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931A - 비틀림 진동 감쇠기 - Google Patents

비틀림 진동 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931A
KR20170017931A KR1020167035642A KR20167035642A KR20170017931A KR 20170017931 A KR20170017931 A KR 20170017931A KR 1020167035642 A KR1020167035642 A KR 1020167035642A KR 20167035642 A KR20167035642 A KR 20167035642A KR 20170017931 A KR20170017931 A KR 20170017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axial
radially outer
torsional vibration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하레 만주르
윌리엄 제이. 파입스니
Original Assignee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filed Critical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Publication of KR2017001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4Elastomeric springs
    • F16F15/126Elastomeric springs consisting of at least one annular element surrounding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35Elastomeric springs, i.e. made of plastic or rubber
    • F16F15/1442Elastomeric springs, i.e. made of plastic or rubber with a singl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비틀림 진동 감쇠기가 개시된다.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축방향으로 볼록부들 사이에서 중앙 오목부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 제 1 부재, 및 축방향으로 오목부들 사이에서 중앙 볼록부를 포함하고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대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축방향 중심과 축방향 단부를 갖는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 틈에 의해 분리되고,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단면 프로파일의 축방향 중심에서부터 각 축방향 단부까지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제 1 부재는 축방향으로 오목부들 사이에서 중앙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부재는 볼록부들 사이에서 중앙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틀림 진동 감쇠기{TORSIONAL VIBRATION DAMPER}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비틀림 진동 감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 방향으로 중심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주변 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두께를 갖는 물결형 또는 만곡형 프로파일을 갖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통상적으로, 감쇠기 링의 최내측 직경과 감쇠기 허브(외부 질량 감쇠기)의 최외측 직경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감쇠기 허브의 최내측 직경과 고무 스트립 또는 링을 수용하는 감쇠기 링(내부 질량 감쇠기)의 최외측 직경에 의해 형성되는 곧은 프로파일 또는 평행 만곡형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곧은 프로파일 또는 평행 만곡형 프로파일을 가지면, 감쇠기에서는 그 프로파일에 끼워져 있는 고무의 각 축방향 주변부에 높은 눈물 방울형 주 스트레인(principal strain)이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고르지 않은(또는 불균일한) 스트레인 발생은 설계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직사각형 프로파일은 평행 만곡형 프로파일 보다 더 양호한 스트레인 응답을 가질 수 있지만, 감쇠기의 축방향 온전성이 부족한데, 이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감쇠기의 축방향 온전성과 높은 주 스트레인 발생 간에 균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감쇠기의 축방향 온전성과 고무 스트립 또는 링 내의 주 스트레인 발생 간에 적절한 균형을 제공하는, 비평행 만곡형 프로파일을 갖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가 요망된다.
일 양태에서, 축방향으로 볼록부들 사이에서 중앙 오목부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 제 1 부재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가 개시된다. 또한,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축방향으로 오목부들 사이에서 중앙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대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축방향 중심과 축방향 단부를 갖는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 틈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상기 단면 프로파일의 상기 축방향 중심에서부터 각 상기 축방향 단부까지 증가한다. 상기 반경 방향 틈에는 고무 인서트가 끼워져 있다,
다른 양태에서, 축방향으로 오목부들 사이에서 중앙 볼록부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 제 1 부재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가 개시된다. 또한,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축방향으로 볼록부들 사이에서 중앙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대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축방향 중심과 축방향 단부를 갖는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 틈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상기 단면 프로파일의 상기 축방향 중심에서부터 각 상기 축방향 단부까지 증가한다. 상기 반경 방향 틈에는 고무 인서트가 끼워져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중심선과 축선을 가지며 또한 양 단부 사이의 제 1 축방향 길이를 갖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 제 1 부재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가 개시된다.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제 2 중심선, 및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대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 제 2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양 단부 사이의 제 2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상기 틈은 상기 양 단부 사이의 틈 길이, 및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표면들 사이의 반경 방향 두께를 가지며, 상기 두께는 상기 부재들의 상기 중심선에서의 제 1 두께에서부터 상기 양 단부에서의 제 2 두께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반경 방향 틈에는 고무 인서트가 끼워져 있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특징 및 다른 특징, 그의 본질 및 다양한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더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1b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등각도이다.
도 2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일 부분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틈 두께의 그래프이다.
도 5 ∼ 7은 고무 인서트의 주 스트레인을 도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원리를 예시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1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100)는 허브(102) 및 링(104)을 포함하고, 이들 허브와 링은 고무 인서트(106)가 끼워져 있는 틈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링(104)은 반경 방향 외측 홈형 표면(107)을 포함하는데, 이 홈형 표면은 구불구불한 벨트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허브(102)는 축방향 중심 축선(110)을 갖는 중심 구멍(108)을 포함한다. 이 구멍(108)은 회전 시스템의 축(나타나 있지 않음), 예컨대 내연 엔진의 회전 축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b는 다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15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150)는 링(152) 및 허브(154)을 포함하고, 이들 링과 허브는 고무 인서트(156)가 끼워져 있는 틈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링(152)은 축방향 중심 축선(160)을 갖는 중심 구멍(158)을 포함한다. 이 구멍(15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축(나타나 있지 않음)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 인서트가 틈에 끼워지기 전에, 그 고무 인서트는 틈 프로파일의 단면 두께 보다 큰 조립전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고무 인서트는 삽입 또는 끼움 과정 중에 압축을 받게 된다. 탄성중합체가 링과 허브에 가하는 이 압력축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100)를 함께 유지시킨다.
도 2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00)의 일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200)는, 반경 방향 틈(206)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 1 부재(202)와 제 2 부재(204)를 포함한다. 제 1 부재(202)와 제 2 부재(204)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00)의 축선(208), 예컨대 수평 축선 둘레를 회전하며, 제 2 부재(204)는 제 1 부재(202)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다. 도 1a 및 1b에 도시되어 있고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202)와 제 2 부재(204)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링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허브일 수 있고, 이들 링과 허브는 고무 인서트가 끼워져 있는 틈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대안적으로, 제 1 부재(202)와 제 2 부재(204)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허브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링이고, 이들 허브와 링은 고무 인서트가 끼워져 있는 틈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1 부재(202)는 제 1 부재(202)의 상호 반대편 축방향 단부(203, 205) 사이의 제 1 거리(L1)를 갖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210)을 포함한다. 이 반경 방향 외측 표면(210)은 중앙 오목부(212) 및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볼록부(214, 216)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중앙 오목부(212)는 축방향으로 볼록부(214, 216) 사이에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2 부재(204)는 제 2 부재(204)의 상호 반대편 축방향 단부(207, 209) 사이의 제 2 거리(L2)를 갖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218)을 포함한다. 이 반경 방향 내측 표면(218)은 중앙 볼록부(220) 및 오목부(222, 224)를 포함한다. 중앙 볼록부(220)는 축방향으로 오목부(222, 224) 사이에 있다. 반경 방향 외측 표면(210)과 반경 방향 내측 표면(218)은 상호간에 오목-볼록한 물결형 표면인데, 예컨대 볼록부가 대향 표면의 오목부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며 그리고/또는 오목부가 대향 표면의 볼록부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반경 방향 외측 표면(210)과 반경 방향 내측 표면(218)은, 반경 방향 틈(206)에 의해 분리되어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표면들이다. 반경 방향 틈(206)은, 제 1 및 2 부재의 상호 반대편 축방향 단부 사이의 틈 길이를 가지며, 또한 서로 대향하는 표면(210, 218)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있으며, 그래서 단면 프로파일(226)(대시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음)을 형성한다. 반경 방향 틈(206)의 두께는 제 1 및 2 부재의 중심선(CL)에서의 제 1 두께(T1)에서부터 상기 부재(202, 204)의 각 반대편 단부에서의 제 2 두께(T2)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반경 방향 외측 표면(210) 및 반경 방향 내측 표면(218)은 비평행 만곡형 관계를 갖는다. 다시 말해, 제 1 두께(T1)는 단면 프로파일(226)의 축방향 중심에 있고 제 2 두께(T2)는 단면 프로파일(226)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데, 예컨대 제 2 두께(T2)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단면 프로파일(226)의 축방향 단부에 또는 그 주위에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1 두께(T1)는 제 2 두께(T2) 보다 작아, 반경 방향 틈(206)의 두께는 제 1 두께(T1)의 축방향 위치에서부터 제 2 두께(T2)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N차 다항식 관계, 예컨대 2차 다항식 관계에 따라 제 1 두께(T1)에서부터 제 2 두께(T2)까지 증가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경사 관계에 따라 제 1 두께(T1)에서부터 제 2 두께(T2)까지 증가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한번의 단계적 두께 증가만 있지 않도록 제 1 반경 방향 두께(T1)에서부터 제 2 반경 방향 두께(T2)까지 증가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면 프로파일(226)에 의해 형성되는 반경 방향 틈에는 고무 인서트(228)(부분적으로만 나타나 있음)가 끼워지는데, 이 고무 인서트는 제 1 부재(202)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210)과 제 2 부재(204)의 반경 방향 내측 표면(218) 사이 전체에 반경 방향으로 끼워진다. 고무 인서트(228)는 스트립이나 링일 수 있고 탄성중합체 재료, 예컨대 부틸 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외측 볼록부(214, 216)는 제 1 반경(R1)을 가지며 외측 오목부(222, 224)는 제 2 반경(R2)을 갖는다. 제 2 반경(R2)은 제 1 반경(R1)과 반경 방향 틈(206)의 제 1 반경 방향 두께(T1)의 일 부분(F1)(나타나 있지 않음)의 합보다 크며, 예컨대 상기 일 부분(F1)은 제 1 두께(T1)의 10 ∼ 9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중앙 볼록부(220)는 제 3 반경(S1)을 가지며 중앙 오목부(212)는 제 4 반경(S2)을 갖는다.
도 3은 비틀림 진동 감쇠기(300)의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300)은 반경 방향 틈(306)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 1 부재(302)와 제 2 부재(304)를 포함한다. 제 1 부재(302)와 제 2 부재(304)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300)의 축선(308) 둘레로 회전하며 제 2 부재(304)는 제 1 부재(302)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제 1 및 2 부재들은 축선(308)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1 부재(302)는 제 1 부재(302)의 상호 반대편 축방향 단부(303, 305) 사이의 제 1 길이(L1)를 갖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310)을 포함한다. 이 반경 방향 외측 표면(310)은 중앙 볼록부(312) 및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오목부(314, 316)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중앙 볼록부(312)는 축방향으로 오목부(314, 316) 사이에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2 부재(304)는 제 2 부재(304)의 상호 반대편 축방향 단부(307, 309) 사이의 제 2 길이(L2)를 갖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318)을 포함한다. 이 반경 방향 내측 표면(318)은 중앙 오목부(320) 및 볼록부(322, 324)를 포함한다. 중앙 오목부(320)는 축방향으로 볼록부(322, 324) 사이에 있다. 반경 방향 외측 표면(310)과 반경 방향 내측 표면(318)은 상호간에 오목-볼록한 물결형 표면인데, 예컨대 볼록부가 대향 표면의 오목부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며 또한 오목부는 대향 표면의 볼록부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반경 방향 외측 표면(310)과 반경 방향 내측 표면(318)은, 반경 방향 틈(306)에 의해 분리되어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표면들이다. 반경 방향 틈(306)은, 제 1 및 2 부재의 상호 반대편 축방향 단부 사이의 틈 길이를 가지며, 또한 서로 대향하는 표면(310, 318)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있어, 단면 프로파일(326)(대시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음)을 형성한다. 반경 방향 틈(306)의 두께는 제 1 및 2 부재의 중심선(CL)에서의 제 1 두께(TT1)에서부터 상기 부재(302, 304)의 각 반대편 단부에서의 제 2 두께(TT2)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반경 방향 외측 표면(310) 및 반경 방향 내측 표면(318)은 비평행 만곡형 관계를 갖는다. 다시 말해, 제 1 두께(TT1)는 단면 프로파일(326)의 축방향 중심에 있고 제 2 두께(TT2)는 단면 프로파일(326)의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데, 예컨대 제 2 두께(TT2)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단면 프로파일(326)의 축방향 단부에 또는 그 주위에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 1 두께(TT1)는 제 2 두께(TT2) 보다 작아, 틈(306)(예컨대,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제 1 두께(TT1)의 축방향 위치에서부터 제 2 두께(TT2)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면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는 반경 방향 틈에는 고무 인서트(328)(부분적으로만 나타나 있음)가 끼워지는데, 이 고무 인서트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310)과 반경 방향 내측 표면(318) 사이 전체에 반경 방향으로 끼워진다. 고무 인서트(328)는 스트립이나 링일 수 있고 탄성중합체 재료, 예컨대 부틸 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외측 볼록부(322, 324)는 제 1 반경(R1)을 가지며 외측 오목부(314, 316)는 제 2 반경(R2)을 갖는다. 제 2 반경(R2)은 제 1 반경(R1)과 반경 방향 틈(306)의 제 1 두께(TT1)의 일 부분(F1)(나타나 있지 않음)의 합보다 크며, 예컨대 상기 일 부분(F1)은 제 1 두께(T1)의 10 ∼ 9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중앙 오목부(320)는 제 3 반경(S1)을 가지며 중앙 볼록부(312)는 제 4 반경(S2)을 갖는다.
도 4는 중심선(CL)에서부터 축방향 가장자리(AE)까지 세 비틀림 진동 감쇠기 프로파일의 틈 두께 플롯(plot)의 그래프(40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반경 방향 틈은 일정한 두께를 갖지 않는다. 예컨대, 틈 두께 플롯(402)은 축방향 길이에 걸쳐 4.0의 일정한 틈 두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수평 축선에서 0에서 20까지).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반경 방향 틈은 단지 하나의 위치에서 틈 두께의 단계적 증가를 갖지 않는다. 예컨대, 틈 두께 플롯(404)은 축방향 길이를 따라 단지 하나의 위치에서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틈 두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즉 틈 두께 플롯(404)은 4.0에서부터 단지 하나의 위치에서 5.2까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틈 두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중심선(CL) 또는 그 주위에서부터 각 축방향 가장자리(AE)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연속 증가 틈 두께를 갖는데, 예컨대, 틈 두께 플롯(406)은, 중심선(CL)과 축방향 가장자리(AE) 사이에서 틈 두께가 4.0에서부터 4.6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 증가 틈 두께는 N차 다항식 관계, 경사 관계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5 ∼ 7은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틈에 끼워져 있는 고무 인서트의 주 스트레인을 도시한다(중심선(CL)에서부터 축방향 가장자리(AE)까지 인서트의 한쪽 절반만 나타나 있음). 스트레인 호칭(511 ∼ 520)은 주 스트레인의 범위를 나타낸다. 도 5 ∼ 7의 우측에 있는 주 스트레인 테이블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호칭(511)은 최저 주 스트레인을 나타내고, 호칭(520)은 최대 주 스트레인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종래 기술에서 전형적인 것처럼, 곧은 틈 프로파일을 갖는 제 1 부재(502)와 제 2 부재(504)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 인서트(506)의 일 예시적인 스트레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3에서 위에서 논의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 1 부재(602)와 제 2 부재(604)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 인서트(606)의 일 예시적인 스트레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2에서 위에서 논의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제 1 부재(702)와 제 2 부재(704)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 인서트(706)의 일 예시적인 스트레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곧은 틈 프로파일 설계는 축방향 단부(AE) 쪽으로 가면서 더 큰 주 스트레인을 보이며 그 축방향 단부에서는 눈물 방울형 주 스트레인 값(520)이 나타난다. 축방향 단부 쪽에 높은 주 스트레인이 나타나는 것은 이상적인 설계가 아닐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비틀림 진동 감쇠기에 있는 고무 인서트의 마모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2 및 3에서 전술한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실시 형태(물결형의 반경 방향 내측 및 반경 방향 외측 표면 또는 비평행 만곡형 관계를 갖는 표면)에서는, 고무 인서트에서 최대 주 스트레인이 감소되고 그래서 비틀림 진동 감쇠기에 있는 고무 인서트의 마모가 본질적으로 감소된다.
도면에 나타나 있고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많은 실시 형태들의 예이다. 개시된 방안을 이용하여 많은 다른 구성도 창안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이 본 출원인의 의도이다.

Claims (18)

  1. 비틀림 진동 감쇠기로서,
    축방향으로 볼록부들 사이에서 중앙 오목부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 제 1 부재;
    축방향으로 오목부들 사이에서 중앙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대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 제 2 부재로서,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축방향 중심과 축방향 단부를 갖는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 틈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상기 단면 프로파일의 상기 축방향 중심에서부터 각 상기 축방향 단부까지 증가하는, 제 2 부재; 및
    상기 반경 방향 틈에 끼워지는 고무 인서트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허브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링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링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허브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4. 비틀림 진동 감쇠기로서,
    축방향으로 오목부들 사이에서 중앙 볼록부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 제 1 부재;
    축방향으로 볼록부들 사이에서 중앙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대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 제 2 부재로서,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축방향 중심과 축방향 단부를 갖는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 틈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반경 방향 틈의 두께는 상기 단면 프로파일의 상기 축방향 중심에서부터 각 상기 축방향 단부까지 증가하는, 제 2 부재; 및
    상기 반경 방향 틈에 끼워지는 고무 인서트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허브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링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링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허브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7. 비틀림 진동 감쇠기로서,
    중심선과 축선을 가지며, 또한 양 단부 사이의 제 1 축방향 길이를 갖는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 제 1 부재;
    제 2 중심선, 및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대향하는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 제 2 부재로서,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양 단부 사이의 제 2 축방향 길이를 가지는, 제 2 부재;
    상기 양 단부 사이의 틈 길이, 및 단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표면들 사이의 반경 방향 두께를 갖는 틈으로서, 상기 두께는 상기 부재들의 상기 중심선에서의 제 1 두께에서부터 상기 양 단부에서의 제 2 두께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틈; 및
    상기 반경 방향 틈에 끼워지는 고무 인서트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은 중앙 볼록부 및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중앙 오목부 및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는 제 1 반경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는 제 2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반경은 상기 제 1 반경과 상기 제 1 두께의 일 부분의 합보다 큰, 비틀림 진동 감쇠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허브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링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링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허브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은 중앙 오목부 및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중앙 볼록부 및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볼록부는 제 1 반경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는 제 2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반경은 상기 제 1 반경과 상기 제 1 두께의 일 부분의 합보다 큰, 비틀림 진동 감쇠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허브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링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링이고 상기 제 2 부재는 허브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외측 표면과 상기 반경 방향 내측 표면은 상호간에 오목-볼록한, 비틀림 진동 감쇠기.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는 N차 다항식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는 경사 관계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
KR1020167035642A 2014-06-12 2015-06-12 비틀림 진동 감쇠기 KR20170017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03,074 2014-06-12
US14/303,074 US9506523B2 (en) 2014-06-12 2014-06-12 Torsional vibration damper
PCT/US2015/035574 WO2015192012A1 (en) 2014-06-12 2015-06-12 Torsional vibration dam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931A true KR20170017931A (ko) 2017-02-15

Family

ID=5483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642A KR20170017931A (ko) 2014-06-12 2015-06-12 비틀림 진동 감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06523B2 (ko)
EP (1) EP3155293B1 (ko)
JP (1) JP6434056B2 (ko)
KR (1) KR20170017931A (ko)
CN (1) CN106461003B (ko)
BR (1) BR112016028949A2 (ko)
WO (1) WO2015192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9934B2 (ja) * 2015-03-30 2020-09-02 デイコ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Dayco Ip Holdings, Llc ねじり振動ダンパースポークデザイン
CN106038351B (zh) * 2016-07-12 2019-07-09 深圳市维琪医药研发有限公司 一种用于淡化皱纹的多肽组合物
JP2018031455A (ja) * 2016-08-26 2018-03-01 Nok株式会社 トーショナルダンパ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8763A (en) * 1931-02-12 1933-10-03 Budd Wheel Co Gear
GB820042A (en) 1957-05-31 1959-09-16 Holset Engineering Co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3813776A (en) 1973-05-15 1974-06-04 Mccullough Corp Vibration isolation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a chain saw
US4083265A (en) * 1976-03-05 1978-04-11 Wallace Murray Corporatio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S5896150U (ja) * 1981-12-23 1983-06-3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ブツシユ式ト−シヨナルラバ−ダンパ
JPS6043748U (ja) * 1983-09-01 1985-03-27 エヌ・オ−・ケ−・メグラステイツク株式会社 ト−シヨナルダンパ
JPH054594Y2 (ko) * 1987-04-28 1993-02-04
JP2605157Y2 (ja) * 1992-10-23 2000-06-26 エヌ・オー・ケー・メグラスティック株式会社 ダンパ
JPH11159576A (ja) * 1997-11-28 1999-06-15 Nok Megurasutikku Kk ダンパ
JP5118792B2 (ja) * 2000-01-14 2013-01-16 株式会社フコク ダンパ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86065B1 (en) * 2000-07-25 2002-05-14 The Gates Corporation Dual ring damper
JP2003194192A (ja) 2001-12-27 2003-07-09 Nok Corp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ー
JP2004125108A (ja) * 2002-10-04 2004-04-22 Nok Corp トーショナルダンパーの製造方法
US7104533B2 (en) 2002-11-26 2006-09-12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ylindrical vibration damping device
JP2007255432A (ja) 2006-03-20 2007-10-04 Nok Corp トーショナルダンパ
KR101485511B1 (ko) * 2006-07-07 2015-01-22 데이코 유로페 에스.알.엘. 콘 유니코 소시오 풀리 어셈블리
JP4952922B2 (ja) 2007-06-29 2012-06-13 Nok株式会社 エンジン騒音低減装置
US20090145261A1 (en) 2007-12-06 2009-06-11 Richard Obeshaw Single mass dual mode crankshaft damper with tuned hub
CN201377542Y (zh) * 2009-03-05 2010-01-06 骆耀斌 发动机曲轴橡胶阻尼式单级扭转减震器
IT1399993B1 (it) * 2010-05-11 2013-05-09 Dayco Europe Srl Gruppo puleggia smorzatore
JP5556355B2 (ja) * 2010-05-18 2014-07-23 Nok株式会社 ダンパ
JP5574102B2 (ja) * 2010-06-15 2014-08-20 Nok株式会社 トーショナルダンパ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2879A (ko) * 2011-03-09 2012-09-19 한국후꼬꾸 주식회사 댐퍼풀리
KR20130039487A (ko) 2011-10-12 2013-04-22 한국후꼬꾸 주식회사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
US9121471B2 (en) 2012-05-03 2015-09-01 Dayco Ip Holdings, Llc Torsional vibration damper with nonuniform elastomer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1003A (zh) 2017-02-22
BR112016028949A2 (pt) 2017-08-22
EP3155293A4 (en) 2018-03-07
WO2015192012A1 (en) 2015-12-17
JP6434056B2 (ja) 2018-12-05
EP3155293A1 (en) 2017-04-19
EP3155293B1 (en) 2020-08-05
JP2017517701A (ja) 2017-06-29
US20150362037A1 (en) 2015-12-17
US9506523B2 (en) 2016-11-29
CN106461003B (zh)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7825B2 (ja) トレランス・リング
US10359107B2 (en) Roller chain sprocket with resilient cushion rings having improved durability and noise characteristics
US10174792B2 (en) Tolerance ring
KR20100100903A (ko) 레일 휠
AU2009300112B2 (en) Elastic joint body
JP2008542657A (ja) スラスト軸受
KR20170017931A (ko) 비틀림 진동 감쇠기
US9987880B2 (en) Bearing assembly
JP2006177548A (ja) 動力伝達部材用のプーリー、そのようなプーリーが装着された別個のスタータオルタネータ、およびエンジン駆動装置
ES2753182T3 (es) Abrazadera de manguera con revestimiento plano de muelle
KR20150093827A (ko) 토크 제한 공차링
JP2017512959A (ja) 切り曲げ加工されたストッパを備えたばね保持プレート
JP4739181B2 (ja) オーバーラニングクラッチ
EP3152451B1 (en) Tolerance ring
KR101517469B1 (ko) 비틀림 가요성 커플링
JP6568119B2 (ja) 内側及び外側シャフトのためのリテーナ
JP2017517701A5 (ko)
JPWO2021176662A5 (ko)
JP7252711B2 (ja) プレート、及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US20080237954A1 (en) Damper apparatus
JP2009185893A (ja) ダンパースプリング組立体
JP6561523B2 (ja) 軸受装置及び軸受装置用固定プレート
JP2008291853A (ja) 皿ばね及びその使用方法
JP5690305B2 (ja) スプリング組立体
JP5806959B2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