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801A -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801A
KR20170018801A KR1020167024134A KR20167024134A KR20170018801A KR 20170018801 A KR20170018801 A KR 20170018801A KR 1020167024134 A KR1020167024134 A KR 1020167024134A KR 20167024134 A KR20167024134 A KR 20167024134A KR 20170018801 A KR20170018801 A KR 20170018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mponent
content
contain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065B1 (ko
Inventor
타카오 이와이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4Carboxylates or sulfonates est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A)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B)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C)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D)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E) 에탄올을 함유하고, (A)성분의 함유량이 5질량%∼13질량%이고, (B)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0.5질량%이고, (C)성분의 함유량이 0.5질량%∼3질량%이고, (D)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5질량%이고, (E)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6질량%이고, (A)성분의 함유량(질량%)과 (B)성분의 함유량(질량%)의 질량비(A/B)가 16∼90인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SKIN CLEANSER COMPOSITION CONTAINED IN FOAMER CONTAINER}
본 발명은, 포머 용기입(容器入)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 분야에서, 아민옥시드는, 세정력이 높은 계면활성제의 하나로서 알려지고, 기포(起泡) 안정제로서 수많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되어 있다. 상기 아민옥시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을 주(主)활성제로 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도 배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 참조). 그러나, 상기 아민옥시드를 고농도로 배합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가 누르기 어려워지고,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탁해짐이 발생하고, 저온 안정성에 뒤떨어지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가 끈적거린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아민옥시드의 배합량을 적게 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점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한 것은 가능하지만, 기포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거품의 결이 거칠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온 환경이란, 동남아시아에서의 최저 기온인 10℃를 의미한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아민옥시드 및 에탄올을 배합하고, 저온 환경에서의 점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결이 고은 거품을 얻을 수 있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 그러나, 이 제안에서는, 저온 환경에서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에탄올을 고농도로 배합하기 때문에, 상온 환경에서의 거품의 미세함과 비교하여, 저온 환경에서의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에 우수하고, 토출된 거품이 미세하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이 양호하고, 저온 안정성에 우수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9-06769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표2008-51591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5-320692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2008-214403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에 우수하고, 토출된 거품이 미세하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이 양호하고, 저온 안정성에 우수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A)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B)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C)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D)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E) 에탄올을 특정 함유량으로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의 함유량(질량%)과 상기 (B)성분의 함유량(질량%)의 질량비(A/B)가 16∼90인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 각 성분의 상승 효과에 의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에 우수하고, 토출된 거품이 미세하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이 양호하고, 저온 안정성에 우수한 것을 알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에 우수하고, 토출된 거품이 미세하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이 양호하고, 저온 안정성에 우수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의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A)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B)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C)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D)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E) 에탄올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에 응하여 기타의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A)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상기 (A)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은,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유되어 있다.
상기 (A)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알킬기 부분의 탄소수가 10∼14가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가 10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고, 14를 초과하면,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는,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1∼5가 바람직하고, 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고, 5를 초과하면,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상기 (A)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대(對)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이온 ; 암모늄 이온 ;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의 착(錯)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거품의 미세함의 점에서, 알칼리금속 이온이 바람직하고, 나트륨 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1)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별명 : 라우레트황산나트륨(2), BASF재팬주식회사제),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별명 : 라우레트황산나트륨(3), 라이온주식회사제), 폴리옥시에틸렌(4)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5)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 내의 숫자는,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를 나타낸다.
상기 (A)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의 함유량으로서는, 거품의 미세함,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 5질량%∼13질량%이고, 7질량%∼11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5질량%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고, 13질량%를 초과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B)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상기 (B)성분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는,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유되어 있다.
상기 (B)성분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로서는, 하기 일반식(B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일반식(B1)>
R-N+(CH3)2O-
상기 일반식(B1) 중, R은,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2∼18이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가, 12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고, 18을 초과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가 누르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다.
상기 (B)성분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스테아릴디메틸아민옥시드, 올레릴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거품의 미세함의 점에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B)성분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의 함유량으로서는,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 0.1질량%∼0.5질량%이고, 0.2질량%∼0.4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고, 0.5질량%를 초과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질량비(A/B)>
상기 (A)성분의 함유량(질량%)과, 상기 (B)성분의 함유량(질량%)의 질량비(A/B)는, 거품의 미세함의 점에서, 16∼90이고, 20∼50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A/B)가, 16 미만 또는 90을 초과하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된다.
<(C)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상기 (C)성분인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는,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유되어 있다.
상기 (C)성분인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지방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디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지방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지방산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디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거품의 미세함의 점에서,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이 바람직하고,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C)성분인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 0.5질량%∼3질량%이고, 1질량%∼2.5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5질량%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고, 3질량%를 초과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D)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상기 (D)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유되어 있다.
상기 (D)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중에서도,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의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중합도는,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9∼12가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9 미만이면,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고, 12를 초과하면,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은, 디메틸실리콘과 폴리옥시알킬렌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고,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D1)으로 표시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D1)>
[화학식 1]
Figure pct00001
단, 상기 일반식(D1) 중, m 및 n은, 각각 독립한 정수(整數)이고, m은 1∼20,000, n은 1∼20,000을 나타낸다. a는 독립한 정수이고, 9∼12를 나타낸다. R은,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R'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PEG-12디메티콘(상품명 : SH3771M, 도레·다우코닝주식회사제, 또는 상품명 : KF-6017,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제), PEG-10디메티콘(상품명 : ES-5612 Formulation Aid, 도레·다우코닝사제), PEG-9디메티콘(상품명 : KF-6013,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아미노 변성 실리콘―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1분자 중에 적어도 1개의 아미노알킬기를 갖는 오르가노실록산의 중합체이다.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 중합체를 형성하는 오르가노실록산 중에는, 아미노알킬기 이외의 관능기로서 메틸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알킬기 ; 비닐기 ;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 히드록시기, 히드록시알킬기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D2)으로 표시되는 고중합(高重合) 디메틸실록산·메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하기 일반식(D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아모디메티콘의 명칭으로, CTFA 사전(辭典)(미국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제3판 중에 기재), 하기 일반식(D4)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또는 이들에 메틸폴리실록산 및 물(水)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하여, 계면활성제로 유화한 아미노 변성 실리콘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오일의 형태이라도 좋으면, 계면활성제로 유화(乳化)한 에멀션의 형태라도 좋다.
<일반식(D2)>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단, 상기 일반식(D2) 중, m 및 n은, 각각 독립한 정수이고, m은 1∼20,000, n은 1∼20,000을 나타낸다.
<일반식(D3)>
[화학식 3]
Figure pct00003
단, 상기 일반식(D3) 중, m 및 n은, 각각 독립한 정수이고, m은 1∼20,000, n은 1∼20,000을 나타낸다. a 및 b는, 각각 독립한 정수이고, a는 1∼10, b는 1∼10을 나타낸다.
<일반식(D4)>
[화학식 4]
Figure pct00004
단, 상기 일반식(D4) 중, m 및 n은, 각각 독립한 정수이고, m은 1∼20,000, n은 1∼20,000을 나타낸다. a 및 b는, 각각 독립한 정수이고, a는 1∼10, b는 1∼10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D2)으로 표시되는 고중합 디메틸실록산·메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로서는, 예를 들면, KF-8020, X-52-2362(모두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일반식(D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아모디메티콘의 명칭으로 CTFA 사전(미국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제3판 중에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SM-8904C(도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제), XF42-B892, XF42-C0330, XS65-C0032, XS65-C0726, SILSOFT 200 EF(모두 모멘티브·퍼포먼스·메터리알즈·재팬합동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일반식(D4)으로 표시된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로서는, 예를 들면, FZ-4671, FZ-4672, BY22-079, SF8452C, SS-3551(모두 도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제), KF-8004, KF-8015, KF-867S(모두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제), ADM1650, ADM-8101E, ADM-6057E(모두 아사히가세이와카실리콘주식회사제), KS65-B4280, XS65-C1539, XS65-6413, XS65-B8124, KF42B1989(모두 모멘티부·퍼포먼스·메터리알즈·재팬합동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의 점에서, 상기 일반식(D2)으로 표시되는 고중합 디메틸실록산·메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에 상당하는 KF-8020, X-52-2362, 상기 일반식(D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의 에멀션에 상당하는 SM-8904C, 상기 일반식(D4)으로 표시된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의 에멀션에 상당하는 KF-8004가 바람직하다.
상기 (D)성분인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은,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 실리콘분으로서 0.01질량%∼5질량%이고, 0.5질량%∼2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및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5질량%를 초과하면,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E) 에탄올>
상기 (E)성분인 에탄올은,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유되어 있다.
상기 (E)성분인 에탄올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에탄올, 95체적% 에탄올(규격치 95체적%∼95.5체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E)성분인 에탄올의 함유량으로서는,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점에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전량에 대해, 무수 에탄올로서 1질량%∼6질량%이고, 2질량%∼4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 에탄올의 함유량이, 1질량% 미만이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6질량%를 초과하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된다.
상기 (E)성분인 에탄올의 함유량으로서는, 기타의 성분으로서 식물 엑기스 등을 함유한 경우, 이들의 성분으로부터 가지고 들어오게 되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무수 에탄올의 합계 함유량이다.
95체적% 에탄올을 사용한 경우의, 무수 에탄올로 환산한 함유량(질량%)은, 하기한 식 1(독립행정법인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 발신 문서 038-1309.pdf) 및 식 2로 구할 수 있다.
·에탄올의 질량% = 체적%×0.79422(15℃에서의 100체적%의 비중)/d(15℃에서의 비중) … 식 1
=(95×0.79422)/0.81639
=92.42
·무수 에탄올의 함유량(질량%) = 95체적% 에탄올 함유량(질량%)×92.42/100 … 식 2
<기타의 성분>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A)∼(E)의 각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기타의 성분으로서는,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B)성분 및 상기 (C)성분을 제외한 양성 계면활성제, 상기 (E)성분을 제외한 저급 또는 고급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라놀린 유도체, 단백 유도체, 아크릴수지 분산액, 카티온성 폴리머, 아니온성 폴리머, 비이온성 폴리머, 비타민 등의 약제, 살균제, 방부제,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금속 봉쇄제, 자외선 흡수제, 동식물 추출물 및 그 유도체, 색소, 향료, 안료, 무기 분체, 점토 광물,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의 수불용성 폴리머 분체, 물 등을 들 수 있다.
-pH-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25℃에서의 pH는, 거품의 미세함의 점에서, 4∼6이 바람직하다. 상기 pH가, 4 미만 또는 6을 초과하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pH는, 모든 성분을 혼합한 후에 최후에 pH를 확인하면서 수산화칼륨 및 구연산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화칼륨 및 구연산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외의 성분의 합계가 약 90질량%로 되도록 정제수를 밸런스하여 혼합 교반한다. 필요하면 가온하여도 좋다. 혼합 교반 중에 수산화칼륨 및 구연산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각각 pH를 측정하면서 목표로 하는 pH까지 첨가한다. 목표 pH가 된 곳에서, 최후에 나머지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로 100질량%가 되도록 물을 가하고, 최종 pH를 측정한다.
-점도-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10℃∼50℃의 온도 조건하에서, 사용 가능하다.
동남아시아에서의 최저 기온인 10℃에서, 예를 들면, 200메시를 2장 갖는 포머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의 점에서, 50m㎩·s 이하가 바람직하고, 1m㎩·s∼30m㎩·s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가, 50m㎩·s를 초과하면, 펌프가 누르기 어려워지고,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다.
상기 점도는,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10℃로 보관하고, 예를 들면, BL형 점도계(로터 No. 1, 도쿄계량기주식회사제)에 세트하고, 로터를 회전수 60rpm으로 회전시키고, 로터의 회전 시작부터 1분간 후에 측정할 수 있다.
-제조 방법-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상기 (A)∼(E)성분, 상기 기타의 성분 및 물(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전체가 100질량%로 되도록 잔량 배합)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작하는 장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단력과 전체 혼합할 수 있는 프로펠러, 터빈, 디스퍼 등의 복수의 교반날개를 구비한 교반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A)∼(E)성분 및 상기 기타의 성분은,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한,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상태로 사용하여도 좋다.
-포머 용기-
상기 포머 용기로서는,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하여 발포 상태로 토출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펌프부를 압하함에 의해 거품을 토출할 수 있는 포머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포머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주식회사 요시노공업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머 용기는, 통상, 거품을 형성하기 위한 다공질 막체(膜體)를 가지며,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 상기 다공질 막체를 통과함에 의해 거품이 형성된다. 상기 다공질 막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다공질 막체의 메시는,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및 거품의 미세함의 점에서, 100메시∼400메시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막체의 메시가, 100메시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고, 400메시를 초과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가 누르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다.
상기 다공질 막체의 매수는,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및 거품의 미세함의 점에서, 2장∼4장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 막체의 매수가, 2장 미만이면, 거품의 미세함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고, 4장을 초과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가 누르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개평7-315463호 공보, 일본 특개평8-230961호 공보 및 일본 특개2005-193972호 공보에 기재된 용기를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용도-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핸드소프, 보디소프, 세안 폼 등의 제품으로서 알맞다. 상기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이들 용도에 응한 통상의 용량이나 통상의 세정 방법으로 사용하면,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이 미세함에 우수하고,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이 양호하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실시례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례 및 비교례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례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및 비교례의 기재된 각 성분의 함유량은, 전부 순분 환산한 값이다. 또한 (A)성분의 함유량(질량%)과, (B)성분의 함유량(질량%)의 질량비(A/B)는, 소수점 이하 제2위를 사사오입하여, 소수점 이하 제1위까지 구하여, 기재하였다. 또한, pH는, 구연산으로 5.2로 조정하였다. pH의 측정 방법은, 일본 약국법에 정하여져 있는 범용 방법으로, 25℃에서 측정하였다. 점도는, 경질 유리제의 용량 50㎖ 바이알병(상품명 : 「SV-50A」, 니치덴이화초자사제)에 충전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10℃로 항온하여 BL형 점도계(도쿄계기사제, 100m㎩·s 이하의 경우는 로터 No. 1, 100m㎩·s∼500m㎩·s의 경우는 로터 No. 2를 이용하였다)에 세트하고, 로터를 회전수 60rpm로 회전시키고, 로터의 회전 시작부터 1분간 후에 측정한 점도이다.
[실시례 1∼31 및 비교례 1∼23]
하기 표1-1∼표 1-7에 표시하는 조성 및 함유량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우선 (A)성분, (B)성분, (C)성분, (D)성분, 글리세린, 안식향산나트륨 및 정제수를 패들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25℃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또한, 비교례 20 이외는, 별도로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E)성분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비교례 20에서는, 별도로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향료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가하였다. 이 때, 전체의 90질량%가 되도록 정제수의 양을 조정하였다. 계속해서, pH 미터 HM-30V(도우아디케케(주)제)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고, 구연산을 사용하여 pH를 5.2로 조정하였다. pH5.2다 된 곳에서 최후에 나머지 정제수를 가하고, 전체로 100질량%로 하였다. 최종 pH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실시례 및 비교례에서 pH는 5.2였다.
포머 용기(용기 A, 200메시 2장, 주식회사 요시노공업소제(특개2005-193972호 공보의 실시례 2에서 사용한 포머 용기와 같음))에, 조제한 실시례 1∼31 및 비교례 1∼22의 각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충전하고,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한편, 펌프 디스펜서 부착 용기(용기 B, 토출량 1㎖, 노즐 구경(내경) 3.5㎜, 캐니언사제)에, 실시례 1과 같은 조성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충전하고, 비교례 23의 펌프 디스펜서 부착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실시례 1∼31 및 비교례 1∼23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해, 이하와 같이 하여, 「저온 환경에서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 및 「저온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1∼표 1-7에 표시하였다.
<저온 환경에서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제작한 실시례 1∼31 및 비교례 1∼23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1g(1푸시)을 10℃의 조건에서, 포머 용기, 또는 펌프 디스펜서 부착 용기로부터 한번 토출시켜, 「저온 환경에서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을 평가하였다. 1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 각 10개 충전하고, 10℃ 조건하에서 하룻밤 보존하여 각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액체의 온도가 10℃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 전문 패널러 10명에게 배포하여 1개씩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는, 하기한 기준에 의거하여 행하였다.
[평가 기준]
◎ : 10명중 8명 이상 이 저온 환경에서 펌프를 누르기 쉽다고 회답.
○ : 10명중 6명 이상 7명 이하가 저온 환경에서 펌프를 누르기 쉽다고 회답.
△ : 10명중 4명 이상 5명 이하가 저온 환경에서 펌프를 누르기 쉽다고 회답.
× : 10명중 3명 이하가 저온 환경에서 펌프를 누르기 쉽다고 회답.
<거품의 미세함 >
제작한 실시례 1∼31 및 비교례 1∼23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1g(1푸시)을 25℃의 조건에서, 펌프의 누르기 쉬움을 평가할 때에 이용한 포머 용기, 또는 펌프 디스펜서 부착 용기로부터 거품을 5회 연속으로 토출시켰다. 평가는, 하기한 기준에 의거하여 전문 패널러 10명에서 행하였다.
[평가 기준]
◎ : 10명중 8명 이상이, 거친 거품이 혼재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결이 고은 거품이 토출될 수 있다고 회답.
○ : 10명중 6명 이상 7명 이하가, 거친 거품이 혼재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결이 고은 거품이 토출될 수 있다고 회답.
△ : 10명중 4명 이상 5명 이하가, 거친 거품이 혼재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결이 고은 거품이 토출될 수 있다고 회답.
× : 10명중 3명 이하가, 거친 거품이 혼재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결이 고은 거품이 토출될 수 있다고 회답.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 >
제작한 실시례 1∼31 및 비교례 1∼23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1g(1푸시)을 25℃의 조건에서, 포머 용기, 또는 펌프 디스펜서 부착 용기로부터 토출시켜, 손을 세정하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을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마를때는, 타월 드라이 후에 수분이 피부상에 잔류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평가는, 하기한 기준에 의거하여 전문 패널러 10명에서 행하였다.
[평가 기준]
◎ : 10명중 8명 이상이,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회답.
○ : 10명중 6명 이상 7명 이하가,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회답.
△ : 10명중 4명 이상 5명 이하가,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회답.
× : 10명중 3명 이하가,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이 없다고 회답.
<저온 안정성>
경질 유리제의 용량 50㎖ 바이알병(상품명 : 「SV-50A」, 니치덴이화초자사제)에, 제작한 실시례 1∼31 및 비교례 1∼23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약 50㎖ 충전하고, 온도 10℃로 유지된 평가실에서 1개월간 보존한 후,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1개월간 실온(25℃)에서 보존한 실온 보존품과 비교하여, 각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침전의 없음 및 탁해짐의 없음)」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하기한 기준에 의거하여 전문 패널러 1명에서 행하였다.
[평가 기준]
◎ : 침전 및 탁해짐이 없다.
○ : 실온 보존품과 비교하고, 약간의 침전, 또는 탁해짐이 인정되지만, 실온으로 되돌리면 신속하게 균일 용해한다.
△ : 실온 보존품과 비교하고, 침전, 또는 탁해짐이 인정되지만, 실온으로 되돌리면 서서히 균일 용해한다.
× : 실온 보존품과 비교하고, 침전, 또는 탁해짐이 인정되고, 실온으로 되돌려도 균일 용해하지 않는다.
[표 1-1]
Figure pct00005
[표 1-2]
Figure pct00006
[표 1-3]
Figure pct00007
[표 1-4]
Figure pct00008
[표 1-5]
Figure pct00009
[표 1-6]
Figure pct00010
[표 1-7]
Figure pct00011
(실시례 32)
-수지용(手指用)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및 함유량의 수지용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일상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함유량(질량%)
라우레트황산나트륨(2)((A)성분) 9.0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B)성분) 0.3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C)성분) 2.0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D)성분) 1.0
무수 에탄올((E)성분) 3.0
글리세린 3.0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1
메틸파라벤 0.3
안식향산나트륨 0.9
멀베리 엑기스 0.001
향료 0.2
구연산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질량비(A/B)=30
10℃의 점도는 20m㎩·s였다
(실시례 33)
-신체용(身體用)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및 함유량의 신체용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일상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함유량(질량%)
라우레트황산나트륨(2)((A)성분) 12.0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B)성분) 0.3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C)성분) 2.0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D)성분) 2.0
무수 에탄올((E)성분) 2.0
글리세린 3.0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1
메틸파라벤 0.3
안식향산나트륨 0.9
멀베리 엑기스 0.001
향료 0.2
구연산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질량비(A/B)=40
10℃의 점도는 48m㎩·s였다
(실시례 34)
-항염증제 배합 신체용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및 함유량의 항염증제 배합 신체용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일상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함유량(질량%)
라우레트황산나트륨(2)((A)성분) 12.0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B)성분) 0.3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C)성분) 2.0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D)성분) 2.0
무수 에탄올((E)성분) 3.0
글리세린 3.0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1
안식향산나트륨 0.9
멀베리 엑기스 0.001
향료 0.2
봉밀 0.1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1
구연산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질량비(A/B)=40
10℃의 점도는 48m㎩·s였다
실시례 32∼34의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해,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저온 환경에서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 「거품의 미세함」 및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 및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표시하였다.
[표 2]
Figure pct00012
또한, 상기 실시례 및 상기 비교례로 사용한 각종 성분의 상세에 대해, 하기 표 3에 표시한다.
[표 3]
Figure pct00013
*1 : () 내의 숫자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1> (A)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B)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C)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D)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E) 에탄올을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5질량%∼13질량%이고,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0.5질량%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5질량%∼3질량%이고,
상기 (D)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5질량%이고,
상기 (E)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6질량%이고,
상기 (A)성분의 함유량(질량%)과 상기 (B)성분의 함유량(질량%)의 질량비(A/B)가 16∼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다.
<2> (B)성분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가,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인 상기 <1>에 기재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다.
<3> (D)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인 상기 <1>부터 <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저온 환경에서의 포머 용기의 펌프의 누르기 쉬움에 우수하고, 토출된 거품이 미세하고, 세정 후 마를때의 피부의 끈적거림의 없음이 양호하고,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에 우수하고, 예를 들면, 보디소프, 핸드소프, 거품 핸드소프, 클렌징 폼, 세안료 등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A)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B)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C)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D)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 및 (E) 에탄올을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의 함유량이 5질량%∼13질량%이고,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0.1질량%∼0.5질량%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5질량%∼3질량%이고,
    상기 (D)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5질량%이고,
    상기 (E)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6질량%이고,
    상기 (A)성분의 함유량(질량%)과 상기 (B)성분의 함유량(질량%)의 질량비(A/B)가 16∼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B)성분인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가,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D)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0167024134A 2014-06-30 2015-06-17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336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5372 2014-06-30
JPJP-P-2014-135372 2014-06-30
PCT/JP2015/067496 WO2016002522A1 (ja) 2014-06-30 2015-06-17 フォーマー容器入り皮膚洗浄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801A true KR20170018801A (ko) 2017-02-20
KR102336065B1 KR102336065B1 (ko) 2021-12-07

Family

ID=5501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134A KR102336065B1 (ko) 2014-06-30 2015-06-17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57228B2 (ko)
KR (1) KR102336065B1 (ko)
CN (1) CN106456488B (ko)
MY (1) MY176755A (ko)
WO (1) WO2016002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6206A (zh) * 2019-01-31 2021-09-14 味之素株式会社 低粘度的液体清洗剂
JP7491548B2 (ja) 2020-03-17 2024-05-28 株式会社ニイタカ フォーマー用組成物、該フォーマー用組成物入りフォーマー、該フォーマー用組成物を用いた消毒方法、及び、該フォーマー用組成物を用いた洗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692A (ja) 1992-05-27 1993-12-03 Nippon Oil & Fats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007145726A (ja) * 2005-11-24 2007-06-14 Lion Corp ノンエアゾール型泡吐出毛髪洗浄剤製品、及び毛髪洗浄剤組成物
JP2008515919A (ja) 2004-10-08 2008-05-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クレンジング相及び有益相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08214403A (ja) 2007-02-28 2008-09-18 Lion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9067694A (ja) 2007-09-11 2009-04-02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4076975A (ja) * 2012-10-12 2014-05-01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2049B2 (en) * 2004-03-26 2006-03-14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Multiphase aqueous cleansing composition
JP4873148B2 (ja) * 2006-12-01 2012-02-08 ライオン株式会社 ノンエアゾール型泡状洗浄剤
JP2010070549A (ja) * 2008-08-19 2010-04-02 Kao Corp 染毛剤組成物
JP5562560B2 (ja) * 2009-01-15 2014-07-30 株式会社マンダム 泡沫洗浄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692A (ja) 1992-05-27 1993-12-03 Nippon Oil & Fats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008515919A (ja) 2004-10-08 2008-05-1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クレンジング相及び有益相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07145726A (ja) * 2005-11-24 2007-06-14 Lion Corp ノンエアゾール型泡吐出毛髪洗浄剤製品、及び毛髪洗浄剤組成物
JP2008214403A (ja) 2007-02-28 2008-09-18 Lion Corp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9067694A (ja) 2007-09-11 2009-04-02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4076975A (ja) * 2012-10-12 2014-05-01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57228B2 (ja) 2019-08-07
MY176755A (en) 2020-08-21
CN106456488B (zh) 2019-08-09
JPWO2016002522A1 (ja) 2017-04-27
CN106456488A (zh) 2017-02-22
KR102336065B1 (ko) 2021-12-07
WO2016002522A1 (ja)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653B1 (ko) 액체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6845847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6928614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2153627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2374768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170018801A (ko)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7236314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673646B1 (ko)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JP7204664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7291009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411803B1 (ko) 모발 세제 조성물
KR20140138606A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596932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7286526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6654990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KR20150067127A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7333686B2 (ja) フォーマー容器入り皮膚洗浄剤組成物
JP6831747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7033768B2 (ja) 身体洗浄剤組成物及び身体の洗浄方法
JP6654968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8008890A (ja) 毛髪化粧料
JP6951916B2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WO2020090158A1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2023177999A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JP2022178940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