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646B1 -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646B1
KR101673646B1 KR1020127018842A KR20127018842A KR101673646B1 KR 101673646 B1 KR101673646 B1 KR 101673646B1 KR 1020127018842 A KR1020127018842 A KR 1020127018842A KR 20127018842 A KR20127018842 A KR 20127018842A KR 101673646 B1 KR101673646 B1 KR 10167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dimethylpolysiloxane
detergent composition
exam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596A (ko
Inventor
스구루 야노
리츠코 미야카와
토시유키 카시와이
스미 카네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1Phosphonates, phosphinates or phosphon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3Polyamines or polyalkylene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분리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의 제공.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A)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C) 카티온성 폴리머와,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의 HLB가 8 내지 17이고, 상기 (B)성분의 25℃에서의 동점도가 적어도 400만㎟/s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 내지 1.2질량%이고, 상기 (D)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내지 30질량%이다.

Description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DETERG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STABILIZING DIMETHYLPOLYSILOXANE}
본 발명은,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여성의 모발은, 청결 지향 및 멋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수반하여, 매일의 세발이나 스타일링, 드라이어 등에 의한 물리적 손상이나 염모(染毛), 블리치, 파마 처리 등에 의한 화학적 손상을 받기 쉬워지고 있다. 손상된 모발의 불편 사항으로서, 샴푸를 헹군 때에 뻑뻑한 느낌이 강해짐, 마무리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이 나빠짐, 빗질하기가 나빠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상 세정 주성분으로서, 고급 지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에테르인산염,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등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이것과 양성 계면활성제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폴리머 등이 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세제 조성물으로는, 피부에 사용한 경우, 세정 후에, 피부의 매끄러움이나 촉촉한 느낌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불편 사항에 대해, 마무리 성분으로서 카티온성 폴리머나 실리콘 에멀션이 배합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실리콘은, 소수성이기 때문에 친수성의 제제와 상호작용이 작용하지 않아, 경시 안정성이 유지되기 어려운 점에서 문제였다.
실리콘의 경시 안정성에 대해, 예를 들면, 고중합(高重合) 디메틸폴리실록산을 함유한 모발 세제 조성물에,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디메틸디알릴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황산 암모늄을 배합하고, 아니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성 계면활성제와의 질량비를 특정하게 함으로써,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분산 안정성이나, 고온 보존 안정성을 갖는 모발 세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고농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중에, 실리콘 유도체와 이소프렌글리콜 또는 에탄올을 특정 함유비로 분산시켜서, 경시 안정성을 갖는 액체 세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실리콘류와 함께 특정한 다당류 유도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실리콘류가 안정하게 분산되지고,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매끈하고, 건조 후의 머리카락에 활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이들의 선행 기술 문헌에서는, 실리콘류의 분리 안정성은 충분한 것이 아닌 점에서 문제였다. 또한, 실리콘류를 배합하면 거품일기가 나빠지는 등의 문제도 있다.
따라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분리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국제공개 제09/016905호 팜플렛 일본 특개평8-176588호 공보 일본 특개2005-314306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분리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지견을 얻었다. 즉, 특정한 HLB를 갖는 (A)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특정한 동점도(動粘度)를 갖는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특정한 양의 (C) 카티온성 폴리머와, 특정한 양의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은,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것, 또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과, 상기 (C)성분과, 상기 (D)와,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혼합함에 의해, 상기 (B)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지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한 상기 지견에 의거한 것이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다. 즉,
<1> (A)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C) 카티온성 폴리머와,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의 HLB가 8 내지 17이고, 상기 (B)성분의 25℃에서의 동점도가 적어도 400만㎟/s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 내지 1.2질량%이고, 상기 (D)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내지 3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이다.
<2> (A)성분의 함유량이, 0.3질량% 내지 3질량%인 상기 <1>에 기재된 세제 조성물이다.
<3> (B)성분의 동점도가, 400만㎟/s 내지 3,000만㎟/s인 상기 <1>부터 <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제 조성물이다.
<4> (B)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 내지 2질량%인 상기 <1>부터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제 조성물이다.
<5> (A)성분과, (C)성분의 질량비가, (A)/(C)=0.3 내지 100인 상기 <1>부터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제 조성물이다.
<6> (C)성분이,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상기 <1>부터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제 조성물이다.
<7> (C)성분이,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인 상기 <6>에 기재된 세제 조성물이다.
<8> (C)성분이,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와 황산 암모늄과의 분산액(分散液)인 상기 <6>부터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제 조성물이다.
<9> (A)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C) 카티온성 폴리머와,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와,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혼합하고, 상기 (A)성분의 HLB가 8 내지 17이고, 상기 (B)성분의 25℃에서의 동점도가 적어도 400만㎟/s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 내지 1.2질량%이고, 상기 (D)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내지 30질량%이고, 상기 (B)성분을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이다.
<10> (E)성분이, (E-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및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의 적어도 어느 하나 및 (E-2)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인 상기 <9>에 기재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이다.
R1-CO-NH-CH2CH2O(CH2CH2O)nH … 일반식(1)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탄소수 7 내지 2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낸다.
<11> (E-1)성분과, (E-2)성분의 질량비가, (E-1)/(E-2)=0.1 내지 3인 상기 <10>에 기재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분리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적어도 (A)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C) 카티온성 폴리머와,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필요에 응하여, 또한 기타의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은, 적어도 (A)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C) 카티온성 폴리머와,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와,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혼합하고, 필요에 응하여, 또한 기타의 성분을 혼합한다.
상기 세제 조성물중의 상기 (B)성분은,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에 의해 알맞게 안정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세제 조성물의 설명과 아울러서,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A)성분 : 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
상기 (A)성분인 인산 에스테르 및 그 염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노체(體)라도 좋고, 디체라도 좋고, 트리체라도 좋고,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상기 (A)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모노알킬(C12 내지 18)인산 에스테르, 디알킬(C12 내지 18)인산 에스테르, 트리알킬(C12 내지 18)인산 에스테르, 모노알킬(C12 내지 18)인산 에스테르염, 디알킬(C12 내지 18)인산 에스테르염, 트리알킬(C12 내지 18)인산 에스테르염, 모노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모노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A)성분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디POE(10)라우릴에테르인산 나트륨(NIKKOL DLP-10, HLB 17.0), 디POE(8)올레일에테르인산 나트륨(NIKKOL DOP-8NV, HLB 12.5), 디POE(4)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DDP-4, HLB 9.0), 디POE(6)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DDP-6, HLB 9.0), 디POE(8)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DDP-8, HLB 11.5), 디POE(10)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DDP-10, HLB 13.5), 트리POE(4)라우릴에테르인산(NIKKOL TLP-4, HLB 13.0), 트리POE(5)세틸에테르인산(NIKKOL TCP-5, HLB 10.0), 트리POE(6)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TDP-6, HLB 8.0), 트리POE(8)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TDP-8, HLB 11.5), 트리POE(10)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TDP-10, HLB 14.0)(전부, 닛꼬 케미컬즈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성분의 HLB는, 8 내지 17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 내지 14가, 트리체의 인산 에스테르의 입체 구조가 벌키(bulky)하기 때문에, 보다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에 효과가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HLB가, 8 미만이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 거품일기가 저하되는 일이 있고, 17을 초과하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이 있다.
상기 HLB가 10 내지 14의 트리체의 인산 에스테르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트리POE(5)세틸에테르인산(NIKKOL TCP-5, HLB 10.0), 트리POE(8)(C12 내지 15)알킬에테르인산(NIKKOL TDP-8, HLB 11.5), 트리POE(4)라우릴에테르인산(NIKKOL TLP-4, HLB 13.0), 트리POE(10)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NIKKOL TDP-10, HLB 14.0)(전부, 닛꼬 케미컬즈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HLB값이란, 계면활성제를 구성하고 있는 친수기와, 소수기와의 강도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값이고, 일반적으로, 1 내지 8이 소수성이고, 8 초과 10 미만이 친수성과 소수성의 중간의 성질이고, 10 이상이 친수성을 나타내지만, 계면활성제의 구조에 의해 다른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서, HLB의 측정 방법은, 「핸드북 -화장품·제제 원료- 개정판」, 닛꼬 케미컬즈 주식회사, 1977년 2월 1일 개정판 발행, 854-855페이지에 기재된 유화법에 의한 HLB값의 실측에 준거한다. 상기 (A)성분의 HLB값을 구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상기 (A)성분과, 유화제의 표준물질로서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NIKKOL SS-10, HLB 4.7)을 조합시켜서, 이들의 2종의 유화제의 전량은 일정하게 하고 비율만을 바꾸어서 피유화물인 유동 파라핀(HLB 10.1)을 유화하고, 1주야 방치 후, 크리밍량(量), 백탁도, 하층의 수(水)분리 등으로부터 안정성의 있는 곳의 최적의 유화제의 비율을 구하여, 상기 (A)성분의 HLB값(x)을 하기 식(1)에 의해 산출한다.
y=(x×사용량(질량%)+z×사용량(질량%))/100 … 식(1)
여기에서, 식(1)에서, 「x」는, 상기 (A)성분의 HLB값을 나타내고, 「y」는, 유동 파라핀의 HLB값을 나타내고, 「z」는,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NIKKOL SS-10)의 HLB값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동 파라핀의 HLB값은,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NIKKOL SS-10, HLB 4.7)과, 모노스테아린산 POE소르비탄(NIKKOL TS-10, HLB 14.9)과의 조합에 의해,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세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A)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3질량% 내지 3질량%가 바람직하고, 거품이 일기, 마무리시 매끄러움,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의 점에서, 0.5질량% 내지 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성분이, 0.3질량% 미만이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고, 또한 거품일기, 마무리시 매끄러움이 저하되는 일이 있고, 3질량%를 초과하면, 거품일기나, 마무리시 매끄러움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B)성분 : 디메틸폴리실록산>
상기 (B)성분인 디메틸폴리실록산은, 마무리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B)성분은, 25℃에서의 동점도가 적어도 400만㎟/s이지만,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의 점에서, 1,000만㎟/s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B)성분의 25℃에서의 동점도의 상한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3,000만㎟/s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B)성분의 동점도가, 400만㎟/s 미만이면,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상기 (B)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기 말단(末端) 디메틸폴리실록산, 실라놀기 말단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B)성분은, 오일이라도 좋고, 에멀션이라도 좋다. 상기 (B)성분이 에멀션인 경우, 그 에멀션화에 있어서의, 유화제 및 유화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B)성분의 동점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하기 식(2) 내지 (5)에 의해 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즉, 1g/100㎖ 농도의 상기 (B)성분의 톨루엔 용액을 조제하고, 하기 식(2)에 의해 비점도(ηsp)(25℃)를 구한다. 다음에 하기 식(3)에 표시하는 Huggins의 관계식에 대입하고, 고유점도[η]를 구한다. Huggins 정수는, 나카무다, 일화, 77, 588, [1956]에 기재된 것을 사용한다. 다음에, [η]를 하기 식(4)에 표시하는 A. Kolorlov의 식에 대입하여, 분자량(M)을 구한다. 최후에, M을 하기 식(5)에 표시하는 A. J. Barry의 식에 대입하여,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동점도(η)를 구할 수 있다.
ηsp=(η/η0)-1 … 식(2)
ηsp=[η]+K'[η]2 … 식(3)
[η]=0.215×10-4M0 .65 … 식(4)
logη=1.00+0.0123M0 .5 … 식(5)
여기서, 「η0」는, 톨루엔의 점도를 나타내고, 「η」는, 용액의 점도를 나타내고, 「K'」는, Huggins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분자량을 나타낸다.
상기「η0」 및 상기 「η」는, 화장품 원료 기준 일반 시험법 점도 측정법 제 1 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상기 세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B)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01질량% 내지 2질량%가 바람직하고, 0.05질량% 내지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을 향상하는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고, 2질량%를 초과하면, 거품일기나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상기 (B)성분은, 다른 실리콘 화합물과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다른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25℃에서의 동점도가 400만㎟/s 미만의 디메틸폴리실록산, 환상(環狀) 실리콘, EO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다른 실리콘 화합물의 함유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C)성분 : 카티온성 폴리머>
상기 (C)성분인 카티온성 폴리머로서는, 호모폴리머라도 좋고, 코폴리머라도 좋다.
상기 (C)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에 카티온성 관능기가 부가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구아고무에 카티온성 관능기가 부가한 구아고무 유도체, 카티온성 관능기를 갖는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염과,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를 모노머로 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하, 「디메틸디알릴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카티온성 폴리머로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티온화 구아고무,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CTFA : Polyquaternium-7)가 바람직하고,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가, 분리 안정성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카티온성 폴리머가, 카티온화 셀룰로오스인 경우, 상기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로서는, 염화 O-[2-히드록시-3-(토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인 폴리쿼타늄-10이,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의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카티온성 폴리머가, 상기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인 경우는,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과,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와의 2원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지만,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및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의 모노머가 전 모노머량 대해 70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다른 모노머를 구성 단위에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디메틸디알릴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에서의, 디메틸디알릴암모늄염과,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와의 몰비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 : 90 내지 40 : 60이 바람직하고, 15 : 85 내지 35 : 6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카티온성 폴리머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레오가도 KGP(라이온 주식회사제), 레오가도 GP(라이온 주식회사제), 레오가도 MLP(라이온 주식회사제), 레오가도 MGP(라이온 주식회사제), XE-511K(라이온 주식회사제), 카치날 HC-100(동방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등의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 자가 RC-13S(주식회사 산쇼제), 자가 RC-17(주식회사 산쇼제), 자가 R엑셀(주식회사 산쇼제) 등의 카티온화 구아고무 ; MERQUAT 550(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 아크릴아미드(이하, 「DADMAC : AcAm」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30 : 70(몰비), 중량 평균분자량 160만 ; 주식회사 나르코재팬제), MERQUAT CG-600(DADMAC : AcAm=30 : 70(몰비), 중량 평균분자량 250만 ; 주식회사 나르코재팬제), MERQUAT 2200(DADMAC : AcAm=30 : 70(몰비), 중량 평균분자량 90만 ; 주식회사 나르코재팬제) 등의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 SENSOMERCI-50(주식회사 나르코재팬제) 등의 카티온화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티온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분자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만 내지 300만이 바람직하고, 30만 내지 200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카티온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분자량이, 10만 미만이면,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이 저하되는 것이나,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고, 300만을 초과하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저하됨과 함께, 세제 조성물중에의 용해가 곤란해지는 일이 있다.
상기 중량 평균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 그래프/다각도 레이저광 산란 검출기(GPC-MALLS)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조건은 하기와 같다.
-측정 조건-
이동상 : 0.3M NaClO4, NaN3 수용액
칼럼 : TSKgelα-M 2개,
프레칼럼 : TSKguardcolumn α
표준물질 : 폴리에틸렌글리콜
상기 (C)성분은, 분말의 상태에서 사용하여도 좋고, 물, 알코올, 다가 알코올 등의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황산 나트륨, 염화 나트륨, 황산 암모늄 등의 수용성 무기염의 수용액에 분산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C)성분이,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인 경우,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는, 상기 수용성 무기염에 분산된 분산액을 사용하는 것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고, 황산 암모늄 함유 분산액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수용성 무기염 분산액중의 수용성 무기염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5질량% 내지 35질량%가 바람직하고, 10질량% 내지 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내지 2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무기염의 함유량이, 5질량% 미만이면, 분산액으로 되기 어려운 일이 있고, 35질량%를 초과하면, 저온에서 염이 석출하는 일이 있다.
상기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수용성 무기염 분산액중의 상기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0질량%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고, 15질량% 내지 3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함유량이, 10질량% 미만이면, 분산액으로 되기 어려운 일이 있고, 40질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지고 핸들링하기 어려운 일이 있다.
상기 세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C)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0.01질량% 내지 1.2질량%이지만, 거품일기,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의 점에서, 0.05질량% 내지 0.8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C)성분이, 0.01질량% 미만이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나 거품일기가 저하되는 일이 있고, 1.2질량%를 초과하면,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A)/(C)(질량비)>
상기 (A)성분과, 상기 (C)성분의 질량비((A)/(C))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거품일기, 마무리시의 매끄러움,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의 관점에서, 질량비로, 0.3 내지 100이 바람직하고, 1.3 내지 20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C)가, 0.3 미만이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고, 100을 초과하면, 거품일기나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한편, 상기 (A)성분과, 상기 (C)성분이 상기 바람직한 질량비의 경우, 소수성의 음이온-양이온 착체를 형성할 수 있고, 소수성의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거품일기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D)성분 :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상기 (D)성분인,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지방산 비누, 알킬에테르카르본산염, 아실알라니네이트, 아실타우레이트, N-알킬이미노디카르복실산염으로 대표되는 아미노산계 아니온 계면활성제 또는 그 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호박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이, 거품일기,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D)성분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인 경우, 그 에틸렌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1 내지 3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3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D)성분의 알킬쇄 길이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2 내지 14가 바람직하고, 거품일기의 점에서,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D)성분 함유량으로서는, 1질량% 내지 30질량%이지만, 거품일기,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의 점에서, 10질량%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D)성분이, 1질량% 미만이면, 거품일기가 저하되는 일이 있고, 30질량%를 초과하면,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나 마무리시의 매끄러움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E)성분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E)성분은, 점도 안정화 및 상기 (B)성분의 안정화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E)성분으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라면,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폴리옥시에틸렌(POE)경화피마자유, 및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E-1)성분」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 및 폴리옥시에틸렌(POE)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이하, 「(E-2)성분」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가 바람직하다.
상기 (E-1)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점도 안정화 및 상기 (B)성분의 안정화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POE)경화피마자유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에틸렌옥사이드물(EO) 평균 부가 몰수가, 5 내지 100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E-1)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상품명으로, NIKKOL HCO-5(EO : 5), NIKKOL HCO-10(EO : 10), NIKKOL HCO-20(EO : 20), NIKKOL HCO-30(EO : 30), NIKKOL HCO-40(EO : 40), NIKKOL HCO-50(EO : 50), NIKKOL HCO-60(EO : 60), NIKKOL HCO-100(EO : 100)(이상, 닛꼬 케미컬즈 주식회사제), EMALEX GWS-204(EO : 4), GWS-304(EO : 4), GWS-305(EO : 5), GWS-306(EO : 6), GWS-310(EO : 10), GWS-320(EO : 20), GWIS-110(EO : 10), GWIS-320(EO : 20)(이상, 일본 에멀션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E-1)성분의 사용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질량% 내지 5질량%가 바람직하고, 점도 안정화 및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의 점에서, 2질량% 내지 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E-2)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R1-CO-NH-CH2CH2O(CH2CH2O)nH … 일반식(1)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탄소수 7 내지 23,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 내지 17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E-2)성분의 구체예로서는, POE(2)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3코카미도), POE(5)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6코카미도), POE(10)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11코카미도), POE(20)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20 야자지방산 아미드 MEA), POE(2)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3코카미도), POE(5)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6코카미도), POE(10)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10 라우린산 아미드 MEA)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POE(2)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3코카미도), POE(5)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6코카미도), POE(10)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11코카미도), POE(2)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3코카미도), POE(5)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6코카미도), POE(10)라우린산 모노에탄올아미드(PEG-10 라우린산 아미드 MEA)가 바람직하다.
상기 (E-2)성분의 사용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질량% 내지 3질량%가 바람직하고, 점도 안정화 및 상기 (B)성분의 안정화의 점에서, 1.5질량% 내지 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E)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지만, 상기 (E-1)성분과, 상기 (E-2)성분을 병용하는 것이, 점도 안정화 및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E)성분의 합계 사용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2질량% 내지 7질량%가 바람직하고, 3.5질량% 내지 5질량%가 점도 안정화 및 상기 (B)성분의 안정화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E-1)성분과, 상기 (E-2)성분의 질량비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점도 안정화 및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의 점에서, (E-1)/(E-2)가, 0.1 내지 3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7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는, 0.1 미만 또는 3을 초과하면, 점도 안정성 및 상기 (B)성분의 분리 안정성이 나빠지는 일이 있다.
<기타의 성분>
상기 기타의 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반적인 세제 조성물에 범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 성분, 향료, 향료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 성분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 반극성 계면활성제 ; 아크릴산계 폴리머 등의 아니온성 폴리머 ; 비닐피롤리돈계 폴리머 등의 비이온성 폴리머 ; 폴리올류 ; 유기염류 ; 보습제 ; 토닉제 ; 가용화제 ; BHT나 α-토코페롤 등의 산화 방지제 ;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카르반,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등의 살균제 ;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점도 조정제 ; 자외선 흡수제 ; 단백 유도체 ; 동식물 추출액 ; 피록톤올라민, 징크피리티온 등의 비듬 방지제 ; 피롤리돈카르본산 및 염, 생약, 비타민,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의 항염증제 ; 안식향산 및 그 염, 파라벤류, 케이송 CG 등의 방부제 ; 구연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pH 조정제 ; 에틸렌글리콜디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진주화제 ; 유탁제 ; 이드로트로프 ; 비타민류 ; 몰식자산 유도체, 글리신, 세린, 아르기닌 등의 아미노산 ;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 수소 ; 무수 실리카, 마그네시아실리카 등의 무기 분체 ;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의 유기 분체 ; 휘발성 유분 ; 저급 알코올 등의 용제 ; 소수성 용매 ;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첨가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세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첨가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향료, 향료 조성물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6-63044호 공보[표 5]
내지 [표 10]에 기재된 향료A, 향료B, 향료C, 향료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향료 조성물」이란, 상기한 향료 성분, 용제, 향료 안정화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향료 조성물에서의 상기 향료용 용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1질량% 내지 99질량%가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비타민E 또는 그 유도체, 카테킨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폴리페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조성물에서의 상기 향료 안정화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0001질량%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0.001질량% 내지 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조성물에서의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유량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005질량%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고, 0.01질량%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80℃의 탕욕(湯浴)중에서, 상기 (A)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수상(水相)으로 하고, 이 수상에 상기 (B)성분, 상기 (C)성분 및 상기 (D)성분을 포함하는 유상(油相)을 첨가하여, 균일 혼합한다. 그 후, 다시 교반하면서 실온(25℃)까지 냉각함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상기 교반에 이용하는 장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교반자(攪拌子), 교반날개(攪拌羽) 등을 들 수 있다.
-pH-
상기 세제 조성물의 pH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3 내지 7이 바람직하고, 4 내지 6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조성물의 pH가, 3 미만이면, 표면에의 자극이 우려되고, 7을 초과하면, 방부력이 저하되고,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pH는, 화장품 원료 기준 일반 시험법 pH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점도-
상기 세제 조성물의 점도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내지 6,000mPa·s가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mPa·s 미만이면, 사용시에 손으로부터 넘치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있고, 6,000mPa·s를 초과하면, 용기로부터의 배출성이 나빠지는 일이 있다.
상기 점도는, 화장품 원료 기준 일반 시험법 점도 측정법 제 2 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용기>
상기 세제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 EVAL 튜브, 알루미늄 튜브, 유리 증착 플라스틱 튜브 등의 튜브, 기계적 또는 차압(差壓)에 의한 디스펜서 용기 및 스퀴즈 용기, 라미네이트 필름 용기, 스포이트 용기, 스틱 용기, 보틀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통상 2층 이상의 다층을 가지며, 그 재질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라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합성 수지, 종이, 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상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단층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층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지만, 강도, 유연성, 내후성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는, 2층 내지 5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 용기의 재질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 비닐, 에틸렌-비닐알코올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ABS 수지, 폴리아미드,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층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층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본 발명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성분, 상기 (B)성분, 상기 (D)성분, 및 상기 (E)성분을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80℃의 탕욕중에서, 상기 (A)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하여 수상으로 하고, 이 수상에 상기 (B)성분, 상기 (C)성분, 상기 (D)성분, 및 상기 (E)성분을 포함하는 유상을 첨가하여, 균일 혼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발명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은,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배합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 등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분리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컬러링이나 파마, 과도한 드라이어 건조의 반복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이나, 피부 등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거품일기에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맨 살갗 클렌징용 샴푸, 데미지 케어용 샴푸, 마일드 샴푸, 린스인 샴푸 등의 모발 세제나, 바디 소프, 핸드 소프 등의 피부 세정제 등, 여러 가지의 세정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례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및 비교례로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례에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는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33, 비교례 1 내지 9)
표 1 내지 9에 표시하는 실시예 및 비교례의 세제 조성물을, 표 1 내지 9에 표시하는 조성 및 배합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얻어진 세제 조성물에 관해,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관능 평가 및 장기 보존 안정성(분리 안정성) 평가를 행하였다. 단, 표 1 내지 9에 표시하는 배합량은, 특히 명기가 없는 한 순분(純分) 환산한 세제 조성물중의 질량%를 나타낸다.
<제조 방법>
-실시예 1 내지 33, 비교례 6 내지 9-
80℃의 탕욕중에서, (A)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이하, 「수상」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하고, (B)성분, (C)성분, 및 (D)성분(표 1 내지 9)을 포함하는 유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이하, 「유상」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한 것을 상기 수상에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였다. 그 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향료 등의 기타의 성분을 첨가 후, 균일 혼합하였다. 또한, 기타의 성분에서 구연산은 pH 조정제로서 사용하고, 냉각한 세제 조성물을 pH5.5로 조정하였다(pH 미터 : 동아 디케케 주식회사제, HM-30G, 측정 온도 : 25℃).
-비교례 1-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에서, (A)성분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1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례 2-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에서, (A)성분을 (A')성분으로 대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2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례 3-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에서, (B)성분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3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례 4-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에서, (B)성분을 (B')성분으로 대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4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상기 (B')성분인 디메틸실리콘 오일은, 25℃에서의 동점도가 10만㎟/s의 디메틸실리콘 그 자체이다.
-비교례 5-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에서, (C)성분을 (C')성분으로 대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6 내지 9와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5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관능 평가>
세발시의 거품일기나, 마무리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에 불만을 느끼고 있는 20대 내지 60대의 남녀 40명을 피험자로 하고,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1 내지 9의 세제 조성물을 7일간 연속 사용하고, 거품일기의 잘됨, 마무리시의 모발의 매끄러움에 관해, 각각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내지 9에 표시한다.
-평가 기준-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30명 내지 40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20명 내지 29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10명 내지 19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0명 내지 9명
또한, 상기 평가 기준에 있어서, 「양호」란,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모발이 매끈매끈한 것을 의미한다.
<분리 안정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3 및 비교례 1 내지 9의 세제 조성물 50㎖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바이얼에, 각각 약 40㎖ 충전하고, 40℃의 항온조중에서 6개월간 보존하고, 외관을 육안으로 봄에 의해 분리 안정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내지 9에 표시한다.
-평가 기준-
◎ : 외관에 변화가 없고, 분리가 인정되지 않는다
○ : 극히 약간 분리가 인정되지만, 품질상 문제없다
△ : 분리가 인정된다
× : 완전히 2층으로 분리하고 있다
[표 1]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1
[표 2]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2
[표 3]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3
[표 4]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4
[표 5]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5
[표 6]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6
[표 7]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7
[표 8]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8
[표 9]
Figure 112012057267127-pct00009
(실시예 34 : 바디 소프)
실시예 1 내지 33에서, 세제 조성물의 조성을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대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3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34의 바디 소프를 얻었다.
실시예 34의 바디 소프에 관해, 실시예 1 내지 33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 안정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관능 평가>
피부 세정시의 거품일기나, 마무리시의 피부의 매끄러움에 불만을 느끼고 있는 20대 내지 60대의 남녀 40명을 피험자로 하여, 실시예 34의 바디 소프를 7일간 연속 사용하고, 거품일기의 잘됨, 마무리시의 피부의 매끄러움에 관해, 각각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30명 내지 40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20명 내지 29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10명 내지 19명
× : 양호라고 회답한 자가 0명 내지 9명
또한, 상기 평가 기준에 있어서, 「양호」란, 거품일기가 좋고. 마무리시에 피부가 매끈매끈한 것을 의미한다.
[조성]
트리POE(10)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HLB 14.0) 1.0%
디메틸실리콘 에멀션(동점도 1,000만㎟/s) 1.7%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CG-600) 0.3%
POE(2)알킬에테르황산 나트륨 1.0%
30%라우린산 아미드 프로필 베타인 수용액 4.0%
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 나트륨(*1) 1.0%
글리세린 10.0%
폴리에틸렌글리콜6000글리시리진산 디칼륨(*2) 0.2%
안식향산 나트륨 0.1%
구연산 0.9%
향료 0.5%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
(A)/(C)=0.3
(*1) N-라우로일-N-메틸-β-알라닌 나트륨 : 천연 파인케미컬즈 주식회사제
(*2) 폴리에틸렌글리콜6000글리시리진산 디칼륨 : 일유 주식회사제
[평가 결과]
분리 안정성 ◎
거품일기 ◎
피부의 매끄러움 ◎
(실시예 35 : 핸드 소프)
실시예 1 내지 33에서, 세제 조성물의 조성을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대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내지 33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35의 핸드 소프를 얻었다.
실시예 35의 핸드 소프에 관해, 실시예 1 내지 33과 같은 방법으로 분리 안정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34와 같은 방법으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조성]
트리POE(10)알킬(C12 내지 15)에테르인산(HLB 14.0) 1.0%
디메틸실리콘 에멀션(동점도 1,000만㎟/s) 1.7%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CG-600) 0.3%
POE(2)알킬에테르황산 나트륨 1.0%
라우린산 칼륨 8.0%
미리스틴산 칼륨 2.0%
프로필렌글리콜 10.0%
수산화 칼륨 4.6%
모노에탄올아민 0.5%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1.0%
POE(11)스테아릴에테르 1.0%
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션(*3) 0.2%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1%
향료 0.5%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
(A)/(C)=0.3
(*3) 스티렌 공중합체 에멀션 : 사이덴 화학 주식회사제
[평가 결과]
분리 안정성 ◎
거품일기 ◎
피부의 매끄러움 ◎
(실시예 36 내지 48, 비교례 10 내지 14)
다음에,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에 관해 시험을 행하였다.
표 10 내지 12에 표시하는 실시예 및 비교례의 세제 조성물을, 표 10 내지 12에 표시하는 조성 및 배합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얻어진 세제 조성물에 관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33과 같은 방법으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장기 보존 안정성(분리 안정성) 평가 및 장기 점도 안정성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0 내지 12에 표시한다.
단, 표 10 내지 12에 표시하는 배합량은, 특히 명기가 없는 한 순분 환산한 세제 조성물중의 질량%를 나타낸다.
<제조 방법>
-실시예 36 내지 48, 비교례 12 내지 13-
80℃의 탕욕중에서, (A)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이하, 「수상」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하고, (B)성분, (C)성분, (D)성분, 및 (E)성분(표 10 내지 12)을 포함하는 유용성 성분을 혼합 용해(이하, 「유상」이라고 칭하는 일이 있다.)한 것을 상기 수상에 첨가하고, 균일 혼합하였다. 그 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향료 등의 기타의 성분을 첨가 후, 균일 혼합하였다. 또한, 구연산은 pH 조정제로서 사용하고, 냉각한 세제 조성물을 pH5.5로 조정하였다(pH 미터 : 동아 디케케 주식회사제, HM-30G, 측정 온도 : 25℃).
-비교례 10-
실시예 36 내지 48 및 비교례 12 내지 13에서, (A)성분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36 내지 48 및 비교례 12 내지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10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례 11-
실시예 36 내지 48 및 비교례 12 내지 13에서, (C)성분을 (C')성분으로 대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36 내지 48 및 비교례 12 내지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11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비교례 14-
실시예 36 내지 48 및 비교례 12 내지 13에서, (E)성분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36 내지 48 및 비교례 12 내지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례 11의 세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점도 안정성 평가>
표 10 내지 12에 표시하는 세제 조성물에 관해, 제조 직후의 점도, 및 40℃의 고온 조중에서 6개월간 보존 후의 점도를, B형 점토계 BM(도쿄계기 주식회사제)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점도 변화율을 산출하고, 이값으로부터, 점도 안정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0 내지 12에 표시한다.
[측정 조건]
측정 온도 : 25℃
사용 로터 : No. 4
측정 시간 : 20초간
회전수 : 30rpm
점도= 읽은 값×200
점도 변화율(%)=(제조 직후의 세제 조성물의 점도 - 6개월간 보존 후의 세제 조성물의 점도)/제조 직후의 세제 조성물의 점도×100
-평가 기준-
◎ : 점도 변화율이, 0% 이상 5% 미만
○ : 점도 변화율이, 5% 이상 10% 미만
△ : 점도 변화율이, 10% 이상 20% 미만
× : 점도 변화율이, 20% 이상
<분리 안정성 평가>
표 10 내지 11에 표시하는 세제 조성물 50㎖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바이얼에, 각각 약 40㎖ 충전하고, 40℃의 항온조중에서 6개월간 보존하였다. 보존 후, 고속 원심기(himac CR20B2, 히타치고키 주식회사제)에서, 25℃, 12,000rpm의 조건으로 60분간 원심한 후, 외관을 육안에 의해 분리 안정성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원심 전후에서 외관에 변화가 없고, 분리가 인정되지 않는다
○ : 원심 전과 비교하여 원심 후에 상부에 약간 실리콘의 뜸이 인정되지만, 품질상 문제없다
△ : 원심 전과 비교하여 원심 후에 상부에 실리콘의 부상이 인정된다
× : 완전하게 2층으로 분리하고 있다
[표 10]
Figure 112012057267127-pct00010
[표 11]
Figure 112012057267127-pct00011
[표 12]
Figure 112012057267127-pct00012
실시예 1 내지 48 및 비교례 1 내지 14에서 사용한 원료를 표 13 내지 14에 표시한다.
[표 13]
Figure 112012057267127-pct00013
[표 14]
Figure 112012057267127-pct00014
[산업상의 사용 가능성]
본 발명의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은,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배합하는 세제 조성물 등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분리 안정성에 우수하고, 또한 컬러링이나 파마, 과도한 드라이어 건조의 반복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이나, 피부 등에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거품일기에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맨 살갗 클렌징용 샴푸, 데미지 케어용 샴푸, 마일드 샴푸, 린스인 샴푸 등의 모발 세제나, 바디 소프, 핸드 소프 등의 피부 세제 등, 여러 가지의 세정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A)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및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과,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C) 카티온성 폴리머와,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함유하고,
    상기 (A)성분의 HLB가 8 내지 17이고,
    상기 (B)성분의 25℃에서의 동점도가 적어도 400만㎟/s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 내지 1.2질량%이고,
    상기 (D)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내지 30질량%이고,
    상기 (A)성분과, 상기 (C)성분의 질량비가, (A)/(C)=0.3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성분의 합유량이 0.3질량% 내지 3질량%이고,
    (B)성분의 합유량이 0.01질량% 내지 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C)성분이,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카티온화 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4. (A)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디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 및 트리폴리옥시에틸렌알킬(C12 내지 18)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과,
    (B) 디메틸폴리실록산과,
    (C) 카티온성 폴리머와,
    (D) 상기 (A)성분 이외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와,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어도 혼합하고,
    상기 (A)성분의 HLB가 8 내지 17이고,
    상기 (B)성분의 25℃에서의 동점도가 적어도 400만㎟/s이고,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01질량% 내지 1.2질량%이고,
    상기 (D)성분의 함유량이 1질량% 내지 30질량%이고,
    상기 (A)성분과, 상기 (C)성분의 질량비가, (A)/(C)=0.3 내지 100이고,
    상기 (B)성분을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KR1020127018842A 2009-12-18 2010-07-22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KR101673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8075 2009-12-18
JP2009288075 2009-12-18
PCT/JP2010/062370 WO2011074282A1 (ja) 2009-12-18 2010-07-22 洗浄剤組成物及びジメチルポリシロキサンの安定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596A KR20120112596A (ko) 2012-10-11
KR101673646B1 true KR101673646B1 (ko) 2016-11-07

Family

ID=4416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842A KR101673646B1 (ko) 2009-12-18 2010-07-22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32392B2 (ko)
KR (1) KR101673646B1 (ko)
CN (1) CN102665662B (ko)
HK (1) HK1173981A1 (ko)
WO (1) WO2011074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7919B2 (ja) * 2011-12-12 2016-10-19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JP2016528353A (ja) 2013-08-13 2016-09-15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Dow Corning Corporation 消泡剤顆粒を形成する方法
JP6924125B2 (ja) * 2017-11-22 2021-08-25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KR20200086710A (ko) * 2017-12-26 2020-07-17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부 세정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935A (ja) * 1999-06-30 2001-01-16 Lion Corp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1089316A (ja) * 1999-09-24 2001-04-03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化粧品原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017A (ja) * 1990-09-25 1992-05-07 Lion Corp 毛髪化粧料用高濃度シリコ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JP3526314B2 (ja) * 1993-08-20 2004-05-10 花王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JPH08176588A (ja) 1994-12-26 1996-07-09 Kao Corp 安定なシリコーン乳化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5314306A (ja) 2004-04-28 2005-11-10 Kao Corp 毛髪化粧料
KR100598863B1 (ko) * 2004-09-24 2006-07-10 한국화학연구원 캡슐화된 자기유화형 실리콘 컴파운드를 포함하는 입자형실리콘 소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801339B (zh) 2007-07-31 2012-12-26 狮王株式会社 毛发清洗剂组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935A (ja) * 1999-06-30 2001-01-16 Lion Corp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1089316A (ja) * 1999-09-24 2001-04-03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化粧品原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596A (ko) 2012-10-11
HK1173981A1 (en) 2013-05-31
CN102665662B (zh) 2014-03-19
CN102665662A (zh) 2012-09-12
WO2011074282A1 (ja) 2011-06-23
JPWO2011074282A1 (ja) 2013-04-25
JP5632392B2 (ja)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1646B (zh) 水性有机硅聚醚微乳液
US7531497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cleansing phase and a benefit phase
AU666649B2 (en) Hair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with silicone conditioning agent
KR102448210B1 (ko) 개인 위생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20150081248A (ko) 샴푸 조성물
KR101673646B1 (ko)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US5733529A (en) Ultramulsion based antigingivitis toothpaste compositions
KR101411803B1 (ko) 모발 세제 조성물
KR102374768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5740859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
KR102336065B1 (ko) 포머 용기입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432544B1 (ko) 개인 위생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0904596B1 (ko) 신규한 클렌징 조성물
JP7358398B2 (ja) 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