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221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221A
KR20170023221A KR1020177005251A KR20177005251A KR20170023221A KR 20170023221 A KR20170023221 A KR 20170023221A KR 1020177005251 A KR1020177005251 A KR 1020177005251A KR 20177005251 A KR20177005251 A KR 20177005251A KR 20170023221 A KR20170023221 A KR 20170023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llast
ballast water
quality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624B1 (ko
Inventor
오사오 고사꼬
고오이찌 오꾸다
신스께 모리모또
도모꼬 시노무라
아끼라 모찌즈끼
기요까즈 다께무라
미노루 모리따
시게끼 데루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257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2322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2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4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sludge, e.g. tank washing slu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서는,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도록 하였으므로, 취수 조건에 따라서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크게 다른 경우라도, 밸러스트 수를 항상 일정한 수질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를 행하므로, 수처리에 사용되는 약액의 과잉 주입이나 주입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 장치로서 살균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살균제의 과잉 주입이나 주입 부족을 방지할 수 있어, 살균제가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이나 환경에 부하를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SHIP}
본 발명은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밸러스트 수로부터 수생생물을 제거하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석이나 원유 등을 운반하는 선박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설치되고, 이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나 담수 등의 밸러스트 수(水)를 저류함으로써 선체의 자세 제어나 복원성 확보가 행해진다. 밸러스트 수는 빈 배일 때에 밸러스트 탱크 내에 취수되어, 적하의 진행에 따라서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배수되므로, 취수지와 다른 지역에서 배수된다. 따라서, 밸러스트 수와 함께 수생생물이 이동하여, 새로운 환경에 정착할 우려가 있고, 그 경우에는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수산업 등의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밸러스트 수와 함께 이동한 병원균에 의해, 인체의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도 우려된다.
따라서, 선박의 밸러스트 수 관리에 관한 국제 조약에 있어서, 2004년 2월에 「선박의 밸러스트 수 및 침전물의 규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 조약」이 채택되어,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의 탑재가 의무화되었다. 국제 해사 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IMO)가 정한 밸러스트 수 관리 기준은 다음과 같다.
ㆍ 최소 사이즈가 50㎛ 이상인 생물은 1㎥ 중에 살아 있는 생물수가 10개체 미만.
ㆍ 최소 사이즈가 50㎛ 미만이고 10㎛ 이상인 생물은 1㎖ 중에 살아 있는 생물수가 10개체 미만.
ㆍ 독소 산생성 콜레라(O-1, O-139)는 1cfu/100㎖ 미만.
ㆍ 대장균은 250cfu/100㎖ 미만.
ㆍ 장구균은 100cfu/100㎖ 미만.
이와 같은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밸러스트 수를 정화하는 다양한 밸러스트 수처리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필터로 조여과(물리 처리)를 한 후, 살균제를 첨가하는 살균 방식이 주류로 되어 있고, 특허 문헌 1에서는 염소계 약제를 첨가함으로써 밸러스트 수를 살균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밸러스트 수를 살균하고, 특허 문헌 3은 오존에 의해 밸러스트 수를 살균하고 있다.
최근에는 살균 방식 대신에, 응집 분리 방식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4에서는 밸러스트 수에 약제와 자기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제거 대상의 수생생물을 말려들게 하여 자성 플록을 형성하고, 이 자성 플록을 자석이나 필터를 사용하여 회수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수생생물을 분리 제거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32278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91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1249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18887호 공보
그런데, 밸러스트 수는 전세계의 항구에서 취수될 가능성이 있어, 그 수질은 취수 장소에 따라서 크게 상이하다. 예를 들어, 수질 오염이 진행된 수역에서는 부영양화에 의해, 수 중에 존재하는 박테리아나 플랑크톤 등의 수생생물이 많이 있다. 또한, 동일한 수역에서도 계절에 따라서 수생생물의 양은 크게 변화되거나, 밤낮의 온도차에 의해 대류 등이 발생하여, 단시간에 수생생물의 양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IMO가 정한 밸러스트 수 관리 기준을 항상 달성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여, 기준을 무리하게 만족시키려고 했을 때에 새로운 폐해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3에 있어서 기준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잉의 양의 살균제를 주입할 필요가 있어, 과잉의 약액 주입에 의해 그 약효가 잔류하여,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밸러스트 수의 배수 시에 그 수역의 수생생물을 죽여 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있어서 기준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성 플록 형성용 약제를 과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어, 이 과잉의 약액 주입에 의해 자성 플록의 회수물의 양이 불필요하게 증가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IMO가 정한 밸러스트 수 관리 기준을 항상 달성할 수 있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선박에 탑재되어, 밸러스트 수로부터 피제거물을 제거하는 수처리 장치와, 상기 수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밸러스트 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처리 장치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도록 하였으므로, 취수 조건에 따라서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크게 다른 경우라도, 밸러스트 수를 항상 일정한 수질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형태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를 행하므로, 수처리에 사용되는 약액의 과잉 주입이나 주입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 장치로서 살균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살균제의 과잉 주입이나 주입 부족을 방지할 수 있어, 살균제가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이나 환경에 부하를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밸러스트 수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상기 피제거물을 응집시키는 응집 장치와, 상기 응집 장치에서 발생한 응집물을 분리ㆍ제거하는 분리ㆍ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형태는, 밸러스트 수의 피제거물을 응집시켜 분리ㆍ제거하는 응집 분리 방식이고, 살균 방식과 같이 살균제를 주입할 필요가 없어, 밸러스트 탱크의 도장이나 환경에 대한 부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분리ㆍ제거 장치는 중력 침강, 가압 부상, 자기 분리, 필터 분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응집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응집제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형태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제어하므로, 응집제를 과부족 없이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응집제의 과잉 주입에 의해 응집제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밸러스트 수의 배출 시에 있어서의 환경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제2 또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리ㆍ제거 장치는 자기 분리와 필터 분리를 조합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형태에 따르면, 자기 분리와 필터 분리를 조합하도록 하였으므로, 응집물의 분리ㆍ회수를 고속이고 또한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형태에서는 응집 전의 밸러스트 수에 자기 성분을 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 분리는 영구 자석, 초전도 자석 등의 자석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터 분리는 10 내지 50㎛의 금속성 또는 수지성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밸러스트 수의 탁도, 색도의 적어도 한쪽을 측정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형태에 따르면, 탁도 또는 색도의 적어도 한쪽을 측정하여 모니터링하도록 하였으므로, 밸러스트 수 중의 수생생물 농도를 간접적으로 개산(槪算)할 수 있다. 또한, 탁도계, 색도계는 많은 범용 장치가 개발되어 있어, 수질의 모니터링을 확실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밸러스트 수를 화상 해석함으로써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형태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를 화상 해석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므로, 밸러스트 수 중의 수생생물 농도를 직접적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제1 내지 제6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수처리 장치가 단위 시간에 처리하는 처리량을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형태에 따르면, 단위 시간당의 처리량, 즉 수처리 장치에서의 체류 시간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밸러스트 수 중의 피제거물이 많은 경우라도, 피제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방식의 수처리 장치를 사용한 경우, 단위 시간당의 처리량을 제어함으로써 살균제와의 접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조 등에 의해 고농도의 생물이 유입된 경우라도, 살균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응집 분리 방식의 수처리 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는, 단위 시간당의 처리량을 제어함으로써 응집 장치에서의 체류 시간을 컨트롤할 수 있다. 따라서, 적조 등에 의해 고농도의 생물이 유입된 경우라도, 수생생물의 응집 처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는, 제1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처리 장치의 입구부, 출구부 및/또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서 상기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형태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의 입구부에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취수 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 변동에 따른 수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처리 장치의 출구부에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수처리 장치의 성능 변화(성능 열화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에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탱크 내에서 수질이 열화된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는 제1 내지 제8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 수, 또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밸러스트 수를 상기 수처리 장치로 복귀시키는 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밸러스트 수를 상기 수처리 장치에 의해 재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형태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를 재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취수 시의 밸러스트 수에 다량의 피제거물이 포함되는 경우나, 수처리에 의해 피제거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었던 경우, 또는 탱크 내에서 피제거물이 증식한 경우에 밸러스트 수를 재처리한다. 이에 의해, 기준을 확실하게 만족시킨 상태에서 밸러스트 수를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는 선박의 항행 중이나 밸러스트 수의 배수 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므로, 취수 조건에 따라서 크게 다른 밸러스트 수를 원하는 수질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밸러스트 수의 배수 기준을 확실하게 만족시킬 수 있고, 밸러스트 수의 배수에 의한 생태계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서 배수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다른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서 배수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밸러스트 수의 수생생물 농도와 약액 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밸러스트 수의 탁도와 응집제의 첨가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10)은 선박(12) 내에 탑재되어, 주로 수처리 장치(14), 밸러스트 탱크(16), 모니터링 장치(18), 제어 장치(20)로 구성된다.
수처리 장치(14)는 「살균 방식」의 일례로, 물리 제거 장치(22), 살균 장치(24)의 장치군으로 구성된다.
물리 제거 장치(22)는 대형의 수생생물이나 부유 물질 등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필터, 사이클론, 캐비테이션 등을 이용한 장치가 단독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된다. 물리 제거 장치(22)에는 원수 배관(26)이 접속되어 있고, 원수 배관(26)에는 펌프(28) 및 밸브(30)가 배치된다. 펌프(28)를 구동함으로써, 원수 배관(26)에 해수 또는 담수가 흡인되어, 물리 제거 장치(22)로 송액된다. 펌프(28) 및 밸브(30)는 제어 장치(2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20)에 의해 펌프(28)의 회전수나 밸브(30)의 개방도가 제어된다. 또한, 후단의 살균 장치(24)의 설계에 따라서는 물리 제거 장치(22)를 설치하지 않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펌프(28)를 사용하는 대신에, 수위차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담수를 송액하도록 해도 좋다.
물리 제거 장치(22)는 처리수 배관(32)을 통해 밸러스트 탱크(16)에 접속되고, 처리수 배관(32)의 도중에 살균 장치(24)가 설치된다. 살균 장치(24)는 소형의 수생생물을 사멸시키는 장치로,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나트륨, 오존, 이산화염소, 과초산, 과산화수소, UV 등을 사용한 장치가 단독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된다. 살균 장치(24)의 구체예로서는, 살균제를 저류하는 약제 저류조(도시하지 않음)와, 그 살균제를 처리수 배관에 주입하는 주입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또한, 살균제 등을 발생시키는 발생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물리 제거 장치(22) 및 살균 장치(24)에서 수생생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밸러스트 탱크(16)로 송액되어 저류된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원수 배관(26)과 펌프(28)를 이용하여 배수하는 형태나, 밸러스트 탱크(16)에 새로운 배수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여 배수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원수 배관(26)[즉, 수처리 장치(14)의 입구부], 처리수 배관(32)[즉, 수처리 장치(14)의 출구부], 밸러스트 탱크(16)에는 각각 샘플링관(34, 36, 38)이 접속되고, 각 샘플링관(34, 36, 38)이 모니터링 장치(18)에 접속된다. 모니터링 장치(18)는 샘플링관(34, 36, 38)을 통해 인입된 밸러스트 수를 자동적으로 샘플링하여, 그 수질을 조사한다. 수질의 조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촬영에 의해 밸러스트 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함으로써 수생생물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수 중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나, 수 중의 색도를 측정하는 색도계를 사용하여 수질을 간접적으로 구하도록 해도 좋다.
모니터링 장치(18)는 제어 장치(20)에 접속되어 있고, 모니터링 결과의 데이터가 제어 장치(20)로 송신된다. 제어 장치(20)는 펌프(28), 밸브(30), 물리 제거 장치(22), 살균 장치(24)에 접속되어,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물리 제거 장치(22)나 살균 장치(24)의 운전 조건, 펌프(28)의 회전수, 밸브(30)의 개방도가 조절된다. 이에 의해, 수생생물의 처리량이나 단위 시간당의 처리 유량 등, 수처리 장치(14)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수 배관(26)의 밸러스트 수, 처리수 배관(32)의 밸러스트 수, 밸러스트 탱크(16)의 밸러스트 수를 샘플링하고 있다. 즉, 취수 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 수처리 장치(14)에서 처리한 직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 밸러스트 탱크(16) 내에 저류된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20)는 그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14)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여, 밸러스트의 처리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원수 배관(26)의 밸러스트 수(즉, 취수 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되어, 수생생물 농도가 커진 경우에는, 살균 장치(24)의 살균제의 투입량을 늘리거나, 펌프(28)나 밸브(30)에 의해 처리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처리 장치(14)의 처리 능력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취수 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향상되어, 수생생물 농도가 작아진 경우에는, 살균 장치(24)의 살균제의 투입량을 줄이거나, 펌프(28)나 밸브(30)에 의해 처리 유량을 증가시켜, 수처리 장치(14)의 처리 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의해, 밸러스트 수의 원수의 수질 변동에 대응할 수 있어, 처리 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 수의 원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14)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함으로써, 살균 장치(24)로부터 살균제가 과잉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잉여의 살균제가 밸러스트 수의 배수 시에 그 지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처리수 배관(32)의 밸러스트 수(즉, 처리 직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변동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수생생물 농도가 커진 경우에는, 살균 장치(24)의 살균제의 투입량을 늘리거나, 펌프(28)나 밸브(30)에 의해 처리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처리 장치(14)의 처리 능력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수생생물 농도가 작아진 경우에는, 살균 장치(24)의 살균제의 투입량을 줄이거나, 펌프(28)나 밸브(30)에 의해 처리 유량을 증가시켜, 수처리 장치(14)의 처리 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의해, 수처리 장치(14)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어, 처리 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원수 배관(26)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과, 처리수 배관(32)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비교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원수의 수질 변동에, 보다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어, 처리 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도 모니터링하고 있어,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 내에서의 수질이 저하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 수를 수처리 장치(14)에 순환시켜 재처리하는 방법이나, 밸러스트 탱크 내의 밸러스트 수를 배수할 때에 수처리 장치(14)로 송액하여 재처리하여 배수하는 방법, 또는 밸러스트 탱크에 살균 장치(24)를 접속하여 밸러스트 탱크 내를 살균하는 방법 등에 의해 대응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14)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도록 하였으므로, 취수 조건에 따라서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크게 다른 경우라도, 밸러스트 수를 항상 일정한 수질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를 행하므로, 수생생물 농도에 따른 적절한 양의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수생생물 농도와 각 살균제의 관계를 도 7의 표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관계에 기초한 적절한 양의 약액을 주입할 수 있어, 약액의 과잉 주입이나 주입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약액의 잔류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16)의 도장이나 배수 영역에서의 생태계에 부하를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표에 있어서, 수생생물 A의 기준은 「최소 사이즈가 50㎛ 이상인 생물은 1㎥ 중에 살아 있는 생물수가 10개체 미만」이고, 수생생물 B의 기준은 「최소 사이즈가 50㎛ 미만이고 10㎛ 이상인 생물은 1㎖ 중에 살아 있는 생물수가 10개체 미만」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3개소[원수 배관(26), 처리수 배관(32), 밸러스트 탱크(16)]에서 모니터링하였지만, 모니터링하는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중 1개소 또는 2개소에서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샘플링해도 좋다.
도 2는 도 1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재처리하는 기능을 갖게 한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40)은 밸러스트 탱크(16)에 순환 라인(42)이 접속되고, 이 순환 라인(42)의 선단이 원수 배관(26)에 접속된다. 순환 라인(42)에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와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이 펌프와 밸브는 제어 장치(2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순환 라인(42)의 선단을 펌프(28)의 상류측(도 2의 좌측)의 배관에 접속함으로써, 취수 시와 순환 시에 펌프(28) 및 밸브(30)를 겸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40)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14)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한다. 예를 들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된 경우,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순환 라인(42)에 의해 수처리 장치(14)에 순환시켜,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14)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여, 수생생물 농도가 허용치 이하로 될 때까지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향상시켜, 허용치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순환시켜 정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선박의 항행 중에 밸러스트 수의 정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물리 제거 장치(22)의 전단으로 복귀시키도록 하였지만, 도 2에서 순환 라인(44)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살균 장치(24)에 의한 살균 위치의 전단으로 복귀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살균 처리만 재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컨트롤하도록 하였지만,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과 처리 직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재처리 시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처리 직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과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동일해졌을 때에,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정지하도록 해도 좋다.
도 3은 도 1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10)에 있어서, 배수를 행할 때의 플로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배수 플로우는 도 1의 수처리 장치(14), 펌프(28), 밸브(30)를 사용하여 배수를 행하는 예이지만, 배수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취수 시와는 다른 수처리 장치, 펌프, 밸브를 설치하여 배수하도록 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10)은 밸브(30)를 개방하여, 펌프(28)를 구동함으로써,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가 수처리 장치(14)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제어 장치(20)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14)를 컨트롤한다. 예를 들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수생생물 농도)이 허용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수처리 장치(14)를 구동하여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개시하는 동시에,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14)의 운전 조건(살균제의 주입량 등의 처리량이나 단위 시간당의 처리 유량)을 컨트롤한다. 이에 의해, 배출되는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향상되어, 허용치 이하로 제어되어 배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14)가 밸러스트 수의 배출 라인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배출 시에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항행 중에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된 경우에도, 배출 시의 밸러스트 수를 재처리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배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배수 시의 밸러스트 수가 물리 제거 장치(22)에도 흐르도록 하였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제거 장치(22)의 바이패스 라인(46)을 설치하여, 물리 제거 장치(22)를 통하지 않고 배수되도록 해도 좋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10)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50)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10)과 비교하여, 응집 분리 방식의 수처리 장치(52)를 사용한 점에서 상이하다. 응집 분리 방식의 수처리 장치(52)는 밸러스트 수 중의 피제거물(수생생물)을 응집시켜 분리 제거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첨가부(54), 응집부(56), 분리부(58)로 구성된다.
약제 첨가부(54)는 밸러스트 수 중의 피제거물(수생생물)을 응집시키는 데 필요한 약제를 밸러스트 수에 첨가하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기 성분 첨가 장치(60), 무기 응집제 첨가 장치(62), 고분자 응집제 첨가 장치(64)를 구비한다. 자기 성분 첨가 장치(60)는 응집부(56)의 급속 교반조(66)로 송액되는 밸러스트 수에 자기 성분을 첨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자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삼산화철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응집제 첨가 장치(62)는 응집부(56)의 급속 교반조(66)로 송액되는 밸러스트 수에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무기 응집제로서는 폴리염화알루미늄, 염화철, 황산제2철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응집제 첨가 장치(64)는 응집부(56)의 급속 교반조(66)로부터 완속 교반조(68)로 송액되는 밸러스트 수에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고분자 응집제로서는 음이온계나 비이온계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첨가되는 약제의 종류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후단의 분리부(58)에서 자기 분리 장치(7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기 성분 첨가 장치(60)가 없는 형태도 가능하다.
응집부(56)는 원수 배관(26)으로부터 밸러스트 수가 송액되는 급속 교반조(66)와, 급속 교반조(66)에 배관(70)으로 접속된 완속 교반조(68)를 구비한다. 급속 교반조(66)는 도시하지 않은 교반 날개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밸러스트 수, 자기 성분, 응집제를 급속 교반하도록 구성된다. 급속 교반조(66) 내의 교반 날개는 그 선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주속이 1 내지 2m/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급속 교반조(66)를 사용함으로써, 자기 성분, 밸러스트 수 중의 고형 부유 입자, 박테리아, 플랑크톤 등이 도입된 수십㎛ 정도의 크기의 미소한 자성 플록이 형성된다. 자성 플록을 함유하는 밸러스트 수는 배관(70)을 통해 완속 교반조(68)로 송수된다.
완속 교반조(68)는 도시하지 않은 교반 날개를 저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자성 플록을 함유하는 밸러스트 수와 고분자 응집제를 완만하게 교반하도록 구성된다. 완속 교반조(68) 내의 교반 날개는 급속 교반조(66) 내의 교반 날개보다도 느린 회전 주속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은 완속 교반조(68)를 사용함으로써, 자성 플록을 성장시킬 수 있어, 자성 수백㎛ 내지 수㎜ 정도의 큰 자성 플록이 형성된다. 성장한 자성 플록을 함유하는 밸러스트 수는 분리부(58)로 송액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속 교반조(66)와 완속 교반조(68)로 응집부(56)를 구성하였지만, 응집부(56)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교반 방법이 다른 몇 종류의 교반조를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분리부(58)는 자기 분리 장치(72)와 필터 분리 장치(74)를 구비한다. 자기 분리 장치(72)는 밸러스트 수 중의 자성 플록을 자력에 의해 흡착 분리하는 것으로, 이 자기 분리 장치(72)에 의해, 원수 중의 자성 플록의 약 99% 이상이 분리 제거된다. 자기 분리 장치(72)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필터 분리 장치(74)로 송수된다. 필터 분리 장치(74)는, 예를 들어 구멍 직경 10 내지 50㎛의 필터를 갖는 회전 드럼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사용되고, 회전 드럼 필터의 내측에 밸러스트 수를 공급함으로써, 밸러스트 수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송액되어 여과되어, 응집에서는 제거할 수 없는 작은 물고기나 작은 새우 등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 밸러스트 수 중의 쓰레기, 고형 부유 입자, 박테리아, 플랑크톤 등의 오탁 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밸러스트 수를 정화할 수 있다. 정화된 밸러스트 수는 처리수 배관(32)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16)로 송액되어 저류된다. 또한, 분리부(58)의 구성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 분리 장치(74)가 없는 형태나, 자기 분리 장치(72) 대신에, 침강 분리, 가압 부상 분리 등의 분리 장치를 사용한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50)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원수 배관(26), 처리수 배관(32), 밸러스트 탱크(16)에 각각 샘플링관(34, 36, 38)이 접속되어 있고, 각 샘플링관(34, 36, 38)이 모니터링 장치(18)에 접속된다. 모니터링 장치(18)는 샘플링관(34, 36, 38)을 통해 인입된 밸러스트 수를 자동적으로 샘플링하여, 그 수질을 조사한다. 수질의 조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촬영에 의해 밸러스트 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화상 해석함으로써 수생생물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수 중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나, 수 중의 색도를 측정하는 색도계를 사용하여 수질을 간접적으로 구하도록 해도 좋다.
모니터링 장치(18)는 제어 장치(20)에 접속되어 있고, 모니터링 결과의 데이터가 제어 장치(20)로 송신된다. 제어 장치(20)는 펌프(28), 밸브(30), 약제 첨가부(54), 응집부(56)에 접속되어 있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약제 첨가부(54)나 응집부(56)의 운전 조건, 펌프(28)의 회전수, 밸브(30)의 개방도가 조절된다. 이에 의해, 수생생물의 처리량이나 단위 시간당의 처리 유량 등, 수처리 장치(52)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52)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도록 하였으므로, 취수 조건에 따라서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크게 다른 경우라도, 밸러스트 수를 항상 일정한 수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수 배관(26)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되어, 수생생물 농도가 커진 경우에는, 약제 첨가부(54)의 약제 투입량을 늘리거나, 응집부(56)에서의 교반 효과를 크게 하여 응집량을 늘리거나, 펌프(28)나 밸브(30)에 의해 처리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처리 장치(52)의 처리 능력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취수 시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향상되어, 수생생물 농도가 작아진 경우에는, 약제 첨가부(54)의 약제 투입량을 줄이거나, 응집부(56)에서의 교반 효과를 작게 하여 응집량을 감소시키거나, 펌프(28)나 밸브(30)에 의해 처리 유량을 증가시켜, 수처리 장치(52)의 처리 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의해, 밸러스트 수의 원수의 수질 변동에 대응할 수 있어, 처리 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 수의 원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52)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함으로써, 약제 첨가부(54)의 약제가 과잉으로 첨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밸러스트 수의 배수 시에 그 지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처리수 배관(32)의 밸러스트 수(즉, 처리 직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변동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수생생물 농도가 커진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처리 장치(52)의 처리 능력을 증가시키고, 수생생물 농도가 작아진 경우에는 수처리 장치(52)의 처리 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의해, 수처리 장치(52)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어, 처리 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원수 배관(26)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과, 처리수 배관(32)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비교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원수의 수질 변동에, 보다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어, 처리 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더욱 안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도 모니터링하고 있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16) 내에서의 수질이 저하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수처리 장치(52)로 순환시켜 재처리하는 방법이나,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배수할 때에 수처리 장치(52)로 송액하여 재처리하여 배수하는 방법 등에 의해 대응하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52)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므로, 수생생물 농도에 따라서 적절한 양의 응집제를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밸러스트 수의 탁도와 응집제의 첨가량의 관계를 도 8의 표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와 같은 관계에 기초한 적절한 양의 응집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표에서는 무기 응집제의 일례로서 폴리염화알루미늄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는, 응집 분리 방식의 수처리 장치(52)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살균제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생태계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집 분리 방식의 수처리 장치(52)를 사용한 경우에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에 머드(진흙, 생물의 사체 등)가 퇴적되지 않으므로, 머드 내에서의 수생생물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3개소[원수 배관(26), 처리수 배관(32), 밸러스트 탱크(16)]에서 모니터링하였지만, 모니터링하는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중 1개소 또는 2개소에서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샘플링해도 좋다.
도 5는 도 4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재처리하는 기능을 갖게 한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80)은 밸러스트 탱크(16)에 순환 라인(82)이 접속되고, 이 순환 라인(82)의 선단이 원수 배관(26)에 접속된다. 순환 라인(82)에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와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이 펌프와 밸브는 제어 장치(2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순환 라인(82)의 선단을 펌프(28)의 상류측(도 5의 좌측)에 접속함으로써, 취수 시와 순환 시에 펌프(28) 및 밸브(30)를 겸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80)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수처리 장치(52)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한다. 예를 들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된 경우,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순환 라인(82)에 의해 수처리 장치(52)에 순환시켜,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52)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여, 수질이 허용치 이하로 될 때까지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향상되어, 허용치 이하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를 순환시켜 정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선박의 항행 중에 밸러스트 수의 정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컨트롤하도록 하였지만, 처리 직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과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재처리 시의 운전 조건을 컨트롤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처리 직후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과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동일해졌을 때에,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정지하도록 해도 좋다.
도 6은 도 4의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50)에 있어서, 배수를 행할 때의 플로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배수 플로우는 도 4의 수처리 장치(52), 펌프(28), 밸브(30)를 사용하여 배수를 행하는 예이지만, 배수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취수 시와는 다른 수처리 장치, 펌프, 밸브를 설치하여 배수하도록 해도 좋다.
도 6에 도시하는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50)은 밸브(30)를 개방하여, 펌프(28)를 구동함으로써,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가 수처리 장치(5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제어 장치(20)는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52)를 컨트롤한다. 예를 들어,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수생생물 농도)이 허용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수처리 장치(52)를 구동하여 밸러스트 수의 재처리를 개시하는 동시에, 밸러스트 수의 수질에 따라서 수처리 장치(52)의 운전 조건(응집제의 주입량 등의 처리량이나 단위 시간당의 밸러스트 수의 처리 유량)을 컨트롤한다. 이에 의해, 배출되는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향상되므로, 허용치 이하로 제어된 밸러스트 수를 배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처리 장치(52)를 밸러스트 수의 배출 라인 상에 집어 넣었으므로, 배출 시에 밸러스트 수를 재처리하여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항행 중에 밸러스트 탱크(16) 내의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된 경우에도, 배출 시에 밸러스트 수를 재처리함으로써, 밸러스트 수의 배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10 :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
12 : 선박
14 : 수처리 장치
16 : 밸러스트 탱크
18 : 모니터링 장치
20 : 제어 장치
22 : 물리 제거 장치
24 : 살균 장치
26 : 원수 배관
28 : 펌프
30 : 밸브
32 : 처리수 배관
34 내지 38 : 샘플링관
40 :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
42 : 순환 라인
44 : 순환 라인
46 : 바이패스 라인
50 :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
52 : 수처리 장치
54 : 약제 첨가부
56 : 응집부
58 : 분리부
60 : 자기 성분 첨가 장치
62 : 무기 응집제 첨가 장치
64 : 고분자 응집제 첨가 장치
66 : 급속 교반조
68 : 완속 교반조
70 : 배관
72 : 자기 분리 장치
74 : 필터 분리 장치
80 :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
82 : 순환 라인

Claims (7)

  1. 밸러스트 수를 취수 및 배수하는 펌프와,
    상기 밸러스트 수로부터 피제거물을 제거하는 물리 제거 장치와, 상기 밸러스트 수를 살균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와,
    상기 수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밸러스트 수를 저류하는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수처리 장치의 입구부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수의 취수 시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밸러스트 수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처리 장치의 단위 시간당의 처리유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의 출구부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수의 배수 시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밸러스트 수의 배수 시의 수질이 허용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밸러스트 수를 배출하고,
    상기 밸러스트 수의 배수 시의 수질이 상기 허용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밸러스트 수를 상기 수처리 장치에서 재처리 후, 상기 밸러스트 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의 수질이 상기 허용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밸러스트 수를 상기 수처리 장치에서 재처리 후,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에서의 재처리를 상기 살균 장치에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수처리 장치의 단위 시간당의 처리유량의 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수처리 장치의 사이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수처리 장치의 단위 시간당의 처리유량의 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수의 수질이 저하 또는 수생생물 농도가 증가한 경우, 상기 수처리 장치의 단위 시간당의 처리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7005251A 2007-11-08 2008-11-04 선박 KR101756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90955 2007-11-08
JP2007290955A JP5238968B2 (ja) 2007-11-08 2007-11-08 船舶
PCT/JP2008/070011 WO2009060813A1 (ja) 2007-11-08 2008-11-04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925A Division KR101712331B1 (ko) 2007-11-08 2008-11-04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21A true KR20170023221A (ko) 2017-03-02
KR101756624B1 KR101756624B1 (ko) 2017-07-26

Family

ID=4062570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251A KR101756624B1 (ko) 2007-11-08 2008-11-04 선박
KR1020157018564A KR101707066B1 (ko) 2007-11-08 2008-11-04 선박
KR1020107010080A KR20100077012A (ko) 2007-11-08 2008-11-04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
KR1020177005252A KR20170024151A (ko) 2007-11-08 2008-11-04 선박
KR1020167001925A KR101712331B1 (ko) 2007-11-08 2008-11-04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564A KR101707066B1 (ko) 2007-11-08 2008-11-04 선박
KR1020107010080A KR20100077012A (ko) 2007-11-08 2008-11-04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
KR1020177005252A KR20170024151A (ko) 2007-11-08 2008-11-04 선박
KR1020167001925A KR101712331B1 (ko) 2007-11-08 2008-11-04 선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38968B2 (ko)
KR (5) KR101756624B1 (ko)
CN (2) CN102673768B (ko)
SG (3) SG185974A1 (ko)
WO (1) WO2009060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4449C2 (sv) * 2009-06-09 2011-08-30 Alfawall Ab Rengöringsenhet för rengöring av ett behandlingssystem för ballastvatten
JP5268031B2 (ja) * 2009-07-10 2013-08-21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バラスト水処理方法、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0947558B1 (ko) * 2009-10-16 2010-03-12 우시 브라이트스카이 이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밸러스트수 수처리 시스템
JP2011121033A (ja) 2009-12-14 2011-06-2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磁気分離装置及び磁気分離方法並びに廃水処理装置及び廃水処理方法
JP5485750B2 (ja) 2010-03-05 2014-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分離装置及び廃水処理装置
JP6021293B2 (ja) * 2010-04-20 2016-1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JP5362641B2 (ja) * 2010-04-23 2013-12-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分離装置及びこの磁気分離装置を搭載した船舶
JP5422516B2 (ja) * 2010-08-23 2014-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凝集磁気分離装置
JP5692652B2 (ja) * 2011-07-26 2015-04-01 三浦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13126622A (ja) * 2011-12-19 2013-06-27 Sumitomo Electric Ind Ltd 船舶用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5727954B2 (ja) * 2012-03-07 2015-06-03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管理システム
JP2014000543A (ja) * 2012-06-20 2014-01-09 Daido Steel Co Ltd 金属粉粒含有廃液の処理方法
KR101411403B1 (ko) * 2012-07-06 2014-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잔류 염소와의 접촉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CN102874966B (zh) * 2012-10-23 2014-10-22 九江精密测试技术研究所 一种船舶压载水处理系统
US10261063B2 (en) 2012-11-14 2019-04-16 Ballast Water Monitoring A/S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quality of ballast water of a vessel
JP5971355B2 (ja) * 2013-01-30 2016-08-17 富士電機株式会社 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ガス処理システム
JP5701325B2 (ja) * 2013-02-25 2015-04-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KR20160101346A (ko) 2015-02-17 2016-08-25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밸러스트 수의 수질 감시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선박
WO2016174890A1 (ja) * 2015-04-30 2016-11-03 株式会社クラレ バラスト水処理装置及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KR101758830B1 (ko) * 2015-05-08 2017-07-27 (주) 테크로스 전기분해방식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709638B1 (ko) * 2015-06-03 2017-03-08 (주) 테크로스 이염화이소시아눌산나트륨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JP2017159199A (ja) * 2016-03-07 2017-09-14 株式会社東芝 固液分離装置及び制御装置
JP6625907B2 (ja) 2016-03-08 2019-12-25 富士電機株式会社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システム
WO2017220659A1 (en) 2016-06-22 2017-12-28 Oceansaver A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JP6388020B2 (ja) * 2016-12-12 2018-09-12 栗田工業株式会社 船舶の設備管理システム、設備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設備管理方法
KR20170002356A (ko) 2016-12-28 2017-01-06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밸러스트 수의 수질 감시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한 선박
US11530144B2 (en) 2017-08-31 2022-12-20 Kuraray Co., Ltd.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KR101892545B1 (ko) * 2017-12-11 2018-08-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공질 흡착제를 이용한 부유식 수생태계 오염저감장치
KR20200115574A (ko) * 2018-01-30 2020-10-07 브레인셉트 아게 가열 및/또는 냉각 패드
CN110510062A (zh) * 2019-09-17 2019-11-29 上海振华重工启东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浮船坞水下合拢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2788A (ja) 1991-02-25 1992-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バラスト水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JP2005218887A (ja) 2004-02-03 2005-08-18 Hitachi Ltd 船舶搭載型汚濁水浄化装置
JP2006212494A (ja) 2005-02-01 2006-08-1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9360A (en) * 1979-04-16 1981-03-31 Liquid Carbonic Corporation Deoxygenation of liquids
JPH03169306A (ja) * 1989-11-30 1991-07-23 Meidensha Corp フロック形成制御装置
JP2538466B2 (ja) * 1991-11-27 1996-09-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凝集剤の注入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21738A (ja) * 1995-07-04 1997-01-21 Hitachi Ltd 微生物濃度の計測方法および計測装置
US6773611B2 (en) * 2000-11-28 2004-08-10 Ecochlor, Inc. Methods,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organisms in ballast water
FI20010628A (fi) * 2001-03-27 2002-09-28 Evac Int Oy Laitteisto jäteaineen puhdistamiseksi
KR101006763B1 (ko) * 2002-05-02 2011-01-10 피터 드러몬드 맥널티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2656402Y (zh) * 2002-06-26 2004-11-17 重庆燕事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一体化电脑控制中水处理设施
KR100542895B1 (ko) * 2003-12-22 2006-01-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이용한 전해식 밸러스트수 처리방법및 처리장치
GB0410478D0 (en) * 2004-05-11 2004-06-16 Foss & Varenhed Entpr As Method
JP2005342626A (ja) * 2004-06-03 2005-12-15 Jfe Engineering Kk バラスト水処理方法及び装置、該装置を搭載した船舶
WO2006003723A1 (ja) * 2004-07-05 2006-01-12 Daiki Ataka Engineering Co., Ltd. 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EP1671932B1 (en) * 2004-07-30 2012-05-02 Katayama Chemical, Inc. Method for treating ship ballast water
JP2006102283A (ja) * 2004-10-07 2006-04-20 Ipb:Kk 船舶バラスト水処理方法ならびに生物を殺滅した液体の製法
CN1938231B (zh) * 2005-01-24 2015-09-30 纽泰科O3公司 臭氧喷射方法和系统
JP5214107B2 (ja) * 2005-02-09 2013-06-19 株式会社東芝 バラスト水浄化装置
JP4844244B2 (ja) * 2005-06-10 2011-12-28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6346633A (ja) * 2005-06-17 2006-12-28 Hitachi Ltd 液体処理装置及び液体処理方法
JP2007135582A (ja) * 2005-10-19 2007-06-07 Jfe Engineering Kk バラスト水中の微生物検出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2788A (ja) 1991-02-25 1992-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バラスト水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JP2005218887A (ja) 2004-02-03 2005-08-18 Hitachi Ltd 船舶搭載型汚濁水浄化装置
JP2006212494A (ja) 2005-02-01 2006-08-1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910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73768B (zh) 2015-06-10
KR101707066B1 (ko) 2017-02-15
KR20160014115A (ko) 2016-02-05
KR20170024151A (ko) 2017-03-06
SG10201701591TA (en) 2017-04-27
JP5238968B2 (ja) 2013-07-17
KR101756624B1 (ko) 2017-07-26
CN101855178B (zh) 2013-02-13
SG10201602094RA (en) 2016-04-28
KR20100077012A (ko) 2010-07-06
CN102673768A (zh) 2012-09-19
KR20150086559A (ko) 2015-07-28
WO2009060813A1 (ja) 2009-05-14
CN101855178A (zh) 2010-10-06
JP2009112978A (ja) 2009-05-28
SG185974A1 (en) 2012-12-28
KR101712331B1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624B1 (ko) 선박
JP5701325B2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US7455022B2 (en) Wastewater ballast system and method
JP2009112978A5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及び船舶
KR101379705B1 (ko) 해양 폐수 처리 방법
KR102015090B1 (ko) 배수 처리 방법 및 배수 처리 시스템
US6875363B2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particularly for ships
JP5945309B2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
WO2008124425A1 (en) Process for treating waste water
JP6589627B2 (ja) 水処理システム、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方法の管理方法
KR20100008369A (ko) 밸러스트수의 이용 시스템
FI128075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edenalaisen pinnan ja siitä irrotetun aineksen käsittelemiseksi
KR101523515B1 (ko) 가두리 양식용 작업선박
KR200307988Y1 (ko) 오폐수 정화장치
JP2023035670A (ja) ピコプランクトンを含む被処理水の処理方法及びピコプランクトンを含む被処理水の処理装置
JP2021000606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EP2356079A1 (en) Method and a ship plant for inactivation of planktonic organisms in water ballast by hydrodynamic fo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