩기름, 포도씨오일, 피마자오일, 및 미강오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오일은 종래에 블루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어떠한 에스테르오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칠에칠헥사노에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2-에칠헥사노에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에칠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덴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메칠로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스쿠알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루에멀젼은 100일 이상 동안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일 이상 푸른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루에멀젼의 입자크기는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의 경우(실시예 1), 100일이 지나도 블루에멀젼의 입자크기 범위(100-400)을 유지함으로써 푸른색을 장기간 유지하였다. 이에 반해, 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만을 함유한 비교예 1은 15일까지는 블루에멀젼의 입자크기 범위를 유지하면서 푸른색을 유지하였으나, 30일부터는 입자크기가 커지면서 푸른색은 전혀 보이지 않았고 일반에멀젼과 같은 흰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2는 입자크기에서 처음부터 블루에멀젼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색상 또한 처음부터 흰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본원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장기간(100일 이상)동안 블루에멀젼의 50-500㎚의 입자크기를 유지함으로써 푸른색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실험예 3 참조).
상기 본원발명 블루에멀젼은 다른 에멀젼과는 달리 장기간 푸른빛을 유지함으로써 외관상의 차별화를 갖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루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킨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루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루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블루에멀젼은 일반에멀젼에 비해 입자 크기가 작고, 경피 흡수율 및 피부 보습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블루에멀젼 조성물은 나노 크기의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경피 흡수 촉진(피부 침투)이 용이하고 피부 보습력이 우수함으로, 스킨케어를 위한 화장품이나 바디케어를 위한 화장품 및 헤어케어를 위한 화장품에 적용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블루에멀젼 조성물은 다른 에멀젼과는 달리 장기간 푸른빛을 유지함으로써 외관상의 차별화를 갖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블루에멀젼은 나노 크기의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경피 흡수 촉진(피부 침투)이 용이하고 피부 보습력이 우수함으로, 스킨케어를 위한 화장품이나 바디케어를 위한 화장품 및 헤어케어를 위한 화장품에 적용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블루에멀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블루에멀젼의 입자분포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3은 블루에멀젼의 입자 형태를 측정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정 시간(100일)이 경과 후, 에멀젼의 색상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반에멀젼과 본원발명의 블루에멀젼의 입자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에멀젼과 본원발명의 블루에멀젼의 보습력을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블루에멀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을 용기에 투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고압 균질기에서 1,000bar에서 연속 5회 통과 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블루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세라마이드 0.50
포화레시친 3.00
불포화레시친 2.00
소듐 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 0.10
마카다미아넛오일 3.00
스쿠알란 0.50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0.50
세칠에칠헥사노에트 1.00
글리세린 5.00
정제수 84.1
비교예 1: 레시틴만을 포함하는 블루에멀젼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을 용기에 투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고압 균질기에서 1,000bar에서 연속 5회 통과 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블루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세라마이드 0.50
포화레시친 3.00
불포화레시친 2.00
소듐 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 -
마카다미아넛오일 3.00
스쿠알란 0.50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0.50
세칠에칠헥사노에트 1.00
글리세린 5.00
정제수 84.5
비교예 2: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만을 포함하는 블루에멀젼 제조
하기 표 3의 성분을 용기에 투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고압 균질기에서 1,000bar에서 연속 5회 통과 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세라마이드 0.50
포화레시친 -
불포화레시친 -
소듐 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 3.00
마카다미아넛오일 3.00
스쿠알란 0.50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0.50
세칠에칠헥사노에트 1.00
글리세린 5.00
정제수 86.5
실험예 1: 실시예 1의 입자 분포 측정
실시예 1의 입자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Photal, ELS-Z(JAPAN Photal사) 셀에 에멀젼 용액을 10% 희석 시킨 후 10ml취한 후 기기에 넣어 측정한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 1 입자의 크기가 141.8㎚ 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입자 형태 측정
실시예 1의 입자 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동결 전자현미경 HITACHI H-7100(加速電:125kV)를 이용하여 입자 형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리포좀이 잘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시간 경과에 따른 블루에멀젼의 입자 크기 측정
실시예 1의 입자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Photal, ELS-Z(JAPAN Photal사) 셀에 에멀젼 용액을 10% 희석 시킨 후 10ml 취한 후 기기에 넣어 측정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처음 5일 15일 30일 60일 100일
실시예 1 141.8㎚ 145㎚ 150㎚ 151㎚ 150㎚ 149㎚
비교예 1 340.3㎚ 360㎚ 420㎚ 500㎚ 550㎚ 600㎚
비교예 2 900㎚ 1000㎚ 1100㎚ 1300㎚ 1500㎚ 2000㎚
그 결과, 상기 표 4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100일이 지나도 블루에멀젼의 입자크기 범위(100-400)을 유지함으로써 푸른색을 장기간 유지하였다. 이에 반해, 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만을 함유한 비교예 1은 15일까지는 블루에멀젼의 입자크기 범위를 유지하면서 푸른색을 유지하였으나, 30일부터는 입자크기가 커지면서 푸른색은 전혀 보이지 않았고 일반에멀젼과 같은 흰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2는 입자크기에서 처음부터 블루에멀젼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색상 또한 처음부터 흰색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일반에멀젼의 제조
하기 표 5의 성분을 용기에 투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 후에 고압 균질기에서 1,000bar에서 연속 5회 통과 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폴리 글리세린-3 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3.00
스테아릭산 0.80
해바라기 오일 5.00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0
실리콘오일 4.00
글리세린 5.00
카보폴 0.10
레티놀 5.00
세라마이드 1.00
정제수 To 100
실험예 4: 경피 흡수 촉진 효과 측정(피부침투)
인공피부인 태고사이언스의 네오덤을 Franz-type diffusion cell(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Franz-type diffusion cell의 Receptor 용기(5㎖)에 50mM 인산염 완충액(pH 7.4, 0.1M Nacl)을 넣어준 후, diffusion cell을 32℃, 600rpm으로 혼합, 분산시켜 주었다. 그리고 비교예 3의 일반에멀젼과 실시예 1의 블루에멀젼 조성물에 레티놀을 5% 포함한 블루에멀 50㎕를 donor용기에 넣어 주었다. 미리 예정한 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 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의 0.64cm2가 되게 하였다. 유효성분의 흡수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kimwipes 또는 10㎖의 에탄올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유화물을 씻어주고, 팁-타입 균등기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이 흡수 확산되어 있는 피부를 갈아준 후, 피부 내부로 흡수된 레티놀량을 4㎖ 나일론 멤브레인(nylon membrane)여과막으로 여과하고, 다음 조건으로 HPLC법으로 함량을 측정한 후에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경피 흡수량 경피 흡수 증가율
레티놀함유 블루에멀젼 0.3912 34.84%
레티놀함유 일반에멀젼 0.1123
A) 컬럼: C18(4.6x 200mm, 5um)
B) 이동상: 메탄올:헥산=2:1
C) 유속: 0.8ml/min
D) 검출기:UV 275nm
그 결과, 본원발명의 블루에멀젼이 일반에멀젼에 비해 경피 흡수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블루에멀젼 일반에멀젼의 입자 비교
비교예 3의 일반 에멀젼 및 실시예1 블루에멀젼을 글라스 위에 놓고 에멀젼이 놓인 글라스를 글자 위에 놓은 후, 에멀젼의 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반 에멀젼은 입자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흰색을 나타내는 반면 블루에멀젼은 입자사이즈가 141.8nm로 푸른색을 띠며, 밑의 글자가 선명하게 보였다.
실험예 6: 피부보습력 측정
비교예 2의 일반 에멀젼 및 실시예 1의 블루에멀젼을 팔목 안쪽에 각각 바른 후에 ter CM850(독일 사, Corneometer®CM 825 - Courage - Khazaka Electronic)으로 보습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블루에멀젼이 일반 에멀젼보다 보습력이 월등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레시틴(Lecithin)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Sodium Dilauramidoglutamide Lysine)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블루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상기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은 블루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에멀젼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식물성 오일, 에스테르 및 정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레시틴 0.01 내지 10 중량%,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세라마이드 0.01 내지 5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0중량, 식물성 오일 1 내지 20중량%, 에스테르오일 1 내지 20중량% 및 정제수 30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호호바오일, 썬플라워오일,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아보카도오일, 콩기름, 포도씨오일, 피마자오일, 및 미강오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오일은 세칠에칠헥사노에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리2-에칠헥사노에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칠 글리콜 디에칠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쓰릴리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트리덴실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메칠로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스쿠알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에멀젼은 100일 이상 푸른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에멀젼의 입자크기는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9. 제 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킨케어용 조성물.
  10. 제 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디케어용 조성물.
  11. 제 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케어용 조성물.
KR1020150117243A 2015-08-20 2015-08-20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KR10181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243A KR101818432B1 (ko) 2015-08-20 2015-08-20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CN201610646878.1A CN106466234A (zh) 2015-08-20 2016-08-09 含有卵磷脂及二(月桂酰胺谷氨酰胺)赖氨酸钠的蓝色乳液组合物
PCT/KR2016/009155 WO2017030409A1 (ko) 2015-08-20 2016-08-19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243A KR101818432B1 (ko) 2015-08-20 2015-08-20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95A true KR20170023295A (ko) 2017-03-03
KR101818432B1 KR101818432B1 (ko) 2018-01-17

Family

ID=5805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243A KR101818432B1 (ko) 2015-08-20 2015-08-20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18432B1 (ko)
CN (1) CN106466234A (ko)
WO (1) WO20170304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78A (ko)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경피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WO2020105840A1 (ko) * 2018-11-19 2020-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4386A (zh) * 2018-03-30 2018-09-14 广东巴松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含化学防腐剂的舒缓抗敏护肤乳及其制备方法
CN109172430A (zh) * 2018-11-01 2019-01-11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小分子团水的促渗透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10075007B (zh) * 2019-06-06 2022-03-22 广州微肽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防水、改善皮肤弹性的水包油防晒产品及其制备方法
CN114146007B (zh) * 2021-12-10 2024-03-15 中山中研化妆品有限公司 双层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1274C1 (de) * 1996-10-07 1998-02-12 Henkel Kgaa Sonnenschutzmittel in Form von O/W-Mikroemulsionen
KR20050078683A (ko) * 2004-01-31 2005-08-08 주식회사 잎스코스메틱 레시친과 슈가에스테르를 함유한 나노에멀젼 및 이를포함한 화장품
CN1931134A (zh) * 2006-09-29 2007-03-21 湖北丽益医药科技有限公司 异维a酸固体脂质纳米粒及其制备方法
KR101527505B1 (ko) * 2007-03-21 2015-06-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제품 교환 승인 방법
KR100849537B1 (ko) * 2007-07-04 2008-07-31 유효경 코엔자임 큐텐의 나노에멀젼 조성물
JP4659810B2 (ja) * 2007-10-26 2011-03-30 株式会社ファンケル 乳化化粧料
KR100912242B1 (ko) * 2008-12-03 2009-08-14 (주)마임 레시친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제 조성물
WO2012081132A2 (en) * 2010-12-17 2012-06-21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N104739658B (zh) * 2015-03-04 2017-11-03 上海应用技术学院 一种神经酰胺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CN104739656B (zh) * 2015-03-04 2018-01-26 上海应用技术学院 一种含阴离子Gemini表面活性剂的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78A (ko)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경피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WO2020105840A1 (ko) * 2018-11-19 2020-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509092A (ja) * 2018-11-19 2022-01-20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難溶性成分安定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432B1 (ko) 2018-01-17
CN106466234A (zh) 2017-03-01
WO2017030409A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432B1 (ko) 레시틴 및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이드라이신을 함유하는 블루에멀젼 조성물
RU2397754C2 (ru) Эмульсия масло-в-воде как сред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KR100874877B1 (ko) 폴리올중유형 고밀집 나노 농축 에멀젼을 이용한유중수중유형 역상 다중 에멀젼 상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US20040115161A1 (en) Cosmetic emulsion preparation and agent for external use
KR101868726B1 (ko) 세라마이드 분산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9523061A (ja) 容易に分散できる脂質相
JP2009161523A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54405A (ja) 白濁状水中油型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CN113260422A (zh) 神经酰胺分散组合物
JP5662774B2 (ja) 乳化組成物
JP2010184908A (ja) 乳化組成物およびそれを配合する化粧料、並びに皮膚外用剤
KR20190079201A (ko)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천연 오일을 함유한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S6295132A (ja) 多価アルコ−ル中油型乳化組成物
JP6356446B2 (ja) セラミド分散組成物
JP2011001289A (ja) 乳化液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JP6019024B2 (ja) 高濃度エマルション
JP6480839B2 (ja) セラミド分散組成物
JP4757565B2 (ja) 液晶分散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3278B1 (ko) 유화제 조합으로 점도를 컨트롤하는 액정유화 조성물
JP2017171632A (ja) 化粧品原料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WO2014103742A1 (ja) 逆ベシク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242582B2 (ja) 逆ベシクル組成物の製造方法
EP0667767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reams
KR102341723B1 (ko) 고순도 스쿠알렌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169174A (ja) O/w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