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671A -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671A
KR20170017671A KR1020150138981A KR20150138981A KR20170017671A KR 20170017671 A KR20170017671 A KR 20170017671A KR 1020150138981 A KR1020150138981 A KR 1020150138981A KR 20150138981 A KR20150138981 A KR 20150138981A KR 20170017671 A KR20170017671 A KR 20170017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order
information
consumer
servi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원 filed Critical 박재원
Priority to PCT/KR2016/0086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23143A1/ko
Priority to EP16833379.7A priority patent/EP3333793A4/en
Priority to CN201680046160.7A priority patent/CN107924525A/zh
Publication of KR2017001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671A/ko
Priority to US15/880,971 priority patent/US201801508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65Query processing support for facilitating data mining operations in structured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은, 수요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받아 주문 내역을 표시하는 업소 단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주문 요청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고 결제 결과를 회신하는 결제 서버; 및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취급품목이 기등록된 업소 정보 또는 취급 품목에 없는 경우, 수요자 의사를 수요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수요자 정보, 업종, 업소명 또는 신청 지역, 수요자 희망의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맞춤 상권 정보를 생성하는 상권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SERVICE APPLICATION SERVER, SALES MANAGEMENT METHOD OF SERVICE APPLICATION SERVER AND SALES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요자 의사를 반영하여 상권 정보를 제공받아 창업한 업소의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로, 웹 정보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특정 웹사이트의 게시판, 블로그, 커뮤니티인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특정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때 다른 사용자들의 온라인상 의견을 참조하여 결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수요자들은 상품 품평에서 맛집 품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견을 표출한다. 이러한 의견들은 타 수요자들이 해당 상품을 구매하거나 맛집을 찾아가기 전에 참조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수요자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알고자 하는 경우에도 빅데이터화 하여 이용할 수 있다.
창업에서 최대의 핸디캡은 경험부족 및 시장 트랜드 분석 능력 부족으로서, 직장 생활 또는 학업 생활만을 하던 사람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 경우, 쉽게 적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역 내의 상권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제공하는 상권정보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상권정보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대한 인구분포, 공공기관, 산업시설 등의 지리적 정보와 기존 상권에서 사용되는 카드 사용금액, 모바일기기를 통하여 수집되는 단순 이동정보 등 수요자의 실질적인 수요를 파악할 수 없는 통계적 데이터만을 기초로 상권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계된 컨설팅 서비스에 따라 창업한 후, 현실적으로 시장 요구와의 괴리로 막대한 손실을 안고 폐업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실질 수요자의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에 기초하여 창업한다면, 수요자는 창업된 해당 업소를 이용함으로써 생활 편의가 증대되고, 해당 업소 창업자는 업소 홍보나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실질 수요자를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듯 수요자를 확보한 상태에서 창업을 한 창업자는 자기가 창업하고자 하는 업소를 원했던 고객을 상대로 업소의 실시간 정보(주문, 예약현황 등) 또는 다양한 보상서비스, 이벤트, 홍보자료 등의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해당 고객도 자신의 수요자 의사를 기반으로 창업한 업소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수요자와 창업자에게 각각 필요한 정보를 상호간에 제공하게 되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요자와 창업자를 직접 연결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2085호
본 발명에 따른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 수요자의 상권 정보 관련 의사를 기존 상권 정보와 결합한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현실적인 시장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업자와 수요의사를 표시한 수요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요자와 창업자간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업자에게는 고객에게 쉽게 홍보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조기에 창업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며 고객에게는 자신이 원했던 업소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업자에게 제공되는 시스템에는 매입/매출, 재고관리 등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POS(판매관리시스템) 기능과 결제, 주문접수, 예약진행, 대기시간 설정,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업소 운영에 필요한 시간과 노동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은 수요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요청을 수신받아 주문 내역을 표시하는 업소 단말;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요청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고 결제 결과를 회신하는 결제 서버; 및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취급품목이 상기 기등록된 업소 정보 또는 취급 품목에 없는 경우, 수요자 의사를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수요자 정보, 업종, 업소명 또는 신청 지역, 수요자 희망의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맞춤 상권 정보를 생성하는 상권정보 제공 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주문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기록하고 실시간 주문 현황 및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주문 관리부;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여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청구비용을 알려주는 결제부; 상기 주문 내역 중 상기 청구비용이 결제된 주문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출 관리부; 업소의 원재료 내역 중 상기 주문 내역에 따라 소진된 원재료를 차감하여 남아 있는 원재료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재고 관리부; 및 상기 원재료를 매입한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입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업소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내용을 등록하고, 상기 이벤트 내용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수요자 단말에서 검색된 업소의 취급 품목에 대한 대기 시간, 주문 요청시 실시간 추적 상황을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수요자 단말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수요자 개개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요자 단말에서 수신한 주문 요청을 저장하는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여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결제 서버에서 수신한 결제 결과에 따라 상기 주문 요청에 따른 주문 내역을 업소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전송하는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주문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기록하고 실시간 주문 현황 및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주문 관리부;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여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청구비용을 알려주는 결제부; 상기 주문 내역 중 상기 청구비용이 결제된 주문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출 관리부; 업소의 원재료 내역 중 상기 주문 내역에 따라 소진된 원재료를 차감하여 남아 있는 원재료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재고 관리부; 및 상기 원재료를 매입한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입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업소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내용을 등록하고, 상기 이벤트 내용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은 수요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주문 요청에 따른 업소 취급품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문 요청의 주문 내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고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업소 취급품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권 정보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수요자 의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제 결과에 따라 업소 단말로 상기 주문 내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 관리 방법은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내용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요자 단말에 업소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진행 중인 업소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따르면, 단순히 수요자들의 이용 패턴 정보 및 가입 정보, 등록 업소 정보 등의 통계치 뿐만 아니라 대상 업종 또는 대상 업소에 대한 실질적인 수요자의 의사까지 반영한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현실적인 시장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창업자는 본 발명의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권 정보 빅데이터에 기초한 컨설팅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창업하려는 희망 업종 또는 희망 업소(브랜드)의 실질적인 수요를 미리 파악하여 창업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질 수요자의 상권 정보 관련 의사가 반영된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기초로 설계한 최적 입지의 상권 정보를 창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창업자의 창업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수요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매입 매출 및 재고관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소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를 연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수요자 주문 내역 및 수요자 소비 성향까지 분석할 수 있어 더 효율적으로 업소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수요자는 자신의 요청에 의해 창업한 업소를 이용함에 있어 실시간으로 업소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문을 하거나, 예약을 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업소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업소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상권정보 제공서버의 상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수요자 단말에서 작성하는 수요자 의사를 수집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수요자 단말에서 작성하는 수요자 의사를 수집하는 방식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업소 측의 개설 홍보 신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추천 정보 업소 내역 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을 받기 위해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해당 지역 내 업소 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은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이다.
도 11은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2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3은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업소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4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업소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5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업소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1)은 수요자 단말(10),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결제 서버(20), GPS 위성(30), 업소 단말(40) 및 상권 정보 제공서버(50)를 포함한다.
수요자 단말(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 수요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단말, 2G/3G 단말,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와이 파이(Wi-Fi) 단말 등일 수 있다.
수요자 단말(10)은 GPS 위성(30) 또는 네트워크 IP와 연동되어 위치 정보가 추적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수요자 단말(10)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업소의 창업자와 창업자와 수요의사를 표시한 수요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요자와 창업자간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수요자 단말(1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업소 및 취급품목을 선택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주문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수요자 단말(1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수요자가 희망하는 업소 또는 취급품목이 기등록된 업소/취급품목에 없는 경우 수요자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수요자 단말(10)에서 주문 요청을 수신하면, 주문 요청에 따라 기등록 업소에 대상 취급품목을 생산하도록 요청한다.
결제 서버(2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청구 비용에 따라 수요자 단말(10)로 결제 요청을 보내고, 수요자 단말(10)에서의 결제수단에 따른 결제를 수신한다. 결제 서버(20)는 수신자 단말에서의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결과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전송한다. 결제 서버(20)는 금융 업무가 가능한 통신사 서버, 온라인 결제가 가능한 금융 서버 등일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결제 서버(20)로부터 주문 요청에 따른 결제 결과를 수신하면 기등록 업소에 대한 대상 취급품목의 생산요청을 업소 단말(40)로 전송한다. 생산 요청을 수신한 업소에서는 대상 취급품목을 생산하여 주문 요청을 발주한 수요자에게 대상 취급품목을 배달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수요자 단말(10)에서 수신한 주문 요청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기등록된 업소 또는 대상 취급품목 리스트에 없는 경우,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 알린다.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업소 단말(40)로부터 업소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주문 배달 등의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수요자 단말(10)은 업소 검색시 상기 모니터링 상황을 반영한 업소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수요자 의사를 기초로 수요자 정보, 업종, 업소명 또는 신청 지역, 수요자 희망의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맞춤 상권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등록된 업소 또는 취급품목 중에 수요자가 희망하는 업소 또는 취급품목이 없는 경우, 수요자 단말(10)로 수요자 의사 신청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요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신청에 따른 수요자 의사 내역을 수신하면 이를 기초로 수요자 정보, 업종, 업소명 또는 신청 지역, 수요자 희망의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창업자의 컨설팅 요청에 대응하기 위해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상권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수요자 의사는 수요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 수요자의 의사표시에 동의한 것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업소 추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동의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수요자 의사는 수요자가 검색한 키워드를 기초로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서 수요자를 위해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 메뉴 또는 유사 업종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요자 의사'는 상권 불편신고, 업소 개설요청, 업종 개설요청 또는 수요자 희망의견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는데, 수요자의 의사를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 표시 또는 반영하는 것이면, 상기 용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표현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01),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02),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03),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104),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05), 제1 송수신부(106) 및 제1 제어부(107)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01)는 수요자 단말(10)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접속하기 위한 수요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다. 로그인 정보는 예를 들면, 수요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접속 로그정보, 소셜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02)는 주문 요청 및 생산 요청과 관련된 업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권정보 제공서버(50)의 맞춤 상권 정보를 통해 창업 컨설팅을 받은 업소 창업자의 자동 등록, 기 운영 중인 업소 운영자의 오프라인 신청 또는 업소 단말(40)을 통한 온라인 신청을 통해 등록된 업소의 업소명, 취급 품목 리스트, 주소, 연락처 등을 저장한다.
업소에 대한 정보는 국내 프랜차이즈 가게명 전체에 대한 정보 또는 소상공인 시장진흥공단에서 제공하는 가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가게에서 취급하는 품목은 상기 업소 정보에 연동하여 치킨, 피자, 족발보쌈, 한식, 분식, 유명 프랜차이즈 카테고리 등으로 그룹핑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로, 요식업의 경우 창업하는 가게의 테이블 구성, 좌석 수(수용 가능 인원 수), 취급 품목으로써 판매하는 메뉴 및 메뉴별 가격, 배달주문 가능 여부 및 배달 주문 가능 시 메뉴별 배달 완료 소요 시간, 포장주문 가능 여부 및 포장 주문 가능 시 포장 완료시까지 소요 시간, 좌석 예약을 수신할지 여부 확인, 배달주문 및 포장주문 시 시간당 주문수신 가능 횟수, 배달주문 수신이 가능한 지역 등을 업소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장소 임대업의 경우 객실 수(회의실 수) 및 객실별 수용가능 인원, 이용 가능한 부대 시설, 객실별 이용 가격 및 이용 가능 부대시설 가격 등을 업소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학원이나 병원 등의 고객 대상 서비스 제공업의 경우, 서비스 제공 품목 및 품목별 제공 가능 시간, 품목별 시간당 서비스 제공 가능 인원, 방문 예약 서비스 수신 여부, 시간당 예약 가능 임계 횟수 등을 업소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물품 판매업의 경우 판매하는 주요 물품 정보, 이용가능 시간 등을 업소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02)는 결제 서버(20)에서 수신한 결제 결과에 따라 수요자 단말(10)로부터의 주문 요청에 따른 주문 내역을 업소 단말(40)로 전송하고,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10)에 전송한다.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103)는 지역 정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물의 위치, 용도, 입점 업체 정보 및 건물 분포, 도로 정보, 논,밭, 산이나 강, 하천 등의 지리적 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프랜차이즈 지주회사가 보유한 프랜차이즈 점포의 분포 정보, 공공시설 및 산업시설 분포 정보, 인구 분포 정보 등을 지리적 정보에 매핑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104)는 결제 서버(20)와 연동하여 수요자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수요자의 결제 정보, 결제를 위한 보안 프로그램, 결제 프로세스에 따른 각종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05)는 수요자 단말(10)에서 수신된 주문 요청에 대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제2 송수신부(106)는 수요자 단말(10), 업소 단말(40), 결제 서버(20) 및 상권정보 제공서버(50)와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제1 제어부(107)는 수요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하면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05)에 임시로 저장하고, 주문 요청을 전송한 수요자의 로그인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 등록된 수요자 정보와 대조하여 확인하고, 주문 요청에 포함된 주문 대상 업소 및 그 취급품목을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 기등록된 업소 리스트 및 그 취급품목 리스트와 비교한다. 주문 요청이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등록된 곳인 경우, 제1 제어부(107)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로 결제 서버(20)와 연동하여 수요자 단말(10)로 결제요청을 전송한다. 수요자 단말(10)의 결제에 따라 결제 서버(20)로부터 결제 결과를 수신하면, 제1 제어부(107)는 주문한 업소의 업소 단말(40)로 취급 품목에 대한 생산 요청을 전송한다.
한편 제1 제어부(107)는 주문 요청이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 기등록된 곳이 아닌 경우 또는 주문 요청에 따른 취급품목이 없는 경우,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 주문요청에 대한 희망업소 불일치 알림을 전송한다.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저장부(51), 정보 분석부(52), 상권 정보 관리부(53), 제2 제어부(54) 및 제2 송수신부(55)를 포함한다.
제2 제어부(54)는 저장부(51), 정보 분석부(52), 상권 정보 관리부(53), 송수신부(55)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54)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부터 주문요청에 대한 불일치 알림을 수신하면, 수요자 의사 신청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수요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수요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신청에 따른 동의 및 수요자 의사를 회신받으면, 제2 제어부(54)는 정보 분석부(52)로 전송하여, 수요자 의사의 내용을 분석한다.
정보 분석부(52)는 수요자 의사를 기초로 상기 수요자 정보, 상기 업종, 상기 업소명 또는 상기 신청 지역, 상기 수요자 희망의견 등을 추출한다.
저장부(51)는 정보 분석부(52)에 의해 추출된 수요자 의사 정보, 업소 정보, 부동산 정보, 수요자 정보 또는 상권 정보 빅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일 예로, 저장부(51)는 수요자 정보 저장부(111), 업소 정보 저장부(112), 부동산 정보 저장부(113) 및 신고 정보 저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요자 정보 저장부(111)는 수요자 의사를 작성한 수요자에 대한 연령, 성별, 신고 위치,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이용 로그 정보, 소셜네트워크 정보 등을 포함한 상기 수요자 정보를 저장한다.
업소정보 저장부(112)는 상기 업소명, 업소 취급품목 리스트, 업소 위치, 업소 연락처 등을 포함한 등록 업소 정보를 저장한다.
부동산 정보 저장부(113)는 시설 정보를 포함한 지리적 위치 정보 및 상기 지역 정보를 반영한 지도 정보 등의 상기 부동산 정보를 저장한다.
신고 정보 저장부(114)는 상기 수요자 의사 정보, 상기 수요자 희망의견 및 상기 수요자 의사 정보에 대한 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수요자 의사 정보에 대한 로그 정보는 업종 또는 업소명, 취급품목, 상기 불편신고 지역이 일치하는 상기 수요자 의사 표시의 횟수 및 타 수요자에 의한 수요자 의사 접수 내역을 의미한다.
제2 송수신부(55)는 수요자 단말(10) 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연결되어 송수신부(55)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상권 정보 관리부(53)는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업소 정보, 부동산 정보, 수요자 정보, 수요자 의사 정보와 조합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추후 창업자가 컨설팅을 요청하는 경우, 창업자의 요청 기준에 따라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맞춤 상권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부가 서비스 제공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56)는 업소명 또는 업종, 취급 품목, 신청 지역 등이 일치하는 수요자 의사가 기설정된 임계횟수 이상 수신된 경우, 상기 수요자 의사를 작성한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보상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보상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푸쉬 알림을 상기 수요자 단말(10)로 전달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업소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02)는 주문 관리부(201), 결제부(202), 매출 관리부(203), 재고 관리부(204), 매입 관리부(205)를 포함한다.
주문 관리부(201)는 수요자 단말(10)로부터의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주문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기록하고 실시간 주문 현황 및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일 예로 주문된 취급 품목을 송부(배달)하는 방법에 따라 테이블 주문, 일반 주문, 배달 주문, 포장 주문 등으로 주문 내역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주문 관리부(201)는 업소 단말(40)로부터 업소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결제부(202)는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여 결제 서버(20)로 상기 청구비용을 알려준다. 즉, 주문 내역에 포함된 취급품목 및 수량에 따라 각각 비용을 계산하여 총 청구비용을 산정하고, 주문 내역에 대한 청구비용을 결제 서버(20)에 전달하여 수요자 단말(10)에서 온라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는 결제부(202)는 업소 단말(40)로 주문 내역에 대한 청구비용을 전달하여, 수요자가 업소에서 신용카드, 현금결제 또는 상품권, 기프티콘, 모바일 머니 등 다른 결제 수단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매출 관리부(203)는 주문 내역 중 결제 서버(20)를 통해 청구비용이 결제된 주문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한다. 매출 관리부(203)는 결제 서버(20)를 통해 결제된 청구 비용 뿐만 아니라, 업소에서 수행한 오프라인 결제내역까지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재고 관리부(204)는 업소의 원재료 내역 중 결제 완료된 상기 주문 내역에 따라 소진된 원재료 또는 취급품목을 차감하여 남아 있는 원재료 및 취급품목 현황을 모니터링한다.
매입 관리부(205)는 업소에서 사들이는 원재료들을 매입한 내역 및 비용지출 등을 기록하고 저장한다.
한편,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02)는 이벤트 관리부(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관리부(206)는 업소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내용을 등록하고, 상기 이벤트 내용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한다. 이때 등록되는 이벤트 내용은 업소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진행되는 할인, 할인 쿠폰, 특정 메뉴 제공, 사은품 제공 등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홍보성 이벤트 내용을 말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등록된 이벤트 내용을 수요자 단말(10)에 해당 지역 이벤트 업소 리스트 등의 형태로 제공하거나 이벤트를 설정한 업소를 우선 검색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요자 단말에 우선 노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상권정보 제공서버의 상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수요자 단말(1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로그인을 통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접속한다(S10).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로그인 정보로부터 수요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
수요자는 수요자 단말(1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이용을 희망하는 업소 및 취급품목을 검색할 수 있다(S11). 수요자가 수요자 단말(10)을 통해 희망 업소명 또는 업종, 취급품목을 선택하여 주문 요청을 하면(S12),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주문에 따른 희망 업소명 또는 업종, 취급 품목이 희망 지역 내 기등록된 업소 정보에 있는지 검색하고, 일치하는 업소가 있으면 해당 업소 단말(40)로 생산 요청(S13)을 전송한다. 그러나 희망 업소명 또는 업종, 취급 품목이 기 등록된 업소 정보에 없거나, 희망 지역 내 기등록된 업소가 없는 경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희망업소 불일치 알림을 상권정보 제공서버(50)로 전송한다(S14).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희망업소 불일치 알림에 기초하여, 주문 요청을 전송한 수요자 단말(10)로 수요자 의사 신청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5).
수요자는 희망 지역에 희망 업소 또는 업종 및 그 취급품목에 대한 서비스를 개설 요청을 원할 경우, 수요자 의사를 신청하고(S16), 수요자 의사 내역을 작성한다(S17).
그러나 수요자가 수요자 의사의 작성을 원하지 않는 경우(S16) 다른 희망 업소 또는 업종 및 취급품목을 재검색하도록 한다(S11).
본 명세서에서 수요자 의사는 수요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 수요자의 신고에 동의한 것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업소 추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에 동의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수요자 의사는 수요자가 검색한 키워드를 기초로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서 수요자를 위해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 메뉴 또는 유사 업종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요자 의사 내역은 도 5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요자 의사'는 상권 불편신고, 업소 개설요청, 업종 개설요청 또는 수요자 희망의견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는데, 수요자의 의사를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 표시 또는 반영하는 것이면, 상기 용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표현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수요자 단말(10)에서 작성된 수요자 의사를 수신하여(S18), 정보를 분석하여 항목별 주요 키워드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수요자 의사에 포함된 수요자 정보, 업종, 업소명 또는 신청 지역, 수요자 희망의견 등을 추출한다(S19).
추출된 정보는 상권 정보 빅데이터에 반영되도록 기저장된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S20).
상권 정보 빅데이터는 창업자의 컨설팅 요청에 상응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상권 정보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수요자 단말에서 작성하는 수요자 의사를 수집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수요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자 단말(10)에서 희망 업종, 희망 업소명, 희망 지역을 검색한 후, 이어서 나타나는 취급품목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주문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희망 업소가 기등록되어 있는 곳이 아니거나, 희망 지역 내에 희망 업소명 또는 희망 업종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실패 결과를 알리는 창이 나타날 수 있다.
수요자가 희망 업소가 희망 지역 내에 개설되기를 희망하여, 개설 요청(또는 수요자 의사을 신청한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자 단말에는 수요자 의사 작성 창이 나타난다. 수요자가 수요자 의사 작성 창에서 희망 업소명, 희망 업종, 신청 지역 및 신고 의견(희망 의견) 중 적어도 하나를 작성한 후, 개인정보의 사용을 동의하고 신청을 완료하면, 해당 수요자 의사는 상권정보 제공서버(50)로 전송되어 상권 정보 빅데이터의 기초로 활용된다. 이때 사용 동의를 요하는 개인정보는 수요자의 연령, 성별, 신고 위치,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이용 로그 정보, 소셜네트워크 정보 등으로서, 사용 동의는 상권 정보 빅데이터의 기초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것이면서, 또한 추후 수요자 의사에 의한 업소가 개설되었을 때 보상 서비스을 받기 위한 정보 활용 또는 개설될 업소의 창업자에게 마케팅 정보로 이용하기 위한 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를 포함한다.
도 6은 수요자 단말에서 작성하는 수요자 의사를 수집하는 방식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요자는 수요자 단말(10)에서 희망 업종, 희망 업소명 또는 희망메뉴(또는 품목)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이미 등록된 업종 리스트, 업소 리스트 또는 메뉴(품목) 리스트 증 어느 하나를 수요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수요자 의사 신청에 동의한 수요자 단말에서 요청한 검색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업종으로 검색한 경우 해당하는 업종과 관련된 업소 리스트를 제공하고, 업소명으로 검색하면 해당하는 업소명과 일치 또는 유사한 업소 리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메뉴(품목)으로 검색하면 해당 메뉴와 관련된 업소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연동하여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업소명, 해당 업소에서 취급하는 주요 품목 및 수요자 단말의 GPS 위치 또는 설정 위치에서의 거리 등의 상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리스트에서는 검색 결과의 각 업소별로 연락처, 지도 등의 위치정보, 고객평가 등의 상권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킨'을 메뉴(품목)로 하는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수요자 단말(10)의 GPS 위치 또는 설정 위치인 '경기도 화성시 능동'에서 일정 거리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치킨을 취급하는 업소들에 대한 리스트를 수요자 단말(10)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수요자가 수요자 단말(10)에 표시된 업종 리스트, 업소 리스트 또는 메뉴(품목)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리스트에서 업종, 업소 또는 메뉴(품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설요청' 버튼을 누르면,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개설 요청을 수요자 의사로 간주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의 기초로 활용한다. 일 실시예로 수요자가 선택하는 개설요청은 현재 위치 또는 설정 위치에서 거리가 먼 업소에 대한 개설신청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5와 달리 희망 업소명, 희망 업종, 신청 지역 및 신고 의견(희망 의견) 중 적어도 하나를 일일이 작성하지 않고 수요자 의사를 표시하는 차이가 있다.
도 7은 업소 측의 개설 홍보 신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추천 정보 업소 내역 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수요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수요자 의사 뿐만 아니라 업소 측에서 작성한 업소 소개 정보에 대한 수요자 반응 수를 카운트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랜차이즈 본사 등에서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 업소의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업소의 상세정보는 업소명, 업소특징, 취급품목에 대한 메뉴 및 가격, 기존 이용자 상품평, 상기 수요자 의사 표시를 한 수요자들의 의견, 상기 수요자 의사로 설정된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동일업소 또는 동종업소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수요자 의사에 따른 업소 개설시 상기 신고를 한 수요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서비스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요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자 단말이 상기 프랜차이즈의 체인점이 없는 지역을 검색하거나 상기 수요자 단말의 GPS 또는 IP 추적에 따른 접속 위치가 상기 프랜차이즈의 체인점이 없는 지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랜차이즈 본사 등에서 제공된 업소 정보 및 보상 서비스 등의 내용이 포함된 광고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광고는 추천 업소 리스트 하단에 각 업소별 홍보 배너 형태(B1 내지 B6)로 제공될 수 있고, 홍보 배너의 순서(B1 내지 B6)는 수요자 단말의 접속 위치 또는 검색 지역으로부터의 거리, 수요자 동의 수, 업소의 서비스 이용 등급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홍보 배너 공간의 일 측면에는 프랜차이즈 자체의 광고배너(AD) 등이 함께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수요자는 수요자 단말(10)의 접속 위치 또는 검색 지역에 따른 지역에 없는 프랜차이즈에 대한 추천 업소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로 수요자가 “경기도 화성시 능동”에 속하는 추천 업소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추천 업소를 클릭하면 팝업창으로 해당 업소의 간략 정보(예를 들면 홍보 페이지)를 미리보기할 수 있고, 다시 클릭하여 상기 업소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수요자는 어느 하나의 추천 업소를 선택하면 해당 업소의 상세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도 있다.
수요자는 추천 업소 리스트를 검색하여 수요자 자신의 의사와 일치되는 추천 업소 광고에 동의 의사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요청 수가 많아질수록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창업 데이터 생성시 상기 추천 업소 동의 수(도 7의 “좋아요” 클릭 수) 또한 수요자 의사 요청 수와 함께 카운트되어 가중치가 높게 반영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요자 단말(1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로그인을 통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접속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로그인 정보로부터 수요자 단말(10)의 접속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
수요자는 수요자 단말(1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주문을 희망하는 업소 및 취급품목을 검색할 수 있다(S32). 수요자가 수요자 단말(10)을 통해 희망 업소명 또는 업종, 취급품목을 선택하여 주문 요청을 하면(S33),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주문에 따른 희망 업소명 또는 업종, 취급 품목이 희망 지역 내 기등록된 업소 정보에 있는지 검색한다(S34). 기등록된 업소 정보와 일치하는 업소가 있으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수신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주문 요청을 분석하여(S35) 업소명, 취급 품목 및 기타 구체적 사항에 대한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주문 내역에 따른 청구 비용을 산정하여 결제 서버(2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요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주문 요청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로서 창업자에게 희망 품목에 대한 개별 문의를 할 수 있다. 창업자는 수요자의 개별 문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업소 운영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제 서버(20)는 수요자 단말(10)에 청구 비용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전송하고(S37), 수요자 단말에서 결제 수단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면(S38), 그 결제 결과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한다(S39).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결제 완료된 주문 내역을 업소 단말(40)로 전송하고, 업소에서는 업소 단말(40)에서 수신된 주문 내역에 따라 해당 주문품목을 생산한다. 주문품목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업소 자체에서 생성하는 상품일 수도 있고, 업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도 있으며, 또는 업소와 연계된 타업체에 아웃소싱하여 생산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일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주문 내역, 예약 내역 또는 생산 중인 주문 품목에 대한 업소의 현황은 실시간 모니터링되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실시간 전송되고(S41) 또한 수요자 단말(10)로 실시간 주문 내역, 예약 내역 또는 생산 중인 주문 품목에 대한 현황이 업소 현황 정보로서 업소 단말(4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S42).
업소에서 주문 품목의 생산을 완료하면 업소 단말(40)에서 수요자 단말(10)로 생산완료된 주문 품목을 송부하고(S43), 수요자 단말(10)로 제공 또는 수요자에게 배달하여 수요자가 주문 품목을 수령하도록 한다(S44).
업소 단말(40)은 결제 완료되어 송부된 주문 품목과 관련하여, 매입/매출, 재고관리 등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창업자가 해당 주문 품목의 원재료 구입 등에 따른 매입, 주문 품목 소진에 따른 매출 및 재고관리 등을 업소 단말(40)에 입력하여 총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업소 운영에 필요한 시간과 노동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업소 단말(40)로부터 수신하는 업소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수요자에게 주문 요청 가능여부, 수령 대기 시간, 예약 상황 등을 보여줄 수 있어, 수요자의 업소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창업자의 업소 운영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9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을 받기 위해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해당 지역 내 업소 리스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수요자 단말(10)에 특정 지점에서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하여 등록된 업소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지점은 수요자 단말(10)의 접속 위치 정보 또는 수요자가 설정한 위치일 수 있다.
제공되는 업소 리스트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등록된 업소 리스트로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권정보 제공서버(50)의 상권 정보 빅데이터에 따라 컨설팅한 후 창업된 업소들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국내 프랜차이즈 가게명 전체에 대한 정보 또는 소상공인 시장진흥공단에서 제공하는 가게 정보 등일 수 있다.
업소 리스트에는 취급품목에 따른 카테고리(종류), 업소명, 취금품목에 대한 간단한 설명 및 배달 가능여부, 주문 방식, 예약 가능여부 등 주문 요청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업소 리스트는 검색창에 입력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나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비'라는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갈비'를 취급품목으로 하면서 특정 지점인 '경기도 화성시 능동'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 내 위치하는 업소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업소 리스트 내역에 대한 수요자 만족도가 높으면, 해당 목록에 대해 '좋아요' 버튼을 눌러 수요자 의사를 표시할 수 있고, 상권정보 제공서버(50)는 이를 수요자 의사로서 상권 정보 빅데이터에 반영할 수 있다.
도 10은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이고, 도 11은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수요자가 수요자 단말(10)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업소, 취급품목 및 기타사항을 표시하여 주문 요청을 하면,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요청사항에 대한 예약 내용 확인 정보를 수요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요자가 '수원왕갈비'라는 업소의 '생갈비 1인분' 및 '갈비찜 1인분'을 주문요청한 경우, 업소 단말(40)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제공한 업소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수요자 단말에 해당 수요자의 현재 대기 번호 및 대기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수요자는 주문 요청 사항에 대한 상기 정보를 확인하여, 주문 방식(배달 주문, 방문포장주문, 방문예약)을 선택할 수 있다.
수요자가 방문 예약을 선택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요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방문 예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방문 예약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수요자 단말에 업소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가능 인원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문 요청 사항에 취급 품목의 수요(도 11의 예약 인원 수)를 함께 표시하여 주문 요청할 수 있다.
도 12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수요자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다.
한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요식업인 경우 도 11과 달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좌석배치도와 함께 주문 현황을 수요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요자는 좌석배치 및 특정 시간대의 업소의 주문 현황을 고려하여 타수요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주문 요청을 할 수 있다.
도 13은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업소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4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업소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15는 수요자의 주문요청에 따라 업소 단말에 보여지는 방문 예약 내용 확인 화면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업소 창업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연동되는 업소 단말(40)을 통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으로 수요자로부터 수신한 주문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되는 주문 요청은 시간 순으로 나열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좌석 배치마다 나열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테이블 좌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업소 창업자는 업소 단말에서 각 테이블마다 예약된 현황을 미리보기(Preview)로 보거나 팝업 창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 단말(4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연동하여 창업자에게 각 테이블마다의 주문 내역 및 시간대별 예약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테이블 예약 현황은 수요자가 수요자 단말을 통해 이미 결제한 건이면 결제 완료 표시를 하고(2번 테이블), 수요자가 방문 예약으로 주문 요청은 하였으나 결제는 오프라인으로 할 경우, 다양한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를 할 수 있도록 업소 단말에 결제 관련 메뉴(신용카드 결제, 현금 결제, 온라인 결제 등)를 제공한다(1번 테이블).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 단말(4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연동하여 창업자에게 배달 주문 내역 및 배달 주문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창업자는 본 발명의 상권정보 제공서버(50)에서 제공되는 상권 정보 빅데이터에 기초한 컨설팅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창업하려는 희망 업종 또는 희망 업소(브랜드)의 실질적인 수요를 미리 파악하여 창업 성공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질 수요자의 상권 정보 관련 의사가 반영된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기초로 설계한 최적 입지의 상권 정보를 창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창업자의 창업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수요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를 통해 매입 매출 및 재고관리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소 단말에서 입력된 정보를 연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 수요자 주문 내역 및 수요자 소비 성향까지 분석할 수 있어 더 효율적으로 업소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수요자는 자신의 요청에 의해 창업한 업소를 이용함에 있어 실시간으로 업소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문을 하거나, 예약을 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업소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10 : 수요자 단말
20 : 결제 서버
30 : GPS 위성
40 : 업소 단말
50 : 상권정보 제공서버

Claims (9)

  1. 수요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요청을 수신받아 주문 내역을 표시하는 업소 단말;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요청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고 결제 결과를 회신하는 결제 서버; 및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취급품목이 상기 기등록된 업소 정보 또는 취급 품목에 없는 경우, 수요자 의사를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수요자 정보, 업종, 업소명 또는 신청 지역, 수요자 희망의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상권 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맞춤 상권 정보를 생성하는 상권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주문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기록하고 실시간 주문 현황 및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주문 관리부;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여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청구비용을 알려주는 결제부;
    상기 주문 내역 중 상기 청구비용이 결제된 주문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출 관리부;
    업소의 원재료 내역 중 상기 주문 내역에 따라 소진된 원재료를 차감하여 남아 있는 원재료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재고 관리부; 및
    상기 원재료를 매입한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입 관리부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업소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내용을 등록하고, 상기 이벤트 내용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수요자 단말에서 검색된 업소의 취급 품목에 대한 대기 시간, 주문 요청시 실시간 추적 상황을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5. 수요자 단말에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수요자 개개인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요자 단말에서 수신한 주문 요청을 저장하는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여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결제 서버에서 수신한 결제 결과에 따라 상기 주문 요청에 따른 주문 내역을 업소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전송하는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주문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기록하고 실시간 주문 현황 및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주문 관리부;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여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청구비용을 알려주는 결제부;
    상기 주문 내역 중 상기 청구비용이 결제된 주문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출 관리부;
    업소의 원재료 내역 중 상기 주문 내역에 따라 소진된 원재료를 차감하여 남아 있는 원재료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재고 관리부; 및
    상기 원재료를 매입한 내역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매입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업소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내용을 등록하고, 상기 이벤트 내용을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이벤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8. 수요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주문 요청에 따른 업소 취급품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문 요청의 주문 내역에 상응하는 청구비용을 산정하고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문 요청에 상응하는 업소 취급품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권정보 제공서버와 연동하여 수요자 의사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제 결과에 따라 업소 단말로 상기 주문 내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 추적 현황, 대기시간, 예약현황 등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내용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요자 단말에 업소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가 진행 중인 업소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KR1020150138981A 2015-08-06 2015-10-02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KR20170017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8646 WO2017023143A1 (ko) 2015-08-06 2016-08-05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상권 정보 제공 서버, 상권 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동작방법
EP16833379.7A EP3333793A4 (en) 2015-08-06 2016-08-05 BUSINESS SECTO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USINESS SECTO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BUSINESS SECTO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ERVICE APPLICATION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A BUSINESS SERVER, METHOD OF PROVIDING BUSINESS SECTOR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A BUSINESS SERVER SERVICE APPLICATION
CN201680046160.7A CN107924525A (zh) 2015-08-06 2016-08-05 商业区信息提供系统、商业区信息提供服务器、商业区信息提供方法及服务应用服务器与服务应用服务器的运行方法
US15/880,971 US20180150855A1 (en) 2015-08-06 2018-01-26 Business distric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usiness district information provision server, business district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service application server, and service application server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0899 2015-08-06
KR1020150110899 2015-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671A true KR20170017671A (ko) 2017-02-15

Family

ID=58111630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816A KR101808911B1 (ko) 2015-08-06 2015-09-17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KR1020150138980A KR101736597B1 (ko) 2015-08-06 2015-10-02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KR1020150138981A KR20170017671A (ko) 2015-08-06 2015-10-02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KR1020150163079A KR101731189B1 (ko) 2015-08-06 2015-11-20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KR1020160000898A KR101774138B1 (ko) 2015-08-06 2016-01-05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KR1020160095214A KR101808951B1 (ko) 2015-08-06 2016-07-27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816A KR101808911B1 (ko) 2015-08-06 2015-09-17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KR1020150138980A KR101736597B1 (ko) 2015-08-06 2015-10-02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079A KR101731189B1 (ko) 2015-08-06 2015-11-20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KR1020160000898A KR101774138B1 (ko) 2015-08-06 2016-01-05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KR1020160095214A KR101808951B1 (ko) 2015-08-06 2016-07-27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50855A1 (ko)
EP (1) EP3333793A4 (ko)
KR (6) KR101808911B1 (ko)
CN (1) CN1079245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0912A (zh) * 2018-06-27 2018-12-07 北京京东金融科技控股有限公司 用于确定目标位置的方法和装置
JP2020046949A (ja) * 2018-09-19 2020-03-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9634486A (zh) * 2018-12-14 2019-04-16 万翼科技有限公司 指标说明的获取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2295636B1 (ko) 2019-03-06 2021-08-3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334162B (zh) * 2019-05-09 2021-11-09 德邦物流股份有限公司 地址识别方法及装置
CN110210939B (zh) * 2019-05-31 2020-07-24 广州太平洋电脑信息咨询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089104B1 (ko) * 2019-07-26 2020-03-13 이종오 단기 임차 음식점 운영 및 프로필 기반 이용객 방문 유도 방법
CN110597848A (zh) * 2019-08-06 2019-12-20 上海数据交易中心有限公司 数据业务结算方法及系统、存储介质、服务器
KR102433997B1 (ko) * 2020-08-31 2022-08-19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설문조사를 이용한 점포 개설 컨설팅 제공 시스템
KR102511523B1 (ko) * 2020-10-26 2023-03-16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지역상권 데이터 기반 협업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645114B1 (ko) * 2021-11-01 2024-03-07 주식회사 연잇다 위치추적 기반 주문음식 픽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67635B1 (ko) * 2021-11-03 2022-11-17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Ai를 이용한 컨설팅 제공 시스템
CN114862528B (zh) * 2022-07-06 2022-09-30 深圳小米房产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技术的便利送系统及方法
KR20240050811A (ko) 2022-10-12 2024-04-19 주식회사 사이트랩 빅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구역 정보 및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37634B1 (ko) * 2023-04-13 2024-02-16 주식회사 제이앤비컴퍼니 콜라보레이션 귀금속 가맹점 개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85A (ko)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의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778A (en) * 1997-10-31 2000-04-11 Walker Asset Management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 reward program
JP2000163401A (ja) * 1998-11-30 2000-06-16 Kanebo Ltd 店舗評価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ンケートセット
JP2003016296A (ja) 2001-07-02 2003-01-17 Knowledge & Intelligence:Kk 消費者参加型ショッピングモール出店店舗募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30097295A1 (en) * 2001-11-13 2003-05-22 Kiefer Nicholas M. Method for site selection for retail and restaurant chains
US8175908B1 (en) * 2003-09-04 2012-05-08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a merchant database derived from customer purchase transactions data
US9105039B2 (en) * 2006-01-30 2015-08-11 Group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lerts to members of a social network
JP4929467B2 (ja) * 2007-04-24 2012-05-09 株式会社パスコ ニーズ情報収集システム、ニーズ情報収集サーバ、ニーズ情報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050248A2 (en) * 2009-10-23 2011-04-28 Cadio, Inc. Analyzing consumer behavior using electronically-captured consumer location data
US20150206254A1 (en) * 2011-08-12 2015-07-23 Joheem Loh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ing various platfor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30030434A (ko)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상에 게재된 웹 문서 기반 상권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3175114A (ja) * 2012-02-27 2013-09-05 Yoko Ono 出店支援システム及び出店支援方法
US10002349B2 (en) * 2012-03-05 2018-06-19 First Dat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ransaction patterns
US10147130B2 (en) * 2012-09-27 2018-12-04 Groupon, Inc. Online ordering for in-shop service
US9947021B1 (en) * 2013-03-14 2018-04-17 Groupon,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duct for identifying a service need via a promotional system
KR20140072720A (ko) * 2012-12-05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장치, 콘텐츠 제공 방법, 영상표시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40278768A1 (en) * 2013-03-12 2014-09-18 Michael J. Zenor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select store sites
US10360580B1 (en) * 2013-03-15 2019-07-23 Groupon, Inc. Promotion system for determining and correcting for insufficiency of promotion data
CA2895121A1 (en) * 2014-09-05 2016-03-05 Gravity Partner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deriving meaning from large scale data sets
US20160180266A1 (en) * 2014-12-19 2016-06-23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Using social media for improving supply chain performance
US20160260108A1 (en) * 2015-03-05 2016-09-08 David Brian Bracewell Occasion-based consumer analytics
JP6717008B2 (ja) * 2016-03-31 2020-07-0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生成プログラム、情報生成方法及び情報生成装置
EP3555834A1 (en) * 2016-12-19 2019-10-23 Group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geographic areas having elevated supply and demand levels
US20190050873A1 (en) * 2017-08-11 2019-02-14 Alexandra Henderson Pop-up shop plan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85A (ko)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기반의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725A (ko) 2017-02-15
KR101774138B1 (ko) 2017-09-12
KR20170017670A (ko) 2017-02-15
EP3333793A4 (en) 2019-04-10
CN107924525A (zh) 2018-04-17
KR101736597B1 (ko) 2017-05-17
KR101808951B1 (ko) 2017-12-14
KR101808911B1 (ko) 2018-01-18
KR101731189B1 (ko) 2017-04-27
US20180150855A1 (en) 2018-05-31
KR20170017679A (ko) 2017-02-15
KR20170017668A (ko) 2017-02-15
KR20170017685A (ko) 2017-02-15
EP3333793A1 (en) 201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597B1 (ko)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US11756067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ibution triggering transactions
US20220309550A1 (en) Matching support device, matching support system, and program
KR101894678B1 (ko) 음식주문에 기반한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소비자-판매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 방법
CN104364809A (zh) 选单层级的推荐及奖励系统
KR101572951B1 (ko) 오프라인 직거래를 위한 온라인 마켓 제공 시스템
KR101995040B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80138396A (ko) 사용자 기반 주문형 독립쇼핑몰을 제공하는 통합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페이백 서비스 방법
US11397719B1 (en) Database system for triggering event notifications based on updates to database records in an electronic file
KR101322793B1 (ko) 인맥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
KR20020012656A (ko)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US12001419B1 (en) Database system for triggering event notifications based on updates to database records in an electronic file
JP7186756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101224407B1 (ko) 쿠폰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2277A (ko) 키워드 코드와 동영상을 이용한 물품 판매정보 중개 시스템
JP20211496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10112725A (ko) 프랜차이징 음식점 원가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00040428A (ko) 온라인을 통한 음식점의 현물 결제방식의 마케팅 방법
KR20060069817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