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622A -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6622A KR20170016622A KR1020150109938A KR20150109938A KR20170016622A KR 20170016622 A KR20170016622 A KR 20170016622A KR 1020150109938 A KR1020150109938 A KR 1020150109938A KR 20150109938 A KR20150109938 A KR 20150109938A KR 20170016622 A KR20170016622 A KR 201700166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display unit
- led
- trunk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방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감지에 근거하여 트렁크를 개폐시키는 트렁크 구동모듈 및 상기 트렁크 개폐에 대응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안전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비상사태 시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이상을 자동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안전조치를 통한 2차 사고 예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 운전자가 차 밖으로 나와 안전조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비상사태 시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이상을 자동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안전조치를 통한 2차 사고 예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 운전자가 차 밖으로 나와 안전조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사태 시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이상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안전수칙에 따라 후방 차량들에게 알리기 위해 삼각대, 비상 손전등과 같은 장비들을 차량에 구비해야 하고, 실제로 운전중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 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을 켜고, 후방 일정 거리에 삼각대를 세운 후 비상 손전등 등을 흔들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했음을 후방 차량이 인지하도록 알린다.
그러나 상기한 안전장비들을 구비하지 않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운전자가 안전수칙에 따라 행동을 한다고 해도 운전자가 직접 상기한 수칙들에 따라 행동을 완료하는데 까지는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또한, 차량이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 급추돌 사고 발생하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주변의 운행중인 차량은 급추돌 사고에 대한 유무를 인지할 수 없어서 고속주행 및 안개 등의 악천후와 야간 운행 시 연쇄추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차량 안전표지판으로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지판의 전면에 안전표지가 표시되고, 표지판의 양쪽 하단부에 지지용 다리가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후면 중앙부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가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작되었다.
상기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는 후면의 지지대가 표지판의 후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차량에 보관하다가, 차량운행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비상시에는 지지대를 펼쳐서 차량의 후방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후방에서 주행하여 달려오는 차량에 주의를 주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안전을 위하여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차량의 후방으로 100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며, 정비완료 또는 운행에 대한 문제점 해결 후에 차량 안전표지용 삼각대를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삼각대의 크기가 작아 식별력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보다 운전자가 안전하게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를 알릴 수 있는 안전표시 장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비상사태 시 트렁크에 안전신호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이상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전방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감지에 근거하여 트렁크를 개폐시키는 트렁크 구동모듈과, 상기 트렁크 개폐에 대응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안전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전신호 표시부는 상기 트렁크 내부에 장착되는 LED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전선을 차량 몸체프레임로부터 이격시키는 전선 고정부재와, 차량 외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면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전선을 커팅시키는 커팅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트렁크의 개폐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하우징 덮개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림에 따라 하우징 외부로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LED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표시부는 접힌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덮개의 열림에 대응하여 펼쳐져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표시부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3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들은 펼쳐져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모듈은 상기 LED 표시부를 접고 펴는 LED 제어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센서부가 차량 전면의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와, (b) 상기 감지된 충격에 대응하여 트렁크 개방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와, (c) 상기 트렁크 개방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LED 덮개 개방 모터가 구동되어 하우징의 덮개를 개방하는 단계와, (d) 상기 하우징의 덮개가 개방된 후 LED 제어 모터가 구동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접혀 있던 LED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면을 형성하며 펼쳐지는 단계 및 (e)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안전신호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비상사태 시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이상을 자동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안전조치를 통한 2차 사고 예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 운전자가 차 밖으로 나와 안전조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의 센서부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의 센서부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스위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스위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LED 모듈이 펼쳐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LED 모듈의 확대 개념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개념도.
도 5c는 도 5a의 LED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의 센서부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의 센서부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스위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스위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LED 모듈이 펼쳐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LED 모듈의 확대 개념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개념도.
도 5c는 도 5a의 LED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은 센서부(140)와, 제어부(120)와, 트렁크 구동모듈 및 안전신호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신호 표시부는 트렁크 내부에 배치되는 표지판 또는 트렁크의 개폐에 대응하여 펼쳐지는 막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LED 모듈(2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40)에서 전달된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근거하여 제어부(120)는 트렁크 구동모듈과 LED 모듈(200)에 구동 명령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키 박스가 ACC 모드일 경우 센서부(1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사고를 센싱하기 시작하고, 키 박스가 ON 모드일 경우 센서부(140)의 상태를 체크하고 차량 후방의 트렁크 구동모듈과 LED 모듈(20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키 박스가 ON 모드일 경우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키 박스가 ON 모드 상태에서 센서부(140), 트렁크 구동모듈 또는 LED 모듈(200)에 전원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센서부(140), 트렁크 구동모듈 또는 LED 모듈(200)에 보조 배터리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 모듈(200)은 자체 전원을 통해 구동이 되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사유로 LED 모듈(200)의 자체 전원이 끊기게 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LED 모듈(200)에 보조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엔진부가 파손되어 차량의 전원이 상기 모듈들에 공급될 수 없는 경우 제어부(120)는 자동으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모듈들에 공급할 수 있다.
차량의 비상 상황에서 동작해야 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제어부(120)의 이러한 전원 제어 및 감시 기능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트렁크 구동모듈은 제어부(120)의 제어명령을 받아 구동된다. 트렁크 구동모듈은 트렁크를 개폐하는 트렁크 개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를 통해 이상이 감지될 경우 제어부(120)는 사고나 위급 상황 발생을 판단하여 트렁크 구동모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20)로부터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트렁크 개방 모터가 구동되며 트렁크가 개방된다. 트렁크가 완전 개방된 후 트렁크 개방 모터가 정지하여 트렁크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LED 모듈(200)은 트렁크 구동모듈의 동작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렁크가 완전 개방된 후 LED 표시부(210)가 펼쳐지거나 트렁크가 개방되면서 LED 표시부(210)가 동시에 펼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LED 모듈(200)은 하우징(230)과, 하우징(230)의 일면을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231)와, 하우징(230) 내부에 배치되고 절첩식으로 형성되는 LED 표시부(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덮개(231)와 LED 표시부(210)에는 각각 LED 덮개 개방 모터(260)와, LED 제어 모터(270)가 연결될 수 있다. LED 덮개 개방 모터(260) 및 LED 제어 모터(270)는 트렁크 개방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구동되어 사고 발생시 후방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를 형성시킨다.
센서부(14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센서부(140)는 전원차단센서(150)나 충격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센서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감지해 차량이 다른 차량 또는 장애물에 부딪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충격센서는 차량의 여러 방향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충격센서는 차량의 전면, 측면, 후면에 부착되어 어느 방향에서 충돌이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40)는 터치센서나 관성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차량이 장애물에 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차량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뿐 아니라 장애물이 차량에 접촉하거나 차량의 외면을 긁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관성센서는 차량의 속도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자기 차량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나 급정거하는 경우 이러한 차량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차단센서(150)는 차량의 전면부에 삽입된 전선(152)의 단선을 감지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상시에는 차량 전면부에 배치되는 전선(152)을 통해 제어부(120)로 전류가 전달되지만 차량에 충격지면 전선(152)이 단선되어 제어부(120)로 전달되는 전류가 끊기게 된다. 제어부(120)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의 센서부(140)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의 센서부(140)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차량의 외면을 따라 센서부(140)가 배치되고 센서부(140)가 감지한 신호는 제어부(120)로 전달되어 사고 또는 위급 상황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원차단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차단센서(150)는 제어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52)과, 전선(152)을 차량 몸체프레임(101)으로부터 이격시켜 고정하는 전선(152) 고정부재(102)와, 차량 외면프레임으로부터 전선(152)을 향해 돌출되어 전선(152)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커팅돌기(15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팅돌기(151)는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전선(152)과 닿는 경우 전선(152)이 끊어지게 만든다.
차량 몸체프레임(101)은 차량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일 수 있고 외면 프레임은 차량의 범퍼가 될 수 있다. 즉, 전선(152) 고정부재(102)는 차량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되고 커팅돌기(151)는 범퍼 내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 범퍼가 변형되는 경우 커팅돌기(151)가 전선(152)과 접하며 전선(152)을 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팅돌기(151)는 전선(152)을 둘러싸는 홈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팅돌기(151)는 전선(152)의 전면부 뿐만 아니라 상부와 하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전선(152)을 단선시킬 수 있다.
커팅돌기(151)에 의해 전선(152)이 단선되면 제어부(120)로 전달되는 전류가 끊기게 되고 제어부(120)는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판단하고 트렁크 구동모듈 및 LED 모듈(200)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스위치(31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수동 스위치(310)는 전선(152)을 통해 제어부(120)로 흐르는 전류를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버튼(311)과, LED 모듈(200) 접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얼(3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단버튼(311)은 일단부가 뾰족한 돌기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버튼(311)의 일단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선(152)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운전자가 차단버튼(311)을 누르면 일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전선(152)에 힘을 가하며 전선(152)을 단선시킨다. 즉, 사용자가 차단버튼(311)을 누름으로써 전원차단센서(150)를 임의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선(152)이 단선되어 제어부(120)로 전달되는 전류가 끊기게 되면 제어부(120)는 트렁크 구동모듈 및 LED 모듈(200)을 동작시킨다.
운전자가 다이얼(312)을 돌리면 제어부(120)는 트렁크 구동 모듈(300) 및 LED 모듈(200)에 역동작 신호를 전달한다. 즉, 트렁크 개방 모터, LED 덮개 개방 모터(260), LED 제어 모터(270)가 반대로 회전하며 시스템을 닫게 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스위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수동 스위치(310)는 전선(152)을 통해 제어부(120)로 흐르는 전류를 강제로 차단하는 차단버튼(311)과, LED 모듈(200) 접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얼(3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단버튼(311)의 단부에는 전선이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차단버튼(311)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버튼(311) 내부의 전선은 외부의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운전자가 차단버튼(311)을 누르면 차단버튼(311) 내부의 전선이 외부의 전선과 단절되며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운전자가 다이얼(312)을 돌리면 차단버튼(311)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며 내부의 전선과 외부의 전선이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는 LED 모듈(200)이 펼쳐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고 발생시 차량 후방에 표시되는 안전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LED 모듈(200)은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장착된다. 평상시에는 LED 표시부(210)가 LED 모듈(200)의 하우징(230) 내부에 접혀서 보관되므로 트렁크 내부 공간 낭비를 줄인다.
사고가 발생하여 트렁크가 개방되는 경우 LED 표시부(210)가 펼쳐지며 넓은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즉, 복수의 표시부로 이루어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안전표시를 보다 크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가 트렁크 도어(106) 사이즈 정도의 스크린을 형성하여 후방의 차량은 멀리서도 사고 차량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LED 모듈(200)의 확대 개념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개념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LED 모듈(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LED 모듈(200)은 하우징(230)과, 하우징(230)의 일면을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231)와, 하우징(230) 내부에 배치되고 절첩식으로 형성되는 LED 표시부(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덮개(231)와 LED 표시부(210)에는 각각 LED 덮개 개방 모터(260)와, LED 제어 모터(270)가 연결될 수 있다. LED 덮개 개방 모터(260) 및 LED 제어 모터(270)는 트렁크 개방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구동되어 사고 발생시 후방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를 형성시킨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230)은 트렁크 도어(106)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트렁크가 열림에 따라 하우징(230)도 위로 올라가 펼쳐진 LED 표시부(210)가 더 넓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게 한다.
하우징 덮개(231)는 하우징(230)의 하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트렁크 구동모듈이 동작하여 트렁크가 열리면 하우징 덮개(231)가 열리면서 하우징(230) 내부에 접혀있는 LED 표시부(210)가 아래쪽으로 펼쳐진다.
LED 표시부(210)는 하우징(230)과 연결되는 제1 표시부(211)와, 제1 표시부(211)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표시부(212), 제2 표시부(2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3 표시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3개의 표시부가 접혀서 하우징(230) 내부에 보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표시부는 힌지(221)로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221)에는 LED 제어 모터(270)가 연결되어 표시부들이 자동으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LED 표시부(210)는 3개의 표시부로 구성되지만 하우징(230)의 너비에 따라 표시부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230)의 너비가 커지면 LED 표시부(210)는 더 적은 수의 표시부를 포함하고, 하우징(230)의 너비가 작아지면 LED 표시부(210)는 더 많은 수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LED 표시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전면을 덮는 스크린을 형성시킨다. 이 때, 표시부의 크기를 늘리고 표시부 숫자를 줄이는 경우 또는 표시부의 크기를 줄이고 표시부 숫자를 늘리는 경우에도 동일한 크기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부들은 와이어(222)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부(211)는 후면에 와이어(222)가 연결되고, 제2 표시부(212)의 전면은 제1 표시부(211)의 전면과 와이어(222)로 연결되며, 제3 표시부(213)의 후면은 제2 표시부(212)의 후면과 와이어(222)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일단은 LED 제어 모터(27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 표시부(213)에 연결된다. 이 때 와이어는 LED 제어 모터(270)으로부터 제1 표시부(211)와 제2 표시부(212)를 지그재그로 관통하며 제3 표시부(213)에 연결된다.
와이어(222)는 LED 제어 모터(270)에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된다.
와이어(222)가 감기는 경우 표시부들은 서로 중첩되도록 접혀서 하우징(230) 내부로 들어가며, 와이어(222)가 풀리는 경우 표시부들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펼쳐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방법은 센서부(140)가 차량 전면의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충격에 대응하여 트렁크 개방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개방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LED 덮개 개방 모터(260)가 구동되어 하우징(230)의 덮개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230)의 덮개가 개방된 후 LED 제어 모터(270)가 구동되며 상기 하우징(230) 내부에 접혀 있던 LED 표시부(210)가 디스플레이면을 형성하며 펼쳐지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안전신호가 표시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전원차단센서(150), 충격센서, 터치센서 또는 수동 스위치(310) 등을 통한 충격 신호를 감지한다. 즉, 차량의 상태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이러한 신호가 제어부(120)로 전달된다.
제어부(120)는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트렁크 구동모듈 또는 LED 모듈(200)을 구동시킨다. 제어부(12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트렁크 개방 모터, LED 덮개 개방 모터(260) 및 LED 제어 모터(270)가 구동된다. 상기 모터들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LED 제어 모터(270)에 의해 LED 표시부(210)가 펼쳐진 후 LED에 안전표시가 디스플레이 된다. 특정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안전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정차 시에는 급정차에 대응하는 안전표시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고 발생시에는 사고 발생에 대응되는 안전표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비상사태 시 후방 차량에게 차량의 이상을 자동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안전조치를 통한 2차 사고 예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 운전자가 차 밖으로 나와 안전조치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1 : 몸체프레임
102 : 전선 고정부재
106 : 트렁크 도어 120 : 제어부
140 : 센서부 150 : 전원차단센서
151 : 커팅돌기 152 : 전선
200 : LED 모듈 210 : LED 표시부
211 : 제1 표시부 212 : 제2 표시부
213 : 제3 표시부 221 : 힌지
230 : 하우징 231 : 하우징 덮개
240 : 하우징 제어부 250 : 하우징 전원부
260 : 덮개 개방 모터 270 : LED 제어 모터
300 : 트렁크 구동모듈 310 : 수동 스위치
311 : 차단버튼 312 : 다이얼
106 : 트렁크 도어 120 : 제어부
140 : 센서부 150 : 전원차단센서
151 : 커팅돌기 152 : 전선
200 : LED 모듈 210 : LED 표시부
211 : 제1 표시부 212 : 제2 표시부
213 : 제3 표시부 221 : 힌지
230 : 하우징 231 : 하우징 덮개
240 : 하우징 제어부 250 : 하우징 전원부
260 : 덮개 개방 모터 270 : LED 제어 모터
300 : 트렁크 구동모듈 310 : 수동 스위치
311 : 차단버튼 312 : 다이얼
Claims (8)
- 차량 전방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에 근거하여 트렁크를 개폐시키는 트렁크 구동모듈; 및
상기 트렁크 개폐에 대응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안전신호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신호 표시부는 상기 트렁크 내부에 장착되는 LED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전선을 차량 몸체프레임로부터 이격시키는 전선 고정부재와, 차량 외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선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면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전선을 커팅시키는 커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트렁크의 개폐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하우징 덮개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덮개가 열림에 따라 하우징 외부로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LED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LED 표시부는 접힌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덮개의 열림에 대응하여 펼쳐져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LED 표시부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3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들은 펼쳐져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상기 LED 표시부를 접고 펴는 LED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a) 센서부가 차량 전면의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충격에 대응하여 트렁크 개방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c) 상기 트렁크 개방 모터의 구동에 대응하여 LED 덮개 개방 모터가 구동되어 하우징의 덮개를 개방하는 단계;
(d) 상기 하우징의 덮개가 개방된 후 LED 제어 모터가 구동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접혀 있던 LED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면을 형성하며 펼쳐지는 단계; 및
(e) 상기 디스플레이면에 안전신호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938A KR20170016622A (ko) | 2015-08-04 | 2015-08-04 |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9938A KR20170016622A (ko) | 2015-08-04 | 2015-08-04 |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6622A true KR20170016622A (ko) | 2017-02-14 |
Family
ID=5812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938A KR20170016622A (ko) | 2015-08-04 | 2015-08-04 |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16622A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7406B1 (ko) * | 2018-01-09 | 2018-05-11 | 박세헌 |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
KR101883103B1 (ko) * | 2017-04-10 | 2018-07-27 | 유진영 | 자동차용 안전 표지판 |
KR101985416B1 (ko) * | 2019-01-02 | 2019-06-03 |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
KR101989576B1 (ko) * | 2018-01-19 | 2019-06-14 | 최환석 |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
WO2019139221A1 (ko) * | 2018-01-09 | 2019-07-18 | 박세헌 |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
KR20200023119A (ko) * | 2018-08-24 | 2020-03-04 | 김주회 | 차량의 비상시에 위험 상황을 뒤에 오는 차량에 알려주는 장치 |
CN111565975A (zh) * | 2018-01-09 | 2020-08-21 | 朴世宪 | 车用警告显示装置 |
KR102153601B1 (ko) * | 2019-10-22 | 2020-09-08 | 박현 | 교통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KR20230058910A (ko) *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테일게이트 일체형 경광등 시스템 |
US20230393455A1 (en) * | 2022-06-01 | 2023-12-07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Front trunk including screen for displaying images or video |
KR102663757B1 (ko) * | 2024-02-13 | 2024-05-03 | 주식회사 쎌텍 | 자동차 사고 알림용 led 표시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7660Y1 (ko) | 2006-07-05 | 2006-09-28 | 주식회사 용산 | 차량 상황 알림 판 |
KR20120019080A (ko) | 2010-08-25 | 2012-03-06 | 신진호 | 전자식차량고장표시기 |
-
2015
- 2015-08-04 KR KR1020150109938A patent/KR2017001662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7660Y1 (ko) | 2006-07-05 | 2006-09-28 | 주식회사 용산 | 차량 상황 알림 판 |
KR20120019080A (ko) | 2010-08-25 | 2012-03-06 | 신진호 | 전자식차량고장표시기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3103B1 (ko) * | 2017-04-10 | 2018-07-27 | 유진영 | 자동차용 안전 표지판 |
KR101857406B1 (ko) * | 2018-01-09 | 2018-05-11 | 박세헌 |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
WO2019139221A1 (ko) * | 2018-01-09 | 2019-07-18 | 박세헌 |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
CN111565975A (zh) * | 2018-01-09 | 2020-08-21 | 朴世宪 | 车用警告显示装置 |
KR101989576B1 (ko) * | 2018-01-19 | 2019-06-14 | 최환석 |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
KR20200023119A (ko) * | 2018-08-24 | 2020-03-04 | 김주회 | 차량의 비상시에 위험 상황을 뒤에 오는 차량에 알려주는 장치 |
KR101985416B1 (ko) * | 2019-01-02 | 2019-06-03 |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
KR102153601B1 (ko) * | 2019-10-22 | 2020-09-08 | 박현 | 교통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KR20230058910A (ko) *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서연이화 | 테일게이트 일체형 경광등 시스템 |
US20230393455A1 (en) * | 2022-06-01 | 2023-12-07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Front trunk including screen for displaying images or video |
US11960198B2 (en) * | 2022-06-01 | 2024-04-1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Front trunk including screen for displaying images or video |
KR102663757B1 (ko) * | 2024-02-13 | 2024-05-03 | 주식회사 쎌텍 | 자동차 사고 알림용 led 표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16622A (ko) |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 |
US5547208A (en) | Vehicle safety exit apparatus | |
KR101772444B1 (ko) | 차량용 프로젝션형 가상 안전 삼각대 표시장치 | |
KR101793390B1 (ko) | 차량의 안전 표시 시스템 | |
KR101771642B1 (ko) | 커브길 도로 안전 표시장치 | |
JP2006196251A (ja) | インターロック回路 | |
KR20140010804A (ko) |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 |
US8773249B2 (en) | Car alarm apparatus | |
JP3110583U (ja) | 緊急停止表示補助装置 | |
KR20090130528A (ko) | 자동차문개방경보기 | |
JP4614087B2 (ja) |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 |
KR200291685Y1 (ko) | 차량의 사면 모니터링 장치 | |
JPH0585262A (ja) | 車両用ランプの点滅制御装置 | |
JPH11147441A (ja) | 自動車事故の衝撃により作動する事故表示スイッチ | |
CN217532573U (zh) | 一种用于车辆的高压断电系统及汽车 | |
KR200189282Y1 (ko) | 긴급차량용 다기능 경보장치 | |
KR100534311B1 (ko) | 차량용 비상상황 경고 시스템 | |
KR101522956B1 (ko) | 배터리 잔량 표시 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 |
KR100776658B1 (ko) |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 |
KR0178257B1 (ko) | 자동차의 좌우 사각지대 감지 방법 | |
KR200305415Y1 (ko) | 차량후방위험 경보장치 | |
KR20130037771A (ko) | 차량의 사각지대 경보장치 | |
KR20170107320A (ko) | 자동차용 후방 감시 장치 | |
KR0137571Y1 (ko) |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 고장 경보 장치 | |
KR200222524Y1 (ko) |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