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416B1 -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416B1
KR101985416B1 KR1020190000319A KR20190000319A KR101985416B1 KR 101985416 B1 KR101985416 B1 KR 101985416B1 KR 1020190000319 A KR1020190000319 A KR 1020190000319A KR 20190000319 A KR20190000319 A KR 20190000319A KR 101985416 B1 KR101985416 B1 KR 101985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ensor
light
pers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한
Original Assignee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0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은 사람의 신체 일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방화문이나 도어를 열 때 천장면에 설치된 비상유도등을 회동시켜 비상유도등이 접촉되어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장면이 낮은 건물에서도 소방법에 위반하지 않고 비상유도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Pilot Lamp}
본 발명은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람의 신체 일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방화문이나 도어를 열 때 천장면에 설치된 비상유도등을 회동시켜 비상유도등이 접촉되어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장면이 낮은 건물에서도 소방법에 위반하지 않고 비상유도등을 설치할 수 있는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 상업시설, 공공시설, 지하철 등과 같은 건물에는 화재나 정전의 비상 상황 발생시 사람들을 비상구로 대피시키기 위한 유도등이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상유도등은 대부분 화재나 정전에 의해 건물의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더라도 일정 시간 이상 점등되어 비상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10)에 설치된 비상유도등(30)은 천장면(10)이 낮은 건물의 경우, 방화문이나 도어(20)에 일부가 중첩되기 때문에 도어(20)를 열 때, 비상유도등(30)이 접촉되어 충돌하기 때문에 도어(20)의 충돌 위험성을 피하기 위하여 벽면에 비상유도등(30)을 설치한다. 이러한 설치 방법은 비상유도등(30)에 관련된 소방법에 위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비상유도등(30)은 천장면(10)이 낮은 건물의 경우, 소방법을 위반하지 않고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3-01093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신체 일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방화문이나 도어를 열 때 천장면에 설치된 비상유도등을 회동시켜 비상유도등이 접촉되어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장면이 낮은 건물에서도 소방법에 위반하지 않고 비상유도등을 설치할 수 있는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은 천장면에 설치되어 사람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삭제
상기 천장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육면체 형상의 비상유도등 본체로 이루어진 비상유도등;
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유도등의 슬라이딩 거리는 피난구로부터 30m 거리에서도 피난구를 식별할 수 있는 발광면을 남겨둔 거리를 제외한 거리 이내이고,
상기 천장면의 삽입홈에는 양쪽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랙기어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비상유도등 본체의 양쪽 측면에는 피니언기어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구동모터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상기 각각의 랙기어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으며,
상기 비상유도등 본체는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상기 사람의 신체 일부를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기 랙기어 상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천장면의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재는 근접센서이고,
상기 근접센서는 하나 이상의 센서스트립과 상기 센서스트립의 단부에 결합되어 센서스트립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를 구비한 정전용량 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 감지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사람을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구동모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람의 신체 일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방화문이나 도어를 열 때 천장면에 설치된 비상유도등을 회동시켜 비상유도등이 접촉되어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장면이 낮은 건물에서도 소방법에 위반하지 않고 비상유도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면이 낮은 장소에 비상유도등을 설치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이 90도 회전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이 슬라이드 삽입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이 90도 회전하는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이 슬라이드 삽입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100)은 접촉센서(110), 천장면(10)에 설치된 비상유도등(120) 및 중앙 관제 센터(140)를 포함한다.
접촉센서(110)는 도어(20)의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람의 손이 손잡이에 접촉되었음을 감지하고, 사람의 손의 접촉을 감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
비상유도등(120)은 회동 방식에 따라 제1 실시예의 90도 회전 방식과, 제2 실시예의 슬라이드 삽입 방식으로 2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비상유도등(120)의 제1 실시예는 90도 회전 방식으로 다음과 같다.
비상유도등(120)은 접촉센서(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2), 배터리부(123), 무선통신부(124) 및 모터구동부(130)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의 비상유도등(120) 본체를 포함한다.
제어부(122)는 접촉센서(110)로부터 사람의 손의 접촉을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123)의 전원을 모터구동부(130)에 공급한다.
모터구동부(130)는 비상유도등 본체(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봉(133)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131)와 감속기로 구성되며, 구동모터(131)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모터구동부(130)의 감속기는 감속을 위해 상호 연결된 기어들을 포함하여 구동모터(131)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터구동부(130)에서 출력되는 토크는 감속기를 통해 증가된 토크가 된다
회전봉(133)은 일측에 구동모터(131)의 출력축(132)이 고정되고, 타측에 비상유도등 본체(121)에 결합된 연결봉(135)의 연결축(134)이 결합된다.
회전봉(133)은 배터리부(123)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구동모터(131)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봉(1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봉(133)에 결합된 연결축(134)의 연결봉(13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결봉(135)에 일체로 결합된 비상유도등 본체(121)를 천장면(10) 쪽으로 90도 회전하여 꺾는다. 이로 인하여 비상유도등(120)은 도어(20)가 비상유도등(120) 쪽으로 이동하여도 충돌하지 않는다.
비상유도등(120)의 제2 실시예는 슬라이드 삽입 방식으로 다음과 같다.
비상유도등(120)은 접촉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2), 배터리부(123), 무선통신부(124) 및 구동모터(131)를 포함한다.
제어부(122)는 접촉센서(110)로부터 사람의 손의 접촉을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123)의 전원을 구동모터(131)에 공급한다.
비상유도등(120)은 천장면(10)에 형성되는 삽입홈(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육면체 형상의 비상유도등 본체(121)를 포함한다. 비상유도등 본체(121)의 양쪽 측면에는 피니언기어(136)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136)의 회전축에 구동모터(131)가 각각 결합된다.
천장면(10)에 형성되는 삽입홈(12)의 양쪽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랙기어(1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비상유도등 본체(121)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피니언기어(136)의 일측은 삽입홈(12)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랙기어(137)에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다.
비상유도등(120)은 배터리부(123)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구동모터(131)의 구동에 따라 각각의 피니언기어(136)가 서로 맞물려 있는 랙기어(137) 상에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비상유도등(120)은 천장면(10)의 삽입홈(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비상유도등(120)은 도어(20)가 비상유도등(120) 쪽으로 이동하여도 충돌하지 않는다. 여기서, 비상유도등의 슬라이딩 거리는 피난구로부터 30m 거리(소방법이 정한 거리)에서도 피난구를 식별할 수 있는 발광면을 남겨둔 거리를 제외한 거리 이내이다.
제어부(122)는 접촉센서(110)로부터 사람의 손의 접촉을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123)의 전원을 구동모터(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131)에 공급하여 비상유도등(120)을 천장면(10) 쪽으로 90도 회전하여 꺾거나, 천장면(10)의 삽입홈(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된다.
제어부(122)는 구동모터(131)의 구동 여부, 접촉센서(110)의 센싱 여부 등의 데이터를 무선통신부(124), 통신망(102)를 통해 주변의 비상유도등(120) 또는 중앙 관제 센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관제 센터(140)는 각 층의 복수의 비상유도등(120)에 포함된 구동모터(131)의 동작 여부, 접촉센서(110)의 센싱 여부 등의 비상유도등(120)에 관련된 환경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2), 배터리부(123), 무선통신부(124)는 이하의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100)은 도어(20)와, 천장면(10)에 설치된 근접센서(150)와, 천장면(10)에 설치된 비상유도등(120) 및 중앙 관제 센터(1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비상유도등(120)의 제1 실시예는 근접센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2), 배터리부(123), 무선통신부(124) 및 모터구동부(130)를 포함하며, 비상유도등(120)의 제2 실시예는 근접센서(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2), 배터리부(123), 무선통신부(124) 및 구동모터(131)를 포함한다.
근접센서(150)는 접근하는 물체의 유무를 기계적 접촉없이 검출하는 센서이며, 근접 물체를 판별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있다.
본 발명의 근접센서(150)는 사람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근접센서(150)는 하나 이상의 센서스트립과 상기 센서스트립의 단부에 결합되어 센서스트립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를 구비한 정전용량 감지모듈을 포함한다.
제어부(122)는 상기 정전용량 감지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근접센서(150)로부터 사람을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123)의 전원을 구동모터(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131)에 공급하여 비상유도등(120)을 천장면(10) 쪽으로 90도 회전하여 꺾거나, 천장면(10)의 삽입홈(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100)은 일정한 커버리지 영역마다 화재를 감시하는 복수의 센서모듈(160)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센서모듈(160)은 화재 관련 위험을 감지하여 센서군을 나타내고, 연기센서, 온도센서, 불꽃센서 중 하나로 구성된다.
센서모듈(160)은 화재 위험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감지하는 일정한 구역의 센서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고,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을 검출하여 화재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화재 위험 신호를 비상유도등(120)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비상유도등(120)의 제1 실시예는 근접센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2), 배터리부(123), 무선통신부(124) 및 모터구동부(130)를 포함하며, 비상유도등(120)의 제2 실시예는 근접센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22), 배터리부(123), 무선통신부(124) 및 구동모터(131)를 포함한다.
제어부(122)는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모듈(160)로부터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123)의 전원을 구동모터(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131)에 공급하여 비상유도등(120)을 천장면(10) 쪽으로 90도 회전하여 꺾거나, 천장면(10)의 삽입홈(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 관제 센터(140)는 화재 위험 신호를 생성하여 각 층의 비상유도등(120)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비상유도등(120)의 제어부(122)는 중앙 관제 센터(140)로부터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123)의 전원을 구동모터(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131)에 공급하여 비상유도등(120)을 90도 회전하여 꺾거나, 천장면(10)의 삽입홈(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100)은 외부의 사용자단말(200)과 중앙 관제 센터(140)의 통신망(102)을 통한 통신 접속을 통해 각 층에 설치된 비상유도등(120)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무선 통신 방식이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면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사용자단말(200)은 중앙 관제 센터(140)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 파일을 이용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사용자단말(200)은 중앙 관제 센터(140)에 통신망(102)을 통해 접속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중앙 관제 센터(140)에 접속하며, 중앙 관제 센터(140)가 제공하는 비상유도등 제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중앙 관제 센터(140)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한 후,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비상유도등(120)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배터리부(123)의 전원을 구동모터(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131)에 공급하여 비상유도등(120)을 천장면(10) 쪽으로 90도 회전하여 꺾거나, 천장면(10)의 삽입홈(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천장면 12: 삽입홈
20: 도어 100: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102: 통신망 110: 접촉센서
120: 비상유도등 121: 비상유도등 본체
122: 제어부 123: 배터리부
124: 무선통신부 130: 모터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출력축
133: 회전봉 134: 연결축
135: 연결봉 136: 피니언기어
137: 랙기어 140: 중앙 관제 센터
150: 근접센서 160: 센서모듈
200: 사용자단말

Claims (6)

  1. 삭제
  2. 천장면에 설치되어 사람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천장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육면체 형상의 비상유도등 본체로 이루어진 비상유도등;
    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유도등의 슬라이딩 거리는 피난구로부터 30m 거리에서도 피난구를 식별할 수 있는 발광면을 남겨둔 거리를 제외한 거리 이내이고,
    상기 천장면의 삽입홈에는 양쪽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랙기어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비상유도등 본체의 양쪽 측면에는 피니언기어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구동모터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상기 각각의 랙기어를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으며,
    상기 비상유도등 본체는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상기 사람의 신체 일부를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기 랙기어 상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천장면의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재는 근접센서이고,
    상기 근접센서는 하나 이상의 센서스트립과 상기 센서스트립의 단부에 결합되어 센서스트립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를 구비한 정전용량 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 감지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사람을 감지한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구동모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00319A 2019-01-02 2019-01-02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KR10198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19A KR101985416B1 (ko) 2019-01-02 2019-01-02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19A KR101985416B1 (ko) 2019-01-02 2019-01-02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416B1 true KR101985416B1 (ko) 2019-06-03

Family

ID=6684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319A KR101985416B1 (ko) 2019-01-02 2019-01-02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4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6020A (en) * 1993-02-24 1994-12-27 Jones; John E. Canopy for an exit light
US6457270B1 (en) * 2000-10-27 2002-10-01 Frederick W. Stark, III Universal emergency sign
US6467208B1 (en) * 2000-11-13 2002-10-22 David Patterson Pivotable overhead lighted exit sign
KR20130109349A (ko)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20170016622A (ko) * 2015-08-04 2017-02-14 이재필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6020A (en) * 1993-02-24 1994-12-27 Jones; John E. Canopy for an exit light
US6457270B1 (en) * 2000-10-27 2002-10-01 Frederick W. Stark, III Universal emergency sign
US6467208B1 (en) * 2000-11-13 2002-10-22 David Patterson Pivotable overhead lighted exit sign
KR20130109349A (ko) 2012-03-27 2013-10-08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20170016622A (ko) * 2015-08-04 2017-02-14 이재필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870B1 (ko) 광통신망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CN108351623B (zh) 用于控制生活空间特征的系统
US11625998B2 (en) Providing emergency egress guidance via peer-to-peer communication among distributed egress advisement devices
KR101625760B1 (ko) 비상구 유도 장치
JP6845854B2 (ja) 生活空間機能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4697108A (zh) 空气调节机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20200074627A (ko) 바닥 매립형 led 피난 유도 장치
KR101985416B1 (ko) 비상유도등 관리 시스템
KR20210055812A (ko) 환경 조건에 대한 조명 장치의 출력 조절
JP2013195341A (ja) 認識システムおよびそのコントローラ、認識方法
JP6037651B2 (ja)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CN112696101B (zh) 一种天窗翻转控制系统及方法
CN104994325A (zh) 一种嵌入式门口机
US1156746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dular building control system
US20140352896A1 (en) Network roller shutters
US11140659B2 (en) Wireless organization of electrical devices by sensor manipulation
KR101271679B1 (ko) 하이브리드형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전원관리시스템
KR20210143108A (ko) 비상 유도 장치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2726A (ko) 전원 자동 스위치
KR20220098830A (ko) 지능형 피난유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73934B1 (ko) 엘이디 재난 조명 시스템
KR20210079541A (ko) 레이저 기반의 피난 유도 장치 및 피난 유도 방법
JP5154668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在不在判断方法、およびコントローラ
KR102540385B1 (ko)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