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656A -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656A
KR20020012656A KR1020000045813A KR20000045813A KR20020012656A KR 20020012656 A KR20020012656 A KR 20020012656A KR 1020000045813 A KR1020000045813 A KR 1020000045813A KR 20000045813 A KR20000045813 A KR 20000045813A KR 20020012656 A KR20020012656 A KR 20020012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ty
purchase
consumer
leader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민
Original Assignee
이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민 filed Critical 이구민
Priority to KR102000004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2656A/ko
Publication of KR20020012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6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를 통하여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 공동 구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소비자는 공동 구매 사이트에 진열된 공동 구매 물품을 선택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 커뮤니티의 리더가 예상 구매 수량을 결정한 후, 소비자들에게 물품 구매를 유도하여, 소비자가 신청한 구매 수량이 많을 수록 커뮤니티의 할인율이 높아지므로 저가에 원하는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뮤니티는 거래 실적에 따라 운영자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도 있다.

Description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The method of e-commerce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공동 구매 물품에 관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 커뮤니티 리더가 자발적으로 운영하여 공동 구매를 완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편화로 누구나 쉽게 정보망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써 전자 상거래와 컨텐츠 사업이 가장 사업성이 큰 분야로 인식 되고 있다. 특히, 전자 상거래는 종래의 재래 시장 구도를 변화시키고 있는 혁신적인 거래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전자 상거래란 넓은 의미의 기업이나 소비자가 컴퓨터 통신망 상에서 행하는 광고, 상품, 서비스 구매 등의 모든 경제 활동을 말한다. 전자 상거래는 디지털 정보의 힘을 이용하여 고객과 파트너가 필요로 하고 선호하는 것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맞추어 가능한 빨리 전달하는 것이다.
현재 많은 웹 사이트에서 전자 상거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자 상거래는 a) 소비자가 컴퓨터로 인터넷 가상상점에 들어가 매장을 돌아다니며 그곳에 진열되어있는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b) 소비자가 거래신청서를 통해 운영자에게 구매를 요청하면, 운영자는 인증을 거쳐 소비자의 거래 요청을 승낙하고, c) 운영자의 대금지불 요청에 따라, 소비자는 신용카드, 무통장입금, 또는 가상은행에서 발행하는 전자지폐를 사용하여 대금을 지불하고, d) 대금지불 확인 후 제품이 소비자에게 배달되며, e) 제품에 하자가 있을 경우, 소비자는 제품을 받은 후 20일 내로 환불 및 반송요청을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의 장점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으므로 소비자는 하루 24시간, 일년 365일 어느 때나 구매 할 수 있으며, 한 자리에서 모든 종류의 제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제품 판매자는 매장 및 직원 고용 비용이 절감되고, 전세계 네티즌을 구매자로 삼을 수 있으며, 웹을 통해 이루어지는 광고는 기타 다른 매체의 광고에 비해 저렴하므로 소비자는 그만큼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제품에 관한 수많은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으며, 소리, 동영상, 상호 반응의 대응 등이 지원되므로 실제 상점과 같이 생생한 제품 정보를 간접 체험 할 수 있으므로 상점 주인을 의식하지 않고 상품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 공동 구매 사이트의 운영과 소비자 구매에 있어 문제점은 공동 구매 사이트의 대부분이 단방향으로 제품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으므로 소비자의 적극적인 반응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소비자들 간의 정보 교환이 원할하지 못하다. 그리고, TV, 신문등을 통한 홍보시 일시적으로 구매가 이루어지나 홍보 이후에는 고객 반응이 지속적이지 못하며, 공동 구매 사이트가 개설되고 가격이 결정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과, 반품, A/S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수반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체적 방안으로는, 공동 구매 사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양방향 구성이 요구되고, 지속적인 구매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직접 운영자 역할의 일부를 담당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를 통하여 홍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또한 운영자는 올바른 구매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하여 소비자에 의한 별도의 검색없이도 제품 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동 구매 물품에 관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이 커뮤니티의 리더가 자발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물품 구매를 유도하도록 구성되며, 커뮤니티의 멤버들은 실시간으로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고, 소비자가 신청한 구매 수량이 많을 수록 커뮤니티의 할인율이 높아지므로 소비자들은 저가에 원하는 제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커뮤니티는 거래 실적에 따라 운영자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도 있게 하여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커뮤니티를 누구나 생성할 수 있으므로 많은 소비자를 유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소비자라면 자신이 직접 커뮤니티 리더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게 된다.
그리고 현재 다른 사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집단에서 어떤 상품에 관하여 공동 구매를 하고자 할 경우, 이 집단의 시삽은 본 발명의 공동 구매 사이트에 진열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멤버들의 동의를 얻은 후, 하나의 커뮤니티로서 등록하게 되면, 이 집단은 이미 많은 수의 멤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된다. 만약, 더 다운된 가격을 기대한다면, 이 커뮤니티의 리더는 일반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더 많은 물량을 구매할 수 있게되고, 이로써 더욱 다운된 가격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 구매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뮤니티 생성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소비자가 본 발명의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구매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뮤니티 20: 커뮤니티 리더
30: 공동 구매 사이트 60: 소비자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에 관하여 간단히 정의한다.
'커뮤니티(10)'는 기존의 PC 통신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형성된 같은 취미나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활동하는 커뮤니티, 또는 소비자가 공동 구매를 목적으로 형성하는 집단을 의미한다.
'커뮤니티 리더(20)'는 커뮤니티가 형성될 때 각각의 커뮤니티를 처음 형성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구매활동을 하는 각각의 커뮤니티의 대표를 의미한다.
'제품 구매 목표 달성율'은 처음 커뮤니티 리더가 제시한 수량 대비 실제 구매한 수량에 대한 퍼센트를 일컫는다. 즉, '제품 구매 목표 달성율' = (실제 구매한 수량)/(커뮤니티 리더가 제시한 수량)*100으로 나타낼 수 있다.
'회원 신용도'란 제품을 구매하면서 소비자에게 생성되는 포인트 적립으로 '회원 신용도'에 의해 소비자 개인은 추후 이벤트 등을 통한 제품 구매 시 차별화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한 혜택은 상세한 설명부분에서 설명될 것이다.
'커뮤니티 신용도'란 많은 제품의 구매와 제품구매 목표 달성율이 구매수량에 가까운가에 대한 평가에 의해 생성되는 신용 지수를 의미하며, 커뮤니티 신용도에 의해 신용도가 높은 커뮤니티는 차별화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동 구매 방법은, 공동 구매 사이트에 진열된 공동 구매 물품을 선택하는 단계, 이 선택된 물건에 대한 커뮤니티 등록 및 커뮤니티 리더를 형성하고 인증키를 부여하는 단계, 커뮤니티 리더가 예상 구매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커뮤니티 리더가 소비자들에게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단계, 소비자들이 상기 커뮤니티로의 가입을 원할 경우 커뮤니티 리더는 자신의 판단에 따라 가입을 허용하는 인증키를 각각 부여하는 단계, 커뮤니티에 가입된 소비자들에 의한 제품 구매 신청단계, 구매 신청 접수 마감후, 신청한 구매 수량에 의하여 커뮤니티의 할인율 및 가격이 결정되는 단계, 및 결정된 가격으로 대금을 결재하고 제품을 발송한 후, 상기 커뮤니티의 거래에 관한 커뮤니티 신용도, 및 회원 신용도를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 구매가 진행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 는 도 1의 단계(103)후에 단계(116)로 진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단계(103)후에 단계(104)로 진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단계(108) 이후의 과정을 도시한다. 따라서, 모든 도면에 사용된 참조번호는 모두 동일한 대상을 지시하는 부호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 1을 설명하면서 도 2 내지 도 4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4를 참고로, 단계(101)에서 운영자(70)는 공급업체(40)로부터 물품을 공급받고 본 발명의 공동 구매 사이트(쇼핑몰)(30)에 진열한다. 도 2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물품1은 예를 들어 TV이고 물품2는 냉장고, 물품3은 오디오일 수 있다.
단계(102)에서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60)는 원하는 물건을 선택하고, 단계(103)에서 만약 그 물건에 이미 형성된 커뮤니티(10)가 없을 경우는 단계(116)로 진행한다. 단계(116)에서 위의 소비자는 커뮤니티 생성을 운영자에게 요청하고 단계(117)에서 운영자는 소비자의 신용도와 구매 가능성을 판단후 인증키를 부여하게 된다. 단계(118)에서 소비자가 운영자로부터 인증키를 받게되면 자신이 커뮤니티 리더(20)가 되면서 커뮤니티(10)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면 단계(119)에서 커뮤니티 리더는 자신의 커뮤니티에서 구매할 예상 구매 수량을 결정하고, 단계(120)에서 커뮤니티 리더는 위의 예상 구매 수량을 달성하기 위해 제품 홍보를 하고, 새로운 구매자가 커뮤니티에 들어오고자 할 경우 커뮤니티 리더가 판단하여 커뮤니티 내로 회원을 흡수하는 등의 운영을 하며, 게시판 운영 및 관리등 커뮤니티 내의 관리자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커뮤니티 리더의 활동이 공동 구매 사이트와 관련해 부적절한 행위인 경우, 운영자(70)는 커뮤니티 리더의 권리 및 권한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10)는 기존의 다른 사이트에 형성된 집단(커뮤니티)도 그대로 본 발명의 커뮤니티로 등록이 가능하므로, 단기간에 수많은 회원을 가진 커뮤니티가 되어 많은 할인 혜택을 누릴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진 동호회가 이미 다른 사이트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사진 동호회는 필름이나 렌즈 등의 카메라 소모품을 항상 필요로 하므로 이들이 개별적으로 하나씩 구입하는 것 보다는 공동으로 구매하여 다운된 가격의 혜택을 누리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그렇다면 위의 동호회의 시삽은 회원들의 구입의사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사이트에 진열된 필름을 선택하게 된다. 이 경우 동호회의 시삽은 본 발명의 커뮤니티 리더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리더는 예상 구매 수량을 정하고 좋은 커뮤니티 신용도를 얻어 더 많은 가격 할인 혜택과 운영자로 부터의 커뮤니티 지원을 얻어내기 위하여 홍보활동을 한다. 이러한 홍보 방법으로는 이-메일, SMS(핸드폰 메시지 전송), 음성 메일, 또는 전화 등을 이용하여 제품 구입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운영자는 본 발명의 공동 구매 사이트가 이-메일, SMS(핸드폰 메시지 전송), 음성 메일, 또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제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단계(103) 이후에 이미 커뮤니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도적으로 단계(116)로 진행하여 새로운 커뮤니티를 개설할 수 도 있다. 즉 동일한 제품에 다수의 개별적인 커뮤니티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소비자가 커뮤니티의 리더로써 활동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단계(104)로 진행하여 이미 형성된 커뮤니티에 회원으로써 가입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형성된 커뮤니티가 여러개일 경우 제품의 신용도나 커뮤니티 신용도를 참고하여 어떤 커뮤니티에서 구매하는 것이 유리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그 커뮤니티에 회원 가입을 요구하면 단계(105)에서 그 커뮤니티 리더가 이 회원의 회원 신용도를 검토하고 리더의 판단에 따라 인증키를 부여할 수 있다. 운영자는 커뮤니티 리더가 인증키를 부여할 때 커뮤니티 관련 정보, 공동 구매 사이트 정보, 또는 배너 광고도 함께 보내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커뮤니티 고유 인증키는 각 커뮤니티를 통해 이루어지는 구매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106)에서 인증키를 받은 회원은 회원 등록이 되고 단계(107)에서 회원들간 제품에 관한 정보 교환, 즉 사용한 경험과 서비스 정도 등에 관하여 정보 교환을 하며, 이를 위하여 운영자는 소비자가 제품 선택시 참고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내의 멤버 수, 제품의 수량, 가격 및 각각의 신용도를 구체적인 그래프와 숫자, 이미지 등을 통해 웹페이지 상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하고 채팅을 할 수 있는 창을 마련한다.
회원이 제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하면 단계(108)에서 이 회원이 제품 구매 요청서를 커뮤니티 리더에게 제출한다. 커뮤니티 리더는 이러한 구매 절차를 계속 받아들여 자신이 제시한 구매 수량에 근접하는 경우 단계(110)에서 구매 신청을 마감하고 회원들의 구매 요청서를 일괄적으로 운영자에게 제출한다. 단계(111)에서 운영자는 공급업체(40)와 협의하여 할인가격을 결정하고 그 가격을 커뮤니티 리더에게 통보(111-1)하고 커뮤니티 리더는 이를 회원들에게 통보(111-2)한다. 할인가를 결정함에 있어서, 할인가=원래의 제품가격*(1-할인율)의 식으로 계산하며, 여기서 할인율은 제품 구매 목표 달성율과 공급업체가 제시한 공급자 할인율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한, 동일한 물건에 관하여 여러개의 커뮤니티가 형성된 경우, 제품의 가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여러개의 커뮤니티 모두의 구매량으로 가격 할인율을 계산하도록 하고 이 할인가를 기준으로 커뮤니티 별로 구매 수량에 비례하여 커뮤니티 별 가격을 하향하거나 상향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112)에서 가격을 통보 받은 회원은 대금을 카드사나 은행(80)에 납부하고 이 카드사나 은행이 공급업체에 대금이 결재된 것을 통보(112-1)하면 단계(113)에서 공급업체가 물품을 회원(90)에게 송달한다. 그리고 단계(114)에서 이번 거래에 대하여 운영자는 공급업체, 커뮤니티 리더, 및 회원들로부터 이번 거래에 관한 의견을 수렴한다음 커뮤니티 신용도, 및 회원 신용도를 결정하고 다음에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다.
회원 신용도가 높다면, 이를 기준으로 운영자는 높은 신용도를 가진 회원만을 대상으로 특별가로 싸게 준비된 물품을 살수 있는 권한을 인정하는 이익을 줄수 있으며, 또한 물품을 구입할 때 신용카드나 보증인이 없이도 회원 신용도를 평가하여 할부 구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회원 신용도가 높다면 많은 이익을 누릴 수 있으므로 회원은 공동 구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것이고, 거래를 싶게 취소하거나 불성실하게 임하지 않게될 것이다.
그리고 커뮤니티의 신용도에 따라 운영자는 커뮤니티 지원을 할 수 있다. 즉, 커뮤니티 리더의 활동으로 많은 거래가 이루어 지고 공급업체에 많은 이익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하여 보상을 할 수 있다. 보상은 물건이나 자금을 지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한적이지는 않다. 그리고, 회원 신용도를 통해 각각의 소비자 개인은 추후 이벤트 등을 통해 제품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로써 공동 구매가 종결되며 커뮤니티는 해체되거나 계속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가 해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커뮤니티 리더의 구매활동 여부에 따라 커뮤니티 신용도를 적립할 수 있고, 커뮤니티 신용도가 일정량 적립되면 커뮤니티 지원을 받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품에 문제가 있거나 기타 사유로 인한 반송시에는 30일 이내에 한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단계(103)에서 커뮤니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커뮤니티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공동 구매 사이트(30)에 공급업자(40)가 물품을 공급한다. 도면의 물품1은 예를 들어 TV일 수 있으며 물품2는 냉장고, 물품3은 오디오일 수 있다. 소비자(60)가 예를 들어, 물품2를 선택(102)하게 되면 생성된 커뮤니티가 없으므로 운영자(70)에게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116)한다. 그러면 운영자는 이를 허락하는 인증키를 부여(117)하고 커뮤니티가 생성되도록한다(118). 커뮤니티(10)가 생성되면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한 상기 소비자가 커뮤니티 리더가 되며(118) 커뮤니티의 생성이 완료된다. 상기 커뮤니티는 동일한 물품에 다수가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1의 단계(103)에서 이미 생성된 커뮤니티가 있을 경우의 회원 가입 절차를 도시한다. 먼저 공급업체(40)가 공동 구매 사이트에 물품공급을 하고 소비자(60)가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고(102) 회원 가입을 신청하면(104) 커뮤니티 리더(20)는 위의 소비자의 가입을 허용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회원으로 허용하고자 한다면 인증키를 부여하며(105) 이로써 소비자는 본 커뮤니티에 회원으로 등록(106)되고 물품을 구매할 자격을 얻게된다.
도 4는 공급업체에 의해 물품이 진열되고 도 1의 절차에 따라 커뮤니티가 생성되어 있고 소비자가 커뮤니티의 회원으로 가입한 상태에서, 이 회원이 물품을 구매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먼저 회원(90)이 물품 구매요청을 커뮤니티 리더에게 하는 단계(108)에서 커뮤니티 리더는 대부분의 회원들이 구매요청을 할 때 까지, 그리고 예상 구매 수량에 근접할 때 까지 회원들로부터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예상 구매 수량에 근접하거나 기대치에 도달하면 구매 요청을 마감하고 구매 요청서를 일괄적으로 운영자(70)에게 제출한다(110). 그러면 운영자(70)는 공급업체와 할인가격을 협의하고 구매 수량과 예상 구매수량 달성 여부 등을 검토하여 할인가를 결정하고(111) 운영자는 이 가격을 커뮤니티 리더에게 통보한다(111-1). 커뮤니티 리더는 이것을 회원에게 통보(111-2)하고 회원(90)은 이 결정된 할인가를 카드사나 은행(80)에 지불(112)하게 되고 카드사나 은행은 공급업체에 대금이 결제되었음을통보(112-1)하고 이로써 공급업체는 물품을 회원에게 송부(113)한다.
이로써 구매가 종결되고 운영자는 거래의 내용에 따라 커뮤니티 신용도 및 회원 신용도를 결정하고 저장한후 다음의 거래에서 활용하게 된다.
소비자가 직접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고 커뮤니티의 신용도가 높으면 그에 따른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커뮤니티는 자율적으로 적극적인 공동 구매를 유도하게 된다. 소비자들은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상호 교환 및 의사 교류가 가능하고 제품의 신용도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현명한 선택을 할수 있고 공동 구매의 효과로 더욱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는 소비자 반응 및 커뮤니티를 이용한 다수의 의견을 추출할 수 있고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비자의 지속적인 구매를 기대할 수 있으며 많은 제품의 구매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7)

  1.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에 있어서,
    소비자가 상기 공동 구매 사이트(30)에 진열된 공동 구매 물품을 선택하는 단계(102),
    상기 선택된 물건에 대해 상기 소비자가 커뮤니티(10)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116),
    운영자의 판단으로 커뮤니티 생성을 허락하는 인증키를 부여하고(117), 상기 허락에 따라 커뮤니티가 생성되며 상기 소비자는 커뮤니티 리더가 되는 단계(118),
    상기 커뮤니티 리더가 예상 구매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119),
    상기 커뮤니티 리더가 다른 소비자들에게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단계(120),
    상기 소비자들이 상기 커뮤니티로의 가입을 원할 경우(104) 커뮤니티 리더는 자신의 판단에 따라 상기 소비자의 가입을 허용하는 인증키를 각각 부여하는 단계(105),
    상기 소비자가 회원으로 등록되고 회원간 정보 교환을 한 후 제품 구매 요청서를 제출하는 단계(108),
    상기 커뮤니티 리더의 판단으로 구매 요청 접수 마감 후, 운영자에게 구매 요청서를 일괄 제출 하는 단계(110),
    요청한 구매 수량과 공급업자가 제시한 할인율을 참고로 할인가를 결정하는단계(111),
    상기 할인가에 따라 상기 회원이 대금을 결제하고 공급업자는 물품을 송부하는 단계(112, 113), 및
    상기 구매에 관하여 커뮤니티 신용도, 및 회원 신용도가 결정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114)를 포함하는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116)에서, 기존에 형성된 다른 사이트의 시샵이 상기 소비자 즉,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하는 자가 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사이트의 회원 전체가 본 발명의 공동 구매 사이트의 커뮤니티 회원으로 이전 될 수 있도록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신용도는 운영자로부터 커뮤니티 지원을 받을 기준값으로 사용되거나, 다음의 거래에서 거래가 성사될 가능성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신용도는 회원 신용도의 정도에 따라 회원이 물품 구입시 할부 판매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되거나, 특별한 이벤트에 참가할 자격을취득할 수 있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단계는 이-메일, SMS, 음성 메일, 및 전화를 이용하여 제품을 홍보하는 단계인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들이 상기 커뮤니티 내에서 제품에 관한 상호 의견 교환 및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도록 공동 구매 사이트를 구성하는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물건에 관하여 여러개의 커뮤니티가 형성된 경우, 제품의 가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여러개의 커뮤니티 모두의 구매량으로 가격 할인율을 계산하는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 구매 방법.
KR1020000045813A 2000-08-08 2000-08-08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KR20020012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813A KR20020012656A (ko) 2000-08-08 2000-08-08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813A KR20020012656A (ko) 2000-08-08 2000-08-08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656A true KR20020012656A (ko) 2002-02-20

Family

ID=1968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813A KR20020012656A (ko) 2000-08-08 2000-08-08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265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57B1 (ko) * 2000-11-03 2004-03-10 조명계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 구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4004816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공동구매 키가 탑재된 신용 카드를 이용한 공동구매 결제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40048174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공동구매 코드가 저장된 공동구매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신용 카드를 이용한 공동구매 결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11162476A1 (ko) * 2010-06-23 2011-12-29 (주)엔써즈 콘텐츠 공동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22692A (ko) * 2011-12-29 2012-03-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구매 키 제공 방법
WO2013101192A1 (en) * 2011-12-30 2013-07-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ulk purchase negotiating using an ad hoc online group
KR20210054748A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모랑스 일대다 만장일치 기반의 계약대상 거래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0013A2 (en) * 1997-10-09 1999-04-22 Walker Digital, Llc Point-of-sale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group rewards
KR20000030717A (ko) * 2000-03-13 2000-06-05 서대복 구매인원 증가에 따라 구매가격이 하락하는 방식과 맞춤형쇼핑 및 역 공동구매를 통한 전자상거래 방식
KR20010095929A (ko) * 2000-04-12 2001-11-07 장재웅 인터넷 공개 입찰형 공동구매 방법
KR20020005840A (ko) * 2000-07-10 2002-01-18 노시열 인터넷을 통한 입찰을 이용한 공동구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0013A2 (en) * 1997-10-09 1999-04-22 Walker Digital, Llc Point-of-sale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group rewards
KR20000030717A (ko) * 2000-03-13 2000-06-05 서대복 구매인원 증가에 따라 구매가격이 하락하는 방식과 맞춤형쇼핑 및 역 공동구매를 통한 전자상거래 방식
KR20010095929A (ko) * 2000-04-12 2001-11-07 장재웅 인터넷 공개 입찰형 공동구매 방법
KR20020005840A (ko) * 2000-07-10 2002-01-18 노시열 인터넷을 통한 입찰을 이용한 공동구매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57B1 (ko) * 2000-11-03 2004-03-10 조명계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 구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04004816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공동구매 키가 탑재된 신용 카드를 이용한 공동구매 결제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40048174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공동구매 코드가 저장된 공동구매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신용 카드를 이용한 공동구매 결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11162476A1 (ko) * 2010-06-23 2011-12-29 (주)엔써즈 콘텐츠 공동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22692A (ko) * 2011-12-29 2012-03-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구매 키 제공 방법
WO2013101192A1 (en) * 2011-12-30 2013-07-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ulk purchase negotiating using an ad hoc online group
KR20210054748A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모랑스 일대다 만장일치 기반의 계약대상 거래 방법, 서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821B2 (e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integrated shopping mall
JP3440040B2 (ja) 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広告配信管理・ポイント還元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596816B1 (ko) 양방향 검색과 모니터링을 통한 광고관리 및 검색 시스템
US20020062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enefit recognition, acquisition, value exchange, and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using multivariable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0201334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20070288312A1 (en) Purchase-transaction-settled online consumer referral and reward service using real-time specific merchant sales information
US200201476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by use of third party subsidies
US20060242084A1 (en) Consumer data credit or debit card
KR20180081056A (ko) 통합 코드 발급에 기초한 정보 처리 네트워크, 그 방법 및 센싱 액세스 장치
Jelassi et al. An E-Commerce Sales Model for Manufacturing Companies::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European Example
WO2015016767A1 (en) A loyalty system
KR20170017671A (ko) 상품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판매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판매 관리 통합시스템
US7020625B2 (en) Method of using product pickup to create direct marketing opportunities
KR101995040B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3026A (ko)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관리 시스템
KR100592538B1 (ko) 웹 사이트 분양을 통한 쇼핑몰 운영방법
KR101714600B1 (ko)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한 상품 유통과 이윤 환원 생태계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100812045B1 (ko) 자동 광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2656A (ko) 전자 상거래를 통한 인터넷 공동 구매 사이트에서의 공동구매 방법
KR102467043B1 (ko) 쇼핑몰 플랫폼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01065A (ko) 유료 디지털 컨텐츠 판매촉진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쿠폰의 운영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US201400817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items
KR100432410B1 (ko) 인터넷 채팅시스템을 이용한 무형의 서비스 제공 및결제방법과 그 시스템
KR20070052638A (ko) 상품 선전 시스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